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766B1 - Overheat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of Power Supply - Google Patents
Overheat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of Power Supp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7766B1 KR102097766B1 KR1020190085814A KR20190085814A KR102097766B1 KR 102097766 B1 KR102097766 B1 KR 102097766B1 KR 1020190085814 A KR1020190085814 A KR 1020190085814A KR 20190085814 A KR20190085814 A KR 20190085814A KR 102097766 B1 KR102097766 B1 KR 1020977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mperature
- control unit
- power supply
- over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9529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34 energy con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회로 및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공급장치에서 온도센서(120)을 이용하여 전력 제어를 통하여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를 방지하는 보호 회로 및 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nd a protection method of a power supply, in particular to a protection circuit and a protection method for preventing the over-temperature of the power supply through power control using the
기존까지 전력변환장치에서는 주 스위치 소자로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여 수명이 길고, 출력전압의 응답 속도가 빠르며 소비 전력이 비교적 적다. 또한 충격에 강하며 소형화 및 박막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에너지 절약과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전원공급자치는 가정, 산업 및 공장과 같은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원공급장치, LED, 충전기 및 유도가열 장치 등의 시스템에서 과 온도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회로가 제대로 동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늘 제기되어 왔었다. 또한 이러한 전원급장치는 대체적으로 밀폐형 구조의 방열 케이스에 내장되기 때문에 발열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발열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방열이 가능하도록 과 온도 제어를 위한 회로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Conventionally, the power conversion device uses a semiconductor element as a main switch element, which has a long life, a fast response time of an output voltage, and relatively low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it is strong in impact and has advantages in downsizing and thinning. In particular, as energy conservat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emerge, power supply autonomy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industrial sites such as homes, industries and factories. In general, there has always been a problem that the control circuit does not operate properly when an over temperature occurs in various power supply systems, LEDs, chargers, and induction heating systems. In addition, since these power supply devices are generally embedded in a heat dissipation case of a sealed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heat problem, and in order to improve the heat problem, a circuit design for over-temperature control is required so that heat can be dissipated as much as possible.
종래의 경우, 전원공급장치 내부의 과 온도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protect)기능을 실행시킨다. 즉, 주 스위치 구동회로(FET구동회로)의 동작을 정지시켜 전원공급장치 내부의 과열된 온도가 내려가도록 한다. 과 온도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은 전원공급장치의 경우, 대부분 이러한 방식으로 내부의 회로 및 소자들이 과열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case, a protection function is executed to prevent over temperature inside the power supply.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main switch driving circuit (FET driving circuit) is stopped to cause the overheated temperature in the power supply to decrease. In the case of a power supply that does not have a microcontroller for over temperature control, most of the internal circuits and elements ar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overheating in this manner.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9654호, 공고일 2013. 05. 30. (이하 [특허문헌1] 이라함)에서는 디밍 제어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 등기구를 공개하였다. 상기 [특허문헌1]에서는 디밍 제어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로기판의 발열 온도 감지상태에 따라 엘이디 조명 등기구의 최대 출력전력을 제한함으로써 발열상태에 의한 부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디밍 제어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 등기구를 공개하고 있다.As a related prior document,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69654, Announcement Date 2013. 05. 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disclosed an LED lighting luminaire having a dimming control function. The [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n LED lighting luminaire having a dimming control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prevent damage to parts due to a heating state by limiting the maximum output power of the LED lighting luminaire according to the heating temperature detection state of the circuit board. An LED lighting fixture having a dimming control function capable of being disclosed is disclosed.
또한,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02140호, 공개일 1999. 01. 15. (이하 [특허문헌2] 이라함)에서는 교환기에 과전압/과전류 보호용 전원공급장치를 제안하였다. 상기 [특허문헌2]에서는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교환시스템의 메인전원에 공급하는 정류회로부를 구비한 전원공급장치에서 과전압 보호용 인터페이스 회로와 비교기, 절체회로부를 통하여 교환 시스템에서 과전압 및 과전류 보호를 하는 것을 공개하고 있다.In addition, as related prior documents, Publication No. 10-1999-0002140, Publication Date Jan. 15, 199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proposed a power supply device for overvoltage / overcurrent protection in an exchanger.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2], overvoltage and overcurrent protection in an exchange system is provided through an interface circuit for overvoltage protection, a comparator, and a switching circuit in a power supply device having a rectifying circuit part that rectifies AC power and supplies it to the main power of the exchange system. To the public.
또한,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687358호, 공고일 2016. 12. 16. (이하 [특허문헌3] 이라함)에서는 엘이디 컨버터 보호회로를 공개하였다. 상기 [특허문헌3]에서는 LED 모듈부의 입력단 또는 출력단에서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감지되는 경우 보호회로를 구동시켜 LED 모듈부 양단의 전압을 안정화하고 전류 상한치를 제어함으로써 LED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LED 모듈이 손상되거나 개별 LED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LED 컨버터로의 과전압이나 과전류 유입을 차단하고 LED 컨버터의 PWM 구동손실을 절감할 수 있는 LED 컨버터 보호회로를 공개하고 있다.In addition, as related related documents, th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87358, the publication date 2016. 12. 1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disclosed the LED converter protection circuit.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3], when an overvoltage or an overcurrent is detected at the input or output terminal of the LED module unit, the protection circuit is driven to stabilize the voltage at both ends of the LED module unit and control the current upper limit to prevent damage to the LED. When the LED module is damaged or an individual LED has a problem, an LED converter protection circuit is disclosed that can block overvoltage or overcurrent to the LED converter and reduce the PWM drive loss of the LED converter.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1]에서는 기판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증가하여 컨버터의 출력을 감소시켜 출력하는 경우, 해당 조명 등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주변 채광의 변화, 특히 전원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조광되는 등기구, 주변채광에 의하여 자동 조광 변화되는 등기구에 있어서는 조광 상태로 오인 등으로 기판이 이상 발열 상태임을 인지하지 못하여 수리 또는 교체 등의 대응시기를 실기하여 조명등기구 전체의 소손이나 화재 등으로 비화 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특허문헌2] 및 [특허문헌3]에서는 과 온도 제어용 회로의 구성이 제대로 되지 않으며, 전원공급장치의 온도 과열 진단 위치를 발열량이 많은 부품의 위치에 따라 1차측 및 2차측에 선택적으로 배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1], when the substrate temperature increases above the set temperature and the output of the converter is reduced and output, the user using the corresponding lighting luminaire changes the ambient light, especially the luminaire that is dimmed by operating the power switch, In lighting fixtures that are automatically dimmed by ambient light, it is not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substrate is in an abnormal heat condition due to misdiagnosis as dimming, and thus can respond to repair or replacement, etc., and spark the entire lighting fixture due to burnout or fire. There is,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2] and [Patent Document 3],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for over temperature control is not properly performed, and the temperature overheat diagnosis position of the power supply device is set on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mponent having a large amount of heat.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lectively deploy.
종래의 경우, 전원공급장치 내부의 과 온도를 방지하기 위해, 온도 센서가 보호 기능을 실행시켜 주 스위치 FET구동회로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서 전원공급장치 내부의 과열된 온도를 낮추었다. 그러나 FET구동회로의 동작을 정시키길 경우 부하에 인가되는 전원공급을 차단하므로, 사용자들에게 부하 또는 전원공급장치가 불량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도록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부하에 전원공급을 지속하면서, 전원공급장치의 제어회로를 보호하기 위해서 고비용의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전원공급장치에 장착하는 경우, 제조 단가와 비용의 상승으로 인해 가격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case, in order to prevent over temperature inside the power supply, the temperature sensor lowers the overheated temperature inside the power supply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switch FET driving circuit by executing a protection function. However, if the operation of the FET driving circuit is determined, the power supply applied to the load is cut off, so that the load or the power supply device is recognized as defective. Therefore, when the power supply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load and the microcontroller of the high cost is mounted on the power supply to protect the control circuit of the power supply, the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gain an advantage in price competition due to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cost There is thi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서미스터 온도센서와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상태를 인지하고, 전력 제어 신호의 기울기를 적절하게 설계하여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회로를 통하여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를 제어하며, 전원공급장치의 온도 과열 진단 위치를 발열량이 많은 부품의 위치에 따라 1차측 및/또는 2차측에 선택적으로 전원공급장치에 배치하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is conventional problem, the thermistor temperature sensor and the transistor are used to recognize the over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power supply, and the slope of the power control signal is appropriately designed to protect the over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of the power supply. It is a technical feature to control the over temperature of the power supply and to selectively place the temperature overheat diagnosis position of the power supply on the primary and / or secondary side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component having a large amount of hea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120);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의 온도 측정값을 모니터링하여 전원공급장치가 과 온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 온도 제어부; 상기 과 온도 제어부에서 발생된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 조정신호를 생성하는 PWM 제어부(200); 상기 PWM 제어부(200)로 전류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전류 제어부(410); 상기 PWM 제어부(200)로 전압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전압 제어부(420);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과 온도 상태일때, PWM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직접 전달하며, 1차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과 온도 제어부(100);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과 온도 상태일때, 전압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고, 전압 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포토커플러를 통해 PWM 제어부에 전달하며, 2차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과 온도 제어부(100‘); 및 상기 PWM 제어부(200의 주파수 조정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높임으로써 부하에 제공되는 전력을 낮추는 스위치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 온도 제어부(100)에서 부귀환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기울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의 측정값이 상승할 때마다,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을 소정 와트(Watt)씩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 과 온도 제어부(100,100‘)는 발열량이 많은 부품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원공급장치 온도 과열 진단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an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에서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120);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와 직렬로 연결된 제1 저항(R1); 상기 제1 저항(R1) 및 상기 제1 온도 센서(120)는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을 배분하게 되며; 상기 제1 저항(R1)과 연결된 제2 저항(R2); 상기 제2 저항(R2)과 직렬로 연결된 제3 저항(R3);More preferably, the
상기 제2 저항(R2) 및 상기 제3 저항(R3)을 상기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을 배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third resistor (R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circuit operating voltage (VCC) is distribut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에서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120);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와 직렬로 연결된 제1 저항(R1); 상기 제1 온도 센서(120) 및 상기 제1 저항(R1)은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을 배분하게 되며;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와 연결된 제2 저항(R2); 상기 제2 저항(R2)과 직렬로 연결된 제3 저항(R3); 상기 제2 저항(R2) 및 상기 제3 저항(R3)을 상기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을 배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저항(R2) 및 상기 제3 저항(R3)의 접점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101)의 베이스(Base) 단자; 상기 제1 저항(R1) 및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의 접점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101)의 이미터(Emitter) 단자; 상기 제1 트랜지스터(101)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에 제3 트랜지스터(110)의 베이스(Base) 단자 및 제2 트랜지스터(102) 베이스(Base) 단자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a base terminal of th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온도 센서(120) 및 상기 제1 저항(R1)의 접점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101)의 베이스(Base) 단자; 상기 제2 저항(R2) 및 상기 제3 저항(R3)의 접점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101)의 이미터(Emitter) 단자; 상기 제1 트랜지스터(101)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에 연결된 제3 트랜지스터(110)의 베이스(Base) 단자 및 제2 트랜지스터(102) 베이스(Base) 단자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base terminal of th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온도센서(120)는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 값이 낮아지는 NTC 타입 온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트랜지스터(110)의 베이스(Base) 단자 및 제2 트랜지스터(102) 베이스(Base)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D3) 및 제4 다이오드(D4)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third diode D3 and the fourth diode D4 connected between the base terminal of th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다이오드(D3) 및 제4 다이오드(D4)는 제3 트랜지스터(110)가 오프(Off)되고 제2 트랜지스터(102)가 온(On) 될 때 또는 제3 트랜지스터(110)가 온(On)되고 제2 트랜지스터(102)가 오프(Off) 될 때 데드타임(Dead Time)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third diode D3 and the fourth diode D4 may include a
또한 바람직하게는,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방법에 있어서, (a) 부하의 전력 소모량 증가에 따라 변압기(300)의 발열온도가 증가하면 온도 센서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b) 상기 온도 센서의 측정값이 임계치를 넘으면, 전원공급장치가 과 온도 상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측정된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임계치 보다 크면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1차측에 과 온도 제어부(100)가 배치되어 있으면 PWM 제어부에 신호를 직접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b)단계에서 측정된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임계치 보다 크면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2차측에 과 온도 제어부(100)가 배치되어 있으면 전압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전압 제어부에 전달된 신호를 포토커플러를 통해 PWM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f) 상기 (c) 또는 (e)단계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PWM 제어부(200)에서 주파수 조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g) 스위치부(250)에서, 상기 주파수 조정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높여 부하에 제공되는 전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in the over temperature protection method of the power supply, (a) periodically increasing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g)단계에서 전력을 낮추어, 상기 변압기(300)의 발열량을 줄이고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온도 상승이 멈추는 지점까지 전력제어를 수행하며;In addition, preferably, by lowering the power in step (g), to reduc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상기 제1 온도센서(120)는 발열량이 많은 부품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c)단계에서 과 온도 제어부가 1차측에 있는 경우, PWM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직접 전달하며, 과 온도 제어부가 2차측에 있는 경우 전압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고, 전압 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포토커플러를 통해 PWM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in step (c), when the over temperature controller is on the primary side, the control signal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PWM controller, and when the over temperature controller is on the secondary side,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voltage controller, and the voltage controll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s transmitted to the PWM control unit through a photo coupler.
본 발명에서 첫째, 온도센서의 검출값을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전원공급장치 내부의 과 온도 상태를 진단하고, 부하에 인가되는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대신 전원공급을 유지하면서, 변압기에 걸린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전원공급장치 내부의 과 온도 상태를 해소하여,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둘째, 고비용 과 온도 제어용 마이크로 컨트롤러 없이 회로의 구성이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소형화된 전원공급장치 회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셋째, 전원공급장치의 온도 과열 진단 위치를 발열량이 많은 부품의 위치에 따라 1차측 및/또는 2차측에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특징적으로 상승된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by comparing the detect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with a threshold value, it diagnoses the over temperature condition inside the power supply, and controls the power applied to the transformer while maintaining the power supply instead of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applied to the load. By eliminating the over temperature condition inside the power supply, it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power supply, and secondl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mpact power supply circuit with a simple and low cost circuit configuration without a high-cost and temperature-controlled microcontroller. Third, there is a characteristically elevated effect that the temperature overheating diagnosis position of the power supply can be selectively arranged on the primary side and / or the secondary side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component having a large amount of heat.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a)는 기존의 전원공급장치에서 온도와 전력제어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b)는 제안된 전원공급장치에서 온도와 전력제어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과 온도 보호 회로의 세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제2 실시예에 따른 과 온도 보호 회로의 세부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제3 실시예에 따른 과 온도 보호 회로의 세부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제4 실시예에 따른 과 온도 보호 회로의 세부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제5 실시예에 따른 과 온도 보호 회로의 세부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제6 실시예에 따른 과 온도 보호 회로의 세부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과 온도 보호 회로 배치 제1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과 온도 보호 회로 배치 제2 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과 온도 보호 회로 배치 제3 실시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과 온도 제어부 실제 적용 사진이다.Figure 1 (a) is a diagram showing the temperature and power control characteristics in the conventional power supply, Figure (b) is a diagram showing the temperature and power control characteristics in the proposed power supply.
2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hoto of the actual application of the over temperatur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특정한 구조 또는 기능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over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of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pecific structures or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merely exemplified to describ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examples.
도 1을 참조하면, 도 1(a)에서는 기존의 전원공급장치에서 온도와 전력제어 특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과 온도 제어기능을 주변 고온 환경으로 인해 전원공급장치의 온도가 고온 한계 지점에 이르게 되면, 컨버터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을 단순하게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전원공급장치를 부하에 적용할 경우 고온 환경에서 부하를 차단하는 현상이 발생된다.Referring to Figure 1, Figure 1 (a) is a diagram showing the temperature and power control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power supp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power supply reaches the high temperature limit point due to the high temperature surrounding the ambient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In order to prevent breakdown of the converter, it functions to simply cut off the power. When this power supply is applied to the load, a phenomenon in which the load is cut off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occurs.
상기 도 1(b)는 제안된 전원공급장치에서 온도와 전력제어 특성을 도시한 도면을 나타내며, 무엇보다 전원공급장치에서 온도가 과온도 제어 지점을 통과하여 상승하는 경우에 열,전력 평형 지점으로 동작하면서 전력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온 한계 지점을 통과하는 경우 전원공급장치를 차단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1 (b) shows a diagram showing temperature and power control characteristics in the proposed power supply, and above all, when the temperature rises through the overtemperature control point in the power supply, the heat and power balance point The biggest technical feature is to sequentially reduce power while operating. In addition, the biggest technical feature is to cut off the power supply when passing the high temperature limit point.
상기 전원공급장치에서 상기 과온도 제어 지점 이상에서는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을 낮춰 줌으로 인하여, 발열량을 줄여 온도 상승을 멈추게 하는 특징적인 기능 있으며 이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bove the over temperature control point in the power supply device, by lower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device, it has a characteristic function to stop the temperature rise by reducing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thereby continuously supplying power to the load. .
도 2는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과 온도 보호 회로의 세부 회로도를 나타낸다.2 show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에서는 제1 실시예의 제안된 과 온도 보호 회로에서는 제1 온도 센서(120)가 가장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1 온도 센서(120)는 일면 서미스터를 사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서미스터는 온도가 올라가면 그 내부 저항(임피던스)이 감소되게 된다.In FIG. 2, in the proposed over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일반적으로 상기 도 2의 상기 제1 실시예의 제안된 과 온도 보호 회로에서는 기본적으로 정상의 온도에서는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의 저항 값이 동일하며,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임피던스) 값과 제3 저항(R3)의 저항 값이 기본적으로 정상의 온도에서는 동일하다.In general, in the proposed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 2,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econd resistor R2 are basically the same at the normal temperature, and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 The resistance (impedance) value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third resistor R3 are basically the same at a normal temperature.
하지만,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제어회로의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과온도 제어 지점을 넘어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임피던스) 값은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으로 인하여 제1 저항(R1)과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은 상기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을 배분하게 되며,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에 인가되는 전압은 감소하게 된다. Howev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control circuit of the power supply increases and the temperature rises beyond the over temperature control point, the resistance (impedance) value of the
동시에 제2 저항(R2) 및 제3 저항(R3)에 의한 분압의 전압은 온도와 관계없이 일정(一定)하게 된다. 따라서 npn형 제1 트랜지스터(101)의 베이스(Base)에는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이 경우 pnp형 제3 트랜지스터(110)는 동작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은 제4 저항(R4)와 제1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상기 제1 온도 센서(120)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과온도 제어 지점 이상에서는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을 낮춰 줌으로 인하여, 발열량을 줄여 온도 상승을 멈추게 하는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t the same time, the voltage of the divided voltage by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third resistor R3 is constant regardless of temperature. Therefore, a voltage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npn type
또한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이 낮추어 발열량이 줄어드는 경우,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 값은 상승하게 되며, 다시 정상적인 온도로 회복되는 경우,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 값은 제3 저항(R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며 이 경우, npn형 제1 트랜지스터(101)는 동작하지 않으며, 제안된 과 온도 보호 회로는 동작하지 않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is lowered and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decrease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도 3은 본 발명에 제2 실시예에 따른 과 온도 보호 회로의 세부 회로도를 나타낸다.3 show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에서는 제2 실시예의 제안된 과 온도 보호 회로에서는 제1 온도 센서(120)가 가장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1 온도 센서(120)는 일면 서미스터를 사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서미스터는 온도가 올라가면 그 내부 저항(임피던스)가 감소되게 된다.In FIG. 3, in the proposed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일반적으로 상기 도 3의 상기 제2 실시예의 제안된 과 온도 보호 회로에서는 기본적으로 정상의 온도에서는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임피던스) 값과 제2 저항(R2)의 저항 값이 기본적으로 정상의 온도에서는 동일하며,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의 저항 값이 정상적인 온도에서 동일하다.In general, in the proposed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3, the resistance (impedance) value of the
하지만,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제어회로의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과온도 제어 지점을 넘어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임피던스) 값은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으로 인하여 제1 저항(R1)과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은 상기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을 배분하게 되며, 상기 제1 저항의 전압은 증가하게 된다. Howev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control circuit of the power supply increases and the temperature rises beyond the over temperature control point, the resistance (impedance) value of the
동시에 저항 R2 및 저항 R3에 의한 분압의 전압은 온도와 관계없이 일정(一定)하게 된다. 따라서 npn형 제1 트랜지스터(101)의 베이스(Base)에는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이 경우 pnp형 제3 트랜지스터(110)는 동작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은 제4 저항(R4)과 제1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상기 제1 온도 센서(120)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과온도 제어 지점 이상에서는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을 낮춰 줌으로 인하여, 발열량을 줄여 온도 상승을 멈추게 하는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t the same time, the voltage of the divided voltage by the resistor R2 and the resistor R3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Therefore, a voltage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npn type
또한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이 낮추어 발열량이 줄어드는 경우,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 값은 상승하게 되며, 다시 정상적인 온도로 회복되는 경우,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 값은 제2 저항(R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며 이 경우, npn형 제1 트랜지스터(101)는 동작하지 않으며, 제안된 과 온도 보호 회로는 동작하지 않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is lowered and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decrease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도 4는 본 발명에 제3 실시예에 따른 과 온도 보호 회로의 세부 회로도를 나타낸다.4 show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에서는 제3 실시예의 제안된 과 온도 보호 회로에서는 제1 온도 센서(120)가 가장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1 온도 센서(120)는 일면 서미스터를 사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서미스터는 온도가 올라가면 그 내부 저항(임피던스)가 감소되게 된다.In FIG. 4, in the proposed over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of the third embodiment, the
일반적으로 상기 도 4의 상기 제3 실시예의 제안된 과 온도 보호 회로에서는 기본적으로 정상의 온도에서는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의 저항 값이 동일하며,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임피던스) 값과 제3 저항(R3)의 저항 값이 기본적으로 정상의 온도에서는 동일하다.In general, in the proposed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of the third embodiment of FIG. 4,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econd resistor R2 are basically the same at the normal temperature, and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 The resistance (impedance) value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third resistor R3 are basically the same at a normal temperature.
하지만,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제어회로의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과온도 제어 지점을 넘어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임피던스) 값은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으로 인하여 제1 저항(R1)과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은 상기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을 배분하게 되며,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에 인가되는 전압은 감소하게 된다. Howev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control circuit of the power supply increases and the temperature rises beyond the over temperature control point, the resistance (impedance) value of the
동시에 제2 저항(R2) 및 제3 저항(R3)에 의한 분압의 전압은 온도와 관계없이 일정(一定)하게 된다. 따라서 npn형 제1 트랜지스터(101)의 베이스(Base)에는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이 경우 pnp형 제3 트랜지스터(110)는 온(On)으로 동작하게 되며, npn형 제2 트랜지스터(102)는 오프(Off)로 동작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은 제4 저항(R4)과 제1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상기 제1 온도 센서(120)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과온도 제어 지점 이상에서는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을 낮춰 줌으로 인하여, 발열량을 줄여 온도 상승을 멈추게 하는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t the same time, the voltage of the divided voltage by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third resistor R3 is constant regardless of temperature. Therefore, a voltage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npn type
또한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이 낮추어 발열량이 줄어드는 경우,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 값은 상승하게 되며, 다시 정상적인 온도로 회복되는 경우,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 값은 제3 저항(R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며 이 경우, npn형 제1 트랜지스터(101)는 오프(Off)로 동작하며, npn형 제2 트랜지스터(102)는 온(On)으로 동작한다. 이 경우 상기 npn형 제2 트랜지스터(102)는 제1 커패시터(C1)의 전하를 모두 방전하게 되므로 제안된 과 온도 보호 회로는 동작하지 않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is lowered and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decrease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무엇보다 상기 도 4에서 제안된 제3 실시예의 제안된 과 온도 보호 회로는 상기 pnp형 제1 트랜지스터(110)의 베이스(Base) 및 상기 npn형 제2 트랜지스터(102)의 베이스(Base)가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안된 제3 실시예의 제안된 과 온도 보호 회로는 상기 도 2 및 도 3의 과 온도 보호 회로와 비교하여 더욱 동작의 정밀도가 향상된 과 온도 보호 회로라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Above all, in the proposed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of the third embodiment proposed in FIG. 4, the base of the pnp type
도 5는 본 발명에 제4 실시예에 따른 과 온도 보호 회로의 세부 회로도를 나타낸다.5 show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에서는 제4 실시예의 제안된 과 온도 보호 회로에서는 제1 온도 센서(120)가 가장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1 온도 센서(120)는 일면 서미스터를 사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서미스터는 온도가 올라가면 그 내부 저항(임피던스)가 감소되게 된다.In FIG. 5, in the proposed over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일반적으로 상기 도 5의 상기 제4 실시예의 제안된 과 온도 보호 회로에서는 기본적으로 정상의 온도에서는 기본적으로 정상의 온도에서는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임피던스) 값과 제2 저항(R2)의 저항 값이 기본적으로 정상의 온도에서는 동일하며,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의 저항 값이 정상적인 온도에서 동일하다.In general, in the proposed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of the fourth embodiment of FIG. 5, the resistance (impedance) value and the second resistance (R2) of the
하지만,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제어회로의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과온도 제어 지점을 넘어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임피던스) 값은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으로 인하여 제1 저항(R1)과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은 상기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을 배분하게 되며, 상기 제1 저항의 전압은 증가하게 된다. Howev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control circuit of the power supply increases and the temperature rises beyond the over temperature control point, the resistance (impedance) value of the
동시에 제2 저항(R2) 및 제3 저항(R3)에 의한 분압의 전압은 온도와 관계없이 일정(一定)하게 된다. 따라서 npn형 제1 트랜지스터(101)의 베이스(Base)에는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이 경우 pnp형 제3 트랜지스터(110)는 온(On)으로 동작하게 되며, npn형 제2 트랜지스터(102)는 오프(Off)로 동작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은 제4 저항(R4)과 제1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상기 제1 온도 센서(120)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과온도 제어 지점 이상에서는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을 낮춰 줌으로 인하여, 발열량을 줄여 온도 상승을 멈추게 하는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At the same time, the voltage of the divided voltage by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third resistor R3 is constant regardless of temperature. Therefore, a voltage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npn type
또한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이 낮추어 발열량이 줄어드는 경우,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 값은 상승하게 되며, 다시 정상적인 온도로 회복되는 경우,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의 저항 값은 제3 저항(R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며 이 경우, npn형 제1 트랜지스터(101)는 오프(Off)로 동작하며, npn형 제2 트랜지스터(102)는 온(On)으로 동작한다. 이 경우 상기 npn형 제2 트랜지스터(102)는 제1 커패시터(C1)의 전하를 모두 방전하게 되므로 제안된 과 온도 보호 회로는 동작하지 않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is lowered and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decrease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무엇보다 상기 도 5에서 제안된 제4 실시예의 제안된 과 온도 보호 회로는 상기 pnp형 제3 트랜지스터(110)의 베이스(Base) 및 상기 npn형 제2 트랜지스터(102)의 베이스(Base)가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안된 제4 실시예의 제안된 과 온도 보호 회로는 상기 도 2 및 도 3의 과 온도 보호 회로와 비교하여 더욱 동작의 정밀도가 향상된 과 온도 보호 회로라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Above all, in the proposed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of the fourth embodiment proposed in FIG. 5, the base of the pnp-typ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제5 및 제6 실시예에 따른 과 온도 보호 회로의 세부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에서 상기 pnp형 제3 트랜지스터(110)의 베이스(Base) 및 상기 npn형 제2 트랜지스터(102)의 베이스(Base) 사이에 제3,4 다이오드(D3,D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7은 도 5에서 상기 pnp형 제3 트랜지스터(110)의 베이스(Base) 및 상기 npn형 제2 트랜지스터(102)의 베이스(Base) 사이에 제3,4 다이오드(D3,D4)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6 and 7 show detailed circuit diagrams o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n FIG. 4, third and fourth diodes D3 and D4 are disposed between the base of the pnp type
이러한 제3,4 다이오드는 상기 pnp형 제3 트랜지스터(110)의 베이스(Base) 및 상기 npn형 제2 트랜지스터(102)의 베이스(Base)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무엇보다 상기 npn형 제2 트랜지스터(102)의 온(On) 및 오프(Off) 동작을 명확하게 하게된다. 특히 상기 제3,4 다이오드(D3,D4)의 공핍층은 커패시터로 기능한다. 이 경우 pnp형 제3 트랜지스터(110)가 온(On)되고 제2 npn형 트랜지스터(102)가 오프(Off) 되거나 아니면, pnp형 제3 트랜지스터(110)가 오프(Off)되고 npn형 제2 트랜지스터(102)가 온(On) 될 때 약간의 데드타임(Dead Time)을 생성하게 된다. 즉 pnp형 제1 트랜지스터(110)의 동작과 npn형 제2 트랜지스터(102)에서 약간의 지연시간을 생성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pnp형 제3 트랜지스터(110) 및 npn형 제2 트랜지스터(102)로 전류가 흐르는 기능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The third and fourth diodes are technically located between the base of the pnp-type
즉 상기 제3,4 다이오드(D3,D4)는 pnp형 제3 트랜지스터(110)가 오프(Off)되고 npn형 제2 트랜지스터(102)가 온(On) 될 때 또는 pnp형 제3 트랜지스터(110)가 온(On)되고 npn형 제2 트랜지스터(102)가 오프(Off) 될 때 데드타임(Dead Time)을 생성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pnp형 제3 트랜지스터(110) 및 npn형 제2 트랜지스터(102)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at is, when the third and fourth diodes D3 and D4 are pnp-typ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과 온도 보호 회로 배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8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과 온도 보호 회로 배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며, 전원공급장치에서 과 온도 제어부가 1차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8, the first embodiment of the over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nd the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in the power supply is located on the primary side.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과 온도 제어부,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부(200), 스위치부(250), 공진 커패시터(260), 변압기(300), 전류 제어부(410) 및 전압 제어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ower supply includes an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a PWM (Pulse Width Modulation)
전원공급장치의 온도 과열 진단 위치가 1차측에 있는 경우 제1온도 센서(120)와 회로 위치를 1차측에 배치하는 회로이며, 1차측의 PWM 제어부(200)에 직접 신호를 전달하여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다.When the temperature overheating diagnosis position of the power supply is on the primary side, it is a circuit that arranges the
상기 과 온도 제어부는 NTC 서미스터(NTC-thermistor)를 이용하여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120)와 npn형 트랜지스터인 제1,2 트랜지스터(101,102)와 pnp형 트랜지스터인 제3 트랜지스터(110)와 저항(R1,R2,R3,R4), 커패시터(C1) 및 다이오드(D1,D2) 소자로 구성된다.The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includes a
상기 제1 온도 센서(120)는 온도에 따라 물질의 저항이 변화하는 성질의 전기적 장치이며, 전원공급장치의 구성 회로 중 발열 특성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소자나 전기적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여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The
또한, 상기 과 온도 제어부는 제1 온도 센서(120)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온도가 과 온도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전원공급장치의 내부온도가 과열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PWM 제어부(200)에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전달한다.In addition, the over temperature controller periodically monitors the measured value of the
상기 PWM 제어부(200)는 상기 과 온도 검출 회로(1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참조하여, 전원공급장치의 내부온도가 임계치 보다 높으면 스위칭 주파수를 높이고, 내부온도가 임계치보다 낮으면 스위칭 주파수를 낮추어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을 조절한다.The
상기 변압기(300)는 PWM 제어부(200)가 발진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스위치부(250)의 스위칭 소자가 발생시키는 펄스 전압을 받아 공진 커패시터(260)와 연동하여 LC공진을 하고 이때 변압기(300)는 공진 커패시터(260)와 함께 발생된 공진 전압을 2차측(DC 출력단)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또한, 과 온도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PWM 제어부(200)는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을 낮추기 위한 주파수 조정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PWM 제어부(200)의 주파수 조정신호에 따라 스위치부(250)는 발진 주파수를 높임으로써 부하에 제공되는 전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the
즉, PWM 제어부(200)에서 발진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변압기(300)의 내부의 인덕턴스와 공진 커패시터(260)의 공진 특성을 이용하여 2차측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조절한다. 변압기(300)는 1차측의 교류(AC)전원을 직류(DC)로 변환하여 부하에 인가한다.That is, by adjust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in the
따라서, 부하 전력이 전원공급장치의 정격전력보다 높으면 스위칭 주파수를 높이고, 부하 전력이 상기 기준치보다 낮으면 스위칭 주파수를 낮추어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it is a technical feature to increase the switching frequency when the load power is higher than the rated power of the power supply, and to control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by lowering the switching frequency when the load power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과 온도 보호 회로 배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9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과 온도 보호 회로 위치가 2차측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며, 전원공급장치 온도 과열 진단 위치가 2차측에 있는 경우로 제1 온도 센서(120)와 회로 위치를 2차측에 배치하는 회로이다. 이는 과 온도 제어부가 2차측에 배치되어 제1 온도 센서(120)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온도가 과 온도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전원공급장치의 내부온도가 과열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2차측 전압 제어회로(42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전압 제어회로(420)에서 포토커플러(PH2)를 통해 1차측의 PWM제어부(200)에 전달하는 방식을 통하여 전력제어를 진행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9 shows that the over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position is located on the secondary side, and is a circuit for arranging th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과 온도 보호 회로 배치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10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온도 보호 회로 위치가 1차측과 2차측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며, 전원공급장치 온도 과열 진단 위치가 1차측과 2차측에 있는 경우로 제1 온도 센서(120)와 회로 위치를 1차측과 2차측에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회로를 나타낸다. 이는 과 온도 제어부가 1차측과 2차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장치의 온도 과열 진단 위치가 1차측에 있는 경우, 제1온도 센서(120)와 회로 위치를 1차측에 배치하여, 1차측의 PWM 제어부(200)에 직접 신호를 전달하여 전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전원공급장치 온도 과열 진단 위치가 2차측에 있는 경우, 제1 온도 센서(120)와 회로 위치를 2차측에 배치하여, 전원공급장치의 내부온도가 과열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2차측 전압 제어회로(42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며, 전압 제어회로(420)에서 포토커플러(PH2)를 통해 1차측의 PWM제어부(200)에 전달하는 방식을 통하여 전력제어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10 shows that the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position is located on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and when the power supply temperature overheating diagnosis location is on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the
따라서 전원공급장치의 온도 과열 진단 위치를 발열량이 많은 부품의 위치에 따라 1차측 및 2차측에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overheating diagnosis position of the power supply can be selectively arranged on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mponent having a large amount of heat.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를 나타낸다.11 show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온도센서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S110)(a) Periodically monitor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S110)
(b) 상기 (a)단계(S110)에서 측정된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임계치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b) determining whether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d in step (a) is greater than a threshold (S120)
(c) 상기 (b)단계에서 측정된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임계치 보다 크면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1차측에 과 온도 제어부가 배치되어 있으면 PWM 제어부에 신호를 직접 전달하는 단계(S130)(c) generating a control signal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d in step (b) is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and directly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PWM control unit if an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is disposed on the primary side (S130).
(d) 상기 (b)단계에서 측정된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임계치 보다 크면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2차측에 과 온도 제어부가 배치되어 있으면 전압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S140)(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d in step (b) is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and transmitting an signal to the voltage control unit if an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is disposed on the secondary side (S140).
(e) 상기 (d)단계에서 전압 제어부에 전달된 신호를 포토커플러를 통해 PWM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S150)(e) transmitting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voltage controller in step (d) to the PWM controller through a photocoupler (S150).
(f) 상기 (c) 또는 (e)단계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PWM 제어부(200)에서 주파수 조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160)(f) generating a frequency adjustment signal by the
(g) 상기 (f)단계에서 주파수 조정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는 단계(S170)(g) controll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according to the frequency adjustment signal in step (f) (S170)
(h) 상기 (g)단계에서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여 부하에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h) controll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in step (g) to control the power provided to the load (S180).
부하의 전력 소모량이 증가하면 변압기(300)의 발열온도도 증가하게 되며, 변압기(300)의 발열에 의해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온도가 임계치를 넘게 되면, 온도 센서가 이를 측정하고 온도 센서의 측정값을 모니터링하던 과 온도 제어부는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온도가 과열상태 즉, 과 온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S110~S120)Whe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increases,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과 온도 제어부의 pnp형 제3 트랜지스터(110)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는 피드백 단자(FB)를 거쳐 PWM 제어부(200)로 전달된다.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pnp-type
이후,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PWM 제어부(200)는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을 낮추기 위한 주파수 조정신호를 발생시킨다. (S130~S160)Thereafter, the
그리고, 상기 PWM 제어부(200)의 주파수 조정신호에 따라 스위치부(250)는 발진 주파수를 높임으로써 부하에 제공되는 전력을 낮춘다. 본 발명은 전력을 낮추어, 상기 변압기(300)의 발열량을 줄이고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온도 상승이 멈추는 지점까지 전력제어를 수행한다.(S170~S180)Then, according to the frequency adjustment signal of the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온도가 과 온도 제어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과 온도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가 발생되고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온도가 임계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제어신호는 온도 상승을 저지하기 위해, 점차 증가하고 그에 따라 부하단에 인가되는 전력은 점차 낮아진다. 부하단에 인가되는 전력이 낮아지면 특정 온도(열&전력 평행지점)에서 온도 상승과 전력 하강이 멈추게 된다.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ower supply reaches the over temperature control point,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ower supply rises above a threshold, the control signal gradually increases to prevent the temperature from rising. Accordingly, the power applied to the load stage is gradually lowered. When the power applied to the load stage is lowered, the temperature rise and power dropping stop at a specific temperature (heat & power parallel point).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과 온도 제어부의 실제 적용 사진이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같은 고가의 부품을 이용하는 대신, NTC 서미스터와 트랜지스터와 같은 저가의 소자들을 채용하여 과 온도 제어부를 구성하여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소용화된 컨버터 회로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12 is a photo of the actual application of the over temperatur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stead of using expensive components such as a microcontroller, low-cost devices such as NTC thermistors and transistors can be employed to constitute an over-temperature control unit to realize a simple and low-cost converter circuit. do.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원공급장치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 센서(120);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의 온도 측정값을 모니터링하여 전원공급장치가 과 온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 온도 제어부; 상기 과 온도 제어부에서 발생된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 조정신호를 생성하는 PWM 제어부(200); 상기 PWM 제어부(200)로 전류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전류 제어부(410); 상기 PWM 제어부(200)로 전압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전압 제어부(420);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과 온도 상태일때, PWM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직접 전달하며, 1차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과 온도 제어부(100);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과 온도 상태일때, 전압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고, 전압 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포토커플러를 통해 PWM 제어부에 전달하며, 2차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과 온도 제어부(100‘); 및 상기 PWM 제어부(200의 주파수 조정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높임으로써 부하에 제공되는 전력을 낮추는 스위치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 온도 제어부(100)에서 부귀환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기울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의 측정값이 상승할 때마다,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을 소정 와트(Watt)씩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회로를 제안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특허에서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방법에 있어서, (a) 부하의 전력 소모량 증가에 따라 변압기(300)의 발열온도가 증가하면 온도 센서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b) 상기 온도 센서의 측정값이 임계치를 넘으면, 전원공급장치가 과 온도 상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측정된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임계치 보다 크면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1차측에 과 온도 제어부(100)가 배치되어 있으면 PWM 제어부에 신호를 직접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b)단계에서 측정된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임계치 보다 크면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2차측에 과 온도 제어부(100)가 배치되어 있으면 전압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전압 제어부에 전달된 신호를 포토커플러를 통해 PWM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f) 상기 (c) 또는 (e)단계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PWM 제어부(200)에서 주파수 조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g) 스위치부(250)에서, 상기 주파수 조정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높여 부하에 제공되는 전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tecting an over temperature of a power supply device includes: (a) periodically monitoring a measured value of a temperature sensor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transformer 300 increases a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increases; (b)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exceeds a threshold, determining that the power supply is in an over temperature state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 generating a control signal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d in step (b) is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and directly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PWM control unit if the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100 is disposed on the primary side; (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d in step (b) is greater than a threshold,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voltage control unit when the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100 is disposed on the secondary side; (e) transmitting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voltage controller in step (d) to the PWM controller through a photocoupler; (f) generating a frequency adjustment signal by the PWM control unit 20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in step (c) or (e); And (g) in the switch unit 250, to increase the oscillation frequency according to the frequency adjustment signal to control to lower the power provided to the load, to propose a method for protecting the overtemperature of the power supply. do.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변형에 의하여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회로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기술적으로 용이하게 변형시키는 기술의 범주도 본 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of the power supply by a variety of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echnically easy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 scope of the technology to be modified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is patent.
100: 제1 과 온도 제어부
100‘: 제2 과 온도 제어부
101: 제1 트랜지스터
101‘: 제1-1 트랜지스터
102: 제2 트랜지스터
102‘: 제2-1 트랜지스터
110: 제3 트랜지스터
110‘: 제3-1 트랜지스터
120: 제1 온도 센서
120‘: 제2 온도 센서
200: PWM 제어부
250: 스위치부
251: 제1 스위치
252: 제2 스위치
260: 공진 커패시터
300: 변압기
410: 전류 제어부
420: 전압 제어부
C1: 제1 커패시터
C1’: 제2 커패시터
D1: 제1 다이오드
D1’: 제1-1 다이오드
D2: 제2 다이오드
D2’: 제2-1 다이오드
D3: 제3 다이오드
D4: 제4 다이오드
D21: 제5 다이오드
D22: 제6 다이오드
GND: 접지단자
P1: 제1 포토커플러
P2: 제2 포토커플러
R1: 제1 저항
R1’:제1-1 저항
R2: 제2 저항
R2’: 제2-1 저항
R3: 제3 저항
R3’: 제3-1 저항
R4: 제4 저항
R4’: 제4-1 저항
SEC_VCC : 2차측 제어회로 작동 전압
VCC : 제어회로 작동 전압
VDD : 입력 전원 전압
DC_OUT: 직류 출력 전압100: first lesson temperature control
100 ': Lesson 2 Temperature Control
101: first transistor
101 ': transistor 1-1
102: second transistor
102 ': 2-1 transistor
110: third transistor
110 ': 3-1 transistor
120: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 second temperature sensor
200: PWM control unit
250: switch unit
251: first switch
252: second switch
260: resonant capacitor
300: transformer
410: current control
420: voltage control
C1: first capacitor
C1 ': second capacitor
D1: first diode
D1 ': No. 1-1 diode
D2: second diode
D2 ': 2-1 diode
D3: third diode
D4: fourth diode
D21: fifth diode
D22: sixth diode
GND: Ground terminal
P1: 1st photo coupler
P2: second photo coupler
R1: first resistance
R1 ': 1-1 resistance
R2: Second resistance
R2 ': 2-1 resistance
R3: Third resistance
R3 ': 3-1 resistance
R4: 4th resistance
R4 ': 4-1 resistance
SEC_VCC: Secondary control circuit operating voltage
VCC: Control circuit operating voltage
VDD: Input power voltage
DC_OUT: DC output voltage
Claims (12)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의 온도 측정값을 모니터링하여 전원공급장치가 과 온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 온도 제어부;
상기 과 온도 제어부에서 발생된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 조정신호를 생성하는 PWM 제어부(200);
상기 PWM 제어부(200)로 전류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전류 제어부(410);
상기 PWM 제어부(200)로 전압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전압 제어부(420); 및
상기 PWM 제어부(200)의 주파수 조정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높임으로써 부하에 제공되는 전력을 낮추는 스위치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 온도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과 온도 상태일때 PWM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직접 전달하며 온도 과열 진단 위치가 변압기 1차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과 온도 제어부(100)와,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과 온도 상태일때 전압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고 전압 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포토커플러를 통해 PWM 제어부에 전달하며 온도 과열 진단 위치가 변압기 2차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과 온도 제어부(1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와 제1 저항(R1)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저항(R1) 및 상기 제1 온도 센서(120)는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을 배분하게 되며;
상기 제1 저항(R1)은 제2 저항(R2)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저항(R2)과 제3 저항(R3)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저항(R2) 및 제3 저항(R3)은 상기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을 배분하게 되며;
상기 제2 저항(R2) 및 상기 제3 저항(R3)의 접점에 제1 트랜지스터(101)의 베이스(Base)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저항(R1) 및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의 접점에 제1 트랜지스터(101)의 이미터(Emitter) 단자가 연결되며, 상기 제1 트랜지스터(101)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에 제3 트랜지스터(110)의 베이스(Base) 단자 및 제2 트랜지스터(102)의 베이스(Base)단자가 연결되며;
상기 제3 트랜지스터(110)의 베이스(Base) 단자 및 제2 트랜지스터(102) 베이스(Base)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D3) 및 제4 다이오드(D4)가 배치되며;
상기 과 온도 제어부에서 부귀환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기울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의 측정값이 상승할 때마다,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을 소정 와트(Watt)씩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회로.
A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power supply;
An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monitoring a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to determine whether the power supply is in an over temperature state;
A PWM control unit 200 generating a frequency adjustment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A current control unit 410 transmi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current to the PWM control unit 200;
A voltage control unit 420 transmi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voltage to the PWM control unit 200; And
It comprises a switch unit 250 to lower the power provided to the load by increas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according to the frequency adjustment signal of the PWM control unit 200;
The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directly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PWM control unit when the power supply is in an over temperature state, and the first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100 in which a temperature overheat diagnosis position is disposed on the primary side of the transformer, and the power supply unit When the temperature is over temperature,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voltage control uni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oltage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the PWM control unit through a photocoupler, and the temperature overheat diagnosis position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trol temperature control unit 100 'disposed on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Is made;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and the first resistor R1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distribute the control circuit operating voltage VCC;
The first resistor R1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sistor R2,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third resistor R3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third resistor ( R3) distributes the control circuit operating voltage (VCC);
The base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101 is connected to the contact points of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third resistor R3, and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are connected. An emitter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101 is connected to a contact of the base terminal, and a base terminal and a second transistor of the third transistor 110 are connected to a collector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101. The base terminal of 102 is connected;
A third diode D3 and a fourth diode D4 are disposed between the base terminal of the third transistor 110 and the base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102;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rises by controlling the slope by transmitting a negative feedback control signal from the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to decrease by a predetermined watt. Power supply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상기 제1,2 과 온도 제어부(100,100‘)는 발열량이 많은 부품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원공급장치 온도 과열 진단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회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controllers (100,100 ') is a power supply over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lectively placed in the temperature overheat diagnostic position of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mponent having a large amount of heat.
상기 제3 트랜지스터(110)가 오프(Off)되고 제2 트랜지스터(102)가 온(On) 될 때 또는 제3 트랜지스터(110)가 온(On)되고 제2 트랜지스터(102)가 오프(Off) 될 때 상기 제3 다이오드(D3) 및 제4 다이오드(D4)가 데드타임(Dead Time)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회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hird transistor 110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transistor 102 is turned on, or the third transistor 110 is turned on and the second transistor 102 is turned of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of the pow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diode (D3) and the fourth diode (D4) generates a dead time (Dead Time).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의 온도 측정값을 모니터링하여 전원공급장치가 과 온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 온도 제어부;
상기 과 온도 제어부에서 발생된 제어신호에 따라 주파수 조정신호를 생성하는 PWM 제어부(200);
상기 PWM 제어부(200)로 전류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전류 제어부(410);
상기 PWM 제어부(200)로 전압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전압 제어부(420);
상기 PWM 제어부(200)의 주파수 조정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높임으로써 부하에 제공되는 전력을 낮추는 스위치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과 온도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과 온도 상태일때 PWM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직접 전달하며 온도 과열 진단 위치가 변압기 1차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과 온도 제어부(100)와,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과 온도 상태일때 전압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고 전압 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포토커플러를 통해 PWM 제어부에 전달하며 온도 과열 진단 위치가 변압기 2차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과 온도 제어부(1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와 제1 저항(R1)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온도 센서(120) 및 상기 제1 저항(R1)은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을 배분하게 되며;
상기 제1 온도 센서(120)는 제2 저항(R2)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저항(R2)과 제3 저항(R3)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저항(R2) 및 제3 저항(R3)은 상기 제어회로 작동 전압(VCC)을 배분하게 되며;
상기 제1 온도 센서(120) 및 상기 제1 저항(R1)의 접점에 제1 트랜지스터(101)의 베이스(Base)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저항(R2) 및 상기 제3 저항(R3)의 접점에 제1 트랜지스터(101)의 이미터(Emitter) 단자가 연결되며, 상기 제1 트랜지스터(101)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에 제3 트랜지스터(110)의 베이스(Base) 단자 및 제2 트랜지스터(102)의 베이스(Base)단자가 연결되며;
상기 제3 트랜지스터(110)의 베이스(Base) 단자 및 제2 트랜지스터(102) 베이스(Base)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3 다이오드(D3) 및 제4 다이오드(D4)가 배치되며;
상기 과 온도 제어부에서 부귀환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기울기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온도 센서(120)의 측정값이 상승할 때마다,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을 소정 와트(Watt)씩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회로.
A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power supply;
An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monitoring a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to determine whether the power supply is in an over temperature state;
A PWM control unit 200 generating a frequency adjustment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A current control unit 410 transmi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current to the PWM control unit 200;
A voltage control unit 420 transmitting a signal for controlling voltage to the PWM control unit 200;
It comprises a switch unit 250 to lower the power provided to the load by increas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according to the frequency adjustment signal of the PWM control unit 200;
The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directly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PWM control unit when the power supply is in an over temperature state, and the first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100 in which a temperature overheat diagnosis position is disposed on the primary side of the transformer, and the power supply unit When the temperature is over temperature,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voltage control uni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oltage control unit is transmitted to the PWM control unit through a photocoupler, and the temperature overheat diagnosis position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trol temperature control unit 100 'disposed on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Is made;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and the first resistor R1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and the first resistor R1 distribute the control circuit operating voltage VCC;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sistor R2,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third resistor R3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third resistor (R3) distributes the control circuit operating voltage (VCC);
The base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101 is connected to the contact point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and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third resistor R3 are connected. An emitter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101 is connected to a contact of the base terminal, and a base terminal and a second transistor of the third transistor 110 are connected to a collector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101. The base terminal of 102 is connected;
A third diode D3 and a fourth diode D4 are disposed between the base terminal of the third transistor 110 and the base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102;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rises by controlling the slope by transmitting a negative feedback control signal from the over temperatur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to decrease by a predetermined watt. Power supply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상기 제1,2 과 온도 제어부(100,100‘)는 발열량이 많은 부품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원공급장치 온도 과열 진단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회로.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controllers (100,100 ') is a power supply over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lectively placed in the temperature overheat diagnostic position of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mponent having a large amount of heat.
상기 제3 트랜지스터(110)가 오프(Off)되고 제2 트랜지스터(102)가 온(On) 될 때 또는 제3 트랜지스터(110)가 온(On)되고 제2 트랜지스터(102)가 오프(Off) 될 때 상기 제3 다이오드(D3) 및 제4 다이오드(D4)가 데드타임(Dead Time)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회로.
According to claim 4,
When the third transistor 110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transistor 102 is turned on, or the third transistor 110 is turned on and the second transistor 102 is turned off.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of the pow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diode (D3) and the fourth diode (D4) generates a dead time (Dead Time).
상기 제1 온도센서(120)는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 값이 낮아지는 NTC 타입 온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회로.
The method of claim 1 or 3,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is an NTC type temperature sensor, the resistance value is lower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of the pow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1,2 과 온도 제어부(100,100‘)는 발열량이 많은 부품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원공급장치 온도 과열 진단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회로.
The method of claim 4 or 6,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controllers (100,100 ') is a power supply over 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electively placed in the temperature overheat diagnostic position of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mponent having a large amount of heat.
상기 제1 온도 센서(120)는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 값이 낮아지는 NTC 타입 온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회로.
The method of claim 4 or 6,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is an NTC type temperature sensor, the resistance value is lower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over-temperature protection circuit of the pow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a) 부하의 전력 소모량 증가에 따라 변압기(300)의 발열온도가 증가하면 온도 센서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b) 상기 온도 센서의 측정값이 임계치를 넘으면, 전원공급장치가 과 온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측정된 온도 센서의 측정값이 임계치 보다 크면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온도 과열 진단 위치가 변압기 1차측에 과 온도 제어부가 배치되어 있으면 PWM 제어부에 신호를 직접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b)단계에서 측정된 온도 센서의 측정값이 임계치 보다 크면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온도 과열 진단 위치가 변압기 2차측에 과 온도 제어부가 배치되어 있으면 전압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전압 제어부에 전달된 신호를 포토커플러를 통해 PWM제어부에 전달하는 단계;
(f) 상기 (c) 또는 (e)단계에서 수신된 제어신호는 과 온도 제어부에서 데드타임(Dead Time)을 생성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PWM 제어부(200)에서 주파수 조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g) 스위치부(250)에서, 상기 주파수 조정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를 높여 부하에 제공되는 전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방법.
In the over temperature protection method of the power supply,
(a) periodically monitor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transformer 300 increases a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oad increases;
(b) if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exceeds a threshold, determining that the power supply is in an over temperature state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c) If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d in step (b)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if the overheating control part is located on the primary side of the transformer, the signal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PWM control part. step;
(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d in step (b) is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voltage control unit when the temperature overheat diagnosis position is arranged on the secondary side of the transformer;
(e) transmitting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voltage control unit in step (d) to the PWM control unit through a photocoupler;
(f) The control signal received in step (c) or (e) generates a dead time in the over temperature controller to prevent malfunction, and the frequency is adjusted in the PWM controller 20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a signal; And
(g) controlling in the switch unit 250 to increase the oscillation frequency according to the frequency adjustment signal to lower the power provided to the loa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supply over temperature protection method.
상기 (g)단계에서 전력을 낮추어, 상기 변압기(300)의 발열량을 줄이고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온도 상승이 멈추는 지점까지 전력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온도센서는 발열량이 많은 부품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전원공급장치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Lowering the power in step (g), reducing the heat generation amount of the transformer 300 and performing power control to the point where the internal temperature rise of the power supply stops;
The temperature sensor is selectively positio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a component having a large amount of heat, and measure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ower supply, thereby protecting the over temperature of the power supply.
상기 (c)단계에서 과 온도 제어부가 변압기 1차측에 있는 경우, PWM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직접 전달하며, 과 온도 제어부가 변압기 2차측에 있는 경우 전압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고, 전압 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포토커플러를 통해 PWM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과 온도 보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n step (c), when the over temperature controller is on the primary side of the transformer, the control signal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PWM controller. Method of over-temperature protection of a pow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WM control unit through a photo coupl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5814A KR102097766B1 (en) | 2019-07-16 | 2019-07-16 | Overheat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of Power Supp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5814A KR102097766B1 (en) | 2019-07-16 | 2019-07-16 | Overheat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of Power Suppl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7766B1 true KR102097766B1 (en) | 2020-04-06 |
Family
ID=7028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5814A Active KR102097766B1 (en) | 2019-07-16 | 2019-07-16 | Overheat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of Power Supp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7766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0937B1 (en) * | 2020-12-07 | 2021-06-04 | 디아이케이(주) | Grid-connected typ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power conversion device control device for ESS |
CN114552703A (en) * | 2022-01-24 | 2022-05-27 | 苏州泰鼎智能科技有限公司 | Temperature detection system for battery management device |
WO2024037291A1 (en) * | 2022-08-17 | 2024-02-22 | 深圳市广和通无线股份有限公司 |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frequency apparatus, radio frequenc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CN117977495A (en) * | 2024-04-01 | 2024-05-03 | 深圳市精科睿精密制品有限公司 | Overheat protection circuit for control board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2140A (en) | 1997-06-19 | 1999-01-15 | 윤종용 | Power supply for overvoltage / over temperature protection in exchange |
JP2003111398A (en) * | 2001-10-01 | 2003-04-11 | Tamura Seisakusho Co Ltd | Voltage control circuit and switching regulator |
JP2004173391A (en) * | 2002-11-19 | 2004-06-17 | Seiko Epson Corp | Power supply circuit |
KR101155048B1 (en) * | 2011-07-27 | 2012-06-11 | 스마트론파워(주) | Overheat Protection Circuit and Function in LED Converter Power Control |
KR101269654B1 (en) | 2012-11-02 | 2013-05-30 |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 Led lighting luminaires with dimming control function |
KR101687358B1 (en) | 2014-05-21 | 2016-12-16 | 이민진 | Protecting circuit for led converter |
KR101877011B1 (en) * | 2018-02-05 | 2018-07-10 | 스마트론파워(주) | ZVS(Zero-Voltage-Switching) Expandable LLC Converter |
-
2019
- 2019-07-16 KR KR1020190085814A patent/KR10209776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2140A (en) | 1997-06-19 | 1999-01-15 | 윤종용 | Power supply for overvoltage / over temperature protection in exchange |
JP2003111398A (en) * | 2001-10-01 | 2003-04-11 | Tamura Seisakusho Co Ltd | Voltage control circuit and switching regulator |
JP2004173391A (en) * | 2002-11-19 | 2004-06-17 | Seiko Epson Corp | Power supply circuit |
KR101155048B1 (en) * | 2011-07-27 | 2012-06-11 | 스마트론파워(주) | Overheat Protection Circuit and Function in LED Converter Power Control |
KR101269654B1 (en) | 2012-11-02 | 2013-05-30 |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 Led lighting luminaires with dimming control function |
KR101687358B1 (en) | 2014-05-21 | 2016-12-16 | 이민진 | Protecting circuit for led converter |
KR101877011B1 (en) * | 2018-02-05 | 2018-07-10 | 스마트론파워(주) | ZVS(Zero-Voltage-Switching) Expandable LLC Converte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0937B1 (en) * | 2020-12-07 | 2021-06-04 | 디아이케이(주) | Grid-connected typ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power conversion device control device for ESS |
CN114552703A (en) * | 2022-01-24 | 2022-05-27 | 苏州泰鼎智能科技有限公司 | Temperature detection system for battery management device |
WO2024037291A1 (en) * | 2022-08-17 | 2024-02-22 | 深圳市广和通无线股份有限公司 |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frequency apparatus, radio frequenc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CN117977495A (en) * | 2024-04-01 | 2024-05-03 | 深圳市精科睿精密制品有限公司 | Overheat protection circuit for control boar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97766B1 (en) | Overheat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of Power Supply | |
US8283877B2 (en) | Thermal protection circuit for an LED bulb | |
CN102316627B (en) | Led lighting device | |
US8461767B2 (en) | Power factor control for an LED bulb driver circuit | |
CN101777825B (en) | Power supply device | |
EP2417838B1 (en) | Dimmable power supply | |
EP2768286B1 (en) |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fixture | |
CN107432072B (en) | Light-emitting diode heat return control device and method | |
EP2768281B1 (en) |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fixture | |
US7161783B2 (en) |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for switching power supply | |
US20080304299A1 (en) | Low voltage LED drive from 120VAC line | |
JP5526095B2 (en) | LED lighting device | |
KR102013971B1 (en) | Lighting device including a drive device configured for dimming light - emitting diodes in response to voltage and temperature | |
KR100980242B1 (en) | Switching-mode power supply | |
KR102111014B1 (en) | Overheat Control Circuit and method of Power Supply | |
KR101155048B1 (en) | Overheat Protection Circuit and Function in LED Converter Power Control | |
KR101568855B1 (en) | Led convertor lc feedback stabilization circuit | |
JP7267845B2 (en) | Lighting power supply and its protection circuit | |
JP2672981B2 (en) | Power supply circuit for both charging and AC power tools | |
KR102173054B1 (en) | Thermal protection circuit and light device having the same | |
CN202958018U (en) | A driver for a lighting device and a lighting device employing the driver | |
CN113498232A (en) | Lighting device with thermal protection of driver | |
KR20160092418A (en) | Backlight Apparatus | |
KR101323131B1 (en) | Led drving apparatus using constant power | |
GB2464287A (en) | Mains voltage regulator for an inductive appli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7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