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130B1 -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mixed fluids - Google Patents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mixed fluid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1130B1 KR102101130B1 KR1020190142250A KR20190142250A KR102101130B1 KR 102101130 B1 KR102101130 B1 KR 102101130B1 KR 1020190142250 A KR1020190142250 A KR 1020190142250A KR 20190142250 A KR20190142250 A KR 20190142250A KR 102101130 B1 KR102101130 B1 KR 1021011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drone
- hose
- gas
- storage ta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ZSJDYOACSA-N Heavy water Chemical compound [2H]O[2H] XLYOFNOQVPJJNP-ZSJDYOAC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02 de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588 decontamin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54 plant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50 stock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16—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 B64D1/18—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by spraying, e.g. insectic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혼합유체 내에 함유된 기체의 상승력을 이용하여 유체의 무게 경감을 통해 드론의 이동 제약성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고압 살수용 또는 방역용 또는 소방용 차량에 탑재되며 제1유체펌프와 공압펌프 및 혼합기를 구비하여 유체와 기체를 가압하여 혼합하고 혼합기의 출력단에 호스를 연결하여 유체와 기체가 혼합된 혼합유체를 호스를 통해 상부로 공급하여 호스 내부에서의 기체의 상승력이 호스 내부를 이동하는 혼합유체에 작용되게 하여 호스의 하중에 의한 드론의 이동 제약성을 상쇄시키는 지상 공급부, 드론에 탑재되며 지상 공급부의 호스의 종단부가 착탈되는 호스 착탈부를 구비하고 유체와 기체를 분리 저장하는 분리 저장조를 구비하여 호스를 통해 지상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혼합유체를 공급받아 유체와 기체를 각각 분리시켜 저장하고 분리 저장조의 각 유체와 기체를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드론 공급부를 포함하여, 유체의 무게에 의한 드론의 이동 제약성을 줄일 수 있고 혼합 유체를 공기와 유체로 분리하여 분사노즐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이류체 노즐을 이용한 미세 분사가 가능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a mixed fluid, to reduce the constraint of the movement of the drone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fluid by using the synergistic force of the gas contained in the mixed flui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for high-pressure sprinkling or quarantine or firefighting,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fluid pump and a pneumatic pump and a mixer to pressurize and mix the fluid and gas and connect a hose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mixer to mix the fluid and gas. The supplied mixed fluid is supplied to the upper part through the hose, so that the upward force of the gas inside the hose acts on the mixed fluid moving inside the hose, which is mounted on the ground supply unit, the drone, which counteracts the drone movement restriction due to the load of the hose. It is equipped with a hose attachment and detachment section at which the end of the hose of the supply section is detached, and a separate storage tank for separating and storing fluid and gas is supplied through the hose to receive the mixed fluid supplied from the ground supply section, separating and storing the fluid and gas, respectively. Including the drone supply for injecting each fluid and gas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Reduces the movement of the drone jeyakseong by and to separate the fluid mixture into the air with the fluid to be supplied to the injection nozzle enables a fine spray using a fluid nozzle.
Description
본 발명은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와 기체를 가압하여 혼합한 혼합유체를 호스를 통해 상부의 드론으로 공급하여 혼합유체 내의 기체의 상승력이 호스 및 그 내부의 혼합유체에 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무게에 의한 드론의 이동 제한성을 줄일 수 있게 하고 혼합 유체를 다시 공기와 유체로 분리하여 분사노즐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류체 노즐을 이용한 미세 분사가 가능하게 하는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a mixed fluid, and more specifically, by supplying the mixed fluid mixed by pressing the fluid and gas to the upper drone through the hose, the synergistic force of the gas in the mixed fluid is the hose and the inside. Mixing to enable fine spraying using air-fluid nozzles by allowing the fluid to act on the mixed fluid to reduce drone movement limitations due to the weight of the fluid and to separate the mixed fluid into air and fluid to supply it to the spray nozzle. It relates to a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a fluid.
일반적으로 무인 비행체(Drone)는 지상 관제시스템의 원격 제어에 의한 수동 비행, 또는 위성항법장치(GPS)를 이용한 자율 비행 등으로 항공 촬영이나 공중 타격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군사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드론 보급이 확대되면서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기술이 점차 개발되고 있어, 고공영상·사진 촬영과 배달, 기상정보 수집, 병해충 방제를 위한 농약 살포, 제독, 전염병 확산 방지 등을 위한 방역 작업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Generally, unmanned aerial vehicles (Drones) have been used for military missions such as aerial photography or air strikes, such as manual flight by remote control of a ground control system or autonomous flight using a satellite navigation system (GPS). As the drone spread is expanding, control technolog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is gradually being developed, and quarantine for high-resolution video and photo shooting and delivery, weather information collection, pesticide spray for pest control, decontamination, and prevention of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work.
한편, 최근 광역의 병해충방제, 제독, 방역작업에서는 인구 노령화에 의한 농업인구의 감소, 약제 노출에 의한 인명 피해 발생 등으로 인하여 로봇이나 헬기 또는 드론 등의 장비가 도입되고 있으며, 특히 드론을 활용하여 방제하는 속도가 증가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cent pest control, decontamination, and quarantine operations in the wide area, equipment such as robots, helicopters, and drones has been introduced due to a decrease in agricultural population due to aging of the population and human damage caused by drug exposure. The rate of control is increasing.
그러나 드론을 활용하여 방제하는 경우, 드론 내부에 약제를 저장한 상태로 비행해야 하기 때문에 드론의 탑재 중량에 제한이 있게 되며, 따라서 드론을 이용한 방제작업시에는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원액과 유사한 형태로 약제를 살포하게 되어 약제에 의한 인명 피해와 식물 약해 등이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using a drone to control, there is a limit to the weight of the drone because it must fly while storing the drug inside the drone. Therefore,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drone, the drug in a form similar to the stock solution to increase efficienc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damage caused by the drug caused by spraying the drug and plant damage were often caused.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2255호(2016.09.27. 등록; 이하, '특허문헌1라 약칭함)에는 농약 살포용 드론 및 카트리지 타입 농약 공급통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In this regar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62255 (2016.09.27. Regist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a technique for supplying a pesticide spraying drone and cartridge type pesticide is known.
특허문헌1 의하면, 드론에 장착되는 농약 공급통을 카트리지 방식에 의해 결합시켜 사용이 간편하게 하고 농약 공급통의 장착 및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며, 전체적인 드론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드론의 구동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였다.According to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26274호(2017.11.17. 공개; 이하, '특허문헌2이라 약칭함)에는 농경지 상공을 비행하면서 농약을 살포할 수 있는 드론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26274 (published on November 17, 20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technique for drones capable of spraying pesticides while flying over agricultural land.
특허문헌2에 의하면, 비행 안정성과 조작이 용이하고, 농약이 균일한 성분으로 살포될 수 있으며, 노즐의 막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하였다.According to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다량의 약제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드론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커져야 하므로 드론 구동에 큰 동력이 필요하며, 드론의 움직임에 의해 약제가 넘치는 것을 고려하여 저장 용기에 약제를 가득 채울 수 없게 되므로 1회 사용량이 매우 한정적이다. 따라서 약제 보충이 자주 이뤄져야만 하고, 주기적으로 또는 약제의 종류가 바뀔 때마나 저장 용기를 세척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technique, in order to store a large amount of medicine, the size of the drone needs to be increased as a whole, so a large power is required to drive the drone, and it is impossible to fill the storage container with medicine due to the overflow of the medicine by the movement of the drone. Therefore, the amount of use per one time is very limited.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and requires a lot of work time because the medicine must be frequently supplemented and the storage container must be cleaned periodically or whenever the type of the medicine is changed.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농약 살포용 드론의 경우, 다이아프램(격리용 막판)이 약액 혼합액에 의해 부식 또는 파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약액통, 다이아프램(격리용 막판), 원심펌프, 배관, 및 노즐에 약액 혼합액이 항시 채워져 있게 되므로 고장은 물론 배관 막힘이나 노즐 막힘 등이 발생할 수 있어 각 부품에 대한 청소를 자주 실시해야만 하여 그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드론 부양을 위해 배터리를 사용하게 되므로 체공 시간이 짧아지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rone for spraying pesticides as described above, problems such as corrosion or destruction of the diaphragm (isolation membrane) by the chemical mixture may occur, chemical liquid container, diaphragm (isolation membrane), centrifugation Since the pump, piping, and nozzle are always filled with the chemical mixture,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such as malfunctions and clogging of the piping or nozzle clogging. In addition, since a battery is used to support the drone, the flight time is shortened.
따라서 드론을 이용하여 장시간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방역 또는 분사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quarantine or injection system that can efficiently work for a long time using a dron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체와 기체를 혼합하여 지상에서 호스를 통해 상부의 드론으로 공급하고, 유체 내에 함유된 기체의 상승력에 의해 호스 내부의 유체가 상승 작용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유체의 무게에 의한 드론의 이동 제약성을 줄일 수 있으며, 혼합된 유체와 기체는 드론에 탑재된 분리 저장조에 의하여 공기와 유체로 분리된 후 분사노즐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류체 노즐을 이용한 미세 분사가 가능하게 하는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x the fluid and the gas and supply it to the drone at the top through the hose from the ground, by the synergistic force of the gas contained in the fluid. By allowing the fluid inside the hose to act synergistically, the constraint of the drone movement due to the weight of the fluid can be reduced, and the mixed fluid and gas are separated into air and fluid by a separate storage tank mounted on the drone, and then spray nozzl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a mixed fluid that enables fine injection using an air nozzle by allowing it to be supplied t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고압 살수용 또는 방역용 또는 소방용 차량에 탑재되며 유체펌프와 공압펌프 및 혼합기를 구비하여 유체와 기체를 가압하여 혼합하고 혼합기의 출력단에 호스를 연결하여 유체와 기체가 혼합된 혼합유체를 호스를 통해 상부로 공급하여 호스 내부에서의 기체의 상승력이 호스 내부를 이동하는 혼합유체에 작용되게 하여 호스의 하중에 의한 드론의 이동 제약성을 상쇄시키는 지상 공급부, 드론에 탑재되며 지상 공급부의 호스의 종단부가 착탈되는 호스 착탈부를 구비하고 유체와 기체를 분리 저장하는 분리 저장조를 구비하여 호스를 통해 지상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혼합유체를 공급받아 유체와 기체를 각각 분리시켜 저장하고 분리 저장조의 각 유체와 기체를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드론 공급부를 포함하는,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ounted on a vehicle for high-pressure sprinkling or quarantine or firefighting, and equipped with a fluid pump and a pneumatic pump and a mixer to pressurize and mix the fluid and gas, and connect a hose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mixer The ground that connects and supplies the mixed fluid in which the fluid and gas are mixed to the upper part through the hose, so that the upward force of the gas in the hose acts on the mixed fluid that moves inside the hose, thereby compensating for the drone movement constraint due to the load of the hose. It is mounted on a supply unit and a drone, and has a hose detachable part to which the end of the hose of the ground supply part is detached, and a separate storage tank for separating and storing fluid and gas is supplied with a mixed fluid supplied from the ground supply part through the hose to receive fluid and gas respectively. A drone ball that stores separately and stores each fluid and gas in a separate reservoir through an injection nozzle. It is a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a mixed fluid, including the supply.
본 발명의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에 의하면, 유체와 기체가 혼합된 혼합유체를 지상에서 호스를 통해 상부의 드론으로 공급하여 유체 내에 함유된 기체의 상승력이 호스 내부의 유체에 작용할 수 있게 하여, 유체의 무게 경감을 통해 드론의 이동 제약성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며, 또한 본 발명은 혼합유체를 드론에 탑재된 분리 저장조에 의하여 공기와 유체로 분리한 후 분사노즐에 각각 공급될 수 있게 하여 이류체 노즐을 이용한 미세 분사가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the mixed flui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the mixed fluid in which the fluid and gas are mixed through the hose from the ground to the upper drone, the upward force of the gas contained in the fluid can act on the fluid inside the hose. ,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movement restriction of the drone through the weight reduction of the fluid, and als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pplied to the injection nozzle after separating the mixed fluid into air and fluid by a separate storage tank mounted on the dron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vantage of enabling fine jetting using a dual nozz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드론 공급부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지상 공급부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에서 호스 내부의 유체와 공기의 혼합 상태를 예시한 참고사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a mixed fl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view of the drone supply unit of FIG. 1.
FIG. 3 is a detailed view of the ground supply unit of FIG. 1.
Figure 4 is a reference picture illustrating the mixing state of the fluid and the air inside the hose in the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a mixed fl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의 구성과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a mixed flu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 of the a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lexical meanings, and the inventor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terms can be properly defined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 sense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application. shal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개략도이고,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지상 공급부(100)와 드론 공급부(200)의 상세도들이며, 도 4는 호스 내부의 유체와 공기의 혼합 상태를 예시한 참고사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상에 설치되는 지상 공급부(100), 드론에 탑재되는 드론 공급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a mixed fl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detailed views of the
지상 공급부(100)는 소방 또는 급수용 물, 전염병 방역용 약품, 농약, 유화재 등의 유체를 싣고 이동하면서 고압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고압 살수용 또는 방역용 또는 소방용 등의 차량에 탑재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유체펌프(110)와 공압펌프(120) 및 혼합기(130)를 이용하여 유체와 기체를 가압하여 혼합하고 호스(140)를 통해 혼합유체를 상부로 공급하여 호스(140) 내부에서의 기체의 상승력이 호스 내부의 혼합유체에 작용되게 하여 호스의 하중 경감을 통해 드론의 이동 제약성을 상쇄시키도록 구성된다.The
이를 위하여 지상 공급부(100)는 도 1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유체펌프(110)와 공압펌프(120)가 각각의 배관을 통해 혼합기(130)에 병렬로 연결되고, 혼합기(130)의 후단에 호스(140)가 연결되며, 유체펌프(110)와 혼합기(130) 및 공압펌프(120)와 혼합기(130) 사이의 각 배관 상에 제1개폐밸브(v1)와 제2개폐밸브(v2), 제1체크밸브(cv1)와 제2체크밸브(cv2), 제1압력센서(pc1)와 제2압력센서(pc2)가 설치되며, 지상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조작 및 각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른 지상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각 펌프와 각 개폐밸브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여 유체와 기체가 가압 혼합된 혼합유체를 호스(140)를 통해 상부로 공급한다.To this end, the
유체펌프(110)는 제1배관(p1)을 통해 혼합기(130)와 연결되고, 지상 제어부(15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제1모터(M1)에 의해 구동되어 유체 저장조(도면에는 미도시됨)의 유체를 가압하여 제1배관(p1)으로 토출한다.The
공압펌프(120)는 제2배관(p2)을 통해 혼합기(130)와 연결되고, 지상 제어부(15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제2모터(M2)에 의해 구동되어 기체(예를 들면 공기)를 가압하여 제2배관(p2)으로 토출한다.The
혼합기(130)는 유체펌프(110)와 공압펌프(120)에 각각 배관(p1,p2)을 통해 연결되고, 각 펌프(110,120)에서 토출되는 가압된 유체와 기체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유체를 호스(140)를 통해 출력한다.
호스(140)는 혼합기(130)의 출력단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다른측 단부는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이러한 자유단을 통해 드론 공급부(200)의 호스 착탈부(210)에 자동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또한 이러한 호스(140)는 차량 등에 탑재된 권취롤(141)에 의해 자동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권취롤(141)의 상부에는 드론의 위치를 감지하여 지상 제어부(150)에 전달하는 위치감지센서(도면에는 미도시됨)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상 제어부(150)는 위치감지센서의 출력에 따라 지상 공급부(100)와 드론 공급부(200) 간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여 권취롤(14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호스 착탈부(210)에 연결된 호스(140)를 드론(20)이 이끌고 멀리 나아가서 지상 공급부(100)와 드론 공급부(200)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권취롤(141)에서 호스(140)를 자동으로 풀어주고, 반대로 지상 공급부(100)와 드론 공급부(200)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면 호스(140)를 권취롤(141)에 자동으로 감을 수 있게 된다.One end of the
제1개폐밸브(v1)는 유체펌프(110)와 혼합기(130) 사이의 제1배관(p1) 상에 설치되고 지상 제어부(150)에 의해 개폐되어 유체펌프(110)와 혼합기(130) 간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며, 제2개폐밸브(v2)는 공압펌프(120)와 혼합기(130) 사이의 제2배관(p2) 상에 설치되고 지상 제어부(150)에 의해 개폐되어 공압펌프(120)와 혼합기(130) 간의 기체, 즉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또는 공기의 흐름을 단속한다.The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v1) is installed on the first pipe (p1) between the fluid pump (110) and the mixer (130) and is opened and closed by the ground control unit (150) between the fluid pump (110) and the mixer (130). Adjusting the flow rate or interrupting the flow of the fluid, the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v2) is installed on the second pipe (p2) between the
제1체크밸브(cv1)는 제1개폐밸브(v1)와 유체펌프(110) 사이의 제1배관(p1) 상에 설치되어 제1개폐밸브(v1)에서 유체펌프(110) 측으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고, 제2체크밸브(cv2)는 제2개폐밸브(v2)와 공압펌프(120) 사이의 제2배관(p2) 상에 설치되어 제2개폐밸브(v2)에서 공압펌프(120) 측으로의 기체 흐름을 차단한다. The first check valve (cv1) is installed on the first pipe (p1)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valve (v1) and the
제1압력센서(pc1)와 제2압력센서(pc2)는 제1체크밸브(cv1)와 제1개폐밸브(v1) 사이의 제1배관(p1)에 설치되어 각각 다른 배관 압력값(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제1기준치보다 낮은 배관 압력값(LP)과 미리 설정된 제2기준치보다 높은 배관 압력값(HP) 등일 수 있음)을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를 지상 제어부(150)로 전달한다.The first pressure sensor (pc1)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pc2) is installed in the first pipe (p1) between the first check valve (cv1) and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valve (v1), respectively different pipe pressure values (for example For example, a pipe pressure value (LP) low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and a pipe pressure value (HP) higher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may be checked and the check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지상 제어부(150)는 통신라인(170)을 통해 드론 공급부(200)의 드론 제어부(24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및 전원 공급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직접 제어를 위한 제어 패널(151) 및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 조종기(152)를 구비하여 이들 제어 패널(151) 또는 원격 조종기(152)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및 각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유체펌프(110)와 공압펌프(120) 및 제1,제2개폐밸브(v1,v2) 및 드론 제어부(240)의 동작을 제어하고, 드론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및 제1,제2압력센서(pc1,pc2)의 체크결과를 수집한다. 여기서 지상 제어부(150)는 제1,제2압력센서(pc1,pc2)의 체크결과에 따라 제1개폐밸브(v1)의 개폐 및 유체펌프(110)의 기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위치감지센서의 출력에 따라 지상 공급부(100)와 드론 공급부(200) 간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여 권취롤(14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라인(170)은 지상 공급부(100)와 드론 공급부(200) 간을 연결하는 호스(14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호스를 따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이러한 지상 공급부(100)는 제1개폐밸브(v1)와 제1체크밸브(cv1)가 설치된 제1배관(p1)에서 바이패스 배관(161)을 분기시켜 형성하고, 이러한 바이패스 배관(161) 상에는 바이패스 배관의 개폐를 위한 제4개폐밸브(v4)를 설치하며, 바이패스 배관(161)의 종단부에 제2유체저장조(162)를 구비하여, 배관의 과압 또는 드론 공급부(200)의 호스 착탈부(210)에서 퀵커플러(212)가 솔레노이드밸브(211)에 의하여 이탈하게 될 때 제4개폐밸브(v4)를 개방하여 호스 내부의 유체를 제2유체조장조(162)로 회수할 수 있게 구성한다.In addition, the
드론 공급부(200)는 별도의 몸체 하우징(201)을 구성하여 드론(20)의 하우징 몸체(21)의 하부에 부착되거나 또는 드론(20)의 하우징 몸체(21)에 탑재되며, 지상 공급부(100)의 호스(140)의 종단부가 착탈되는 호스 착탈부(210)를 몸체 하우징(201)의 하부측에 구비하고, 유체와 기체를 분리 저장하는 분리 저장조(220)를 구비하여 호스(140)를 통해 지상 공급부(100)에서 가압된 혼합유체를 공급받아 유체와 기체로 각각 분리시켜 저장하고 분리 저장조(220)의 각 유체와 기체를 각각의 제3배관(p3) 및 제4배관(p4)을 통해 분사노즐(230)로 각각 공급하여 유체와 기체를 동시에 혼합 분사하도록 구성된다.The
이를 위하여 드론 공급부(200)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호스 착탈부(210), 분리 저장조(220), 분사노즐(230), 제3체크밸브(cv3), 제3개폐밸브(v3), 및 드론 제어부(240)를 구비하여, 호스(140)를 통해 지상 공급부(100)에서 가압된 혼합유체를 공급받아 유체와 기체를 각각 분리 저장하고 분리 저장조(220)의 유체와 기체를 각각의 배관(p3)(p4)을 통해 분사노즐(230)로 각각 공급하여 유체와 기체를 동시에 미세 분사한다. 또한 이러한 드론 공급부(200)는 드론(20)의 비행 위치를 표시하거나, 또는 공연 등의 동작 수행 중 미세 분사되는 유체의 난반사를 이용한 조명효과를 발생시키는 조명장치(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호스 착탈부(210)는 드론 공급부(200)의 몸체 하우징(201)의 하부에 설치되며, 호스(140)의 자유단부와 신속하게 직접 결합되는 퀵커플러(212)와, 퀵커플러(212)를 당기거나 밀어내는 동작에 의해 호스(140)의 자유단을 퀵커플러(212)와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211)로 구성된다. 퀵커플러(212)는 호스(140)의 단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솔레노이드 밸브(211)는 퀵커플러(212)를 밀어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호스 착탈부(210)의 내측에는 호스(140)를 통해 혼합유체를 공급받기 위한 내부 배관(213)이 설치되어 내부 배관(213)을 통해 분리 저장조(220)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호스 착탈부(210)는 드론 제어부(240)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211)가 구동되고 그에 따라 지상 공급부(100)의 호스(140)의 종단부가 퀵커플러(212)에 연결되거나 분리되며, 호스(140)로부터 내부 배관(213)을 통해 혼합유체를 공급받아 분리저장조(220)에 전달한다.The hose detachable part 210 is installed under the
분리 저장조(220)는 드론 공급부(200)의 몸체 하우징(201)의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가 유체 저장조(221)와 기체 저장조(222)로 분리되어 유체와 기체를 유체 저장조(221)와 기체 저장조(222)에 각각 분리 저장하고, 다수의 수위센서(LC,MC,HC)를 저장조 내부에 구비하여 분리 저장조(220) 내의 미리 설정된 높이에서 저수위(LC), 중수위(MC), 및 고수위(HC)를 각각 체크하고 그 결과를 드론 제어부(240)로 전달한다.The
이러한 분리 저장조(220)는 하단부에 유체 저장조(221)가 설치되고 상단부에 기체 저장조(222)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의 분리 저장조(220) 내의 유체 저장조(221)와 기체 저장조(222)는 혼합기(130)에서 혼합된 혼합유체를 밀도에 의하여 분리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특히 기체 저장조(222)는 유체펌프(110) 단독으로 사용시 공기에 의한 수격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러한 분리 저장조(220)에는 분사노즐(230)에서의 유체 및 기체 분사시 저장조 내부의 급격한 압력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수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격 방지부(223)가 상부에 더 설치될 수도 있다.In this
또한 분리 저장조(220)의 유체 저장조(221)에서 분사 노즐(230)로 연결되는 제3배관(p3) 상에는 분사노즐(230)에 공급되는 유체를 가압하여 토출하는 드론펌프(250)가 구비된다. 드론펌프(25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고도가 높고,대용량이 필요할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고압으로 분사노즐(230)에 압력를 단독으로 공급할 경우에 매우 용이하다.수압에 의한 드론의 상승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드론펌프(250)는 제3모터(M3)와 전동밸브(251) 및 플로우스위치(252)를 포함하여, 지상 공급부(100)의 유체펌프(110)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떨어질 경우, 일정한 분사압력을 형성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때 플로우 스위치(252)의 체크결과는 드론 제어부(240)로 전달되고, 드론 제어부(240)는 플로우 스위치(252)의 체크결과에 따라 제3모터(M3)를 구동시켜 전동밸브(251)의 개폐동작을 자동 제어하고 드론펌프(250)의 기동에 의하여 유체를 가압하여 분사노즐(230)에 공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드론의 상승에 의한 감압이 발생시 일정한 압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동밸브(251)는 드론 제어부(240)에 의해 개폐동작이 제어되어 평상시 개방되고, 압력이 떨어질 경우 토출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The
분사노즐(230)은 제3배관(p3) 및 제4배관(p4)의 종단에 연결되며, 제3배관(p3) 및 제4배관(p4)을 통해 분리 저장조(220)의 유체 저장조(221)와 기체 저장조(222)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배관(p3,p4)을 통해 유체 저장조(221)와 기체 저장조(222)에서 유체와 기체를 각각 공급받아 미세하게 분사한다. 이를 위하여 분사노즐(230)은 유체와 기체를 각각 공급받아 이들의 충돌에 의한 혼합 분산에 의해 유체를 미립화하여 미세 분사하는 이류체 노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이러한 분사노즐(230)의 일측에는 조명장치(260)가 더 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조명장치(260)는 드론(20)에 탑재되거나, 분사노즐(230)의 일측에 탑재되어,드론 제어부(240)에 의해 작동되며, 유체와 기체를 각각 공급받아 이들의 충돌에 의한 혼합 분산에 의해 유체를 미립화하여 미세하게 분사하는 이류체 노즐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260)는 드론(20)의 위치표시 또는 공연 등의 동작을 수행하며, 미세하게 분사되는 유체의 난반사를 이용하여 조명효과를 크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제3체크밸브(cv3)는 호스 착탈부(210)와 분리 저장조(220) 사이의 내부 배관(213) 상에 설치되어 분리 저장조(220)에서 호스 착탈부(210) 측으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한다. The third check valve cv3 is installed on the
제3개폐밸브(v3)는 분리 저장조(220)의 기체 저장조(222)와 분사노즐(230) 사이의 제4배관(p4) 상에 설치되며, 드론 제어부(240)에 의해 개폐되어 기체 저장조(222)와 분사노즐(230) 간의 기체, 즉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공기의 흐름을 단속한다.The third opening / closing valve (v3) is installed on the fourth pipe (p4) between the gas storage tank (222) of the separation storage tank (220) and the injection nozzle (230), and is opened and closed by the drone control unit (240) for the gas storage tank ( 222) and the
드론 제어부(240)는 통신라인(170)을 통해 지상 공급부(100)의 지상 제어부(15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및 전원 공급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지상 제어부(150)의 제어 패널(151) 또는 원격 조종기(152)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및 각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호스 착탈부(210)의 솔레노이드밸브(211), 드론펌프(250), 제3개폐밸브(v3)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제1 내지 제3수위센서(LC,MC,HC)와 플로우스위치(252)의 체크결과를 수집한다.The
이러한 드론 제어부(240)는 저수위(LC), 중수위(MC), 및 고수위(HC) 체크결과를 지상 제어부(150)의 원격 조종기(152)를 이용한 무선 통신, 또는 통신라인(170)을 이용한 유선 통신을 통해 지상 제어부(150)에 통보한다. 이에 따라 지상 제어부(150)에서는 저수위(LC)가 체크되면 유체펌프(110)를 기동시키고 제1개폐밸브(v1)를 개방하여 분리 저장조(220)의 유체 저장조(221)의 수위를 높이고, 중수위(MC)가 체크되면 정상운전을 수행하며, 고수위(HC)가 체크되면 유체펌프(110)를 감속시키고, 제1개폐밸브(v1)를 닫아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다.The
조명장치(260)는 드론(20)의 하우징 몸체(21)에 탑재되거나, 또는 분사노즐(23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분사 노즐(230)의 일측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260)는 드론 제어부(240)에 의해 점등 또는 점멸 동작이 제어되어 드론(20)의 비행 위치를 표시하거나, 또는 공연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분사노즐(230)에서 미세 분사되는 유체의 난반사를 통해 드론 공연 시의 조명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한다.The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의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a mixed fl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effect of the operation as follows.
먼저, 지상 공급부(100)는 소방 또는 급수용 물, 전염병 방역용 약품, 농약, 유화재 등의 유체를 싣고 이동하면서 고압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고압 살수용 또는 방역용 또는 소방용 등의 차량에 탑재하고, 드론 공급부(200)는 별도의 몸체 하우징(201)을 드론(20)의 하우징 몸체(21)의 하부에 부착하거나 또는 드론(20)의 하우징 몸체(21)에 탑재한 후 지상 공급부(100)의 호스(140)의 자유단부를 드론 공급부(20)의 호스 착탈부(210)의 퀵커플러(212)에 연결한다.First, the
상기와 같이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드론(20)의 운전이 개시되어, 호스 착탈부(210)에 연결된 호스(140)를 드론(20)이 이끌고 멀리 나아가서 지상 공급부(100)와 드론 공급부(200)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지상 제어부(150)는 위치감지센서의 출력에 따라 지상 공급부(100)와 드론 공급부(200) 간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여 호스가 풀리는 방향으로 권취롤(141)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권취롤(141)에서 호스(140)를 자동으로 풀어주게 된다. 반대로 지상 공급부(100)와 드론 공급부(200)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면 지상 제어부(150)는 위치감지센서의 출력에 따라 지상 공급부(100)와 드론 공급부(200) 간의 이격 거리를 산출하여 호스가 감기는 방향으로 권취롤(141)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므로 호스(140)를 권취롤(141)에 자동으로 감아주게 된다.The operation of the
상기와 같은 드론 비행 상태에서 지상 제어부(150)의 제어 패널(151) 또는 원격 조종기(152)를 이용하여 약제 등의 분사를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있게 되면, 지상 제어부(150)에서는 유체펌프(110)와 공압펌프(120)를 기동과 동시에 제1개폐밸브(v1) 및 제2개폐밸브(v2)를 개방하여 혼합기(130) 측으로 제1배관(p1)과 제2배관(p2)을 통해 유체와 기체를 각각 가압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압력센서(pc1)와 제2압력센서(pc2)는 제1체크밸브(cv1)와 제1개폐밸브(v1) 사이의 제1배관(p1)에서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제1기준치보다 낮은 배관 압력값과 미리 설정된 제2기준치보다 높은 배관 압력값 등의 각각 다른 배관 압력값을 감지하여 지상 제어부(150)로 전달하게 된다.In the drone flight state, when there is a user manipulation for injection of a drug or the like using the
이어서 혼합기(130)에서는 유체와 기체를 가압 및 혼합하여 혼합유체를 호스(140)를 통해 상부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호스(140) 내부에서는 도 4의 참고사진에서와 같이 유체 펌프(110)에 의해 가압된 유체(1)와 혼합되어 있는 가압 기체(2)의 상승력이 호스 내부의 혼합유체에 대한 상승력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되므로, 호스 내부에서의 유체의 상승을 신속하게 하면서 아울러 호스의 하중 경감을 통해 드론의 하중 부담을 덜어줄 수 있게 되므로, 호스 하중 부담에 의한 드론의 이동 제약성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the
한편, 지상 제어부(150)의 제어 패널(151) 또는 원격 조종기(152)를 이용하여 약제 등의 분사를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있게 되면, 지상 제어부(150)에 의한 제어신호는 통신라인(170)을 통해 드론 공급부(200)의 드론 제어부(240)에도 전달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user manipulation for injection of a drug or the like using the
따라서 드론 공급부(200)에서는 지상 공급부(100)에서 호스(140)를 통해 저달되는 혼합유체를 호스 착탈부(210)의 내부 배관(213)을 통해 공급받아 분리 저장조(220)의 유체 저장조(221)와 기체 저장조(222)에 각각 유체와 기체로 분리시켜 저장하고, 분리 저장조(220)의 유체 저장조(221)와 기체 저장조(222)에 각각 분리 저장된 유체와 기체를 다시 각각의 제3배관(p3) 및 제4배관(p4)을 통해 분사노즐(230)로 각각 공급하여 유체와 기체를 동시에 혼합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분리 저장조(220)는 하단부에 유체 저장조(221)가 설치되고 상단부에 기체 저장조(222)가 설치되어 있게 되므로, 이러한 구성의 분리 저장조(220) 내의 유체 저장조(221)와 기체 저장조(222)에서는 혼합기(130)에서 혼합된 혼합유체를 밀도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이러한 기체 저장조(222)는 유체펌프(110) 단독으로 사용시 저장조 내부의 급격한 압력 변화에 의한 수격 현상을 방지하는 수격 방지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또한 이때 분리 저장조(220)의 내부에서는 다수의 수위센서(LC,MC,HC)가 분리 저장조(220) 내의 미리 설정된 높이에서 저수위(LC), 중수위(MC), 및 고수위(HC)를 각각 체크하여 그 결과를 드론 제어부(24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t this time, a plurality of water level sensors (LC, MC, HC) inside the
따라서 드론 제어부(240) 저수위(LC), 중수위(MC), 및 고수위(HC) 체크결과를 지상 제어부(150)의 원격 조종기(152)를 이용한 무선 통신 또는 통신라인(170)을 이용한 유선 통신을 통해 지상 제어부(150)에 통보한다. 이에 따라 지상 제어부(150)에서는 저수위(LC)가 체크되면 유체펌프(110)를 기동시키고 제1개폐밸브(v1)를 개방하여 분리 저장조(220)의 유체 저장조(221)의 수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드론 제어부(240)에서는 중수위(MC)가 체크되면 정상운전을 수행하고, 고수위(HC)가 체크되면 유체펌프(110)를 감속시키고 제1개폐밸브(v1)를 닫아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Therefore,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유체 저장조(221)에서 분사 노즐(230)로 연결되는 제3배관(p3) 상에 분사노즐(230)에 공급되는 유체를 가압하여 토출하는 드론펌프(250)와 전동 밸브(251) 및 플로우 스위치(252)가 설치되므로, 지상 공급부(100)의 유체펌프(110)에 의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이 떨어질 경우, 제3배관(p3) 내 유체 흐름을 플로우스위치(252)가 체크하여 드론 제어부(240)로 전달하게 되고, 그에 따라 드론 제어부(240)가 드론펌프(250)를 기동하여 유체를 가압하여 분사노즐(230)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분사노즐(230)은 이류체 노즐로서 유체와 기체를 각각 공급받아 이들의 충돌에 의한 혼합 분산에 의해 유체를 미립화하여 미세하게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드론펌프(25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고도가 높고, 대용량이 필요할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사노즐(230)에 고압으로 압력을 단독으로 공급할 경우에 매우 용이하다. 이는 수압에 의한 드론의 상승효과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지상 공급부(100)는 제1개폐밸브(v1)와 제1체크밸브(cv1)가 설치된 제1배관(p1)에서 바이패스 배관(161)을 분기시켜 형성하고, 이 바이패스 배관(161) 상에 바이패스 배관 개폐를 위한 제4개폐밸브(v4)를 설치한 후 바이패스 배관(161)의 종단부에 제2유체저장조(162)를 구비하게 되므로, 배관의 과압 또는 드론 공급부(200)의 호스 착탈부(210)에서 퀵커플러(212)가 솔레노이드밸브(211)에 의하여 이탈하게 되는 경우 제4개폐밸브(v4)를 개방하여 호스 내부의 유체를 신속하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이후 필요에 따라 드론 제어부(240)에서 호스 착탈부(210)의 솔레노이드 밸브(211)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솔레노이드 밸브(211)가 동작하여 퀵커플러(212)를 밀어내게 되고, 이로써 호스 착탈부(210)의 퀵커플러(212)에서 호스(140)가 빠지면서 지상 공급부(100)의 호스(140)와 드론 공급부(200)의 호스 착탈부(210) 간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진화 또는 방역 또는 방재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에 호스(140)의 무게 또는 타 물체에 걸려 드론(20)의 이동이 불가능할 때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드론분사시스템에서는 드론(20) 비행 또는 공연 중에 필요에 따라 지상 제어부(150)의 제어 패널(151) 또는 원격 조종기(152)를 이용하여 조명장치(260)의 구동을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있게 되면, 지상 제어부(150)가 조명장치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통신라인(170)을 통해 또는 무선으로 드론 제어부(240)에 전달하게 되고, 따라서 드론 제어부(240)가 드론(20) 몸체 또는 분사노즐(23)에 설치된 조명장치(260)를 점등하거나 점멸시킴으로써, 드론(20)에 탑재되는 경우 드론(20)의 비행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되며, 분사노즐(230)에 설치되는 경우 공연 수행시 미세 분사되는 유체의 난반사를 통해 조명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rone inj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driving the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와 기체를 혼합하여 지상에서 호스를 통해 상부의 드론으로 공급하여 혼합유체 내에 함유된 가압된 기체의 상승력이 호스 내부의 유체에 작용할 수 있게 하므로, 유체의 무게 경감을 통해 드론의 이동 제약성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혼합유체를 드론에 탑재된 분리 저장조에 의하여 공기와 유체로 분리한 후 분사노즐에 가압하여 각각 공급될 수 있게 되므로 이류체 노즐을 이용한 미세 분사가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id and gas are mixed and supplied from the ground to the upper drone through the hose, so that the upward force of the pressurized gas contained in the mixed fluid can act on the fluid inside the hose,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flui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ovement restriction of the drone, and als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parate the mixed fluid into air and fluid by a separate storage tank mounted on the drone, and then pressurize the spray nozzle to supply each, so fine spraying using a dual nozzl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advantage of enabl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독 또는 별개의 공급관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고,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a limited embodiment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s not limited to using a single or separate supply pipe, which is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유체 2 : 기체
20 : 드론 21 : 하우징 몸체
100 : 지상 공급부 110 : 유체펌프
120 : 공압펌프 130 : 혼합기
140 : 호스 141 : 권취롤
150 : 지상 제어부 151 : 제어패널
152 : 원격 조종기 161 : 바이패스 배관
162 : 제2유체저장조 170 : 통신라인
200 : 드론 공급부 201 : 몸체 하우징
210 : 호스 착탈부 211 : 솔레노이드밸브
212 : 퀵 커플러 213 : 내부 배관
220 : 분리 저장조 221 : 유체 저장조
222 : 기체 저장조 223 : 수격 방지부
230 : 분사노즐 240 : 드론 제어부
250 : 드론펌프 251 : 전동 밸브
252 : 플로우 스위치 260 : 조명장치
v1-v4 : 개폐밸브 cv1-cv3 : 체크밸브
pc1,pc2 : 압력센서 M1-M3 : 모터
LC : 저수위센서 MC : 중수위센서
HC : 고수위센서1: Fluid 2: Gas
20: drone 21: housing body
100: ground supply unit 110: fluid pump
120: pneumatic pump 130: mixer
140: hose 141: winding roll
150: ground control unit 151: control panel
152: remote control 161: bypass piping
162: Second fluid storage tank 170: Communication line
200: drone supply unit 201: body housing
210: hose attachment and detachment part 211: solenoid valve
212: quick coupler 213: internal piping
220: separating reservoir 221: fluid reservoir
222: gas storage tank 223: water hammer prevention unit
230: spray nozzle 240: drone control
250: drone pump 251: electric valve
252: flow switch 260: lighting device
v1-v4: Open / close valve cv1-cv3: Check valve
pc1, pc2: Pressure sensor M1-M3: Motor
LC: Low water level sensor MC: Medium water level sensor
HC: High water level sensor
Claims (11)
드론(20)에 탑재되며, 상기 지상 공급부(100)의 호스(140)의 종단부가 착탈되는 호스 착탈부(210)를 구비하고, 유체와 기체를 분리 저장하는 분리 저장조(220)를 구비하여 상기 호스(140)를 통해 상기 지상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혼합유체를 공급받아 유체와 기체를 각각 분리시켜 저장하고 상기 분리 저장조(220)의 각 유체와 기체를 분사노즐(230)을 통해 동시에 미세 분사하는 드론 공급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It is mounted on a vehicle for high-pressure sprinkling or quarantine or firefighting, and is provided with a fluid pump 110, a pneumatic pump 120, and a mixer 130 to pressurize and mix the fluid and gas, and then connect a hose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mixer 130. By connecting 140), the mixed fluid in which the fluid and gas are mixed is supplied to the upper part through the hose 140 so that the upward force of the gas in the hose 140 acts on the mixed fluid moving inside the hose to load the hose. Ground supply unit 100 to offset the constraints of movement of the drone by the reduction;
It is mounted on the drone 20, the end of the hose 140 of the ground supply unit 100 is provided with a hose detachable portion 210 is detachable, provided with a separate storage tank 220 for separating and storing fluid and gas 220 The mixed fluid supplied from the above ground supply unit 100 is supplied through a hose 140 to separate and store the fluid and gas separately, and each fluid and gas in the separation storage tank 220 is simultaneously fine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230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a mixed flui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drone supply unit 200 for injection.
유체를 가압하여 배관으로 토출하는 유체펌프(110);
기체를 가압하여 배관으로 토출하는 공압펌프(120);
상기 유체펌프(110)와 공압펌프(120)에 각각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각 펌프에서 토출되는 유체와 기체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는 혼합기(130);
상기 혼합기(130)의 출력단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다른측 단부는 드론 공급부(200)의 호스 착탈부(2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호스(140);
상기 유체펌프(110)와 혼합기(130) 사이, 및 상기 공압펌프(120)와 혼합기(130) 사이의 배관 상에 각각 설치되며, 지상 제어부(15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유체펌프(110)와 혼합기(130) 간의 유체 흐름, 및 상기 공압펌프(120)와 혼합기(130) 간의 기체의 흐름을 각각 단속하는 제1개폐밸브(v1)와 제2개폐밸브(v2);
상기 제1개폐밸브(v1)와 유체펌프(110) 사이, 및 상기 제2개폐밸브(v2)와 공압펌프(120) 사이의 배관 상에 각각 설치되어 제1개폐밸브(v1)에서 유체펌프(110) 측으로의 유체 흐름, 및 제2개폐밸브(v2)에서 공압펌프(120) 측으로의 기체 흐름을 각각 차단하는 제1체크밸브(cv1)와 제2체크밸브(cv2);
상기 제1체크밸브(cv1)와 제1개폐밸브(v1) 사이의 배관에서 각각 다른 압력값을 감지하여 지상 제어부(150)로 전달하는 제1압력센서(pc1) 및 제2압력센서(pc2);
통신라인(170)을 통해 상기 드론 공급부(200)의 드론 제어부(240)와 통신 및 전원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직접 제어를 위한 제어 패널(151) 및 사용자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 조종기(152)를 구비하여 제어 패널(151) 또는 원격 조종기(152)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및 각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각 펌프와 각 개폐밸브 및 드론 제어부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지상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조작 및 각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른 지상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각 펌프와 각 개폐밸브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여 유체와 기체가 혼합된 혼합유체를 호스(140)를 통해 상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round supply unit 100,
A fluid pump 110 that pressurizes the fluid and discharges it into a pipe;
A pneumatic pump 120 that pressurizes the gas and discharges it into a pipe;
A mixer 130 connected to the fluid pump 110 and the pneumatic pump 120 through piping, and mixing fluid and gas discharged from each pump at a constant rate;
A hose 14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mixer 130 and the other end detachably connected to or detached from the hose detachable portion 210 of the drone supply unit 200;
It is installed on the pipe between the fluid pump 110 and the mixer 130, and between the pneumatic pump 120 and the mixer 130,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ground control unit 150, the fluid pump 110 A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v1) and a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v2) for intermittently controlling the fluid flow between the and the mixer (130) and the gas flow between the pneumatic pump (120) and the mixer (130);
It is installed on the pipe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valve (v1) and the fluid pump 110, and between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valve (v2) and the pneumatic pump 120, respectively, the fluid pump (1) in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valve (v1) 110) a first check valve (cv1) and a second check valve (cv2) to block the fluid flow to the side and the gas flow from the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v2) to the pneumatic pump (120), respectively;
The first pressure sensor (pc1)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pc2) to detect the different pressure values in the pipe between the first check valve (cv1) and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valve (v1) to the ground control unit 150 ;
The communication line 170 is connected to the drone control unit 240 of the drone supply unit 200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and supply power, a control panel 151 for direct control of the user, and a remote controller for remote control of the user ( The ground control unit 150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pump, each on-off valve and the drone control unit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manipulation through the control panel 151 or the remote controller 152 and the detection signals of each sensor. Including,
Under the control of the ground control unit 150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the detection signal of each sensor, the operation of each pump and each on-off valve is controlled as a whole to supply the mixed fluid in which the fluid and gas are mixed to the upper part through the hose 140.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a mixed flui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상기 지상 공급부(100)의 호스(140)의 종단부가 착탈되는 호스 착탈부(210);
유체와 기체를 유체 저장조(221)와 기체 저장조(222)에 각각 분리 저장하고다수의 수위센서를 구비하여 저장조 내의 저수위(LC), 중수위(MC), 및 고수위(HC)를 각각 체크하여 드론 제어부(240)로 전달하는 분리 저장조(220);
상기 분리 저장조(220)에서 배관을 통해 각각 공급되는 유체와 기체를 미세분사하는 분사노즐(230);
상기 호스 착탈부(210)와 상기 분리 저장조(220) 사이의 배관 상에 설치되어 분리 저장조(220)에서 호스 착탈부(210) 측으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제3체크밸브(cv3);
상기 분리 저장조(220)의 기체 저장조(222)와 상기 분사노즐(230) 사이의 배관 상에 설치되며, 드론 제어부(24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기체 저장조(222)와 분사노즐(230) 간의 공기량 또는 기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3개폐밸브(v3);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저장조(220)는,
상기 유체 저장조(221)에서 분사 노즐(230)로 연결되는 배관 상에 분사노즐(230)에 공급되는 유체를 가압하여 토출하기 위한 드론펌프(250)가 연결되며,
통신라인(170)을 통해 상기 지상 공급부(100)의 지상 제어부(150)와 통신 및 전원 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지상 제어부(150)의 제어 패널(151) 또는 원격 조종기(152)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및 각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드론펌프(250)와 제3개폐밸브(v3)의 동작을 제어하는 드론 제어부(240);를 구비하여,
상기 호스(140)를 통해 상기 지상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혼합유체를 공급받아 유체와 기체를 각각 분리 저장하고 상기 분리 저장조(220)의 유체와 기체를 분사노즐(230)로 각각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drone supply unit 200,
A hose detachable portion 210 to which a terminal end of the hose 140 of the ground supply portion 100 is detached;
The fluid and gas are separately stored in the fluid storage tank 221 and the gas storage tank 222, and a plurality of water level sensors are provided to check the low water level (LC), the medium water level (MC), and the high water level (HC) in the storage tank, respectively, and drone. Separate storage tank 220 to deliver to the control unit 240;
An injection nozzle (230) for finely spraying the fluid and gas supplied through the pipes in the separate storage tank (220);
A third check valve (cv3) installed on a pipe between the hose detachable part 210 and the separating reservoir 220 to block fluid flow from the separating reservoir 220 to the hose detachable part 210 side;
It is installed on the pipe between the gas storage tank 222 and the injection nozzle 230 of the separation storage tank 220,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drone control unit 240 between the gas storage tank 222 and the injection nozzle 230 It includes; a third opening and closing valve (v3) to regulate the flow of air or gas;
The separate storage tank 220,
A drone pump 250 for pressurizing and discharging the fluid supplied to the injection nozzle 230 is connected to a pipe connected from the fluid storage tank 221 to the injection nozzle 230,
It is connected to the ground control unit 150 of the ground supply unit 100 through communication line 170 to enable communication and power supply, and the user through the control panel 151 or remote controller 152 of the ground control unit 150. With a drone control unit 24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one pump 250 and the third opening and closing valve (v3)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and the detection signal of each sensor;
It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mixed fluid supplied from the ground supply unit 100 through the hose 140 to separately store and store the fluid and gas, and to supply the fluid and gas of the separation storage tank 220 to the injection nozzle 230, respectively.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a mixed fluid,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1개폐밸브(v1)와 제1체크밸브(cv1)가 설치된 배관에서 분기되는 바이패스 배관(161)을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 배관(161)의 종단부에 제2유체저장조(162)를 구비하며,
상기 지상 제어부(150)는 상기 드론 공급부(200)에서 호스(140)가 이탈하는 경우 제1개폐밸브(v1)를 즉시 개방시키도록 제어하여,
배관 내 유체가 바이패스 배관(161)을 통해 제2유체저장조(162)에 공급되도록 하여 유체의 외부 유출 방지 및 호스가 권취롤에 용이하게 감기도록 호스의 무게 경감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round supply unit 100,
The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v1) and the first check valve (cv1) form a bypass pipe (161) that branches off from the installed pipe, and a second fluid storage tank (162) at the end of the bypass pipe (161) Equipped,
The ground control unit 150 controls to immediately open the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v1 when the hose 140 is detached from the drone supply unit 2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uid in the piping is supplied to the second fluid storage tank 162 through the bypass piping 161 to prevent external leakage of the fluid an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hose so that the hose is easily wound around the winding roll.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mixed fluid.
권취롤(141)에 의해 자동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ose 140,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a mixed fluid,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to be automatically wound or unwound by the winding roll (141).
상기 호스(140)와 신속하게 직접 결합되는 퀵커플러(212);
상기 드론 제어부(240)에 의해 구동되어 퀵커플러(212)를 밀어내는 솔레노이드 밸브(2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According to claim 3, The hose detachable portion 210,
A quick coupler 212 that is quickly and directly coupled to the hose 140;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a mixed flui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solenoid valve 211 driven by the drone control unit 240 to push the quick coupler (212).
하단부에 유체 저장조(221)가 설치되고 상단부에 기체 저장조(222)가 설치되어, 상단부에 설치된 기체 저장조(222)가 분리 저장조(220)내의 수격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paration reservoir 220,
The fluid storage tank 221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and the gas storage tank 222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so that the gas storage tank 222 installed at the upper end is configured to prevent water hammering in the separation storage tank 220. Drone injection system used.
상기 분사노즐(230)에서의 유체 및 기체 분사시 저장조 내부의 급격한 압력변화에 의한 수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격 방지부(223)가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paration reservoir 220,
A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a mixed fluid, characterized in that a water hammer prevention unit (223) for preventing water hammering due to a sudden pressure change inside the storage tank during the injection of fluid and gas from the injection nozzle (230) is installed at the top.
유체와 기체를 각각 공급받아 이들의 충돌에 의한 혼합 분산에 의해 유체를 미립화하여 미세하게 분사하는 이류체 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According to claim 3, The injection nozzle 230,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a mixed fluid,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dual-fluid nozzle that atomizes and finely atomizes the fluid by mixing and dispersing due to their collisions.
드론(20)의 하우징 몸체(21) 또는 분사노즐(230)의 일측에 설치되며, 드론 제어부(240)에 의해 점등 또는 점멸되어 드론(20)의 비행 위치를 표시하거나 분사노즐(230)에서 미세 분사되는 유체에 조명을 조사하여 유체의 난반사를 발생시키는 조명장치(260);를 더 포함하여 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유체를 이용한 드론 분사시스템.According to claim 3, The drone supply unit 200,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body 21 or the injection nozzle 230 of the drone 20, and is lit or flashed by the drone control unit 240 to indicate the flight position of the drone 20 or fine from the injection nozzle 230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a mixed fluid,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illumination device 260 for generating a diffuse reflection of the fluid by irradiating the injected fluid with illumin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2250A KR102101130B1 (en) | 2019-11-08 | 2019-11-08 |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mixed flui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2250A KR102101130B1 (en) | 2019-11-08 | 2019-11-08 |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mixed fluid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1130B1 true KR102101130B1 (en) | 2020-04-23 |
Family
ID=7047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2250A Active KR102101130B1 (en) | 2019-11-08 | 2019-11-08 |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mixed fluid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113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3689B1 (en) * | 2020-08-05 | 2022-01-19 | 이학률 | Control valve for control dron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180667A1 (en) * | 2009-03-10 | 2011-07-28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Tether energy supply system |
KR101662255B1 (en) | 2016-02-22 | 2016-10-06 | 주식회사 보성 | Drones for spraying pesticide and its cartridge for supplying pesticide |
KR20170126274A (en) | 2016-05-09 | 2017-11-17 | 김성진 | Dron for spraying agricultural pesticide |
KR20190109832A (en) * | 2018-03-19 | 2019-09-27 | 하상균 | Drones for spraying pesticide or extinguishing agent |
-
2019
- 2019-11-08 KR KR1020190142250A patent/KR10210113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180667A1 (en) * | 2009-03-10 | 2011-07-28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Tether energy supply system |
KR101662255B1 (en) | 2016-02-22 | 2016-10-06 | 주식회사 보성 | Drones for spraying pesticide and its cartridge for supplying pesticide |
KR20170126274A (en) | 2016-05-09 | 2017-11-17 | 김성진 | Dron for spraying agricultural pesticide |
KR20190109832A (en) * | 2018-03-19 | 2019-09-27 | 하상균 | Drones for spraying pesticide or extinguishing agen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3689B1 (en) * | 2020-08-05 | 2022-01-19 | 이학률 | Control valve for control dro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816831A (en) | Fire extinguishing unmanned aerial vehicle for super high-rise building | |
KR101885517B1 (en) | Drone For Peat Control | |
US20230381558A1 (en) | Aerial fire suppression system | |
KR102136963B1 (en) | Drone injection system for agriculture, fire suppression or performance | |
KR102046709B1 (en) | Drones for spraying pesticide or extinguishing agent | |
RU2620400C2 (en) | Aircraft fire suppression system | |
US9750963B2 (en) | Advanced airborne fire fighting system | |
EP1213039A2 (en) | A fire fighting installation for discharging a liquid-gas fog | |
US9061325B2 (en) | Automatic portable fluid dispersal device | |
US20020125016A1 (en) | Aerial fire suppression system | |
WO2012100271A1 (en) | Multi-headed mobile fogging system and method | |
US10028497B1 (en) | Misting system | |
KR102101130B1 (en) | Drone injection system using mixed fluids | |
KR101990631B1 (en) | Soaring nozzle with solar cell | |
EP3496821B1 (en) | Aerial fire suppression system | |
WO2008115220A2 (en) | Fire suppression gel delivery and truck cab protection systems | |
KR102136950B1 (en) | Propeller accelerator of unmanned vehicle for fluid injection | |
RU2489201C2 (en) | Method of dispersing fluid in dispersion air medium in aerosol and mobile aerosol generator controlled by multivariate effect of dispersion, mixer, and balancing valve for implementation of said method | |
US20120187210A1 (en) | Multi-headed Mobile Fogging System and Method | |
JP6937912B2 (en) | Control device and fire extinguishing nozzle for operating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 |
US6158521A (en) | Portable fire-fighting container with folding funnel | |
KR101862256B1 (en) | Agricultural control equipment | |
KR100258012B1 (en) | Fire-fighting equipment | |
KR102422724B1 (en) | Working System using the Drone | |
JP3226738B2 (en) | Drug spraying device by unmanned helicop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1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