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833B1 - New renewable energy generator using tidal current or ocean current and the difference in water pressure - Google Patents
New renewable energy generator using tidal current or ocean current and the difference in water press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1833B1 KR102101833B1 KR1020190001177A KR20190001177A KR102101833B1 KR 102101833 B1 KR102101833 B1 KR 102101833B1 KR 1020190001177 A KR1020190001177 A KR 1020190001177A KR 20190001177 A KR20190001177 A KR 20190001177A KR 102101833 B1 KR102101833 B1 KR 1021018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er
- rotating body
- current
- piston
-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0—Submerged units incorporating electric generators or mo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3—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ructure floating on a liquid surfac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 Y02E10/28—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해양에너지 중에서 조류 또는 해류와 수압의 차이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and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apparatus using a difference between algae or ocean current and water pressure among marine energy for producing electric energy.
해양에너지 중에서 조류발전의 원리에 대해 설명하면,If you explain the principle of tidal current generation among marine energy,
조력은 태양과 달의 인력에 의해 생기는 힘으로써, 이로 인해 하루에 두 번씩 밀물과 썰물이 나타난다.Tidal power is the force generated by the sun and moon's gravitational force, which causes high and low tide twice a day.
이를 조석현상이라 하며 조류발전은 조석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해수의 빠른 흐름인 조류에 직접 터빈을 설치하여 해수의 수평흐름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운동에너지를 직접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는 점이 풍력발전과 원리가 동일하며 해수의 밀도가 공기에 비해 약830배 크기 때문에 같은 시설용량일 경우 풍력터빈에 비해 조류터빈의 크기가 훨씬 적 다.This is called tidal phenomenon. Algae power is a method of generating electric energy by converting the horizontal flow of seawater into rotational motion by installing a turbine directly on the tidal current, which is a rapid flow of seawater naturally generated by tidal waves. Therefore, the principle of converting it into electric energy is the same as that of wind power generation, and the density of seawater is about 830 times larger than that of air, so the tidal current turbine is much smaller than the wind turbine in the case of the same facility capacity.
조류발전의 장점은 날씨나 계절에 관계없이 항상 발전이 가능하고, 발전량 예측이 가능하며 조력발전과 달리 댐을 설치하는 게 아니므로 생태계의 파괴가 없다.The advantage of tidal power generation is that power generation is always possible regardless of weather or season, and power generation is predictable. Unlike tidal power generation, no dam is installed, so there is no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조류발전의 단점은 조류의 흐름이 초속 약1m에서도 발전이 가능하나 경제성 있는 발전을 하 기 위해서는 조류의 흐름이 초속 약2m이상의 비교적 빠른 해역에만 설치가 가능하다.The disadvantage of algae power generation is that algae flow can develop at about 1m per second, but in order to achieve economical development, it can be installed only in relatively fast areas where algae flow is about 2m per second or faster.
조류발전과 유사한 해양에너지로는 해류발전이 있는데 일정한 방향과 속도로 이동하는 바닷물의 흐름인 해류를 이용하는 발전방식으로 원리는 조류발전과 동일하다.Oceanic power is similar to tidal current generation. Current is the development method using the current, which is the flow of seawater that moves in a certain direction and speed.
또한 해양에는 지구의 중력에 의한 수압이 존재하는데 대기압을 고려하지 않으면 해수면으로부터 수심이 10cm증가할 때마다 약10g중의 비율로 수압이 늘어난다.In addition, there is water pressure due to the Earth's gravity in the ocean. If air pressure is not taken into account, the water pressure increases at a rate of about 10 g every 10 cm of water depth from the sea level.
즉, 수심이10m인 지점에서는 1㎠당 약1kg의 힘을 전후·좌우·상하의 모든 방향에서 받게 되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수압은 커진다.That is, at a point where the water depth is 10m, a force of about 1 kg per 1 cm2 is received in all directions of front, back, left, and up, and as the depth increases, the water pressure increases.
대부분의 해양에는 조류나 해류가 존재하나 조류발전과 해류발전을 하기 에 적합한 비교적 빠른 유속의 입지는 제한적이다.Algae or ocean currents exist in most oceans, but the location of relatively fast flow rates suitable for tidal and ocean current development is limited.
본 발명은 상기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조류발전이나 해류발전과 같이 조류나 해류를 발전에 직접 이용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과정의 일정수단으로 이용하고 수심의 깊이에 따라 변하는 수압의 차이를 이용하여 일정수심이 존재하는 해양의 대부분에서 실시가 가능한 조류 또는 해류와 수압의 차이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의 제공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overcome the above limitations, and does not directly use algae or ocean currents for power generation, such as tidal current generation or ocean current generation, but is used as a constant means in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es in water pressure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water depth.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and renewable energy generating apparatus using a difference between algae or ocean current and water pressure that can be carried out in most of the oceans where a certain depth exists using a water.
조류나 해류에 의한 물의 흐름이 있는 해양의 수중에 일정 크기의 지름을 갖는 원형의 외측프레임(101)과 중심이 관통된 내측프레임(103)의 사이에 프로펠러형상을 한 다수개의 연결프레임(102)이 방사형으로 결합된 수레바퀴형태의 회전체(100)와, 외측프레임(101)의 외주면을 따라 중심축(400)과 수평 되게 일정크기의 지름을 갖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원통형의 실린더(200)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되며 실린더(200)의 일 측은 개구부가 형성되고 실린더(200)의 내경을 따라 왕복직진운동이 가능한 피스톤(202)이 각각 구성되며, 각각의 실린더(200)의 개구부내의 일 측에는 발전기와 터빈으로 이루어진 발전수단(201)이 각각 구성된다.A plurality of
또한 실린더(200)내와 피스톤(202)사이에는 각각의 실린더(200)가 수면과 가장 가까운 위치인 회전체(100)의 최상부에 위치할 때의 외부의 수압과 같은 압력의 공기나 질소와 같은 기체(203)가 각각 채워지며, 이때의 피스톤(202)은 기체(203)의 부피가 가장 큰 때인 개구부와 가장 근접한 때의 위치가 된다.In addition, between the
회전체(100)를 일정지점의 수중에 지지하고 고정시켜주는 고정프레임(300)이 해저지면(S.B.)에 설치 된 다.A
고정프레임(300)의 상부 일 측 에는 중심축(310)이 구성되며, 회전체(100)를 구성하는 내측프레임(103)의 중심 홀과 중심축(400) 사이에는 회전하는 물체와 고정된 물체간 에 전기를 전달하고 제어하는 수단인 슬립링(3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A
바람직하게 고정프레임(300)을 설치하기에 곤란한 수심이 깊은 해양이나 산업 상 필요에 의해 고정프레임(300)을 대신하여 해상에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지는 부유체를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constructing a floating body having buoyancy so that it can float on the sea instead of the
바람직하게 회전체(100)의 외측프레임(101)의 외주면에 구성된 실린더(200)를 회전체(100)의 연결프레임(102)과 결합하고 실린더(200)의 일 측인 외측프레임(101)측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Preferably, the
바람직하게 회전체(100)에 프로펠러형상이 제거된 연결프레임(102a)이 구성되고 외측프레임(101)의 외주면에 수차날개(104)를 구성하여 중심축(310)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조류 또는 해류에 의해 회전체(100)가 회전하게 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necting frame (102a) having the propeller shape removed from the rotating body (100) is formed, and the aberration blade (104)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frame (101). By rotating the rotating
상기의 구성과 작동에 의해 선박의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고 파도나 태풍 등의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수중의 일정 지점에 설치하여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고 현재 실시하고 있는 조류발전, 해류발전과 달리 비교적 유속이 느린 조류나 해류가 있고 수압의 차이를 확보 할 수 있는 일정수심의 해양의 대부분에서 실시가 가능하여,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예측가능한 발전량의 전기에너지를 생산 할 수 있는 조류 또는 해류와 수압의 차이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다.Unlike the current tidal power generation and ocean current generation, which are installed at certain points in the water that do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ship and are not affected by the weather such as waves or typhoons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without affecting the environment. Algae or ocean currents with relatively slow flow velocity, and can be carried out in most of the oceans at a certain depth that can ensure a difference in water press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ew and renewable energy generator using the difference.
[도 1]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제2도는 본 발명의 회전체(100)가 원운동을 시작하는, 수심20m최상부에 위치한 실린더(200a)가 하강을 시작한 때의 피스톤(202)의 위치와 해수의 흐르는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제3도는 본 발명의 회전체(100)가 원운동을 하고 15초가 경과하여 수심70m를 지나며 실린더(200a)가 하강 중 일 때에 피스톤(202)의 위치와 해수의 흐르는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제4도는 본 발명의 회전체(100)가 원운동을 하고 30초가 되기 전인 수심120m에 도달하기 직전, 즉 하강을 마치기 직전의 회전체(100)의 최하부에 위치한 실린더(200a)내의 피스톤(202)의 위치와 해수의 흐르는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제5도는 본 발명의 회전체(100)가 원운동을 하고 30초가 경과하여 하강을 마치고 상승을 시작한 때인, 수심120m를 벗어난 직후의 회전체(100)의 최하부에 위치한 실린더(200a)내의 피스톤(202)의 위치와 해수의 흐르는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제6도는 본 발명의 회전체(100)가 원운동을 하고 45초가 경과하여 회전체(100)의 실린더(200a)가 수심70m를 지나며 상승 중 일 때의 피스톤(202)의 위치와 해수의 흐르는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제7도는 본 발명의 회전체(100)가 원운동을 하고 60초가 되기 직전의 회전체(100)의 실린더(200a)가 상승을 마치기 직전인 수심20m에 도달하기 직전의 피스톤(202)의 위치와 해수의 흐르는 방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제8도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개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제9도는 본 발명의 회전체(100)의 구성에 대한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11]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회전체(100)의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
[도 12] 제1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회전체(100)의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the position of the
3 shows the position of the
4 is a
5 is a
6 is the position of the
7 is a piston immediately before reaching the water depth of 20m, just before th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cep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concep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ng
10 is a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for a configuration of a rotating
12 is a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f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a more clear description.
지름이 100m인 회전체(100)의 최상부가 수압이 2kgf/㎠인 수심20m에 위치하고 회전체(100)의 외주면 에는 중심축(400)과 수평 되게 100개의 실린더(200)가 구성되며 각각의 실린더(200)의 지름은 3m이고 기체(203)가 채워진 실린더(200)의 일측과 피스톤(202)사이의 거리는 50m이며 2kgf/㎠의 압력으로 기체(203)가 채워지고 실린더(200)내의 개구부측 에는 발전기와 터빈으로 이루어진 발전수단(201)이 구성되며 개구부의 단면적은 1㎡이고 조류나 해류가 프로펠러형상의 연결프레임(102)에 작용하여 회전체(100)는 60초에 1회전 원운동을 하며, 해저지면에 고정된 고정프레임(300)의 중심축(310)과 회전체(100)의 내측프레임(103)의 사이에는 슬립링(3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실린더(200)의 발전수단(202)에서 고정프레임(300)을 거쳐 외부로 송전가능하게 전기적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The top of the rotating
회전체(100)의 최상부에 위치한 실린더(200a)외부의 수압은 수심이 20m이므로 2kgf/㎠가 되고, 실린더(200a)내의 기체(203)의 압력도 2kgf/㎠으로 피스톤(202)은 도.2의 위치에 있게 되며, 이때의 기체(203)의 부피; 부피 = 단면적 * 길이; 는 353.25㎥가 된다.Since the water pressure outside the
조류나 해류가 프로펠러형상의 연결프레임(102)에 작용하여 회전체(100)가 60초에 1회전을 한다고 가정하였으므로 회전체(100)의 외측프레임(101)의 외주 면에 구성된 실린더(200a)는 평균 약3.3m/sec의 속도로 해저지면 쪽 으로 하강하게 되며, 실린더(200a)의 개구부측의 수심이 점점 깊어지므로 증가하는 수압의 힘에 의해 실린더(200a)내로 해수가 유입되며 피스톤(202)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피스톤(202)은 기체(203)를 압축시키며 개구부측의 반대방향으로 직진운동을 하게 되며 피스톤(202)이 직진 운동한 거리만큼 해수가 유입된다.Since it is assumed that the algae or the current acts on the propeller-shaped connecting
30초에 걸쳐 회전체(100)가 반 회전을 하여 실린더(200a)가 회전체(100)의 최하부의 지점에 이르면 수심이 120m이므로 실린더(200a)개구부 측의 수압은 12kgf/㎠가 되어; 보일의 법칙: 일정온도에서 기체의 압력과 부피는 서로 반비례 한다; 피스톤(202)은 기체(203)를 12kgf/㎠로 압축시키고 실린더(200a)내의 기체(203)의 부피는 58.875㎥로 줄어들게 되어 피스톤(202)이 이동한 거리는 약41.7m이며 줄어든 기체(203)의 부피와 같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해수의 양; 실린더의 단면적*이동거리 ; 은 약294ton이 되며, 피스톤(202)의 위치와 해수의 흐르는 방향은 도 2에서 도 3을 거쳐 도 4의 위치와 방향이 된다.The water pressure at the opening side of the
이때, 실린더(200a)가 회전체(100)의 최하부에 위치할 때 실린더(200a)의 개구부측의 수압과 실린더(200a)내의 기체(203)의 압력이 같아져 피스톤(202)은 일시적으로 멈추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조류 또는 해류에 의해 반 회전을 한 회전체(100)의 계속적인 원운동에 의해 실린더(200a)는 30초에 걸쳐 수면 쪽으로 상승하면서 원래의 위치인 수면과 가장 가까운 회전체(100)의 최상부에 위치하게 된다.The
이때 실린더(200a)의 개구부측의 수압이 12kgf/㎠에서 30초에 걸쳐 2kgf/㎠으로 감소하며 실린더 내에 압축되었던 기체(203)의 압력도 12kgf/㎠에서 외부 수압의 감소로 인해 2kgf/㎠로 낮아지면서 기체(203)는 팽창하여 부피의 증가로 인하여 피스톤(202)은 개구부 쪽으로 직진운동을 하며 유입되었던 해수를 외부로 토출한다.At this time, the water pressure at the opening side of the
30초에 걸쳐 피스톤(202)의 이동거리는 앞서 실린더(200a)가 해저지면으로 하강하면서 이동한 거리인 약41.7m가 되며 토출되는 해수의 양은 유입된 양과 같은 약 294ton이 되며 피스톤(202)의 위치와 해수의 흐르는 방향은 도 5에서 도 6을 거쳐 도 7의 위치와 방향이 된다.The movement distance of the
60초에 걸쳐 회전체(100)는 1회전을 하게 되고 실린더(200a)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되며 피스톤(202)은 한 번의 왕복직진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Over 60 seconds, the
이때, 실린더(200a)가 회전체(100)의 최상부에 위치할 때 실린더(200a)의 개구부측의 수압;2kgf/㎠;과 실린더(200a)내의 기체(203)의 압력;2kgf/㎠;이 같아져 피스톤(202)은 일시적으로 멈추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조류, 해류에 의해 회전체(100)는 지속적으로 원운동을 하고 수중의 수압은 항상 일정하므로 실린더(200a)내의 피스톤(202)은 60초마다 상기의 작동을 안정되고 지속적으로 반복 한다.The
또한 100개로 이루어진 각각의 실린더(200)내의 피스톤(202)들도 상기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반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의 과정에서 각각의 실린더(200)의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되고 토출되는 해수의 흐름을 이용하여 발전수단(201)의 터빈과 발전기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게 되며 외측프레임(101)과 연결프레임(102)을 거쳐 내측프레임(103)과 슬립링(110)을 통하여 중심축(400)과 고정프레임(300)을 거쳐 외부로 송전된다.In the above process, electric energy is produced by the turbine and the generator of the power generation means 201 by using the flow of seawater flowing in and out through the opening of each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100: 회전체 101: 회전체(100)의 외측프레임
102,102a: 회전체(100)의 연결프레임 103: 회전체(100)의 내측프레임
200,200a: 실린더 201: 발전수단
202: 피스톤 203: 기체
300: 고정프레임 310: 중심축
320: 슬립링 S.B.: 해저지면
400: 부유체 104: 수차날개
: 해수의 흐르는 방향100: rotating body 101: outer frame of the rotating body (100)
102, 102a: connecting frame of the
200,200a: Cylinder 201: Power generation means
202: piston 203: gas
300: fixed frame 310: central axis
320: Slip ring SB: Undersea
400: floating body 104: water wheel
: Seawater flow direction
Claims (4)
해저지면(S.B.)에 고정하는 고정프레임(300)을 대신하여 해상에 부유하도록 부력을 가지는 부유체(400)를 구성한 조류 또는 해류와 수압의 차이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발생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newable energy generating device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algae or ocean current and water pressure, which constituted the floating body 400 with buoyancy to float on the sea instead of the fixed frame 300 fixed to the seabed (SB).
회전체(100)에 프로펠러형상이 제거된 연결프레임(102a)을 구성하고 외측프레임(101)의 외주면에 수차날개(104)를 구성하여 중심축(310)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조류 또는 해류에 의해 회전체(100)가 회전하는 조류 또는 해류와 수압의 차이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y forming a connecting frame (102a) having a propeller shape removed from the rotating body (100) and forming an aberration blade (104)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frame (101), the tidal flow or current flows in relation to the central axis (310). Renewable energy generating device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or the current and the water pressure of the rotating body 100 is rota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1177A KR102101833B1 (en) | 2019-01-03 | 2019-01-03 | New renewable energy generator using tidal current or ocean current and the difference in water press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1177A KR102101833B1 (en) | 2019-01-03 | 2019-01-03 | New renewable energy generator using tidal current or ocean current and the difference in water press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1833B1 true KR102101833B1 (en) | 2020-04-17 |
Family
ID=70460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1177A Active KR102101833B1 (en) | 2019-01-03 | 2019-01-03 | New renewable energy generator using tidal current or ocean current and the difference in water press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183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6084A (en) | 2021-02-10 | 2022-08-22 | 이만수 | A Eco-Friendly Generating System With Steel Beads Portention Energy Change Generate Rotation Power And Selfsuppler, Energy Storage Change System And Us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27205A (en) * | 2008-06-07 | 2009-12-10 | 박정일 | Wave generator module using compressed air and wave power generator system equipped with the wave generator module |
KR20100004609A (en) * | 2008-07-04 | 2010-01-13 | 이종대 | Method of tidal power generating and tidal power plant |
KR20110121878A (en) * | 2010-05-03 | 2011-11-09 | (주)인사이드밸류 | Power generator using wave |
KR20120109053A (en) * | 2011-03-24 | 2012-10-0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Power generator and power generator assembly |
-
2019
- 2019-01-03 KR KR1020190001177A patent/KR10210183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27205A (en) * | 2008-06-07 | 2009-12-10 | 박정일 | Wave generator module using compressed air and wave power generator system equipped with the wave generator module |
KR20100004609A (en) * | 2008-07-04 | 2010-01-13 | 이종대 | Method of tidal power generating and tidal power plant |
KR20110121878A (en) * | 2010-05-03 | 2011-11-09 | (주)인사이드밸류 | Power generator using wave |
KR20120109053A (en) * | 2011-03-24 | 2012-10-0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Power generator and power generator assembly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6084A (en) | 2021-02-10 | 2022-08-22 | 이만수 | A Eco-Friendly Generating System With Steel Beads Portention Energy Change Generate Rotation Power And Selfsuppler, Energy Storage Change System And Us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8433B1 (en) | Oscillating Water Column Type Wave Energy Harvest | |
US11566610B2 (en) | Wave-powered generator | |
KR20090087099A (en) | Fully submerged wave energy converter | |
EP1654458B1 (en) | Energy generator powered by tidal currents | |
WO2015045055A1 (en) | Wave-power generation system, and transmission body and rotation conversion unit used therefor | |
KR20090038455A (en) | Wave energy converter | |
US20180087487A1 (en) | Offshore energy storage device | |
JP6476443B2 (en) | Wave power generation system and transmission body and rotation conversion unit used therefor | |
JP2019507290A (en) | Flywheel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 |
US8405240B2 (en) | Augmented velocity hydro-electric turbine generator | |
KR101212768B1 (en) | Generator using wave energy | |
RU2459974C1 (en) | Wave electric power station | |
KR102101833B1 (en) | New renewable energy generator using tidal current or ocean current and the difference in water pressure | |
CN109779825B (en) | Rectangular ring tube type oscillating water column symmetrical wing turbine power generation device | |
EP2848802B1 (en) | System for obtaining electrical energy from a wave motion | |
US20180202414A1 (en) | Dynamic wave power energy converter | |
CN107605650A (en) | A kind of floating wave-power device using moon pool shock wave | |
KR101492768B1 (en) | Floating wave power generation device using the cross flow turbine | |
KR102620725B1 (en) | A floating tidal power generation system consisting of a vertical shaft turbine | |
US20230151789A1 (en) | Wave energy converter | |
KR101532385B1 (en) | Wave Energy Conversion Apparatus | |
EA039263B1 (en) | Wave power system | |
WO2016177858A1 (en) | A wave-powered electrical energy generation device | |
JP2009174510A (en) | Annular floating structure turning on sea | |
KR101631066B1 (en) | A tidal current and sea wave-power generat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