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8505B1 - 측정점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측정점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505B1
KR102098505B1 KR1020180152535A KR20180152535A KR102098505B1 KR 102098505 B1 KR102098505 B1 KR 102098505B1 KR 1020180152535 A KR1020180152535 A KR 1020180152535A KR 20180152535 A KR20180152535 A KR 20180152535A KR 102098505 B1 KR102098505 B1 KR 102098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extension
measurement
angle
display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갑규
임성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52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5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46Optical arrangements having multiple detectors for performing different types of detection, e.g. using radiometry and reflectometry cha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10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for spectrometry or colorimetry
    • G01J3/108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for spectrometry or colorimetry for measurement in the infrared r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에 거치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교차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측정수단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이 형성되는 측정판부;를 포함하는 측정점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측정점 검사장치{TEST APPARATUS FOR MEASUREMENT POINT}
본 발명은 측정장치의 측정점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측정점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냉연공정에서 강판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복사온도계(Radiation Pyromrter)를 이용하며, '모든 물체는 절대온도 0K 이상에서 에너지를 방출한다'는 법칙을 근거로 그 에너지를 센서로 측정한다.
그러나 물체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는 물체가 가진 에너지의 100%가 아닌 경우가 많아서 흑체로의 방출에너지를 100으로 하여 물체의 방출에너지를 비교한 복사율(Emissivity)로 온도를 보정한다.
그러나 같은 온도의 물체이더라도 물체의 재질이나 표면의 상태 혹은 주위 환경에 따라 복사율이 달라져 측정되는 온도도 각각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냉연공정에서도 강판과 복사온도계의 각도가 수직인 일반적인 측정방법으로는 상기의 복합적인 어려움이 있어서 흑체로의 조건으로 강판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고안 되었는데 그 방식이 LMR(Low angle Multi-Reflection) 방식이다.
도 1a 및, 도 1b에는 LMR 방식의 측온지점과 측온각도의 제한범위를 도시하였고, 도 2에는 소둔로에 LMR 방식의 복사온도계의 설치방법을 도시하였다.
도 1a를 참조하면, LMR 방식은 롤과 강판 사이에서 일어나는 다중반사를 이용하는데 롤과 강판의 접점에서 '롤의 반지름(R)의 0.22 ~ 0.44배(0.22 ~ 0.44R) 떨어진 범위의 부분이 흑체로의 조건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래의 복사온도계 설치 방법으로 롤의 직상부에 수직으로 설치하거나 소둔로의 시작부분 혹은 끝부분에 강판의 면과 수직으로 설치되던 것을 소둔로의 측면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으며 간혹 터널부에서 소둔로 상부에 설치하기도 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LMR 방식은 강판의 표면과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의 각도(θL)는 5 ~ 7 도(°), 진행방향으로의 강판의 표면과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의 각도(θH)는 0 ~ 60 도(°) 이내로 제한되고 있다.
이처럼 LMR 방식으로 강판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까다로운 설치 조건이 있는데, 장기간 사용에 따른 구조물 체결 볼트의 풀림이나 복사온도계의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인 해체와 조립에 따른 냉각 케이스의 불안정 등으로 흑체로 조건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흑체로 조건의 범위를 벗어났다고 의심이 되거나 해체와 조립 이후에 흑체로 조건의 측정점을 확인 후 수정하기도 한다.
종래의 경우, 측정점의 확인은 복사온도계에 레이저 조사 장치의 구비 여부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실시되고 있었다.
종래에 복사온도계에 레이저 조사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온점을 확인하였다.
먼저, 소둔로 내부에서 전등으로 빛을 비추고 소둔로 외부에서 복사온도계를 들여다 보면 사진기와 같이 물체가 보이는데 이 때 롤과 강판을 제거한 허공이 일정 비율로 보이고 있으면 된다고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복사온도계를 들여다 보는 사람에 따라 롤과 허공의 보이는 비율이 달라져서 측온점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방법으로, 복사온도계에 레이저 조사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측온점을 확인하는 방법인데, 강판이 롤을 지나는 경로를 따라서 종이 타올, 안전 펜스용 테이프 등을 감고 강판과 롤의 접촉점에 시험지를 끼워 복사온도계에서 비춰지는 레이저의 위치를 확인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소둔로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롤간 거리가 20m가 넘어서 종이 타올, 안전 펜스용 테이프를 감기에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강판과 같이 강도가 없어서 팽팽히 당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시험지가 롤과 수직으로 접촉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측온점을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 통판용 로프가 감겨 있는 경우에 이용하기도 하지만 소둔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공기 소용돌이에 의해 흔들거림이 있고 롤과 강판의 접점을 찾기 어려운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또, 소둔로 내부에는 조명시설이 없어서 랜턴을 휴대하고 작업하므로 불편하며 질소나 수소를 차단하고 작업을 하고 있으나 밀폐공간 자체의 부담감과 유해물질 유입에 대한 불안감을 안고 작업을 해야 한다는 점에서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LMR 방식 복사온도계의 측정점에 신뢰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측정한 온도가 복사율 보정에 좌우되는 수직방식에 비해 우수하다고 할 이유가 없게 된다.
KR 10-2012-0073504 A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간이한 방식에 의해 복사온도계의 측정점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측정점 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복사온도계의 측정점 측정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을 저감시킨 측정점 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롤에 거치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교차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측정수단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이 형성되는 측정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판부는,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의 위치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점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안착부는, 상기 연장부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지점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롤에 거치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교차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측정수단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이 형성되는 측정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안착부에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연장본체; 및, 상기 연장본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측정판부가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라인;을 구비하는 측정점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롤에 거치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교차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측정수단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이 형성되는 측정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판부는,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정본체; 상기 측정본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측정판이 형성된 이동본체; 및, 상기 이동본체를 상기 측정본체 상에서 이동시키는 이동조절부재;를 구비하는 측정점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측정본체는, 상기 측정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이동본체가 이동하는 이동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동본체는, 상기 측정본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이동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선형기어; 및, 상기 선형기어에 고정되고, 상기 측정수단인 복사온도계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동조절부재는, 상기 측정본체에 설치되는 조절핸들부재; 및, 상기 조절핸들부재의 일측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선형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조절핸들부재의 회전을 매개로 상기 선형기어를 상기 측정본체 상에서 이동시키는 원형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롤에 거치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교차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측정수단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이 형성되는 측정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판부는, 상기 연장부의 연장본체와 상기 측정판부의 측정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연장부에 상기 측정판부를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연장본체와 상기 측정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2 고정부재와 함께 상기 측정판부를 상기 연장부에 겹쳐지도록 고정하는 제3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측정점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롤에 거치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교차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측정수단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이 형성되는 측정판부; 및, 상기 연장부와 상기 측정판부의 교차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부와 상기 측정판부의 교차각도를 표시하는 교차측정부;를 포함하는 측정점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롤에 거치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교차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측정수단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이 형성되는 측정판부; 및, 상기 연장부 또는 상기 측정판부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수단인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의 각도를 표시하는 빔각도측정부;를 포함하는 측정점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이한 방식에 의해 복사온도계의 측정점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사온도계의 측정점 측정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LMR 방식의 측온지점과 측온각도의 제한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사전에 계산할 강판의 이동경로의 경사각(θ)와 롤과 강판의 접점위치(X)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소둔로에 LMR 방식의 복사온도계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 2의 '가' 지점에서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2의 '나' 지점에서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도 2의 '다' 지점에서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의 측정판부가 연장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의 안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의 연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의 측정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도 4a의 A-A'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도 4a의 B-B'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의 빔각도측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점 검사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점 검사장치는 안착부(100), 연장부(200) 및, 측정판부(3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가 적용되는 측정수단(T)은 복사온도계로 구성되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둔로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사온도계를 롤(U)의 폭을 벗어난 영역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측정점 검사장치는 롤(U)에 거치되는 안착부(100)와, 상기 안착부(100)와 교차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00) 및, 상기 연장부(200)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측정수단(T)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333)이 형성되는 측정판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안착부(1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롤(U)에 걸쳐서 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안착부(100)는 소둔로에서 강판(S)을 이송시키는 2개의 롤(U)에 거치될 수 있다.
안착부(100)는 적어도 2 개의 롤(U)에 거치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바(bar) 형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부(100)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길이가 긴 직사각형 링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안착부(100)의 내부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중공라인(1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연장부(200)는 안착부(100)와 교차되도록 설치되어, 안착부(100)가 롤(U)에 거치된 상태에서 안착부(100)와 교차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연장부(200)는 안착부(100)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측정판부(300)는 상기 연장부(200)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측정수단(T)의 측정점이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측정판(333)에는 측정수단(T)인 복사온도계의 측정점이 표시될 수 있다.
측정판부(300)는 연장부(200)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복사온도계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333)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안착부(100)는 연장부(200)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지점(110)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연장부(200)는, 상기 안착부(100)에 이격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지점(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장부(200)는 제1 고정부재(250)를 매개로 안착부(100)의 복수 개의 결합지점(11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연장부(200)는 롤(U)의 앞쪽인지 뒤쪽인지에 따라 안착부(100)에서 옮기거나, 롤(U)의 크기에 따라 안착부(100)에서 옮겨서 조립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연장부(200)는, 상기 안착부(100)에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연장본체(210) 및, 상기 연장본체(210)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측정판부(300)가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라인(23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연장본체(210)는 안착부(100)에 교차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장본체(210)는 안착부(100)와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100)의 복수 개의 결합지점(110) 중 어느 일측에 제1 고정부재(250)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결합라인(230)은 측정본체(310)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측정판부(300)는 연장부(200)에 제2 고정부재(370)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판부(300)의 일측단부는 연장부(200)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결합라인(2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고정부재(370)로 고정될 수 있다.
측정판부(300)가 연장부(200)에 고정시, 측정판부(300)가 연장부(200)의 결합라인(230) 상에서의 결합되는 위치 및, 연장부(200)의 연장본체(210)와 측정판부(300)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측정판부(300)는, 측정수단(T)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333)의 위치가 조절 가능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측정판부(300)는, 연장부(200)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정본체(310)와, 상기 측정본체(31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측정판(333)이 형성된 이동본체(330) 및, 상기 이동본체(330)를 상기 측정본체(310) 상에서 이동시키는 이동조절부재(3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측정본체(310)는, 상기 측정본체(3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이동본체(330)가 이동하는 이동라인(3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이동본체(330)는, 상기 측정본체(310)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이동라인(311)을 따라 이동하는 선형기어(331) 및, 상기 선형기어(331)에 고정되고, 상기 측정수단(T)인 복사온도계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333)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측정판(333)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어 측정수단(T)의 레이저빔 등의 비치면 도달하는 위치를 바로 알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이동조절부재(350)는, 상기 측정본체(310)에 설치되는 조절핸들부재(351) 및, 상기 조절핸들부재(351)의 일측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선형기어(331)에 치합되고, 상기 조절핸들부재(351)의 회전을 매개로 상기 선형기어(331)를 상기 측정본체(310) 상에서 이동시키는 원형기어(35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선형기어(331)의 후방에는 원형기어(353)가 배치되고, 조절핸들부재(351)가 회전시 원형기어(353)가 회전하면서 선형기어(331)가 이동하고, 선형기어(331)에 일체로 형성된 측정판(333)이 이동할 수 있다.
도 6 및, 도 8b를 참조하면, 측정판(333)의 후방에 형성된 연장본체(210)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어 측정판(333)이 움직인 거리를 바로 알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측정판부(300)는, 상기 연장부(200)의 연장본체(210)와 상기 측정판부(300)의 측정본체(310)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연장부(200)에 상기 측정판부(300)를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고정부재(370) 및, 상기 연장본체(210)와 상기 측정본체(310)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2 고정부재(370)와 함께 상기 측정판부(300)를 상기 연장부(200)에 겹쳐지도록 고정하는 제3 고정부재(39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8a를 참조하면, 측정판부(300)의 일측단부가 안착부(100)의 중공라인(130)에 삽입된 경우, 제3 고정부재(390)는 연장부(200), 안착부(100) 및, 측정판부(30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연장부(200), 안착부(100) 및, 측정판부(300)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370)와 제3 고정부재(390)를 모두 해제시, 측정판부(300)는 연장부(2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연장부(200)와 상기 측정판부(300)의 교차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부(200)와 상기 측정판부(300)의 교차각도를 표시하는 교차측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교차측정부(400)는 연장부(200)와 측정판부(300)의 교차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판부(300)는 측정판(333)이 롤(U)에 의해 이동되는 강판(S)에 평행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강판(S)의 이동경로의 경사각이 θ 일 경우, 연장부(200)와 측정판부(300)가 교차되는 각도는 (90-θ)로 교차측정부(400)의 눈금은 (90-θ)로 표시된다.
즉, 강판(S)의 경사각이 30 도 일 경우, 연장부(200)와 측정판부(300)가 교차되는 각도는 60 도이고, 교차측정부(400)의 눈금은 60 도로 표시된다.
따라서, 강판(S)의 경사각이 30 도 일 경우, 교차측정부(400)의 눈금이 60 도가 되도록 측정판부(300)의 교차각도를 설정하면 측정판부(300)의 측정판(333)은 강판(S)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측정점 검사장치는 연장부(200) 또는 상기 측정판부(300)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수단(T)인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의 각도를 표시하는 빔각도측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빔각도측정부(500)는 안착부(100)와 연장부(200)의 교차영역에서 하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빔각도측정부(500)는 측정판부(3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빔각도측정부(500)는 연장부(200)에서 경사지게 배치된 측정판부(3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빔각도측정부(500)는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표면에는 직각삼각형의 적어도 일측 예각부분(550)에서 시작되는 각도별 표시라인(510)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이 측정판(333)에 닿는 측정점에 빔각도측정부(500)의 각도별 표시라인(510)이 시작되는 예각부분(550)을 배치한다.
즉, 복사온도계에서 발사된 레이저빔이 빔각도측정부(500)를 관통하는 관통지점(530)의 각도별 표시라인(510)을 읽음으로써,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의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의 사용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2는 소둔로에 LMR 방식의 복사온도계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a는 도 2의 '가' 지점에서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2의 '나' 지점에서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3c는 도 2의 '다' 지점에서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여, 도 2의 '가' 지점에서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도 2의 '가' 지점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조립 방법이다.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를 활용한 측정점의 확인방법은 다음과 같다.
조절핸들부재(351)를 돌려 측정판(333)의 아래 끝부분이 롤(U)의 중심부(반지름)의 치수와 일치 하도록 측정본체(310) 뒷부분의 눈금을 보고 맞춘다.
복사온도계에서 레이저빔을 비추어 측정판(333) 눈금을 확인하여 '롤(U)의 반지름(R)의 0.22 ~ 0.44배(0.22 ~ 0.44R) 떨어진 범위 안에 있는지 확인한다.
일례로, 롤(U)의 지름이 800mm이면 측온지점은 400 * (0.22 ~ 0.44) = 88 ~ 176mm 이면 양호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측정판(333)에 비친 레이저빔 위치가 양호하면 측정판부(300)의 측정판(333) 가장자리에 빔각도측정부(500)를 대어 눈금을 기록한다.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를 활용한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의 각도 확인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3a를 참조하면, 빔각도측정부(500)는 안착부(100)와 연장부(200)의 교차영역에서 하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의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빔각도측정부(500)는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표면에는 직각삼각형의 적어도 일측 예각부분(550)에서 시작되는 각도별 표시라인(510)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복사온도계에서 발사된 레이저빔이 빔각도측정부(500)에 찍힌 관통지점(530)을 기준으로 각도별 표시라인(510)을 읽음으로써,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의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빔각도측정부(500)에 레이저빔이 찍힌 관통지점(530)을 통과하는 각도별 표시라인(510)이 이루는 각도가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의 각도이다.
이와 같이, 측정된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의 각도가 강판(S)의 표면과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의 각도(θL)의 제한범위인 5 ~ 7°이내일 경우, 복사온도계의 측정점은 적절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b를 참조하여, 도 2의 '나' 지점에서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b는 도 2의 '나' 지점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조립 방법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빔각도측정부(500)는 안착부(100)와 연장부(200)의 교차영역에서 하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의 좌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를 활용한 측정점의 확인방법과,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의 각도 확인방법은 앞서 설명한 도 2의 '가' 지점에서의 측정방법과 동일하다.
도 2 및, 도 3c를 참조하여, 도 2의 '다' 지점에서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c는 도 2의 '다' 지점 본 발명의 측정점 검사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조립 방법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다' 지점에서는 강판(S)의 이동경로가 수직이거나 수평이 아니므로 측정판(333)을 기울여서 사용한다.
이를 위해, 제3 고정부재(390)는 풀어 내고 제2 고정부재(370)는 살짝 풀어 놓는다.
측정판(333)의 아랫부분이 롤(U)의 하부 수직 중심에 밀착하도록 측정본체(310)를 연장부(200)와 수직이 되게 제2 고정부재(370)를 체결한 후 롤(U)에 표시를 한다.
또, 사전에 계산한 롤(U)과 강판(S)의 접점을 표시한다.
교차측정부(400)를 보며 필요한 각도로 개략 조정하여 측정판(333)의 아랫부분이 접점의 위치에 오도록 맞추고 연장부(200)에 제2 고정부재(370)를 체결시킨다.
도 1c는 사전에 계산할 강판(S)의 이동경로의 경사각(θ)와 롤(U)과 강판(S)의 접점위치(X)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c를 참조하여, 사전에 계산할 강판(S)의 이동경로의 경사각(θ)와 롤(U)과 강판(S)의 접점위치(X)를 설명한다.
롤(U)과 롤(U) 사이 거리는 2200mm, 롤(U) 지름 1200mm라 하면, 강판(S)의 이동경로의 경사각(θ)는 θ = sin-1(롤(U) 반지름 ÷ (롤(U) 사이 거리 ÷ 2)) = sin-1 (600 ÷ (2200 ÷ 2)) = 33.05°이다.
또, 롤(U) 수직점에서 접점까지의 거리(ℓ)는 ℓ = 2πr(강판(S)의 이동경로의 경사각 ÷ 360) = 2πr(33.05 ÷ 360) = 346mm이다.
복사온도계에서 레이저빔을 비추고 측정판(333) 눈금을 확인하여 롤(U)의 반지름(R)의 0.22 ~ 0.44배(0.22 ~ 0.44R) 떨어진 범위 안에 있는지 확인한다.
롤(U)의 지름이 1200mm일 경우 측정점은 600 * (0.22 ~ 0.44) = 132 ~ 264mm이면 양호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측정판(333)에 비친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 위치가 양호하면 빔각도측정부(500)를 측정판(333)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빔각도측정부(500)는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표면에는 직각삼각형의 일측 예각부분(550)에서 시작되는 각도별 표시라인(510)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이 측정판(333)에 닿는 측정점에 빔각도측정부(500)의 각도별 표시라인(510)이 시작되는 예각부분(550)을 배치한다.
즉, 복사온도계에서 발사된 레이저빔이 빔각도측정부(500)를 관통하는 관통지점(530)의 각도별 표시라인(510)을 읽음으로써,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의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빔각도측정부(500)에 레이저빔이 찍힌 관통지점(530)을 통과하는 각도별 표시라인(510)이 이루는 각도가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의 각도이다.
이와 같이, 측정된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의 각도가 강판(S)의 표면과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의 각도(θL)의 제한범위인 5 ~ 7°이내일 경우, 복사온도계의 측정점은 적절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안착부 110: 결합지점
130: 중공라인 200: 연장부
210: 연장본체 230: 결합라인
250: 제1 고정부재 300: 측정판부
310: 측정본체 311: 이동라인
330: 이동본체 331: 선형기어
333: 측정판 350: 이동조절부재
351: 조절핸들부재 353: 원형기어
370: 제2 고정부재 390: 제3 고정부재
400: 교차측정부 500: 빔각도측정부
510: 각도별 표시라인 530: 관통지점
550: 예각부분 S: 강판
T: 측정수단 U: 롤

Claims (11)

  1. 롤에 거치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교차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측정수단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이 형성되는 측정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판부는,
    상기 측정수단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의 위치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점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연장부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지점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점 검사장치.
  3. 롤에 거치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교차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측정수단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이 형성되는 측정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안착부에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연장본체; 및,
    상기 연장본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측정판부가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라인;을 구비하는 측정점 검사장치.
  4. 삭제
  5. 롤에 거치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교차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측정수단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이 형성되는 측정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판부는,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정본체;
    상기 측정본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측정판이 형성된 이동본체; 및,
    상기 이동본체를 상기 측정본체 상에서 이동시키는 이동조절부재;를 구비하는 측정점 검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본체는,
    상기 측정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이동본체가 이동하는 이동라인이 형성되는 측정점 검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본체는,
    상기 측정본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이동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선형기어; 및,
    상기 선형기어에 고정되고, 상기 측정수단인 복사온도계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을 구비하는 측정점 검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조절부재는,
    상기 측정본체에 설치되는 조절핸들부재; 및,
    상기 조절핸들부재의 일측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선형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조절핸들부재의 회전을 매개로 상기 선형기어를 상기 측정본체 상에서 이동시키는 원형기어;를 구비하는 측정점 검사장치.
  9. 롤에 거치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교차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측정수단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이 형성되는 측정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판부는,
    상기 연장부의 연장본체와 상기 측정판부의 측정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연장부에 상기 측정판부를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연장본체와 상기 측정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2 고정부재와 함께 상기 측정판부를 상기 연장부에 겹쳐지도록 고정하는 제3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측정점 검사장치.
  10. 롤에 거치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교차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측정수단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이 형성되는 측정판부; 및,
    상기 연장부와 상기 측정판부의 교차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부와 상기 측정판부의 교차각도를 표시하는 교차측정부;를 포함하는 측정점 검사장치.
  11. 롤에 거치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교차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와 교차되는 각도가 조절되고, 측정수단의 측정점이 표시되는 측정판이 형성되는 측정판부; 및,
    상기 연장부 또는 상기 측정판부에 설치되어 상기 측정수단인 복사온도계의 레이저빔의 각도를 표시하는 빔각도측정부;를 포함하는 측정점 검사장치.
KR1020180152535A 2018-11-30 2018-11-30 측정점 검사장치 Active KR102098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535A KR102098505B1 (ko) 2018-11-30 2018-11-30 측정점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535A KR102098505B1 (ko) 2018-11-30 2018-11-30 측정점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505B1 true KR102098505B1 (ko) 2020-04-07

Family

ID=70290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535A Active KR102098505B1 (ko) 2018-11-30 2018-11-30 측정점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5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2301U (ko) * 1995-03-23 1996-10-24 각도측정기구
KR20120073504A (ko)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포스코 복사온도 측정장치
KR101510036B1 (ko) * 2014-01-06 2015-04-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직형 사류펌프 임펠러 베인의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2301U (ko) * 1995-03-23 1996-10-24 각도측정기구
KR20120073504A (ko)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포스코 복사온도 측정장치
KR101510036B1 (ko) * 2014-01-06 2015-04-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직형 사류펌프 임펠러 베인의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9219B1 (en) Measuring device with housing orientation indicator and position transferring focused light-beam source
US20090135401A1 (en) Optical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the dimension of object using optical device
EP0426287A1 (en) Improved detection and display device
KR102137556B1 (ko) 교량받침 연단거리 측정장치
EP4131315A1 (en) Entrance and exit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power device, and entrance and exit monitoring system including same
KR102098505B1 (ko) 측정점 검사장치
CN109099862A (zh) 建筑工程质量平面度检测装置
JPS5825207B2 (ja) 各々の地点および直線を設定するための装置
US73128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ngular orientation between two surfaces
US6011628A (en) Grade measurement device
KR102010068B1 (ko) 에지부 두께 측정 장치 및 방법
US6415518B1 (en) Apparatus for laying out a building foundation
CN110986780B (zh) 一种孔位偏差检测装置
CN110361067B (zh) 一种液面高度测量装置
CN115218809B (zh) 一种载人深潜器观察窗蠕变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474620A (zh) 水平垂直线检测装置及系统
CN108136460B (zh) 用于测量可运动的物体的方法和测量系统
JP7045041B2 (ja) 位置決め装置
JP2006250834A (ja) 速度測定装置の検定方法、及びその装置
ES2971479T3 (es) Procedimiento e instalación para cortar un formato de chapa
KR200172974Y1 (ko) 포터블 판재 평탄도 측정장치
KR200491947Y1 (ko) 양 방향 레이저 거리 측정기
CN202486335U (zh) 用于集装箱成像的物理模型系统调整系统
CN105300365B (zh) 联络通道开挖定向装置及其定向方法
KR100637695B1 (ko) 배관길이 측정용 타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