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141B1 - Reinforcing bar coupler with tapered clamp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Reinforcing bar coupler with tapered clamping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5141B1 KR102105141B1 KR1020190141821A KR20190141821A KR102105141B1 KR 102105141 B1 KR102105141 B1 KR 102105141B1 KR 1020190141821 A KR1020190141821 A KR 1020190141821A KR 20190141821 A KR20190141821 A KR 20190141821A KR 102105141 B1 KR102105141 B1 KR 1021051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bar
- circumferential surface
- screw
- coupler
- body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8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16 joi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분할 형성된 몸체부의 상부단과 하부단을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경사면에 나사를 형성하여 체결너트를 통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직선형으로 형성된 나사 체결방식에 비해 체결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어 철근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여 철근을 이음 또는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coupler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it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by forming upper and lower ends of a divided body part to be inclined, and forming screws on an inclined surface to be fastened through a fastening nu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coupler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that enables the joints to be joined or connected by stably supporting a reinforcing bar because the fastening force can be further increased compared to a screw fastening method.
철근은 건축이나 토목 분야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뼈대로써 사용하고 있다. 철근은 일정한 길이의 규격품으로 생성되므로, 구조물의 길이에 따라 철근을 상호이음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맞대기 이음과 겹침이음을 사용하며, 맞대기 이음은 NC 커플러와 용접이음이 주로 사용되고, 겹침이음은 철사로 묶어서 이음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다.Reinforcing bars are used as internal skeletons of concrete structures in construction or civil engineering. Since the reinforcing bar is produced as a standard product of a certain length, the reinforcing bars are us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structure. Butt joints and overlap joints are used. Butt joints are mainly used with NC couplers and welding joints. The joint method has been used.
맞대기 이음방법 중 용접이음은 공사현장에서 철근을 한가닥씩 용접함에 구조적 어려움과 생산성 저하, 용접부위 부러짐 등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NC 커플러 방식은 커플러의 개당 단가가 5000~10,000원으로 철근단가 1톤기준으로 배이상의 시공 원가가 투입되며, 시공후 콘크리트 액체가 커플러 내에서 철근의 이음부와 이음부 사이에 유입되어 굳어져 시공후 철근의 이음 효과가 불확실한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Among the butt joint methods, welding joints have problems such as structural difficulties, productivity deterioration, and broken welding parts in welding of rebars at a construction site, and the NC coupler method has a unit price of 5,000 to 10,000 won per coupler. As a guideline, construction cost more than doubled is input, and after construction, the concrete liquid flows between the joint and the joint of the reinforcing bar in the coupler and solidifies,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joint effect of the rebar after construction may be uncertain.
그리고 겹침이음은 철근과 철근을 묶는 방식인데, 지진으로 인해 건물이 넘어질 때 대만지진 사례의 예를 보면 묶은 철근들이 빠져버리므로 내진효과가 전혀없는 예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볼트·너트 방식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효과가 확실하지만 시공 전에 머리부 형성(Heading)을 해야하는 번거로움뿐만 아니라 현장 시공시 개별조임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에 의해 시공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Also, the overlap joint is a method of tying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reinforcing bars. If you look at the example of the earthquake in Taiwan when the building fell due to the earthquake, you could see an example of no seismic effect because the reinforcing bars are missing. In addition, the bolt and nut method can be installed at a low cost, and the construction effect is certain, but the construction efficiency is low due to the hassle of heading before construction as well as the hassle of individual tightening during construction. have.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들이 개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reinforcing bar couplers having various 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as a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reinforcing bar couplers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특허문헌 1의 철근 커플러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캡테이퍼면(11)이 형성된 한쌍의 커플러캡(10)과, 상기 커플러캡(10)의 내부에 조임테이퍼면(21) 및 철근(1)의 마디돌기(1a)를 구속할 수 있는 돌기걸림홈(23)이 형성된 분할된 조임편(20)과, 상기 조임편(20)을 상호 조여주는 조임링(30)과, 상기 조임링(30)을 탄성가압하는 조임편가압수단(40)과, 상기 커플러캡(20)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는 캡연결수단(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inforcing bar coupler of Patent Document 1, as shown in Figure 1, a pair of coupler caps (10) with a capped taper surface (11), and a tightening taper surface (21) and reinforcing bar (1) inside the coupler cap (10) The divided
상기의 종래기술은 구성이 복잡하여 작업 현장에서 작업시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such as a long work time, is reduced when working at a work site.
또한, 특허문헌 2의 철근 이음 장치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브(11, 21)와 마디(12, 22)가 형성된 제1이형철근(10) 및 제2이형철근(20)을 연결하기 위한 철근 이음장치로서, 상기 제1이형철근(10)과 제2이형철근(20)에 각각 종 방향을 따라 대칭으로 돌출된 두 줄의 리브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를 각각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타단에서 일단으로 갈수록 외주면 둘레가 점점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노브(100); 상기 제1이형철근(10)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노브 (100)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 길이방향 중앙에서 타단으로 둘레가 커지는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면(210)이 형성된 제1슬리브(200); 상기 제2이형철근(20)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노브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타단방향으로 둘레가 점점 커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면(310)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면(310)에서 타단까지 상기 제1슬리브(200)의 타단 둘레에 대응되는 둘레로 연장 형성되되, 그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슬리브(300); 및 내주면 일단에는 상기 제1슬리브(200)의 단차면(210)에 걸린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걸림턱(410)이 형성되고, 내주면 타단에 는 상기 제2슬리브(300)에 형성된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커플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bar joint device of Patent Document 2, as shown in Figure 2, the ribs (11, 21) and the bar (12, 22) is formed with the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제1이형철근 및 제2이형철근의 끝단은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의 내측 끝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커플러에 의해 제2슬리브가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제1이형철근 및 제2이형철근이 많이 돌출될 경우 커플러에 제2슬리브는 나사결합되지 않아 노브,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를 다시 결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 ends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protrude from the inner ends of the first sleeve and the second sleeve, so that the second sleeve is screwed by the coupler. When the two-shaped reinforcing bar protrudes a lot, the second sleeve is not screwed to the coupler,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knob, the first sleeve, and the second sleeve must be re-engaged.
그리고, 제1이형철근과 제2이형철근의 이음부는 커플러의 내부공간 상에서 이음되는 것으로 커플러의 내부공간은 빈 공간으로 커플러가 파손되면 철근의 이음부분은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joints of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on the inner space of the coupler, and the inner space of the coupler is an empty space, and when the coupler is damaged, the joint of the rebar is easily separ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분할 형성된 몸체부의 상부단과 하부단을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경사면에 나사를 형성하여 체결너트를 통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직선형으로 형성된 나사 체결방식에 비해 체결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어 철근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여 철근을 이음 또는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by forming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divided body portion to be inclined, and forming screws on the inclined surface to be fastened through a fastening nut to form a screw fastening method formed in a straight lin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reinforcing bar coupler having a new type of tapered fastening structure that allows the reinforcing bar to be more stably fixed and supports the reinforcing bar to connect or connect the reinforcing bar.
특히, 몸체부의 중공에 형성된 돌기홈과 돌기홈 사이에 복수개의 박힘나사를 형성함으로써 체결너트가 몸체부에 체결시 복수개의 나사가 철근의 표면을 압착하기 때문에 철근과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켜 철근을 안정적으로 이음 또는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로 한다.In particular, by forming a plurality of fastening screws between the protrusion grooves formed in the hollow of the body portion and the fastening nut, the plurality of screws compress the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when the fastening nut is fastened to the body portion,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with the reinforcing bar to increase the reinforcing bar. Another object to be solved is to provide a reinforced coupler having a new type of tapered fastening structure that enables stable jointing or connection.
또한, 몸체부의 상부와 하부를 통해 체결너트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어 종래의 제품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fastening nut is fasten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ody, the construction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so it is cheaper than the conventional product, and thus has a new type of tapered fastening structure that can secure price competitiveness. Providing a rebar coupler is another task to be solv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외주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마디돌기(102)가 형성된 철근(100)을 상호 연결하는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에 있어서, 분할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철근(100)이 위치되도록 중공(21)을 가지며, 외주면이 상하측에서 중심측으로 외향 경사져 나사(22)가 형성된 제1몸체(20a) 및 제2몸체(20b)로 이루어지는 몸체부(20)와; 내주면이 상기 몸체부(2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나사(31)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0)와 체결되는 체결너트(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reinforcing bar coupler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that interconnects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에서 몸체부(20)는 외주면이 상측에서 중심측으로 외향 경사져 나사(22)가 형성되는 상부단(23)과; 외주면이 하측에서 중심측으로 외향 경사져 나사(22)가 형성되는 하부단(24)과; 상기 상부단(23)과 하부단(24) 사이에 형성되는 중심단(2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einforcing bar coupler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에서 상기 몸체부(20)의 상부단(23)에 형성되는 나사(22)는 오른나사로써 시계방향으로 체결너트(30)가 체결되고, 하부단(24)에 형성되는 나사(22)는 왼나사로써 시계반대방향으로 체결너트(30)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에서 상기 몸체부(20) 중공(21)의 내주면에는 상기 철근(100)의 마디돌기(102)에 걸리도록 복수개의 돌기홈(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reinforcing bar coupler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에서 상기 몸체부(20)의 중공(2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돌기홈(26)과 돌기홈(26) 사이에는 복수개의 박힘나사(27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ebar coupler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에서 상기 몸체부(20)의 중심단(25)은 외측에서 상기 중공(21)으로 관통하는 관통홀(2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reinforcing bar coupler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에서 상기 관통홀(28)의 내주면에는 상기 철근(100)의 마디돌기(102)에 걸리도록 복수개의 돌기홈(2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에 의하면, 분할 형성된 몸체부의 상부단과 하부단을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경사면에 나사를 형성하여 체결너트를 통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직선형으로 형성된 나사 체결방식에 비해 체결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어 철근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여 철근을 이음 또는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rebar coupler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divided body part are formed to be inclined, and screws ar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s to be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nuts to form a fastened screw fastening. Compared to the method,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reinforcing bar to connect or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
특히, 몸체부의 중공에 형성된 돌기홈과 돌기홈 사이에 복수개의 박힘나사를 형성함으로써 체결너트가 몸체부에 체결시 복수개의 나사가 철근의 표면을 압착하기 때문에 철근과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켜 철근을 안정적으로 이음 또는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by forming a plurality of fastening screws between the protrusion grooves formed in the hollow of the body portion and the fastening nut, the plurality of screws compress the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when the fastening nut is fastened to the body portion,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with the reinforcing bar to increase the reinforcing bar. It has the effect of stably connecting or connecting.
또한, 몸체부의 상부와 하부를 통해 체결너트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어 종래의 제품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astening nut is fasten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ody, th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so the cost is l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product, and thus it is possible to secure price competitiveness.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의 분리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에서 몸체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bar coupler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bar coupler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bar coupler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rebar coupler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ody portion in the rebar coupler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3 내지 도 7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s in FIGS. 3 to 7. 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elements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only the technical structur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riefly shown or Explained.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10)는 분할되어 철근(100)을 감싸는 몸체부(20)와 분할된 몸체부(2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너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철근(100)은 외주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마디돌기(102)가 형성된다.3 to 7, the reinforcing
몸체부(20)는 분할 형성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는 맞닿을 시 내부에 철근(100)이 위치되도록 중공(21)을 갖는다.The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에 대해 설명하면, 외주면이 상측에서 중심측으로 외향 경사져 나사(22)가 형성되는 상부단(23)과, 외주면이 하측에서 중심측으로 외향 경사져 나사(22)가 형성되는 하부단(24)과, 상부단(23)과 하부단(24) 사이에 형성되는 중심단(2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중심단(25)으로부터 상하측으로 형성되는 상부단(23)과 하부단(24)의 길이는 중공(21)의 직경 즉, 철근(100)의 직경에 비해 2배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인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describing the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의 상부단(23)에 형성되는 나사(22)는 오른나사로써 시계방향으로 체결너트(30)가 체결되고, 하부단(24)에 형성되는 나사(22)는 왼나사로써 시계반대방향으로 체결너트(30)가 체결되어 진다.The
몸체부(20)의 중공(21)의 내주면에는 철근(100)의 마디돌기(102)에 걸리도록 복수개의 돌기홈(26)이 형성되고, 돌기홈(26)과 돌기홈(26) 사이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박힘나사(27a)가 형성되어 진다. 돌기홈(26)과 돌기홈(26)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박힘나사(27a)는 철근(100)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철근(100)에 박혀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21 of th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1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의 중심단(25)은 외측에서 중공(21)으로 관통하는 관통홀(28)이 형성되어 진다. 관통홀(28)의 내주면에는 철근(100)의 마디돌기(102)에 걸리도록 복수개의 돌기홈(29)이 형성되고, 돌기홈(29)과 돌기홈(29) 사이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박힘나사(27b)가 형성되어 진다.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10)에서 몸체부(20)의 중공(21)에 형성되는 박힘나사(27a)와 중심단(25)의 관통홀(28)에 형성되는 박힘나사(27b)는 열처리되어 철근(100)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In the reinforcing
체결너트(30)는 내주면이 몸체부(2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 즉,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내주면에 나사(31)가 형성되어 몸체부(20)와 체결되어 진다. 이때, 몸체부(20)의 상부단(23)과 체결되는 체결너트(3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31)는 오른나사로 형성되고, 몸체부(20)의 하부단(24)과 체결되는 체결너트(3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31)는 왼나사로 형성되어 진다.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10)에 의하면, 분할 형성된 몸체부(20)의 상부단(23)과 하부단(24)을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경사면에 나사(22)를 형성하여 체결너트(30)를 통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직선형으로 형성된 나사 체결방식에 비해 체결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어 철근(10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여 철근(100)을 이음 또는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inforcing
특히, 몸체부(20)의 중공(21)에 형성된 돌기홈(26)과 돌기홈(26) 사이에 복수개의 박힘나사(27a)를 형성함으로써 체결너트(30)가 몸체부(20)에 체결시 복수개의 박힘나사(27a)가 철근의 표면을 압착하기 때문에 철근(100)과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켜 철근(100)을 안정적으로 이음 또는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the
또한, 몸체부(20)의 상부와 하부를 통해 체결너트(30)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어 종래의 제품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10)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이음을 위한 철근(100)을 맞대어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의 중공(21)에 위치시킨다. 이후, 체결너트(30)를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의 상부단(23)과 하부단(24)에 체결너트(30)를 회전시켜 체결하게 된다. 체결너트(30)의 회전으로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는 철근(100)과 밀착하게 되고, 이때,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의 중공(21)의 내주면에 형성된 박힘나사(27a)는 철근(100)의 외주면과 밀착하면서 철근(100)에 박히게 되어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When explain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reinforcing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reinforcing bar coupler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is only described as an example and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well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at.
10 :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20 : 몸체부 20a : 제1몸체
20b : 제2몸체 21 : 중공
22 : 나사 23 : 상부단
24 : 하부단 25 : 중심단
26, 29 : 돌기홈 27a, 27b : 박힘나사
28 : 관통홀 30 : 체결너트
31 : 나사
100 : 철근 102 : 마디돌기10: Reinforcing bar coupler with tapered fastening structure
20:
20b: second body 21: hollow
22: screw 23: upper end
24: lower stage 25: central stage
26, 29:
28: through hole 30: fastening nut
31: screw
100: Reinforcing bar 102: Nodule
Claims (7)
상기 몸체부(20)는 외주면이 상측에서 중심측으로 외향 경사져 나사(22)가 형성되는 상부단(23)과;
외주면이 하측에서 중심측으로 외향 경사져 나사(22)가 형성되는 하부단(24)과;
상기 상부단(23)과 하부단(24) 사이에 형성되고, 외측에서 상기 중공(21)으로 관통하는 관통홀(28)이 형성되는 중심단(2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The first body 20a and the second body 20b having a hollow 21 having a hollow 21 so that the reinforcing bar 100 is located therein and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clined out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toward the center are formed. The body portion 2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formed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and a screw 31 is formed to be formed of a fastening nut 30 that is fastened to the body portion 20, and a gap is se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reinforcing bar coupler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that interconnects the reinforcing bar (100) formed with nodal projections (102),
The body portion 20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clined outward from the upper side to the center side, the upper end 23 is formed with a screw 22;
A lower end 24 on whic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clined outward from a lower side to a central side to form a screw 22;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23 and the lower end 24, and composed of a central end 25 through which a through hole 28 penetrating the hollow 21 from the outside is formed. Reinforcing bar coupler.
상기 몸체부(20)의 상부단(23)에 형성되는 나사(22)는 오른나사로써 시계방향으로 체결너트(30)가 체결되고, 하부단(24)에 형성되는 나사(22)는 왼나사로써 시계반대방향으로 체결너트(30)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According to claim 1,
The screw 22 formed on the upper end 23 of the body portion 20 is a right screw, and a fastening nut 30 is fastened clockwise, and the screw 22 formed on the lower end 24 is a left screw. Reinforcing bar coupler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nut 30 is fasten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상기 몸체부(20) 중공(21)의 내주면에는 상기 철근(100)의 마디돌기(102)에 걸리도록 복수개의 돌기홈(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According to claim 1,
A reinforcing bar coupler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 grooves (26)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21) of the body portion (20) so as to engage the node protrusion (102) of the reinforcing bar (100).
상기 몸체부(20)의 중공(2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돌기홈(26)과 돌기홈(26) 사이에는 복수개의 박힘나사(27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4,
Reinforcing bars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essing screws (27a) is formed between the projection groove 26 and the projection groove 26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21 of the body portion 20 Coupler.
상기 관통홀(28)의 내주면에는 상기 철근(100)의 마디돌기(102)에 걸리도록 복수개의 돌기홈(2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According to claim 1,
A reinforcing bar coupler having a tapered fasten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 grooves (29)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8) so as to engage the node protrusion (102) of the reinforcing bar (1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1821A KR102105141B1 (en) | 2019-11-07 | 2019-11-07 | Reinforcing bar coupler with tapered clamping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1821A KR102105141B1 (en) | 2019-11-07 | 2019-11-07 | Reinforcing bar coupler with tapered clamping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5141B1 true KR102105141B1 (en) | 2020-04-27 |
Family
ID=70467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1821A Active KR102105141B1 (en) | 2019-11-07 | 2019-11-07 | Reinforcing bar coupler with tapered clamping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514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4074B1 (en) * | 2020-07-29 | 2021-12-02 | 주식회사 안성테크 | Double flo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
KR20220107408A (en) | 2021-01-25 | 2022-08-02 | 이상철 | Rebar connection coupler with reduced play between rebar connection coupler and rebar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5313A (en) * | 2000-07-10 | 2002-01-17 | 이순호 | Splicing device for steel bars |
KR200332980Y1 (en) * | 2003-08-08 | 2003-11-12 | 최진호 | A coupling device of steel reinforcing |
KR20080023383A (en) * | 2006-09-11 | 2008-03-14 | 이병준 | Multiple Rebar Coupler |
KR101033681B1 (en) | 2009-02-06 | 2011-05-12 | 김병섭 | Rebar coupler |
KR101506733B1 (en) * | 2014-07-08 | 2015-03-30 | 기언관 | Reinforcing rod a coupling device for hooped reinforcement |
KR20170121955A (en) * | 2016-04-26 | 2017-11-03 | 배응섭 | Connecting Apparatus for Rod Type Member |
KR101856949B1 (en) | 2016-10-31 | 2018-05-14 | 박영훈 | Connection device for steel reinforcement |
-
2019
- 2019-11-07 KR KR1020190141821A patent/KR10210514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5313A (en) * | 2000-07-10 | 2002-01-17 | 이순호 | Splicing device for steel bars |
KR200332980Y1 (en) * | 2003-08-08 | 2003-11-12 | 최진호 | A coupling device of steel reinforcing |
KR20080023383A (en) * | 2006-09-11 | 2008-03-14 | 이병준 | Multiple Rebar Coupler |
KR101033681B1 (en) | 2009-02-06 | 2011-05-12 | 김병섭 | Rebar coupler |
KR101506733B1 (en) * | 2014-07-08 | 2015-03-30 | 기언관 | Reinforcing rod a coupling device for hooped reinforcement |
KR20170121955A (en) * | 2016-04-26 | 2017-11-03 | 배응섭 | Connecting Apparatus for Rod Type Member |
KR101856949B1 (en) | 2016-10-31 | 2018-05-14 | 박영훈 | Connection device for steel reinforcemen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4074B1 (en) * | 2020-07-29 | 2021-12-02 | 주식회사 안성테크 | Double floor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
KR20220107408A (en) | 2021-01-25 | 2022-08-02 | 이상철 | Rebar connection coupler with reduced play between rebar connection coupler and reba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415552A (en) | Splicing metallic reinforcing rods with a threaded coupling sleeve | |
US20040071507A1 (en) | Reinforcing bar coupling | |
KR102105141B1 (en) | Reinforcing bar coupler with tapered clamping structure | |
KR102743300B1 (en) | Rebar coupler | |
KR101498662B1 (en) | Reinforced seams coupling | |
CN216042185U (en) | Steel bar connecting mechanism | |
KR101033681B1 (en) | Rebar coupler | |
JPH09279766A (en) | Joint structure of deformed reinforcement | |
KR100610498B1 (en) | Rebar fittings | |
KR100272745B1 (en) | A connector of concrete reinforcing bar | |
KR200286138Y1 (en) | An iron pipe coupler | |
KR20190031075A (en) | bar coupler for concrete construction | |
JPH09228554A (en) | Rebar joint | |
JP6921413B2 (en) | Reinforcing bar joints and rebar assemblies, as well as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odies | |
JP2002235381A (en) | Precast concrete members and method for connecting the same | |
JPH09279768A (en) | Joint structure of reinforcement | |
KR102813897B1 (en) | Reinforcing rod coupler for with resistance against earthquake | |
KR200210602Y1 (en) | Sleeve-fitted Rebar Fittings | |
KR200242782Y1 (en) | Wire connect | |
JP4347149B2 (en) | Mechanical joint of a longitudinal connection device for piles with means for preventing looseness | |
JPS606495Y2 (en) | Joint structure of deformed reinforcing bars for concrete reinforcement | |
KR20210075660A (en) | Seismic-resistant rebar coupler | |
JP2011084898A (en) | Reinforced structure with head and joint | |
KR102717431B1 (en) | Rebar Coupler With Improved Workability and Assembly | |
KR100308547B1 (en) | reinforcing rod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1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