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8890B1 - The Drone controlled by scale - Google Patents

The Drone controlled by sca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890B1
KR102098890B1 KR1020180091700A KR20180091700A KR102098890B1 KR 102098890 B1 KR102098890 B1 KR 102098890B1 KR 1020180091700 A KR1020180091700 A KR 1020180091700A KR 20180091700 A KR20180091700 A KR 20180091700A KR 102098890 B1 KR102098890 B1 KR 102098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e
drone
main body
unit
drive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7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16510A (en
Inventor
이승재
Original Assignee
하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성배 filed Critical 하성배
Priority to KR1020180091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890B1/en
Publication of KR20200016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5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89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4Flying platforms with four distinct rotor axes, e.g. quad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64U30/26Ducted or shrouded rotors
    • B64C2201/12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25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manufacturing or serv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종사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체인 드론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어린이 동요 등 음악에 맞춰 드론이 상, 하로 자동 이동되게 하여 사용자의 음악에 대한 이해와 함께, 드론의 상, 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한 음계 활용 코딩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음계 구동 드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계 구동 드론은, 중앙에 본체부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둘레에는 다수의 지지대가 소정간격을 두고 소정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본체 프레임과; 프로펠러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입렵받아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소정길이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상기 지지대의 돌출 단부에 형성되는 프로펠러 추진부와;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와의 무선신호 송수신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드론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 소리를 입력받는 소리 취득부; 상기 콘트롤러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소리 취득부를 통해 입력받은 외부 소리에서 소정 음원을 추출하며, 추출한 상기 음원에서 다시 각각의 음계를 추출하는 음계 취득부; 및 상기 음계 취득부에서 추출한 각각의 상기 음계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부로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구동제어부로부터 무선 수신한 각각의 상기 음계에 따른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상기 드론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that is a flight chain capable of flying and manipulating by induction of radio waves without a pilot, and more specifically, understanding the user's music by allowing the drone to automatically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music such as children's songs. Along with, it relates to a scale-driven drone that can induce a user's interest in coding using a scale for realiz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drone,
The musical scale driving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provided at the center, and a main body fram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s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length around the main body portion; A propeller propulsion unit formed at a protruding end of the support which is formed including a propeller and a drive motor that receives the drive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body and rotates the propeller, and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main body; A controller provided outsid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through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main body; A drone configured to include: a sound acquisi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controller to receive external sound; A scale acquiring unit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controller to extract a predetermined sound source from external sounds received through the sound acquisition unit, and extracts each scale again from the extracted sound source; And a drive control unit wirelessly transmitting the drive control signal to the main body unit to control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e motor through each of the scales extracted by the scale acquisition unit. It is formed, and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one is moved upward or downward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e motor through the driv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each of the scales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drive control unit.

Description

음계 구동 드론{The Drone controlled by scale}The Drone controlled by scale

본 발명은 조종사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체인 드론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어린이 동요 등 음악에 맞춰 드론이 상, 하로 자동 이동되게 하여 사용자의 음악에 대한 이해와 함께, 드론의 상, 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한 음계 활용 코딩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음계 구동 드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that is a flight chain capable of flying and manipulating by induction of radio waves without a pilot, and more specifically, understanding the user's music by allowing the drone to move up and down automatically in accordance with music such as children's song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e-driven drone capable of inducing a user's interest in coding using a scale for realizing up and down movement of the drone.

드론은 조종사가 직접 탑승하지 않고 무선전파를 이용해 원격 조종이 가능한무인 비행체를 말한다. 드론은 일반 비행체와는 달리 조종사를 위한 공간과 안전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며,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곳의 정보 수집과 정찰을 위한 정찰용이나, 여러 다양한 용도로의 산업용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요즘은 작의 소형 드론들이 보급되면서 일반인들의 취미생활 도구로도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A drone is an unmanned air vehicle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radio waves without being directly on board. Drones, unlike ordinary aircraft, do not have space and safety devices for pilots, so they can be miniaturized and lightened, and used for reconnaissance for information gathering and reconnaissance in places where human access is difficult, or for various purposes. In particular, as small-scale drones are being used these days, it is also used as a hobby tool for ordinary people.

통상의 드론은 비행체의 골격을 구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추진체 지지 프레임과, 상기 추진체 지지 프레임에 직접 연결되어 블레이드를 고속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되는 다수의 추진체가 구비되고, 상기 드론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콘트롤러와의 무선 송수신을 통해 드론을 비행 및 원격조종하게 된다.Conventional drone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pellants including a body constituting a skeleton of an air vehicle, a propellant support frame that protrudes radially from the body, and a motor directly connected to the propellant support frame and rotating a blade at high speed. The drone is controlled to fly and remotely through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controller provided separately outside the drone.

종래 외부 콘트롤러에 구비되는 상, 하 또는 좌, 우 조정 레버를 이용하여 드론을 조정하는 경우, 레버의 미세한 조정으로도 드론의 비행 움직임이 커서, 좁은 실내 공간에서 비행하는 경우 충돌 및 추락의 위험이 있으며, 레버 조종에 익숙하지 못한 어린이 등이 드론을 직접 조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드론을 처음 접하는 초심자가 드론을 능숙하게 조정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드론에 대한 흥미를 쉽게 잃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drone is adjusted using the up, down or left and right adjustment levers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external controller, even if the lever is finely adjusted, the drone's flight movement is large, and when flying in a narrow indoor space,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and fall. There is a problem that a child, etc., who is unfamiliar with lever control, has difficulty in directly controlling the drone, and a beginner who is new to the drone takes a lot of time to skillfully adjust the drone, and thus has a problem of easily losing interest in the drone.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좁은 실내 공간에서도 충돌이나 추락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드론 비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레버 조종에 익숙하지 못한 어린이 등도 음악의 음계 및 드론의 상, 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한 음계 활용 코딩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킬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드론을 간편하게 조종할 수 있도록 하며,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o that even in a small indoor space, it is possible to safely enjoy a drone flight without the risk of collision or falling, and even children unfamiliar with lever control, the musical scale and the image of the drone,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coding using the scale to implement the lower motion, and also to easily control the drone.

또한, 드론 비행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드론을 처음 접하는 초심자도 장시간 드론 비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t creates interest in flying drones, so that even beginners who are new to drones can enjoy flying drones for a long time.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중앙에 본체부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둘레에는 다수의 지지대가 소정간격을 두고 소정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본체 프레임과; 프로펠러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입렵받아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소정길이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상기 지지대의 돌출 단부에 형성되는 프로펠러 추진부와;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와의 무선신호 송수신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드론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 소리를 입력받는 소리 취득부; 상기 콘트롤러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소리 취득부를 통해 입력받은 외부 소리에서 소정 음원을 추출하며, 추출한 상기 음원에서 다시 각각의 음계를 추출하는 음계 취득부; 및 상기 음계 취득부에서 추출한 각각의 상기 음계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부로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구동제어부로부터 무선 수신한 각각의 상기 음계에 따른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상기 드론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계 구동 드론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main body portion is provided in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supports around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at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body frame; A propeller propulsion unit formed at a protruding end of the support, which is formed by including a propeller and a drive motor that receives the drive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body and rotates the propeller, and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to a predetermined length; A controller provided outsid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through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main body; A drone configured to include: a sound acquisi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controller to receive external sound; A scale acquiring unit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controller to extract a predetermined sound source from external sounds received through the sound acquisition unit, and extracts each scale again from the extracted sound source; And a drive control unit wirelessly transmitting the drive control signal to the main body unit to control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e motor through each of the scales extracted by the scale acquisition unit. It is formed, and the main body portion control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e motor through the driv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each of the scales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drive control portion to move the drone upward or downward. Provide drones.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음계 구동 드론에 있어서, 상기 소리 취득부에는, 외부 음원저장장치로부터 음원을 입력받는 외부음원장치 연결포트가 구비되며, 상기 음계 취득부는 상기 소리 취득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음원에서 각각의 음계를 추출할 수 있고,In the scale-driven dro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acquisition unit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sound source device connection port for receiving a sound source from an external sound source storage device, and the sound scale acquisition unit is the sound source received through the sound acquisition unit Each scale can be extracted from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트롤러의 내부 또는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제어부를 통해 각각의 상기 음계를 입력받아 외부로 각각의 상기 음계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n audio output unit provided in the controller or in the main body, receiving each of the scales through the drive control unit and outputting each of the scales to the outside; It may be formed by further including.

본 발명에 따른 음계 구동 드론은, 좁은 실내 공간에서도 충돌이나 추락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드론 비행을 즐길 수 있고, 레버 조종에 익숙하지 못한 어린이 등도 음악의 음계 및, 드론의 상, 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한 음계 활용 코딩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드론을 간편하게 조종할 수 있으며,The scale-driven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afely enjoy drone flight even in a small indoor space without the risk of collision or fall, and even children unfamiliar with lever control can realize the musical scale and movement of the drone up and down. While improving your understanding of scale-based coding, you can easily control drones,

또한, 드론 비행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드론을 처음 접하는 초심자도 장시간 드론 비행을 즐길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inducing interest in flying drones, even beginners who are new to drones can enjoy flying drones for a long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계 구동 드론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cale-driven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 object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the same name and code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s accordingly are omitted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계 구동 드론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로, 본 발명에 따른 음계 구동 드론은 중앙에 본체부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둘레에는 다수의 지지대가 소정간격을 두고 소정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본체 프레임과; 프로펠러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입렵받아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소정길이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상기 지지대의 돌출 단부에 형성되는 프로펠러 추진부와;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와의 무선 신호 송수신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드론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콘트롤러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 소리를 입력받는 소리 취득부와, 상기 콘트롤러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 소리에서 음원 및 음계를 추출하는 음계 취득부 및, 상기 본체부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계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 회전수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cale-driven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ale-driven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portion at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supports are form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length around the main body por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main body frame; A propeller propulsion unit formed at a protruding end of the support, which is formed by including a propeller and a drive motor that receives the drive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body and rotates the propeller, and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to a predetermined length; A controller provided outsid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through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main body; In the drone configured to include, as shown in FIG. 1, largely, a sound acquisi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controller to receive external sound, and provided inside the controller to extract a sound source and a scale from the external sound It is formed by including a sound scale acquisition unit and a drive control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 motor through the sound scale.

상기 소리 취득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러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 소리를 입력받게 된다. 일 실시예로는 마이크로폰을 내장시켜 외부 소리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외부 소리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sound acquisition unit is provided inside the controller to receive external sound. In one embodiment, a microphone is built in to receive external sound, and the received external sound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

상기 음계 취득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리 취득부와 함께 콘트롤러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소리 취득부를 통해 변환 입력받은 외부 소리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에서 외부 소음 및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소정 음원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음원에서 다시 각각의 음계를 추출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scale acquiring unit is provided inside the controller together with the sound acquiring unit, and filters external noise and noise from an electrical signal for external sound converted and input through the sound acquiring unit, thereby generating a predetermined sound source. And extracting each scale again from the extracted sound source.

일 실시예로, 사용자는 드론을 조종할 장소에서 특정 크기의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음원에 대한 데시벨(dB)을 측정하거나 추정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부를 통해 음원으로 인식할 특정 데시벨 범위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음계 취득부는 입력받은 외부 소리 중,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특정 데시벨 범위에 속하는 소리만을 음원으로 추출하고, 나머지 데시벨 영역의 소리들은 필터링하게 되며, 추출한 상기 음원에서 각 음계에 따른 주파수에 맞춰 다시 각각의 음계롤 추출하게 된다.In one embodiment, when a user generates a noise of a specific size in a place to control a drone, after measuring or estimating a decibel (dB) for the sound source, as shown in FIG. 1, through a user setting unit A specific decibel range to be recognized as a sound source may be input, and the sound scale acquisition unit extracts only sounds belonging to a specific decibel range received from a user from among external sounds received as a sound source, and filters the remaining decibel range sounds. Each scale roll is again extrac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according to each scale from the sound source.

상기 구동제어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계 취득부에서 추출한 각각의 상기 음계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부로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무선 송신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 변화에 따른 상,하 고도 변화가 심하여 통상 출렁이듯 상측 또는 하측으로 움직이는 드론의 특성상,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경우, 일정 고도 유지를 위한 자동 호퍼링(hovering) 기능을 구비하여 동일 음계에 대응되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일 회전수에서는 드론이 일정한 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 the driving control unit wirelessly transmits the driving control signal to the main body unit to control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ing motor through each of the musical scales extracted from the musical scale acquisition unit. Due to the high and low altitude changes due to the change i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mot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one moving upward or downward as a normal swing, in the case of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hopper function for maintaining a constant altitude Equipped so that the drone can maintain a constant altitude at the sam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motor corresponding to the same scale.

상기 구동제어부는,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등의 각 음계에 대응되는 각각의 회전수를, 작동전 상기 사용자 설정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미리 각각 설정받아 저장하고, 상기 음계 취득부에서 추출한 각각의 음계에 대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받은 각 음계에 대응되는 상기 구동모터의 각 회전수를, 상기 본체부로 무선 송신하게 되며, 각 음계에 대응되는 상기 구동모터의 각 회전수를 무선 수신받은 상기 본체부는 상기 구동모터로 상기 각 음계에 대응되는 회전수로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입력받은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소정 회전수로 회전구동되면서 드론을 상측 또는 하측 이동시키게 되며, 드론이 상측 또는 하측 이동된 후에는 자동 호퍼링 기능을 통해 각 음계에 대응되는 소정 고도를 유지하게 된다.The drive control unit, each of the number of revolutions corresponding to each scale, such as degrees, les, me, waves, sol, la, poetry, degrees, is set and stored in advance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setting unit before operation, and the For each scale extracted from the scale acquisition unit,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drive motor corresponding to each scale set in advance from the user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and each rotation of the drive motor corresponding to each scale The main body unit, which receives the number wirelessly, outputs a drive control signal for rotationally driving at a rotational speed corresponding to each scale with the driving motor. The drive motor rotates at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according to the driv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body to move the drone up or down, and after the drone is moved up or down, it responds to each scale through an automatic hopper function. It will maintain a predetermined altitude.

드론의 승하강 비행 조정을 위해 사용될 소정 음원으로 그 음계가 빠르고 다양하게 변화되는 가요나 클래식 보다는 각 음계가 단조로우면서 각 음계 변화가 적은 동요가 바람직하며, 음원으로 동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드론이 동요의 각 음계에 따라 대응되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로 회전구동되면서 자동 호퍼링을 통해 소정 고도로 유지되어 드론의 승하강 이동 변화를 외부에서 명확하게 확인가능하고, 드론 비행에 흥미를 유발시키기 용이할 것이다.It is a predetermined sound source that will be used to adjust the flight of the drones. It is preferable to use a fluctuation in which each scale is monotonous and less fluctuations in each scale than a classic or classical music that changes its scale quickly and variously. It is rotated with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driving motor corresponding to each scale of the fluctuation, and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altitude through automatic hopper, so that the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drone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outside, and induce interest in drone flight It will be easy.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리 취득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저장장치 등과 같은 저장매체를 통해 외부 음원저장장치로부터 음원을 입력받는 외부음원장치 연결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음계 취득부는 상기 소리 취득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음원에서 각각의 음계를 추출할 수 있게 하여, 외부 소리를 바로 입력받는 경우에 필요했던 노이즈나 외부 소음에 대한 필터링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정확하게 음원의 각 음계에 따른 드론의 승하강 비행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설정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 소정의 음계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음계를 상기 구동제어부로 출력하여 드론의 승하강 이동을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음계 코딩에 따라 드론을 승하강 제어할 수 있게 한다.Preferably, the sound acquisition unit, as shown in Fig. 1,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sound source device connection port for receiving a sound source from an external sound source storage device through a storage medium such as a USB storage device, the sound scale acquisition unit is It is possible to extract each scale from the sound source input through the sound acquisition unit, so that it is possible to omit the filtering process for noise or external noise that is required when external sounds are directly input, and more accurately each scale of the sound sourc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light of the drone in accordance with. Preferably, a predetermined scale is directly input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setting unit, and the received scale is output to the driving control unit so that the drone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user scale coding. Control.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트롤러의 내부 또는 상기 본체부에 음향 출력부 또는 LED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제어부를 통해 각각의 상기 음계를 입력받아 각 음계에 대응되는 회전수로 구동모터가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음향 출력부 또는 LED 표시부를 통해 해당 음계 또는 해당 음계에 대응되는 불빛을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각 음계에 따라 승하강하는 드론과 함께, 해당 음계 및 불빛을 청각 또는 시각으로 다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좀 더 큰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controller has an audio output unit or an LED display unit inside or in the main body, and receives each of the scales through the drive control unit to drive at a rotational speed corresponding to each scale. At the same time as the motor rotates, by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scale or the light corresponding to the scale to the outside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r the LED display unit, along with the drones descending and descending according to each scale, the corresponding scale and light are auditory or visual. You can check it again, and this will make users more interested.

음계에 따른 드론 회전수 및 고도Drone rotation and altitude according to scale 음계
구분
scale
division
brush brush la la brush brush beauty
구동모터
회전수(rpm)
Drive motor
RPM (rpm)
3,0003,000 3,0003,000 3,0503,050 3,0503,050 3,0003,000 3,0003,000 2,9002,900
드론
고도
drone
Altitude
1m1 m 1m1 m 1.2m1.2m 1.2m1.2m 1m1 m 1m1 m 0.6m0.6m

음계에 따른 드론 회전수 및 고도Drone rotation and altitude according to scale 음계
구분
scale
division
brush brush beauty beauty
re
구동모터
회전수(rpm)
Drive motor
RPM (rpm)
3,0003,000 3,0003,000 2,9002,900 2,9002,900 2,850
2,850
드론
고도
drone
Altitude
1m1 m 1m1 m 0.6m0.6m 0.6m0.6m 0.4m
0.4m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계구동장치가 구비되는 드론의 작동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음원의 각 음계에 따른 승 하강이동을 위한 기준위치에 드론이 고도 유지되게 상기 구동모터의 초기 구동 회전수를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설정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of the drone equipped with the scal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as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the drone is positioned at a reference position for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each scale of a predetermined sound source. In order to maintain the altitude, the initial driving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 may be received and stor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setting unit.

드론을 음계에 따라 자동 승하강 비행 조정하기에 앞서 사용자가 초기 드론 고도 및 그에 대응되는 초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설정부의 입력을 통해 구동모터의 초기 회전수를 상기 구동제어부로 저장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표 1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모터의 초기 회전수를 3000rpm으로 입력 저장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초기 회전수와 함께, 1단계 음계 상승 또는 하강에 대한 상기 구동모터의 1단계 변화 회전수를 상기 사용자설정부를 통해 입력하고, 상기 구동제어부로 저장하게 되며, 일 실시예에서는, 표 1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단계 변화 회전수로 50rpm으로 입력 저장할 수 있다.Before the drone automatically adjusts the flight in accordance with the scale, the user checks the initial drone altitude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initial driving motor corresponding to the drone, and then, through the input of the user setting unit, the initial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 to the driving control unit.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Table 1 and Table 2, the initial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motor is input and stored at 3000 rpm, and with the initial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motor, for the first step scale rise or fall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first-stage change of the drive motor is input through the user setting unit and stored as the drive control unit.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Tables 1 and 2, 50 rpm is input as the first-stage change rotational speed. Can be saved.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초기 구동하게 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 저장받은 상기 구동모터의 초기 회전수에 따라 상기 구동제어부 및 본체부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드론의 구동모터는 3000rpm으로 회전하면서 1m 높이에서 자동 호퍼링 기능을 통해 고도 유지하면서 대기상태에 있게 되고, 외부 음향 장치를 통해, 남녀노소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학교종이 땡땡땡'이 음원으로 출력되면, 상기 소리 취득부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음원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음원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계 취득부로 출력하게 된다.When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itially driv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 is controlled through the driving control unit and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initial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 input and stored by the user, so that the drone driving motor rotates at 3000 rpm. When the altitude is maintained through the automatic hopper function at a height of 1 m and is in a standby state, and when an external sound device outputs 'school paper ding ding', which is widely known to men and women, the sound acquiring unit receives a sound source through a microphone. It receives the input, converts the input sound sour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scale acquisition unit.

상기 소리 취득부로부터 입력받은 '학교종이 땡땡땡'의 음원에 대한 전기적 신호에서 각 음계에 해당되는 주파수를 통해, 표 1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 솔 라 라 솔 솔 미 솔 솔 미 미 레'라는 각 음계를 추출하게 되며, 상기 음계 취득부에서 추출한 상기 각 음계를 입력받은 상기 구동제어부는, 첫 음계 '솔'을 상기 구동모터의 초기 회전수 3000rpm에 대응시키고, '솔 솔' 음계 다음의 음계 '라'에는 1단계 음계 상승이 있으므로 1단계 변화된 회전수, 즉, 50rpm 증가시킨 3050rpm의 회전수를 대응시키며 해당 회전수에 대한 구동제어신호를 상기 본체부로 무선 송신하게 되며, 상기 구동제어부로부터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무선 수신받은 상기 본체부는 상기 구동모터로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여 3050rpm의 회전수로 구동시키게 되며, '솔' 음계로 3000rpm에서 '라' 음계 3050rpm으로 증가된 회전수에 따라 드론은 소정 높이 즉, 1.2m로 상승이동하여 자동 호퍼링기능을 통해 고도를 유지하게 된다. As shown in Table 1 and Table 2, through the frequency corresponding to each scale in the electrical signal for the sound source of the 'school paper clink' received from the sound acquisition unit, 'sol solar la sol sol sol sol mimi Each scale is extracted, and the drive control unit that receives each scale extracted from the scale acquisition unit corresponds to the first scale 'Sol'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motor 3000 rpm, and the 'Sol Sol' scale The following scale 'La' has a first-level scale rise, so it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rotations changed by one step, that is, 30rpm increased by 50rpm, and wirelessly transmits a driving control signal to the main unit to the main unit. The main body, which has received the driving control signal wirelessly from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driving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motor to drive at a rotation speed of 3050 rpm. Depending on the number of revolutions increases, as the 'scale 3050rpm drone is to maintain the height over the automatic hopper ring function to a predetermined height that is, the rising movement to 1.2m.

또한 '솔' 음계에서 '미'음계로 2단계 음계 하강하는 경우에는, 2단계 변화된 회전수, 즉, 100rpm 감소된 2900rpm 회전수를 '미' 음계에 대응시키게 되고, 해당 회전수에 대한 구동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모터로 출력하여 0.6m 높이로 드론을 하강이동시키면서 자동 호퍼링 기능을 통해 고도를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descending the two-step scale from the 'sol' scale to the 'mi' scale, the rotation speed changed by two stages, that is, the 2900rpm rotation speed reduced by 100rpm corresponds to the 'mi' scale, and driving control for the rotation speed By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driving motor, the drone is moved down to a height of 0.6m, and the altitude is maintained through the automatic hopper fun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계구동장치가 구비되는 드론은 각 음계에 대응되는 회전수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 회전수를 제어하여 드론을 승하강 이동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rone equipped with the scale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drone up and down by controlling the operating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motor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corresponding to each sca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설정부를 통해 상기 구동제어부에 상기 구동모터의 최대가능 회전수 및 최저가능 회전수를 미리 설정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높은 음계에 의해 실내에서 드론이 최대가능 회전수 이상으로 구동모터가 회전되면서 최고 높이로 올라 천정에 부딪치거나, 낮은 음계에 의해 최저가능 회전수 이하로 구동모터가 회전되면서 최저 높이로 낮아져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Preferably, by setting and storing the maximum possible rotational speed and the minimum possibl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 in advance through the user setting unit, the drone is driven above the maximum possible rotational speed by a high scale. As the motor rotates, it rises to the highest level and hits the ceiling, or the driving motor rotates below the lowest possible rotational speed due to the low scale to prevent it from falling and falling to the lowest level.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계 구동 장치가 구비되는 드론은, 좁은 실내 공간에서도 충돌이나 추락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드론 비행을 즐길 수 있고, 레버 조종에 익숙하지 못한 어린이 등도 음악의 음계 및, 드론의 상, 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한 음계 활용 코딩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드론을 간편하게 조종할 수 있으며,As described above, the drone equipped with a musical scale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afely enjoy drone flight without the risk of collision or fall even in a narrow indoor space, and even children unfamiliar with lever control can use the musical scale and It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coding using the scale to implement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drone, and can easily control the drone.

또한, 드론 비행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드론을 처음 접하는 초심자도 장시간 드론 비행을 즐길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inducing interest in flying drones, even beginners who are new to drones can enjoy flying drones for a long time.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여러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Although som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and scope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ll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음계 구동 드론1: Scale driven drone

Claims (3)

중앙에 본체부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둘레에는 다수의 지지대가 소정간격을 두고 소정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본체 프레임과; 프로펠러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입렵받아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소정길이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상기 지지대의 돌출 단부에 형성되는 프로펠러 추진부와;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와의 무선신호 송수신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드론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 소리를 입력받는 소리 취득부;
상기 콘트롤러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소리 취득부를 통해 입력받은 외부 소리에서 소정 음원을 추출하며, 추출한 상기 음원에서 다시 각각의 음계를 추출하는 음계 취득부; 및
상기 음계 취득부에서 추출한 각각의 상기 음계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부로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구동제어부로부터 무선 수신한 각각의 상기 음계에 따른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상기 드론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콘트롤러의 내부 또는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제어부를 통해 각각의 상기 음계를 입력받아 외부로 각각의 상기 음계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계 구동 드론.
A body frame provided at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supports are formed around the body portion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ropeller propulsion unit formed at a protruding end of the support which is formed including a propeller and a drive motor that receives the drive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body and rotates the propeller, and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main body; A controller provided outsid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through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main body; In the drone comprising,

A sound acquisi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controller to receive external sound;
A scale acquiring unit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controller to extract a predetermined sound source from external sounds received through the sound acquisition unit, and extracts each scale again from the extracted sound source; And
A drive control unit wirelessly transmitting the drive control signal to the main body unit to control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e motor through each of the scales extracted by the scale acquisition unit; Is formed,

The main body portion control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e motor through the driv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each of the scales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drive control portion to move the drone upward or downward,

It is provided inside the controller or in the body portion,
An audio output unit that receives each of the scales through the drive control unit and outputs each of the scales to the outside; A scale-driven dr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취득부에는, 외부 음원저장장치로부터 음원을 입력받는 외부음원장치 연결포트가 구비되며,
상기 음계 취득부는 상기 소리 취득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음원에서 각각의 음계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계 구동 드론.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 acquisition unit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sound source device connection port for receiving a sound source from an external sound source storage device,
The scale acquisition unit extracts each scale from the sound source input through the sound acquisition unit.
삭제delete
KR1020180091700A 2018-08-07 2018-08-07 The Drone controlled by scale Active KR1020988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700A KR102098890B1 (en) 2018-08-07 2018-08-07 The Drone controlled by sca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700A KR102098890B1 (en) 2018-08-07 2018-08-07 The Drone controlled by sca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510A KR20200016510A (en) 2020-02-17
KR102098890B1 true KR102098890B1 (en) 2020-04-08

Family

ID=6967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700A Active KR102098890B1 (en) 2018-08-07 2018-08-07 The Drone controlled by sca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89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20036A1 (en) * 2016-01-28 2017-08-03 Qualcomm Incorporated Drone flight contr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20036A1 (en) * 2016-01-28 2017-08-03 Qualcomm Incorporated Drone flight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510A (en) 202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8258B2 (en) Reverse propulsion aerial gaming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10535195B2 (en) Virtual reality system with drone integration
EP2712662B1 (en) Altitude control of an indoor flying toy
CN109720553A (en) A kind of fixed-wing unmanned plane, control method and medium with VTOL function
KR20180030826A (en) Control normalization for unmanned autonomous systems
CN102227903A (en) Device for piloting drone
Juniper The Complete Guide to Drones Extended 2nd Edition
JP2019164576A (en) Voice transmission system
KR102098890B1 (en) The Drone controlled by scale
EP3269639B1 (en) Aircraft and roll method thereof
Diaz Lights, drone... action
WO2022040929A1 (en) Flight control method, control apparatus, unmanned aerial vehicle, flight control system, and storage medium
US20190166420A1 (en) Uas surveillance and communication package
JP2015521450A (en) Drive system using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564428B (en) Moving object operating system, operation signal transmitting system, moving object operat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210084949A (en) Drone Controller Binding System for Virtual Drone Training Simulator and Method Thereof
US20160198702A1 (en) Flying duck decoy
CN112230673A (en) UAV and UAV take-off method
CN201394361Y (en) Model helicopter capable of simulating shooting
KR102266109B1 (en) Drone Control method of Drone Manufacture Kit
CN211561836U (en) Warship type toy aircraft
US11016483B2 (en) Drone with training mode
TWI786978B (en) System for controlling powerless fixed-wing airplane
CN205644278U (en) High system is decided to four miniature rotors under no GPS
CN109343431A (en) Toy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12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