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6852B1 - 지하 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 배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852B1
KR102096852B1 KR1020190150073A KR20190150073A KR102096852B1 KR 102096852 B1 KR102096852 B1 KR 102096852B1 KR 1020190150073 A KR1020190150073 A KR 1020190150073A KR 20190150073 A KR20190150073 A KR 20190150073A KR 102096852 B1 KR102096852 B1 KR 102096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connector
drainage system
drain pipe
underground drain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민성
목명균
Original Assignee
주민성
목명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민성, 목명균 filed Critical 주민성
Priority to KR1020190150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8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6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tecting foundations from destructive influences of moisture, frost or vib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표면 아래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지하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지표면 아래에 설치되어 지표면 아래에서 흐르는 물을 배수하는 복수의 드레인파이프; 상기 복수의 드레인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1개 이상의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에 의해 상기 드레인파이프를 연결하여 설치되는 지하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하 배수 시스템{Underground drainage system}
본 발명은, 보도, 자전거도로, 산책로, 공원, 광장, 운동장, 옥상녹화시설, 사면, 골프장 등의 지반 내부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지하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도, 공원, 광장, 사면 등에 비가 내리게 되면, 일부는 지반 내부에 흡수되고, 일부는 표면으로 배출되어 하수도의 집수정으로 유입된다. 빗물의 효율적인 활용과 도시 녹화, 열섬현상 완화 등을 위해서는 지반 내부에서 적절한 양의 물을 함유하면서 지하로 스며든 빗물을 신속하게 하수도로 배출하여야 한다.
빗물의 배수를 위한 배수 장치로 유공관을 사용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도로, 보도, 농로 등의 쇄석층에 매설되어 지하로 스며든 빗물을 배수하게 된다.
일반적인 유공관은 합성수지 재질로 된 원통형 관으로 다수의 통공이 뚫려 있고, 다수의 통공을 통해 물이 유공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유공관의 내부를 통해 물이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유공관은 설치 후 초기에는 배수 성능에 큰 문제가 없으나, 시공 후 일정기간이 지남에 따라 이물질, 토사, 식물뿌리 등이 통공을 막게 되어 배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통공 막힘에 의한 배수성능 저하는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해당 도로, 보도의 관리자가 성능저하를 관리하기가 어려워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어려우며, 통공이 막혀 피해를 입었을 경우, 유공관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재시공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이물질로 인해 유공관의 통공이 막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공관의 외면을 부직포로 감싸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부직포 역시 이물질, 미세한 토사 등으로 막히게 되어 배수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0001은, 상부측에 스틸 그레이팅(12)이 조립되고 하부측에는 우수를 하천 또는 맨홀로 배수시키도록 배수관로(14)가 형성되어 도로(100)와 보도(200)가 서로 인접되는 경계면에 설치되는 하수블록(10)과, 고무 투수블록(20)이 조립되는 다수의 블록조립부(31)가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우수를 배출시키는 배수로(32)가 설치되며, 상기 블록조립부(31)와 배수로(32)의 양쪽 경계면(33)에는 소정의 크기로 되는 길이가 긴 슬릿홈(331)이 서로 마주하도록 길게 천공되어 블록조립부(31)에서 발생되는 우수를 슬릿홈(331)과 배수로(32)를 통해 하수도로 배수시키도록 하수블록(10)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조립되는 배수트랩(30)과, 체결공(41)으로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구(42)가 구비되어 고무 투수블록(20)의 양쪽 가장자리면을 배수트랩(30)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40)과, 내측에 우수집수부(51)가 형성되는 몸체의 외주면에 배수로(32)의 걸림돌기(321)에 안착되는 걸림턱(5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52)과 직교되는 직교면(53)에 배수구멍(531)이 천공되고, 하부측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파이프조립공(55)이 천공되어 배수트랩(30)의 배수로(32)에 끼워지는 집수관(50)과, 일측단은 상기 파이프조립공(55)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수블록(10)의 배수관로(14)와 연통되는 파이프조립공(15)에 각각 체결밴드(62)로 고정되어 배수트랩(30)으로 집수된 우수를 하수블록(10)으로 배수시키는 배관파이프(60)와, 손잡이(72)가 구비되는 그물망으로 형성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80)와 함께 집수관(50)의 배수로(32)에 장착되는 여과망(70)과, 상기 여과망(70)이 조립되는 집수관(50)의 우수집수부(51) 상면부를 밀폐시키도록 양쪽에 손잡이(92)가 대향되게 설치되는 덮개(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단지내의 보도 배수구조에 관한 것인데, 특허문헌 0001은 부속품이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간단하면서도 배수효과가 탁월한 배수 시스템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634746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배수성능이 저하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배수가 가능하고, 탁월한 배수 성능을 발휘하는 지하 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기간이 짧으며, 자재비와 시공비가 저렴한 지하 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조립의 간편성, 모듈화를 통해 일반적인 도로, 보도, 자전거도로, 산책로 뿐만 아니라, 가로수 주변, 공원, 광장, 운동장, 옥상녹화시설, 사면, 골프장 등 다양한 시설에 적용 가능한 지하 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표면 아래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지하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지표면 아래에 설치되어 지표면 아래에서 흐르는 물을 배수하는 복수의 드레인파이프; 상기 복수의 드레인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1개 이상의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에 의해 상기 드레인파이프를 연결하여 설치되는 지하 배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드레인파이프는,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과 배수홈이 구비되어 있고, 지표면 아래의 물이 상기 슬릿과 배수홈을 따라 흘러, 상기 연결구의 내부를 거쳐 상기 드레인파이프 내부를 통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구는, 상기 드레인파이프를 삽입하여 드레인파이프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연결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중앙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의 내면은 상기 중앙부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져 있고, 상기 드레인파이프를 상기 연결부에 억지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구는, 연결부(112)가 2개이고 상기 연결부(112)가 180도 각도를 이루는 1자연결구(110); 연결부(122)가 2개이고 상기 연결부(122)의 사이 각이 180도가 아닌 2지연결구(120); 연결부(132)가 3개인 3지연결구(130); 연결부(142)가 4개인 4지연결구(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파이프는, 슬릿(14)과 배수홈(15)이 구비될 수 있도록 본체부(11), 기둥부(12), 머리부(13)가 일체로 형성된 드레인파이프(100)이거나 슬릿(24)과 배수홈(25)이 구비될 수 있도록 본체부(21), 기둥부(22), 머리부(23)를 포함하는 드레인시트(20)를 관(30)의 외면에 부착한 드레인파이프(2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파이프와 상기 연결구의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부에는 1개 이상의 멈춤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측구, 맨홀, 집수정, 연못, 개울 중 어느 하나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하 배수 시스템을 가로수 주변 지반에 설치하는 가로수 배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지반 배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유공관을 사용하지 않고, 이물질에 의해 막히지 않는 슬릿과 배수홈을 드레인파이프의 외면에 구비함으로써 설치 후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배수성능이 저하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둘째, 드레인파이프와 연결구를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하기 때문에 부착, 결합을 위한 별도의 도구(접착제, 볼트, 앵커 등)가 필요없어 조립과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기간이 짧으며, 시공비가 저렴하다.
셋째, 기성품으로 미리 제작해 놓은 드레인파이프와 연결구를 사용하여, 도로, 공원, 광장, 운동장, 옥상녹화시설, 사면, 골프장 등 다양한 시설에 맞도록 조립만 하면 시공이 가능하므로, 부품의 모듈화와 공사 표준화가 가능하다.
넷째, 연결구는 연결부와 중앙부의 결합구조에 따라 1자연결구, 2지연결구, 3지연결구, 4지연결구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연결구에 드레인파이프를 결합하기만 하면 다양한 구조의 배수 시스템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다.
다섯째, 연결구의 내부에는 멈춤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끼움결합되는 복수의 드레인파이프들의 결합 깊이를 모두 균일하게 결합할 수 있고, 아울러 멈춤돌기는 연결구의 내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지 않고, 간격을 두고 돌기형태로 형성되므로 연결구 내부로 유입된 물의 통수성능에 방해를 주지 않는다.
여섯째, 본 발명의 드레인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모래층을 통과하고, 슬릿을 통과한 물로서, 자연적으로 정화된 깨끗한 물이므로 특별한 처리 없이 재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드레인파이프(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드레인파이프(10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드레인파이프(10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1자연결구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1자연결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2지연결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3지연결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4지연결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1자연결구에 드레인파이프를 연결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1자연결구에 드레인파이프를 결합한 외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배수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배수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드레인시트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드레인파이프(200)의 부분 확대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로, 보도, 자전거도로, 산책로, 가로수 시설, 공원, 광장, 운동장, 옥상녹화시설, 사면, 골프장 등 다양한 시설의 지하에 설치되는 지하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하 배수 시스템은 복수의 드레인파이프와 이들 복수의 드레인파이프를 서로 연결해주는 1개 이상의 연결구를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파이프(100, 200)는 2가지 형태의 실시예가 있다.
첫 번째 실시예인 드레인파이프(100)는, 그 외면에 슬릿(14)과 배수홈(15)이 구비될 수 있도록 본체부(11), 기둥부(12), 머리부(13)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도 2, 3, 4 참조).
도 3에는 본 발명의 드레인파이프(100)가 도시되어 있는데, 드레인파이프(100)는, 파이프의 틀을 이루는 본체부(1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11)로부터 일체로 바깥을 향해 형성되는 기둥부(12)가 구비되며, 상기 기둥부(12)에서 넓이가 넓어진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머리부(13)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12)는 높이의 가운데 부분의 두께가 가장 얇고 위와 아래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는 형태로, 이웃하는 두 개의 기둥부(12)가 아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아치 형태를 이루는 두 개의 기둥부(12) 사이는 원형의 빈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빈공간이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홈(15)이 된다.
상기 기둥부(12)의 위로는 넓어진 형태인 머리부(13)가 구비되는데, 이웃하는 두 개의 머리부(13) 사이로는 상기 배수홈(15)의 폭보다 작은 슬릿(14)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14)을 통해 모래는 통과하지 못하고, 물이 통과되며, 그 물은 배수홈을 통해 배수된다.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모래의 상부에 드레인파이프(100)를 설치하고, 그 위로 모래를 포설하고 다지면, 드레인파이프에는 상당한 토압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머리부(13), 기둥부(12), 본체부(11)로 이어지는 구조가 아치 구조를 이루고 있고, 아칭효과에 의해 토압에 저항하므로, 슬릿(14)과 배수홈(15)의 형태가 무너지지 않고 유지되어 통수성능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인 드레인파이프(200)는, 슬릿(24)과 배수홈(25)이 구비될 수 있도록 본체부(21), 기둥부(22), 머리부(23)를 포함하는 드레인시트(20)를 관(30)의 외면에 부착한 구조이다(도 14, 15 참조).
도 14에는 본 발명의 드레인시트(20)가 도시되어 있다.
드레인시트(20)는 플라스틱, 우레탄, 실리콘과 같은 유연성 있는 소재로 제작하여 도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관(30)의 외면에 부착할 수 있다.
드레인시트(20)는, 바닥을 형성하는 본체부(2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21)로부터 일체로 위를 향해 형성되는 기둥부(22)가 구비되며, 상기 기둥부(22)에서 넓이가 넓어진 형태이고 일체로 형성되는 머리부(23)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22)는 높이의 가운데 부분의 두께가 가장 얇고 위와 아래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는 형태로, 이웃하는 두 개의 기둥부(22)가 아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아치 형태를 이루는 두 개의 기둥부(22) 사이는 원형의 빈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빈공간이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홈(25)이 된다.
상기 기둥부(22)의 위로는 넓어진 형태인 머리부(23)가 구비되는데, 이웃하는 두 개의 머리부(23) 사이로는 상기 배수홈(25)의 폭보다 작은 슬릿(24)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24)을 통해 물이 통과되고 배수홈을 통해 배수된다.
상기 슬릿의 폭은 모래 입자가 통과하지 못하는 폭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모래의 상부에 드레인파이프(200)를 설치하고, 그 위로 모래를 포설하고 다지면, 드레인파이프에는 상당한 토압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때 드레인시트의 상기 머리부(23), 기둥부(22), 본체부(21)로 이어지는 구조가 아치 구조를 이루고 있고, 아칭효과에 의해 토압에 저항하므로, 슬릿(24)과 배수홈(25)의 형태가 무너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파이프(100)와 관(30)은 PVC 등 합성수지, 금속 등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상기 드레인파이프를 삽입하여 드레인파이프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연결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중앙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구는, 연결부(112)가 2개이고 상기 연결부(112)가 180도 각도를 이루는 1자연결구(110); 연결부(122)가 2개이고 상기 연결부(122)의 사이 각이 180도가 아닌 2지연결구(120); 연결부(132)가 3개인 3지연결구(130); 연결부(142)가 4개인 4지연결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배수 뿐만 아니라 상하배수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5지연결구, 6지연결구도 가능하다.
상기 1자연결구(110), 2지연결구(120), 3지연결구(130), 4지연결구(140)는 기본적으로 수평배수를 위한 실시예들인데, 상하방향 배수 기능을 추가할 경우에는 중앙부 상하로 연결부를 형성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연결부(112)가 2개이고 상기 연결부(112)가 180도 각도를 이루는 1자연결구(110)의 측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좌우의 연결부(112) 사이에 중앙부(111)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중앙부(111)에는 멈춤돌기(113)가 구비되고, 멈춤돌기(113)는 1개 이상 설치할 수 있는데, 연결구에 드레인파이프를 정확히 일직선으로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90도 각도로 4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레인파이프는 억지끼움에 의해 연결구에 결합되는데,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연결부의 내면은 상기 중앙부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자연결구(110) 뿐만 아니라, 2지연결구(120), 3지연결구(130), 4지연결구(140) 역시 중앙부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자연결구(110)는 보통 드레인파이프를 수평으로 1자 형태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데, 경우에 따라 상하방향으로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에는, 연결부(122)가 2개이고, 상기 연결부(122)의 사이 각이 180도가 아닌 2지연결구(120)의 평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2개의 연결부(122)가 하나의 중앙부(121)를 매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122)의 사이 각을 90도로 형성하여 전체적인 평면형상이 ㄱ자 형태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2지연결구(120)의 중앙부(121) 내부에도 멈춤돌기(123)가 형성되어 복수의 드레인파이프의 결합깊이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2지연결구(120)의 2개의 연결부(122)의 사이 각을 90도로 하여 드레인파이프를 직각형태로 연결할 때 사용할 수 있고, 2개의 연결부(122)의 사이 각을 90도 보다 크거나(180도 보다는 작게) 작게 하면 2개의 드레인파이프를 직각이 아닌 예각이나 둔각을 이루도록 결합할 수도 있어 보다 다양한 구조의 배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지연결구(120)의 2개의 연결부(122)의 사이 각을 60도로 하여 평면구조가 정삼각형을 이루는 드레인파이프 배치를 이룰 수 있고, 다른 형태의 다각형 구조의 드레인파이프 배치를 형성할 수도 있다.
2지연결구는 또한 경우에 따라 수평방향 물흐름을 상하방향 물흐름으로 변경시키고자 할 때에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이 경우는 도 7이 평면도가 아니라 측면도가 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드레인파이프와 연결구는 특별한 비용이나 별다른 처리 없이도 다양한 구조의 배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에는, 연결부(132)가 3개인 3지연결구(13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3개의 연결부(132)가 하나의 중앙부(131)를 매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아래쪽 2개의 연결부(132)는 180도를 이루고, 아래쪽 2개의 연결부(132)는 위를 향한 연결부(132)와 각각 90도를 이루고 있어, 전체적인 평면형상이 ㅗ자 형태이다.
3지연결구(130)의 중앙부(131) 내부에도 멈춤돌기(133)가 형성되어 복수의 드레인파이프의 결합깊이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3지연결구(130)의 3개의 연결부(132)의 사이 각은 도 8과 같이 90도와 180도로 하여 드레인파이프를 직각형태와 일직선 형태로 연결할 때 사용할 수 있고, 90도 보다 크거나 작게 하여 직각이 아닌 예각이나 둔각을 이루도록 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세 개의 연결부가 모두 120도의 각도를 이루는 형태가 될 경우, 정육각형을 이루는 벌집구조의 배수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3지연결구는 또한 경우에 따라 수평방향 물흐름과 상하방향 물흐름을 교차시키고자 할 때에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이 경우는 도 8이 평면도가 아니라 측면도가 될 것이다).
도 9에는, 연결부(142)가 4개인 4지연결구(14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4개의 연결부(142)가 하나의 중앙부(141)를 중심으로 4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4개의 연결부(142)가 90도 각도를 이루고 있어 전체적인 평면형상이 +자 형태이다.
4지연결구(140)의 중앙부(141) 내부에도 멈춤돌기(143)가 형성되어 복수의 드레인파이프의 결합깊이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4지연결구(140)의 4개의 연결부(142)의 사이 각 역시 90도로 하여 드레인파이프를 직각형태와 일직선 형태로 연결할 때 사용할 수 있고, 90도 보다 크거나 작게 하여 직각이 아닌 예각이나 둔각을 이루도록 결합할 수도 있다.
4지연결구는 또한 경우에 따라 수평방향 물흐름과 상하방향 물흐름을 교차시키고자 할 때에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이 경우는 도 9가 평면도가 아니라 측면도가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드레인파이프(100, 200)와 연결구를 이용한 지하 배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는 1자연결구(110)의 양측으로 드레인파이프(100, 200)가 결합, 연결되어 있는 측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1자연결구(110)에 드레인파이프(100, 200)가 결합, 연결되어 있는 외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하로 유입된 물이 우측의 드레인파이프(100, 200)의 슬릿(14, 24)을 통과하여 배수홈(15, 25)을 통해 흐르게 되고, 이렇게 흐르는 물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1자연결구의 내면과 슬릿(14, 24) 및 배수홈(15, 25)의 사이 공간을 통하여 1자연결구의 내부로 흐르게 되고, 1자연결구의 내부로 흘러온 물은 반대쪽 드레인파이프(100, 200)의 내부 공간으로 흘러가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드레인파이프(100, 200)와 다양한 연결구들을, 배수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시설의 크기와 형태, 구조에 맞춰 조립하고 모래를 포설하기만 하면 본 발명의 지하 배수 시스템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상기 드레인파이프와 상기 연결구의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원형 단면을 사용하면 통수능과 시공편리성이 좋고, 타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하면 파이프의 회전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지하 배수 시스템을 가로수 주변과 보도 및 자전거도로에 적용한 일실시예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드레인파이프(100, 200) 및 1자연결구(110), 2지연결구(120), 3지연결구(130), 4지연결구(140)를 연결하여 배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드레인파이프의 상하로는 모래를 포설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드레인파이프를 통해 배수되는 물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경계석 아래로 통과하여 측구나 맨홀로 배출할 수도 있고, 별도의 집수정으로 배출할 수도 있으며, 드레인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모래에 의해 여과가 된 깨끗한 물이므로 주변에 형성된 연못, 개울, 수변공간 등으로 흘러보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드레인파이프
11. 본체부 12. 기둥부
13. 머리부 14. 슬릿
15. 배수홈
200. 드레인파이프
20. 드레인시트
21. 본체부 22. 기둥부
23. 머리부 24. 슬릿
25. 배수홈
30. 관
110. 1자연결구 111. 중앙부
112. 연결부 113. 멈춤돌기
120. 2지연결구 121. 중앙부
122. 연결부 123. 멈춤돌기
130. 3지연결구 131. 중앙부
132. 연결부 133. 멈춤돌기
140. 4지연결구 141. 중앙부
142. 연결부 143. 멈춤돌기

Claims (10)

  1. 지표면 아래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지하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지표면 아래에 설치되어 지표면 아래에서 흐르는 물을 배수하는 복수의 드레인파이프;
    상기 복수의 드레인파이프를 서로 연결하는 1개 이상의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 배수 시스템은 상기 연결구에 의해 상기 드레인파이프를 연결하여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파이프는,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과 배수홈이 구비되어 있고,
    지표면 아래의 물이 상기 슬릿과 배수홈을 따라 흘러, 상기 연결구의 내부를 거쳐 상기 드레인파이프 내부를 통해 배수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드레인파이프를 삽입하여 드레인파이프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연결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중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내면은 상기 중앙부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져 있고, 상기 드레인파이프를 상기 연결부에 억지끼움 결합하며,
    상기 중앙부에는 1개 이상의 멈춤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배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연결부(112)가 2개이고 상기 연결부(112)가 180도 각도를 이루는 1자연결구(110); 연결부(122)가 2개이고 상기 연결부(122)의 사이 각이 180도가 아닌 2지연결구(120); 연결부(132)가 3개인 3지연결구(130); 연결부(142)가 4개인 4지연결구(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배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파이프는,
    슬릿(14)과 배수홈(15)이 구비될 수 있도록 본체부(11), 기둥부(12), 머리부(13)가 일체로 형성된 드레인파이프(100)이거나
    슬릿(24)과 배수홈(25)이 구비될 수 있도록 본체부(21), 기둥부(22), 머리부(23)를 포함하는 드레인시트(20)를 관(30)의 외면에 부착한 드레인파이프(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배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파이프와 상기 연결구의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배수 시스템.
  8. 삭제
  9.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측구, 맨홀, 집수정, 연못, 개울 중 어느 하나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배수 시스템.
  10.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지하 배수 시스템을 가로수 주변 지반에 설치하는 가로수 배수 시스템.
KR1020190150073A 2019-11-21 2019-11-21 지하 배수 시스템 Active KR102096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073A KR102096852B1 (ko) 2019-11-21 2019-11-21 지하 배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073A KR102096852B1 (ko) 2019-11-21 2019-11-21 지하 배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852B1 true KR102096852B1 (ko) 2020-04-03

Family

ID=7028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073A Active KR102096852B1 (ko) 2019-11-21 2019-11-21 지하 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8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3565A (ja) * 2004-09-15 2006-03-30 National Institute For Rural Engineering 暗渠管用継手
KR100634746B1 (ko) 2006-06-27 2006-10-18 주식회사 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내의 보도 배수구조
JP2006348605A (ja) * 2005-06-16 2006-12-28 Shin Gijutsu Koei Kk ドレーン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3565A (ja) * 2004-09-15 2006-03-30 National Institute For Rural Engineering 暗渠管用継手
JP2006348605A (ja) * 2005-06-16 2006-12-28 Shin Gijutsu Koei Kk ドレーンの接続構造
KR100634746B1 (ko) 2006-06-27 2006-10-18 주식회사 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내의 보도 배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2273B2 (en) Water draining pipe and draining method thereof
US20090279954A1 (en) Debris and sediment reduction apparatus for water drainage systems
US7198432B2 (en) Water resource recycling system
KR101874284B1 (ko) 빗물저장을 위한 배수형 도로 경계석이 구비된 빗물순환 시스템
KR100634746B1 (ko) 공동주택단지내의 보도 배수구조
AU2002365456A1 (en) A method of drainage irrigating and th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673421B1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212271176U (zh) 一种雨水井及道路雨水收集系统
KR102096852B1 (ko) 지하 배수 시스템
KR100799733B1 (ko) 우수 저류 장치
KR20150002028U (ko) 다발관을 이용한 경사면 배수구조
KR101717248B1 (ko) 침투형 배수로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85599B1 (ko) 막힘 방지용 유공관 어댑터
KR101234662B1 (ko) 빗물의 지중유입 및 토사 내부 물의 지상유출 안내를 위한 스트레이너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26719Y1 (ko) 터널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2801542B1 (ko) 모듈형 수로 및 앵글
JP6391008B2 (ja) 雨水貯溜管路構造とそれに用いる雨水桝
KR101757325B1 (ko) 옹벽블록
KR102812604B1 (ko) 이중 배수로구조 어셈블리
CN210621888U (zh) 一种防沉降可拼接地漏
KR101987910B1 (ko) 투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N116289387B (zh) 一种海绵城市坡路雨水收集利用系统
KR102574196B1 (ko) 저류시스템의 시공방법
KR102170898B1 (ko) 가로수의 급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