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8488B1 - 판재 재단 장치 - Google Patents

판재 재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488B1
KR102098488B1 KR1020180096748A KR20180096748A KR102098488B1 KR 102098488 B1 KR102098488 B1 KR 102098488B1 KR 1020180096748 A KR1020180096748 A KR 1020180096748A KR 20180096748 A KR20180096748 A KR 20180096748A KR 102098488 B1 KR102098488 B1 KR 102098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uide
actuator
rotating
cu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232A (ko
Inventor
김진철
Original Assignee
김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철 filed Critical 김진철
Priority to KR1020180096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4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4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26D1/1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with vertical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006Means for guiding th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의 대각선이 가이드와 나란하게 판재를 정렬한 다음, 가이드 위를 움직임에 따라 커터로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모서리를 자르고, 이어 판재를 직각만큼 회전한 뒤 나머지 두 개의 모서리를 자를 수 있게 구성하므로, 판재를 정해진 규격의 정팔각형 크기로 정확하게 자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모서리를 자를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판재도 모서리를 자를 수 있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판재가 정해진 위치에 오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실질적으로 모서리를 자르는 절단수단을 가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판제 크기에 따라 모서리의 절단 크기를 조절하여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판재 재단 장치{PLATE CORNER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판재 재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를 따라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한 회전판 위에 올려놓은 판재의 대각선이 가이드와 일치하게 위치하게 하여 양쪽 모서리를 자동으로 자른 다음, 회전판을 직각으로 회전시켜 나머지 양쪽 모서리를 자동으로 자를 수 있게 구성하므로, 정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재의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모서리를 한 번에 자동으로 자를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재 모서리는 날카로워 작업할 때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판재의 미감을 높이려고, 아래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같이 모서리를 가공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20112호
유리나 아크릴 및 목재 등과 같은 판재의 모서리를 가공하는 판재용 모서리 면취기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곡률의 면취 가공, 작업성 개선 및 작업능률 향상, 작업 안전성 보장 등을 기대할 수 있는 판재용 모서리 면취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기체 상부의 테이블에 서포터를 고정 설치하고, 서포터에는 승강수단의 핸들을 회전할 때 승하강 조절되는 승강 대판을 설치하고, 승강 대판에 모터를 결합하며, 모터 축에 결합한 면취용 루터(router)를 구동되게 한 판재용 모서리 면취기에서, 상기 테이블에 루터와 직각방향으로 결합하는 다수개의 핀 구멍이 형성된 고정 부재와, 상기 테이블에 안치되며 상기 고정 부재에 형성된 다수개의 핀 구멍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핀이 4 모서리 중 적어도 1개소 이상의 모서리 하부에 조립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354620호
사각 형상의 판재의 모서리를 균일하게 곡면 가공할 수 있는 판재 모서리 곡면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각 형상의 판재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판재 이송부; 상기 판재 이송부에 설치되며, 상기 판재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판재의 우측 모서리들을 곡면 가공하는 제1 곡면 가공부; 상기 판재 이송부 중 상기 제1 곡면 가공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판재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판재의 좌측 모서리들을 곡면 가공하는 제2 곡면 가공부;를 포함한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면취기는 모서리 끝을 작은 크기나 곡면 등으로 가공할 때는 면취 작업을 할 수 있으나, 건축공사나 토목공사에 사용하는 파일(Pile) 끝을 마감할 때 사용하는 파일 캡 등에 사용하는 판재 제작에는 사용하기 어렵다. 여기서, 파일(Pile)은 땅속에 관입 지주로 사용하는 일종의 막대 부재로, 연약 지반 등에 항타기 등으로 지반에 때려 박아서 사용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파일을 말한다.
즉, 파일은 통상 실린더 형상의 중공이면서 양쪽을 개방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항타기로 파일을 타격할 때 파일의 끝 부분이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또한, 지반에 때려 박은 파일 끝을 통해 이물이 들어가거나 작업자가 빠질 우려가 있다. 이에, 지반에 때려 박은 파일 끝에 파일 캡을 씌워서 항타기로 충격을 가할 때 파일이 파손되지 않게 하거나, 이물 등이 파일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파일 캡을 씌워준다.
이러한 종래의 파일 캡은 원형으로 제작하기도 하나, 정팔각형 판재로 제작하기도 한다. 이때, 정팔각형 판재를 제작할 때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판재를 정사각형으로 자른 다음,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모서리를 동시에 자르고 나서 다시 나머지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모서리를 동시에 잘라서 정팔각형 판 형태로 제작해야 한다.
(2) 특히, 이처럼 정사각형 판재의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를 쌍으로 자르는 작업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므로, 판재의 모서리를 재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져서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3) 이때, 정사각형 판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해야 판재를 정팔각형으로 자를 수 있게 되는 데, 사각형 판의 장착 위치가 벗어나면 정팔각형으로 자를 수 없어 제조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
(4) 또한,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를 쌍으로 잘라서 정팔각형으로 자르려면 어느 한쪽 모서리 쌍을 자른 다음 나머지 한쪽 모서리 쌍을 자를 수 있게 직각으로 회전해야 한다. 이때, 직각으로 회전하지 못하거나 직각보다 더 회전하면 정팔각형이 아닌 팔각형으로 자를 우려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20112호 (공개일 : 2011.11.03) 한국등록특허 제1354620호 (등록일 : 2014.01.16)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정사각형 판재의 대각선과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가이드 위에 판재를 정렬한 다음, 가이드 위를 움직임에 따라 커터로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모서리를 자르고, 이어 판재를 직각만큼 회전한 다음 나머지 두 개의 모서리를 자를 수 있게 구성하므로, 판재를 정해진 규격의 정팔각형 크기로 정확하게 자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모서리를 자를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판재 재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판재가 정해진 위치에 오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실질적으로 모서리를 자르는 절단수단을 가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판제 크기에 따라 모서리의 절단 크기를 조절하여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판재 재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로 실린더를 이용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고 신속하게 정해진 작동이 이루어지고,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작하고 편리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판재 재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재단 장치는, 정사각형 판으로 이루어진 판재(B)의 모서리 부분을 잘라서 정팔각형 판으로 제작하는 판재 재단 장치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가이드 안내를 받아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고, 한쪽에 올려놓은 적어도 하나의 판재(B)를 직각으로 회전시켜 주는 이송수단(100); 상기 이송수단(100)의 움직임 방향과 교차하게 움직이고, 한쪽에는 상기 이송수단(100)의 움직임과 교차하게 움직이면서 판재(B)의 대각선이 이송수단(100)의 움직임 방향과 나란하거나 일치하게 위치를 조절하는 고정수단(200); 및 상기 이송수단(100)의 한쪽에 상기 이송수단(10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여 서로 마주하여 움직일 수 있게 설치하되, 상기 이송수단(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판재(B)의 모서리 부분을 잘라내는 두 개의 절단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이송수단(100)은,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제1가이드(110); 제1 액추에이터(121)로 상기 제1가이드(110)를 따라 움직이게 설치한 제1가이드 블록(120); 상기 제1가이드 블록(120)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고, 판재(B)를 올려놓는 회전판(130); 상기 제1가이드 블록(120)에 상기 회전판(130)과 마주하게 설치하여 상기 회전판(130) 위에 올려놓은 판재(B)를 고정해 주는 고정판(140); 및 상기 회전판(130)을 직각으로 회전시켜 주는 회전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150)은, 한쪽이 제1가이드 블록(12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다른 한쪽이 상기 회전판(130)에 이 회전판(130)의 회전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이송수단(100)에 교차하게 설치한 제2가이드(210); 상기 제2가이드(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액추에이터(221)의 구동으로 작동하는 제2가이드 블록(220); 및 상기 회전판(130)의 중심을 향하도록 상기 제2가이드 블록(220)에 장착하고, 상기 회전판(130)을 향하는 로드 끝에는 상기 회전판(130)에 올려놓은 판재(B)의 모서리에 밀착하여 판재(B)의 가공 위치를 고정하는 지그(231)를 갖춘 제3 액추에이터(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1)는, 실린더를 사용하되, 실린더의 로드에는 서로 다른 여러 개의 길이 제한 바(L) 중에서 하나를 끼워서 판재(B)의 크기에 알맞은 거리에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절단수단(300)은, 상기 이송수단(100)에 교차하게 설치한 제3가이드(310); 상기 제3가이드(310) 위에서 제4 액추에이터(321)의 구동으로 제1가이드(110)를 향해 움직이는 작동 블록(320); 및 상기 작동 블록(320)에 장착한 커터(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4 액추에이터(321)는, 실린더를 사용하되, 실린더의 로드에는 서로 다른 여러 개의 길이 제한 바(L) 중에서 하나를 끼워서 판재(B)의 크기에 알맞은 거리에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재단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판재에서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모서리를 쌍으로 두 번에 걸쳐 자동으로 잘라내므로, 쉽고 신속하게 모서리를 잘라 정육각형 형태로 재단할 수 있다.
(2) 이에, 정사각형 판재를 정팔각형 형상으로 쉽고 신속하게 자를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3) 실린더를 이용하여 직선 운동과 회전 운동을 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 쉽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구조가 간단한 만큼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또한 고장이 나더라도 쉽게 수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5) 판재의 크기에 따라 고정수단과 절단수단의 위치를 조절하여 작업할 수 있으므로, 파일이 지름에 따라 달라지는 크기로 정사각형의 판재를 정팔각형으로 자를 수 있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6) 특히, 고정수단과 절단수단의 위치를 한 번 설정하면 같은 크기의 판재를 계속해서 자를 수 있고, 판재의 크기에 따라 다시 고정수단과 절단수단의 위치를 설정하여 다른 크기의 판재도 쉽게 절단하여 제작할 수 있다.
(7) 이처럼 고정수단과 절단수단의 설정에 사용하는 액추에이터에 길이 제한 바를 끼워서 더는 움직이지 않게 작동 길이를 제한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도 쉽게 고정수단과 절단수단의 작동 거리를 쉽고 편리하게 제한할 수 있다. 게다가, 길이 제한 바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판재를 제작할 수 있다.
(8) 특히, 건축이나 토목 공사에 사용하는 파일(Pile) 끝에 장착하여 항타기로 타격할 때 파일을 보호하거나 이물 등이 파일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는 파일 캡 등에 사용하는 판재 제작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재단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재단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재단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재단 장치로 커팅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재단 장치는, [도 1] 내지 [도 8]과 같이, 이송수단(100), 고정수단(200), 그리고 절단수단(3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고정수단(200)은 적어도 하나의 판재(B)를 올려놓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모서리를 자를 수 있게 설정하고, 설정한 한 쌍의 모서리를 자른 다음 직각으로 회전하여 나머지 한 쌍의 모서리를 자를 수 있게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고정수단(200) 위에 올려놓고 고정한 판재(B)의 모서리를 자동으로 자를 수 있게 되어 커팅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B"는 정사각형으로 절단한 판재를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처럼 정사각형 판으로 이루어진 판재(B)의 모서리 중에서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를 쌍으로 한 쌍씩 잘라서 전체적으로 정팔각형으로 자를 수 있게 한 장치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송수단>
이송수단(10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판재(B)를 올려놓고 서로 겹쳐지게 중첩한 다음, 후술할 절단수단(300)으로 모서리를 자를 수 있도록 판재(B)를 이송시켜 주는 수단을 말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100)은 판재(B)의 각 모서리 중에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모서리를 자른 다음 나머지 한 쌍의 모서리를 자를 수 있도록 판재(B)를 회전시켜 주는 구성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송수단(10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제1가이드(110), 제1가이드 블록(120), 회전판(130), 고정판(140), 그리고 회전수단(150)을 포함한다.
제1가이드
제1가이드(11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후술할 제1가이드 블록(120)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양단 부분에 후술할 고정수단(200)과 절단수단(300)을 장착할 수 있는 길이로 제작한다. 이러한 제1가이드(110)는 후술할 제1가이드 블록(120)을 안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제1가이드 블록
제1가이드 블록(12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제1가이드(110)의 안내를 받아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 블록을 말한다. 이때, 제1가이드 블록(120)은 제1 액추에이터(121)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110)의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다.
즉, 상기 제1 액추에이터(121)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한쪽을 제1가이드(110)에 장착하고 다른 한쪽을 제1가이드 블록(120)에 장착하므로, 이 제1 액추에이터(121)가 작동함에 따라 제1가이드 블록(120)이, [도 4] 및 [도 7]과 같이 제1가이드(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안내를 받아 움직이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121)는 이처럼 제1가이드 블록(120)이 제1가이드(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를 슬라이딩 안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실린더, 스크루와 스크루 너트, 그리고 모터와 컨베이어 벨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회전판
회전판(13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제1가이드 블록(12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다. 특히, 회전판(130)은, 그 위에 적어도 하나의 판재(B)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제1가이드 블록(12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후술할 절단수단(300)에 의해 서로 마주하는 두 쌍의 모서리 중에서 한 쌍의 모서리를 자를 수 있게 하고, 또한 나머지 한 쌍의 모서리를 자를 수 있게 회전하게 하기 위한 판이다.
이러한 회전판(130)은 그 중심이 상술한 제1가이드(110)의 중심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므로, 제1가이드(110)의 양쪽에 각각 배치하는 두 개의 절단수단(300)이 판재(B)의 양쪽 모서리를 같은 모양의 크기로 자를 수 있게 구성한다.
고정판
고정판(14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술한 제1가이드 블록(120)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고정판(140)은 상술한 회전판(130)과 마주하게 설치하고, 제5 액추에이터(141)를 통해 회전판(130)과 마주하여 전후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다. 이에, 상기 고정판(140)은 회전판(130) 위에 올려놓은 적어도 하나의 판재(B)를 가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 주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140)은 고정수단(200)으로 판재(B)의 대각선이 제1가이드(110)와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회전판(130)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이 회전판(130) 위에 올려놓은 판재(B)를 눌러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회전수단
회전수단(15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회전판(130)을 직각으로 회전시켜 주는 수단을 말한다. 이는, 회전판(130) 위에 올려놓은 판재(B)의 서로 마주하는 두 쌍의 모서리 중에서 어느 한 쌍의 모서리를 자를 다음, 나머지 한 쌍의 모서리를 자를 수 있도록 회전판(130)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수단을 말한다.
이러한 회전수단(150)은, [도 7]과 같이 회전판(130)이 제1 가이드(110)를 따라 움직이면서 한 쌍의 모서리를 자른 다음, [도 8]과 같이 나머지 한 쌍의 모서리를 자르려고 원래 위치로 돌아온 회전판(130)을 직각만큼 회전시켜 주게 된다. 이에, 상기 회전수단(150)은 한쪽을 제1가이드 블록(120)에 장착하고, 다른 한쪽을 회전판(130)에 장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수단(150)은, 상술한 회전판(13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랙-피니언, 기어와 모터, 실린더, 그리고 풀리-벨트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실린더는 한쪽을 각각 제1가이드 블록(120)에, 다른 한쪽을 회전판(130)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각각 장착함으로써, 실린더의 직선 운동을 회전판(130)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하면서 발생하는 간섭을 없앨 수 있게 장착한다.
<고정수단>
고정수단(2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이송수단(100)과 교차하게 움직이면서 이 이송수단(100) 위에 올려놓은 판재(B)의 대각선이 이송수단(100)과 나란하게 정렬하게 위치를 조절하여 판재(B)의 모서리 부분을 자를 수 있게 정렬하는 수단을 말한다.
이러한 고정수단(2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2가이드(210), 제2가이드 블록(220), 그리고 제3 액추에이터(230)를 포함한다.
제2가이드
제2가이드(2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이송수단(100)에 교차하게 설치한다. 이때, 제2가이드(210)는 이송수단(100)의 제1가이드(110)에 직교하게 설치하여 후술할 제2가이드 블록(220)이 이 제1가이드(110)에 직교하게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이 제2가이드 블록(220)에 장착할 지그(231)가 제1가이드(110)에 직교하면서 회전판(130)의 중심을 향해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한다.
제2가이드 블록
제2가이드 블록(22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제2가이드(210)의 안내를 받는 블록을 말한다.
특히, 상기 제2가이드 블록(22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2 액추에이터(221)의 안내를 받아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 제2 액추에이터(221)는 한쪽을 제2가이드(210)에 장착하고, 다른 한쪽을 제2가이드 블록(220)에 장착하여 제2가이드(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1)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2가이드 블록(220)을 직선 운동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실린더, 스크루와 스크루 너트, 그리고 모터와 컨베이어 벨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1)는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때 사용하는 실린더에는 로드에 길이 제한 바(L)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제한 바(L)는 서로 다른 바를 여러 개 구성하고, 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2 액추에이터(221)의 로드에 끼움에 따라 이 제2 액추에이터(221)의 작동 거리를 제한하여 후술할 제3 액추에이터(230)가 정해진 위치에서 지그(231)가 판재(B) 모서리에 밀착하게 거리를 조절할 때 사용한다. 도면에서, 거리 제한 바(L)는 길이가 다른 세 개를 한 조로 구성한 예를 보여주고, [도 4] 내지 [도 8]에서는 가장 긴 거리 제한 바(L)를 제2 액추에이터(221)의 로드에 끼우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즉,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1)에는 거리 제한 바(L)를 끼움에 따라 그 길이만큼 제2가이드 블록(220)이 회전판(130)에 가깝게 인접하므로, 제2가이드 블록(220)에 장착한 후술할 제3 액추에이터(230)가 그만큼 더 회전판(130)에 근접하게 되므로, 크기가 작은 판재(B)도 모서리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거리 제한 바(L)의 길이가 늘어날수록 제2 액추에이터(221)가 회전판(130)에서 멀어지므로, 그만큼 큰 판재(B) 모서리를 원하는 위치에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제3 액추에이터
제3 액추에이터(23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제2가이드 블록(220)에 장착한다. 이때, 제3 액추에이터(230)는 상술한 제1가이드(1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제3 액추에이터(230)의 끝이 이 제1가이드(110)의 안내를 받는 회전판(130)을 향하도록 장착한다.
이때, 상기 제3 액추에이터(23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회전판(130)에 판재(B)를 올려놓았을 때, 이 회전판(130)의 중심을 향해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3 액추에이터(230)에는 회전판(130)을 향하는 끝에 지그(231)를 장착하게 되는 데, 이 제3 액추에이터(230)가 회전판(130)을 향해 움직임에 따라 이 지그(231)가 회전판(130) 위의 판재(B) 모서리를 밀면서 정해진 위치로 정렬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그(231)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내각이 수직인 "V"자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정사각형 형태로 자른 판재(B)의 모서리에 이 지그(231)가 끼워지면서 판재(B)가 그 판재(B)의 대각선이 제1가이드(110)와 나란하게 정렬할 수 있게 형성하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액추에이터(230)는 이처럼 제1가이드 블록(120)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실린더, 스크루와 스크루 너트, 그리고 모터와 컨베이어 벨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절단수단>
절단수단(30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회전판(130)에 판재(B)를 고정한 제1가이드 블록(120)이 제1가이드(110)를 따라 움직임에 따라 제3 액추에이터(230)로 설정한 판재(B)의 양쪽 모서리를 자르는 수단이다.
이러한 절단수단(30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제1가이드(110)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하나씩 직교하여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하며, 제3가이드(310), 작동 블록(320), 그리고 커터(330)를 포함한다.
제3가이드
제3가이드(31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제1가이드(110)를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한다. 이때, 제3가이드(310)는 후술할 작동 블록(320)이 제1가이드(110)에 직교하여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함으로써, 제1가이드(110) 양쪽에 장착한 두 개의 커터(330)가 서로 마주하여 움직이면서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여 판재(B)의 모서리를 같은 형태로 자를 수 있게 설치한다.
작동 블록
작동 블록(32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제3가이드(310)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1가이드(110)와 후술할 커터(330)의 간격 조절을 통해 판재(B) 크기에 따라 절단한 모서리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블록이다.
이러한 작동 블록(32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제4 액추에이터(321)로 슬라이딩 간격을 조절한다. 이때, 제4 액추에이터(321)는 한쪽을 제3가이드(310)에 고정하고 다른 한쪽을 상기 작동 블록(320)에 고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액추에이터(321)는 상기 작동 블록(320)이 제1가이드 블록(120)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실린더, 스크루와 스크루 너트, 그리고 모터와 컨베이어 벨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액추에이터(321)는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때 사용하는 실린더에는 로드에 길이 제한 바(L)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제한 바(L)는 서로 다른 바를 여러 개 구성하고, 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4 액추에이터(321)의 로드에 끼움에 따라 이 제4 액추에이터(321)의 작동 거리를 제한하여 후술할 커터(330)가 정해진 위치에서 판재(B)의 모서리 부분을 자를 수 있게 위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게 할 때 사용한다. 이러한 길이 제한 바(L)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용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거리 제한 바(L)는 길이가 다른 세 개를 한 조로 구성한 예를 보여주고, [도 4] 내지 [도 8]에서는 가장 긴 거리 제한 바(L)를 제4 액추에이터(321)의 로드에 끼우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커터
커터(33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작동 블록(320)에 장착한다. 이때, 커터(330)는 상술한 제1가이드(110)와 같은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위치하여 설치함으로써, 이 제1가이드(110)의 안내를 받아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판재(B)의 양쪽 모서리를 동시에 자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커터(330)는, [도 1]·[도 3]·[도 7] 및 [도 8]과 같이, 모터(331)를 이용하여 회전시켜서 절단 가공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340"은 커터(330)로 판재(B)에서 잘라낸 모서리 부분을 정해진 장소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추에이터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마이컴이나 제어수단 등을 통해 통합제어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자동화하거나 전자동화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회전판 위에 올려놓은 판재를 고정수단을 통해 판재 모서리가 제1가이드와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모서리를 자른 다음, 이 판재를 수직으로 회전하여 나머지 한 쌍의 모서리를 자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자동으로 판재의 설정 위치를 조절하고 모서리를 자를 수 있게 되어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사각형의 판재를 공급하고, 이 판재의 서로 마주하는 양쪽 모서리를 나란하게 자른 다음, 나머지 양쪽 모서리를 자른 정팔각형 판재를 파일에서 사용하는 파일 캡 제작에도 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0 : 이송수단
110 : 제1가이드
120 : 제1가이드 블록
121 : 제1 액추에이터
130 : 회전판
140 : 고정판
150 : 회전수단
200 : 고정수단
210 : 제2가이드
220 : 제2가이드 블록
230 : 제3 액추에이터
231 : 지그
300 : 절단수단
310 : 제3가이드
320 : 작동 블록
321 : 제4 액추에이터
330 : 커터

Claims (7)

  1. 정사각형 판으로 이루어진 판재(B)의 모서리 부분을 잘라서 정팔각형 판으로 제작하는 판재 재단 장치에서,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가이드 안내를 받아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고, 한쪽에 올려놓은 적어도 하나의 판재(B)를 직각으로 회전시켜 주는 이송수단(100); 상기 이송수단(100)의 움직임 방향과 교차하게 움직이고, 한쪽에는 상기 이송수단(100)의 움직임과 교차하게 움직이면서 판재(B)의 대각선이 이송수단(100)의 움직임 방향과 나란하거나 일치하게 위치를 조절하는 고정수단(200); 및 상기 이송수단(100)의 한쪽에 상기 이송수단(10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여 서로 마주하여 움직일 수 있게 설치하되, 상기 이송수단(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판재(B)의 모서리 부분을 잘라내는 두 개의 절단수단(300);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수단(100)은,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제1가이드(110); 제1 액추에이터(121)로 상기 제1가이드(110)를 따라 움직이게 설치한 제1가이드 블록(120); 상기 제1가이드 블록(120)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고, 판재(B)를 올려놓는 회전판(130); 상기 제1가이드 블록(120)에 상기 회전판(130)과 마주하게 설치하여 상기 회전판(130) 위에 올려놓은 판재(B)를 고정해 주는 고정판(140); 및 상기 회전판(130)을 직각으로 회전시켜 주는 회전수단(150)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수단(150)은, 한쪽이 제1가이드 블록(12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다른 한쪽이 상기 회전판(130)에 이 회전판(130)의 회전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실린더이고,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이송수단(100)에 교차하게 설치한 제2가이드(210); 상기 제2가이드(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액추에이터(221)의 구동으로 작동하는 제2가이드 블록(220); 및 상기 회전판(130)의 중심을 향하도록 상기 제2가이드 블록(220)에 장착하고, 상기 회전판(130)을 향하는 로드 끝에는 상기 회전판(130)에 올려놓은 판재(B)의 모서리에 밀착하여 판재(B)의 가공 위치를 고정하는 지그(231)를 갖춘 제3 액추에이터(230);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1)는, 실린더를 사용하되, 실린더의 로드에는 서로 다른 여러 개의 길이 제한 바(L) 중에서 하나를 끼워서 판재(B)의 크기에 알맞은 거리에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절단수단(300)은, 상기 이송수단(100)에 교차하게 설치한 제3가이드(310); 상기 제3가이드(310) 위에서 제4 액추에이터(321)의 구동으로 제1가이드(110)를 향해 움직이는 작동 블록(320); 및 상기 작동 블록(320)에 장착한 커터(330);를 포함하되; 상기 제4 액추에이터(321)는, 실린더를 사용하되, 실린더의 로드에는 서로 다른 여러 개의 길이 제한 바(L) 중에서 하나를 끼워서 판재(B)의 크기에 알맞은 거리에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재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96748A 2018-08-20 2018-08-20 판재 재단 장치 Active KR102098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48A KR102098488B1 (ko) 2018-08-20 2018-08-20 판재 재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48A KR102098488B1 (ko) 2018-08-20 2018-08-20 판재 재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232A KR20200021232A (ko) 2020-02-28
KR102098488B1 true KR102098488B1 (ko) 2020-04-07

Family

ID=6963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748A Active KR102098488B1 (ko) 2018-08-20 2018-08-20 판재 재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4972A (zh) * 2020-05-28 2020-10-23 无锡杰夫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零部件冲压用的板材裁切装置
CN112976093A (zh) * 2021-03-11 2021-06-18 捷安特(中国)有限公司 前叉竖杆裁剪治具
KR102423586B1 (ko) * 2022-05-04 2022-07-22 주식회사 광원이엔지 냉장고 도어의 가스벤트 천공장치
CN118358058B (zh) * 2024-05-16 2024-11-29 北京首豪新型建材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被动式墙体板材切割装置
CN118478051A (zh) * 2024-06-11 2024-08-13 宁波瑞利时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板材自动切割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391B1 (ko) * 2006-02-14 2007-07-24 조순임 부직포 싸이드 커팅기
KR101564217B1 (ko) * 2014-03-20 2015-10-29 이영환 양면 가공 밀링장치
KR101763825B1 (ko) * 2015-01-12 2017-08-02 수정하이텍(주) 원형 가공식 경면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0408A (ja) * 1988-12-07 1990-06-20 Ueda Eng Kk 側面加工機
KR20110120112A (ko) 2010-04-28 2011-11-03 주식회사 사인앤코사인 판재용 모서리 면취기
KR101354620B1 (ko) 2012-08-20 2014-01-22 배석근 판재 모서리 곡면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391B1 (ko) * 2006-02-14 2007-07-24 조순임 부직포 싸이드 커팅기
KR101564217B1 (ko) * 2014-03-20 2015-10-29 이영환 양면 가공 밀링장치
KR101763825B1 (ko) * 2015-01-12 2017-08-02 수정하이텍(주) 원형 가공식 경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232A (ko) 202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488B1 (ko) 판재 재단 장치
EP21457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panels
US20100313868A1 (en) Concrete block splitting and pitch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353932B1 (ko) 회전형 패널작업대
DE102015206824A1 (de) Plattenaufteilanlage
EP3061582B1 (en) Cutting machine for cutting panels of wood or the like
DE102006013109A1 (de) Werkzeugmaschine zur Bearbeitung von Platten
KR101719646B1 (ko) 평면 포터블 가공장치
EP2990147B1 (en) Machine for cutting wood panels or the like
EP2098343B1 (de) Bearbeitungsvorrichtung
EP2911848A1 (en) Multi-tool machine for processing products made of stone materials
EP4446077A2 (de) Plattenaufteilanlage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plattenaufteilanlage
CN205817652U (zh) 定位装置
EP3012053B1 (en) Machine for cutting panels made of wood, plastic or the like
CN205415878U (zh) 一种刀具上下可调的四面刨木机
CN104669367A (zh) 一种木材的加工机床
KR102196328B1 (ko) 석재 절단 장치
KR101132161B1 (ko) 건축용 원목 가공장치
CN205415877U (zh) 一种刀具左右可调的四面刨木机
CN204487711U (zh) 一种木材的加工机床
AT514262B1 (de) Bearbeitungsanlage und Schleifeinheit
CN203665195U (zh) 数控切割机上料机构
EP2982467A1 (en) Machine for cutting wood panels or the like
EP3511099A1 (de) Bandsägemaschine
DE102017127309A1 (de) Einrichtung zum Beeinflussen von mechanischen Schwingungen eines Zerspanungswerkzeugs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1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1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3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1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