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01951B1 -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951B1
KR102101951B1 KR1020180096787A KR20180096787A KR102101951B1 KR 102101951 B1 KR102101951 B1 KR 102101951B1 KR 1020180096787 A KR1020180096787 A KR 1020180096787A KR 20180096787 A KR20180096787 A KR 20180096787A KR 102101951 B1 KR102101951 B1 KR 10210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fraction
lip
c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258A (ko
Inventor
박성민
이정노
김지은
유길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180096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95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9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우스립(Primula veris)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 개선용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scalp improvement with the extract of cowslip}
본 발명은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며, 비듬 개선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보이는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를 덮고 있는 피부조직은 각 부위에 따라 얼굴, 손등, 손바닥 등과같이 다양한 명칭으로 구분되며 그 중 두부를 보호하고 있는 부분의 피부조직을 두피(scalp)라고 한다. 두피는 다른 피부조직과 마찬가지로 표피층, 진피층, 피하조직의 3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피는 한선과 피지선이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피지를 먹이로 하는 말라세지아(Malassezia)가 성장하기 쉬운 조건을 갖추고 있다. 말라세지아는 담자균류(Basidiomycota)에 속하는 진균의 속으로 사람의 피부에서 주로 관찰되며, 특정 조건에서 피부의 표면 감염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두피염과 지루성 피부염, 습진, 비듬, 가려움증, 탈모, 여드름 등을 유발한다. 특히, 비듬 생성의 주 원인균으로 알려진 말라세지아 퍼르퍼르(Malassezia furfur)는 지루 부위에 상존하는 정상균총의 약 46%를 차지하며 기후, 땀, 음식 등의 환경적인 요인과 스트레스 등의 생리적인 요인에 의해 말라세지아 퍼르퍼르가 모낭내에서 과다하게 증식하여 정상균총의 74%가 넘을 경우 비듬이 생기기 시작하고, 83% 이상 높아질 경우 지루성 피부염으로 발병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비듬 치료에 사용되어 온 약이나 샴푸에는 아연 피리치온(Zinc pyrithion), 피록톤올아민(Piroctone olamine), 케토코나졸(Ketoconazole), 셀레늄설파이드(Selenium sulfide), 황(Sulfur), 타르(Tar) 등과 같은 화학 물질이 항균제로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물질이 체내에 지속적으로 축적될 경우, 간과 신장에 독성을 유발하고, 암 및 돌연변이가 유발될 수 있으며, 두통 및 피부 과민 반응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소비자들은 자극이 큰 화학적 물질보다 천연물 유래 물질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7018호(2010.06.22.등록)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화장료 조성에 멜로우, 서양앵초, 성모초, 꼬리풀, 야로우 식물의 꽃과 잎에서 추출한 추출물 및 박하, 메릿사잎에서 추출한 추출물 및 효모추출물이 일정 비율로 혼합되어 조성되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4022호(2011.05.24.공개)는 미백제 및 항노화제, 그리고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베이베리, 블루플래그, 후추등, 카우스립, 레몬버베나, 짚신나물, 블루베리, 샐러리, 홍류 및 패션후르츠의 추출물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미백제, 또는 항노화제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비듬균 성장 억제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가 뛰어난 천연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카우스립(Primula veris)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우스립(Primula veris)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우스립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우스립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카우스립으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에탄올 추출물을 농축시킨 후,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 및, 용해 후, n-헥산으로 분획하는 단계;에 의하여 수득한 n-헥산 분획물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우스립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카우스립으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에탄올 추출물을 농축시킨 후,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 용해 후, n-헥산으로 분획하여 n-헥산 분획물을 제거하고 물 층을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물 층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분획하는 단계;에 의하여 수득한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우스립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 내지 80.0 중량% 첨가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샴푸, 린스, 헤어젤, 헤어토닉, 비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카우스립 추출물을 함유하며 비듬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카우스립 추출물의 분획물을 얻는 단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카우스립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 평가 실험 결과이다.
도 3은 카우스립 분획물의 농도에 따른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 평가 실험 결과이다. (Hex:n-헥산, MC:메틸렌클로라이드, EA:에틸아세테이트, BuOH:n-부탄올, DW:물)
카우스립(cowslip, Primula veris)은 프리뮬러, 베리스앵초, 황화구륜초 등으로 불리며, 황소의 입술을 닮았다고 하여 ‘Cow's lip’이라고 한다. 높이는 약 30 cm까지 자라며, 4~5월에 밝은 노란색 꽃이 피는데, 그 모양이 깔때기처럼 생겼으며 각각의 꽃잎에는 오렌지색의 점이 있다. 카우스립은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등을 함유하며, 주로 꽃을 약용 또는 식용하고 때때로 뿌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꽃으로 만든 차는 두통을 가라앉히는데 효과가 있으며, 홍역과 신경성 두통 치료에도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은 카우스립(Primula veris)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개선용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및 초음파 추출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법을 통해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우스립 추출물은,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카우스립으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에탄올 추출물을 농축시킨 후,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 및, 용해 후, n-헥산으로 분획하는 단계;에 의하여 수득한 n-헥산 분획물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카우스립 추출물은,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카우스립으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에탄올 추출물을 농축시킨 후,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 용해 후, n-헥산으로 분획하여 n-헥산 분획물을 제거하고 물 층을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물 층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분획하는 단계;에 의하여 수득한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인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카우스립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80.0 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비듬균 성장 억제 효과가 미미하며, 8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에 카우스립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한다고 하더라도 일정 농도 이상에서는 기대할 수 있는 비듬균 성장 억제 효과가 더 이상 증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형 안정성이 유지되지 못하기 때문에 적절하지 못하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 예로, 헤어세럼,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로션, 헤어젤, 두피 모발 겸용 트리트먼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으나, 이는 두피 및 모발용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염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예컨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30 중량% 이다. 다만, 어떠한 경우라도 보조제 및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듬 개선용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용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모두 포함한다.
[실시예 1 : 카우스립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1) 카우스립 추출물의 제조
음건한 카우스립의 꽃 500 g을 분쇄하고, 상기 분쇄물에 70%(v/v) 에탄올 5,000 g을 첨가한 뒤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80 ℃의 온도에서 3시간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400 메쉬(mesh) 여과포로 여과한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다시 한 번 여과하였다. 그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55℃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하였으며, 잔사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2회 반복 실시하여 카우스립 추출물 156.5 g을 수득하였다.
(2) 카우스립 분획물의 제조
상기에서 수득한 카우스립 추출물을 정제수에 현탁시켜 분획 깔때기를 이용하여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및 물의 순서로 총 5개의 용매 분획을 얻었다. 수득한 분획물을 각각 감압농축하여 카우스립 분획물을 최종 제조하였다. 제조된 분획물의 양은 아래 표 1과 같으며, 분획물을 얻는 단계를 도 1에 간략히 나타내었다.
용매 건조중량 (g)
n-헥산 7.05
메틸렌클로라이드 5.1
에틸아세테이트 4.7
n-부탄올 40.75
91.05
[실험예 1 : 카우스립 추출물의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카우스립 추출물에 비듬균인 말라세지아 퍼르퍼르(Malassezia furfur)에 대한 항균력을 디스크확산법(paper disc diffusion)로 평가하였다.
말라세지아 퍼르퍼르는 mLNA 액체배지에서 30 ℃, 5일간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균액 200 ㎕를 mLNA 고체배지 위에 고르게 도말한 뒤 농도별로 희석된 카우스립 추출물(10%, 8%, 5%, 3%) 및 분획물(8%, 4%, 2%, 1%)을 6 mm 페이퍼 디스크에 올렸다. 균을 접종한 배지는 30 ℃에서 배양하였고 72시간 후에 균의 성장이 억제된 클리어존(clear zone)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은 비듬균에 항균 효과가 있는 케토코나졸(Ketoconazole)을 사용하였다.
대조군 카우스립 추출물 농도 (v/v)
0.01 % 10 % 8 % 5 % 3 %
clear zone
(mm)
30 17 15 14 10
상기 표 2는 농도별로 희석된 카우스립 추출물의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 평가실험 결과이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우스립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clear zone (mm)
시료 n-헥산 메틸렌
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
카우스립
분획물
농도
(v/v)
8 % 30 29 - - -
4 % 26 22 - - -
2 % 25 17 - - -
1 % 22 15 - - -
대조군 0.01 % 29
상기 표 3은 농도별로 희석된 카우스립 분획물의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 평가 실험 결과이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및 물에서는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n-헥산 및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추출용매로 한 분획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듬균에 대한 항균력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조성물로 아래 표 4의 함량에 따른 샴푸(shampoo)를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2 (중량%) 비교예 1 (중량%)
카우스립 추출물 5.0 -
카우스립 n-헥산 분획물 5.0 -
카우스립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5.0 -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3 0.03
폴리쿼터늄-10 0.1 0.1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40.5 40.5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15.5 15.5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6.0 6.0
프로필렌글라이콜 2.0 2.0
소듐크실렌설포네이트 2.0 2.0
글라이콜다이스테아레이트 3.0 3.0
코카마이드이에이 1.0 1.0
라우라마이드이에이 1.0 1.0
살리실산 0.13 0.13
시메티콘 3.0 3.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100.0 100.0
[실험예 2 : 카우스립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 개선용 조성물의 비듬 개선 효과 확인]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샴푸의 비듬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비듬이 있다고 인식하는 성인 남성 20명을 무작위로 10명씩 2개 그룹(A, B)으로 나눈 후 실험군(A) 10명, 대조군(B) 10명으로 구성하여 4주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개시 전에 비교예 1의 조성물로 세발하고 A 그룹을 대상으로 실시예 2의 조성물을, B 그룹을 대상으로 비교예 1의 조성물을 각각 1일에 1회 사용하여 실험 종료 후 3일간 누적된 비듬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복수의 평가자의 육안 평가점수를 평균하여 객관적으로 비듬감소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5에 나타내었다.
피검자 비듬 감소율 (%)
A 그룹 B 그룹
1 50.1 -5.1
2 63.5 1.2
3 50.9 3.4
4 51.3 4.9
5 68.4 -0.7
6 70.1 2.7
7 66.6 2.4
8 58.5 3.4
9 51.9 0.1
10 62.1 1.1
평균 59.34 1.34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조성물이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비하여 비듬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 카우스립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 개선용 조성물의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의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두피 가려움을 느끼는 성인 남성 20명을 무작위로 10명씩 2개 그룹(A, B)으로 나눈 후 실험군(A) 10명 대조군(B) 10명으로 구성하여 2주 동안 실험하였다. 실험 개시 전에 비교예 1 조성물로 세발하고 A 그룹을 대상으로 실시예 2의 조성물을, B 그룹을 대상으로 비교예 1의 조성물을 각각 1일에 1회 사용하게 한 후 두피 가려움증 정도를 평가 기준(-3:매우 악화, -2:악화, -1:약간 악화, 0:변화 없음, 1:약간 개선, 2:개선, 3:매우 개선)에 따라 분류하여 아래 표 6에 나타내었다.
피검자 두피 가려움증 개선 정도
A 그룹 B 그룹
1 2 -1
2 1 0
3 2 0
4 2 0
5 3 -1
6 2 -1
7 2 -2
8 1 0
9 0 1
10 3 -3
평균 1.8 -0.72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조성물이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비하여 두피 가려움증 개선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예 1 :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린스 조성물]
아래 표 7의 함량에 따라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린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제조예 1
(중량%)
카우스립 추출물 5.0
카우스립 n-헥산 분획물 5.0
카우스립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5.0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2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2
판테놀 0.05
프로필렌글라이콜 1.5
글리세린 2.0
세틸알코올 3.5
스테아릴알코올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0.5
디메치콘 1.5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100.0
[제조예 2 :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젤 조성물]
아래 표 8의 함량에 따라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제조예 2
(중량%)
카우스립 추출물 5.0
카우스립 n-헥산 분획물 5.0
카우스립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5.0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
판테놀 0.1
글리세린 5.0
카보머 0.6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3
에탄올 7.0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1.0
트리에탄올아민 0.6
폴리비닐피롤리돈 5.0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100.0
[제조예 3 :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토닉 조성물]
아래 표 9의 함량에 따라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토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제조예 3
(중량%)
카우스립 추출물 5.0
카우스립 n-헥산 분획물 5.0
카우스립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5.0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2
판테놀 0.5
부틸렌글라이콜 10.0
에탄올 18.0
멘톨 0.03
폴리솔베이트 80 1.0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0.2
바이오틴 0.1
적량
정제수 잔량
100.0
[제조예 4 :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 조성물]
아래 표 10의 함량에 따라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제조예 4
(중량%)
카우스립 추출물 5.0
카우스립 n-헥산 분획물 5.0
카우스립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5.0
정제수 2.0
트리콜린산 2.0
미네랄오일 1.0
폴리에틸렌글리콜 0.5
0.1
트리브롬살란 0.1
헥사클로로펜 0.1
에틸렌디아민아세테이트산 0.1
이산화티탄 0.1
비누베이스 잔량
100.0

Claims (7)

  1. 카우스립(Primula veris)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카우스립 추출물은 n-헥산 분획물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카우스립(Primula veris)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카우스립 추출물은 n-헥산 분획물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카우스립으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에탄올 추출물을 농축시킨 후,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
    용해 후, n-헥산으로 분획하여 n-헥산 분획물을 수득하고, 물 층을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물 층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분획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거친 후, 상기 n-헥산 분획물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중 하나 이상을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카우스립으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에탄올 추출물을 농축시킨 후,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
    용해 후, n-헥산으로 분획하여 n-헥산 분획물을 수득하고, 물 층을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물 층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분획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거친 후, 상기 n-헥산 분획물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중 하나 이상을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우스립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 내지 80.0 중량%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린스, 헤어젤, 헤어토닉, 비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96787A 2018-08-20 2018-08-20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101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87A KR102101951B1 (ko) 2018-08-20 2018-08-20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87A KR102101951B1 (ko) 2018-08-20 2018-08-20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258A KR20200021258A (ko) 2020-02-28
KR102101951B1 true KR102101951B1 (ko) 2020-04-28

Family

ID=6963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787A Active KR102101951B1 (ko) 2018-08-20 2018-08-20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95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018B1 (ko) 2003-04-09 2010-06-30 애경산업(주)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미백 화장료
JP5970148B2 (ja) 2008-09-12 2016-08-17 丸善製薬株式会社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SCFmRNA発現抑制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ERCOLA, 지루성 피부염: 질환 소개, 증상 그리고 치료법,[online], (2018.03.13.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258A (ko) 202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3680B (zh) 新化妝品及/或藥學組合物與其應用
KR101503922B1 (ko) 검은 곡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조성물
KR101662545B1 (ko) 발모효과 및 탈모방지 효과가 증진된 천연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발세정제
KR102307509B1 (ko) 탈모 및 두피 관리용 조성물
JP3407935B2 (ja) 皮膚外用剤
CN111012693B (zh) 一种多效头皮护理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KR20090095359A (ko) 그리포니아 추출물과 편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모발용 조성물
EP1967233B1 (en) Aqueous external preparation for the treatment of scalp
KR102175249B1 (ko) 인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H05255044A (ja) 養毛料
KR102101951B1 (ko)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3638B1 (ko)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30092260A (ko) 항비듬용 두피 조성물
KR101177500B1 (ko) 육모용 조성물
EP1933807B1 (en) Cosmetic product for the treatment of scalp
KR102052517B1 (ko)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3542700B2 (ja) 頭部用組成物
KR101957845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4577596B2 (ja) 育毛剤又は発毛剤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40115228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002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456655B1 (ko) 비듬 및 두피가려움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63504B1 (ko)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90074618A (ko) 한약재 발효액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천연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0154210B1 (ko) 두발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