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05168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168B1
KR102105168B1 KR1020130054953A KR20130054953A KR102105168B1 KR 102105168 B1 KR102105168 B1 KR 102105168B1 KR 1020130054953 A KR1020130054953 A KR 1020130054953A KR 20130054953 A KR20130054953 A KR 20130054953A KR 102105168 B1 KR102105168 B1 KR 102105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device
display
source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915A (ko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4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168B1/ko
Priority to US14/275,976 priority patent/US10997942B2/en
Priority to EP14168343.3A priority patent/EP2804097A1/en
Publication of KR20140134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1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20Details of the management of multiple sources of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무선통신 수단으로 수신하여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무선통신 수단으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연결 구성을 위한 동작의 실행 및 자동으로 영상입력소스가 전환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스장치에 표시되는 소스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디스플레이 (Wireless Display) 기술 개발에 따라서, PC, 스마트 기기, 기타 영상 소스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무선으로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장치 간 동영상 콘텐츠의 공유를 위하여 양 장치는 서로를 인식하고 연결을 구성한 후 디스플레이장치는 동영상 콘텐츠를 소스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소스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는 연결 구성에 앞서, 상호 장치 발견을 위한 디스커버리 모드에 진입해야 한다. 종래에는 양 장치가 디스커버리 모드에 진입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소스 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에 대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특정 키를 입력하여 트리거(trigger)를 발생시켜야 한다. 즉, 사용자가 소스 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에 대하여, 연결을 위한 탐색모드로 진입하도록 명령하는 입력을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후, 양 장치가 장치 탐색 및/또는 서비스 탐색을 거쳐 무선 디스플레이를 위한 연결을 형성하면, 소스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소스 영상을 송신하고,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신한 소스영상을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여기서, 수신한 소스영상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 소스는 무선디스플레이를 위한 입력소스로 전환되어 있어야 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입력 소스가 TV 방송 채널인 경우, 소스장치로부터 소스영상을 수신하더라도 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입력소스를 무선 디스플레이를 처리 및 표시하기 위한 입력소스로 전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무선디스플레이모드의 활성화와 같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소스장치와의 연결 구성을 위한 장치 탐색과 아울러 무선디스플레이를 위한 입력 소스 전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도, 소스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 구성 및 소스영상의 무선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소스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연결 구성을 위한 명령을 입력해야 하고,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연결구성 및/또는 입력소스 전환을 위한 명령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스장치의 소스 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장치 간 무선 연결 구성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 소스 전환에 있어서, 소스 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양쪽의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여, 사용자가 소스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연결 구성을 위한 동작의 실행 및 입력소스가 전환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무선통신 수단으로 수신하여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무선통신 수단으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입력소스가 상기 무선통신 수단으로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장치와 와이파이 P2P(Wi-Fi Peer to Peer) 규격으로 통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통신수단이 주기적으로 디스커버리 단계에 진입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는, 영상입력소스의 자동전환 수행을 나타내는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는 서비스탐색요청프레임에 포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스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소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소스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통신부로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입력소스가 상기 통신부로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소스장치와 와이파이 P2P(Wi-Fi Peer to Peer) 규격으로 통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통신부가 주기적으로 디스커버리 단계에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영상입력소스의 자동전환 수행을 나타내는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는 서비스탐색요청프레임에 포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와, 디스플레이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소스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무선연결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무선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 설정을 수립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소스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스장치와;
상기 소스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소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소스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 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통신부로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스장치의 소스 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장치 간 무선 연결 구성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 소스 전환에 있어서, 소스 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양쪽의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여, 사용자가 소스장치의 입력부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연결 구성을 위한 동작의 실행 및 입력소스가 전환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디스플레이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디스플레이시스템(1)의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상호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도록 마련된 소스장치(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를 포함한다.
소스장치(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AP(Access Point)를 이용하지 않고, 서로 직접 피어 투 피어 (Peer-to-Peer) 연결을 설정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소스장치(100) 및 디스플레이장치(200)가 동일한 Wi-Fi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를 통해 상호 간에 직접 링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소스장치(100)는 예컨대, PC, 노트북, 스마트폰, 카메라, 태블릿 등과 같은 동영상 콘텐츠의 생성, 코드 변환 또는 저장이 가능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예컨대, TV, 프로젝터 등과 같은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소스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미도시)와, 소스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사용자입력부(미도시)와, 소스장치(100)의 제반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통신부(미도시)는 무선 인터넷 모듈로서, 와이파이모듈(미도시)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장치(200)와 Wi-Fi Direct 즉, Wi-Fi Peer-to-Peer(P2P) 규격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소스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 및/또는 영상을 표시하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미도시)는 사용자가 소스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며,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무선연결요청신호가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송신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사용자명령은, 소스장치(100)로부터 소스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실시간 표시 가능한 무선디스플레이모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탐색을 위하여 입력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사용하여 능동탐색을 실시한다. 여기서, 빠른 탐색을 위하여 탐색의 범위를 한정하여 채널 1, 6, 11의 소셜 채널을 사용하여 탐색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탐색 과정에서, 프로브 요청 프레임으로서, 서비스 탐색을 위한 서비스탐색 요청프레임을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탐색은, 소스장치(100)로부터 소스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실시간 표시하는 기능의 지원여부에 대한 서비스 탐색을 포함한다.
제어부(미도시)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프로브 응답 프레임으로서, 서비스탐색 응답프레임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장치(200)와 연결 설정을 수립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제어부(미도시)는 응답한 디스플레이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상기 응답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UI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UI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 설정을 수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장치(200)와 연결이 구성되면, 소스장치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되도록 재생되는 소스 영상을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 저장부(미도시), 영상처리부(미도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미도시), 디스플레이부(210), 통신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200)를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어부(230)로 전달하며, 제어부(23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A/V 입출력부(미도시)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제어부(23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미도시)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 또는 통신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미도시)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 또는 통신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저장부(미도시)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미도시)는, 수신 받은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미도시)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21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210)에 해당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미도시)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소정 신호를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미도시)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미도시), 메모리(미도시), 전자부품(미도시), 배선(미도시)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실장된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된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23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23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23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미도시)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3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23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영상처리부(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1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무선 인터넷 모듈로서, 와이파이모듈(미도시)을 포함하며, 도1에 도시된 소스장치(100)와 Wi-Fi Direct 즉, Wi-Fi Peer-to-Peer(P2P) 규격으로 통신한다.
또한, 통신부(220)는, 바람직하게는, Wi-Fi CERTIFIED n, Wi-Fi Direct, Wi-Fi Protected Access 2 (WPA2), Wi-Fi Multimedia (WMM) 및 Wi-Fi Protected Setup을 지원한다.
제어부(230)는 도1에 도시된 소스장치(100)와 Wi-Fi P2P 연결 구성을 위하여,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가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는 장치 및/또는 서비스 탐색을 위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으로서, 서비스 탐색을 위한 서비스탐색 요청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소스장치가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사용하여 능동탐색을 실시하면, 이에 응답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장치 및/또는 서비스 탐색을 위한 디스커버리 단계에 진입하도록 통신부(220)를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소스장치의 능동탐색에 대해 응답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통신부(220)가 주기적으로 수신상태(Listen state)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수신상태에서, 소스장치로부터 프로브 요청 프레임과 같은 무선연결요청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통신부(220)가 주기적으로 수신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제어부(230)는, 통신부(220)를 통해 소스장치(100)로부터 무선연결요청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수신한 경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소스장치(100)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30)는,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소스장치(100)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도록 통신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설정을 진행하는 과정은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에 의한 소스장치(100)와의 자동인증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소스장치(100)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영상입력소스를 통신부(220)로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현재 영상입력소스가 DVD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통신부(220)를 통해 소스장치(100)로부터 소스영상을 수신하더라도 상기 소스영상을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할 수 없으므로,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영상입력소스가 통신부(220)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입력소스가 상기 통신부(220)로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30)는,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영상입력소스의 자동전환 수행을 나타내는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WPS(Wi-Fi Protected Setup) IE(Information Element)를 이용하여 생성된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에 포함될 수 있다.
WPS IE는 WFD 장치의 서비스 탐색을 위해 각각 송수신되는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을 패킷화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은 서비스 탐색 요청을 위한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WPS IE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어부(230)는, 수신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에, 특정 서비스로서, 무선 디스플레이기능, 즉,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에 대한 서비스 탐색을 요청하는 필드가 포함된 경우, 영상입력소스의 자동전환 수행을 나타내는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보는, 예컨대, 802.11u의 GAS(Generic Advertising Service) 초기 요청 프레임(GAS Initial Request Frame)의 벤더확장필드를 이용하여 생성된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에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제어부(230)는, 상기 벤더확장필드에 특정서비스로서 무선디스플레이기능에 대한 서비스 탐색을 요청하는 필드가 포함된 경우, 영상입력소스의 자동전환 수행을 나타내는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소스장치(100)와 연결이 구성된 후, 통신부(220)를 통해 소스장치(100)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수신하면, 수신한 소스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반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포함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별도로 통신부(220)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마이콤과 같은 형태로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수신연결장치(미도시)는, 통신부(미도시)와, 연결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통신부(미도시)는, 소스장치(100)와 와이파이 P2P (Wi-Fi Peer to Peer) 규격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연결부(미도시)는, 제어명령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소스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소스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로 출력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소스장치(100)가 전송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소스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에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가 입력소스를 연결부(미도시)로 전환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연결부(미도시)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연결부(미도시)는,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명령은 CEC (Consumer Electronics Control) 기능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디스플레이 기능을 탑재하지 않은 레거시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무선수신연결장치(미도시)를 연결하면, 무선수신연결장치가 소스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소스영상을 수신하고, 입력소스가 전환된 레거시 디스플레이장치로 소스영상을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무선통신 수단으로 수신하여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무선통신수단은 일례로서, 도2의 통신부(2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00에서,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상기 소스장치가 전송하는 무선연결요청신호는 장치 및/또는 서비스 탐색을 위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으로서, 서비스 탐색을 위한 서비스탐색 요청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소스장치로부터 프로브 요청 프레임과 같은 무선연결요청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무선통신수단이 주기적으로 디스커버리단계에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단계 S110에서, 무선연결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230)는, 수신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무선통신 수단으로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230)는,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도록 통신부(200)를 제어하며, 상기 연결 설정을 진행하는 과정은 WPS(Wi-Fi Protected Setup) 기능에 의한 상기 소스장치와의 자동인증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상기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영상입력소스가 상기 무선통신 수단으로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30)는, 수신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영상입력소스의 자동전환 수행을 나타내는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WPS(Wi-Fi Protected Setup) IE(Information Element)를 이용하여 생성된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Service Discovery Request Frame)에 포함될 수 있다.
WPS IE는 WFD 장치의 서비스 탐색을 위해 각각 송수신되는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을 패킷화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은 서비스 탐색 요청을 위한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WPS IE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어부(230)는, 수신한 무선연결요청신호에 포함된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에, 특정 서비스로서, 무선 디스플레이기능, 즉,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에 대한 서비스 탐색을 요청하는 필드가 포함된 경우, 영상입력소스의 자동전환 수행을 나타내는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보는, 예컨대, 802.11u의 GAS(Generic Advertising Service) 초기 요청 프레임(GAS Initial Request Frame)의 벤더확장필드를 이용하여 생성된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에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제어부(230)는, 상기 벤더확장필드에 특정서비스로서 무선디스플레이기능에 대한 서비스 탐색을 요청하는 필드가 포함된 경우, 영상입력소스의 자동전환 수행을 나타내는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을 위한 설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소스장치와 연결이 구성된 후, 단계S120에서, 제어부(230)는 상기 소스장치에서 재생되는 소스영상을 수신하고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무선디스플레이시스템
100: 소스장치
200: 디스플레이장치
210: 디스플레이부
220: 통신부
230: 제어부

Claims (15)

  1. 제1외부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게 마련된 입력부와, 제2외부장치와 무선 통신하게 마련된 통신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입력부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외부장치로부터 무선연결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연결요청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현재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제2외부장치로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연결요청신호가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현재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통신부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영상입력소스로 설정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2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현재 영상입력소스를 변경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외부장치와 와이파이 P2P(Wi-Fi Peer to Peer) 규격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주기적으로 디스커버리 단계에 진입하여 상기 무선연결요청신호의 수신을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서비스탐색요청프레임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8.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제1외부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게 마련된 입력부와,
    제2외부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마련된 통신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입력부로 설정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외부장치로부터 무선연결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연결요청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현재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제2외부장치로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무선연결요청신호가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현재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통신부로 변경하고,
    상기 현재 영상입력소스로 설정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2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연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현재 영상입력소스를 사용자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2외부장치와 와이파이 P2P(Wi-Fi Peer to Peer) 규격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연결요청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통신부가 주기적으로 디스커버리 단계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서비스탐색요청프레임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
    제1외부장치와,
    제2외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1외부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게 마련된 입력부와,
    상기 제2외부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마련된 통신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입력부로 설정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외부장치로부터 무선연결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연결요청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현재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제2외부장치로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무선연결요청신호가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기 현재 영상입력소스를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통신부로 변경하고,
    상기 현재 영상입력소스로 설정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2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KR1020130054953A 2013-05-15 2013-05-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ctive KR102105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953A KR102105168B1 (ko) 2013-05-15 2013-05-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4/275,976 US10997942B2 (en) 2013-05-15 2014-05-13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14168343.3A EP2804097A1 (en) 2013-05-15 2014-05-14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953A KR102105168B1 (ko) 2013-05-15 2013-05-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024A Division KR102190888B1 (ko) 2020-04-07 2020-04-07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915A KR20140134915A (ko) 2014-11-25
KR102105168B1 true KR102105168B1 (ko) 2020-04-24

Family

ID=5073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953A Active KR102105168B1 (ko) 2013-05-15 2013-05-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97942B2 (ko)
EP (1) EP2804097A1 (ko)
KR (1) KR1021051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981B1 (ko) 2014-10-07 2015-12-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런-아웃을 갖는 회전체에 대한 회전체 검출 센서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298281B2 (en) * 2015-05-07 2019-05-21 Nxp B. V.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wireless devices using orientation data
CN110692090B (zh) * 2017-06-01 2023-03-14 开利公司 BluetoothTM低功耗数据传输通信系统和方法
US10813041B2 (en) * 2018-11-09 2020-10-20 Sony Corporation Propagating discovery assistance request and response
CN111049979B (zh) 2019-12-02 2021-04-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分享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314768A (zh) * 2020-02-24 2020-06-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投屏方法、投屏装置、电子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7380A (ja) 2006-09-21 2008-04-03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
JP2010008937A (ja) * 2008-06-30 2010-01-14 Canon Inc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0177736A (ja) 2009-01-27 2010-08-12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7416A1 (en) * 2001-01-19 2002-07-25 Chang William Ho Output controller processor for universal data output
JP2004221908A (ja) 2003-01-14 2004-08-05 Sanyo Electric Co Ltd 表示制御方法とこの方法を利用可能な撮影画像出力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液晶プロジェクタ、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4356997B2 (ja) * 2005-03-15 2009-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KR101079571B1 (ko) 2006-01-19 2011-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시스템
JP5490415B2 (ja) * 2006-02-06 2014-05-1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Usb対応オーディオ・ビデオスイッチ
EP2011831B1 (en) * 2007-07-03 2013-10-23 Shin-Etsu Chemical Co., Ltd. Coating composition and a coating therefrom having waterdrop sliding property
WO2009022334A2 (en) * 2007-08-15 2009-02-19 Amimon Ltd. Device, method and system of wireless communication
KR20090094997A (ko) 2008-03-04 2009-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드 전환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00937B1 (ko) 2009-12-22 2017-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WiFi Direct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탐색 방법 및 장치
EP2391095A1 (en) * 2010-05-31 2011-11-30 Fluke Corporation Automatic addressing scheme for 2 wire serial bus interface
KR20120008114A (ko) 2010-07-16 2012-01-30 (주)휴맥스 타 영상 소스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43537B1 (ko) 2010-11-18 2018-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의 무선연결 설정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WO2012087078A2 (ko) 2010-12-24 2012-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에서의 컨텐트 보호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5101728B1 (ja) * 2011-05-12 2012-12-19 シャープ株式会社 出力システムおよび表示システム
US8396424B2 (en) * 2011-05-26 2013-03-1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ole management of short-range wireless connections
US20130027289A1 (en) * 2011-07-27 2013-01-31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US10121318B2 (en) * 2011-09-09 2018-11-06 Igt Bill acceptors and printers for providing virtual ticket-in and ticket-out on a gaming machine
US8817189B2 (en) 2011-09-29 2014-08-26 Lsi Corporation Digital television with improved input selection functionality
KR20130088712A (ko) * 2012-01-31 2013-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시스템의 데이터 처리방법
KR20130134193A (ko) * 2012-05-30 2013-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컨커런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9195383B2 (en) * 2012-06-29 2015-11-24 Spotify Ab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ath control signals for media presentation devices
CN104603763B (zh) * 2012-08-23 2018-06-05 三星电子株式会社 信息传输方法和系统、装置及其计算机可读记录介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7380A (ja) 2006-09-21 2008-04-03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
JP2010008937A (ja) * 2008-06-30 2010-01-14 Canon Inc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0177736A (ja) 2009-01-27 2010-08-12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4097A1 (en) 2014-11-19
KR20140134915A (ko) 2014-11-25
US10997942B2 (en) 2021-05-04
US20140340284A1 (en)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88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0516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00159486A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for apparatus includ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JP5335309B2 (ja) 通信装置
US9083996B2 (en) Remote monitoring method for smart TV, and smart TV system
US20160050449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15380B2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60078024A (ko)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KR20130001751A (ko) 무선통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03837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1500517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5033433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3628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5002473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4149610A (ja) 情報処理装置、遠隔操作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67108A (ko)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를 ui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6150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50112966A1 (en) Wireless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4146920A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11525A (ja) 操作学習装置及び操作学習方法
JP2013247539A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2269520B1 (ko) 무선 av 시스템에서 세컨드 장치를 이용한 연속 시청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5004699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500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5000380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5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7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40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