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180B1 - Device for Mounting a Fire Resistance Filler - Google Patents
Device for Mounting a Fire Resistance Fil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4180B1 KR102104180B1 KR1020180144602A KR20180144602A KR102104180B1 KR 102104180 B1 KR102104180 B1 KR 102104180B1 KR 1020180144602 A KR1020180144602 A KR 1020180144602A KR 20180144602 A KR20180144602 A KR 20180144602A KR 102104180 B1 KR102104180 B1 KR 1021041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ameter portion
- refractory filler
- fastening bolt
- sleeve
- support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배관을 통해 하층으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관통슬리브에 내화충전재를 장착하는 내화충전재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관통슬리브의 내부에 내화충전재를 수납 고정하여 클램프와의 용접작업을 하지 않고도 내화충전재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내화충전재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actory filler mounting device that mounts a refractory filler on a through sleev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spreading to a lower layer through a pipe when a fire occurs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nd more specifically, inside the through slee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ounting a fire-resistant filler so that the fire-resistant filler can be constructed without receiving and fixing a refractory filler.
일반적으로, 배관이 건물의 바닥 또는 벽의 방화구획을 관통할 때, 건축법[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14조 제2항]에 의거하여 방화구획과 동일하게 관통부도 내화 충전구조를 유지하도록 명문화하고 있다.In general, when the piping penetrates the fire protection section of the floor or wall of the building, the penetration is also fireproof in the same way as the fire protection s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Building Act (Article 14, Paragraph 2 of the Rules on the Evacuation of Buildings, Fire Protection Structure, etc.) It is stipulated to maintain the filling structure.
이 규칙의 세부규정인 국토 해양부 고시, 건설기술연구원 세부운영지침의 시험방법에 따르면,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관통재의 온도는 화염 원의 이면에서 측정하였을 때 180K를 넘지 않도록 하여 합격 여부를 정한다.According to the test method of the detailed operation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the detailed rule of this rule, the temperature of the penetrating material penetrating the fire compartment is not exceeded 180K when measured from the back side of the flame source.
건축 관련 법규(예, 법 제40조, 건축법 시행령 제2조, 국토 해양부 고시 제2008-154호 내화구조의 인정 및 관리 기준 등)에는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서 일정한 내화구조의 성능기준을 명시하여 건축물의 벽면, 바닥면 등에 대해서는 일정시간이상 화염(1,049℃ 이상)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요구하고 있다.Building-related laws (e.g.,
실제, 건축물에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인접한 공간(상층 또는 하층)으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해를 국지화 내지는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건축공사에서 배관의 시공에 따라 발생되는 관통부의 밀폐는 매우 중요하다.In fact, in the event of a fire in a building, it is important to prevent the rapid spread of smoke and flames to adjacent spaces (upper or lower floors) to minimize or localize the damage.
이에 관통부를 해당 내화구조의 성능에 맞게 밀폐시켜 주는 공사를 하는데, 이를 내화충전공사라고 하며, 내화충전구조를 국가가 시험·증명해 주고 관리하는 '인정제도'를 유지하고 있다.Accordingly, a construction is performed to close the penetration part to the performance of the corresponding fire-resistant structure, which is called a fire-resistant filling construction, and maintains a 'accreditation system' that the country tests, proves, and manages the fire-resistant filling structure.
상기 관통부를 법정 내화충전구조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내열성 시험에 합격해야 하며, 인정기관에서 소정의 내열성 시험을 거쳐서 내화성능 등급을 부여받게 된다.In order to be recognized as a statutory fire-resistant filling structure, the penetrating part must pass a heat resistance test, and a fire resistance performance grade is given through a predetermined heat resistance test by an accreditation institution.
이와 같이 건축공사에서 내화 충전재로 사용되고 있는 무기계 암면(Mineral wool), 세라믹 울(Ceramic wool) 등과 유기재료 계통인 실리콘 폼 재료는 널리 알려져 있는 제품으로 내화 충전구조에 중간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silicone foam materials, which are organic material systems such as inorganic wool and ceramic wool, which are used as refractory fillers in building construction, are widely known products and are widely used as intermediate materials in refractory filling structures.
그러나 이들 충전재료 자체는 제품에 따라 난연성, 신축성, 경량성 등에서는 우수하나, 다른 한편으로는 열화성, 흡수성, 마모성이 크고 분진발생의 우려가 있으며, 또한 밀도가 높은 방화용 단열재는 비 신축적이기 때문에 방화구획처리용 채움재로써 단독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However, these filling materials themselves are excellent in flame retardancy, stretchability, and light weight depending on the product, but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risk of deterioration, water absorption, abrasion, and dust generation. Therefore, it has been known that there is a problem in using it alone as a filling material for fire prevention treatment.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05-0009274호에 의하면, 배관이 관통하는 바닥 또는 벽 관통부에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건축용 입상 고정구에 대하여 소개되고 있으나, 이는 단지 건물의 바닥 또는 벽 관통부의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제품으로 방화성능과는 무관하며, 바닥 관통부에 입상 고정구가 먼저 설치되기 때문에 내화충전 구조는 입상 고정구와 병행하여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 to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05-0009274, a constructional fixture for fixing a pipe to a floor or a wall penetration through which a pipe passes is introduced, but this is only for fixing a pipe of a floor or wall penetration of a building. Since the product is irrelevant to fire performance, and since the granular fixture is first installed on the bottom penet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re-resistant filling structure must be a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granular fixture.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출원인의 부친(서대하)께서 새로운 타입의 내화충전재 장착장치를 개발하여 특허 제1,687,140호로 등록한 바 있다.Due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applicant's father (Seo Dae-ha) developed a new type of refractory filler mounting device and registered it as patent No. 1,687,140.
도 1은 종래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장치가 시공된 상태의 종단면도로써, 분할 형성된 클램프(10)의 하부에 내화충전재(20)를 감싸 고정하는 금속재질의 케이스(30)가 일체화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30)의 하단에는 절곡편(3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절곡편(31)을 이용하여 케이스(30)의 내부에 내화충전재(20)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30)의 외측으로는 복수 개의 쐐기형태의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램프(10)의 하단에는 케이스(30)의 삽입을 제한하는 플랜지(12)가 형성되어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evice, and FIG.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nventional device is constructed, and a
상기 케이스(30)의 외측으로 형성된 쐐기형태의 걸림돌기(32)는 케이스(30)를 관통슬리브(40)의 내부에 삽입할 때에는 관통슬리브(40)의 내주면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삽입되고,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관통슬리브(4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역할을 하는 것이다.When the
또한, 분할 형성된 클램프(10)의 내주면에는 클램프(10)를 이용하여 관통슬리브(40)에 끼워진 파이프(50)를 지지한 상태에서 클램프(10)가 유동되지 않도록 패킹(11)이 접착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vided
상기 분할 형성된 클램프(10)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결합공(1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램프(10)의 내주면에 접착 고정되는 패킹(11)에는 상기 결합공(10a)에 끼워지는 돌기(11a)가 형성되어 있다.At least one or
상기 클램프(10)는 볼트(60) 및 너트(62)에 의해 조립된다.The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프(10)의 내주면에 패킹(11)이 고정되고, 상기 클램프(10)의 하부에 용접 고정된 케이스(30)에는 절곡편(31)에 의해 내화충전재(20)가 고정된 상태에서 관통슬리브(40)에 끼워진 파이프(50)를 지지하기 위해 분할 형성된 클램프(10)를 파이프(50)의 외주면에 감싸 일 측의 클램프(10)에 고정된 볼트(60)를 다른 일 측의 클램프(10)에 형성된 삽입공(61)을 끼우고 볼트(60)에 너트(62)를 가 체결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2, the
그 후, 케이스(30)의 하단을 관통슬리브(40)와 파이프(50)의 틈새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하방으로 힘껏 눌러주면 케이스(30)가 관통슬리브(40)와 파이프(50) 사이로 삽입되어 케이스(30)에 고정된 내화충전재(20) 및 클램프(10)의 내주면에 접착 고정된 패킹(11)이 도 2와 같이 파이프(50)의 외주면에 각각 긴밀하게 밀착된다.Thereafter, the lower end of the
이와 같은 작업으로 클램프(10) 및 내화충전재(20)의 삽입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가 체결하였던 너트(62)를 볼트(60)에 견고히 체결함으로써 클램프(10) 및 내화충전재(20)의 설치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After the insertion of the
(선행기술문헌)(Advanced technical literature)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87140(2016.12.09.등록)(Patent Document 0001)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10-1687140 (2016.12.09. Registration)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5-0009274(2005.04.04.출원)(Patent Document 0002) Korea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5-0009274 (Applied April 4, 2005)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89642(2014.07.16.공개)
(Patent Document 000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89642 (published on July 16, 2014)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device has a number of problems as follows.
첫째, 분할 형성된 클램프의 하부에 분할 형성되어 내화충전재를 고정하는 케이스를 용접 고정하였으므로 공정의 증가로 인해 생산원가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였다.First, since the case for fixing the refractory filling material was welded and fixed in the lower part of the divided clamp, it acted as an increase factor in production costs due to the increase in the process.
둘째, 내화충전재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력에 의해 내화충전재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Second, the refractory filler may be deformed by external force because the refractory filler is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구조를 개선하여 화재 발생으로 슬라브 층에 매설된 관통슬리브가 녹아내리더라도 관통슬리브의 내부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관로를 폐쇄하고 있던 내화충전재가 하층으로 추락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related art, and the structure thereof is improved so that even if the through sleeve buried in the slab layer is melted due to fire, the inside of the through sleeve is installed to close the pipeline of the pipe. The purpose of the refractory filler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falling to the lower lay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브 층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내부에 관통슬리브를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면 슬라브 층에 관통슬리브가 견고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여 슬라브 층에서 시공된 관통슬리브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through-sleeve inside the formwork for forming the slab layer and then pour concrete to cure the through-sleeve in the slab layer so that the through-sleeve constructed in the slab layer does not fall out. To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체결 나사용 삽입공(111)이 원주 방향으로 90도 방향으로 4개 형성된 플랜지(110), 상기 플랜지(110)의 축방향을 따라 일측 방향으로 형성된 대경부(120) 및 상기 대경부(120)와 연이어져 형성된 소경부(130)를 포함하는 관통슬리브(100), 상기 관통슬리브(100)의 대경부(120)에 내장되어 상기 대경부(120) 및 상기 소경부(130)의 경계부위에 걸쳐지게 설치되는 내화충전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내화충전재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화충전재 장착장치는 상기 대경부(120)의 축방향 중앙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플랜지(110)에 형성된 삽입공과 원주 방향으로 45도 엇갈리게 형성된 4 개의 통공(140), 상기 내화충전재(200)의 저면에 접속되는 환형의 링(310) 형상의 지지 플레이트(300),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내측 및 대경부 방향에 형성되되, 원주상에서 상기 통공(140)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내화충전재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4 개의 상향 절곡편(330),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의 외측 및 대경부 반대 방향에 형성되되, 상기 상향 절곡편(330)과 원주상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4 개의 하향 절곡편(340), 상기 하향 절곡편(340)에 형성된 체결 볼트 체결공(34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통슬리브(100)에 형성된 상기 통공(140)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각 하향 절곡편(340)에 형성된 체결 볼트 삽입공(341)에 체결되어 지지 플레이트(300)를 지지하되, 대구경의 축방향과 90도 즉 수직으로 체결되는 체결 볼트(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결 볼트(400)에는 상기 체결 볼트(400)의 체결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410)가 형성되고, 4개의 돌출부(150)가 상기 소경부(130)의 양 끝단을 따라 상기 소경부(130)의 외곽에 축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형성되되, 원주상 위치는 상기 통공(140)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50)의 일정 높이는 상기 소경부(130)의 외곽으로부터 상기 대경부(120)의 외곽 가상 원을 벗어나지 않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 볼트(400) 및 상기 4개의 돌출부(150)는 슬라브 층(500)내에 매설, 고정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본 발명은 지지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스크류가 슬라브 층에 매설 고정되어 있어 화재 발생으로 관통슬리브가 녹아내리더라도 슬라브 층에 매설된 체결 볼트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파이프의 관로를 폐쇄하고 있던 내화충전재가 하층으로 추락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화재가 하층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w for fixing the support plate is fixed to the slab layer, so even if the through sleeve melts due to a fire, it prevents the support plate from being detached by the fastening bolt embedded in the slab layer, thereby closing the pipe line. It prevents the phenomenon that the fire-resistant filler was falling to the lower layer, thereby preventing the fire from spreading to the lower layer.
또한, 거푸집 내에 관통슬리브를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나면 지지 플레이트를 고정하고 있던 체결 볼트가 슬라브 층에 매설된 상태로 양생되므로 콘크리트의 양생으로 인해 부피가 수축되더라도 슬라브 층에서 시공된 관통슬리브가 빠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In addition, after installing the through-sleeve in the formwork, after pouring the concrete, the fastening bolts fixing the support plate are cured in a state buried in the slab layer.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falling out.
도 1은 종래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장치가 시공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시공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화재 발생으로 관통슬리브 및 파이프가 녹아내리더라도 슬라브 층에 매설된 체결 볼트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가 팽화된 내화충전재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evice
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device is constructed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cut ou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on
Figure 5 is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late is expanded by the fastening bolts buried in the slab layer even if the through sleeve and the pipe are melted due to the occurrence of a fir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proportions of the parts in the figure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drawings, and any dimension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similar features in the same structures, elements, or parts appearing in two or mor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시공된 상태의 종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사출 성형되는 관통슬리브(100)의 플랜지(11) 측으로 대경부(120)가 형성되고, 반대편에는 대경부(120)와 연이어지는 소경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대경부(120)에는 관통된 복수 개의 통공(14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40)과 동일한 원주상 위치에 위치되도록 소경부(130)의 양끝단을 따라 축방향으로 4개의 돌출부(15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플랜지(100)에는 삽입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11)과 원주방향으로 엇갈리도록 통공(140)이 대경부(120)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슬리브(100)의 대경부(120)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대경부(120) 및 소경부(130)의 경계부위에 걸쳐지게 삽입 설치되는 내화충전재(200)의 저면에는 내화충전재(200)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30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는 내화충전제(200)의 저면에 접속되는 환형의 링(310)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310)의 내측으로는 내화충전재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상향 절곡편(330)이 형성되어 있으며 링(310)의 외측으로는 체결 볼트 체결공(341)이 형성된 복수 개의 하향 절곡편(340)이 형성되어 있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cut ou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rge diameter portion to the
Meanwhile, an
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하향 절곡편(340)에 형성되는 체결 볼트 체결공(341)은 체결 볼트 체결공을 프레스 성형할 때 플랜지(342)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플랜지(342)의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함에 따라 체결 볼트(400)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The fastening
그리고 상기 관통슬리브(100)에 형성된 통공(140)에는 체결 볼트(400)가 끼워져 지지 플레이트(300)의 각 하향 절곡편(340)에 형성된 체결 볼트 체결공(341)에 나사 체결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슬리브(100)의 외부로 노출된 체결 볼트(400)는 슬라브층(500)에 매설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체결 볼트(400)에 체결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410)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At this time, it is more preferable to form a
삭제delete
이는, 체결 볼트(400)를 이용하여 지지 플레이트(300)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체결 볼트(400)를 지지 플레이트(300)의 각 하향 절곡편(340)에 형성된 체결 볼트 체결공(341)으로 나사 체결할 때, 스토퍼(410)에 의해 체결 볼트(400)의 체결깊이가 제한되므로 체결 볼트(400)의 체결작업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process of fixing the
그러나 지지 플레이트(300)에 체결 볼트 삽입공을 형성하여 별도의 너트(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체결 볼트(400)를 고정시킬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However, it is understood that the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관통슬리브(100)에 내화충전재(200)를 내장하면 도 4와 같이 내화충전재(200)가 대경부(120) 및 소경부(130)의 경계부위에 걸치게 되므로 내화충전재(200)의 삽입 깊이가 제한된다.First, when the
이러한 상태에서 링(310)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 플레이트(300)를 내화충전재(200)의 저면에 밀착시키면 지지 플레이트(300)에 형성된 상향 절곡편(330)이 내화충전재(200)의 내주면에 접속되는 데, 이때 하향 절곡편(340)에 형성된 체결 볼트 체결공(341)을 관통슬리브(100)에 형성된 통공(140)과 일치되도록 지지 플레이트(300)의 위치를 가변시킨 후 관통슬리브(100)의 외부에서 통공(140)으로 체결 볼트(400)를 삽입한 다음 상기 체결 볼트(400)를 체결 볼트 체결공(341)에 나사 결합하면 스토퍼(410)에 의해 체결 볼트(400)의 체결 깊이가 제한되면서 지지 플레이트(300)를 지지함은 물론이고 관통슬리브(100)의 외부로 슬라브 층(500)에 매설되는 관통 볼트(400)의 일부가 돌출됨으로써, 본 발명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In this state, when the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으로 관통슬리브(100)의 내부에 내화충전재(200)를 조립하고 나면 내화충전재(200)가 클램프에 고정되어 유통되던 종래와는 달리 관통슬리브(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열악한 작업현장에서 관통슬리브(10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내화충전재(200)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After assembling the
이러한 본 발명의 관통슬리브(100)를 슬리브 층(500)에 시공한 상태에서 몰탈의 양생이 완료되면 관통슬리브(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던 관통 볼트(400)의 일부가 도 4와 같이 슬라브 층(500)에 매설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어 부피가 수축되더라도 시공된 관통슬리브(100)가 슬라브 층(500)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uring of the mortar is comple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through
이러한 상태에서 파이프(600)를 시공하는 작업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state, the construction of the
이와 같이 시공된 상태에서 가열로(도시는 생략함)에 본 발명의 장치를 장착하여 차폐성 테스트를 반복적으로 실시하였던 바, 화재의 발생으로 고온의 열이 가해져 관통슬리브(100)가 완전히 소실(燒失)되더라도 도 5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300)가 슬라브 층(500)에 매설된 체결 볼트(400)에 의해 지지되어 하층으로 추락하지 않으므로 고온에 의해 팽화된 내화충전재(200)가 파이프(600)의 시공에 따라 형성된 구멍(510)을 완전히 폐쇄하게 되므로 불이 하층으로 번지는 현상을 차단함을 알 수 있었다.Whe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repeatedly mounted on the heating furnace (not shown) in the constructed state, the shielding test was repeatedly performed. As a result of fire, high-temperature heat was applied and the through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n-limiting,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the meaning of the claims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scope and equivalent concep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관통슬리브 120 : 대경부
130 : 소경부 140 : 통공
200 : 내화충전재 300 : 지지 플레이트
310 : 링 330 : 상향 절곡부
340 : 하향 절곡부 341 : 체결 볼트 체결공
40O : 체결 볼트 410 : 스토퍼
500 : 슬라브 층 100: through sleeve 120: large diameter
130: small diameter part 140: through
200: refractory filler 300: support plate
310: ring 330: upward bend
340: downward bending part 341: fastening bolt fastener
40O: Fastening bolt 410: Stopper
500: slab layer
Claims (2)
상기 내화충전재 장착장치는 상기 대경부(120)의 축방향 중앙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플랜지(110)에 형성된 삽입공과 원주 방향으로 45도 엇갈리게 형성된 4 개의 통공(140), 상기 내화충전재(200)의 저면에 접속되는 환형의 링(310) 형상의 지지 플레이트(300),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내측 및 대경부 방향에 형성되되, 원주상에서 상기 통공(140)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내화충전재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4 개의 상향 절곡편(330),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의 외측 및 대경부 반대 방향에 형성되되, 상기 상향 절곡편(330)과 원주상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4 개의 하향 절곡편(340), 상기 하향 절곡편(340)에 형성된 체결 볼트 체결공(34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통슬리브(100)에 형성된 상기 통공(140)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각 하향 절곡편(340)에 형성된 체결 볼트 삽입공(341)에 체결되어 지지 플레이트(300)를 지지하되, 대구경의 축방향과 90도 즉 수직으로 체결되는 체결 볼트(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결 볼트(400)에는 상기 체결 볼트(400)의 체결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410)가 형성되고, 4개의 돌출부(150)가 상기 소경부(130)의 양 끝단을 따라 상기 소경부(130)의 외곽에 축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형성되되, 원주상 위치는 상기 통공(140)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50)의 일정 높이는 상기 소경부(130)의 외곽으로부터 상기 대경부(120)의 외곽 가상 원을 벗어나지 않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 볼트(400) 및 상기 4개의 돌출부(150)는 슬라브 층(500)내에 매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충전재 장착장치.Flange 110 having four insertion holes 111 for fastening screws in a 90 degre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large diameter portion 120 and a large diameter portion 120 form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lange 110 A through-sleeve 100 including a small-diameter portion 130 formed in succession with a built-in inside the large-diameter portion 120 of the through-sleeve 100 to the boundary portion of the large-diameter portion 120 and the small-diameter portion 130. In the apparatus for mounting a refractory filler comprising a refractory filler 200 that is installed across,
The refractory filler mounting devic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axial direction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20,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lange 110 and four through holes (140) formed at 45 degrees stagger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refractory filler ( It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and large-diamet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300 in the shape of an annular ring 310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200, the support plate 300, and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through hole 140 on the circumference. Four upward bending pieces 330 suppor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fractory filler,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support plate 310 and large diameter portions, and four upward bending pieces 330 and the same circumferential positions The downward bending piece 340, and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bolt fastening hole 341 formed in the downward bending piece 340, the through hole 140 formed in the through sleeve 100 and the support plate 300 To each downward bending piece 340 of It is fastened to the formed fastening bolt insertion hole 341 to support the support plate 300, but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bolt 400 that is fastened 90 degrees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large diameter, that is, the fastening bolt 400 In the stopper 410 for limiting the fastening depth of the fastening bolt 400 is formed, four protrusions 150 along both ends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130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outer sid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130 It is formed to a certain height, the circumferential position is formed in the same way as the through hole 140, a certain height of the protrusion 150 is the outer virtual circle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20 from the outsid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130 The fastening bolt 400 and the four protruding portions 150 are embedded and fixed in the slab layer 500, so as not to devi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4602A KR102104180B1 (en) | 2018-11-21 | 2018-11-21 | Device for Mounting a Fire Resistance Fil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4602A KR102104180B1 (en) | 2018-11-21 | 2018-11-21 | Device for Mounting a Fire Resistance Fill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4180B1 true KR102104180B1 (en) | 2020-04-23 |
Family
ID=70472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4602A Active KR102104180B1 (en) | 2018-11-21 | 2018-11-21 | Device for Mounting a Fire Resistance Fil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418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8012A (en) | 2020-10-30 | 2022-05-09 | 김인우 | Mineral wool refractory filler for high temperatur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4682B1 (en) * | 2015-08-17 | 2016-09-06 | (주)피앤에프테크 | Through-wall pipe connecting device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rough-walll pipe use the same |
KR101894009B1 (en) * | 2018-01-23 | 2018-08-31 | (주)세이프코리아 | A construction sleeve capable of integrally joining refractory fillers having a refractory filler joint groove formed integrally and having an inwardly convex shape |
-
2018
- 2018-11-21 KR KR1020180144602A patent/KR10210418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4682B1 (en) * | 2015-08-17 | 2016-09-06 | (주)피앤에프테크 | Through-wall pipe connecting device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rough-walll pipe use the same |
KR101894009B1 (en) * | 2018-01-23 | 2018-08-31 | (주)세이프코리아 | A construction sleeve capable of integrally joining refractory fillers having a refractory filler joint groove formed integrally and having an inwardly convex shap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8012A (en) | 2020-10-30 | 2022-05-09 | 김인우 | Mineral wool refractory filler for high tempera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89504B2 (en) | Fire protection module | |
KR101179962B1 (en) | Apparatus for shutting flame and poisonous gas through between flooors | |
KR101732316B1 (en) | Fireproof-Filling-Structure within Fixed StandPipe | |
KR101637197B1 (en) | piping installation structure for fire protection | |
KR102084022B1 (en) | Integated sleeve with fireproof filler | |
KR200487404Y1 (en) | pipe clamp with fire material and refractory material | |
KR101687140B1 (en) | Device for Mounting a Fire Resistance Filler within a Pipe | |
KR101978701B1 (en) | A clamp for fixing pipe for fireproof filler | |
KR102104180B1 (en) | Device for Mounting a Fire Resistance Filler | |
KR101539942B1 (en) | Fixing structure for a outside panel of building | |
JP5859042B2 (en) | Drainage pipe fitting | |
KR20200016446A (en) | Sleeve structure with refractory and eccentric adjustment | |
KR101807987B1 (en) | Riser pipe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949859B1 (en) | A penetration sleeve with refractory filler shelter | |
KR20110098448A (en) | Fixing device of the pipeline with fire spreading mean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pipeline with the apparatus | |
KR102023894B1 (en) | Standpipe fixture for earthquake-proof with fire resistance | |
JP2010139056A (en) | Disaster prevention piping method and fire resistant cover | |
KR200490318Y1 (en) | Refractory filler that is assembled and assembled at one time on the pipe fixture | |
CN107980086B (en) | Fire-proof pipeline system | |
GB2514496A (en) | Fire resistant structure | |
JP2016040446A (en) | Drain piping structure | |
KR101841106B1 (en) | Frame for refractory foam | |
KR102166905B1 (en) | A fixing apparatus for protecting pipe | |
JP6321463B2 (en) | Piping system construction method | |
JP6153781B2 (en) | Drainage pipe connectio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4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