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03051B1 - 멀티스크린 시청용 콘텐츠 배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스크린 시청용 콘텐츠 배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051B1
KR102103051B1 KR1020157037155A KR20157037155A KR102103051B1 KR 102103051 B1 KR102103051 B1 KR 102103051B1 KR 1020157037155 A KR1020157037155 A KR 1020157037155A KR 20157037155 A KR20157037155 A KR 20157037155A KR 102103051 B1 KR102103051 B1 KR 102103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 device
viewing
video program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7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9072A (ko
Inventor
얀 수
린 두
웨이 조우
Original Assignee
인터디지털 씨이 페이튼트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디지털 씨이 페이튼트 홀딩스 filed Critical 인터디지털 씨이 페이튼트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16001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0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6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involving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33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hardware characteristics, e.g. manufacturer, processing or storage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7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서버에서의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에서 핸드헬드 장치로서 등록된 제1 장치에 의해 비디오 프로그램 및 그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제1 장치의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비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요청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위치 정보에 따라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 및 위치 정보에 따라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스크린 시청용 콘텐츠 배포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DISTRIBUTION FOR MULTISCREEN VIEWING}
본 실시예의 원리는 대체로 멀티스크린 시청용 콘텐츠를 배포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요청된 비디오 프로그램을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들과 단독형 사용자 장치 중 하나에 전송하고 그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다른 사용자 장치들 중 하나 이상에 전송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텔레비전 상에서 비디오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그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모바일 전화 장치,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PC), 원격 제어 장치, 또는 Wi-Fi 기능을 갖는 또 다른 핸드헬드 장치 등의, 핸드헬드 전자 장치 상에서 본다고 보고되고 있다.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는, 광고, 홍보 정보, 및 프로그램 제목, 프로그램 테마, 프로그램 등급, 별점, 프로그램 카테고리, 프로그램 키워드, 프로그램 설명, 프로그램 유형(예를 들어, 오디오, 비디오, 시청각, 컴퓨터, 인터넷 등), 및 프로그램 반복 빈도(예를 들어, 주당 한번, 매일, 등) 등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관련된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분야에서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하면서 위의 다중 시청 환경을 더 양호하게 가능케하는 배포 시스템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서버에서의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에서 핸드헬드 장치로서 등록된 제1 장치에 의해 비디오 프로그램 및 그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제1 장치의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비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요청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위치 정보에 따라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 및 위치 정보에 따라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서버는 위치 정보에 따라 제1 장치와 계정에서 단독형 장치로서 등록된 제2 장치 사이의 거리를 판정한다. 한 실시예에서,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작다면,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는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지 않으며, 제2 장치는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지만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는 수신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작다면,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는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며, 제2 장치는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지만 비디오 프로그램은 수신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시청 변경 정보는 사용자 시청이 제1 장치로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제1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터치를 검출함으로써 제1 시청 변경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제1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찍힌 이미지들로부터 검출함으로써 제1 시청 변경을 검출하고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1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는 제1 품질을 가지며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한 후에, 수신된 콘텐츠는 제1 품질보다 양호한 제2 품질을 가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시청 변경 정보는 사용자 시청이 제1 장치로부터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는 제1 품질을 가지며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한 후에, 수신된 콘텐츠는 제1 품질보다 불량한 제2 품질을 가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장치는 제1 시청 변경 정보가 제1 장치에 의해 전송된 후에 제2 시청 변경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가 제2 시청 변경 정보를 수신한 후에, 수신된 콘텐츠는 제1 품질을 가진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서버에서의 사용자의 계정에서 핸드헬드 장치로서 등록된 장치로서 비디오 프로그램 및 그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장치가 개시된다. 제1 장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제1 장치의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제1 장치로부터의 비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요청을 서버에 전송하며; 위치 정보에 따라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위치 정보에 따라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한 실시예에서, 서버는 위치 정보에 따라 제1 장치와 계정에서 단독형 장치로서 등록된 제2 장치 사이의 거리를 판정한다.
한 실시예에서,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작다면, 프로세서는, 비디오 프로그램이 아니라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제2 장치는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가 아니라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작다면, 프로세서는,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가 아니라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제2 장치는 비디오 프로그램이 아니라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제1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파악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제1 시청 변경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1 시청 변경 정보는 사용자 시청이 제1 장치로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제1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터치를 검출함으로써 제1 시청 변경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제1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찍힌 이미지들로부터 검출함으로써 제1 시청 변경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
실시예에서, 제1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는 제1 품질을 가지며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한 후에, 수신된 콘텐츠는 제1 품질보다 양호한 제2 품질을 가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시청 변경 정보는 사용자 시청이 제1 장치로부터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제1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찍힌 이미지들로부터 검출함으로써 제1 시청 변경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된 비디오 프로그램은 제1 품질을 가지며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한 후에, 수신된 비디오 프로그램은 제1 품질보다 불량한 제2 품질을 가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장치는 프로세서가 사용자 시청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찍힌 이미지들로부터 검출함으로써 제1 시청 변경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는 제1 품질을 가지며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한 후에, 수신된 콘텐츠는 제1 품질보다 불량한 제2 품질을 가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장치는 제1 시청 변경 정보가 제1 장치에 의해 전송된 후에 제2 시청 변경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가 제2 시청 변경 정보를 수신한 후에, 수신된 콘텐츠는 제1 품질을 가진다.
상기 제1 장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메모리 수단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처리 수단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및 기타의 피쳐들과 이점들 및 이들을 달성하는 방식들이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취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배포 시스템의 관련 부분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단독형 장치와 핸드헬드 장치를 갖는 사용자에게 비디오 프로그램을 배포하기 위한 도 1의 프록시 서버의 예시적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3은, 프록시 서버에 의해, 프록시 서버에서 이용가능한 대역폭에 따라 비디오 프로그램 및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들에게 대역폭을 할당하기 위한 예시적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사용자 시청에 따라 프록시 서버에 의해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와 단독형 사용자 장치에 대한 대역폭을 조절하기 위한 예시적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예시적 사용자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단독형 사용자 장치의 예시적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의 예시적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여기서 제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러한 예시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어떠한 방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이하의 설명 전체를 통해 도면들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해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면,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리의 예시적 실시예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예시적 배포 시스템(1)을 도시하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배포 시스템(1)은, 서버(10), 프록시 서버(20), 및 사용자 장치(31, 32, 및 33)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3개의 사용자 장치(31, 32, 및 33)는 프록시 서버(20) 또는 서버(10)에서 동일한 사용자 계정을 공유하며,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른 사용자들의 사용자 장치들도 프록시 서버(20)에 접속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31)는 단독형 사용자 장치이고, 사용자 장치(32 및 33)는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이다. 이 실시예의 사용자 장치(31)는, 비디오 프로그램 및 비디오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인터넷 액세스 능력 등의 네트워크 액세스 능력을 갖는 텔레비전 수신기이다. 텔레비전 수신기는 디스플레이를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텔레비전 수신기의 예는, 인터넷 액세스 능력을 갖는 셋탑 박스, 텔레비전 세트, 및 비디오 레코더이다.
단독형 사용자 장치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자주 이동되지 않는 사용자 장치를 말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휴대형 장치를 서버(10) 또는 프록시 서버(20)에 단독형 사용자 장치로서 등록하는 한, 도킹 스테이션 상에 도킹된 랩탑 등의 휴대형 장치일 수 있다.
이 예의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2 및 33)는 각각 태블릿 및 모바일 전화이다.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는 그 위치를 판정하고 그 위치 정보를 서버(10) 또는 프록시 서버(20)에 보고할 수 있어야 한다.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는 또한 네트워크 액세스 능력을 가져야 한다. 핸드헬드 전자적 사용자 장치의 예는, 모바일 전화,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PC), 원격 제어 장치, 또는 Wi-Fi 능력을 갖는 또 다른 핸드헬드 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는 휴대형이어야 하지만,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를 서버(10) 또는 프록시 서버(20)에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로서 등록하는 한, 데스크탑 PC 등의 비-휴대형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가 데스크탑을 상이한 기숙사와 아파트 등의 상이한 장소에 자주 이동시키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는 무선으로서 예시되어 있지만, 실시예의 원리는 유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유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에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31, 32, 및 33)는 네트워크(43),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프록시 서버(20)에 접속되고, 프록시 서버(20)는 또 다른 네트워크(41)를 통해 서버(10)에 접속된다. 이들 2개의 네트워크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들 2개의 네트워크가 상이하다면, 이들은 게이트웨이 등의 인터네트워크 설비를 통해 서로 접속할 수도 있다.
프록시 서버(20)는, 소프트웨어(21) 및 여기서 설명되는 것들,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기타의 데이터를 포함한 그러나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26)와, 소프트웨어 및/또는 기타의 데이터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29)를 포함한다. 프록시 서버(20)는 또한, 입력/출력(I/O) 블록(27)과, 별개의 메모리 또는 스토리지(26)의 일부일 수 있는 캐쉬(28)를 포함한다. 소프트웨어(21)는, 예시적으로, 콘텐츠 적응 모듈(content adaptation module)(22), 거리 판정 모듈(23), 및 대역폭 할당 및 조절 모듈(24)을 포함한다.
스토리지(26)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동적 RAM, 소거가능하고 프로그램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하고 프로그램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하드 디스크(네트워크, 내부 또는 외부), 광 디스크(네트워크, 내부 또는 외부),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장치는 로컬 장치 또는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I/O 블록(27)은 프록시 서버(20)의 I/O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I/O 블록(27)은, 셀 전화, 서버(10) 및 사용자 장치(31, 32, 33)로부터 (네트워크(41 및 43) 등의) 인터넷, 및 기타의 네트워크 소스 등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로부터 유선 및/또는 무선 방식으로 디지털 변조 포멧(들)으로 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데이터 신호 등의 신호를 수신하고, 유선 및/또는 무선 방식으로 이러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된다. I/O 블록(27)은 유선 및/또는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임의 유형의 I/O 인터페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개별 컴포넌트(예를 들어, 안테나(들), 플러그(들) 등)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9)는 단일의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개의 유사하거나 상이한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29)는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및 기술의 수행을 용이하게 하고 가능케하는 프록시 서버(20)의 다양한 신호 처리 및 제어 기능을 수행(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 등을 실행)하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9)는 I/O 블록(27)으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또는 기타의 요소(들)를 통해 프록시 서버(20)와 연관된 모든 필요한 처리 및 제어 기능을 수행 및/또는 가능케 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9)는, 튜닝, 복조, 및 에러 정정을 포함한 기능들을 수행하여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사용자 프로파일 설정 등의 데이터 콘텐츠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캐쉬(28) 및/또는 스토리지(26)에 저장함으로써, I/O 블록(27)으로부터 제공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하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된다.
역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9)는, 사용자 장치(31-33)로부터의 데이터 입력을 처리하는 것,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프록시 서버(20)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 스토리지(26) 및/또는 캐쉬(28)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 디스플레이를 통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가능케하는 것, 및/또는 여기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기타의 동작들(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기능들을 수행 및/또는 가능케하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된다.
역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9)는, I/O 블록(27)으로부터, 프록시 서버(20)에서의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단독형 사용자 장치와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 중 하나로부터 비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이 요청에 응답하여,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가 아니라 비디오 프로그램을 단독형 사용자 장치와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2개의 사용자 장치 중 제1의 선택된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며; 거리에 따라, 비디오 프로그램이 아니라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2개의 사용자 장치 중 제2의 선택된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전송한다.
역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9)는, I/O 블록(27)으로부터, 서버에서의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단독형 사용자 장치와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 중 하나로부터 비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가 아니라 비디오 프로그램을 2개의 사용자 장치 중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며; 비디오 프로그램이 아니라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다른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고; 2개의 사용자 장치 중 하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제1 시청 변경 정보에 응답하여, 사용자 시청에 따라 사용자 장치들에게 할당된 대역폭을 조절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의 품질이 최대화되게 한다. 프로세서(29)는 수신된 제1 시청 변경 정보로부터 사용자 장치들 중 어느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시청을 갖고 있는지를 판정해야 한다.
장치는, 사용자가 그 장치를 시청 또는 주시하고 있다고 프로세서(29)가 판정할 때 사용자 시청을 가진다.
여기서 사용될 때, 콘텐츠의 품질은 콘텐츠를 표현하는데 요구되는 비트수로 표현된다. 더 많은 비트로 표현된 콘텐츠는 더 양호한 품질을 가지며, 더 적은 비트로 표현된 콘텐츠는 더 불량한 품질을 가진다. 요청된 비디오 프로그램은, 비디오 프로그램의 최상의 품질이어야 하는 초기 비디오 품질을 가진다. 초기 비디오 품질을 갖는 비디오 프로그램이 변환 또는 적응될 때, 그 비디오 프로그램을 나타내는데 요구되는 비트수가 감소되어, 변환된 또는 적응된 비디오 프로그램이 초기 비디오 품질보다 불량한 품질을 갖게 된다. 유사하게, 요청된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는, 요청된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의 최상의 품질이어야 하는 초기 정보 품질을 가진다. 초기 정보 품질을 갖는 요청된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가 변환 또는 적응될 때, 그 요청된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데 요구되는 비트수가 감소되어, 그 요청된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변환된 또는 적응된 정보가 초기 정보 품질보다 불량한 품질을 갖게 된다.
한 실시예에서, 프록시 서버(20)는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단독형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얻고,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전송된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얻는다.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는 프록시 서버(20)에만 있고 서버(10)에 사본을 저장할 필요는 없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록시 서버(20)는 서버(10) 내에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의 미러 이미지(mirror image)를 가져야 한다.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임의의 업데이트는 서버(10)와 프록시 서버(20) 양쪽 모두에서 반영되어야 한다. 서버(10)는 서버와 프록시 서버로서 역할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각각의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서버(10) 및/또는 프록시 서버(20)에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고 모든 사용자 장치 및 연관된 사용자 프로파일 내의 기타의 데이터를 등록한다. 사용자는 프록시 서버(20)에게 비디오 프로그램을 요청하기 위하여 프록시 서버(20)에 로그온해야 한다. 사용자 프로파일은 사용자와 연관된 개인 데이터의 집합이다. 사용자 프로파일은 다음과 같은 정보 세트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해야 한다:
- 사용자 장치의 개수
- 각각의 사용자 장치의 유형 및 모델
- 각각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대역폭 요건
- 사용자 장치들 중 어느 것이 단독형 사용자 장치인지와 그 위치
-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와 단독형 사용자 장치 사이의 임계 거리
-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들의 우선순위
- 하나보다 많은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의 경우, 요청된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하나보다 많은 사용자 장치에 전송할지의 여부
- 연령, 성별, 관심 그래프 메트릭, 및 시청 패턴을 포함한 인구통계학적 및 심리학적 데이터
상기 열거된 바와 같이, 단독형 사용자 장치(31)의 위치 정보는, 보통은 단독형 사용자 장치는 많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단독형 사용자 장치는 또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위치파악 시스템을 장착할 수 있고, 그 위치를 프록시 서버(20)에 주기적으로 또는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할 때 보고한다. 사용자 장치(33) 등의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는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에 의해 전송된다. 프로세서(29)는 거리 판정 모듈(23)을 기동하여 단독형 사용자 장치(31)와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 사이의 거리를 2개의 사용자 장치의 얻어진 위치 정보에 따라 판정한다.
이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29)는, 거리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저장된 임계치 거리보다 큰지에 따라 사용자 장치들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프로세서(29)는, 각각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비디오 세션에 관여된 사용자 장치들로부터, 사용자 시청 변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들 중 하나가 프록시 서버(20)에게 비디오 프로그램을 요청한다면 사용자 계정 내의 모든 사용자 장치가 비디오 세션에 관여된다. 시청 변경 정보 신호는, 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시청이 시청 변경 정보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로,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시청 변경 정보 신호를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역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시청 변경 정보 신호의 시청 전환 표시는 신호 그 자체에 포함되거나 사용자 프로파일에서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의 원리에 따르면, 프로세서(29)는, 시청 변경 정보 신호에 응답하여, 대역폭 할당 및 조절 모듈(24)을 기동하여 대역폭 할당을 조절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의 품질이 열화될 수 있더라도,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가 프록시 서버(20)의 가용 대역폭에 의해 허용가능한 최대 품질을 갖는 콘텐츠를 수신하게 한다.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는 이미지와 텍스트 양쪽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양쪽 유형의 정보는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 또는 단독형 사용자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동일한 계정 내에 하나보다 많은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가 있다면, 사용자는 사용자가 사용자 프로파일 내의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2개의 상이한 사용자 장치들에 어떤 유형의 정보가 전송될 것을 원하는지를 사용자 프로파일에서 설정할 수 있다. 더 높은 우선순위의 장치는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의 이미지 부분을 수신해야 하고 더 낮은 우선순위의 장치는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의 텍스트 부분을 수신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이 단독형 사용자 장치와 2개의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고 단독형 사용자 장치가 비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요청을 전송한다면, 프록시 서버(20)는, 사용자가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상이한 유형들의 정보가 상이한 사용자 장치들에게 전송될 것을 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사용자 프로파일이 나타낸다면, 단독형 사용자 장치가 요청된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해야 하고 더 높은 우선순위의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는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의 양쪽 부분을 수신해야 한다고 판정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사용자 프로파일에서 사용자가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상이한 유형들의 정보가 하나보다 많은 장치에 전송될 것을 원한다고 표시한다면, 프록시 서버(20)는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의 이미지 부분을 더 높은 우선순위의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에 전송해야 하고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의 텍스트 부분을 더 낮은 우선순위의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에 전송해야 한다.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가 2개보다 많은 유형이 있다면, 유사한 규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우선순위 정보 대신에, 프록시 서버(20)는 시청 패턴 및 관심 그래프 메트릭을 수집하고 사용자 장치들의 우선순위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9)는 비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때, 프로세서(29)는 먼저 캐쉬(28) 내에 사본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비디오의 사본이 캐쉬(28) 내에 존재한다면, 프로세서(29)는 캐쉬(28)로부터 비디오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검색된 비디오 프로그램을 사용자 장치들에게 전송한다. 프로세서(29)가 요청된 비디오 프로그램의 사본을 캐쉬(28)에서 발견할 수 없다면, 프로세서(29)는 서버(20)에게 사본을 요청하고 사본을 캐쉬(28)에 저장한다. 비디오 프로그램과 함께, 캐쉬(28)는 또한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의 사본을 저장할 수도 있다. 비디오 프로그램의 사본이 캐쉬(28) 내에 존재하더라도, 프로세서(29)는 여전히 서버(20)에게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업데이트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프록시 서버(20)는 모든 사용자를 서빙(serve)하기 위해 유한한 대역폭을 가지기 때문에, 프록시 서버(20)는 요청을 서빙하기에 충분한 대역폭을 갖지 못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프로세서(29)는 대역폭 할당 및 조절 모듈(24)을 기동하여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와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에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의 각각의 유형 및/또는 모델은 상이한 대역폭 요건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등록된 사용자 장치에 대한 대역폭 요건은 대응하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저장되거나 이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저장된 사용자 장치의 유형 및/또는 모델에 따라 프로세서(29)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각각의 요청에 대해, 일단 비디오 프로그램 및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각각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를 결정하고 나면, 프로세서(29)는 대역폭 할당 및 조절 모듈(24)을 기동하여 사용자 장치들에게 대역폭을 할당한다. 실시예들의 원리에 따르면, 프록시 서버(20)의 가용 대역폭이 불충분하다면, 프로세서(29)는 더 적게 할당된 대역폭을 충족하기 위하여 콘텐츠 적응 모듈(22)을 기동해 비디오 프로그램 및/또는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변환할 수 있다. 비디오에 대한 변환은 다운 샘플링, 프레임 레이트 감축, 또는 스케일가능한 형태이면, 몇 개의 강화된 층의 스킵을 포함할 수 있고,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에 대한 변환은,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들의 다운 샘플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프록시 서버(20)에 로그온했다면, 프록시 서버(20)는 동일한 사용자 계정 하의 각각의 사용자 장치를 주기적으로 폴링한다. 사용자 장치가 폴링에 응답한다면, 프록시 서버는 사용자 장치가 활성이라고 판정한다. 그렇지 않다면, 프록시 서버는 사용자 장치가 비활성이라고 판정한다. 사용자 장치가 전원차단되거나 사용자 장치가 폴링에 응답할 수 없는 비정상적 또는 정상적 상태에 있다면, 사용자 장치가 비활성이다.
사용자 계정 내의 각각의 사용자 장치의 상태에 따라, 프록시 서버(20)는 활성 사용자 장치들 중 어느 것이 요청된 비디오 프로그램 및/또는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것인지를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의 원리에 따라, 제1 및 제2 장치들, 예를 들어, 단독형 사용자 장치(31) 및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이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전화)(33)를 갖는 사용자에게 비디오 프로그램을 배포하기 위한 프록시 서버(20)의 프로세스 흐름(200)을 나타낸다. 양쪽 사용자 장치는 프록시 서버(20)에서의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등록되어 있고 활성인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205)에서, 프록시 서버(20)는 제1 및 제2 장치들 중 하나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 비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 이하의 예시에서, 단독형 사용자 장치(31) 및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는 각각 제1 및 제2 장치로서 예시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프록시 서버(20)에 로그온해야 한다.
단계(210)에서, 프록시 서버(20)는 요청된 비디오 프로그램 및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의 사본을 얻는다. 요청된 비디오 프로그램의 사본을 얻는 프로세스에서, 프록시 서버(20)는 요청된 비디오 프로그램의 사본이 캐쉬(28) 내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존재한다면, 캐쉬(28)는 또한 요청된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관련된 정보")의 사본을 가져야 한다. 요청된 비디오 프로그램이 캐쉬(28)에 있지 않다면, 프록시 서버(20)는 비디오 프로그램의 사본 및 관련된 정보의 사본을 서버(10)에 요청한다. 관련된 정보의 사본이 캐쉬(28) 내에 존재하더라도, 캐쉬(28) 내의 사본이 최신이 아닐 수도 있어서 프록시 서버(20)는 관련된 정보의 사본을 여전히 서버(10)에게 요청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단계(215)에서, 프록시 서버(20)는 적어도 2개의 사용자 장치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단독형 사용자 장치(31)와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 중 제1의 하나의 사용자 장치를 선택해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그 비디오 프로그램을 제1의 선택된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전송한다. 단계(220)에서, 프록시 서버(20)는 거리에 따라 2개의 사용자 장치 중 제2의 하나의 사용자 장치를 선택하고 관련된 정보를 단독형 사용자 장치(31)와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 중 제2의 선택된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전송한다. 이하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제1의 선택된 하나의 사용자 장치는 제2의 선택된 하나의 사용자 장치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실시예의 원리에 따르면, 프록시 서버(20)는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와 단독형 사용자 장치(31)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1의 선택된 하나의 사용자 장치를 선택한다. 프록시 서버(20)는,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위치 정보를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에게 요청하거나 무선 핸드헬드 장치(33)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무선 핸드헬드 장치는, 활성일 때, 자동으로 및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매 20초마다, 그 위치 정보를 프록시 서버(20)에 전송함)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단독형 사용자 장치(31)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프로파일에서 설정되어야 하고 사용자 프로파일 내의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프록시 서버(20)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프로파일 내에 설정된 위치는 단지 거리 주소(street address)일 수 있고, 프록시 서버(20)는 거리 주소에 기초하여 건물 위치를 검색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실시예에서, 프록시 서버(20)는 단독형 사용자 장치(31)의 위치로서 거리 주소와 연관된 건물의 중심을 이용해야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단독형 사용자 장치(31)의 위도와 경도를 구해 그 위치 정보를 사용자 프로파일 내의 대응하는 필드에 입력하기 위해 프록시 서버(20)에 전송한다. 역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독형은 위치파악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록시 서버(20)에 의한 요청시에 또는 자동으로 프록시 서버(20)에 그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록시 서버(20)는, 단독형 사용자 장치(31)에 대한 위치 정보와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따라,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와 단독형 사용자 장치(31) 사이의 거리를 판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핸드헬드 장치는 단독형 장치에 대한 거리를 판정하고 그 거리를 프록시 서버(20)에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핸드헬드 장치가 무선 접속,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단독형 장치에 접속할 수 있을 때, 무선 핸드헬드 장치는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 이내에 있다고 보고하고, 그렇지 않다면, 무선 핸드헬드 장치는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가 크다고 보고한다. 단독형 장치는 역시 동일할 수 있다. 역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독형 장치는 2개의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고 2개의 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거리를 판정하고, 2개의 장치들 사이의 거리로서 측정된 거리를 보고한다.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 예를 들어, 30 피트보다 작다면, 단독형 사용자 장치(31)는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제1의 선택된 하나의 사용자 장치로서 선택되고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는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2의 선택된 하나의 사용자 장치로서 선택된다. 사실상, 프록시 서버(20)는 비디오 프로그램을 단독형 장치(31)에 전송하고 관련된 정보를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에 전송한다. 따라서, 제1의 선택된 하나의 사용자 장치는 제2의 선택된 하나의 사용자 장치와는 상이하다.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크다면, 프록시 서버(20)는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를 제1 및 제2 선택된 하나의 사용자 장치로서 선택하고,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를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에 전송하며, 단독형 사용자 장치(31)에는 어떠한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도 전송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의 선택된 하나의 사용자 장치는 제2의 선택된 하나의 사용자 장치와 동일하다.
한 실시예에서, 프록시 서버(20)가 사용자 장치들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얻지 못하면, 프록시 서버(20)는 거리가 임계치보다 크다고 판정한다. 프록시 서버(20)는 반복적으로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해 시도하고 프록시 서버(20)가 미리 정의된 기간, 예를 들어, 1분 내에 위치 정보를 얻지 못하면, 프록시 서버(20)는 위치 정보를 얻지 못한다고 판정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선택된 제1 및 제2의 하나의 사용자 장치의 선택은 2개의 사용자 장치 중 어느 사용자 장치가 비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지에 의존할 수 있다. 요청이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에 의해 전송된다면, 선택은 전술된 바와 같다. 요청이 단독형 사용자 장치(31)로부터 전송된다면,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 미만일 때의 선택은 전술된 바와 같다. 그러나,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가 크고 요청이 단독형 사용자 장치(31)로부터 전송된다면, 프록시 서버(20)는 제1 및 제2의 선택된 하나의 사용자 장치 양쪽 모두로서 단독형 사용자 장치(31)를 선택한다. 요청이 단독형 사용자 장치(31)에 의해 전송된다면, 사용자는 단독형 사용자 장치(31) 근처에 있어야 하고,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도 역시 근처에 있어야 한다고 가정된다.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가 근처에 있지 않다면, 사용자는 부주의하게 어디론가 떠났다고, 예를 들어, 친구를 방문한 후에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를 가져오는 것을 잊었거나,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를 켜는 것을 잊었거나, 무선 핸드핼드 사용자 장치가 고장났다고 가정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프록시 서버(20)는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크다고 판정해야 하고 제1 및 제2 선택된 하나의 사용자 장치 양쪽 모두로서 단독형 사용자 장치(31)를 선택해야 한다.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가 크고 요청이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로부터 전송된다면, 프록시 서버(20)는 제1 및 제2의 선택된 하나의 사용자 장치로서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를 선택한다. 사용자는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를 이용하고 있어야 한다고 가정된다.
미리 정의된 임계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예시적인 사용자 프로파일 내의 임계치 거리 필드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록시 서버(20)는 사용자가 이 임계치와 단독형 사용자 장치(31)에 대한 위치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 양쪽 모두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는,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프로그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2개 윈도우 등의 분할 스크린을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주어진 순간에 어느 하나를 보기 위한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양쪽 사용자 장치 모두가 활성인 것으로 가정된다. 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는 단독형 사용자 장치와 무선 핸드헬드 장치 각각의 상태를 판정한다; 사용자 장치들 양쪽 모두가 활성이 아니면, 프로세서(20)는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의 전송을 종료한다; 양쪽 사용자 장치가 활성이면, 프로세서(20)는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의 전송을 유지한다; 단 하나의 사용자 장치가 활성이면, 프로세서(20)는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 양쪽 모두를 활성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고, 비활성 사용자 장치에는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는, 2개보다 많은 사용자 장치가 우선순위 정보의 고려와 함께 관여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우선순위를 고려하는 예는 나중에 실시예들 중 하나에서 주어진다.
한 실시예에서, 관련된 정보는 상이한 우선순위를 갖는 2개 이상의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고, 각각의 유형은 대응하는 우선순위를 갖는 대응하는 사용자 장치에 전송된다. 예를 들어, 관련된 정보는 그래픽(이미지) 및 텍스트로 분류될 수 있고 그래픽이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단독형 사용자 장치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프로파일에서 각각의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우리는, 사용자가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2)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에 할당한다고 가정한다.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들 양쪽 모두가 미리 정의된 거리 임계치 내에 있고 비디오가 단독형 사용자 장치(31)에 전송된다면, 그래픽 부분은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에 전송되고 텍스트 부분은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2)에 전송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가 비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요청을 전송한다면, 이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가 된다. 예를 들어,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2)가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갖지만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2)가 요청을 전송하는 장치라면, 이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2)는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것으로 취급되어야 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관련된 정보가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2 및 33)에 전송된다면,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2)에는 그래픽이나 이미지가 전송되어야 하고,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에는 텍스트가 전송되어야 한다.
실시예의 원리의 또 다른 양태에서, 프록시 서버(20)는 모든 사용자를 서빙하기 위해 유한한 대역을 가지며, 가용 대역폭이 비디오 세션에 대한 대역폭 요건을 만족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면 비디오 프로그램 및/또는 관련된 정보를 적응 또는 변환한다. 사용자 장치의 각각의 유형이 상이한 대역폭 요건을 가질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비디오 프로그램을 요청하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프록시 서버의 가용 대역폭이 B이고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이 B1이고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이 B2라고 가정하여, 도 3은, 대역폭 할당 및 조절 모듈(24)과 콘텐츠 적응 모듈(22)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장치에 대역폭을 할당하고 비디오 프로그램, 관련된 정보, 또는 필요하다면 양쪽 모두일 수 있는 콘텐츠를 적응시키기 위한 예시적 프로세스(300)를 도시한다. 단계(305)에서, 프록시 서버(2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새로운 비디오 세션에서, 또는 2개의 사용자 장치들 간의 거리가 기존의 비디오 세션 내의 미리 정의된 거리 임계치보다 크게 될 때, 어느 사용자 장치가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지를 결정했다. 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클 때, 한 사용자 장치는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 양쪽 모두를 수신하고 있고 다른 장치는 양쪽 모두를 수신하지 않는다. 다시 한번, 2개의 사용자 장치의 예가 여기서 예시된다.
단계(310)에서, 프록시 서버(20)는, 가용 대역폭 B가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 B1보다 작은지를 검사한다. B가 B1보다 작지 않다면, 프로세스는 단계 315로 진행하고, 여기서, 프록시 서버(20)는 B1을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에 할당하고 B-B1을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에 할당한다. 단계(330)에서, 프록시 서버(20)는, B-B1이 B2(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보다 작은지를 검사한다. B-B1이 B2보다 작지 않다면, 단계(335)에서 프록시 서버(20)는 B2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에 할당한다.
단계(330)에서 판정되는 바와 같이 B-B1이 B2보다 작다면, 단계(340)에서 프록시 서버(20)는 B-B1을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에 할당한다. 이 때, 콘텐츠 적응 모듈(22)이 기동되어, 예를 들어, 단계(345)에서 B-B1을 만족하도록 관련된 정보의 해상도를 줄임으로써 크기축소 등의 관련된 정보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련된 정보가 이미지를 포함한다면, 이미지의 해상도는 감소되거나 이미지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310에서 판정되는 바와 같이 B가 B1보다 작다면, 단계(320)에서 프록시 서버(20)는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에는 B를 할당하고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에는 아무것도 할당하지 않으며, 단계(325)에서, 프록시 서버(20)는 콘텐츠 적응 모듈(22)을 기동하여 B를 만족하도록 비디오 프로그램을 적응 또는 변환한다. 변환 또는 적응은, 예를 들어, 공간적으로 또는 시간적으로 또는 양쪽 모두로 비디오 프로그램을 다운샘플링함으로써 및 또는 비디오 프로그램이 스케일가능한 비디오라면 몇 개의 더 상위층 데이터의 전송을 스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다운샘플링은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더 낮은 해상도를 야기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될 때 콘텐츠의 임의의 변환 또는 적응은 콘텐츠가 콘텐츠의 초기 품질보다 불량한 품질을 갖게 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프로그램의 초기 해상도가 1280X1024 화소라면, 적응 또는 변환은 1024X786 또는 800X600 등의 더 낮은 해상도를 야기할 수 있다. 1280X1024의 해상도를 갖는 비디오 프로그램은, 800X600의 해상도를 갖는 비디오 프로그램보다 양호한 품질을 갖는 1024X786의 해상도를 갖는 비디오 프로그램보다 양호한 품질을 가진다.
하나의 단독형 사용자 장치와 하나의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실시예의 바로 이 원리는 하나의 단독형 사용자 장치와 하나보다 많은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련된 정보는 이미지와 텍스트 양쪽 모두를 포함한다. 이미지 부분은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지 않는 한 사용자 장치에 전송될 수 있고 텍스트 부분은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지 않는 또 다른 무선 사용자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에 대역폭을 할당한 후에 불충분한 대역폭이 남아 있다면, 나머지 가용 대역폭은 먼저 이미지 부분을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에 할당되고, 남은 대역폭이 있다면, 나머지는 텍스트 부분을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에 할당된다. 다시 한번, 할당된 대역폭이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을 만족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면, 사용자 장치에 전송될 콘텐츠는 할당된 대역폭을 만족하도록 적응 또는 변환되어야 한다.
실시예의 원리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2개의 상이한 사용자 장치에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프록시 서버(20)는 사용자의 시청 또는 시청 변경 정보를 얻고 그에 따라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의 품질을 조절할 수 있다. 이 사상은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최대량의 대역폭을 할당함으로써 시청 변경 정보에 따라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최상의 품질의 콘텐츠가 전송되게 하는 것이다. 최대량은 프록시 서버(20)의 가용 대역폭과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전송되는 콘텐츠의 품질을 최대화하는 것은,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 사용자 장치에 할당되는 대역폭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 다른 사용자 장치에 전송되는 콘텐츠의 품질을 악화시킬 수 있다.
도 4a는, 사용자 시청에 따라 계정에 등록된 제1 및 제2 장치에 대한 대역폭을 조절하기 위한 프로세스(400)를 나타낸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대역폭을 조절하는 것은 사용자 시청을 갖는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의 품질을 최대화해야 하고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의 품질의 열화를 야기할 수 있다.
단계(405)에서, 프록시 서버(20)는 2개의 장치들 중 하나로부터 비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 이하의 예시에서, 단독형 장치(31)와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가 각각 제1 및 제2 장치로서 예시된다.
단계(410)에서, 프록시 서버(20)는 프록시 서버(20)에서 이용가능한 제1 대역폭에 따라 2개의 사용자 장치들 중 하나와 2개의 사용자 장치들 중 다른 하나에 각각 제1 및 제2 양의 대역폭을 할당한다. 할당은,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프로세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단계(415)에서, 프록시 서버(20)는 관련된 정보가 아니라 제1 품질을 갖는 비디오 프로그램을 하나의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고, 단계(420)에서 제2 품질을 갖는 관련된 정보를 다른 사용자 장치에 전송한다.
사용자 장치가 비디오 프로그램, 관련된 정보, 또는 양쪽 모두일 수 있는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할당된 대역폭이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보다 크다면, 크기와 그에 따라 품질을 줄이기 위해 콘텐츠를 변환할 필요없이 콘텐츠는 그 초기 품질로 전송되어야 한다. 그러나, 할당된 대역폭이 대역폭 요건보다 작다면, 콘텐츠는 할당된 대역폭을 만족하도록 크기를 줄이기 위해 변환되어야 하고, 그 결과 품질은 초기 품질보다 불량하다.
예를 들어, 제1 할당된 양이 한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보다 크다면, 제1 품질은 비디오 프로그램의 초기 품질이고 제1 할당된 양이 한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보다 작다면, 제1 품질은 비디오 프로그램의 초기 품질보다 불량하다. 이것은 관련된 정보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제2 할당된 양이 다른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보다 크다면, 제2 품질은 관련된 정보의 초기 품질이고 제2 할당된 양이 다른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보다 작다면, 제2 품질은 관련된 정보의 초기 품질보다 불량하다.
초기 품질을 갖는 콘텐츠의 변환은, 콘텐츠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예를 들어, 공간적으로 또는 시간적으로 해상도를 줄임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425)에서, 프록시 서버(20)는 사용자의 제1 시청 변경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의 품질을 최대화하도록 제1 및 제2 할당된 양을 조절한다. 이 사상은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전송되는 콘텐츠의 최상의 품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도 4b는 단계(425)의 상세사항을 나타낸다. 단계(4251)에서, 프록시 서버(20)는 제1 시청 변경 정보에 따라 어느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시청을 갖는지를 판정한다. 제1 시청 변경 정보는, 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시청이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로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시청 변경 정보가 사용자 시청이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로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낸다면, 그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는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한 후에 사용자 시청을 가진다. 제1 시청 변경 정보가 사용자 시청이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낸다면, 그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는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한 후에 사용자 시청을 잃고 다른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시청을 갖는 것으로 판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2개의 사용자 장치는 동일한 사용자 계정 하에 있고 동일한 비디오 세션에 있다.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가 비디오 프로그램 또는 관련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해야 한다면,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는 비디오 세션에 있다. 비디오 세션에 있지 않은 사용자 장치가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면, 프록시 서버(20)는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가 비디오 세션에 있는지를 검사할 수 있고, 전송하는 장치가 비디오 세션에 있지 않다면 프록시 서버(20)는 시청 변경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추가의 행동을 취하지 않는다.
단계(4252)에서, 프록시 서버(20)는 할당된 양의 대역폭("BW")이 제1 시청 변경 정보에 따른 사용자 시청의 BW 요건보다 작은지를 검사한다. 대역폭 요건보다 작지 않다면, 단계(4253)에서 프록시 서버(20)는 제1 및 제2 할당된 양을 유지함으로써 제1 및 제2 할당된 양을 조절하고 프로세스는 조절된 양에 따라 2개의 사용자 장치에 각각 전송되는 콘텐츠의 품질의 조절로 진행한다. 제1 및 제2 할당된 양은 유지되기 때문에, 프록시 서버(20)는 제1 및 제2 품질을 유지함으로써 품질을 조절한다. 그 다음, 프로세스는 새로운 시청 변경 정보의 수신으로 진행한다.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대한 할당된 양이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보다 작다면, 단계(4254)에서 프록시 서버(20)는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대한 할당된 양을 증가시키고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 사용자 장치에 대한 할당된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할당된 양을 조절한다. 단계(4255)에서, 프록시 서버(20)는 조절된 양에 따라 2개의 사용자 장치에 각각 전송된 콘텐츠의 품질을 조절한다. 그 다음, 프로세스는 새로운 시청 변경 정보의 수신으로 진행한 다음, 단계(4251)로 돌아온다.
품질을 조절하는 단계는,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대한 조절된 할당된 양이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보다 작지 않다면, 초기 품질을 갖는 콘텐츠를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대한 조절된 할당된 양이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대한 대역폭 요건보다는 작지만 할당량보다는 많다면,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대한 조절된 할당된 양을 만족하도록 초기 품질을 갖는 콘텐츠를 제3 품질(제3 품질은 제1 품질보다 양호함)을 갖는 콘텐츠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대한 콘텐츠의 품질이 최대화된다.
단계(4254)에서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 사용자 장치에 대한 조절된 할당된 양이 감소되기 때문에, 단계(4255)에서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 사용자 장치에 전송되는 콘텐츠의 품질도 역시 조절된다. 조절은, 예를 들어, 초기 품질 또는 현재 전송중인 품질을 갖는 콘텐츠를 감소된 대역폭을 만족하는 제3 품질을 갖는 콘텐츠로 변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품질은 변환 때문에 초기 품질이나 콘텐츠의 전송에서 이전에 이용된 품질보다 불량해야 한다.
프록시 서버(20)는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수신한 후에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하지 않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제2 시청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시청 변경 정보와 제2 시청 변경 정보 사이에는 어떠한 시청 변경 정보도 수신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시청이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수신하기 이전에 동일한 사용자 장치로 다시 전환되기 때문에 프록시 서버(20)는 제1 및 제2 할당된 양을 회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프록시 서버(20)는 시청 변경 정보 신호에 응답하여 다시 한번 서버에서의 가용 대역폭(제2 가용 대역폭)을 판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프록시 서버(20)는 제2 가용 대역폭(프록시 서버(20)에서의 새로이 판정된 가용 대역폭)에 따라 제1 및 제2 할당된 양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프록시 서버(20)는 제2 시청 변경 정보에 따라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전송되는 콘텐츠의 품질을 최대화하는 제3 양의 대역폭을 할당하고; 제2 가용 대역폭 및 제3 양에 따라 제4 양의 대역폭을 할당한다. 제3 양은 제2 시청 변경 정보에 따라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 및 제2 가용 대역폭보다 많아서는 안 된다. 품질이 최대화되기 때문에, 제3 양은,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에까지 이르는 제2 가용 대역폭에 의해 허용가능한 최대치이어야 한다. 프록시 서버(20)는 제1 시청 변경 정보에 응답하여 유사한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시청 변경 정보에 응답하여, 프록시 서버(20)는,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의 품질을 최대화하기 위해 전체의 가용 대역폭을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할당할 수 있다. 그 결과, 프록시 서버(20)는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 사용자 장치에 전송되기로 되어 있는 어떠한 콘텐츠도 전송하지 않는다. 이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시청이 다시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 사용자 장치로 전환된다면, 이전에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 사용자 장치는 새로이 할당된 양의 대역폭에 따라 동등하거나 더 양호한 품질을 갖는 콘텐츠를 수신해야 한다.
단독형 사용자 장치(31)가 관련된 정보가 아니라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는 비디오 프로그램이 아니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있고,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는, 사용자가 시청을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로 전환하는 것을 검출하고,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프록시 서버(20)에 전송한다.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는,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하기 이전에 수신된 것과 적어도 동일한 품질을 갖는 관련된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만일 조절 이후에, 단독형 사용자 장치(31)가 사용자가 시청을 다시 전환했다는 것을 검출하고 제2 시청 변경 정보를 프록시 서버(20)에 전송한다면, 프록시 서버(20)는 제2 사용자 시청 변경 정보에 응답하여 할당된 양을 제1 시청 변경 정보를 수신하기 이전의 양으로 복구하거나 프록시 서버(20)에서의 새로이 판정된 가용 대역폭에 따라 그 양을 재할당해야 한다.
2개의 상이한 사용자 장치가 예시되어 있지만, 본 출원의 원리는 3개 이상의 사용자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독형 사용자 장치(3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2), 및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가 비디오 세션에 관여된다. 단독형 사용자 장치(31)가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있다고 가정하면, 무선 사용자 장치(32 및 33)는 각각 관련된 정보의 텍스트 부분 및 그래픽 부분을 수신하고 있다. 이 때, 프록시 서버(20)는 시청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 사용자 장치(32)가 사용자 시청을 가진다고 판정한다. 프록시 서버(20)는 다음과 같이 할당된 양의 대역폭을 조절해야 한다: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2)에 대해 할당된 양을 증가시키고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와 단독형 사용자 장치(31) 사이에 나머지 대역폭을 할당한다. 비디오 프로그램은 그래픽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것으로 간주되므로, 나머지 대역폭은 먼저 단독형 사용자 장치(31)의 대역폭 요건을 충족하는데 이용되고 나머지는 그 다음에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에 할당된다. 보통은, 이 실시예에서, 비디오 프로그램은, 관련된 정보의 텍스트 부분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관련된 정보의 그래픽 부분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그러나,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전송되는 콘텐츠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콘텐츠를 취해야 한다. 따라서, 대역폭은 먼저,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이어야 하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에 대한 대역폭 요건을 충족하도록 할당되고 나서, 가용 대역폭의 나머지는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 사용자 장치이어야 하는 그 다음의 가장 높은 우선순위 콘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을 충족하도록 할당되고 나서, 그 나머지의 나머지는,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 사용자 장치이어야 하는 그 다음 다음의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를 충족하도록 할당되는 등등의 방식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원리에 따르면, 대역폭은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의 우선순위에 따라 할당되거나 조절된다.
3개의 사용자 장치, 예를 들어, 단독형 사용자 장치(3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2), 및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33)가 비디오 세션에 관여되고, 시청 변경 정보가 사용자 시청이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로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낸다면, 프록시 서버(20)는 그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시청을 갖는다고 판정한다. 그러나, 시청 변경 정보가 사용자 시청이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낸다면, 프록시 서버(20)는, 사용자 시청이 더 낮은 우선순위 콘텐츠를 수신하는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사용자 장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더 높은 우선순위 콘텐츠를 수신하는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사용자 장치에 있다고 판정한다.
한 실시예에서, 프록시 서버(20)는 비디오 세션에 관여된 각각의 사용자 장치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양쪽 사용자 장치들이 활성이 아니면, 프록시 서버(20)는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의 전송을 중단한다; 단 하나의 사용자 장치가 활성이면, 프록시 서버(20)는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 양쪽 모두를 활성 사용자 장치에 전송한다. 2개보다 많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3개의 사용자 장치가 관여되는 경우, 모든 사용자 장치가 활성이면, 아무런 동작도 필요하지 않다. 단 하나가 활성이면,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 양쪽 모두가 활성의 사용자 장치에 전송된다. 단 2개가 활성이고 비활성의 하나의 사용자 장치가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있었다면, 2개의 활성 사용자 장치 중 더 높은 우선순위의 사용자 장치가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다른 사용자 장치는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비활성의 하나의 사용자 장치가 관련된 정보의 그래픽 또는 텍스트 등의 한 부분을 수신하고 있었다면, 관련된 정보의 다른 부분을 수신하고 있는 활성의 하나의 사용자 장치는 또한 관련된 정보의 그 한 부분을 수신해야 한다; 즉, 활성의 하나의 사용자 장치는 관련된 정보의 양쪽 부분을 수신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록시 서버(20)는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와 단독형 사용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주기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 이내이면, 프록시 서버(2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할당된 양을 조절한다.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 이내에 있지 않다면, 조절하는 단계는,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을 만족하도록 제1 가용 대역폭을 할당하고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 사용자 장치에 어떠한 대역폭도 할당하지 않고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 사용자 장치에 어떠한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도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중에, 프록시 서버(20)가 제2 시청 변경 정보로부터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 사용자 장치("다른 사용자 장치")가 이제는 사용자 시청을 갖는다고 판정한다면, 프록시 서버(20)는 그 다른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을 충족하도록 가용 대역폭을 할당하고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 양쪽 모두를 그 다른 장치에 전송한다. 프록시 서버(20)는, 프록시 서버(20)가 제2 시청 변경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사용자 시청을 앞서 갖고 있는 사용자 장치에 어떠한 대역폭도 어떠한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도 할당하지 않는다.
3개의 사용자 장치가 관여되어 있고 양쪽의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가 미리 정의된 거리 임계치 이내에 있지 않다면, 프록시 서버(20)는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을 만족하도록 가용 대역폭을 할당하고,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 양쪽 모두를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며,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 다른 2개의 사용자 장치에는 어떠한 대역폭도 할당하지 않고 어떠한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도 전송하지 않는다. 따라서, 임의의 시청 변경 정보에 응답하여,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만이 대역폭을 얻고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단 하나의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범위내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 거리 이내에 있고 다른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범위밖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시청을 갖고 있다면, 프록시 서버(20)는 사용자 시청을 갖는 범위밖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을 만족하도록 가용 대역폭을 할당하고,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 양쪽 모두를 사용자 시청을 갖는 범위밖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며,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 다른 2개의 사용자 장치에는 어떠한 대역폭도 할당하지 않고 어떠한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도 전송하지 않는다. 그러나, 범위밖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다면, 프록시 서버(20)는 범위내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와 단독형 사용자 장치 사이의 대역폭을 비디오 세션 내의 2개의 사용자 장치의 실시예에 관해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 시청 정보에 따라 조절하고, 범위밖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는 이제, 예를 들어, 도 2의 프로세스(200)의 배포 부분에 따라, 범위내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와 단독형 사용자 장치에 전송된다. 나중에, 프록시 서버(20)가 제2 시청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범위밖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시청을 갖는다고 판정한다면, 프록시 서버(20)는 사용자 시청을 갖는 범위밖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의 대역폭 요건을 만족하도록 가용 대역폭을 할당하고,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 양쪽 모두를 사용자 시청을 갖는 범위밖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며, 사용자 시청을 갖지 않는 다른 2개의 사용자 장치에는 어떠한 대역폭도 할당하지 않고 어떠한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도 전송하지 않는다. 프록시 서버(20)가 제2 시청 변경 정보로부터 범위내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와 단독형 사용자 장치 중 하나가 사용자 시청을 가진다고 판정한다면, 전술된 바와 같이, 2개의 사용자 장치 실시예에 따라 조절이 이루어진다.
사용자 장치는, 머리 방향(head orientations)의 추적, 1개 또는 2개의 카메라를 이용한 눈동자 움직임(eye movements)의 추적, 입력 요소로부터의 입력 검출, 또는 터치 감응형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터치의 검출 등의, 종래의 방식으로 사용자로부터의 시청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의 시청이 사용자 장치로 또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환된다는 것을 검출할 때 시청 변경 정보를 프록시 서버(20)에 전송한다. 잘못된 시청 변경 또는 너무 빈번한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의 품질 변경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 장치는, 시청 변경을 검출한 후에, 미리 정의된 기간, 예를 들어, 10초동안 아무런 새로운 시청 변경도 없다는 것을 검출한 후에 시청 변경 정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 장치들(31, 32, 및 33)에 대한 예시적 실시예인 사용자 장치(50)를 나타낸다. 사용자 장치(50)는, 입력/출력(I/O) 블록(510) 등의 I/O 수단, 제어기(520) 등의 제어 및 처리 수단, 물리적 버튼/키 블록(580) 등의 사용자 입력 수단, 메모리(540) 등의 데이터 스토리지 수단, 디스플레이(550)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 (단독형 사용자 장치(31)에 대해서는 선택사항인) GPS(560) 등의 위치파악 수단, 카메라(570) 등의 사용자 시청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도 5의 전술한 요소들 중 일부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IC)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소정의 제어 신호, 전력 신호, 및/또는 기타의 요소 등의 사용자 장치(50)와 연관된 소정의 종래의 요소들은 도 5에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I/O 블록(510)은 사용자 장치(50)의 I/O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I/O 블록(510)은, 셀 전화, (네트워크(41 및 43) 등의) 인터넷 및/또는 기타의 네트워크 소스 등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로부터 유선 및/또는 무선 방식으로 디지털 변조 포멧(들)으로 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데이터 신호 등의 신호를 수신하고, 유선 및/또는 무선 방식으로 이러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된다. I/O 블록(510)은 유선 및/또는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임의 유형의 I/O 인터페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개별 컴포넌트(예를 들어, 안테나(들), 플러그(들) 등)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520)는 단일의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개의 유사하거나 상이한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제어기(520)는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및 기술의 수행을 용이하게 하고 가능케하는 사용자 장치(50)의 다양한 신호 처리 및 제어 기능을 수행(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 등을 실행)하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520)는 I/O 블록(510)으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또는 기타의 요소(들)를 통해 사용자 장치(50)와 연관된 모든 필요한 처리 및 제어 기능을 수행 및/또는 가능케 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520)는, 튜닝, 복조, 순방향 에러 정정, 및 트랜스포트 처리 기능을 포함한 기능들을 수행함으로써 I/O 블록(510)으로부터 제공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데이터 콘텐츠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된다. 이러한 처리 기능으로부터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는 추가의 처리 및/또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550)를 통한) 출력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역시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520)는, 물리적 버튼/키 블록(580)을 통해 이루어지는 사용자 입력의 처리, 사용자 입력에 응답한 사용자 장치(50)의 기능 제어(예를 들어, 음량 및 채널 제어 기능 등), 메모리(540)와의 데이터 판독 및 기입, 디스플레이(550)를 통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비디오, 가상 버튼/키, 메뉴 등)의 인에이블, 및/또는 여기서 설명될 수 있는 다른 동작들을 포함한 그러나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다른 기능들을 수행 및/또는 가능케하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된다.
물리적 버튼/키 블록(580)은 사용자 장치(50)의 사용자 오퍼레이터로부터 물리적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물리적 버튼/키보드 블록(580)은 디스플레이(550) 둘레에 대칭적 및/또는 기타의 적절한 방식으로 배열된 복수의 물리적 버튼 및/또는 키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0)의 하우징 내에서 구성되고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입력들도 역시 디스플레이(55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메모리(540)는 제어기(520)에 동작적으로 결합되어 사용자 장치(50)의 데이터 스토리지 기능을 수행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540)는, 여기서 설명된 것들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소프트웨어 코드 및 기타의 데이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예를 들어, 가상 버튼/키, 메뉴, 브라우저 등), 사용자 선택/셋업 데이터, 및/또는 기타의 데이터를 포함한 그러나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디스플레이(550)는 제어기(520)의 제어에 따라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는 시각적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550)는 가상 버튼/키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제공하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됨으로써, 사용자 오퍼레이터가 제어기(520)에 의해 수신되고 처리되는 (물리적 버튼/키 블록(580)을 통해 제공되는 것들과는 별개의) 입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디스플레이(550)는,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임의 유형의 적절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570)는 그 초점 영역 내의 물체의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되고 이미지의 사본을 메모리(540)에 저장한다. 한 실시예에서, 이미지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포함하는 이미지이다. 사용자 장치(50) 내의 카메라(570)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세서(520)는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청이 사용자 장치(50)로 또는 사용자 장치(50)로부터 전환되는지를 머리 이미지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50)는, 제2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프로세서(520)가 사용자 시청 변경을 더욱 정확히 판정할 수 있게 한다. 일단 프로세서(520)가 사용자 시청 변경을 검출하고 나면, 프로세서(520)는 시청 변경 정보를 프록시 서버(20)에 전송한다. 시청 변경 정보는 사용자 시청이 사용자 장치(50)로 또는 사용자 장치(50)로부터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520)가 디스플레이(550) 또는 물리적 버튼/키(58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면, 프로세서(520)는 사용자 시청이 사용자 장치(50)로 전환된다고 판정한다.
GPS(520)는 사용자 장치(50)의 위치 정보를 얻도록 동작하거나 구성되고 프로세서(520)는 현재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매 5초마다, 또는 프록시 서버(20)에 의한 요청시에 보고해야 한다. GPS(520)는 단독형 사용자 장치에 대해 선택사항이다.
도 6은 사용자 장치(50)가 단독형 사용자 장치로서 기능하고 있는 경우의 프로세스 흐름(600)을 예시한다. 단계(605)에서, 프로세서(520)는 제1 장치의 위치 정보를 서버(20)에 전송한다. 제1 장치는 단독형 사용자 장치로서 등록되고 프로세스 흐름(600)의 이하의 예시에서, 단독형 사용자 장치와 무선 핸드헬드 장치는 각각 동일한 계정에 등록된 제1 장치와 제2 장치를 예시한다.
단계(610)에서, 프로세서(52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비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요청을 프록시 서버(20)에 전송한다. 단계(615)에서, 프로세서(520)는 프록시 서버(20)로부터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단계(620)에서, 프로세서(520)는 위치 정보에 따라 프록시 서버(20)로부터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제1 장치의 위치 정보는 동일한 사용자 계정 하에 등록된 단독형 사용자 장치와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판정하기 위해 프록시 서버(20)에 의해 이용된다. 거리는 위치 정보에 의존하기 때문에, 프로세서(520)는 거리에 따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사용자 계정 하의 제1 무선 사용자 장치가 활성이면, 제1 무선 사용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그 위치 정보를 프록시 서버(20)에 전송하여, 프록시 서버(20)가 단독형 사용자 장치와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판정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사용자는 셋업 프로세스 동안에 또는 단독형 사용자 장치가 이동되었을 때 단독형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 프로파일에서 단독형 사용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단독형 사용자 장치에 위치파악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면, 단독형 사용자 장치는 단독형 사용자 장치가 이동되었을 때 그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작다면, 단독형 사용자 장치는,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면서, 단계(615)의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관련된 정보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는 비디오 프로그램이 아니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크다면,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따라서, 단독형 사용자 장치는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 양쪽 모두를 수신하고,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는 어떠한 관련된 정보 및 어떠한 비디오 프로그램도 수신하지 않는다.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 미만이어서 단독형 사용자 장치가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며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가 이동되어 거리가 이제는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크게 되면, 2개의 실시예가 개시된다. 제1 실시예에서, 단독형 사용자 장치는 단독형 사용자 장치가 활성으로 머물러 있다면 비디오 프로그램 및 관련된 정보 양쪽 모두를 수신해야 하고,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는 어떠한 비디오 프로그램 및 어떠한 관련된 정보도 수신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사용자가 단독형 사용자 장치로부터 비디오 프로그램을 시청하는데 관심이 없다면, 그 사용자는, 예를 들어, 단독형 사용자 장치를 오프시킴으로써, 단독형 사용자 장치를 비활성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제2 실시예에서, 단독형 사용자 장치는 어떠한 비디오 프로그램 및 어떠한 관련된 정보도 수신하지 않고,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가 양쪽 모두를 수신한다. 그 이유는, 사용자는 사용자가 집을 떠날 때 항상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를 가져와야 하기 때문이다.
단독형 사용자 장치는 또한, 종래의 방식으로 카메라(570)에 의해 찍힌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단독형 사용자 장치에 관한 사용자의 시청 변경을 검출하고, 시청 변경 정보를 생성하며, 시청 변경 정보를 프록시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시청 변경 정보는 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시청이 단독형 사용자 장치로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독형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단독형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시청이 단독형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하고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작다면, 도 4b에 관해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는 동등하거나 더 양호한 품질의 콘텐츠를 수신해야 하고 단독형 사용자 장치는 동등하거나 더 불량한 품질의 콘텐츠를 수신해야 한다. 그 후,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시청이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하고 거리가 여전히 미리 정의된 임계치 미만이라면, 단독형 사용자 장치와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에 의해 각각 수신되는 콘텐츠의 품질은 제1 시청 변경 정보가 프록시 서버(20)에 전송되기 이전의 것으로 복구되어야 한다.
단독형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시청이 단독형 사용자 장치로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하고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작다면, 예를 들어 도 4b에 관해 전술된 바와 같은 프로세스에 따라, 단독형 사용자 장치는 동등하거나 더 불량한 품질을 갖는 콘텐츠를 수신해야 하고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는 동등하거나 더 불량한 품질을 갖는 콘텐츠를 수신해야 한다.
단독형 사용자 장치에 관해 미리 정의된 임계치 거리 내에 제2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도 역시 있고 관련된 정보가 하나보다 많은 사용자 장치에 전송되는 것이 허용된다면, 관련된 정보의 이미지(그래픽) 부분은 제1 및 제2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 중 더 높은 우선순위의 장치에 의해 수신되고 텍스트 부분은 다른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신된다. 단독형 사용자 장치로부터의 또는 단독형 사용자 장치로의 사용자 시청 전환에 응답하여 단독형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의 품질의 변경은 도 4b와 관련된 이전 설명으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 장치(50)가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로서 기능하고 있는 경우의 프로세스 흐름(700)을 예시한다. 단계(705)에서, 프로세서(520)는 제1 장치의 위치 정보를 서버(20)에 전송한다. 제1 장치는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로서 등록되고 프로세스 흐름(700)의 이하의 예시에서,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와 단독형 사용자 장치는 각각 동일한 계정에 등록된 제1 장치와 제2 장치를 예시한다.
단계(710)에서, 프로세서(52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비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요청을 프록시 서버(20)에 전송한다. 단계(715)에서, 프로세서(520)는 위치 정보에 따라 프록시 서버(20)로부터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단계(720)에서, 프로세서(520)는 위치 정보에 따라 프록시 서버(20)로부터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제1 장치의 위치 정보는 동일한 사용자 계정 하에 등록된 단독형 사용자 장치와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판정하기 위해 프록시 서버(20)에 의해 이용된다. 거리는 위치 정보에 의존하기 때문에, 프로세서(520)는 거리에 따라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거리에 따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프로세서(520)는 제1 무선 핸드헬드 장치의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시에 프록시 서버(20)에 전송하여, 프록시 서버(20)는 단독형 사용자 장치와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판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작다면,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715)는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710)는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지 않으며, 단독형 사용자 장치는 관련된 정보가 아니라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그 이유는, 단독형 장치는 더 큰 디스플레이를 가져야 하고 사용자가 비디오 프로그램을 시청하기에 더욱 편안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작다면,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715)는 어떠한 관련된 정보도 수신하지 않고,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710)는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며, 단독형 사용자 장치는 비디오 프로그램이 아니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그 이유는, 비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장치는 그 요청된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해야 하기 때문이다.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작고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가 이동되어 거리가 이제는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가 크다면, 단독형 사용자 장치는 어떠한 비디오 프로그램 및 어떠한 관련된 정보도 수신하지 않고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는 양쪽 모두를 수신한다. 그 이유는 사용자가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로부터 요청을 했고 사용자가 집을 떠날 때는 항상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를 가져와야 하기 때문이다.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는 또한, 종래의 방식으로 카메라(570)에 의해 찍힌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에 관한 사용자의 시청 변경을 검출하고, 시청 변경 정보를 프록시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시청 변경 정보는, 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시청이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로 전환되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는 또한, 디스플레이(550) 또는 물리적 버튼/키(58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 시청이 자신에게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시청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시청이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하고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작다면, 도 4b에 관해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는 동등하거나 더 불량한 품질을 갖는 콘텐츠를 수신해야 하고 단독형 사용자 장치는 동등하거나 더 양호한 품질의 콘텐츠를 수신해야 한다. 그 후, 단독형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시청이 제1 단독형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하고 거리가 여전히 미리 정의된 임계치 미만이라면, 단독형 사용자 장치와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에 의해 각각 수신되는 콘텐츠의 품질은 제1 시청 변경 정보가 프록시 서버(20)에 전송되기 이전의 것으로 복구되어야 한다.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가 사용자 시청이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로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시청 변경 정보를 전송하고 거리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보다 작다면, 예를 들어 도 4에 관해 전술된 프로세스에 따라,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는 동등하거나 더 불량한 품질을 갖는 콘텐츠를 수신해야 하고 단독형 사용자 장치는 동등하거나 더 불량한 품질을 갖는 콘텐츠를 수신해야 한다.
단독형 사용자 장치에 관해 미리 정의된 임계치 거리 내에 제2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도 역시 있고 관련된 정보가 하나보다 많은 사용자 장치에 전송되는 것이 허용된다면, 관련된 정보의 이미지(그래픽) 부분은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지 않는 사용자 장치들 중 더 높은 우선순위의 장치에 의해 수신되고 텍스트 부분은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지 않는 사용자 장치들 중 더 낮은 우선순위의 장치에 의해 수신된다.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로의 또는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로부터의 사용자 시청 전환에 응답하여 제1 무선 핸드헬드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콘텐츠의 품질의 변경은 도 4b와 관련된 이전 설명으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 원리는, 스마트 TV 등의 단독형 사용자 장치, 및 모바일 전화 장치 등의 하나 이상의 무선 핸드헬드 전자 장치, 터치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PC), 원격 제어 장치, 및/또는 유익하게도 서버로부터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는 기타의 장치로의 비디오 프로그램 및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의 바람직한 배포를 제공한다. 요청된 프로그램 및 요청된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관련된 정보)는 바람직하게 2개의 상이한 사용자 장치에 전송되어 비디오 세션에 관여된 단독형 사용자 장치와 다른 사용자 장치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대역폭을 절감한다. 콘텐츠의 품질은 사용자의 시청에 의존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 시청을 갖는 사용자 장치는 서버에서의 가용 품질에 의해 허용가능한 최상의 품질을 갖는 콘텐츠를 수신해야 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설계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본 개시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그 일반 원리를 이용한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법, 또는 개조를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 출원은, 본 개시로부터의 이러한 이탈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의 및 첨부된 청구항들의 제한 내에 드는 공지된 실시 또는 관행 내에 해당되기 때문에, 본 개시로부터의 이러한 이탈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42)

  1. 비디오 프로그램 및 상기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700)으로서,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장치(31, 33) 중 제2 수신기 장치(33)에 의해,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710) - 상기 비디오 프로그램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장치 중 제1 수신기 장치(31)에 의해 서버 장치로부터 요청됨 - ;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장치 중 상기 제1 수신기 장치 대신에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장치 중 상기 제2 수신기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수신기 장치 및 상기 제2 수신기 장치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수신기 장치 중 상기 제1 수신기 장치에 의해 요청된 상기 비디오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단계(715)
    를 포함하는 방법(7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기 장치 및 상기 제2 수신기 장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서버 장치가 이용가능한 상기 제1 수신기 장치 및 상기 제2 수신기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서버 장치에 의해 판정되는, 방법(7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기 장치 및 상기 제2 수신기 장치 사이의 상기 거리가 임계치보다 클 때, 상기 제2 수신기 장치가, 상기 제1 수신기 장치에 의해 요청된 상기 비디오 프로그램을 상기 제1 수신기 장치 대신 수신하는, 방법(700).
  4. 수신기 장치(33)로서,
    메모리(540); 및
    상기 메모리(54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520)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520)는,
    비디오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 상기 비디오 프로그램은 다른 수신기 장치(31)에 의해 서버 장치로부터 요청됨 - ,
    상기 수신기 장치 및 상기 다른 수신기 장치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수신기 장치에 의해 요청된 상기 비디오 프로그램을 상기 다른 수신기 장치 대신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 장치(33).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KR1020157037155A 2013-06-05 2013-06-05 멀티스크린 시청용 콘텐츠 배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2103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3/076775 WO2014194490A1 (en) 2013-06-05 2013-06-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distribution for multiscreen view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072A KR20160019072A (ko) 2016-02-18
KR102103051B1 true KR102103051B1 (ko) 2020-04-21

Family

ID=5200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7155A Active KR102103051B1 (ko) 2013-06-05 2013-06-05 멀티스크린 시청용 콘텐츠 배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60134948A1 (ko)
EP (2) EP3261354A1 (ko)
JP (1) JP2016527747A (ko)
KR (1) KR102103051B1 (ko)
CN (1) CN105379289B (ko)
CA (1) CA2913608C (ko)
HK (1) HK1223213A1 (ko)
MX (1) MX370927B (ko)
RU (1) RU2628569C2 (ko)
WO (1) WO2014194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477B1 (ko) * 2015-02-17 2021-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KR101968725B1 (ko) * 2017-05-19 2019-04-12 네이버 주식회사 음성요청에 대응하는 정보 제공을 위한 미디어 선택
US10990812B2 (en) * 2018-06-20 2021-04-27 Agora Lab, Inc. Video tagging for video communications
CA3176689A1 (en) * 2018-09-04 2020-04-30 DraftK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adjusting display content and parameters on a display device
CN114846810B (zh) * 2019-12-31 2023-08-22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4465A (ja) * 1999-02-03 2000-08-11 Ricoh Co Ltd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US7284201B2 (en) * 2001-09-20 2007-10-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ser attention-based adaptation of quality level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real-time multi-media content delivery and distribution
JP2006108902A (ja) * 2004-10-01 2006-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7089086A (ja) * 2005-09-26 2007-04-05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情報端末及び画像管理プログラム
CN101438256B (zh) * 2006-03-07 2011-12-21 索尼株式会社 信息处理设备、信息通信系统、信息处理方法
WO2007113580A1 (en) * 2006-04-05 2007-10-11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Intelligent media content playing device with user attention detection, corresponding method and carrier medium
US8478880B2 (en) * 2007-08-31 2013-07-02 Palm, Inc. Device profile-based media management
US20090249405A1 (en) * 2008-03-31 2009-10-01 Broadcom Corporation Video transmission system with edge device for adjusting video streams based on device parameters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JP4735677B2 (ja) * 2008-08-07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情報提供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提供サーバ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US20100205628A1 (en) * 2009-02-12 2010-08-12 Davis Bruce L Media processing methods and arrangements
US8775668B2 (en) * 2008-12-10 2014-07-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direction of multimedia content between receiver devices associated with a user
JP5695819B2 (ja) * 2009-03-30 2015-04-0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テレビ操作方法
WO2010136866A1 (en) * 2009-05-26 2010-12-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media session
EP2315429B1 (de) * 2009-10-06 2016-03-3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Verfahren, Vorrichtung und System zur selektiven Ausgabe von Multimediainhalten
US9201627B2 (en) * 2010-01-05 2015-12-01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content between user equipmen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8640021B2 (en) * 2010-11-12 2014-01-28 Microsoft Corporation Audience-based presentation and customization of content
AT512381B1 (de) * 2011-03-18 2018-12-15 Dipl Ing Cebrat Gerfried Fensterbalken (Fensterläden) mit beidseitig ausstellbaren Solarpanelen
CN102263990A (zh) * 2011-07-29 2011-11-3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数字电视节目播放的方法、装置及系统
US20130173765A1 (en) * 2011-12-29 2013-07-0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signing roles between user devices
US9769512B2 (en) * 2012-11-08 2017-09-19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edia based on viewer behavior
KR101486246B1 (ko) * 2013-04-03 2015-01-30 이광복 고객 또는 사업자의 공간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푸쉬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79289B (zh) 2019-01-22
CA2913608C (en) 2021-10-26
RU2628569C2 (ru) 2017-08-21
WO2014194490A1 (en) 2014-12-11
RU2015156330A (ru) 2017-07-14
HK1223213A1 (zh) 2017-07-21
MX370927B (es) 2020-01-03
KR20160019072A (ko) 2016-02-18
EP3261354A1 (en) 2017-12-27
CA2913608A1 (en) 2014-12-11
EP3005685A4 (en) 2017-02-22
MX2015016736A (es) 2016-03-21
JP2016527747A (ja) 2016-09-08
EP3005685A1 (en) 2016-04-13
US20160134948A1 (en) 2016-05-12
CN105379289A (zh)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62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distribution for multiscreen viewing wherein video program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video program are transmitted to a second device but not to a first devic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devices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KR102279600B1 (ko) 휴대 기기에서의 동작 방법,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휴대 기기 및 컨텐츠 재생 장치
US102124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distribution for multi-screen viewing
US99303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distribution multiscreen viewing
KR102103051B1 (ko) 멀티스크린 시청용 콘텐츠 배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4330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rogramming information for media content to a wearable device
JP2013247544A (ja) 携帯端末装置
KR20130083740A (ko) 서버, 클라이언트 장치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제어 방법
JP6448727B2 (ja) マルチスクリーンビューイング用のコンテンツ配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6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10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