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9325B1 - 피부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325B1
KR102099325B1 KR1020150147533A KR20150147533A KR102099325B1 KR 102099325 B1 KR102099325 B1 KR 102099325B1 KR 1020150147533 A KR1020150147533 A KR 1020150147533A KR 20150147533 A KR20150147533 A KR 20150147533A KR 102099325 B1 KR102099325 B1 KR 102099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leanser
cleanser composition
skin
composition
so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875A (ko
Inventor
이지영
김현영
최화춘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60061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32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0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 C11D10/04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based on mixtures of surface-active non-soap compounds and so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세정제 조성물 및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a) 비누 1 내지 30 중량%, (b) 양쪽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15 중량% 및 (c) 다가 알코올 0.1 내지 18 중량%를 포함하여, 피부 노화에 따른 체취의 억제 또는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피부 세정제 조성물 {Skin cleans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피부 세정제 조성물 및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화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안티에이징 기능의 화장품은 더욱 진보된 기술력으로 세포재생을 넘어 복원까지 영역을 넓히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는 노화 지연과 주름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들로 포화되어 있지만 정작 '노인'만을 위한 제품을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노인 특유의 냄새로 인해 고통받는 노인과 주변인들을 위한 미용 및 개인 건강관리 제품은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높은 수요로 인해 노인 체취(가령과 함께 발생한다고 하는 의미로 가령취라고도 표현)를 억제하는 제품은 제각기 많은 업체에서 속속 출시되고 있다.
노화에 따라 피지에 포함된 지방산인 시스-6-헥사데센산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시스-9-헥사데센산(팔미톨레산, Palmitoleic acid)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팔미톨레산이 산화 분해되어 생기는 물질로 인해 특유의 노인 냄새가 발생되는데, 이는 노네날(Nonenal)이라는 물질이다. 노화로 인해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못하면서 피부에 노폐물이 더욱 많이 남게 되고, 이들 피지선에 불포화 지방산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물질인 노네날이 더 많이 만들어져 특유의 냄새가 배출된다. 따라서, 노인 특유의 체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피지선을 통해 배출되는 팔미톨레산을 함유한 피지와 노인 체취 원인 물질인 노네날의 제거가 필수적이다.
한편, 종래부터 샴푸, 비누, 클렌징, 세안제 등의 피부 세정제에는 단지 피부나 모발에 부착한 먼지나 오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두피, 안면, 몸 등 피부의 피지까지도 제거하는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피부 세정제에는 피지를 제거하기 위해 피지와의 용해성 및 사용감의 관점에서 다양한 계면활성제가 사용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 2005-075797 호는 비누화가가 95 mgKOH/g이상으로, 모노에스테르체 함량이 80%이상 이고, 물에 용해성을 갖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피부 오염 제거용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지지체에 함침 시킴으로써 메이크업과 피지 오염에 대해 높은 제거성을 가지는 피부 오염 제거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피부 오염 제거용 조성물은 얼굴의 메이크업 및 피지 제거에는 효과적이나, 노인 피부로부터 분비되는 특유의 피지 성분 제거에는 효과가 제한적이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4-034560호는 N-아실살코신염,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및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 종 및 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피부 세정제용 조성물로 중노년층의 사람으로부터 분비되는 특유의 피지 성분에 대한 우수한 세정 제거 효과를 발휘하는 피부 세정제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지만, 노인 체취 원인 물질인 노네날에 대한 제거 효과까지 충분히 만족할 수는 없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4-034560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노인 피부로부터 분비되는 특유의 피지 성분과 노인 체취 원인 물질에 대해 우수한 세정 효과를 발휘하여 노인층에서 발생하는 가령취, 즉, 노인 체취 제거에 효과적인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a) 비누 1 내지 30 중량%, (b) 양쪽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15 중량% 및 (c) 다가 알코올 0.1 내지 18 중량%를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누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질량비가 1:1 내지 9:1일 수 있으며, 1:1 내지 3:1, 3:1 내지 5:1, 1:1 내지 5:1, 1:1 내지 7:1, 3:1 내지 9:1, 또는 7:1 내지 9:1일 수 있다. 상기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8:1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을 벗어나는 경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노인 체취 제거에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세정제 조성물에 비누를 포함하고, 비누와 특정의 비율로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주 세정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에 다가 알코올을 단독 또는 2 이상의 혼합물로서 포함하는 경우에, 세정 효과가 우수하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였으며, 특히 노인 피부로부터 분비되는 특유의 피지 성분 및 노인 체취 원인 물질에 대해 우수한 제거 효과를 발휘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피부 세정용 조성물을 구성하고 있는 각 성분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누는 바람직하게는 지방산과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수산화물의 중화 반응으로 생성된 알칼리 비누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칼륨 비누일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C10 내지 C24 지방산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12 내지 C18 지방산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중화 반응에 적합한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수산화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또는 이의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칼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용 조성물에서 상기 비누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비누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세정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거나 사용 후 피부가 건조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양쪽성 계면활성제"란 양이온(cation)과 음이온(anion)의 쌍방을 함께 갖고있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통상적인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베타인 골격(일부가 치환된 형태를 포함함)을 갖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상기 베타인계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올레아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릴디메틸베타인, 미리스틸디메틸베타인, 팔미틸디메틸베타인, 스테아릴디메틸베타인, 올레일디메틸베타인, 야자유 알킬디메틸베타인, 라우릴메틸에틸베타인, 라우릴디하이드록시에틸베타인, 스테아릴디하이드록시에틸베타인, 야자유 알킬디하이드록시에틸베타인 등의 알킬카르복시베타인; 옥타데실옥시메틸디메틸베타인 등의 에테르카르복시베타인; 라우르산 아미도프로필디메틸베타인, 미리스트산 아미도프로필디메틸베타인, 스테아르산 아미도프로필디메틸베타인, 올레산 아미도프로필디메틸베타인, 야자유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디메틸베타인, 라우르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등의 아미도카르복시베타인 등을 포함하는 카르복시베타인형; 라우릴디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술포베타인, 미리스틸디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술포베타인, 라우릴디메틸프로필술포베타인, 야자유알킬디메틸프로필술포베타인 등의 알킬술포베타인, 라우르산 아미도프로필디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술포베타인, 라우로일아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술포베타인 등의 아미도술포베타인 등을 포함하는 술포베타인형; 라우릴카르복시메틸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미리스틸카르복시메틸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스테아릴카르복시메틸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알킬카르복시메틸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등의 이미다졸린형 외에, 글리신형, 아미노프로피온산형, 술폰산형, 황산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또는 인산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는 베타인 골격과 탄소수 10 내지 18의 지방산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이 사용될 수 있다. 탄소수가 10 미만인 지방산에 있어서는 자극성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초과인 것에 있어서는 거품의 저하가 우려될 수 있다.
상기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이외에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라우라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소듐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소듐코코암포아세테이트, 디소듐라우로암포디아세테이트,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디소듐라우리미노디프로피오네이트토코페릴포스페이트, 디소듐코코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소듐라우라미노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소듐코코암포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소듐코코암포아세테이트, 소듐라우라미노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단독 또는 2 이상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용 조성물에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세정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다가 알코올"이란 1 분자 내에 다수의 OH 기가 포함되어 있는 알코올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2가 내지 6가 알코올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통상적인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헥사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솔비톨, 만니톨,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아도니톨, 트레이톨, 아라비톨, 탈리톨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용 조성물에서 상기 다가 알코올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18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세정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18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체취 억제 또는 제거 또는 피지 제거용일 수 있으며, 상기 체취는 신체에서 발생하는 모든 냄새를 포괄하는 용어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취는 노네날(Nonenal) 유래일 수 있다. 상기 노네날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체취 중에서도 노인 체취(가령취, 노인 냄새, 노인취 등 노화에 따라 피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냄새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의 원인이 되는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지는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이 함유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팔미톨레산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노화에 따라 피부에서 분비되는 피지에 함유된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중노년층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노년층"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피부 노화에 따라 노네날 유래의 체취 또는 팔미톨레산이 함유된 피지의 억제 또는 제거가 필요한 연령층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중노년층은, 35세 이상의 인간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40세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세 이상의 인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또는 노네날(Nonenal)의 생성 억제 또는 제거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제 조성물로서 기본적인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세정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보습제, 색소, 킬레이트제, 산화방지제, 살균제, 방부제, pH 조절제, 향료 및 염료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액상, 유액상, 크림상, 젤 상 등의 다양한 제형에 적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 형태로서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두피 세정제, 세안제, 바디워시, 핸드워시, 샴푸, 폼클렌져, 액체 세정료 또는 입욕제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피부 노화로부터 발생하는 특유의 체취를 억제 또는 제거하는 관점에서 두피 세정제 또는 바디워시 등에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매에 (a) 비누, (b)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c) 다가 알코올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누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1:1 내지 9:1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비누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질량비가 1:1 내지 9:1일 수 있으며, 1:1 내지 3:1, 3:1 내지 5:1, 1:1 내지 5:1, 1:1 내지 7:1, 3:1 내지 9:1, 또는 7:1 내지 9:1일 수 있다. 상기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8:1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을 벗어나는 경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노인 체취 제거에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a) 비누 1 내지 30 중량%, (b) 양쪽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15 중량% 및 (c) 다가 알코올 0.1 내지 18 중량%를 포함하여, 피부 노화에 따른 체취의 억제 또는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인공 피지 모델의 제조
본 발명에서 노인 피부로부터 분비되는 특유의 피지 성분과 노인 체취 원인 물질에 대한 제거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팔미톨레산 및 노네날을 1:1로 혼합한 것을 이용하여 0.15% 에탄올 용액으로 제조하여 인공 피지 모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7
표 1 및 표 2의 각 조성(단위: 중량%)에 따라 피부 세정용 조성물을 제조하여, 하기 평가에 제공하였다. 평가는 모두 25℃, 습도 60%의 항온, 항습의 일정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성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칼륨 비누 20 20 20 20 20 20 20 20 20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염 - - - - - - - - -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2.5 5 10 - - - 2.5 5 5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 - - 5 - - 2.5 - -
소듐코코암포아세테이트 - - - - 5 - - - -
소듐라우라미노프로피오네이트 - - - - - 5 - - -
디프로필렌글리콜 10 10 10 10 10 10 10 5 15
1 1 1 1 1 1 1 1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a):(b) 함유량 비 8:1 4:1 2:1 4:1 4:1 4:1 2:1 4:1 4:1
성 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칼륨 비누 10 20 - 20 20 20 20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염 - - 20 - - - -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20 2 5 - - 5 5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 - - 5 - - -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 - - - 5 - -
디프로필렌글리콜 10 10 10 10 10 - 20
1 1 1 1 1 1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a):(b) 함유량 비 1:2 10:1 4:1 4:1 4:1 4:1 4:1
실험예
(1) 피지 및 체취 제거 효과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7의 시료를 그 농도가 10 중량%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시켜 세정 시험용 수용액을 얻었다. 인공 피지 모델 0.3g을 울포 (60X60 mm)에 균일하게 도포한 후 상온에서 12시간 이상 건조하였다. 25℃로 유지된 상기 세정 시험용 수용액을 500 ml 담은 용기에 조제한 인공 피지 모델을 도포한 울포를 침지한 후 10분 교반하여 울포를 세정하였다. 세정 후 울포에 잔존한 인공 피지 모델을 메탄올로 추출한 후, 얻어진 추출물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팔미톨레산과 노네날 성분에 대응하는 피크의 면적을 비교하여 잔존율로 세정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 : 세정 후 울포에 남아 있는 잔존율이 0 % 이상 40% 미만
○ : 세정 후 울포에 남아 있는 잔존율이 40 % 이상 60% 미만
△ : 세정 후 울포에 남아 있는 잔존율이 60 % 이상 90% 미만
X : 세정 후 울포에 남아 있는 잔존율이 90 % 이상
(2) 체취 제거 효과 관능 평가
상기 피지 제거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동일하게 울포를 세정한 후 노인층의 특유의 체취 변별력이 우수한 전문 패널에 의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 : 전혀 냄새가 나지 않는다.
○ : 거의 냄새가 나지 않는다.
△ : 약간 냄새가 난다.
X : 강하게 냄새가 난다.
(3) 점도 평가
표 1 및 표 2의 각 조성(단위: 중량%)에 따라 피부 세정용 조성물을 플라스틱 용기에서 정상(실온)에서 점도 결과를 얻었다. 점도는 25℃에서 12 rpm 으로 60초 동안 스핀들 (Spindle) 3,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를 이용하여 시료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 : 10 ~ 30 ps (사용하기에 적당)
○ : 30 ~ 50 ps (사용하기에 다소 점도가 높음)
△ : 50 이상 (사용하기에 점도 높음)
X : 10 이하 (사용하기에 점도 묽음)
(4) 결과
상기 (1) - (3) 의 실험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기재하였다.
평가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피지 제거 효과
체취 제거 효과
점도 (사용성) 15 20 30 25 20 20 30 25 35
평가 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피지 제거 효과 X X
체취 제거 효과 X X X
점도 (사용성) 10 10 55 45 35 70 1
상기 표 3 및 표 4 에서, 본 발명의 피부 세정 조성물(실시예 1 내지 9)은 비교예 1 내지 7에 비해, 노인 피부로부터 분비되는 특유의 피지 성분인 팔미톨레산과 노인 체취 원인 물질인 노네날에 대해 현저히 우수한 제거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2)

  1. 조성물 총 중량 대비 (a) 비누 1 내지 30 중량%, (b) 양쪽성 계면활성제 0.1 내지 15 중량% 및 (c) 다가 알코올 0.1 이상 내지 15 미만 중량%를 포함하고, 폴리쿼터늄을 포함하지 않는, 체취 또는 피지 제거용 피부 세정제 조성물로서,
    상기 체취는 노네날(Nonenal)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질량비가 1:1 내지 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는 지방산과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중화 반응으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C10 내지 C24 지방산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올레아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라우라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 소듐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소듐코코암포아세테이트, 디소듐라우로암포디아세테이트,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디소듐라우리미노디프로피오네이트토코페릴포스페이트, 디소듐코코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 소듐라우라미노프로피오네이트, 소듐코코암포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헥사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솔비톨, 만니톨,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아도니톨, 트레이톨, 아라비톨, 탈리톨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체취 제거 및 피지 제거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는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중노년층을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세정제 조성물은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또는 노네날(Nonenal)의 생성 억제 또는 제거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12. 용매에 (a) 비누, (b)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c) 다가 알코올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누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1:1 내지 9:1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50147533A 2014-11-24 2015-10-22 피부 세정제 조성물 Active KR102099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4699 2014-11-24
KR1020140164699 2014-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875A KR20160061875A (ko) 2016-06-01
KR102099325B1 true KR102099325B1 (ko) 2020-04-09

Family

ID=5613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533A Active KR102099325B1 (ko) 2014-11-24 2015-10-22 피부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3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287B1 (ko) * 2016-06-08 2019-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2205201B1 (ko) 2019-01-31 2021-01-19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고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인성 냄새 및 노네날 제거용 조성물
KR102371503B1 (ko) * 2021-06-25 2022-03-07 최승규 인테리어 작업 현장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
CN117771129B (zh) * 2023-12-23 2024-11-22 广州她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清除重金属效果的果冻洁面啫喱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600B1 (ko) 2004-01-13 2010-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안제 조성물
KR101336859B1 (ko) 2007-01-03 2013-12-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점성 유액타입의 수성세안제 조성물
JP2014101356A (ja) * 2012-10-24 2014-06-05 Rohto Pharmaceut Co Ltd 体臭抑制用の皮膚洗浄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1639B2 (ja) * 2010-09-21 2016-02-16 ライオン株式会社 皮膚洗浄剤組成物
US8834857B1 (en) * 2011-01-18 2014-09-16 Nevada Naturals Inc. Deodorizing and skin cleaning
KR101921629B1 (ko) * 2011-11-16 2018-11-26 (주)아모레퍼시픽 클렌징 조성물
JP5923409B2 (ja) 2012-08-10 2016-05-24 株式会社マンダム 皮膚洗浄剤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600B1 (ko) 2004-01-13 2010-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안제 조성물
KR101336859B1 (ko) 2007-01-03 2013-12-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점성 유액타입의 수성세안제 조성물
JP2014101356A (ja) * 2012-10-24 2014-06-05 Rohto Pharmaceut Co Ltd 体臭抑制用の皮膚洗浄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875A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9949B2 (ja) 体臭抑制用の皮膚洗浄用組成物
US11648193B2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JP6183849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EP1466592A1 (en) Cleansing compositions
KR102099325B1 (ko)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20180133170A (ko) 오일 고함유 세정제의 거품력을 향상시킨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N116367816A (zh) 糖类同分异构体的新型用途
CN107603789B (zh) 一种调理型固态洗发皂
KR20130077091A (ko) 발 세정제 조성물
EP2839827B1 (en) Composition for skin hygiene and/or hydration
JP2022505443A (ja) 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KR102199877B1 (ko) 모발 세정용 조성물
JP4771869B2 (ja) 消臭剤及び該消臭剤を含有する消臭用製品
JP3375833B2 (ja) 皮膚洗浄剤
KR102246863B1 (ko) 변성 스타치를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각질 제거용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5176827B2 (ja) 洗浄剤組成物
JP3811168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18043981A (ja) 皮脂洗浄用組成物
JP4285699B2 (ja) 角栓除去用組成物
JP4469451B2 (ja) 洗浄剤組成物
EP3498256A1 (en) Cosmetic formulation for the removal of skin stains
KR101817754B1 (ko) 인체 세정용 용제 및 이를 포함한 조성물
KR101778273B1 (ko) 메이크업 제거와 개운한 세안이 가능한 버블폼 타입 세안제
CN119257961A (zh) 用于清洁或清新毛发或头皮的组合物及其应用
KR20230103084A (ko) 메이크업 제거 및 각질 제거용 고마쥬 타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4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0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3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