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9660B1 -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660B1
KR102099660B1 KR1020150138983A KR20150138983A KR102099660B1 KR 102099660 B1 KR102099660 B1 KR 102099660B1 KR 1020150138983 A KR1020150138983 A KR 1020150138983A KR 20150138983 A KR20150138983 A KR 20150138983A KR 102099660 B1 KR102099660 B1 KR 102099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susceptor
guide rod
vacuum chamber
vari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9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39876A (en
Inventor
노일호
배준성
방승덕
김범준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Priority to KR1020150138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660B1/en
Publication of KR20170039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8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66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7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 H01L21/0227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the presence of a plasma [PECV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5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 H01L21/6719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characteriz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processing chambers, e.g. modular processing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판처리장치는 진공챔버, 진공챔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며 기판이 안착되는 서셉터, 및 서셉터와 진공챔버를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하는 가변접지부를 포함하고, 서셉터와 진공챔버 간의 접지 연결 상태는 가변접지부에 의해 유지 또는 해제 가능하여, 서셉터의 접지 상태를 선택적으로 가변할 수 있으며, 가변접지부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vacuum chamber, a susceptor provided to be able to elevate inside the vacuum chamber, and a variable ground portion selectively connecting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to ground. And,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can be maintained or released by the variable ground part, so that the ground state of the susceptor can be selectively varied, and damage and breakage of the variable ground part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기판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본 발명은 기판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챔버 내부에서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서셉터의 접지 상태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기판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changing the ground state of the susceptor for supporting the substrate inside the chamber.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장비는,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 또는 반도체 제조 공정 중에 진공 상태에서 가스의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절연막, 보호막, 산화막, 금속막 등을 기판에 증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In general,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equipment deposits an insulating film, a protective film, an oxide film, or a metal film on a substrate using a chemical reaction of a gas in a vacuum during a display manufacturing process or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Used for

도 1은 기존 기판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도 1을 참조하면, 기존 기판처리장치는 진공챔버(10), 상기 진공챔버(1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며 기판(2)이 로딩되는 서셉터(20)를 포함하며, 서셉터(20)의 상부에는 전극 및 공정가스가 분출되는 샤워헤드(3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1, the existing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vacuum chamber 10, a susceptor 20 provided to be lifted inside the vacuum chamber 10, and on which the substrate 2 is loaded, the susceptor ( The upper part of 20) is provided with an electrode and a shower head 30 through which process gas is ejected.

상기 샤워헤드(30)를 통해 진공챔버(10)의 내부에 공정가스가 공급됨과 동시에 전극에 RF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진공챔버(10)의 내부에 공급된 공정가스는 플라즈마화 되어 서셉터(20)의 상면에 안착된 기판(2) 상에 증착될 수 있다.As process gas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vacuum chamber 10 through the shower head 30 and RF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ode, the process ga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vacuum chamber 10 is plasmad and susceptor ( 20) may be deposited on the substrate 2 seated on the top surface.

한편, 증착 공정 중에는 서셉터(20) 상에 전하가 축적될 수 있고, 서셉터(20)에 축적된 전하는 기생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이고 균일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서셉터(20)의 전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기존에는 서셉터(20)와 공정챔버(10)를 접지스트랩(ground strap)(22)으로 연결하고, 접지스트랩(22)을 통해 서셉터(20)에 축적된 전하가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charges may accumulate on the susceptor 20, and the charges accumulated on the susceptor 20 may generate parasitic discharges. Therefore, in order to generate a more stable and uniform plasma, the susceptor ( It should be possible to discharge the charge of 20)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susceptor 20 and the process chamber 10 are connected to a ground strap 22 by way of a conventional method, and charges accumulated in the susceptor 20 can be escaped through the ground strap 22. .

그러나, 기존에는 접지스트랩(22)의 일단이 서셉터(20)에 고정되고 타단이 공정챔버(10)에 고정됨에 따라, 서셉터(20)의 승강시 접지스트랩(22)이 반복적으로 휘어지거나 접혀지도록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고, 그 결과, 접지스트랩(22)의 성능이 저하되고, 심할 경우에는 접지스트랩(22)이 파손되거나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ly, as one end of the ground strap 22 is fixed to the susceptor 2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process chamber 10, when the susceptor 20 is elevated, the ground strap 22 is repeatedly bent or There is a problem of being deformed to be folded, and as a result, the performance of the ground strap 22 is deteriorated, and in severe cases, the ground strap 22 is damaged or broken.

또한, 기존에는 접지스트랩(22)을 일정 사용기간 후 주기적으로 교체해주어야 하지만, 접지스트랩(22)의 장착 위치상 접지스트랩(22)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접지스트랩(22)의 교체 작업 중에는 공정 자체가 정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the ground strap 22 needs to be periodically replaced after a certain period of us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replace the ground strap 22 due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ground strap 22, and the ground strap ( During the replacement work of 22), the process itself must be stopped, so there is a problem that productivity decreases.

이에 따라, 최근에는 서셉터의 접지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정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grounding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usceptor can be improved, and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mprove the process efficiency, but it is still insufficient to develop it.

본 발명은 서셉터의 접지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판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grounding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usceptor and improving the process efficiency.

특히, 본 발명은 가변접지부를 이용하여 서셉터의 접지 상태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기판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changing the ground state of the susceptor by using a variable ground.

또한, 본 발명은 접지스트랩의 성능 저하 및 파손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기판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performance degradation and damage of the ground strap and extending its life.

또한, 본 발명은 가변접지부를 이용하여 서셉터의 임피던스를 국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판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locally adjust the impedance of the susceptor using a variable ground.

또한, 본 발명은 대면적 기판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판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processing a large area substrat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처리장치는 진공챔버, 진공챔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며 기판이 안착되는 서셉터, 및 서셉터와 진공챔버를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하는 가변접지부를 포함하고, 서셉터와 진공챔버 간의 접지 연결 상태는 가변접지부에 의해 유지 또는 해제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서셉터의 접지 상태를 선택적으로 가변할 수 있으며, 서셉터의 이동에 따른 가변접지부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to be able to elevate inside the vacuum chamber, a susceptor on which the substrate is seated, and a susceptor and a vacuum chamber. It includes a variable grounding portion for selectively connecting to the ground,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can be maintained or released by the variable grounding unit.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ground state of the susceptor can be selectively varied, and damage and breakage of the variable ground por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susceptor can be prevented.

가변접지부로서는 서셉터와 진공챔버를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가변접지부가 서셉터와 진공챔버를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한다 함은, 공정 조건 등에 따라 가변접지부가 서셉터와 진공챔버를 접지 연결하거나, 서셉터와 진공챔버의 접지 연결 상태를 해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s the variable ground unit,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selectively grounding connection. Here, it is understood that the variable grounding unit selectively connects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to ground, the variable grounding unit connects the susceptor to the vacuum chamber according to process conditions, or releases the ground connection state of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Can be.

또한, 가변접지부에 의한 서셉터와 진공챔버의 접지 연결 상태는 서셉터의 위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서셉터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가변접지부가 서셉터와 진공챔버를 접지 연결하고, 서셉터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가변접지부에 의한 서셉터와 진공챔버 간의 접지 연결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서셉터가 상승된 상태에서 가변접지부에 의한 서셉터와 진공챔버 간의 접지 연결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ground connection state of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by the variable grounding unit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position conditions of the susceptor. For example, when the susceptor is raised, the variable ground unit may be configured to ground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and when the susceptor is lowered,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by the variable ground unit may be released. have. In some cases,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such that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by the variable grounding part is released while the susceptor is raised.

일 예로, 가변접지부는 서셉터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동부재, 및 일단은 진공챔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동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접지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동부재가 서셉터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동부재에 의해 접지스트랩의 타단이 서셉터에 접촉되며 접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서셉터가 상승 및 하강할 시에는 접지스트랩과 가이드로드 간의 접촉 상태가 해제될 수 있기 때문에, 접지스트랩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접지스트랩의 반복적인 변형에 따른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ariable ground portion may include a movable member that is movably provid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usceptor, and a ground strap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ovable member and the other end to a vacuum chamber. When is moved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susceptor, the other end of the ground strap is contacted by the movable member to be connected to the ground.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usceptor is raised and lowered,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ground strap and the guide rod can be released, thereby minimizing deformation of the ground strap and preventing damage due to repeated deformation of the ground strap. can do.

다른 일 예로, 가변접지부는, 서셉터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동부재, 및 일단은 진공챔버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배치되는 접지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동부재가 서셉터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동부재에 의해 접지스트랩의 자유단이 서셉터에 접촉되며 접지 연결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variable ground unit may include a movable member provid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usceptor, and a grounding strap disposed at one end fixed to the vacuum chamber and disposed at the other end as a free end. When is moved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susceptor, the free end of the ground strap is contacted by the movable member to be connected to the ground.

아울러, 구동부재는 서셉터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거나 회전 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부재의 이동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가동부재가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가 제공될 수 있는 바, 가동부재는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서셉터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member may be configured to move linearly or rotate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usceptor, and the moving method of the driving member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In addition, since a driv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move the movable member may be provided, the movable member may move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usceptor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참고로, 가변접촉부가 접촉되는 서셉터의 접촉부위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가변접촉부가 접촉되는 서셉터의 접촉부위라 함은, 서셉터 자체 또는 서셉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서셉터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주변 부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서셉터에는 가이드로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가변접지부는 가이드로드와 진공챔버를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로드의 일단은 서셉터의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가변접지부는 가이드로드의 자유단에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진공챔버에는 서셉터의 하강시 가이드로드가 수용되기 위한 로드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contact portion of the susceptor in contact with the variable contact por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Here, the contact portion of the susceptor in contact with the variable contact portion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both the susceptor itself or a peripheral member attached to or coupled to the suscepto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sceptor. For example, the susceptor may be coupled such that the guide rod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variable ground portion may selectively connect the guide rod and the vacuum chamber to ground.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guide rod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sceptor, the other end can be arranged as a free end, and the variable ground part can be selectively grounded to the free end of the guide rod. In addition, a rod accommodat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guide rod when the susceptor is lowered may be formed in the vacuum chamber.

한편, 가변접지부는 서셉터 상에 이격되게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가변접지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접지 연결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즉, 서셉터가 상승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가변접지부 중 일부는 접지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복수개의 가변접지부 중 다른 일부는 접지 연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가변접지부에 의한 접지 연결 상태가 유지된다 함은, 접지스트랩이 가이드로드에 접촉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고, 가변접지부에 의한 접지 연결 상태가 해제된다 함은, 접지스트랩이 가이드로드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서셉터의 접지 부위를 국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서셉터의 임피던스를 국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대면적 기판 상에 증착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서셉터의 임피던스가 불균일한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임피던스가 불균일 할 경우 피증착물질이 균일하게 증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가변접지부에 의한 접지 연결 상태를 독립적으로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서셉터의 임피던스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고, 피증착물질을 보다 균일하게 증착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variable ground units may be provided spaced apart on the susceptor, and the plurality of variable ground units may maintain or release a ground connection st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at is, while the susceptor is raised, some of the plurality of variable ground parts may maintain the ground connection state, and other parts of the plurality of variable ground parts may release the ground connection state. Here, that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y the variable ground unit is maintained may be understood as a state in which the ground strap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rod, and that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y the variable ground unit is released, the ground strap is the guide rod. It can be understood as being spaced from. With this configuration, the impedance of the susceptor can be locally adjusted by locally adjusting the ground portion of the susceptor. When performing a deposition process on a large area substr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mpedance of the susceptor is non-uniform frequently, and when the impedance is non-unifor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posited material is difficult to be uniformly deposit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y a plurality of variable ground parts can be independently maintained or released, the impedance of the susceptor can be uniformly controlled as a whole, and the deposited material can be deposited more uniformly.

가변접지부의 다른 일 예로서, 가변접지부는 스트랩리스(strapless) 방식으로 서셉터와 진공챔버 간의 접지 연결 상태를 가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스트랩리스 방식의 가변접지부는 스트랩의 사용이 배제되기 때문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스트랩에 의한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 가변접지부는, 진공챔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가이드로드의 주변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접지단자를 포함할 수 있고, 서셉터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로드가 접지단자에 접촉되며 접지 연결되고, 서셉터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로드가 접지단자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variable grounding unit, the variable ground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vary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in a strapless manner. Particularly, since the use of the strapless variable grounding part is exclude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problem caused by the strap can be fundamentally blocked. For example, the variable ground unit may include a groun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cuum chamber and provided adjacent to the periphery of the guide rod, and when the susceptor is raised, the guide rod contacts the ground terminal and is grounded, When the susceptor is lowered, the guide rod may be separated from the ground terminal.

아울러, 가이드로드와 접지단자 간의 물리적 접촉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령, 가이드로드와 접지단자 간의 물리적 접촉은 구동부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구현되거나, 서로 대응되는 구조체 간의 간섭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guide rod and the ground terminal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For example, the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guide rod and the ground terminal may be implemented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or may be realized by interference between structur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가이드로드와 접지단자가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일 예로, 가이드로드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동부재가 제공될 수 있는 바, 가동부재가 가이드로드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동부재에 의해 가이드로드가 가압되며 접지단자에 접촉될 수 있고, 가동부재가 가이드로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이드로드가 접지단자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guide rod and the ground terminal are physically contacted, a movable member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rod is approached and spaced apart. The guide rod may be pressed and contact the ground terminal, and when the movable member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uide rod, the guide rod may be spaced from the ground terminal.

가이드로드와 접지단자가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다른 일 예로, 가이드로드에는 접촉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로드의 주변에는 접촉돌기와 간섭 가능하게 가이드돌기가 제공될 수 있는 바, 서셉터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접촉돌기가 가이드돌기에 의해 가압되며 가이드로드를 접지단자에 접촉시킬 수 있다. 접촉돌기와 가이드돌기 간의 간섭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돌기에는 경사안내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접촉돌기는 경사안내부를 따라 이동하며 가이드로드를 접지단자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guide rod and the ground terminal are physically contacted, a contact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guide rod, and a guide protrusion may be provided around the guide rod so as to interfere with the contact protrusion, and the susceptor is elevated. In, the contact protrusion is pressed by the guide protrusion, and the guide rod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The interference structure between the contact protrusion and the guide protrusion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For example, the guide protrusion may be formed with an inclined guide portion, and the contact protrusion may move along the inclined guide portion and press the guide rod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또한, 서셉터에 대한 접지스트랩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르게는 스트랩리스 방식 가변접지부가 적용된 경우에도 가변접지부의 의한 접촉 여부(접지 연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nsing unit may be provided to detect whether the ground strap is in contact with the susceptor. Alternatively, even when a strapless variable grounding unit is applied,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or not the grounding is performed by the variable grounding unit (ground connection state) may be us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셉터의 접지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ing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usceptor can be improved, and the process efficiency can be improved.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접지부를 이용하여 서셉터의 접지 상태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변접지부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서셉터의 상하 이동에 따른 가변접지부의 성능 저하 및 파손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state of the susceptor can be selectively changed using the variable grounding un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deformation of the variable ground portion, prevent performance degradation and damage of the variable ground portion due to vertical movement of the susceptor, and extend lif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접지부로서 접지스트랩을 사용하는 경우, 서셉터의 상하 이동시 접지스트랩이 서셉터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서셉터의 반복적인 상하 이동에 따른 접지스트랩의 성능 저하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round strap is used as a variable ground, the ground strap can be separated from the susceptor when the susceptor moves up and down, thereby deteriorating and damaging the performance of the ground strap due to the repeated up and down movement of the susceptor.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셉터의 접지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생방전의 발생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이고 균일한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aking the ground state of the susceptor more stab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parasitic discharge and generate a more stable and uniform plasm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접지부를 이용하여 서셉터의 접지 부위를 국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서셉터 영역의 임피던스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정 조건에 따라 서셉터 영역의 임피던스를 국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피증착물질이 보다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대면적 기판에 증착될 수 있게 하여, 대면적 기판의 수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edance of the susceptor region can be uniformly controlled as a whole by locally adjusting the grounding portion of the susceptor using the variable ground.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osition material can be more uniformly and efficiently deposited on a large area substrate by locally adjusting the impedance of the susceptor region according to the process conditions, thereby improving the yield of the large area substrate.

도 1은 기존 기판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로서, 가변접지부의 구조 및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로서, 가변접지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로서, 가변접지부의 다른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로서,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로서, 가변접지부의 다른 배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structure of the variable ground,
5 and 6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variable ground,
7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use of the variable ground,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for explaining the sensing unit,
13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arrangement example of the variable groun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description, the same number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other drawings may be cited and described under these rules, and repeated contents that are deemed to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may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로서 가변접지부의 구조 및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로서, 가변접지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structure of the variable ground portion a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6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variable ground por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는 진공챔버(110), 서셉터(120) 및 가변접지부(200)를 포함한다.2 to 4,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cuum chamber 110, a susceptor 120, and a variable ground unit 200.

상기 진공챔버(110)는 내부에 소정 처리 공간을 갖도록 제공되며, 측벽 적어도 일측에는 기판(102) 및 마스크 등이 출입되기 위한 출입부가 제공된다.The vacuum chamber 110 is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processing space therein,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side wall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for the substrate 102 and a mask.

상기 진공챔버(110)의 사이즈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며, 진공챔버(110)의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진공챔버(110)는 대면적 크기의 기판(102) 및 마스크와 함께 각종 이송유닛이 수용될 수 있는 대면적 처리 공간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후술할 가변접지부(예를 들어, 접지스트랩)는 진공챔버(110)의 접지선(미도시)에 연결됨으로써, 진공챔버와 서셉터가 서로 접지 연결될 수 있다.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vacuum chamber 110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cuum chamber 110. As an example, the vacuum chamber 110 may be provided to have a large area processing space in which various transport units can be accommodated, along with a substrate 102 and a mask of a large area size. In addition, the variable ground unit (for example, a ground stra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a ground wire (not shown) of the vacuum chamber 110, so that the vacuum chamber and the susceptor can be grounded to each other.

상기 서셉터(120)는 진공챔버(110)의 내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며, 서셉터(120)의 상면에는 기판(102)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서셉터(120)는 모터와 같은 통상의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The susceptor 120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vacuum chamber 110, and the substrate 102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sceptor 120. The susceptor 120 may be mov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by a conventional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상기 서셉터(120)의 상부에는 공정가스를 공급하고 RF 에너지를 공급하는 샤워 헤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샤워헤드로서는 공지된 통상의 샤워헤드가 사용될 수 있다.A shower head for supplying process gas and supplying RF energy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usceptor 120, and a known shower head may be used as the shower head.

상기 가변접지부(200)는 서셉터(120)와 진공챔버(110)를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하도록 제공되며, 서셉터(120)와 진공챔버(110) 간의 접지 연결 상태는 가변접지부(200)에 의해 유지 또는 해제될 수 있다.The variable ground unit 200 is provided to selectively connect the susceptor 120 and the vacuum chamber 110 to ground, and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usceptor 120 and the vacuum chamber 110 is variable ground unit 200 Can be maintained or released.

상기 가변접지부(200)로서는 서셉터(120)와 진공챔버(110)를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변접지부(200)가 서셉터(120)와 진공챔버(110)를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한다 함은, 공정 조건 등에 따라 가변접지부(200)가 서셉터(120)와 진공챔버(110)를 접지 연결하거나, 서셉터(120)와 진공챔버(110)의 접지 연결 상태를 해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s the variable ground part 200, the susceptor 120 and the vacuum chamber 1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selectively ground connection. Here, the variable grounding part 200 selectively connects the susceptor 120 and the vacuum chamber 110 to the ground means that the variable grounding part 200 includes the susceptor 120 and the vacuum chamber (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ground connection of 110) or the ground connection state of the susceptor 120 and the vacuum chamber 110 is released.

또한, 상기 가변접지부(200)에 의한 서셉터(120)와 진공챔버(110)의 접지 연결 상태는 서셉터(120)의 위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서셉터(120)가 상승된 상태(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상태)에서는 가변접지부(200)가 서셉터(120)와 진공챔버(110)를 접지 연결하고, 상기 서셉터(120)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가변접지부(200)에 의한 서셉터(120)와 진공챔버(110) 간의 접지 연결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서셉터가 상승된 상태에서 가변접지부에 의한 서셉터와 진공챔버 간의 접지 연결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ground connection state of the susceptor 120 and the vacuum chamber 110 by the variable ground unit 200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position conditions of the susceptor 120. For example, in the state in which the susceptor 120 is raised (the state in which the deposition process is performed), the variable ground unit 200 connects the susceptor 120 and the vacuum chamber 110 to the ground, and the susceptor 120 ) In the lowered state,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usceptor 120 and the vacuum chamber 110 by the variable ground unit 200 may be released. In some cases,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such that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by the variable grounding part is released while the susceptor is raised.

상기 가변접지부(200)는 스트랩을 이용한 방식 또는 스트랩리스(strapless) 방식으로 서셉터(120)와 진공챔버(110) 간의 접지 연결 상태를 가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variable ground unit 200 may be configured to vary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usceptor 120 and the vacuum chamber 110 in a strapless or strapless manner, in addition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It can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ways.

일 예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변접지부(200)는 서셉터(12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동부재(210), 및 일단은 진공챔버(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동부재(210)의 단부에 연결되는 접지스트랩(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동부재(210)가 서셉터(120)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동부재(210)에 의해 접지스트랩(220)의 타단이 서셉터(120)에 접촉되며 접지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variable ground part 200 is a movable member 210 provid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to approach and space the susceptor 120, and one end is a vacuum chamber 110 ) And the other end may include a ground strap 220 connected to an end of the movable member 210, and when the movable member 210 mov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susceptor 120, the movable member ( 210, the other end of the ground strap 220 is in contact with the susceptor 120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상기 가동부재(210)는 서셉터(12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거나 회전 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가동부재(210)가 서셉터(12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movable member 210 may be configured to move linearly or rotate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usceptor 120.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movable member 210 is configured to move linearly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usceptor 120 will be described.

또한, 상기 가동부재(210)가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30)가 제공될 수 있는 바, 상기 가동부재(210)는 구동부(230)의 구동력에 의해 서셉터(12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30)로서는 통상의 모터 및 솔레노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동부(230)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 driving unit 230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move the movable member 210 may be provided. The movable member 210 approaches and separates the susceptor 120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230. You can move in the direction you are. As the driving unit 230, a conventional motor and a solenoid may be us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unit 230.

상기 접지스트랩(220)의 일단은 진공챔버(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동부재(210)의 단부에 연결되어, 가동부재(210)의 이동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서셉터(120)에 접촉되거나 서셉터(1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ground strap 220 is connected to the vacuum chamber 1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movable member 210, selectively contacting the susceptor 120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210 or It can be spaced from the susceptor 120.

상기 접지스트랩(220)으로는 플렉시블한 통상의 알루미늄 스트랩이 사용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여타 다른 재질의 스트랩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지스트랩(220)이 면접촉될 수 있고, 휨 변형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접지스트랩(220)은 비교적 얇은 판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지스트랩(220)에 의한 접지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접지스트랩(220)이 접지 연결되기 전의 초기 위치(또는 초기 배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A flexible aluminum strap may be used as the ground strap 220,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straps of other materials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Preferably, the ground strap 220 may be in surface contact, and the bending strap may be formed in a relatively thin plate shape so that bending deform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and the ground by the ground strap 220 In the disconnected state, the ground strap 220 may return to an initial position (or an initial arrangement state) before being grounded.

참고로, 상기 가변접촉부가 접촉되는 서셉터(120)의 접촉부위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가변접촉부가 접촉되는 서셉터(120)의 접촉부위라 함은, 서셉터(120) 자체 또는 서셉터(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서셉터(120)에 부착 또는 결합되는 주변 부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contact portion of the susceptor 120 in contact with the variable contact por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Here, the contact portion of the susceptor 120 to which the variable contact portion is contacted refers to both the susceptor 120 itself or a peripheral member attached to or coupled to the susceptor 120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sceptor 120. It can be understood as an inclusive concept.

일 예로, 상기 서셉터(120)의 저면에는 가이드로드(12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가변접지부(200)는 가이드로드(122)와 진공챔버(110)를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로드(122)의 일단은 서셉터(120)의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변접지부(200)는 가이드로드(122)의 자유단에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로드(122)는 소정의 휨 탄성을 갖는 재질 또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로드(122)를 이용한 접지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로드(122)가 접지 연결되기 전의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For example, a guide rod 122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sceptor 12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variable ground part 200 selectively grounds the guide rod 122 and the vacuum chamber 110. I can connect.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guide rod 122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sceptor 120 and the other end can be disposed as a free end, and the variable ground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guide rod 122. It can optionally be grounded. Preferably, the guide rod 12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or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bending elasticity, and when the ground connection using the guide rod 122 is released, the initial position before the guide rod 122 is connected to the ground Can return to

또한, 상기 진공챔버(110)의 하부에는 서셉터(120)의 하강시 가이드로드(122)가 수용되기 위한 로드수용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수용부(112)는 진공챔버(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로드수용체(113)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진공챔버(110)와 균일한 진공 상태를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a rod receiving portion 112 for receiving the guide rod 122 when the susceptor 120 is lowered may be formed under the vacuum chamber 110. The rod accommodating part 112 may be provided by a rod accommodating member 113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vacuum chamber 110, and may form a uniform vacuum state with the vacuum chamber 110.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증착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서셉터(120)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서셉터(120)가 상승함에 따라 서셉터(120)에 연결된 가이드로드(122)도 함께 상승한다. 서셉터(120) 및 가이드로드(122)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재(210)는 구동부(230)의 구동력에 의해 가이드로드(122)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가동부재(210)의 단부에 연결된 접지스트랩(220)의 타단이 가이드로드(122)에 접촉되며 접지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3, when the susceptor 120 is raised to perform the deposition process, the guide rod 122 connected to the susceptor 120 also rises as the susceptor 120 rises. . In the state in which the susceptor 120 and the guide rod 122 are raised, the movable member 210 mov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guide rod 122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230, and accordingly, the movable member 210 ) The other end of the ground strap 22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tact with the guide rod 122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바람직하게 상기 서셉터(120)에는 접지스트랩(220)이 면접촉되기 위한 평탄부(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접지스트랩(220)이 접축되는 가이드로드(122)의 외주면 영역에는 접지스트랩(220)이 면접촉될 수 있는 평탄부(122a)가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로드가 사각 단면 형태를 갖는 사각 로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Preferably, the susceptor 120 may be formed with a flat portion 122a for the ground strap 220 to be in surface contact. For example, a flat portion 122a in which the ground strap 220 can be in surface contact may be forme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a of the guide rod 122 where the ground strap 220 is in contact. In some cases,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guide rod is provided as a square rod having a square cross-sectional shape.

반면, 도 4를 참조하면, 기판(102) 또는 마스크가 로딩 또는 언로딩되는 동안에는 서셉터(120)가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서셉터(120)가 하강함과 동시 또는 하강하기 전에, 상기 가동부재(210)는 구동부(230)의 구동력에 의해 가이드로드(1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동부재(210)의 단부에 연결된 접지스트랩(220)의 타단이 가이드로드(122)부터 이격됨으로써, 접지스트랩(220)에 의한 접지 연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4, the susceptor 120 may descend while the substrate 102 or the mask is being loaded or unloaded. Before the susceptor 120 descends and simultaneously or descends, the movable member 210 may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uide rod 122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230, and accordingly, the movable member ( Since the other end of the ground strap 220 connected to the end of 210 is spaced from the guide rod 122,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y the ground strap 220 may be releas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변접지부(200)의 접지스트랩(220)에 의한 서셉터(120)(가이드로드)와 진공챔버(110) 간의 접지 연결 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는 바, 서셉터(120)가 상승 및 하강할 시에는 접지스트랩(220)과 가이드로드(122) 간의 접촉 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접지스트랩(220)의 변형 또는 휨 변형을 최소화하고, 접지스트랩(220)의 반복적인 변형에 따른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usceptor 120 (guide rod) and the vacuum chamber 110 by the ground strap 220 of the variable ground unit 200 can be selectively maintained or released. When the susceptor 120 is raised and lowered,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ground strap 220 and the guide rod 122 can be released, thereby minimizing the deformation or bending deformation of the ground strap 220, and the ground strap ( The damage caused by repeated deformation of 220) can be prevented.

상기 가변접지부(200)의 변형예로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가변접지부(200)는, 서셉터(12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동부재(210), 및 일단은 진공챔버(1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배치되는 접지스트랩(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동부재(210)가 서셉터(120)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동부재(210)에 의해 접지스트랩(220)의 자유단이 서셉터(120)에 접촉되며 접지 연결될 수 있다.As a modification of the variable grounding unit 200,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variable grounding unit 200 is a movable member 210 provid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usceptor 120 ), And one end may be fixed to the vacuum chamber 110 and the other end may include a ground strap 220 disposed as a free end. When the movable member 210 moves in the direction to approach the susceptor 120, The free end of the ground strap 220 is in contact with the susceptor 120 by the movable member 21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ground.

상기 접지스트랩(220)은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로 일단은 진공챔버(1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가동부재(210)에 의해 선택적으로 서셉터(120)의 가이드로드(122)에 접촉될 수 있다.The ground strap 220 is a cantilever (cantilever) structure, one end is fixed to the vacuum chamber 110 and the other end is arranged as a free end, the guide rod of the susceptor 120 selectively by the movable member 210 (122).

도 5를 참조하면, 증착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서셉터(120)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서셉터(120)가 상승함에 따라 서셉터(120)에 연결된 가이드로드(122)도 함께 상승한다. 서셉터(120) 및 가이드로드(122)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재(210)는 구동부(230)의 구동력에 의해 가이드로드(122)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가동부재(210)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접지스트랩(220)의 자유단이 가이드로드(122)에 접촉되며 접지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susceptor 120 is elevated to perform a deposition process, the guide rod 122 connected to the susceptor 120 also rises as the susceptor 120 rises. In the state in which the susceptor 120 and the guide rod 122 are raised, the movable member 210 mov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guide rod 122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230, and accordingly, the movable member 210 ), The free end of the ground strap 220 disposed adjacent to the end of the contact with the guide rod 122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접지스트랩(220)이 접축되는 가이드로드(122)의 외주면 영역에는 접지스트랩(220)이 면접촉될 수 있는 평탄부(122a)가 형성될 수 있다.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flat portion 122a in which the ground strap 220 can be in surface contact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a of the guide rod 122 where the ground strap 220 is in contact.

반면, 도 6을 참조하면, 기판(102) 또는 마스크가 로딩 또는 언로딩되는 동안에는 서셉터(120)가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동부재(210)는 구동부(230)의 구동력에 의해 가이드로드(1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가동부재(210)에 의해 가압되던 접지스트랩(220)의 자유단은 가동부재(210)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가이드로드(122)부터 이격됨으로써, 접지스트랩(220)에 의한 접지 연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6, the susceptor 120 may descend while the substrate 102 or the mask is being loaded or unloaded. At this time, the movable member 210 may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uide rod 122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230, and the free end of the ground strap 220 pressed by the movable member 210 is As the pressing force by the movable member 210 is released, it is separated from the guide rod 122, so that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y the ground strap 220 can be releas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로서, 가변접지부(200)의 다른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7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use of the variable ground unit 200. In addition,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가변접지부(200)는 서셉터(120) 상에 이격되게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가변접지부(200)는 서로 독립적으로 접지 연결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즉, 서셉터(120)가 상승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가변접지부(200) 중 일부는 접지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복수개의 가변접지부(200) 중 다른 일부는 접지 연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plurality of variable ground units 200 may be provided spaced apart on the susceptor 120, and the plurality of variable ground units 200 may independently maintain or release a ground connection state. have. That is, while the susceptor 120 is raised, some of the plurality of variable ground parts 200 may maintain a ground connection state,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variable ground parts 200 may be disconnected from the ground connection state. have.

여기서, 가변접지부(200)에 의한 접지 연결 상태가 유지된다 함은, 접지스트랩(220)이 가이드로드(122)에 접촉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고, 가변접지부(200)에 의한 접지 연결 상태가 해제된다 함은, 접지스트랩(220)이 가이드로드(12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at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y the variable ground unit 200 is maintaine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ground strap 220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rod 122, and the ground connection by the variable ground unit 200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tate is released, the ground strap 220 i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rod 122.

상기 가변접지부(200)의 개수 및 이격 간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며, 각 가변접지부(200)에 의한 접지 연결 상태 역시 공정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variable ground parts 200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and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y each variable ground part 200 may also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process conditions. .

이와 같은 구조는, 가변접지부(200)를 이용하여 서셉터(120)의 접지 부위를 국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서셉터(120)의 임피던스를 국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대면적 기판(102) 상에 증착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서셉터(120)의 임피던스가 불균일한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임피던스가 불균일 할 경우 피증착물질이 균일하게 증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정 조건에 따라 가변접지부(200)를 이용하여 서셉터(120)의 접지 부위를 국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서셉터(120)의 임피던스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고, 피증착물질을 보다 균일하게 증착할 수 있다.Such a structure allows the impedance of the susceptor 120 to be locally adjusted by locally adjusting the grounding portion of the susceptor 120 using the variable ground 200. In particular, when performing the deposition process on the large area substrate 10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pedance of the susceptor 120 is non-uniform frequently, and when the impedance is non-uniform, the deposited material is uniformly deposited. There are difficult problems.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rounding part of the susceptor 120 can be locally adjusted using the variable ground part 200 according to the process conditions, the impedance of the susceptor 120 can be uniformly controlled as a whole, The deposited material can be deposited more uniformly.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변접지부(200)가 접지스트랩(220)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다르게는 가변접지부(200)가 스트랩리스(strapless) 방식으로 서셉터(120)와 진공챔버(110) 간의 접지 연결 상태를 가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grounding unit 200 includes an earth strap 220, for example, but the variable grounding unit 200 is strapless. It may be configured to vary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acceptor 120 and the vacuum chamber 110.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8 and 9 are views illustrating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0 and 11 are views illustrating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기판처리장치는 진공챔버(110), 서셉터(120), 및 가변접지부(200)를 포함하되, 가변접지부(200)는, 진공챔버(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가이드로드(122)의 주변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접지단자(220')를 포함할 수 있고, 서셉터(120)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로드(122)가 접지단자(220')에 접촉되며 접지 연결되고, 서셉터(120)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로드(122)가 접지단자(2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8 to 11,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vacuum chamber 110, a susceptor 120, and a variable grounding unit 200, wherein the variable grounding unit 200 is provided in the vacuum chamber 110.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may include a ground terminal 220 'provided adjacent to the periphery of the guide rod 122, and when the susceptor 120 is raised, the guide rod 122 is the ground terminal 220'. In contact with the ground connection, the susceptor 120 in the lowered state, the guide rod 122 may be spaced from the ground terminal (220 ').

상기 접지단자(220')는 진공챔버(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전도성 블록 구조체로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접지단자가 진공챔버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여타 다른 구조체 또는 부재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접지단자의 특성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접지단자(220')는 가이드로드(122)가 수용되는 로드수용체(113)의 내벽면에 제공될 수 있다.The ground terminal 220 ′ may be provided as an electrically conductive block structu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cuum chamber 110. In some cases, the ground terminal may be provided through another structure or member electrically connectable to the vacuum chamber,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ground terminal. For example, the ground terminal 22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od receptor 113 in which the guide rod 122 is accommodated.

아울러, 상기 가이드로드(122)와 접지단자(220') 간의 물리적 접촉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령, 상기 가이드로드(122)와 접지단자(220') 간의 물리적 접촉은 구동부(23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구현되거나, 서로 대응되는 구조체 간의 간섭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guide rod 122 and the ground terminal 22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For example,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guide rod 122 and the ground terminal 220 ′ may be realized by using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230 or by interference between structur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일 예로, 상기 가이드로드(122)와 접지단자(220') 간의 물리적 접촉은 구동부(23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로드(122)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동부재(210)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가동부재(210)는 구동부(230)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바, 상기 가동부재(210)가 가이드로드(122)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동부재(210)에 의해 가이드로드(122)가 가압되며 접지단자(220')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가동부재(210)가 가이드로드(1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이드로드(122)가 접지단자(2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로드(122) 자체가 전술한 실시예의 접지스트랩(220)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guide rod 122 and the ground terminal 220 ′ may be implemented using a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230. 8 and 9, a movable member 21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that is approached and spaced apart from the guide rod 122, and the movable member 210 is drive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230. When the movable member 210 mov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guide rod 122, the guide rod 122 is pressed by the movable member 210 and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220 '. When the movable member 210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uide rod 122, the guide rod 12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erminal 220 '. As such,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od 122 itself may serve as the ground strap 22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서셉터(120)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서셉터(120)가 상승함에 따라 서셉터(120)에 연결된 가이드로드(122)도 함께 상승한다. 서셉터(120) 및 가이드로드(122)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재(210)는 구동부(230)의 구동력에 의해 가이드로드(122)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가이드로드(122)의 자유단(하단)이 가동부재(21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접지단자(220')에 접촉되며 접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로드(122)와 접지단자(220')는 면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again to FIG. 8, when the susceptor 120 is raised, the guide rod 122 connected to the susceptor 120 also rises as the susceptor 120 rises. In the state in which the susceptor 120 and the guide rod 122 are raised, the movable member 210 mov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guide rod 122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230, and accordingly, the guide rod 122 ) By the free end (lower end) of the movable member 210 being pressed against the ground terminal 220 ′ and connected to the ground. Here, the guide rod 122 and the ground terminal 22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in surface contact.

반면, 도 9를 참조하면, 기판(102) 또는 마스크가 로딩 또는 언로딩되는 동안에는 서셉터(120)가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동부재(210)는 구동부(230)의 구동력에 의해 가이드로드(12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가동부재(210)에 의해 가압되던 가이드로드(122)의 자유단은 가동부재(210)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접지단자(22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가이드로드(122)에 의한 접지 연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9, the susceptor 120 may descend while the substrate 102 or the mask is being loaded or unloaded. At this time, the movable member 210 may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uide rod 122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230, and the free end of the guide rod 122 pressed by the movable member 210 is As the pressing force by the movable member 210 is released,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y the guide rod 122 may be released by being separated from the ground terminal 220 '.

다른 일 예로, 상기 가이드로드(122)와 접지단자(220') 간의 물리적 접촉은 서로 대응되는 구조체 간의 간섭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가이드로드(122)에는 접촉돌기(122b)가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로드(122)의 주변에는 접촉돌기(122b)와 간섭 가능하게 가이드돌기(210')가 제공될 수 있는 바, 서셉터(120)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접촉돌기(122b)가 가이드돌기(210')에 의해 가압되며 가이드로드(122)를 접지단자(220')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돌기(210')는 가이드로드(122)가 수용되는 로드수용체(113)의 내벽면에 제공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guide rod 122 and the ground terminal 220 ′ may be implemented by interference between structur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10 and 11, a contact protrusion 122b may be formed on the guide rod 122, and a guide protrusion 210 ′ is provided around the guide rod 122 so as to interfere with the contact protrusion 122b. As it can be provided, in the state where the susceptor 120 is raised, the contact protrusion 122b is pressed by the guide protrusion 210 ′ and can guide the guide rod 122 to the ground terminal 220 ′. For example, the guide protrusion 210 ′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od receptor 113 in which the guide rod 122 is accommodated.

상기 접촉돌기(122b)와 가이드돌기(210') 간의 간섭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돌기(210')에는 경사안내부(210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접촉돌기(122b)는 경사안내부(210a)에 의해 안내되면서 가이드로드(122)의 휨 변형을 유도하여 가이드로드(122)를 접지단자(220')에 접촉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로드 상에 경사안내부를 갖는 가이드돌기를 형성하고, 가이드로드의 주변(예를 들어, 로드수용체의 내벽면)에 접촉돌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terference structure between the contact protrusion 122b and the guide protrusion 210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For example, an inclined guide portion 210a may be formed on the guide protrusion 210 ', and the contact protrusion 122b is guided by the inclined guide portion 210a to induce bending deformation of the guide rod 122. By doing so, the guide rod 122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220 '.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form a guide projection having an inclined guide portion on the guide rod, and to form a contact projection around the guide rod (e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od receptor).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서셉터(120)가 상승함에 따라 서셉터(120)에 연결된 가이드로드(122)도 함께 상승한다. 상기 가이드로드(122)가 상승할 경우에는, 가이드로드(122)에 형성된 접촉돌기(122b)가 로드수용체(113)의 내벽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10')의 경사안내부(210a)를 따라 이동하며 가압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가이드로드(122)가 접지단자(220')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접지단자(220')에 접촉되며 접지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0, as the susceptor 120 rises, the guide rod 122 connected to the susceptor 120 also rises. When the guide rod 122 is raised, the contact projections 122b formed on the guide rods 122 follow the inclined guide portion 210a of the guide projections 210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od receptor 113. It can be moved and pressurized, and consequently, the guide rod 122 is pressed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ground terminal 220 ′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220 ′ and connected to the ground.

반면, 도 11을 참조하면, 기판(102) 또는 마스크가 로딩 또는 언로딩되는 동안에는 서셉터(120)가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서셉터(120)가 하강할 경우에는 접촉돌기(122b) 및 가이드돌기(210') 간의 간섭이 해제될 수 있고, 각 돌기 간의 간섭에 의해 가이드로드(122)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가이드로드(122)가 접지단자(22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가이드로드(122)에 의한 접지 연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11, the susceptor 120 may descend while the substrate 102 or the mask is being loaded or unloaded. When the susceptor 120 descends,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contact protrusions 122b and the guide protrusions 210 'may be released, and as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guide rod 122 is released by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protrusions As the guide rod 122 is spaced from the ground terminal 220 ',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y the guide rod 122 may be released.

한편,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로서, 감지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12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for explaining the sensing unit 300. In addition,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서셉터(120)에 대한 접지스트랩(220)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300)가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nsing unit 300 for sensing whether the ground strap 220 is in contact with the susceptor 120 may be provided.

상기 감지부(30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서셉터(120)에 대한 접지스트랩(220)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감지부(300)는 가이드로드(122)의 이동을 감지함으로써, 접지스트랩(220)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접지스트랩(220)이 가동부재(210)에 의해 가압되는 방식의 경우, 가동부재(210)가 접지스트랩(220)을 가압함에 따른 가이드로드(122)의 이동을 감지함으로써, 접지스트랩(220)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30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ground strap 220 contacts the susceptor 120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300 may detect whether the ground strap 220 is in contact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guide rod 122. That is, in the case of the method in which the ground strap 220 is pressurized by the movable member 210, the ground strap () is detected by sensing the movement of the guide rod 122 as the movable member 210 presses the ground strap 220. 220) can be detected.

상기 감지부(300)로서는 통상의 기계적 스위치 또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감지부(300)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트랩리스 방식 가변접지부가 적용된 경우(도 8 내지 도 11 참조)에도 가변접지부의 의한 접촉 여부(접지 연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sensing unit 300, a conventional mechanical switch or sensor may be us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nsing unit 300. In some cases, even when a strapless variable grounding unit is applied (see FIGS. 8 to 11),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variable grounding unit is in contact (ground connection state) may be used.

한편,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처리장치로서, 가변접지부의 다른 배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13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arrangement example of the variable ground. In addition,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서셉터에 전술한 가이드로드와 같은 주변 부재가 배제된 조건에서도, 가변접지부가 서셉터에 직접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a condition in which a peripheral member such as a guide rod described above is excluded from the susceptor, the variable ground part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grounded directly to the susceptor.

일 예로, 도 13을 참조하면, 가변접지부는 진공챔버의 측벽면에 제공되어, 서셉터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변접지부는 서셉터(120)의 외주면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동부재(210), 및 일단은 진공챔버(110)의 벽면에 연결(진공챔버의 접지선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동부재(210)의 단부에 연결(또는 이격된 상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접지스트랩(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동부재(210)가 서셉터(120)의 외주면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동부재(210)에 의해 접지스트랩(220)의 타단이 서셉터(120)의 외주면에 접촉되며 접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동부재(210)는 통상의 구동부(23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13, the variable ground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sidewall surface of the vacuum chamber to be selectively contacted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sceptor. For example, the variable ground portion is movable member 210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sceptor 120,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vacuum chamber 110 (connected to the ground wire of the vacuum chamber) ) And the other end may include a ground strap 220 which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movable member 210 (or adjacently arranged in a spaced state), and the movable member 210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sceptor 120. When moving in the approaching direction, the other end of the ground strap 220 by the movable member 21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sceptor 120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ovable member 210 can be moved by a conventional driving unit 23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hange it.

110 : 진공챔버 120 : 서셉터
122 : 가이드로드 200 : 가변접지부
210 : 가동부재 220 : 접지스트랩
230 : 구동부 300 : 감지부
110: vacuum chamber 120: susceptor
122: guide rod 200: variable ground
210: movable member 220: ground strap
230: driving unit 300: detection unit

Claims (18)

진공챔버;
상기 진공챔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며, 기판이 안착되는 서셉터; 및
상기 서셉터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동부재와, 일단은 상기 진공챔버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배치되는 접지스트랩을 포함하여, 상기 서셉터와 상기 진공챔버를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하는 가변접지부;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서셉터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가동부재에 의해 상기 접지스트랩의 자유단이 상기 서셉터에 접촉되며 접지 연결되어, 상기 서셉터와 상기 진공챔버 간의 접지 연결 상태는 상기 가변접지부에 의해 유지 또는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Vacuum chamber;
A susceptor provided to be able to elevate inside the vacuum chamber and on which a substrate is seated; And
Optionally,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include a movable member that is movably provid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susceptor, and a ground strap having one end fixed to the vacuum chamber and the other end disposed at a free end. A grounded variable connection to ground;
When the movable member mov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susceptor, the free end of the ground strap is contacted and connected to the susceptor by the movable member, so that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is the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which can be held or released by a variable ground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가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driv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move the movabl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에는 상기 접지스트랩이 면접촉되기 위한 평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sceptor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flat portion is formed for the ground strap is in surface conta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에 대한 상기 접지스트랩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ground strap is in contact with the susceptor.
진공챔버;
상기 진공챔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며, 기판이 안착되는 서셉터;
상기 서셉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이드로드; 및
상기 가이드로드와 상기 진공챔버를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서셉터와 상기 진공챔버를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하는 가변접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셉터와 상기 진공챔버 간의 접지 연결 상태는 상기 가변접지부에 의해 유지 또는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Vacuum chamber;
A susceptor provided to be able to elevate inside the vacuum chamber and on which a substrate is seated;
A guide ro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sceptor; And
A variable grounding part selectively connecting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to the ground by selectively connecting the guide rod and the vacuum chamber to the ground;
And a ground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can be maintained or released by the variable ground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는 상기 서셉터와 일체로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서셉터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변접지부가 상기 가이드로드와 상기 진공챔버를 접지 연결하고, 상기 서셉터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로드와 상기 진공챔버 간의 접지 연결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rod is provided to be able to elevate integrally with the susceptor,
When the susceptor is raised, the variable ground part connects the guide rod and the vacuum chamber to ground, and when the susceptor is lowered,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guide rod and the vacuum chamber is released. Substrate process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의 일단은 상기 서셉터의 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변접지부는 상기 가이드로드의 자유단에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5,
One end of the guide rod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sceptor, the other end is arranged as a free end,
The variable ground portion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ively grounded to the free end of the guide r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에는 상기 서셉터의 하강시 상기 가이드로드가 수용되기 위한 로드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vacuum chamber,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rod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guide rod is received when the susceptor is lower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접지부는,
상기 가이드로드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동부재; 및
일단은 상기 진공챔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가동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는 접지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가이드로드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가동부재에 의해 상기 접지스트랩의 타단이 상기 가이드로드에 접촉되며 접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variable ground unit,
A movable member movably provid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guide rod;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vacuum chamber,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movable member ground strap; includes,
When the movable member is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guide rod,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ground strap by the movabl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rod is connected to the grou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접지부는,
상기 가이드로드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동부재; 및
일단은 상기 진공챔버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배치되는 접지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가이드로드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가동부재에 의해 상기 접지스트랩의 자유단이 상기 가이드로드에 접촉되며 접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variable ground unit,
A movable member movably provid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guide rod; And
One end is fixed to the vacuum chamber, the other end is a ground strap disposed as a free end; includes,
When the movable member is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guide rod,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e end of the ground strap by the movable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rod is connected to the ground.
진공챔버;
상기 진공챔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며, 기판이 안착되는 서셉터;
상기 서셉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이드로드; 및
상기 진공챔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로드의 주변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접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서셉터와 상기 진공챔버를 선택적으로 접지 연결하는 가변접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서셉터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로드가 상기 접지단자에 접촉되며 접지 연결되고, 상기 서셉터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로드가 상기 접지단자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서셉터와 상기 진공챔버 간의 접지 연결 상태는 상기 가변접지부에 의해 유지 또는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Vacuum chamber;
A susceptor provided to be able to elevate inside the vacuum chamber and on which a substrate is seated;
A guide ro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sceptor; And
A variable ground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cuum chamber and including a ground terminal provided adjacent to the periphery of the guide rod, and selectively connecting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to grou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when the susceptor is raised, the guide rod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and connected to the ground, and when the susceptor is lowered, the guide rod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erminal, and the susceptor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vacuum chambers can be maintained or released by the variable grounding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가이드로드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가동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로드가 가압되며 상기 접지단자에 접촉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가이드로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로드가 상기 접지단자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It includes a movable member provid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to approach and space the guide rod,
When the movable member mov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guide rod, the guide rod is pressed by the movable member and contacts the ground terminal, and the guide rod is moved when the movable member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uide rod.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에 형성되는 접촉돌기, 및 상기 접촉돌기와 간섭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로드의 주변에 제공되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셉터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돌기가 상기 가이드돌기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가이드로드를 상기 접지단자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contact protrusion formed on the guide rod, and a guide protrusion provided around the guide rod so as to interfere with the contact projec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susceptor is raised,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protrusion is pressed by the guide protrusion and contacts the guide rod to the ground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에는 경사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경사안내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로드를 상기 접지단자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An inclined guide portion is formed in the guide projection,
The contact protrusion moves along the inclined guide portion and presses the guide rod in a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변접지부가 상기 서셉터와 상기 진공챔버를 접지 연결하고,
상기 서셉터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변접지부에 의한 상기 서셉터와 상기 진공챔버 간의 접지 연결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When the susceptor is raised, the variable ground part connects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to ground,
When the susceptor is lowered,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nd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usceptor and the vacuum chamber by the variable ground is released.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접지부는 상기 서셉터 상에 이격되게 복수개가 제공되며,
복수개의 상기 가변접지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접지 연결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The variable ground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on the susceptor,
A plurality of the variable ground portio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or release the ground connectio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38983A 2015-10-02 2015-10-02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Active KR1020996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983A KR102099660B1 (en) 2015-10-02 2015-10-02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983A KR102099660B1 (en) 2015-10-02 2015-10-02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876A KR20170039876A (en) 2017-04-12
KR102099660B1 true KR102099660B1 (en) 2020-04-14

Family

ID=5858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983A Active KR102099660B1 (en) 2015-10-02 2015-10-02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66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330B1 (en) * 2018-09-18 2021-10-13 주식회사 테스 Substrate supporting unit
CN109735822B (en) * 2018-11-14 2021-04-09 北京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Reaction chamber and semiconduc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5946B2 (en) * 2004-08-16 2008-05-20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chucking a substrate
US8004293B2 (en) * 2006-11-20 2011-08-23 Applied Materials, Inc. Plasma processing chamber with ground member integrity indicato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876A (en)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7109B2 (en) Substrate support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923594B1 (en) Plasma processing chamber with ground member integrity indicato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20070122481A (en) Electrostatic Chuck with Smart Lift-Pin Mechanism for Plasma Reactor
KR102099660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CN107731650B (en) Reaction chamber and semiconductor processing equipment
EP2518763B1 (en) A grounding assembly for vacuum processing apparatus
KR101515150B1 (en) Apparatus for plasma processing and method for plasma processing
US20090294066A1 (en) Dry Etching Apparatus
KR102281719B1 (en) Stage mechanism,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tage mechanism
KR101588566B1 (en) Susceptor with roll-formed surface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2009054696A1 (en) Baffle,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and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plasma processing method
KR20170003792A (en)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Apparatus
US20110139371A1 (en) Plasma etching chamber
KR102173212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CN111640690B (en) Top electrode uncapping structure and semiconductor processing equipment
KR20090078980A (en) Substrate support apparatus,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plasma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the same
KR20090106729A (e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plasma processing method
KR20090086783A (en) Plasma etching equipment
KR20130107964A (en) Deposition apparatus
CN112151436B (en) Compression ring assembly and semiconductor process chamber
KR102757378B1 (en) Dielectric assembly,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130092204A (en) Deposition apparatus
KR100596328B1 (en) Lift pin modul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device
KR101318705B1 (en) Apparatus for plasma processing and method for plasma processing
KR20090057840A (en) Plasma treatment apparatus and plasma treat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2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4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0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