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00073B1 -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073B1
KR102100073B1 KR1020190044763A KR20190044763A KR102100073B1 KR 102100073 B1 KR102100073 B1 KR 102100073B1 KR 1020190044763 A KR1020190044763 A KR 1020190044763A KR 20190044763 A KR20190044763 A KR 20190044763A KR 102100073 B1 KR102100073 B1 KR 102100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authentication
ser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창배
Original Assignee
손창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창배 filed Critical 손창배
Priority to KR1020190044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073B1/ko
Priority to PCT/KR2019/004997 priority patent/WO202021377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0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자장치가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전자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정보를 개인인증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전자장치가 결제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생체정보 및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전자장치는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서버를 통해 결제정보가 결제서버로 전송되어 결제 서비스가 처리되도록 결제정보를 결제요청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Providing of Payment Service}
본 발명은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상품권, 교환권 및 계좌 자동 이체 등의 결제 수단을 통해 물건, 서비스 등을 구매한다. 특히, 결제 금액 또는 결제 점포 등에 따라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신용카드, 체크카드의 종류가 증가하여 소비자들은 자신의 소비 패턴에 맞게 복수의 카드를 구비하게 된다. 이 경우, 소비자들은 자신이 구비한 카드의 혜택에 따라 결제 시마다 상이한 카드를 이용해 결제하고 이를 위해 항상 복수의 카드를 모두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상품권, 교환권 등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항상 휴대해야 하고, 계좌 자동 이체 역시 OTP(one time password)카드 및 공인인증서를 항상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08-0079484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사용자의 신체정보와 사용자가 소지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통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사용자의 개인인증정보에 결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정보를 매핑하여 전자장치에 저장하고, 결제정보를 암호화하여 인증서버에 전송하고, 신체정보와 식별정보로 개인인증이 완료되면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정보를 복호화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전자장치가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정보를 상기 개인인증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결제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인증서버를 통해 상기 결제정보가 결제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결제 서비스가 처리되도록 상기 결제정보를 결제요청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결합하여 숫자열 아이디와, 상기 숫자열 아이디에 대응되는 텍스트 아이디를 상기 개인인증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제정보를 상기 개인인증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결제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개인인증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텍스트 아이디와 상기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제정보를 결제요청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결제요청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복호화 정보를 상기 결제요청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제정보의 복호화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결제요청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인증서버가 상기 결제요청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호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인증서버가 상기 결제서버로 상기 복호화된 결제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서버가 상기 결제서버로부터 수신된 결제승인결과를 상기 결제요청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텍스트 아이디와 상기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공개키 및 개인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공개키를 상기 텍스트 아이디와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생체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결제수단이 복수이면, 상기 결제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및 상기 생체정보와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개인인증정보에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정보를 매핑하고,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결제 서비스가 처리되도록 결제요청장치와 인증서버를 통해 결제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상기 결제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결합하여 숫자열 아이디와, 상기 숫자열 아이디에 대응되는 텍스트 아이디를 상기 개인인증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되, 상기 결제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개인인증정보에 매핑하고, 상기 텍스트 아이디와 상기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결제요청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의 복호화 정보를 상기 결제요청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공개키 및 개인키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공개키를 상기 텍스트 아이디와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결제수단이 복수이면, 상기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정보를 상기 개인인증정보에 매핑하고, 결제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장치, 상기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결제요청장치, 상기 결제요청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암호화되어 기저장된 결제정보를 복호화하는 인증서버 및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호화된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제 서비스를 처리하도록 결제승인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정보와 사용자가 소지하는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통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휴대 없이 전자장치만으로 간편하게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사용자의 개인인증정보에 결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정보를 매핑하여 전자장치에 저장하고, 결제정보를 암호화하여 인증서버에 전송하고, 신체정보와 식별정보로 개인인증이 완료되면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정보를 복호화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결제정보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드형태의 전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결제 서비스를 위해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결제 서비스를 위한 결제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결제요청장치(100), 전자장치(200), 인증서버(300) 및 결제서버(400)를 포함한다.
결제요청장치(100)는 물건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하는 포스장치를 의미할 수 있고, 온라인 매장에서 운영하는 서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결제요청장치(100)는 전자장치(200)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신하여 결제금액과 함께 결제정보를 인증서버(300)로 전송한다.
결제요청장치(100)가 오프라인 매장 등에 배치된 경우, 결제요청장치(100)는 전자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인증서버(300)와의 통신을 위해 5G(5th gener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제요청장치(100)가 온라인 매장 등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경우, 결제요청장치(100)는 전자장치(200), 인증서버(300)와의 통신을 위해 5G(5th gener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스마트 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 형태의 장치일 수 있다. 전자장치(200)가 휴대용 단말기 형태일 경우 전자장치(200)는 인증서버(300)와 직접적인 통신을 통해 개인인증정보 및 결제정보를 인증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장치(200)는 5G(5th gener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전자장치(2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하고, 물건이나 서비스 구매 시 사용할 결제수단과 관련된 결제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전자장치(200)는 개인인증정보와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200)의 동작은 하기의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드형태의 전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200)는 통신부(210), 센서부(220), 입력부(230), 표시부(240), 메모리(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아울러, 전자장치(200)가 도 3과 같이 카드 형태로 형성될 경우, 제어부(260)는 IC(integrated circuit) Chip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260)는 EEPROM 또는 플래시메모리 등의 메모리(250)를 내장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결제요청장치(100), 인증서버(300) 및 결제서버(4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전자장치(200)가 스마트 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 형태의 장치일 경우, 통신부(210)는 5G(5th 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WiFi(wireless fidelity), BLE(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전자장치(200)가 카드 형태의 장치일 경우, 통신부(210)는 BLE(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부(22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로, 지문센서 등이 될 수 있다.
입력부(230)는 전자장치(200)의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입력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230)는 키보드, 터치 키, 터치패널, 버튼, 키패드, 돔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전자장치(200)의 동작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24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입력부(23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표시부(240)는 전자장치(200)에 복수의 결제수단이 저장된 경우, 결제 시에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결제수단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250)는 전자장치(2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메모리(25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식별 번호를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 전자장치(200)에 내장된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가 집적화된 칩 등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에 대한 식별 번호와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식별 번호를 결합하여 숫자열 아이디를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 결제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한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5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개인인증정보를 저장하고, 개인인증정보에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센서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하여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지문, 홍채 등 사용자 신체와 관련된 생체정보일 수 있고, 제어부(260)는 획득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생체정보에 따른 식별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60)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칩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칩 정보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가 집적화된 칩 등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에 대한 식별 번호 등일 수 있다. 제어부(260)는 생체정보에 따른 식별 번호와 전자부품에 대한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숫자열 아이디와 텍스트 아이디를 포함하는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생체정보에 따른 식별 번호와 전자부품에 대한 식별 번호를 결합하여 숫자열 아이디를 생성하고, 숫자열 아이디를 기반으로 텍스트 아이디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260)는 전자장치(200)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텍스트로 텍스트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텍스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260)에서 랜덤하게 텍스트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결제 서비스를 위한 결제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결제정보는, 신용카드 정보, 체크카드 정보, 은행의 계좌정보, 상품권 정보, 할인권 정보, 교환권 정보, 기프티콘 정보, 암호화폐 정보 등 물건이나 서비스 등을 구매할 수 있는 결제수단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30)를 통해 결제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획득된 영상데이터의 분석 예컨대, OCR(optical character reader)분석을 통해 결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60)는 생성된 결제정보를 암호화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증서버(300)가 블록체인 서버일 경우, 제어부(260)는 결제정보에 대한 공개키 및 개인키를 생성하여 결제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개인인증정보에 결제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암호화된 결제정보 예컨대, 결제정보에 대한 공개키를 인증서버(300)로 전송한다.
인증서버(30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서버 예컨대, 사용자 인증을 위한 블록체인 서버일 수 있다. 아울러, 인증서버(300)는 정보제공서버(400) 및 전자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해 5G(5th gener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서버(300)는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아이디 및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이어서, 제어부(260)는 메모리(250)에 저장된 결제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결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것으로 확인하고,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정보를 확인한다. 제어부(260)는 사용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체정보와 전자장치(200)의 식별정보가 일치함이 확인되면,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의 개인인증정보를 확인한다. 제어부(260)는 확인된 개인인증정보에 매핑되어 저장된 복수의 결제수단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260)는 결제정보에 대한 복호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복호화 정보가 확인된 이후에, 결제요청장치(100)로부터 결제정보가 요청되면, 제어부(260)는 확인된 복호화 정보를 결제요청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결제요청장치(100)가 오프라인 매장에 배치된 경우에 결제정보 요청은 전자장치(200)가 결제요청장치(100)에 접촉하여 결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시점에 결제요청장치(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결제요청장치(100)가 온라인 매장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경우에 결제정보 요청은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서 결제를 선택한 시점에 결제요청장치(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결제정보 요청에 따라 제어부(260)는 확인된 결제정보 즉, 결제정보에 대한 복호화 정보 및 텍스트 아이디를 결제요청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결제요청장치(100)는 제어부(260)로부터 수신된 복호화 정보를 인증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결제요청장치(100)는 사용자가 결제해야 하는 결제금액을 복호화 정보와 함께 인증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서버(300)는 결제요청장치(100)로부터 결제금액과 인증서버(300)에 저장된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정보를 수신한다. 인증서버(300)는 수신된 텍스트 아이디에 매핑된 암호화된 결제정보 중에서 복호화 정보로 복호화가 가능한 결제정보를 확인한다. 인증서버(300)는 확인된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복호화한다. 인증서버(300)는 복호화된 결제정보와 결제금액을 결제서버(400)로 전송하여 결제 서비스의 처리를 요청한다.
결제서버(400)는 전자장치(200)에 저장된 결제수단과 관련된 서버를 의미한다. 예컨대, 결제서버(400)는 신용카드업체, 체크카드업체, 은행, 할인권제공업체, 상품권제공업체, 교환권제공업체, 기프티콘제공업체, 암호화폐관리업체 등에서 운영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결제서버(400)는 인증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인증서버(300)로부터 결제정보 및 결제액수를 수신하여 결제를 승인하고, 결제승인이 완료되면 이를 인증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결제서버(400)는 인증서버(300)와 5G(5th gener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결제서버(400)는 전자장치(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정보를 전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전자장치(200)가 도 3과 같이 카드 형태의 장치일 경우 전자장치(200)는 전자장치(200)와 동기화가 가능한 스마트 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서버(300)로 개인인증정보 및 결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200)는 전자장치(200)의 거치가 가능한 크래들(cradle; 미도시)이 연결된 컴퓨터, 태블릿 PC 등의 장치를 통해 인증서버(300)로 개인인증정보 및 결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크래들과의 통신을 위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가 스마트 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기화된 상태이면, 제어부(26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텍스트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거나, 결제서버(400)에 접속하여 결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가 크래들에 거치된 상태이면, 제어부(260)는 크래들이 연결된 컴퓨터, 태블릿 PC 등의 장치로부터 텍스트 아이디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크래들이 연결된 컴퓨터, 태블릿 PC 등의 장치로부터 결제정보를 직접 입력받거나, 컴퓨터, 태블릿 PC를 통해 결제서버(400)에 접속하여 결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크래들이 연결된 컴퓨터, 태블릿 PC 등의 장치를 통해 인증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해 전자장치(200)에 저장된 결제수단을 선택하면, 제어부(260)는 생체정보와 식별 번호를 입력받는다. 제어부(260)는 입력된 생체정보와 식별 번호가 저장된 생체정보 및 식별 번호와 일치하면,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하고, 개인인증정보에 매핑되어 저장된 결제정보 중에서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확인된 결제정보는 인증서버(300)에 저장된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정보를 의미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전자장치(200)를 오프라인 매장에 배치된 결제요청장치(100)에 태그하거나 긁는 행위가 감지되면, 제어부(260)는 확인된 복호화 정보와 텍스트 아이디를 결제요청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결제요청장치(100)가 온라인 매장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경우, 제어부(260)는 전자장치(200)와 동기화된 스마트 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전자장치(200)가 거치된 크래들이 연결된 장치를 통해 복호화 정보 및 텍스트 아이디를 결제요청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결제요청장치(100)는 복호화 정보, 텍스트 아이디 및 사용자가 결제해야 하는 결제금액을 인증서버(300)로 함께 전송한다. 인증서버(300)와 결제 서비스를 처리하는 결제서버(400)의 동작은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지문, 홍채 등 사용자 신체와 관련된 생체정보일 수 있고, 전자장치(200)는 획득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생체정보에 따른 식별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전자장치(200)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칩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칩 정보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가 집적화된 칩 등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에 대한 식별 번호 등일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생체정보에 따른 식별 번호와 전자부품에 대한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숫자열 아이디와 텍스트 아이디를 포함하는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200)는 생체정보에 따른 식별 번호와 전자부품에 대한 식별 번호를 결합하여 숫자열 아이디를 생성하고, 숫자열 아이디를 기반으로 텍스트 아이디를 생성한다. 이때, 전자장치(200)는 전자장치(200)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텍스트로 텍스트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텍스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전자장치(200)에서 랜덤하게 텍스트 아이디를 생성할 수 있다.
403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결제 서비스를 위한 결제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결제정보는, 신용카드 정보, 체크카드 정보, 은행의 계좌정보, 상품권 정보, 할인권 정보, 교환권 정보, 기프티콘 정보, 암호화폐 정보 등 물건이나 서비스 등을 구매할 수 있는 결제수단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전자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30)를 통해 결제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획득된 영상데이터의 분석 예컨대, OCR(optical character reader)분석을 통해 결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전자장치(200)는 생성된 결제정보를 암호화한다.
405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생성된 개인인증정보와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407단계를 수행한다. 407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개인인증정보 중 텍스트 아이디와 개인인증정보에 매핑된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인증서버(300)로 전송한다. 409단계에서 인증서버(300)는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아이디와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증서버(300)가 블록체인 서버일 경우 전자장치(200)는 결제정보에 대한 개인키와 공개키를 생성하고, 인증서버(300)로 공개키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서버인 인증서버(300)에는 사용자의 텍스트 아이디와 결제정보에 대한 공개키를 저장할 수 있다. 인증서버(300)가 블록체인 서버인 경우, 사용자의 텍스트 아이디 및 공개키를 다른 사용자들이 확인할 수 있으나, 텍스트 아이디를 기반으로 숫자열 아이디의 확인이 불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개인인증정보에 대한 해킹이 불가능하다. 또한, 다른 사용자들은 사용자의 결제정보에 대한 공개키를 확인할 수 있으나, 결제정보에 대한 개인키의 확인이 불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결제정보에 대한 해킹이 불가능하다.
411단계에서 사용자는 전자장치(200)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고자 할 때, 전자장치(200)에 저장된 결제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선택한다. 예컨대, 전자장치(200)에 하나의 결제수단이 저장된 경우에는 전자장치(200)는 411단계를 생략하고 413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200)에 복수의 신용카드에 대한 결제정보와 복수의 할인권에 대한 결제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할인권을 적용한 이후의 금액을 신용카드로 결제하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결제 시 적용하고자 하는 할인권과 신용카드를 결제수단으로 선택할 수 있다.
411단계에서 결제수단이 선택되면 전자장치(200)는 413단계를 수행한다. 413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체정보와 전자장치(200)의 식별정보가 일치함이 확인되면,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의 개인인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415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확인된 개인인증정보에 매핑되어 저장된 복수의 결제수단 중에서 411단계에서 선택된 결제수단과 관련된 결제정보에 대한 복호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417단계에서 결제요청장치(100)는 전자장치(200)로 결제정보를 요청한다. 즉, 사용자가 전자장치(200)를 결제요청장치(100)에 접촉하여 결제를 수행하고자 하면, 결제요청장치(100)는 전자장치(200)로 결제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417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415단계에서 확인된 결제정보에 대한 복호화 정보를 결제요청장치(100)로 전송한다. 421단계에서 결제요청장치(100)는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복호화 정보를 인증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결제요청장치(100)는 사용자가 결제해야 하는 결제금액을 복호화 정보와 함께 인증서버(300)로 전송한다.
423단계에서 인증서버(300)는 결제요청장치(100)를 통해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복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409단계에서 저장된 암호화된 결제정보의 복호화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인증서버(300)는 암호화된 결제정보의 복호화를 통해 411단계에서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425단계에서 인증서버(300)는 복호화된 결제정보 및 결제금액을 결제서버(400)로 전송한다. 427단계에서 결제서버(400)는 인증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결제 승인을 완료하고, 429단계를 수행한다. 429단계에서 인증서버(300)를 결제 승인 결과를 인증서버(300)로 전송하고, 431단계에서 인증서버(300)는 결제 승인 결과를 결제요청장치(100)로 전송한다. 433단계에서 결제요청장치(100)는 결제 승인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한 물건이나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완료한다.
예컨대, 결제 시에 신용카드와 할인권이 동시에 사용이 가능한 경우는 신용카드업체와 할인권을 제공하는 업체가 제휴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인증서버(300)는 신용카드와 관련된 결제서버(400)로 할인권에 대한 결제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결제서버(400)에서 할인권과 관련된 금액을 차감한 액수를 결제승인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결제요청장치(100)에서 결제요청이 된 금액이 10,000이고, 할인권에 의해 할인되는 금액이 2,000원이라고 할 경우, 결제서버(400)는 할인권의 결제정보를 확인하여 2,000원을 할인한 8,000원에 대해서만 결제승인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신용카드업체와 할인권제공업체가 제휴상태가 아니면, 인증서버(300)는 할인권제공업체에 대한 결제서버로 할인권에 대한 결제정보를 전송하여 2,000원 할인에 대한 결제승인이 완료되면, 신용카드업체에 대한 결제서버로 신용카드의 결제정보를 전송하되, 결제요청 금액인 10,000원에서 할인금액 2,000원을 제외한 8,000원에 대해서만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단계에서 제어부(260)는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하기의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결제 서비스를 위해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1단계에서 제어부(260)는 사용자의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601단계의 확인결과, 생성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60)는 603단계를 수행하고, 생성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503단계를 수행한다.
603단계에서 제어부(26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획득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60)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센서부(220)를 활성화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할 수 있고, 제어부(260)는 획득된 지문을 기반으로 지문에 대한 식별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605단계에서 제어부(260)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칩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칩 정보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가 집적화된 칩 등을 포함하는 전자부품 예컨대, 제어부(260)에 대한 식별 번호 등일 수 있다.
607단계에서 제어부(260)는 603단계에서 생성된 지문에 대한 식별 번호와 605단계에서 확인된 전자부품에 대한 식별 번호를 결합하여 숫자열 아이디를 생성한다. 609단계에서 제어부(260)는 텍스트 아이디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609단계의 확인결과, 텍스트 아이디가 수신되면 즉, 입력부(2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 제어부(260)는 613단계를 수행하고, 텍스트 아이디가 수신되지 않으면 611단계를 수행한다. 611단계에서 제어부(260)는 숫자열 아이디를 기반으로 텍스트 아이디를 랜덤으로 생성하고, 613단계를 수행한다.
613단계에서 제어부(2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아이디 또는 랜덤으로 생성된 텍스트 아이디 중 어느 하나와 607단계에서 생성된 숫자열 아이디를 포함하는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한다. 615단계에서 제어부(260)는 생성된 개인인증정보 중 텍스트 아이디를 인증서버(300)로 전송한 후 도 5의 503단계로 리턴한다. 이와 같은 개인인증정보는 전자장치(200)를 통해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최초에 한 번만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수정이 가능하다.
503단계에서 제어부(260)는 결제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결제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하기의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결제 서비스를 위한 결제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1단계에서 제어부(260)는 결제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701단계의 확인결과,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60)는 703단계를 수행하고, 입력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260)는 도 5의 505단계로 리턴한다. 이어서, 703단계에서 제어부(260)는 결제정보가 입력부(2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 707단계를 수행하고, 결제정보가 입력부(230)로부터 입력되지 않으면 705단계를 수행한다. 705단계에서 제어부(260)는 결제정보를 전자장치(200)의 외부에 배치된 외부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하여 707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결제정보는, 신용카드 정보, 체크카드 정보, 은행의 계좌정보, 상품권 정보, 할인권 정보, 교환권 정보, 기프티콘 정보, 암호화폐 정보 등 물건이나 서비스 등을 구매할 수 있는 결제수단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아울러, 외부서버는 결제수단과 관련된 결제서버(400)일 수 있으며, 제어부(260)는 결제서버(400)와의 통신을 통해 결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결제서버(400)에 로그인한 이후에 결제서버(400)에 저장된 결제정보를 전자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707단계에서 제어부(260)는 결제정보의 입력이 완료됨이 확인되면 709단계를 수행하고, 결제정보의 입력완료가 확인되지 않으면 703단계로 회귀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260)는 복수의 결제수단에 대한 복수의 결제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709단계에서 제어부(260)는 703단계에서 입력되거나 705단계에서 수신된 결제정보의 암호화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증서버(300)가 블록체인 서버일 경우, 제어부(260)는 결제정보에 대한 공개키 및 개인키를 생성할 수 있다. 711단계에서 제어부(260)는 도 5의 501단계에서 생성된 개인인증정보에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713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260)는 결제정보에 대한 개인키를 개인인증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713단계에서 제어부(260)는 암호화된 결제정보 예컨대, 결제정보에 대한 공개키를 인증서버(300)로 전송한다. 도 6의 615단계에서 제어부(260)는 텍스트 아이디를 인증서버(300)로 전송하였으므로, 텍스트 아이디에 매핑될 공개키만을 인증서버(300)로 전송한다. 만일, 도 6에서 615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라면, 713단계에서 제어부(260)는 텍스트 아이디와 공개키를 인증서버(300)로 함께 전송한 후 도 5의 505단계로 리턴한다. 이와 같은 결제정보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언제든지 추가 생성, 편집 및 삭제할 수 있다.
505단계에서 제어부(260)는 결제수단에 대한 선택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505단계의 확인결과, 제어부(260)는 결제수단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507단계를 수행하고, 결제수단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509단계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200)에 저장된 결제수단이 복수개인 경우, 사용자는 복수개의 결제수단 중에서 결제 시에 이용할 결제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200)에 복수의 신용카드에 대한 결제정보와 복수의 할인권에 대한 결제정보가 저장된 상태라면, 제어부(260)는 입력부(230)를 통해 수신된 선택신호에 따라 할인권과 신용카드를 결제수단으로 확인할 수 있다.
509단계에서 제어부(26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센서부(220)를 활성화하여 센서부(220)에서 획득된 생체정보를 인식하고, 전자부품에 대한 식별 번호를 확인한다. 511단계에서 제어부(260)는 인식된 생체정보와 확인된 식별 번호가 도 6의 603단계 및 605단계에서 각각 확인된 생체정보 및 식별 번호와의 일치여부를 확인한다. 511단계의 확인결과, 제어부(260)는 생체정보와 식별 번호가 일치하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하여 513단계를 수행하고, 생체정보와 식별 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509단계로 회귀하여 생체정보의 인식을 재수행한다.
513단계에서 제어부(260)는 생체정보 및 식별 번호를 기반으로 도 6의 613단계에서 생성된 개인인증정보를 확인하고, 515단계를 수행한다. 515단계에서 제어부(260)는 개인인증정보에 매핑되어 저장된 결제정보 중에서 507단계에서 선택된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정보를 확인한다. 아울러, 제어부(260)는 확인된 결제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정보를 확인한다.
이어서, 515단계에서 제어부(260)는 결제요청장치(100)로부터 결제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517단계에서 제어부(260)는 513단계에서 확인된 결제정보에 대한 복호화 정보 및 결제정보와 매핑된 텍스트 아이디를 결제요청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결제정보 요청은 전자장치(200)가 결제요청장치(100)에 접촉되어 결제를 수행하고자 할 때 결제요청장치(100)에서 발생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호화 정보를 수신한 결제요청장치(100)는 사용자가 결제해야 하는 금액을 결제정보 및 텍스트 아이디와 함께 인증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인증서버(300)가 블록체인 서버이면, 인증서버(300)에는 결제정보에 대한 공개키가 저장된 상태이므로, 제어부(260)는 결제정보에 대한 개인키를 복호화 정보로 확인하여 이를 인증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전자장치가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상기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결합하여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 각각에 대한 결제정보를 상기 개인인증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결제정보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결제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결제수단이 선택되면,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결제수단과 관련된 암호화된 결제정보에 대한 복호화 정보를 확인하여 결제요청장치를 통해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서버가 상기 복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결제 서비스가 처리되도록 복호화된 결제정보를 결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결합하여 숫자열 아이디와, 상기 숫자열 아이디에 대응되는 텍스트 아이디를 상기 개인인증정보로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결제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개인인증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텍스트 아이디와 상기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정보를 확인하여 결제요청장치를 통해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결제요청장치로부터 결제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확인된 복호화 정보를 상기 결제요청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요청장치가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호화 정보를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된 결제정보를 결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인증서버가 상기 결제서버로부터 수신된 결제승인결과를 상기 결제요청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아이디와 상기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공개키 및 개인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공개키를 상기 텍스트 아이디와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결제수단이 복수이면, 상기 결제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8.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전자장치의 식별정보를 결합하여 개인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 각각에 대한 결제정보를 상기 개인인증정보에 매핑하고, 상기 결제정보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인증서버로 전송하고, 결제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결제수단이 선택되면,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결제수단과 관련된 암호화된 결제정보에 대한 복호화 정보를 확인하여 결제요청장치로 전송하는 전자장치;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된 복호화 정보를 전송하는 결제요청장치;
    상기 결제요청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복호화 정보를 기반으로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복호화하는 인증서버; 및
    상기 인증서버로부터 복호화된 결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결제 서비스를 처리하도록 결제승인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결합하여 숫자열 아이디와, 상기 숫자열 아이디에 대응되는 텍스트 아이디를 상기 개인인증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 각각에 대한 결제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결제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개인인증정보에 매핑하고, 상기 텍스트 아이디와 상기 암호화된 결제정보를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결제요청장치로부터 결제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확인된 복호화 정보를 상기 결제요청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공개키 및 개인키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공개키를 상기 텍스트 아이디와 상기 인증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결제수단이 복수이면, 상기 결제 서비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삭제
KR1020190044763A 2019-04-17 2019-04-17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ctive KR102100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763A KR102100073B1 (ko) 2019-04-17 2019-04-17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CT/KR2019/004997 WO2020213778A1 (ko) 2019-04-17 2019-04-25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763A KR102100073B1 (ko) 2019-04-17 2019-04-17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073B1 true KR102100073B1 (ko) 2020-04-10

Family

ID=7029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763A Active KR102100073B1 (ko) 2019-04-17 2019-04-17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0073B1 (ko)
WO (1) WO202021377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9484A (ko) 2007-02-27 2008-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의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30103697A (ko) * 2010-05-06 2013-09-24 (주)시루정보 전자결제 서비스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전자결제 서비스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거래 단말기
KR20160131572A (ko) * 2015-05-08 2016-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결제 관련 정보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1792021B1 (ko) * 2017-02-22 2017-11-01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스마트폰 에지에 형성된 지문 및 지정맥 인식을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03113A (ko) *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케이티 서버, 디바이스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20180067183A (ko) *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생체정보와 관련된 고유번호를 생성하고 폐기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6964B2 (ja) * 2001-09-14 2007-02-28 株式会社Yozan 認証端末装置、認証サーバ及び認証システム
KR101392320B1 (ko) * 2007-05-15 2014-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9484A (ko) 2007-02-27 2008-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의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30103697A (ko) * 2010-05-06 2013-09-24 (주)시루정보 전자결제 서비스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전자결제 서비스 장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거래 단말기
KR20160131572A (ko) * 2015-05-08 2016-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결제 관련 정보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180003113A (ko) *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케이티 서버, 디바이스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20180067183A (ko) *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생체정보와 관련된 고유번호를 생성하고 폐기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792021B1 (ko) * 2017-02-22 2017-11-01 주식회사 올아이티탑 스마트폰 에지에 형성된 지문 및 지정맥 인식을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3778A1 (ko)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999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ode to a user device
CN107210918B (zh) 用于使用基于交易特定信息的令牌和密码的交易处理的装置和方法
JP6128565B2 (ja) 取引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801897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payment card information with a secure biometric processor on a mobile device
EP3430829B1 (en) Managing program credentials on electronic devices
CN105099694A (zh) 凭证服务提供商数据在安全元件的安全域中的存储方法和系统
US2017002474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 consumer identity to perform electronic transactions
CN106233313A (zh) 用于使用主用户设备来将凭据提供到辅用户设备上的装置和方法
AU2010289507A1 (en) A personalized multifunctional access device possessing an individualized form of authenticating and controlling data exchange
KR102574524B1 (ko) 원격 거래 시스템, 방법 및 포스단말기
KR20110084865A (ko) 모바일 아이디와 접촉/비접촉식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신용카드 결제방법 및 장치
KR20190091081A (ko) 전자 지갑 결제시 보안이 강화된 방법으로 와이파이에 자동 접속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4020101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emory card module for conducting electronic transactions
KR20200057564A (ko)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서버 및 시스템
KR101414196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안전한 인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9990167B2 (en) Mobile authentication for enabling host device functions
KR20130123986A (ko) 오티피 발생기 발급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66591B1 (ko) 스마트 오티피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100073B1 (ko)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18535463A (ja) 複数の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一括登録する方法、サーバ及びシステム
TWM545956U (zh) 行動支付系統
KR102100072B1 (ko)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161225B1 (ko) 라이프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서비스
US11449858B2 (en) Management, authentication and activation of a data carrier
KR102268468B1 (ko)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