KR102105230B1 - Railroad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keeping preexistence railroad track and rail service - Google Patents
Railroad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keeping preexistence railroad track and rail ser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5230B1 KR102105230B1 KR1020170123291A KR20170123291A KR102105230B1 KR 102105230 B1 KR102105230 B1 KR 102105230B1 KR 1020170123291 A KR1020170123291 A KR 1020170123291A KR 20170123291 A KR20170123291 A KR 20170123291A KR 102105230 B1 KR102105230 B1 KR 1021052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railway
- railroad track
- railroad
- tra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철도선로와 철도운행을 유지하면서 철도선로의 하부를 지반침하나 선로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안정되게 굴착할 수 있고, 굴착 후 교량 및 교각을 시공한 후 거더와 슬래브의 설치가 가능토록 한 기존 철도선로와 철도운행을 유지하는 철도교량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기존 철도선로의 하부에 철도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은, (a) 철도선로의 일정 구간에서 레일을 지지하는 침목간의 사이마다에 레일 받침대를 삽입하는 단계와; (b) 철도선로의 양측으로 레일 받침대 연결빔을 배치한 후, 레일 받침대의 양단을 레일 받침대 연결빔에 결속하는 단계와; (c) 레일 받침대 연결빔에서 각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지지말뚝을 철도선로(20)의 길이방향으로 2개소 이상 배치하여 지반으로 일정깊이만큼 관입시켜 놓는 단계와; (d) 지지말뚝의 상단에 캡빔을 정착시켜 놓는 단계와; (e) 캡빔의 상면에 복수개 이상의 서포트 잭을 설치하는 단계와; (f) 철도선로의 하부에 직교방향으로 복수개 이상의 크로스 빔이 서포트 잭의 상단을 지나도록 배치한 후, 크로스 빔을 서포트 잭에 고정시켜 두는 단계와; (g) 서포트 잭을 조작하여 크로스 빔이 레일 받침대 연결빔을 지지토록 하는 단계와; (h) 상기 (c) 내지 (g) 단계를 철도선로(20)의 일정 구간에서 2개소 이상으로 작업하여 철도선로를 안정되게 지지토록 한 후, 철도선로의 하부를 목표하는 굴착 바닥까지 단계적으로 굴착하는 단계와; (i) 굴착 바닥에서 계획된 위치에 교대 및 교각 공사를 완료한 후 교량 거더를 철도선로와 교대 및 교각 사이의 공간에 거치하는 단계와; (j) 교량 거더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liably excavated while minimizing the deformation of the track while minimizing the deformation of the ground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railway track and railway operation,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bridges and piers after excava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girders and slabs. It provides a method for constructing railway bridges that maintains existing railway tracks and railway operation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ailway bridge under an existing railroad tra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inserting a rail support between rails supporting rails in a certain section of the railroad track; (b) arranging the rail support beams on both sides of the railroad track, and then binding both ends of the rail support to the rail support beams; (c) placing two or more support piles in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railroad track 2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ail support connecting beams to penetrate the ground to a certain depth; (d) fixing the cap beam on the top of the support pile; (e)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 jack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beam; (f) arranging a plurality of cross beams orthogonally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ailroad line to pass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jack, and fixing the cross beam to the support jack; (g) manipulating the support jack to allow the cross beam to support the rail support beam; (h) After the steps (c) to (g) are performed at two or more places in a certain section of the railroad track 20 to stably support the railroad track, stepwise to the excavation floor targeting the lower part of the railroad track. Excavating; (i) mounting the bridge girder in the space between the railway track and the shift and pier after completing the shift and pier construction at the planned location on the excavated floor; (j) the step of constructing a floor plate by pouring concrete on top of the bridge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structed includ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존 철도선로와 철도운행을 유지하면서 철도 교량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철도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선로의 하부를 지반침하나 선로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안정되게 굴착할 수 있고, 시공 비용이 저렴하도록 한 기존 철도선로와 철도운행을 유지하는 철도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roa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at enables construction of a railway bridge while maintaining existing railroad tracks and railroad operation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tably excavate while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railroad track while minimizing deformation of the tra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railroad bridge that maintains existing railroad tracks and railroad operation, so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low.
일반적으로 철도의 지하를 횡단하는 횡단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임시 가교량을 설치하여 열차를 운행하면서 하부를 굴착하여 구조물을 설치한 후, 가교량을 철거하고 선로를 원상복귀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는 공사 완료후에도 노반침하로 인해 지속적 보수관리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열차운행선에 인접한 별도의 임시 선로를 부설하여 열차를 우회운행하면서 구조물을 설치한 후 선로를 원상 복귀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서행운전 장기화로 인한 간접기회비용 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임시 가교량을 설치하고 열차를 운행하면서 하부를 굴착하여 구조물을 설치한 후 가교량을 철거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이는 열차상간을 이용하여 작업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안전 확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폐레일 다발을 선로중앙부에 설치하여 보강하고 강관추진 공법 등을 적용하여 시공되고 있으나 토피고가 낮은 경우에는 폐레일 다발 보강으로 궤도의 변형을 막기가 힘든 문제가 있다.In general, there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transverse structure that traverses the underground of a railroad, installing a temporary crosslinking amount, excavating the lower part while operating a train, and installing the structure, then removing the crosslinking amount and restoring the track. However, this has the disadvantage that continuous maintenance management is required due to subsidence after construction. 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returning the track to its original state after installing the structure while bypassing the train by laying a separate temporary track adjacent to the train operating line. This has the disadvantage of indirect opportunity cost loss due to prolonged driving. Also, a method is known in which a temporary crosslinking amount is installed and a structure is installed by excavating a lower portion while driving a train, and then the crosslinking amount is removed. This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because it is necessary to work by using trains. In addition, a bundle of closed rails is installed and reinforced in the center of the track and is constructed by applying a steel pipe propulsion method. However, if the height of the toe is low, it is difficult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track by reinforcing the closed rail bundles.
한편, 철도 노반 하부를 통과하는 도로건설 계획시 기존의 철도선로 구조물을 이용하고 철도운행을 차단하지 않으며 철도교량 시공이 가능한 방안이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when planning road construction that passes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railway roadbed, a plan is needed to use the existing railroad structure, not to block railway operation, and to construct a railway bridg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638578호로서, '철도교의 상부구조물 교체 시공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교체에 필요한 제 2상부구조물을 준비하는 단계, 제 2상부구조물을 철도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철도크레인을 준비하는 단계, 제 2상부구조물을 철도크레인에 실어서 이동시켜 제 1구조물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제 1상부구조물을 상기 교각 상에서 제거하는 단계 및 철도크레인에 실린 제 2상부구조물을 하강시켜 제 1상부구조물이 제거된 교각 상에 제 2상부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교체 시공방법은 열차의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철도교의 상부구조물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고, 높이가 높은 대형 특수 크레인이 필요치 않고, 특히, 일반 크레인의 진입이 어려운 산악지역, 교각이 높은 철도교, 기타 물이 깊은 하천에 설치된 철도교 등의 상부구조물의 교체 시공에 매우 유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As a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38578 has proposed a method of replacing and replacing a superstructure of a railway bridge. This is a step of preparing a second upper structure required for replacement, a step of preparing a railroad crane capable of moving the second upper structure along a railroad, and placing the second upper structure on a railroad crane to move it to a position on the first structure. And removing the first superstructure from the pier and lowering the second superstructure carried on the railway crane to install the second superstructure on the pier from which the first superstructure was removed. The replacement construction method can quickly replace the superstructure of the railway bridge without causing a hindrance to the operation of the train, and does not require a large special crane with a high height.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very advantageous for replacement construction of superstructures such as high-speed railway bridges and other railway bridges installed in deep-water streams.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선로 교체구간의 하부를 통과하는 도로를 신설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대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does not provide an alternative for the case of establishing a road passing through a lower portion of the track replacement section.
본 발명은 기존 철도선로와 철도운행을 유지하면서 철도선로의 하부를 지반침하나 선로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안정되게 굴착할 수 있고, 굴착 후 교량 및 교각을 시공한 후 거더와 슬래브의 설치가 가능토록 한 기존 철도선로와 철도운행을 유지하는 철도교량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excavation to be stably while minimizing the deformation of the track while minimizing the deformation of the ground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railroad track and railroad operation, and then installing the girder and the slab after excavation of the bridge and pier. The aim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railway bridge that maintains the operation of an existing railway track and railway.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기존 철도선로의 하부에 철도교량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은, (a) 철도선로의 일정 구간에서 레일을 지지하는 침목간의 사이마다에 레일 받침대를 삽입하는 단계와; (b) 철도선로의 양측으로 레일 받침대 연결빔을 배치한 후, 레일 받침대의 양단을 레일 받침대 연결빔에 결속하는 단계와; (c) 레일 받침대 연결빔에서 각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지지말뚝을 철도선로(20)의 길이방향으로 2개소 이상 배치하여 지반으로 일정깊이만큼 관입시켜 놓는 단계와; (d) 지지말뚝의 상단에 캡빔을 정착시켜 놓는 단계와; (e) 캡빔의 상면에 복수개 이상의 서포트 잭을 설치하는 단계와; (f) 철도선로의 하부에 직교방향으로 복수개 이상의 크로스 빔이 서포트 잭의 상단을 지나도록 배치한 후, 크로스 빔을 서포트 잭에 고정시켜 두는 단계와; (g) 서포트 잭을 조작하여 크로스 빔이 레일 받침대 연결빔을 지지토록 하는 단계와; (h) 상기 (c) 내지 (g) 단계를 철도선로(20)의 일정 구간에서 2개소 이상으로 작업하여 철도선로를 안정되게 지지토록 한 후, 철도선로의 하부를 목표하는 굴착 바닥까지 단계적으로 굴착하는 단계와; (i) 굴착 바닥에서 계획된 위치에 교대 및 교각 공사를 완료한 후 교량 거더를 철도선로와 교대 및 교각 사이의 공간에 거치하는 단계와; (j) 교량 거더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for constructing a railway bridge under an existing railway tra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inserting a rail support between the sleepers supporting the rail in a certain section of the railway track; (b) arranging the rail support beams on both sides of the railroad track, and then binding both ends of the rail support to the rail support beams; (c) placing two or more support piles in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또한, 상기 (h)단계에서 굴착 단계마다 지지말뚝에 각기 브레이스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each of the excavation steps in step (h), each step of installing a brace on the support pi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comprising construction.
또한, 상기 레일 받침대는 강재로 제작된 받침대 박스와, 받침대 박스에 채워저 양생되어 레일 바닥에 접하는 콘크리트 블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ail pedest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edestal box made of steel and a concrete block filled and cured in the pedestal box to contact the bottom of the rail.
상기 (b)단계에서, 레일 받침대 연결빔은 H 단면을 갖는 강재로 제작되고, 레일 받침대 연결빔에는 일정 간격마다 웨브의 일측면에 접합되어 있는 결속용 연결블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step (b), the rail support beam is made of steel having an H-section, and the rail support beam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on block for binding that is joined to one side of the web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본 발명의 기존 철도선로와 철도운행을 유지하는 철도교량 시공방법에 따르면, 기존 철도선로와 철도운행을 유지하면서 철도선로의 하부를 지반침하나 선로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안정되게 굴착할 수 있고, 굴착 후 교량 및 교각을 시공한 후 거더와 슬래브의 설치가 가능하여 철도교량을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railroad construction method of maintaining the existing railroad tracks and railroa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railroad tracks and railroad railings, it is possible to stably excavate the lower part of the railroad line while minimizing the deformation of the tracks and excavating. After construction of bridges and piers, it is possible to install girders and slabs, which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tly constructing railway bridges.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 중 레일받침대를 시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받침대의 사시도 및 A-A선 단면확대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 중 레일받침대 연결빔의 설치 전 및 후 상태도.
도 3c는 도 3a의 'B'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 중 지지말뚝의 시공상태도.
도 5는 도 4의 지지말뚝에 캡빔이 설치된 시공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 중 서포트 잭 그리고 크로스 빔설치상태도.
도 7a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선로의 3개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b는 도 7a의 상태에서 굴착 및 브레이스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는 본 발명의 시공 방법 중 철도선로의 하부에 교대 및 교각의 시공상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시공 방법 중 철도선로의 하부측 교대 및 교각에 설치된 거더의 시공상태도.
도 8c는 본 발명의 시공 방법 중 거더에 설치된 바닥판의 시공상태도.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ot limited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constructing a rail support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a perspective view of the rail support shown in FIG. 1 and an AA line cross-sectional enlarged view.
3a and 3b is a state diagram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rail support beam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c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ure 3a.
Figure 4 is a construction state of the support pile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struction state of the cap beam is installed on the support stake of Figure 4;
Figure 6 is a support jack and a cross beam installation state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 three places of the track.
Figure 7b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excavation and the brace in the state of Figure 7a.
Figure 8a is a construction state of the alternating and pier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ailway line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b is a construction state diagram of the girder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hift and bridge piers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c is a construction state of the floor plate installed on the girder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for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먼저, 도 1과 같이 철도선로(20)의 일정 구간에서 레일(21)을 지지하는 침목(22와 22)간의 사이마다에 레일 받침대(3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이 경우, 철도선로(20)에 자갈이 깔려 있는 경우 일부의 자갈이 제거되면서 레일 받침대(30)가 설치되는 단계를 갖는다.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레일 받침대(30)는 강재로 제작된 받침대 박스(301)와, 받침대 박스(301)에 콘크리트로 채워저 양생되어 레일(21) 바닥에 접하는 콘크리트 블럭(302)으로 구성된다. 받침대 박스(301)는 어느 방향으로도 삽입이 원할하도록 양단에 테이퍼 형태를 갖을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gravel is laid on the
그 다음,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철도선로(20)의 양측으로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을 배치한 후, 레일 받침대(30)의 양단을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에 결속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Next, after placing the
이 단계에서 레일 받침대 연결빔(40)은 H 단면을 갖는 강재로 제작된다. 따라서 레일 받침대 연결빔(40)은 큰 휨 강성을 갖는다. 레일 받침대 연결빔(40)은 후술할 굴착구간보다 더 길게 구성된다. 이때 레일 받침대 연결빔(40)은 보강을 위해 웨브에 도시되지 않은 보강판이 일정 간격마다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c와 같이 레일 받침대 연결빔(40)에는 일정 간격마다 웨브(403)의 일측면에 접합되어 있는 결속용 연결블록(42)이 설치되어 있다.At this stage, the rail
따라서 레일 받침대(30)의 양단은 결속용 연결블록(42)에 볼트(45) 결합을 통해 고정되어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에 결속된다. 볼트(45)는 레일 받침대(30)의 관통홀(301a)에 삽입되어 결속용 연결블록(42)의 나사홀(42a)에 나사 체결된다.Therefore, both ends of the
그 다음, 도 4와 같이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에서 각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지지말뚝(50)(50a)을 철도선로(20)의 길이방향으로 복열로 배치하고 지반으로 일정깊이만큼 관입시켜 놓는 단계를 갖는다. Next, as shown in FIG. 4, the
이때 지지말뚝(50)(50a)은 그 선단이 후 시공될 지하구조물의 바닥슬래브보다 더 아래에 위치되도록 관입될 수 있다. 또한 지지말뚝(50)(50a)의 상단 위치는 철도선로(20)가 배치된 위치보다 일정구간을 두고 하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는 지지말뚝(50)(50a)의 상단과 철도선로(20)의 사이의 높이 구간에 캡빔(60), 서포트 잭(70) 및 크로스 빔(80)을 설치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본 실시 예에서 지지말뚝(50)(50a)은 H단면을 갖는 강재 말뚝으로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말뚝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 다음, 도 5와 같이 지지말뚝(50)의 상단에 캡빔(60)을 안착 고정시켜 놓는다. 캡빔(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H 강재로 제작될 수 있다. 캡빔(60)의 고정 방법은 지지말뚝(50,50a)의 상단에 플랜지를 구비시켜 볼트 및 너트 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따라서 캡빔(60)은 철도선로(20)보다 낮을 위치에서 철도선로(2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각기 지지말뚝(50)(50a)에 연결된다.Therefore, the
그 다음, 도 6과 같이 캡빔(60)의 각기 상면에 복수개 이상의 서포트 잭(70)을 설치하는 단계를 갖는다. 서포트 잭(70)은 볼트 수단을 통해 캡빔(60)의 각기 상부 플랜지에 고정시킬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support jacks 70 are installed on the respective top surfaces of the
서포트 잭(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잭이 사용되었으나 유압잭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서포트 잭(70)은 철도선로(20)를 운행하는 철도차량에 의해 작업구간에서 발생되는 활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 선택된다.As the
그 다음, 철도선로(20)의 하부에 굴착이 이루어진 후 도 6 및 도 9와 같이 철도선로(20)의 하부에 직교방향으로 복수개 이상의 크로스 빔(80)이 서포트 잭(70)의 상단을 지나도록 배치한 후, 크로스 빔(80)을 서포트 잭(70)에 고정시켜 두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크로스 빔(80)은 H 강재로 제작된 빔이 사용된다. 이때 굴착의 깊이는 크로스 빔(80)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가 될 수 있다.Then, after the excavation is mad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2개의 크로스 빔(80)은 서로 나란하면서 캡빔(60)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위치된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two
이같이 1개소에서 철도선로(20)의 하부에 굴착이 이루어질 때 철도선로(20)로 철도 차량이 운행되더라도 철도선로(20)에 작용하는 활하중은 레일 받침대(30)를 통해 레일받침대 연결빔(40)에 작용하고, 레일받침대 연결빔(40)은 철도선로(20)가 배치된 지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excavation is mad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그 다음, 서포트 잭(70)을 조작하여 크로스 빔(80)이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을 충분히 지지토록 하는 단계를 갖는다.Then, by operating the
이같이 작업구간의 1개소에서 지지말뚝(50)(50a), 캡빔(60), 서포트 잭(70), 크로스 빔(80)의 설치가 모두 완료되면, 도 7a와 같이 철도선로(20)의 다른 개소에서 동일한 작업과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소 이상 이러한 시공 작업이 이루어진다.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그 다음, 도 7b와 같이 철도선로(20)의 하부를 목표하는 굴착 바닥까지 굴착하는 단계를 갖는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굴착을 여러 단계로 계획한 후 매 굴착 단계마다 지지말뚝(50)(50a)에 각기 브레이스(52)를 설치하여 말뚝 보강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n, as shown in Figure 7b, it has a step of excavating to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targe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이 굴착 단계에서는 각 작업 개소마다 지지말뚝(50)(50a)이 철도선로(20)를 안정되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선로 붕괴의 염려가 없다.In this excavation step, the support piles 50 and 50a are stably supporting the
이와 같이 하여 철도선로(20)의 일정 구간에 굴착이 완료되면, 도 8a와 같이 굴착 바닥에서 계획된 위치에 교대(110) 및 교각(120) 공사가 이루어진다.When the excavation is completed in a certain section of the
그 다음, 도 8b와 같이 교량 거더(200)를 철도선로(20)와 교대(110) 및 교각(120) 사이의 공간에 거치하는 단계를 갖는다. 교량 거더(200)는 강재 거더, 스틸박스형 거더, 합성거더 등이 될 수 있으며 특정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as shown in FIG. 8B, the
그 다음, 도 8c와 같이 교량 거더(20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210)을 시공하는 단계를 갖는다. 이후 바닥판(210)에는 추가적으로 방호벽, 방음벽 등의 시설물이 시공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ure 8c, the concrete has been placed on top of the
이와 같이 본 공법에 따르면, 가시설물을 통해 기존 철도선로(20)를 확고하게 지지시켜 놓아 지반침하나 선로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철도 운행을 유지하면서 교각 및 교량 그리고 바닥판을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construction method, the existing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ed inven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will b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such modified and modified inventions, but is limited by the appended claims.
30: 레일 받침대
40: 레일 받침대 연결빔
50,50a: 제1열 지지말뚝
60: 캡빔
70: 서포트 잭
80: 크로스 빔
110: 교대
120: 교각
200: 교량 거더
210: 바닥판30: rail support
40: rail support connecting beam
50,50a: 1st row supporting pile
60: cap beam
70: support jack
80: cross beam
110: shift
120: Pier
200: bridge girder
210: bottom plate
Claims (4)
(a) 철도선로(20)의 일정 구간에서 레일(21)을 지지하는 침목(22와 22)간의 사이마다에 강재로 제작된 받침대 박스(301)와, 받침대 박스(301)에 채워저 양생되어 레일(21) 바닥에 접하는 콘크리트 블럭(302)으로 구성된 레일 받침대(30)를 삽입하는 단계와;
(b) 철도선로(20)의 양측으로 H 단면을 갖는 강재로 제작되어 일정 간격마다 웨브(403)의 일측면에 접합되어 있는 결속용 연결블록(42)이 설치되어 있는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을 배치한 후, 레일 받침대(30)의 양단을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에 결속하는 단계와;
(c)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에서 각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지지말뚝(50)(50a)을 철도선로(20)의 길이방향으로 2개소 이상 배치하여 지반으로 일정깊이만큼 관입시켜 놓는 단계와;
(d) 지지말뚝(50)(50a)의 상단에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과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철도선로(20)의 상부 하중을 지지말뚝(50)(50a)에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한 캡빔(60)을 정착시켜 놓는 단계와;
(e) 캡빔(60)의 상면에 크로스 빔(80)의 설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복수개 이상의 서포트 잭(70)을 설치하는 단계와;
(f) 철도선로(20)의 하부에 직교방향으로 복수개 이상의 크로스 빔(80)이 서포트 잭(70)의 상단을 지나도록 배치한 후, 크로스 빔(80)을 서포트 잭(70)에 고정시켜 두는 단계와;
(g) 서포트 잭(70)을 조작하여 크로스 빔(80)이 레일 받침대 연결빔(40,40)을 지지토록 하는 단계와;
(h) 상기 (c) 내지 (g) 단계를 철도선로(20)의 일정 구간에서 2개소 이상으로 작업하여 철도선로(20)를 안정되게 지지토록 한 후, 철도선로(20)의 하부를 목표하는 굴착 바닥까지 단계적으로 굴착하되, 굴착 단계마다 지지말뚝(50)(50a)에 각기 브레이스(52)를 설치하는 단계와;
(i) 굴착 바닥에서 계획된 위치에 교대(110) 및 교각(120) 공사를 완료한 후 교량 거더(200)를 철도선로(20)와 교대(110) 및 교각(120) 사이의 공간에 거치하는 단계와;
(j) 교량 거더(20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210)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철도선로와 철도운행을 유지하는 철도교량 시공방법.In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railway bridge under the existing railroad track 20,
(a) between the sleepers (22 and 22) supporting the rails (21) in a certain section of the railroad track (20), the pedestal box (301) made of steel and the pedestal box (301) filled and cured Inserting a rail support (30) composed of a concrete block (302) abutting on the rail (21);
(b) Rail beam connecting beams 40, which are made of steel having H cross-sections on both sides of the railroad track 20 and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eb 403 at fixed intervals, are provided with a connecting block 42 for binding. After arranging, 40), binding both ends of the rail support 30 to the rail support connection beams 40 and 40;
(c) By placing two or more support piles 50 and 50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road track 20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ail support connecting beams 40 and 40, intruding a certain depth into the ground. Step and;
(d) is arranged to be parallel to the rail support beams 40 and 40 on the top of the support piles 50 and 50a to evenly distribute the upper load of the railroad tracks 20 to the support piles 50 and 50a. Fixing the cap beam 60;
(e) installing a plurality of support jacks 70 to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cross beam 8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beam 60;
(f) After arranging a plurality of cross beams 80 orthogonally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ailway line 20 to pass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jack 70, fix the cross beam 80 to the support jack 70. Placing;
(g) operating the support jack 70 so that the cross beam 80 supports the rail support beams 40 and 40;
(h) After the steps (c) to (g) are performed at two or more places in a certain section of the railroad track 20 to stably support the railroad track 20, the lower part of the railroad track 20 is targeted. Excavating step by step to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each step of installing the braces 52 on the support pile (50) (50a);
(i) After completing the shift 110 and pier 120 construction at a planned location on the excavated floor, the bridge girder 200 is mounted in the space between the railway track 20 and the shift 110 and pier 120. Step and;
(j) pouring concrete on the top of the bridge girder (200) to construct the floor plate (210); a railway bridge construction method to maintain existing railway tracks and railway operation, including constru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3291A KR102105230B1 (en) | 2017-09-25 | 2017-09-25 | Railroad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keeping preexistence railroad track and rail ser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3291A KR102105230B1 (en) | 2017-09-25 | 2017-09-25 | Railroad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keeping preexistence railroad track and rail ser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4815A KR20190034815A (en) | 2019-04-03 |
KR102105230B1 true KR102105230B1 (en) | 2020-04-27 |
Family
ID=6616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3291A Active KR102105230B1 (en) | 2017-09-25 | 2017-09-25 | Railroad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keeping preexistence railroad track and rail ser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523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33505B (en) * | 2019-08-21 | 2021-02-05 | 西南交通大学 | Train operation safety evaluation method and device |
CN111910534A (en) * | 2020-03-30 | 2020-11-10 | 中铁二局第一工程有限公司 | D-shaped temporary beam line reinforcing method and structure under complex geological condition |
CN113026538B (en) * | 2021-04-16 | 2025-06-13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A bridge track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ier frame beam transverse displacement and top pushing |
CN113389218A (en) * | 2021-05-10 | 2021-09-14 | 中铁武汉勘察设计院有限公司 |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entrance and exit of roa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4541479B (en) * | 2021-12-31 | 2024-06-11 | 四川省铁路建设有限公司 | Small curve radius existing rail transit non-stop in-situ reinforc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CN114922105A (en) * | 2022-03-22 | 2022-08-19 | 中铁十二局集团第七工程有限公司 | Construction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high-speed railway bridge type platform |
CN116397478A (en) * | 2023-03-31 | 2023-07-07 | 中铁武汉勘察设计院有限公司 | A method and structure for joint construction of embankments passing through existing railway subgrades under limited condition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46989A (en) * | 2010-05-27 | 2011-12-08 | Dai Nippon Construction | Railroad construction girder and erection method thereof |
KR101258807B1 (en) * | 2012-11-30 | 2013-04-26 | 한상국 | Tunnel installation method and tunnel installation structure of crossing railroad |
CN204825533U (en) * | 2015-06-19 | 2015-12-02 | 中铁六局集团天津铁路建设有限公司 | Adopt existing circuit reinforcerment system of D type roof beam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206501A (en) * | 1983-05-10 | 1984-11-22 | 東急建設株式会社 | Route banking changing construction method |
KR100638578B1 (en) | 2004-09-24 | 2006-10-26 | (주)알티에스 | Construction method for replacing superstructure of railway bridge |
-
2017
- 2017-09-25 KR KR1020170123291A patent/KR10210523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46989A (en) * | 2010-05-27 | 2011-12-08 | Dai Nippon Construction | Railroad construction girder and erection method thereof |
KR101258807B1 (en) * | 2012-11-30 | 2013-04-26 | 한상국 | Tunnel installation method and tunnel installation structure of crossing railroad |
CN204825533U (en) * | 2015-06-19 | 2015-12-02 | 中铁六局集团天津铁路建设有限公司 | Adopt existing circuit reinforcerment system of D type roof bea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4815A (en) | 2019-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05230B1 (en) | Railroad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keeping preexistence railroad track and rail service | |
JP4540632B2 (en) | Erection girder | |
US4301565A (en) | Method and system for the removal and replacement of a bridge | |
JP6180376B2 (en) | Main girder provision method in composite girder floor slab replacement method, composite girder floor slab replacement method, and main girder provision structure in composite girder floor slab replacement method | |
CN107675633A (en) | The method that the existing whole hole of bridge is changed | |
KR101187282B1 (en) | Railway bridge constructing method using 2 post type abutment structure | |
KR20050108867A (en) | A method for changing plate-girder bridge of railway bridge into slab bridge by using temporary construction bents. | |
JP2005016106A (en) | Method for preventing settlement of viaduct | |
CA2637208A1 (en) | Method for producing a ballastless track | |
US6795992B2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 |
KR101262755B1 (en) | Plate girder railway bridge having integrated cross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4136959B2 (en) | "How to build underground structures and installation girder" | |
US20050252985A1 (en) | Rail sleeper and ballast-free track structure | |
KR102105229B1 (en) | Temporary facility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fo railroad track lower pass | |
JP4477467B2 (en) | Bridge structure and its replacement method | |
US8459570B2 (en) | Supporting arrangement | |
CN114395945B (en) | Gantry crane track foundation | |
KR100638578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replacing superstructure of railway bridge | |
JP2000008304A (en) | Pedestal for rail road work beam and execution method of pedestal for rail road work beam | |
JP5666329B2 (en) | Railway viaduct replacement method | |
EP2282007B1 (en) | Supporting arrangement | |
JP7506236B1 (en) | Single track direct elevation construction method and railway section elevation construction method | |
KR101266094B1 (en) | Repairing and Reinfocing Method of Structure Approaches | |
JP3665909B2 (en) | Bridge reconstruction method | |
JPH06264401A (en) | Simple rail guard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