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634B1 -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5634B1 KR102095634B1 KR1020180030751A KR20180030751A KR102095634B1 KR 102095634 B1 KR102095634 B1 KR 102095634B1 KR 1020180030751 A KR1020180030751 A KR 1020180030751A KR 20180030751 A KR20180030751 A KR 20180030751A KR 102095634 B1 KR102095634 B1 KR 1020956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wall surface
- ground reinforcement
- base portion
- inclined gu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93—Accessor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고정홀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외측에서 인입되어 내부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상기 베이스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밴딩되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홀이 형성된 벽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복수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복수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0)
- 고정홀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외측에서 인입되어 내부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상기 베이스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밴딩되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홀이 형성된 벽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의 내측면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를 경사지게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의 외측면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외측면 중앙 부분과 내측면 중앙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직선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적어도 일부 구간이 곡선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마주하는 한 쌍의 변부에만 형성되거나 4개의 변부에 모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는 4개의 변부에 모두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끼리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벽면부는 판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벽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둔각을 이루도록 연장되며,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외측면 중앙 부분과 내측면 중앙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직선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와이어가 인입되는 부분이 확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마주하는 한 쌍의 변부 또는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는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끼리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끼리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의 측면 테두리에는 후크홀이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의 후크홀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 제1후크가 구비되고, 중앙 부분에 관통홀이 형성된 착탈식 보조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보조판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후크는 상기 착탈식 보조판의 양측 변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후크가 구비된 양측 변부의 사이에 대응하는 꼭지점 부분에서 연장된 플렉서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된 제2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고정홀의 주변 부분에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에는 압축성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0751A KR102095634B1 (ko) | 2018-03-16 | 2018-03-16 |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0751A KR102095634B1 (ko) | 2018-03-16 | 2018-03-16 |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8986A KR20190108986A (ko) | 2019-09-25 |
KR102095634B1 true KR102095634B1 (ko) | 2020-03-31 |
Family
ID=6806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0751A Expired - Fee Related KR102095634B1 (ko) | 2018-03-16 | 2018-03-16 |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563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28765B (zh) * | 2020-01-19 | 2021-07-13 | 厦门楷铭科技有限公司 | 一种训练墙拼装单元及应用该拼装单元拼接的训练墙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57076A (ja) * | 1999-03-05 | 2000-09-19 |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 吹き付け法枠工法、及び吹き付け法枠 |
JP2001295271A (ja) * | 2000-04-11 | 2001-10-26 | Nittoc Constr Co Ltd | 不陸調整マット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45938A (ko) * | 2010-11-01 | 2012-05-09 |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 지반 보강부재의 지압판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 |
KR20170102617A (ko) * | 2016-03-02 | 2017-09-12 | 김용응 | 사면보강공법 및 사면보강장치 |
-
2018
- 2018-03-16 KR KR1020180030751A patent/KR10209563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57076A (ja) * | 1999-03-05 | 2000-09-19 |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 吹き付け法枠工法、及び吹き付け法枠 |
JP2001295271A (ja) * | 2000-04-11 | 2001-10-26 | Nittoc Constr Co Ltd | 不陸調整マッ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8986A (ko) | 2019-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89975B1 (ko) | 아이볼트 및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구조물 전단보강시스템 | |
US11885117B2 (en) | Structure having edge reinforcement on profiled rail | |
KR102095634B1 (ko) |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
KR101926160B1 (ko) | 흙막이 가시설용 띠장 설치공법 및 띠장 | |
KR20090025496A (ko) | 내진성능 보강구조체 | |
KR100690197B1 (ko) | 평판형 쉬어코넥터를 갖는 강재 영구거푸집 보 및 그를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
CN207453814U (zh) | 一种混凝土密封门的钢筋框架结构 | |
KR101939373B1 (ko) | 매립강선과 고정정착구를 이용한 frp 보강근의 이격 정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과 보강구조, 및 이에 의해 보강된 콘크리트 구조물 | |
JP5442365B2 (ja) | 補強梁接合金物 | |
JP6205115B2 (ja) | コーベル及び建築物 | |
KR101730518B1 (ko) | 단편 결속형 철근고정구 | |
KR102028602B1 (ko) | 옹벽패널 측면 보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패널 시공방법 | |
KR100633014B1 (ko) | 흙막이 구조물의 앵커 지지체 및 이를 구비한 띠장 | |
KR102350905B1 (ko) | 강선을 이용한 조적조 내진보강 구조 및 이를 위한 내진보강 공법 | |
JP3882349B2 (ja) | コンクリート部材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工法 | |
KR102074573B1 (ko) |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
KR101959817B1 (ko) | 전단벽체 슬릿 인방 시스템 | |
JP4416589B2 (ja) | 地中埋設中空構造物の補強方法及び地中埋設構造体 | |
JP2004162259A (ja) | 構造物基礎の支持構造 | |
JP2516509B2 (ja) | 地中連続壁の接合構造 | |
JP6188323B2 (ja) | 梁のピン連結構造 | |
KR100975028B1 (ko) | 보강토 옹벽 결합구조 | |
JP5190651B2 (ja) | 壁の補強構造 | |
JP2012112210A (ja) | 耐震壁及び耐震壁の施工方法 | |
KR100656285B1 (ko) | 인장 및 전단 보강을 위한 외부강선의 정착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