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8829B1 - 고방열 탄소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방열 탄소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829B1
KR102098829B1 KR1020180046003A KR20180046003A KR102098829B1 KR 102098829 B1 KR102098829 B1 KR 102098829B1 KR 1020180046003 A KR1020180046003 A KR 1020180046003A KR 20180046003 A KR20180046003 A KR 20180046003A KR 102098829 B1 KR102098829 B1 KR 102098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resin
weight
thermal conductor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2354A (ko
Inventor
최윤성
김태헌
진상범
Original Assignee
나노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노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노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6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829B1/ko
Publication of KR20190122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8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32B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comprising carbon, e.g. graphite, composite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05K7/20481Sheet interfac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mposition exhibiting specific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2Conduct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방열 탄소시트는 점착층 내에 존재하는 섬유상 열전도체를 점착층의 두께방향으로 배향시킴으로써 섬유상 열전도체가 열발생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일종의 채널 역할을 수행하여 발열부품의 열을 효과적으로 점착층 상부로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고분자 내에서 분산성이 떨어지는 섬유상 열전도체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하나 이상의 분산보조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점착층 내부의 섬유상 열전도체를 고르게 분산시키고 배향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방열 탄소시트는 상기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부품 및 소자의 수명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소비자가 모바일 기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느낄 수 있는 발열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기존의 단순 적층이나 그래핀을 이용한 기술에 비해 공정비용 및 양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고방열 탄소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A carbon seat having high heat-radiation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방열 탄소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방열 탄소시트를 제조함에 있어서 점착층 내에 섬유상 열전도체 및 필러를 분산시키고, 이 중 섬유상 열전도체를 점착층의 두께방향으로 배향시킴으로써 열발생부의 열을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고방열 탄소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전기·전자 분야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자 기기는 경량화, 박형화, 소형화, 다기능화가 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소자가 고집적화 될수록 더욱 많은 열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방출열은 소자의 기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주변 소자의 오작동, 기판 열화 등의 원인이 되고 있어 방출 열을 제어하는 기술에 대해 많은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고 방열 회로 기판 소재는 베이스 금속기판의 열전도성을 이용할 수 있어 파워 디바이스나 LED 모듈 등 고 전력이 소모되고 열이 많이 발생되는 부품의 제작에 유리하여 연구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예를 들어 LED는 약85%가 손실로 전환되며 고온의 방출 열로 인해 접합부의 온도가 계속 증가함으로서 LED 반도체의 수명저하를 일으킨다. 오작동이 일어나는 평균시간은 소자 작용 온도가 10℃ 상승할 때 수명은 2배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서 high power LED의 경우 고방열 기판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 방열 소재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방열 재료의 소재 성분을 살펴보면 탄소재료나 세라믹 소재 같은 고열전도성 필러 소재와 고분자 소재가 혼합된 복합 소재가 대부분이다. 그 중에 열전도성의 무기 입자 필러로서 사용되는 물질은 그래파이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과 같은 카본계 소재, 은 및 구리 등의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금속 물질과, 알루미나, 실리카, 질화알루미늄 및 질화붕소 등의 전기 절연성의 물질로 대별된다. 그러나 단순히 무기입자 필러를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내에 분산시키는 것만으로는 전자부품 및 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충분히 방출시키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방열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고열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는데, 예를 들어, 열전도 시트의 두께 방향에 고열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한 시도로써,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0-195998호에는 탄소섬유를 실리콘고무의 두께 방향에 배향하게 하는 것으로, 시트의 두께 방향에 고열전도성의 이방성 열전도율을 가지는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시트를 제조하면, 통상의 제법으로 얻어지는 시트보다도 두께 방향에 고열전도성을 가지는 시트를 얻을 수 있으나, 탄소섬유를 두께 방향에 고밀도로 충진할 경우, 시트의 표면 경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발열부품과 방열 부재와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열저항이 증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등록 제3345986호 공보에서는 고분자 필름을 2,400℃ 이상의 고온의 열처리로 얻어지는 그래파이트 필름의 적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그래파이트 블록을 그래파이트 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얇게 절단함으로써, 두께 방향으로 고열전도성을 가지는 그래파이트 시트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지는 물질은 시트형태보다는 오히려 플레이트라고 할 정도로 고경도의 방열부재로서, 발열체와 방열부재와의 계면에서의 열저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0-195998호 (2000년 07월 14일) 일본 등록특허 제3345986호 (1995년 04월 2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방열 탄소시트를 제조함에 있어서 점착층 내에 섬유상 열전도체 및 필러를 분산시키고, 이 중 섬유상 열전도체를 점착층의 두께방향으로 배향시킴으로써 열발생부의 열을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고방열 탄소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점착층 내에 위치하는 섬유상 열전도체 및 필러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산보조제를 더 첨가한 고방열 탄소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계면제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베이스 필름층; 상기 베이스 필름층의 일면에 적층되어 상기 베이스 필름층을 지지하는 그래파이트 시트층; 상기 그래파이트 시트층의 일면에 적층되어 발열체와 점착할 수 있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적층되어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는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고방열 탄소시트로, 상기 점착층은 베이스 수지, 섬유상 열전도체, 필러 및 분산보조제를 포함하되,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가 점착층의 두께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열 탄소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는 0.1 내지 5㎛의 굵기를 갖는 탄소섬유이며, 상기 필러는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그래파이트, 풀러렌, 산화알루미늄, 산화구리, 산화은, 산화금, 산화팔라듐, 산화백금, 산화니켈 및 산화이트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러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이트늄이 60 내지 80 : 20 내지 40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산보조제는 폴리알릴아민 유도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수지는 폴리디메틸실록산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레이트 수지, 유기폴리실록산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불화탄소 수지, 벤조시클로부텐 수지, 불화 폴리알릴에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도아미드 수지,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수지, 페놀 레졸 수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비스말레이미드 트리아진 수지 및 플루오로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착층은 베이스 수지 50 내지 75 중량%, 섬유상 열전도체 10 내지 30 중량%, 필러 10 내지 30 중량% 및 분산보조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a) 베이스 수지, 섬유상 열전도체, 필러 및 분산보조제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베이스 필름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층의 일면에 적층되어 상기 베이스필름층을 지지하는 그래파이트 시트층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그래파이트 시트층의 일면에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층에 이형필름을 합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점착층을 경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열 탄소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d) 단계는 자기장 또는 전기장을 인가하여 점착층 내부의 섬유상 열전도체를 점착층의 두께방향으로 배향하면서 동시에 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성물은 베이스 수지 50 내지 75 중량%, 섬유상 열전도체 10 내지 30 중량%, 필러 10 내지 30 중량% 및 분산보조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방열 탄소시트는 점착층 내에 존재하는 섬유상 열전도체를 점착층의 두께방향으로 배향시킴으로써 섬유상 열전도체가 열발생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일종의 채널 역할을 수행하여 발열부품의 열을 효과적으로 점착층 상부로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고분자 내에서 분산성이 떨어지는 섬유상 열전도체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하나 이상의 분산보조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점착층 내부의 섬유상 열전도체를 고르게 분산시키고 배향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방열 탄소시트는 상기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자동차 내장재, 배터리, 디스플레이 등에 포함되는 전자 부품 및 소자의 수명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소비자가 모바일 기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느낄 수 있는 발열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기존의 단순 적층이나 그래핀을 이용한 기술에 비해 공정비용 및 양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탄소시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구체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방열 탄소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방열 탄소시트는
베이스 필름층;
상기 베이스 필름층의 일면에 적층되어 상기 베이스 필름층을 지지하는 그래파이트 시트층;
상기 그래파이트 시트층의 일면에 적층되어 발열체와 점착할 수 있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적층되어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는 이형필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층은 상기 그래파이트 시트층, 점착층 및 이형필름을 지지하는 베이스 기재층으로, 일정 이상의 경도를 가져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점착층 등을 보호하며, 필요에 따라 그래파이트 시트층으로부터 탈리됨으로써 이형필름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층은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그래파이트 시트층과 점착하는 이형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은 다층으로 적층된 필름모듈에서 일반적으로 최외곽층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는다. 일예로 상기 기재필름의 재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필름,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필름,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필름,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필름 및 아크릴 필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형코팅층은 상기 베이스 필름층의 점착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실리콘계 수지 및 실리콘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이형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측쇄에 비닐기를 가지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은 고무와 같은 성질을 가지는 매우 유연한 고분자로 경화반응도 활발히 진행되어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계 경화제는 하나 이상의 실란 화합물 및 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과 반응하여 일정 이상의 점착성 및 강도를 가지는 이형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코팅층은 아크릴계, 에폭시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점착제 성분을 포함하는 점착층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그래파이트 시트층은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일종의 방열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그래파이트는 망상 구조의 탄소 결합체가 다층으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 탄소재로, 약한 반데르발스 힘에 의해 각 층이 서로 결합된 탄소원자의 중첩된 라미네이트 구조(laminated structure)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그래파이트 시트는 말도 및 인장강도, 탄성계수, 휨계수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자유전자와 격자진동에 의해 야기되는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며, 표면적이 높아 전달받은 열을 쉽게 공기 중으로 확산시켜 방열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가격이 저렴하여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다이아몬드나 그래핀 등에 비해 공정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점착층은 열원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열원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상기 그래파이트 시트로 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점착층은 베이스 수지, 섬유상 열전도체, 필러 및 분산보조제를 포함하되,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가 점착층의 두께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구조를 가져, 상기 열전도체가 상기 열원과 상기 그래파이트 시트를 연결하는 일종의 채널로 작용하여 다른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s)에 비해 더욱 우수한 방열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내부에 섬유상 열전도체, 필러 및 분산보조제를 수용하는 수용체로, 상기 점착층을 이루는 기재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연성을 가져 열원과 쉽게 접착이 가능하고 가공성이 우수하며, 내열성이 우수하여 지속된 열을 공급받아도 수지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자체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수지의 예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레이트 수지, 유기폴리실록산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불화탄소 수지, 벤조시클로부텐 수지, 불화 폴리알릴에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도아미드 수지,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수지, 페놀 레졸 수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비스말레이미드 트리아진 수지, 플루오로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중합체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일 수 있으며, 목적하는 최종 특성(예컨대, 점도, 모듈러스 및 탄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경화가능한 열경화성 매트릭스의 적합한 예는, 아크릴레이트 수지, 에폭시 수지 및 폴리디메틸실록산 수지, 또한, 자유라디칼 중합,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 개환 중합, 개환 복분해 중합, 음이온 중합, 양이온 중합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다른 방법을 통해 가교 망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다른 유기 관능성 폴리실록산 수지를 포함한다. 경화불가능한 중합체의 경우, 생선된 열 계면 물질은 제조되는 동안 부품을 함께 유지하고 작업하는 동안 열전달을 제공할 수 있는 겔, 그리스 또는 상변화 물질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분자 매트릭스는 부가 경화 가능한 실리콘 고무 조성물과 같은 폴리실록산 수지일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유기 폴리실록산 성분(예컨대, 분자 당 평균 2개 이상의 규소 결합 알케닐 기를 함유하는 유기 폴리실록산), 가교제로서 작용하는 1 종 이상의 유기 수소 폴리실록산(예컨대, 분자 당 평균 2개 이상의 규소 결합 수소 원자를 함유하는 유기 수소 폴리실록산), 및 히드로실릴화 촉매(예컨대, 루테늄, 로듐, 백금 또는 팔라듐 착물), 및 임의로 1 종 이상의 촉매 억제제(경화 프로파일을 개질하고 보관 수명을 개선하는 데 사용됨) 및 1 종 이상의 접착 촉진제를 포함한다.
고분자 매트릭스는 열 계면 물질의 목적하는 전체 특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제와 배합되는 경우 고분자 매트릭스의 점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반응성 유기 희석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제형물의 점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비반응성 희석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1종 이상의 안료 또는 담체 액제와 혼합된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폭시 수지인 경우 다양한 공지된 강화제, 경화제 및/또는 다른 임의적 시약을 경화 촉매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필러나 섬유상 열전도체를 분산하기 위해 지방산, 생선 오일, 폴리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산,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 등의 분산제를 더 첨가하여도 무방하며,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부티랄, 왁스 등의 바인더가 혼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 중 50 내지 75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0 중량% 미만 첨가되는 경우 기재의 함량이 작아 점착층을 제대로 형성하기 어려우며, 75 중량% 초과 첨가되는 경우 다른 성분의 함량이 줄어들어 열전도성이 크게 하락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는 상기 열원으로부터 전도된 열을 상기 그래파이트 시트층이나 외부로 빠르게 전달하기 위한 채널로, 탄소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는 열원과 그래파이트 시트층을 직접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점착층의 두께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의 배향은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의 도전성을 이용한 것으로, 상기 점착층을 이루는 베이스 수지의 경화 전에 상기 점착층의 두께 방향으로 대전(帶電)하여 점착층 내에서 섬유상 열전도체의 정렬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는 공정상, 비용상의 용이함을 위해 탄소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탄소섬유의 열전도율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길이 방향에서의 열전도율은 400W/m·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W/m·이상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는 굵기(섬도)를 한정하는 것이 좋다. 굵기가 너무 가늘거나 너무 굵을 경우 점착층 내에서 배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의 굵기는 0.1 내지 5㎛,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인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섬유상 열전도체의 경직성이 떨어져 점착층 내에서 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경직성이 과도하여 대전에도 섬유상 열전도체가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는 마그네틱 잉크 등으로 도핑하여 자성 및 열전도성을 더욱 높일 수도 있다. 이는 섬유상 열전도체를 UV 마크네틱 잉크 등의 자성을 가진 물질이 채워진 용기를 통과시키는 함침공정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의 분산성 및 유동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상기 점착층에 포함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한 표면처리를 진행할 수도 있다. 탄소섬유는 분자의 배향성이 우수하고 완벽한 물성과 구조를 갖고 있으나, 응집현상으로 인해 고분자와 혼합할 경우 자기들끼리 뭉쳐지는 경향을 보이며, 섬유 표면의 낮은 활성도와 평활성으로 인해 베이스 수지와의 계면 결합력이 떨어지므로, 대전하여도 고분자 내에서 움직임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고 열원의 전 영역에서 안정적인 열전도가 이루어지도록 표면처리를 통해 분산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의 표면처리는 황산, 질산 등의 산을 이용한 산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황산과 질산이 1 내지 5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산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처리 시간은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나, 10 내지 100분 정도 진행하는 것이 좋으며, 용액에 초음파 처리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 분산성 유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처리가 끝난 후에는 메탄올 등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동결건조하는 것이 좋다.
또는 섬유상 열전도체의 표면처리로 사이징(sizing) 처리를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사이징 처리는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의 젖음성을 높여 고분자 내에서의 혼화성 및 유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실란계, 설파이드계, 이미드계 계면결합제를 이용하여 표면에 일종의 코팅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이징 조성물과 이들의 처리방법의 예로는 US 5298576(스미다(Sumida) 외,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 1994) 및 US 5589055(고바야시(Kobayashi) 외,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 1996)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의 첨가량은 전체 점착층 조성물 100 중량% 중 10 내지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0 중량% 미만인 경우 열전도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으며, 30 중량% 초과 첨가하는 경우 점착층의 유동성, 가공성, 점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러는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와 마찬가지로 높은 열전도성을 가져 열원으로부터 열을 쉽게 전달받아 그래파이트 시트층이나 외부로 방출하며, 이외에도 점착층의 기계적인 물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필러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산화물, 예를 들어 산화알루미늄, 산화구리, 산화은, 산화금, 산화팔라듐, 산화백금, 산화니켈 및 산화이트늄 등이나,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그래파이트, 풀러렌 등과 같은 탄소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질 이외에도 건식실리카, 용융 실리카, 석영분말, 비정질 실리카, 질화알루미늄(AlN) 또는 질화붕소(BN) 등의 세라믹 나노입자를 첨가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러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이트늄이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알루미늄은 높은 열전도성과 전기저항 및 기계적강도를 가지고 낮은 유전율로 인해 방열재로 많이 사용되며, 산화이트늄과 혼합 시 이러한 특성이 더욱 증폭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이트늄의 혼합비는 60 내지 80 : 20 내지 40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최적의 열전도성을 보일 수 있으며, 특히 산화이트늄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산화알루미늄의 열전도성 하락에 의한 점착층의 방열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필러의 첨가량은 전체 점착층 조성물 100 중량% 중 10 내지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0 중량% 미만인 경우 열전도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으며, 30 중량% 초과 첨가하는 경우 점착층의 유동성, 가공성, 점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섬유상 열전도체 및 필러로 대표되는 무기물의 분산성 및 그에 따른 방열 특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분산보조제를 더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산보조제는 상기 베이스 수지 내에서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 및 필러의 분산성을 더욱 높이기 위한 것으로, 폴리알릴아민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알릴아민 유도체는 먼저 개시제 및 연쇄 전이 촉매제의 존재 하에 알릴아민을 중합하여 폴리알릴아민을 제조한 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아미드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상기 폴리알릴아민 유도체의 산도는 2.5 내지 50 ㎎·일 수 있으며,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 내지 100,000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산보조제의 첨가량은 전체 점착층 조성물 100 중량% 중 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 미만인 경우 대전 시 섬유상 열전도체의 이동이 미비하여 열전도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으며, 10 중량% 초과 첨가하는 경우 점착층 조성물의 유동성 증가로 성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점착층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성물 제조 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첨가제의 일예로는 가소제, 경화제(가교제), 항산화제, 가교보조제, 경화촉진제, 스코치 지연제, 가공 조제, 커플링제, 자외선 안정제(UV 흡수제 포함), 정전기 방지제, 조핵제, 슬립제, 윤활제, 점도 조절제, 점착부여제, 블로킹 방지제, 계면활성제, 신전유, 제산제, 난연제, 접착 촉진제, 및 금속 비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소제의 예를 들면 비제한적으로, 프탈산 디에스테르("프탈레이트"로도 알려짐), 예컨대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DINP), 디알릴 프탈레이트(DAP),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디옥틸 프탈레이트(DOP) 및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DIDP); 트리멜리테이트, 예컨대 트리메틸트리멜리테이트, n-옥틸 트리멜리테이트, 및 트리-(2-에틸헥실) 트리멜리테이트; 아디페이트계 가소제, 예컨대 비스(2-에틸헥실)아디페이트, 디메틸 아디페이트 및 디옥틸 아디페이트; 세바케이트계 가소제, 예컨대 디부틸세바케이트; 말레에이트, 예컨대 디부틸 말레에이트; 벤조에이트; 설폰아미드, 예컨대 N-에틸 톨루엔 설폰아미드; 오르가노포스페이트; 폴리부텐; 글리콜/폴리에테르, 예컨대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헥사노에이트; 파라핀계 공정 오일, 예컨대 SUNPAR 2280(Sunoco Corp.); 특수 탄화수소 유체, 및 폴리머 개질제; 및 에폭시화 곡물(예를 들면, 대두, 옥수수, 등) 오일과 같은 재생 가능한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된 것(즉, 생화학적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화제의 일예로는 (1) 자유 라디칼 개시제(예를 들면, 유기 퍼옥사이드 또는 아조 화합물), (2) 일반적으로 수분으로 활성화된 실란 작용기(예를 들면, 비닐 알콕시 실란 또는 비닐 알콕시 실란을 갖는 실란 관능성 폴리올레핀), (3) 가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황-함유 경화제, 및/또는 (4) 전자기 방사선(예를 들면, 적외선(IR), 자외선(UV), 가시광선, 감마선, 등)으로 조성물의 가교를 촉진시키기 위한 방사선-경화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코치 지연제의 일예로는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디녹실(TEMPO) 및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디녹실(4-하이드록시 TEMPO)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외선 안정제의 일예로는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HALS) 및 자외선 흡수제(UVA) 첨가제를 포함한다. 대표적인 UVA 첨가제는 벤조트리아졸 타입, 예컨대 Ciba, Inc.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Tinuvin 326 및 Tinuvin 328을 포함한다. HAL과 UVA 첨가제의 블렌드도 효과적이다. 항산화제의 예는 힌더드 페놀, 예컨대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메탄; 비스[(베타-(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메틸카복시에틸)]-설파이드, 4,4'-티오비스(2-메틸-6-tert-부틸페놀), 4,4'-티오비스(2-tert-부틸-5-메틸페놀), 2,2'-티오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 및 티오디에틸렌 비스(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예컨대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및 디-tert-부틸페닐-포스포나이트; 티오 화합물, 예컨대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미리스틸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및 디스테아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다양한 실록산; 중합된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알킬화된 디페닐아민, 4,4'-비스(알파, 알파-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 디페닐-p-페닐렌디아민, 혼합된 디-아릴-p-페닐렌디아민, 및 기타 힌더드 아민 항-분해제 또는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 조제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카복실산의 금속 염, 예컨대 스테아르산아연 또는 스테아르산칼슘; 지방산, 예컨대 스테아르산, 올레산, 또는 에루스산; 지방 아미드, 예컨대 스테아르아미드, 올레아미드, 에루카미드, 또는 N,N'-에틸렌 비스-스테아르아미드; 폴리에틸렌 왁스; 산화된 폴리에틸렌 왁스; 에틸렌 옥사이드의 폴리머;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코폴리머; 식물성 왁스; 석유 왁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실리콘 유체 및 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형필름은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형성되어 점착층을 보호하다 필요에 따라 점착층으로부터 제거되며, 상기 베이스 필름층과 유사하게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점착층 점착하는 이형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재필름과 이형코팅층은 상기 베이스 필름층을 구성하는 기재필름과 이형코팅층을 이루는 성분과 동일 또는 상이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계면제 시트의 제조방법은,
a) 베이스 수지, 섬유상 열전도체, 필러 및 분산보조제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베이스 필름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층의 일면에 적층되어 상기 베이스필름층을 지지하는 그래파이트 시트층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그래파이트 시트층의 일면에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층에 이형필름을 합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점착층을 경화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제조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용융 블렌딩용 배치식 또는 연속식 혼합기에 첨가함으로써 혼합할 수 있다. 이때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섬유상 열전도체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성분을 마스터배치 형태로 제조하여 첨가될 수 있다. 모든 조성물을 혼합기에 첨가한 후 베이스 수지의 용융점 정도의 열을 가해 모든 성분이 혼합되도록 한 후, 압출기를 통해 그래파이트 시트층 표면에 도포하거나, 다음의 가공 단계로 공급하기 위해 펠렛, 필름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조성물의 배합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표준 장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배합 장비의 예는 내부 배치 혼합기, 예컨대 Banbury™ 또는 Bolling™ 내부 혼합기이다. 대안적으로, 연속식 단축, 또는 2축, 혼합기, 예컨대 Farrel™ 연속식 혼합기, Werner and Pfleiderer™ 2축 혼합기, 또는 Buss™ 혼련 연속식 압출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용된 혼합기의 유형, 및 혼합기의 작동 조건은 조성물의 특성, 예컨대 점도, 용적 저항률, 및 압출된 표면 평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 필름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층의 일면에 적층된 그래파이트 시트층을 준비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층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면에 점착층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를 상기 그래파이트 시트층과 접착하여 두 층이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래파이트 시트층의 일면에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콤마코팅, 슬롯다이 코팅, 실크 스크린 등과 같은 방법으로 점도가 어느 정도 있는 도포액을 코팅할 때 사용되는 일반적인 코팅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포가 끝난 점착층 조성물은 경화가 되기 전에 이형필름을 합지하여 고방열 탄소시트의 형태를 확정한다. 그리고 점착층 조성물 내부에 존재하는 섬유상 열전도체를 점착층의 두께방향으로 배향하기 위해 자기장 또는 전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도 1을 통해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섬유상 열전도체(110)와 필러(120)가 혼합된 점착층(100)은 코터에 의해 도포되어 넓게 펴지므로 내부의 섬유상 열전도체가 단면을 기준으로 두께 방향이 아닌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게 된다. 그러나 섬유상 열전도체는 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열전달이 용이하므로 이런 구조를 갖는 경우 면 방향으로는 열전도율이 우수하나 두께 방향으로의 열전도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전도성 물질인 섬유상 열전도체에 전력(電力)을 가하여 섬유상 열전도체를 수평 방향에서 두께 방향으로 재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양극과 음극(200) 사이에 점착층(100)을 포함하는 고방열 탄소시트를 위치시킨 후, 전원(300)을 통해 전압을 인가하여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자기장을 형성시킨다. 이를 통해 아직 경화되지 않은 점착층 내의 섬유상 열전도체(110)가 전자기장을 따라 두께 방향으로 배열되게 되며, 점착층의 두께 방향 열전도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에너지밀도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0.1 내지 20 T(tesla),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T인 것이 좋다. 에너지밀도가 0.1T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가 충분히 배향되지 않으며, 20T 초과인 경우 배향에 필요한 에너지밀도보다 월등히 높은 에너지를 가하게 되는 것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점착층 조성물은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의 배향과 동시에 경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화 방법은 상기 점착층 조성물을 이루고 있는 베이스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경화, 열경화, 용매 증발 등의 경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방열 탄소시트는 발열 전기 제품에 적용할 경우, 점착층의 두께방향 열전도율이 다른 고방열 탄소시트에 비해 월등히 높아 열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쉽게 시트 두께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키지, 각종 반도체, 자동차 관련제품, 배터리 방열재 등에 포함되는 반도체 소자 및 전자부품 등에서 발생하는 열을 쉽게 제거하고, 발열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하여 최종 제품의 장기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고방열 탄소시트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열전도율)
LFA 457 마이크로플래쉬 측정장비(네취사, 독일)를 이용하여 두께방향 열전도율을 측정하였다.
(온도하강폭)
발열체에 시편을 부착하고 비접촉식 온도계로 온도를 측정한 후, 30분 뒤에 동일 온도계로 온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베이스 수지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직경 2㎛의 탄소섬유, 필러로 산화구리(CuO), 분산보조제로 폴리알릴아민 유도체(Mw : 10,000)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점착층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이때 조성비는 베이스 수지 65 중량%, 탄소섬유 15 중량%, 필러 15 중량%, 분산보조제 5 중량%이었다.
완성된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이형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요철 그래파이트 방열종이 표면에 30㎛ 두께로 도포하고 그 위에 다시 이형 필름을 합지하였다. 그리고 합지된 시트를 에너지 밀도 12T로 인가된 자기장 인가 장치를 통과시킨 후, UV 경화작업을 진행하여 고방열 탄소시트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점착층 조성물 제조 시 필러로 산화구리를 대체하여 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고방열 탄소시트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점착층 조성물 제조 시 필러로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이트늄이 70 : 3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고방열 탄소시트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점착층 조성물 제조 시 베이스 수지의 함량을 45 중량%, 필러의 함량을 35 중량%로 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고방열 탄소시트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점착층 조성물 제조 시 베이스 수지의 함량을 58 중량%, 분산보조제의 함량을 12 중량%로 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트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점착층 조성물 제조 시 자기장 인가 공정을 거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점착층 조성물 제조 시 분산보조제를 첨가하지 않고 베이스 수지를 70 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Figure 112018039475898-pat00001
상기 표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방열 탄소시트는 우수한 열전도율 및 온도 하강폭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필러로 산화구리를 대신하여 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한 실시예 2,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이트늄을 혼합한 것을 사용한 실시예 3은 더욱 우수한 열확산 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에 반해 필러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은 실시예 4는 일정 이상의 열확산 효과는 보이고 있으나, 필러의 과다 첨가로 인해 점착층과 열원과의 점착 상태가 불량하여 실시예 3 이상의 열확산 효과는 나오지 않고 있으며, 분산보조제의 함량이 증가한 실시예 5 또한 점착층의 유동성 증가로 열원과의 점착 상태가 불량하여 열확산 효과가 실시예 3에 비해 하락한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점착층
110 : 섬유상 열전도체
120 : 필러
200 : 전극(양극, 음극)
300 : 전원

Claims (10)

  1. 베이스 필름층;
    상기 베이스 필름층의 일면에 적층되어 상기 베이스 필름층을 지지하는 그래파이트 시트층;
    상기 그래파이트 시트층의 일면에 적층되어 발열체와 점착할 수 있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의 일면에 적층되어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는 이형필름;
    을 포함하는 고방열 탄소시트로, 상기 점착층은,
    베이스 수지 50 내지 75 중량%, 황산과 질산이 1 내지 5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산으로 표면 처리한 섬유상 열전도체 10 내지 30 중량%,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이트늄이 60 내지 80 : 20 내지 40 중량비로 혼합된 필러 10 내지 30 중량% 및 폴리알릴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분산보조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가 점착층의 두께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열 탄소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 열전도체는 0.1 내지 5㎛의 굵기를 갖는 탄소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열 탄소시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수지는 폴리디메틸실록산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레이트 수지, 유기폴리실록산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불화탄소 수지, 벤조시클로부텐 수지, 불화 폴리알릴에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도아미드 수지,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수지, 페놀 레졸 수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비스말레이미드 트리아진 수지 및 플루오로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열 탄소시트.
  7. 삭제
  8. a) 베이스 수지 50 내지 75 중량%, 황산과 질산이 1 내지 5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산으로 표면 처리한 섬유상 열전도체 10 내지 30 중량%,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이트늄이 60 내지 80 : 20 내지 40 중량비로 혼합된 필러 10 내지 30 중량% 및 폴리알릴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분산보조제 1 내지 10 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베이스 필름층과 상기 베이스 필름층의 일면에 적층되어 상기 베이스필름층을 지지하는 그래파이트 시트층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그래파이트 시트층의 일면에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층에 이형필름을 합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점착층을 경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열 탄소시트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자기장 또는 전기장을 인가하여 점착층 내부의 섬유상 열전도체를 점착층의 두께방향으로 배향하면서 동시에 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열 탄소시트의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180046003A 2018-04-20 2018-04-20 고방열 탄소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2098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03A KR102098829B1 (ko) 2018-04-20 2018-04-20 고방열 탄소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03A KR102098829B1 (ko) 2018-04-20 2018-04-20 고방열 탄소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354A KR20190122354A (ko) 2019-10-30
KR102098829B1 true KR102098829B1 (ko) 2020-04-09

Family

ID=6846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003A Active KR102098829B1 (ko) 2018-04-20 2018-04-20 고방열 탄소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8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07370B (zh) * 2020-07-27 2024-12-06 杜邦电子公司 用于电子设备的散热器
KR102516308B1 (ko) 2020-12-30 2023-03-3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3d 탄소 네트워크 기반의 열전도성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3d 탄소 네트워크 기반의 열전도성 시트
KR102582801B1 (ko) * 2021-06-18 2023-09-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 나노 튜브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 조성물
KR102582821B1 (ko) * 2021-06-18 2023-09-2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 소재를 이용한 방열 코팅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722204B1 (ko) * 2022-05-11 2024-10-25 (주)테라시스 바인더가 코팅된 팽창 흑연 및 질화 붕소를 포함하는 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109568B (zh) * 2022-06-07 2023-04-28 牛墨石墨烯应用科技有限公司 新能源汽车锂电池用石墨烯加/散热复合材料及制备方法
KR102744248B1 (ko) * 2022-06-17 2024-12-18 (주)테라시스 방열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50042942A (ko) * 2023-09-21 2025-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부재, 방열 부재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7467333A (zh) * 2023-11-28 2024-01-30 济南市雋瀚电子材料有限公司 高导热耐击穿电压线路板材料、线路板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6672A (ja) * 2000-11-06 2002-05-22 Polymatech Co Ltd 熱伝導性充填剤及び熱伝導性接着剤並びに半導体装置
KR100363054B1 (ko) 1995-01-19 2003-02-05 후지 덴키 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장치
JP2003200437A (ja) 2002-01-09 2003-07-15 Polymatech Co Ltd 熱伝導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7203143A (ja) * 2016-05-13 2017-11-16 味の素株式会社 ポリアリルアミン誘導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5986B2 (ja) 1993-10-15 2002-11-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グラファイト熱伝導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ールドプレート
JP2000195998A (ja) 1998-12-28 2000-07-14 Polymatech Co Ltd 熱伝導性シ―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半導体装置
DE102005040156A1 (de) * 2005-08-25 2007-03-01 Degussa Ag Stabilisiertes Aluminium-Zirkon-Mischoxidpulver
KR101075265B1 (ko) * 2009-04-24 2011-10-19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섬유를 함유한 열전도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점착 시트
KR20110126998A (ko) * 2010-05-18 2011-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Cnt 조성물, cnt 막구조체, 액정표시장치, cnt 막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68492B1 (ko) * 2012-12-11 2020-01-2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열확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054B1 (ko) 1995-01-19 2003-02-05 후지 덴키 가부시끼가이샤 반도체장치
JP2002146672A (ja) * 2000-11-06 2002-05-22 Polymatech Co Ltd 熱伝導性充填剤及び熱伝導性接着剤並びに半導体装置
JP2003200437A (ja) 2002-01-09 2003-07-15 Polymatech Co Ltd 熱伝導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7203143A (ja) * 2016-05-13 2017-11-16 味の素株式会社 ポリアリルアミン誘導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354A (ko)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829B1 (ko) 고방열 탄소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EP3138881B1 (en)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and thermally conductive molded object
KR101488029B1 (ko) 열 전도성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56371B1 (ko) 절연 성능이 보강된 방열 실리콘 시트
JP5390202B2 (ja) 放熱構造体
CN111492474B (zh) 绝缘散热片
TWI801501B (zh) 導熱性片
EP3878911A1 (en)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ion, thermally conductive member, method for producing thermally conductive member, heat dissipation structure, heat generating composite member, and heat dissipating composite member
KR20160013270A (ko) 열전도성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
CN108495897A (zh) 热传导性树脂成型品
CN111615539B (zh) 导热性湿气固化型树脂组合物及其固化物
TWI543312B (zh) Method for manufacturing parts for laminated bodies and power semiconductor modules
CN117203284A (zh) 固化性聚有机硅氧烷组合物、导热性构件以及散热结构体
KR20200021916A (ko) 열전도성 시트
JP2002138205A (ja) 熱伝導性成形体
JP6987210B2 (ja) 熱伝導性シート
KR101413065B1 (ko) 열전도성 액상 실리콘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Xu et al. Effect of the alumina micro-particle sizes on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dynamic mechanical property of epoxy resin
JP2003183498A (ja) 熱伝導性シート
CN107399115B (zh) 导热性复合片材
KR102075360B1 (ko) 열확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727975B1 (ko) Led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열전도성 접착소재 기술개발
KR20200094298A (ko) 절연기능과 방열기능을 갖는 방열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열 모듈
JP2002003717A (ja) 熱伝導性シート
WO2015190930A1 (en) Thermal conductive high modules organic polymeric fi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