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7543B1 -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543B1
KR102097543B1 KR1020130166444A KR20130166444A KR102097543B1 KR 102097543 B1 KR102097543 B1 KR 102097543B1 KR 1020130166444 A KR1020130166444 A KR 1020130166444A KR 20130166444 A KR20130166444 A KR 20130166444A KR 102097543 B1 KR102097543 B1 KR 102097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ces
preamble symbol
sequence
phase change
information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6869A (ko
Inventor
오영호
윤성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448,106 priority Critical patent/US9621396B2/en
Priority to PCT/KR2014/007184 priority patent/WO2015020382A1/en
Publication of KR20150016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5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6Pilot sequence conve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0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4Pilot insertion in the transmitter chain, e.g. pilot overlapping with data, insertion in time or 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7Carri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2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with preamble design, i.e. with negotiation of the synchronisation sequence with transmitter or sequence linked to the algorithm used at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55ZCZ [zero correlation zone]
    • H04J13/0059CAZAC [constant-amplitude and zero auto-correlation]
    • H04J13/0062Zadoff-Ch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송신 장치가 개시된다. 송신 장치는 동기 파트(synchronization part)와 인포메이션 파트(information part)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을 프레임에 삽입하는 프리앰블 심볼 삽입부 및 프리앰블 심볼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동기 파트는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인포메이션 파트는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시퀀스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프리앰블 심볼에 삽입된 동일한 복수의 시퀀스에 기초하여 수신 장치는 정확하게 프리앰블 심볼을 검출할 수 있고, 수신 장치의 구성의 복잡도도 감소하며, 데이터 전송률도 증가하게 된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TRANSMITTER, RECEI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OFDM 방식을 사용하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 the Second Generation Terrestrial)는 현재 유럽을 포함한 전세계의 35여개 이상의 국가에서 표준으로 채택하여 서비스가 시작중인 DVB-T의 성능을 개선시킨 2세대 유럽 지상파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서, DVB-T2는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와 256QAM 변조 방식 등과 같은 최신 기술들을 적용하여 전송 용량의 증대 및 높은 대역폭 효율을 실현하였으며, 이에 따라 HDTV와 같은 고품질의 다양한 서비스를 한정된 대역에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현재 DVB-T2에서 사용되는 T2-FRAME은 P1 프리앰블 심볼, P2 프리앰블 심볼 및 데이터 심볼로 구성되는데, P1 프리앰블 심볼은 동기를 수행하고 시그널링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수신기에서는 이러한 P1 프리앰블 심볼을 검출하고, 검출된 P1 프리앰블 심볼을 사용하여 동기를 수행하고 주파수 오프셋을 보상한 후,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러나, P1 프리앰블 심볼을 검출하는 과정은 P1 프리앰블 심볼 내의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출 과정을 수행하면 1 sample 이내로 정확하게 프리앰블 시작점을 찾기 어렵다.
이에 따라, 1 sample 이내로 정확하게 프리앰블 시작점을 찾을 수 있도록 Zadoff-Chu 시퀀스를 사용하여 프리앰블 심볼을 사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동기 시그널은 Zadoff-Chu 시퀀스 8개(110)로 구성되는데, 8개의 Zadoff-Chu 시퀀스 중 5개는 동기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므로 3개의 시퀀스(120)에만 데이터를 실어서 전송할 수 있었다.
또한, 수신 장치는 여러 개의 시퀀스들을 저장한 후, 수신받은 Zadoff-Chu 시퀀스 각각과 correlation한 출력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심볼을 검출하였는바, 이러한 수신 장치의 구성은 복잡하고, 많은 양의 데이터 전송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프리앰블 심볼에서의 정보 전달량을 증가시키고, 수신 장치에서의 프리앰블 검출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수신 장치의 구성의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복수의 시퀀스가 포함된 프리앰블 심볼을 사용하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는 동기 파트(synchronization part)와 인포메이션 파트(information part)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을 프레임에 삽입하는 프리앰블 심볼 삽입부 및 상기 프리앰블 심볼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 파트는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는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시퀀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각각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에는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의 상기 위상 변화량에 관한 신호가 각각 매핑되어 있으며, 상기 위상 변화량은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 중 인접한 제2 시퀀스들 간의 위상 변화량이다.
또한, 상기 위상 변화량에 관한 신호는, DBPSK(Differential Binary Phase Shift Keying)방식을 사용하여 변조된 신호이다.
한편,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는,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는, 동일한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에 위상 값 0도를 곱한 것과 위상 값 180도를 곱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동기 파트(synchronization part)와 인포메이션 파트(information part)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동기 파트와 인포메이션 파트의 복수의 연속된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앰블 심볼을 검출하고, 상기 동기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고,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여, 상기 주파수 오프셋 및 상기 위상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앰블 심볼의 시그널링 데이터를 검출하는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딜레이시키면서 각 시퀀스들을 연속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주파수 오프셋 및 위상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는,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각 시퀀스의 길이 단위로 딜레이된 상관기 출력 값을 모두 곱하여 산출되는 가장 크기가 큰 값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프리앰블 심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각각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에는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의 상기 위상 변화량에 관한 신호가 각각 매핑되어 있으며, 상기 위상 변화량은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 중 인접한 제2 시퀀스들 간의 위상 변화량이다.
또한, 상기 위상 변화량에 관한 신호는, DBPSK(Differential Binary Phase Shift Keying)방식을 사용하여 변조된 신호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는,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는, 동일한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에 위상 값 0도를 곱한 것과 위상 값 180도를 곱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동기 파트(synchronization part)와 인포메이션 파트(information part)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을 프레임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앰블 심볼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 파트는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는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시퀀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각각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에는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의 상기 위상 변화량에 관한 신호가 각각 매핑되어 있으며, 상기 위상 변화량은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 중 인접한 제2 시퀀스들 간의 위상 변화량이다.
그리고, 상기 위상 변화량에 관한 신호는, DBPSK(Differential Binary Phase Shift Keying)방식을 사용하여 변조된 신호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는, 재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는, 동일한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에 위상값 0도를 곱한 것과 위상값 180도를 곱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동기 파트(synchronization part)와 인포메이션 파트(information part)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기 파트와 인포메이션 파트의 복수의 연속된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앰블 심볼을 검출하고, 상기 동기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고,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오프셋 및 상기 위상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앰블 심볼의 시그널링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딜레이시키면서 각 시퀀스들을 연속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주파수 오프셋 및 위상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각 시퀀스의 길이 단위로 딜레이된 상관기 출력 값을 모두 곱하여 산출되는 가장 크기가 큰 값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프리앰블 심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각각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에는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의 상기 위상 변화량에 관한 신호가 각각 매핑되어 있으며, 상기 위상 변화량은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 중 인접한 제2 시퀀스들 간의 위상 변화량이다.
한편, 상기 위상 변화량에 관한 신호는, DBPSK(Differential Binary Phase Shift Keying)방식을 사용하여 변조된 신호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는,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는, 동일한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에 위상값 0도를 곱한 것과 위상값 180도를 곱한 것인 것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리앰블 심볼에 삽입된 동일한 복수의 시퀀스에 기초하여 수신 장치는 정확하게 프리앰블 심볼을 검출할 수 있고, 수신 장치의 구성의 복잡도도 감소하며, 데이터 전송률도 증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2 프레임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DVB-T2 방식을 이용하여 T2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기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앰블 심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오프셋의 영향이 반영되어 나타난 위상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프리앰블 심볼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송신 장치(200)는 프리앰블 심볼 삽입부(210) 및 송신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리앰블 심볼 삽입부(210)는 동기 파트(synchronization part)와 인포메이션 파트(information part)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을 프레임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부(220)는 프리앰블 심볼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앰블 심볼은 프레임의 시작점을 알려주어 프레임의 동기를 맞추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송신 장치(200)는 DVB-T2 방식에 따라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고, 이때, DVB-T2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위를 T2 프레임이라 한다.
이에 따라, T2 프레임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2 프레임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DVB-T2의 시간 영역에서의 복수의 T2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하나의 T2 프레임(310)은 프레임의 시작 위치를 알려주는 P1 프리앰블 심볼(320)과 L1(Layer1)신호를 전송하는 P2 프리앰블 심볼(330) 및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심볼(340)들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1 프리앰블 심볼(320)은 T2 프레임(310)의 첫 부분에 위치하며 T2 프레임(310)의 시작점을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P1 프리앰블 심볼(310)은 1K FFT 크기를 사용하며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 형태의 신호이다. 그리고, 주파수 영역의 P1 프리앰블 심볼(320)은 1K FFT 중 853개의 부반송파에서 384개의 부반송파를 사용하며, 7비트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DVB-T2 방식을 이용하여 T2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기에 관한 도면이다.
DVB-T2 방식을 이용하여 T2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기(400)는 입력 스트림 처리기(410), BICM(420), 프레임 맵퍼(430), OFDM 생성부(440) 및 프리앰블 생성부(450)을 포함한다.
입력 스트림 처리기(Input Stream Processor)(410)는 입력된 방송 신호로부터 기저대역 프레임(Baseband Frame) 포맷 형태의 신호가 생성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BICM(Bit-Interleaved Coded Modulation) 연산부(420)는 입력된 기저대역 프레임 포맷 신호를 LDPC에 의해서 부호화하고, 이와 같이 부호화된 신호는 변조(Modulation)될 수 있다.
여기서, DVB-T2방식에서는 64800 bit와 16400 bit 길이의 LDPC 부호가 있으며, 다양한 부호화율(Code rate)에 의해서 입력 신호를 부호화할 수 있다. 한편, 부호화된 신호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 QAM, 256 QAM 으로 변조(Modulation) 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맵퍼(430)는 OFDM 전송을 위한 T2프레임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T2프레임 구조는 방송 신호가 변조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부반송파, 채널 추정을 위한 파일럿 및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 저감을 위한 부반송파(또는 예약톤(Reserved Tone))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OFDM 생성부(440)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방식을 사용하여 프레임 맵퍼(2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프리앰블 생성부(450)는 T2프레임 동기를 위하여 프리앰블을 T2프레임의 시작 부분에 부가하여 전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앰블 심볼 삽입부(210)는 상술한 DVB-T2 방식을 사용하는 송신기의 프리앰블 생성부(450)에 대응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송신 장치(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P1 프리앰블 심볼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이하, P1 프리앰블 심볼을 프리앰블 심볼로 기재하기로 한다.
여기서, 프리앰블 심볼은 동기 파트와 인포메이션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기 파트는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인포메이션 파트는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 파트는 프리앰블 심볼의 시그널링 데이터를 정확하게 검출하는데 있어서,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분이다.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는 주파수 offset이 존재하는 경우 상관기의 출력 값의 시간 지연과 위상 쉬프트로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위상 쉬프트는 시퀀스가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서 일정한 크기 값을 가지고 나타나게 된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오프셋의 영향이 반영되어 나타난 위상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가로 축이 주파수 축이고 세로 축이 위상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총 8개의 피크(610)가 도시되어 있는데, 각각의 피크(610)는 다른 위상 값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피크 값(610)이 다른 위상 값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주파수 오프셋의 영향 때문이다.
또한, 각각의 피크 값(610)에 해당하는 위상 값들이 리니어하게 변경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두 번째 피크의 주파수 오프셋에 의한 위상 값과 첫 번째 피크의 주파수 오프셋에 의한 위상 값의 차이는 세 번째 피크의 주파수 오프셋에 의한 위상 값과 두 번째 피크의 주파수 오프셋에 의한 위상 값의 차이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여덟 개의 피크 값 x0, x1, x2, x3, x4, x5, x6, x7이 있다면, 각각의 피크에 해당하는 위상 값은 z, 2*z, 3*z, 4*z, 5*z, 6*z, 7*z, 8*z가 된다. 이는 미리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피크에 해당하는 위상 값들은 리니어하게 변경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x1와 x0에 해당하는 위상 값들의 차이는 z가 되고, x2 와 x1에 해당하는 위상 값들의 차이도 z가 되며, x3와 x2에 해당하는 위상 값들의 차이 및 x4와 x3에 해당하는 위상 값들의 차이 모두 z가 됨을 알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연속된 두 개의 피크에 해당하는 위상 값들의 차이는 각각의 피크의 위상에 영향을 미친 주파수 오프셋 값들의 차이로, 이렇게 연속된 두 개의 피크의 위상 값들의 차이인 주파수 오프셋 값들은 모두 동일하다.
이에 따라, 각각 두 개씩 짝을 이룬 피크들의 위상 값들을 합산한 후, 동일하게 합산된 주파수 오프셋 값을 빼주면, 주파수 오프셋의 영향을 제외한 피크들의 위상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장치(700)는 주파수 오프셋과 인접한 시퀀스 간의 위상 변화만 알면, 모든 시퀀스 간의 위상 값을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위상 값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심볼로부터 시그널링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주파수 오프셋과 인접한 시퀀스 간의 위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프리앰블 심볼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리앰블 심볼에 포함된 동기 파트는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인포메이션 파트는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시퀀스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복수의 제1 시퀀스 각각은 서로 동일하고, 복수의 제2 시퀀스에는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에 관한 신호가 각각 매핑되어 있다.
그리고, 위상 변화량은 복수의 제2 시퀀스 중 인접한 제2 시퀀스들 간의 위상 변화량을 의미한다.
또한, 일 예로, 복수의 제1 시퀀스는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제1 시퀀스가 두 개만 있어도 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앰블 심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프리앰블 심볼은 동기 파트(510) 및 인포메이션 파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동기 파트(510)는 동일한 시퀀스(511, 512) 두 개를 포함하고, 인포메이션 파트(520)는 랜덤하게 섞인 다른 시퀀스(521, 522, 52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파트(510)에 동일한 시퀀스(511, 512)가 두 개가 포함되는 이유는, 동일한 시퀀스(511, 512)에 기초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즉, 동일한 시퀀스(511, 512)는 동일한 위상을 갖으므로, 위상 차이가 난다면 이는 주파수 오프셋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인포메이션 파트(520)에 포함된 복수의 다른 시퀀스(521, 522, 523)에는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에 관한 신호가 각각 매핑되어 있다. 여기서, 위상 변화량은 복수의 다른 시퀀스(521, 522, 523) 중 인접한 시퀀스들 간의 위상 변화량이다.
예를 들어, 시퀀스 0의 위상을 180도 변화시킨 시퀀스를 시퀀스 1이라고 가정하면, 시퀀스 0과 시퀀스 1은 서로 180도의 위상 차이가 나게 된다.
따라서, 동기 파트(510)에 포함된 두 개의 시퀀스 0(511, 512)는 위상이 동일하므로, 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인포메이션 파트(520)에 포함된 세 개의 시퀀스(521, 522, 523)는 시퀀스 1, 시퀀스 1 및 시퀀스 0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인포메이션 파트(520)의 맨 처음에 배치된 시퀀스 1(521)은 동기 파트(510)의 두 번째로 배치된 시퀀스 0(522)와 위상 차이가 180도 나게 되고, 인포메이션 파트(520)의 두 번째로 배치된 시퀀스 1(522)는 이전 시퀀스 1(521)과 동일하므로 위상 차이가 0도가 나게 된다.
또한, 인포메이션 파트(520)에 세 번째로 배치된 시퀀스 0(523)은 두 번째로 배치된 시퀀스 0(522)와 위상 차이가 180도 나게 된다.
즉, 인포메이션 파트(520)의 위상 변화량은 인포메이션 파트(520)에 포함된 복수의 시퀀스들 중 인접한 시퀀스간에서 바로 이전 시퀀스와의 위상 변화량을 의미한다.
한편, 산출된 위상 변화량에 관한 신호는 인포메이션 파트(520)에 포함된 복수의 시퀀스에 각각 매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상 변화량에 관한 신호는 DBPSK(Differential Binary Phase Shift Keying)방식을 사용하여 변조된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DBPSK 방식은 송신 장치 측에서 이진 부호의 논리합을 수행하여 2 위상으로 편이시키는 위상 변조 방식을 의미하며, 무선 LAN에서 기저 대역 변조 방식으로 사용하기 위해 표준화(IEEE 802.11)한 것으로,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S-SS) 방식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송신 장치 측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부호의 논리합으로 된 이진 부호를 반송파의 동위상과 역위상에 대응, 편이하여 전송하면 수신 장치 측에서는 복조 과정 후에 논리 차로 변환하여 본래의 펄스를 복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포메이션 파트(520)의 맨 처음에 배치된 시퀀스 1(521)과 동기 파트(510)의 두 번째로 배치된 시퀀스 0(522) 간의 위상 변화량은 DBPSK 방식에 의하여 이진 부호화되어 DBPSK 1bit(521-1)로 저장되어 인포메이션 파트(520)의 맨 처음에 배치된 시퀀스 1(521)에 매핑된다.
그리고, 인포메이션 파트(520)의 두 번째로 배치된 시퀀스 1(522)과 이전 시퀀스 1(521) 간의 위상 변화량은 DBPSK 방식에 의하여 이진 부호화되어 DBPSK 2bit(522-1)로 저장되어 인포메이션 파트(520)의 두 번째로 배치된 시퀀스 1(522)에 매핑된다.
또한, 인포메이션 파트(520)에 세 번째로 배치된 시퀀스 0(523)와 두 번째로 배치된 시퀀스 0(522) 간의 위상 변화량은 DBPSK 방식에 의하여 이진 부호화되어 DBPSK 3bit(523-1)로 저장되어 인포메이션 파트(520)의 세 번째로 배치된 시퀀스 0(523)에 매핑된다.
한편, 도 5에서는 인포메이션 파트(520)가 세 개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더 많은 수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프리앰블 심볼 삽입부(210)는 동기 파트(510)와 인포메이션 파트(520)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을 프레임에 삽입하는데, 여기서, 동기 파트(510)에 포함되어 있는 동일한 시퀀스(511, 512)는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고, 인포메이션 파트(520)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다른 시퀀스(521, 522, 523)는 인포메이션 파트(520)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주파수 오프셋과 위상 변화량에 기초하여 본래 신호의 위상을 찾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복수의 제2 시퀀스는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일 수 있다. 여기서, 쟤도프 추 시퀀스는 시간 및 주파수 영역에서 일정 신호 레벨(constant envelop)을 가지므로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Peak to Average Power Ratio, 이하 PAPR이라 칭함) 특성이 좋으면서도 주파수 영역에서 우수한 채널 추정 성능을 보인다.
또한, 쟤도프 추 시퀀스는 Non-zero 쉬프트에 대한 순환 자동 상관(circular autocorrelation)이 0인 특성이 있다. 따라서, 동일 쟤도프 추 시퀀스를 사용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장치들은 쟤도프 추 시퀀스의 순환 쉬프트(cyclic shift) 값을 서로 상이하게 함으로써 구분할 수 있다.
즉, 쟤도프 추 시퀀스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경우에 상관 값이 다르게 산출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앰블 심볼에 쟤도프 추 시퀀스를 삽입함으로써, 동기 파트(510)에 포함되는 두 개의 동일한 쟤도프 추 시퀀스(511, 512)는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고, 인포메이션 파트(520)에 포함되는 복수의 쟤도프 추 시퀀스(521, 522, 523)는 서로 인접한 쟤도프 추 시퀀스 간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위상 변화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복수의 제2 시퀀스는 동일한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에 위상 값 0도를 곱한 것과 위상 값 180도를 곱한 것인 것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수신 장치(700)는 수신부(710) 및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장치(700)는 일 예로 DVB-T2 방식이 적용된 방송신호 수신 장치일 수 있다. DVB-T2 방식이 적용된 방송신호 수신 장치는 프리앰블 검출부(미도시), OFDM demodulator(미도시), 프레임 디맵퍼(미도시), BICM decoder(미도시) 및 스트림 생성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복수의 안테나에서 전송되는 프리앰블 심볼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전송되는데, 프리앰블 검출부(미도시)는 복수의 안테나로 전송되는 프리앰블 심볼들을 구별할 수 있다.
또한, OFDM demodulator(미도시)는 OFDM 복조를 수행하고 프레임 디맵퍼(미도시)는 수신하고자 하는 부호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BICM decoder(미도시)는 수신 신호를 복호화하고, 스트림 생성부(미도시)는 복호화된 신호를 기초로 방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DVB-T2 방식이 적용된 방송신호 수신 장치의 프리앰블 검출부(미도시)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수신부(710)는 동기 파트(synchronization part)와 인포메이션 파트(information part)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동기 파트와 인포메이션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시퀀스에 기초하여 프레임 내에서 각 시퀀스의 길이 단위로 딜레이시키고, 상관기의 출력 값을 모두 곱하여 산출되는 가장 크기가 큰 값에 대응되는 위치에 프리앰블 심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동기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고, 인포메이션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시퀀스에 기초하여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여 주파수 오프셋 및 위상 변화량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심볼의 시그널링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수신된 프리앰블 심볼의 동기 파트(510)에 포함된 두 개의 동일한 시퀀스(511, 512)에 기초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동일한 시퀀스(511, 512)는 동일한 위상을 갖으므로, 이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수신된 프리앰블 심볼의 인포메이션 파트(520)에 포함된 복수의 시퀀스(521, 522, 523)에 기초하여 인포메이션 파트(520)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복수의 시퀀스(521, 522, 523) 각각에 매핑되어 있는 인포메이션 파트(520)의 위상 변화량에 관한 신호에 기초하여 위상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측정된 주파수 오프셋 및 위상 변화량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심볼의 시그널링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복수의 제2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딜레이시키면서 각 시퀀스들을 연속적으로 비교하여 주파수 오프셋 및 위상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복수의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딜레이시키면서 각 시퀀스들을 연속적으로 비교하여 주파수 오프셋 및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쟤도프 추 시퀀스 상관기와 상관기의 출력을 시퀀스의 길이 단위로 딜레이시켜 위상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710)가 도 5에 도시된 쟤도프 추 시퀀스 5개(511, 512, 521, 522, 523)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을 수신하고,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수신된 프리앰블 심볼의 동기 파트(510)에 포함된 두 개의 쟤도프 추 시퀀스(511, 512)에 기초하여 주파수 오프셋(840)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수신된 쟤도프 추 시퀀스 5개(511, 512, 521, 522, 523)를 인포메이션 파트(520)의 가장 오른쪽에 배치된 쟤도프 추 시퀀스(523)부터 쟤도프 추 시퀀스 상관기 출력을 순차적으로 딜레이시킬 수 있다.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수신된 쟤도프 추 시퀀스 5개(511, 512, 521, 522, 523)를 수신 장치(700)에 저장된 쟤도프 추 시퀀스와 코릴레이션하고, 순차적으로 딜레이시키면서 인접한 쟤도프 추 시퀀스 간의 위상 변화(810, 820, 830)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된 쟤도프 추 시퀀스 간의 위상 변화(810, 820, 830)는 인포메이션 파트(520)의 위상 변화를 의미한다.
그리고,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순차적으로 딜레이시키면서 검출한 인접한 쟤도프 추 시퀀스 간의 위상 변화(810, 820, 830)에서 검출된 주파수 오프셋(840)을 일괄적으로 뺀 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동기 파트와 인포메이션 파트의 복수의 연속된 시퀀스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심볼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연속된 쟤도프 추 시퀀스의 상관기의 출력 값이 시퀀스의 길이 단위로 일정하게 피크가 발생한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시퀀스의 길이 단위로 딜레이된 상관기 출력 값을 모두 곱하여 산출되는 가장 큰 값에 대응되는 위치에 프리앰블 심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쟤도프 추 시퀀스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을 예로 들어 딜레이시켜 위상 변화를 측정하는 모듈이 4개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더 많은 수의 쟤도프 추 시퀀스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의 경우 그에 맞게, 딜레이시켜 위상 변화를 측정하는 모듈의 개수도 증가하게 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프리앰블 심볼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수신된 프리앰블 심볼(1000)에 포함된 두 개의 동일한 시퀀스 0(1010, 1020)에 기초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복수의 시퀀스(1030, 1040, 1050)에 기초하여 위상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는데, 시퀀스 0(1020)과 다음에 배치된 시퀀스 1(1030)는 180도의 위상 변화가 있음을 측정할 수 있고, 시퀀스 1(1030)과 다음에 배치된 시퀀스 1(1040)는 0도의 위상 변화가 있음을 측정할 수 있으며, 시퀀스 1(1040)과 다음에 배치된 시퀀스 0(1050)는 180도의 위상 변화가 있음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동기 파트와 인포메이션 파트의 복수의 연속된 시퀀스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심볼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720)는 두 개의 동일한 시퀀스만 있으면,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반영하여 위상 변화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 내에서 동기를 맞추기 위한 시퀀스가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비율이 더 늘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률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700)는 하나의 시퀀스만 가지고 있으면 모든 신호를 검출하고 복원할 수 있으므로, 수신 장치(700)의 구조도 간소화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방법에 따르면, 동기 파트(synchronization part)와 인포메이션 파트(information part)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을 프레임에 삽입할 수 있다(S1110).
그리고, 프리앰블 심볼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S1120).
여기서, 동기 파트는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인포메이션 파트는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시퀀스 각각은 서로 동일하고, 복수의 제2 시퀀스에는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에 관한 신호가 각각 매핑되어 있으며, 위상 변화량은 복수의 제2 시퀀스 중 인접한 제2 시퀀스들 간의 위상 변화량일 수 있다.
여기서, 위상 변화량에 관한 신호는, DBPSK(Differential Binary Phase Shift Keying)방식을 사용하여 변조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복수의 제2 시퀀스는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일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복수의 제2 시퀀스는, 동일한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에 위상 값 0도를 곱한 것과 위상 값 180도를 곱한 것인 것일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방법에 따르면, 동기 파트(synchronization part)와 인포메이션 파트(information part)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고, 동기 파트와 인포메이션 파트의 복수의 연속된 시퀀스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심볼을 검출할 수 있다.(S1210)
여기서, 검출하는 단계는, 프레임 내에서 각 시퀀스의 길이 단위로 딜레이된 상관기 출력 값을 모두 곱하여 산출되는 가장 크기가 큰 값에 대응되는 위치에 프리앰블 심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동기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고, 인포메이션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시퀀스에 기초하여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S1220).
또한, 주파수 오프셋 및 위상 변화량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심볼의 시그널링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S1230).
여기서, 측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복수의 제2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딜레이시키면서 각 시퀀스들을 연속적으로 비교하여, 주파수 오프셋 및 위상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 시퀀스 각각은 서로 동일하고, 복수의 제2 시퀀스에는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에 관한 신호가 각각 매핑되어 있으며, 위상 변화량은 복수의 제2 시퀀스 중 인접한 제2 시퀀스들 간의 위상 변화량이다.
여기서, 위상 변화량에 관한 신호는, DBPSK(Differential Binary Phase Shift Keying)방식을 사용하여 변조된 신호이다.
그리고,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복수의 제2 시퀀스는,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일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복수의 제2 시퀀스는 동일한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에 위상 값 0도를 곱한 것과 위상 값 180도를 곱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동기 파트(synchronization part)와 인포메이션 파트(information part)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을 프레임에 삽입하는 단계 및 프리앰블 심볼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동기 파트(synchronization part)와 인포메이션 파트(information part)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동기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고, 인포메이션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시퀀스에 기초하여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주파수 오프셋 및 위상 변화량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심볼의 시그널링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200: 송신 장치 210: 프리앰블 심볼 삽입부
220: 송신부 700: 수신 장치
710: 수신부 720: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

Claims (24)

  1. 동기 파트(synchronization part)와 인포메이션 파트(information part)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을 프레임에 삽입하는 프리앰블 심볼 삽입부; 및
    상기 프리앰블 심볼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 파트는 상기 프리앰블 심볼의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는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시퀀스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는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동일한 시퀀스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 각각 및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퀀스 간 위상 변화량이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 각각에 맵핑된, 송신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 각각에 맵핑된 위상 변화량은,
    DBPSK(Differential Binary Phase Shift Keying)방식을 사용하여 변조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는,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는,
    동일한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에 위상 값 0도를 곱한 것과 위상 값 180도를 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6. 동기 파트(synchronization part)와 인포메이션 파트(information part)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동기 파트와 인포메이션 파트의 복수의 연속된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앰블 심볼을 검출하고, 상기 동기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앰블 심볼의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고,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주파수 오프셋 및 상기 위상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앰블 심볼의 시그널링 데이터를 검출하는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는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동일한 시퀀스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 각각 및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퀀스 간 위상 변화량이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 각각에 맵핑된, 수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딜레이시키면서 각 시퀀스들을 연속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주파수 오프셋 및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심볼 검출부는,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각 시퀀스의 길이 단위로 딜레이된 상관기 출력 값을 모두 곱하여 산출되는 가장 크기가 큰 값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프리앰블 심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 각각에 맵핑된 위상 변화량은,
    DBPSK(Differential Binary Phase Shift Keying)방식을 사용하여 변조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는,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는,
    동일한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에 위상 값 0도를 곱한 것과 위상 값 180도를 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3. 동기 파트(synchronization part)와 인포메이션 파트(information part)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을 프레임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앰블 심볼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 파트는 상기 프리앰블 심볼의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는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시퀀스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는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동일한 시퀀스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 각각 및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퀀스 간 위상 변화량이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 각각에 맵핑된,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 각각에 맵핑된 위상 변화량은,
    DBPSK(Differential Binary Phase Shift Keying)방식을 사용하여 변조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는,
    재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는,
    동일한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에 위상 값 0도를 곱한 것과 위상 값 180도를 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18. 동기 파트(synchronization part)와 인포메이션 파트(information part)를 포함하는 프리앰블 심볼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기 파트와 인포메이션 파트의 복수의 연속된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앰블 심볼을 검출하고, 상기 동기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1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앰블 심볼의 주파수 오프셋을 측정하고,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에 포함된 복수의 제2 시퀀스에 기초하여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오프셋 및 상기 위상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앰블 심볼의 시그널링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는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동일한 시퀀스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 각각 및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시퀀스 간 위상 변화량이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 각각에 맵핑된,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를 순차적으로 딜레이시키면서 각 시퀀스들을 연속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주파수 오프셋 및 상기 인포메이션 파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각 시퀀스의 길이 단위로 딜레이된 상관기 출력 값을 모두 곱하여 산출되는 가장 크기가 큰 값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프리앰블 심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21. 삭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 각각에 맵핑된 위상 변화량은,
    DBPSK(Differential Binary Phase Shift Keying)방식을 사용하여 변조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는,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복수의 제2 시퀀스는,
    동일한 쟤도프 추(Zadoff-Chu) 시퀀스에 위상 값 0도를 곱한 것과 위상 값 180도를 곱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30166444A 2013-08-05 2013-12-30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ctive KR102097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48,106 US9621396B2 (en) 2013-08-05 2014-07-31 Transmitter, receiver,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PCT/KR2014/007184 WO2015020382A1 (en) 2013-08-05 2014-08-04 Transmitter, receiver,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62215P 2013-08-05 2013-08-05
US61/862,215 2013-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869A KR20150016869A (ko) 2015-02-13
KR102097543B1 true KR102097543B1 (ko) 2020-04-07

Family

ID=52573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444A Active KR102097543B1 (ko) 2013-08-05 2013-12-30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5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5822A1 (en) 2008-03-07 2009-09-10 Miika Sakari Tupala System and Methods for Receiving OFDM Symbols Having Timing and Frequency Offsets
US20110013729A1 (en) 2009-07-16 2011-01-20 Yuba Tadaaki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reception system
US20110099445A1 (en) 2009-10-28 2011-04-28 Sony Corporatio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and reception system
US20120230453A1 (en) 2011-03-10 2012-09-13 Himax Media Solutions, Inc. Channel estimation and symbol boundary dete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646B1 (ko) * 2003-10-16 2010-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입다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를위한 프리앰블 전송 방법
GB2471870A (en) * 2009-07-15 2011-01-19 Sony Corp Recovering data from OFDM symbols at a receiv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5822A1 (en) 2008-03-07 2009-09-10 Miika Sakari Tupala System and Methods for Receiving OFDM Symbols Having Timing and Frequency Offsets
US20110013729A1 (en) 2009-07-16 2011-01-20 Yuba Tadaaki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reception system
US20110099445A1 (en) 2009-10-28 2011-04-28 Sony Corporatio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and reception system
US20120230453A1 (en) 2011-03-10 2012-09-13 Himax Media Solutions, Inc. Channel estimation and symbol boundary det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869A (ko) 2015-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1396B2 (en) Transmitter, receiver,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US10911276B2 (en) Transmitter, receiver and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179198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전송 방법 및 장치
US8498242B2 (en) Cell search based on beac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112439B2 (ja) 送信機、ペイロードデータ送信方法、受信機、ペイロードデータ検出および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13785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398552B2 (en) Beacon assisted cell searc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404507B2 (en) Implicit signaling in OFDM preamble with embedded signature sequence, and cyclic prefix and postfix aided signature detection
KR102130658B1 (ko) 송신장치,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10206137A1 (en) Watermarked based physical layer authentication method of transmitters in ofd communications systems
US20100135422A1 (en) Pream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fdm system
CN107771382A (zh) 发射机和接收机以及发射和接收方法
US107352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detecting preamble symbol
US9838174B2 (en) Broadcasting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90500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97543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159981A2 (en) OFDM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US959078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KR102244944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19331A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GB2547267A (en) Transmitter, receiver and methods
WO2009005333A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nd a method of transmtiing and receiving a signal
JP2010239272A (ja) Ofdm送信装置、ofdm受信装置、ofdm伝送システム及びofdm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