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5322B1 -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322B1
KR102095322B1 KR1020190103663A KR20190103663A KR102095322B1 KR 102095322 B1 KR102095322 B1 KR 102095322B1 KR 1020190103663 A KR1020190103663 A KR 1020190103663A KR 20190103663 A KR20190103663 A KR 20190103663A KR 102095322 B1 KR102095322 B1 KR 102095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astener
bolt
fastening hole
pip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규
Original Assignee
김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규 filed Critical 김한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3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st And Diagnosis Of Digital Computer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관통공 및 삽입공이 형성된 비계파이프 몸체와, 일측에 지지대상물이 삽입되도록 ㄷ자 형태의 체결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에 일측면이 고정되는 체결구와,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와 접촉되는 체결구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된 제1 체결공과, 상기 체결구의 상부면에 관통 형성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체결공과, 상기 관통공 및 제1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에 체결구의 일측면을 고정시키는 체결볼트와, 외주면에 상기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체결공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체결 공간에 삽입된 지지대상물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볼트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구의 일측에 하향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부재와, 상기 제2 체결공의 상부면 일측에 상향 돌출되며, 상기 가압볼트의 외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가압볼트의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 돌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너트부와, 상기 제2 체결공의 하부면 일측에 하향 돌출되며, 상기 가압볼트의 외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돌출부와, 상기 가압볼트의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2 돌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 {Clamp of scaffold pipe}
본 발명은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시에 가압볼트의 나사부에 페인트를 포함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이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하며 제거 작업시 발생하는 가압볼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비계파이프는 건축 공사와 선박 건조에 이용되는 것으로, 중공의 파이프이면서 가볍고 강도가 높은 재질로 제작되어 설치와 해체가 편리하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비계파이프는 클램프에 의하여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다수 개가 서로 결합되되, 종래에는 대부분 상기 클램프를 비계파이프의 일측면에 용접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비계파이프의 손상을 유도하여 내구성을 저하시키거나, 열변형을 유발해 공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전반에서 두루 사용되는 클램프에 있어서, 너트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 등은 나사산과 나사골로 이루어진 나사부가 볼트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페인트 등이 묻거나 기름때가 끼이는 등의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볼트의 나사부에 페인트나 기름때 등의 각종 이물질이 묻거나 끼이게 되면 너트에 나사 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이때 볼트와 너트를 무리해서 체결하려고 하거나 체결된 상태에서 강제로 풀려고 하면 볼트나 너트의 나사산이 찌그러지는 등의 파손으로 재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볼트의 나사부가 외부 충격에 의해서 찌그러졌을 시 너트와 체결이 원활하지 못하고, 아울러 찌그러진 볼트의 나사부에 의해 체결되는 너트의 나사결합부까지 쉽게 파손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자에 들어서 작업시 묻은 페인트를 제거하면서 완벽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너트를 클램프에 용접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열변형에 의한 클램프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거나, 오히려 공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2594호(1999.09.1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비계파이프와의 체결과 분리가 용이한 클램프를 제공하여, 클램프의 설치 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비계파이프 용접으로 인한 열변형과 손상을 방지하여 비계파이프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거나, 공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너트에 결합되는 볼트의 나사부에 고착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여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볼트의 나사부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체결되도록 하는 너트가 형성된 클램프를 제공하여, 용접 결합에 의한 열변형을 방지하여 클램프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거나, 공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관통공 및 삽입공이 형성된 비계파이프 몸체와, 일측에 지지대상물이 삽입되도록 ㄷ자 형태의 체결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에 일측면이 고정되는 체결구와,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와 접촉되는 체결구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된 제1 체결공과, 상기 체결구의 상부면에 관통 형성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체결공과, 상기 관통공 및 제1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에 체결구의 일측면을 고정시키는 체결볼트와, 외주면에 상기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체결공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체결 공간에 삽입된 지지대상물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볼트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구의 일측에 하향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부재와, 상기 제2 체결공의 상부면 일측에 상향 돌출되며, 상기 가압볼트의 외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가압볼트의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 돌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너트부와, 상기 제2 체결공의 하부면 일측에 하향 돌출되며, 상기 가압볼트의 외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돌출부와, 상기 가압볼트의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2 돌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구의 일측면에는,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와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는, 관통공 및 제1 체결공에 결합되는 체결볼트에 의하여 비계파이프 몸체에 체결구의 일측면을 고정시킴에 따라 체결구와 비계파이프 간의 체결과 분리가 용이한 클램프를 제공하여, 비계파이프 조립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함과 동시에 용접작업과 같은 불필요한 작업을 생략하여 비계파이프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저하시키거나, 공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해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체결공의 상부면 일측에 상향 돌출되며, 가압볼트의 외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돌출부와, 가압볼트의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 돌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 너트부와, 제2 체결공의 하부면 일측에 하향 돌출되며, 가압볼트의 외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돌출부와, 상기 가압볼트의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2 돌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 너트부를 개시하여, 제2 체결공과 가압볼트의 설치 및 해제 시에 가압볼트의 나사부에 고착된 각종 이물질이 상기 제1 너트부 및 제2 너트부에 의하여 제거됨에 따라 가압볼트의 나사부와 제2 체결공의 나사산의 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볼트의 나사부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체결되도록 하는 제1 돌출부, 제1 너트부, 제2 돌출부 및 제2 너트부가 형성된 클램프를 제공하여, 용접 결합에 의한 열변형을 방지하여 클램프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거나, 공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해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2의 A 방향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B 방향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의 사용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이는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는, 비계파이프 몸체(10)와,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10)에 일측면이 고정되어 철골구조물에 결합되는 체결구(20)로 크게 구성되며, 제1 체결공(30), 제2 체결공(40), 체결볼트(50), 가압볼트(60), 걸림부재(70), 제1 돌출부(41), 제1 너트부(42), 제2 돌출부(43) 및 제 2 너트부를 포함한다.
비계파이프 몸체(10)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중공 파이프 형태로 제작되며, 외주면에 관통공(11) 및 삽입공(1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1) 및 삽입공(12)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관통공(11)에 삽입 결합되는 체결볼트(50)를 통해서 비계파이프 몸체(10)는 체결구(20)와 단단하게 고정되며, 체결구(20)를 통해서 다양한 철골구조물에 결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삽입공(12)에는 체결구(2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부재(70)가 삽입되며,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즉, 상기 체결구(20)는, 체결볼트(50)에 의하여 비계파이프 몸체(10)에 일측면이 고정되어, 철골구조물과의 결합이 가능토록 하며, 이는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2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20)는 일측에 지지대상물이 삽입되도록 ㄷ자 형태의 체결 공간(21)을 형성하며,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10)에 일측면이 고정된다.
상기 체결 공간(21)에는 결합하고자 하는 철골 구조물의 지지대상물이 수용되며, 후술할 가압볼트(60)에 의해 지지대상물은 하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체결구(20)가 철골구조물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20)에는 제1 체결공(30) 및 제2 체결공(40)이 형성되며, 이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한다.
도 3a는 도 2의 A 방향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b는 도 2의 B 방향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공(30)은,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10)와 접촉되는 체결구(20)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1 체결공(30)은 후술할 체결볼트(50)가 관통될 공간을 제공하며,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공(40)은, 상기 체결구(20)의 상부면에 관통 형성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체결공(40)은 후술할 가압볼트(60)가 삽입될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가압볼트(60)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10)와 접촉되는 체결구(20)의 일측면에는,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1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부(80)가 형성되어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10)와 면접촉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10)와 접촉되는 체결구(20)의 일측면에는, 일단에 형성된 제1 체결공(30)부터 타단에 이르는 전면이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체결구(20)와 비계파이프 몸체(10) 간의 넓은 접촉면적을 형성함으로써, 밀착력 향상은 물론 더욱 견고한 결착력 향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부(80)의 내주면에 탄성 재질의 실링부재(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10)의 외주면과 더욱 밀착되어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끄럼을 방지하여 결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무재질 이외에 예컨대 실리콘이나 기타의 밀착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부(80)의 내주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교체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구(20)의 내주면 하부 양측에는 지지대상물과의 결착력을 강화하기 위한 걸림돌기(23)가 형성되며, 이는 체결구(20)가 지지대상물의 일측에 지지된 경우 그 지지위치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20)의 하부 양측은 방사상 내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구의 하부 양측의 결합 각도(a)는 170 내지 177도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구(20)의 하부 양측의 결합 각도(a)가 170도 미만일 경우에는 지지대상물과 체결구(20)의 하부면 간의 접촉면적이 좁아짐에 따라 결착력이 저하되며, 반면 상기 체결구(20)의 하부 양측의 결합 각도(a)가 177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체결구 제작 시 발생되는 단조 공차로 인하여 지지대상물의 지지 위치가 유동될 우려가 있음에 따라 상기의 각도 범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20)의 내측면에 완충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체결구(20)와 지지대상물의 미소한 충돌에 의한 충격력을 완충 흡수하여 손상을 최소화하고, 또한, 지지대상물이 체결구(20)의 내주면에 직접 접촉되어 지지대상물의 도장면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체결구(20)에 관한 설명을 마치며, 이하에서는 체결볼트(50), 가압볼트(60) 및 걸림부재(7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이는 도 4를 참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의 사용예시도이다.
먼저, 체결볼트(50)는 상기 관통공(11) 및 제1 체결공(30)에 결합되며,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10)에 체결구(20)의 일측면을 고정시킨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볼트(50)는, 볼트머리와 상기 볼트머리 일측에 형성되는 볼트축부로 구성된다.
즉, 볼트머리는 상기 제1 체결공(30)에 걸려 고정되며, 볼트축부가 상기 제1 체결공(30) 및 관통공(11)을 통과하여 비계파이프 몸체(10)를 관통하게 되고,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10)를 관통한 볼트축부의 단부에 너트가 체결됨에 따라 체결구(20)가 비계파이프 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볼팅 결합을 통해 견고한 체결이 가능함과 동시에, 비계파이프 몸체(10)로부터 체결구(20)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함에 따라 비계파이프의 설치와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접작업과 같은 불필요한 작업을 생략하여 비계파이프 몸체(10)의 손상을 방지함에 따라 비계파이프 몸체(10)의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공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해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볼트(50)가 결합되는 관통공(11)의 위치에 따라 비계파이프 몸체(10) 상의 체결구(20) 결합위치가 달라지므로, 작업자는 작업환경에 따라 체결볼트(50)의 볼팅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가압볼트(60)는 상기 제2 체결공(4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압볼트(60)는 외주면에 상기 제2 체결공(40)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체결공(4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체결 공간(21)에 삽입된 지지대상물(A)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즉, 체결 공간(21)에 지지대상물(A)이 삽입되면 가압볼트(60)를 수직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지대상물(A)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체결구(20)가 철골구조물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면상에는 하나의 가압볼트(60)가 마련되어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지지대상물(A)의 상부 양측을 균일하게 가압하여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재(70)는, 상기 삽입공(12)에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구(20)의 일측에 하향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는, 비계파이프 몸체(10)가 체결구(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볼트(50)가 풀리더라도 상기 걸림부재(70)가 비계파이프 몸체(10)의 삽입공(12)에 걸리어 지지됨에 따라 체결구(20)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재(70)는 상기 체결구(2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중심축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40 내지 60도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각이 40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상술한 체결구(20)의 이탈 방지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우며, 상기 경사각이 60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급한 경사로 인해 삽입공(12)으로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하에서는 제1 돌출부(41), 제1 너트부(42), 제2 돌출부(43) 및 제2 너트부(44)의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이는 도 5를 참조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41)는 상기 제2 체결공(40)의 상부면 일측에 상향 돌출되며, 상기 가압볼트(60)의 외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 너트부(42)는 상기 가압볼트(60)의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 돌출부(41)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너트부(42)는 상기 제2 체결공(40)의 나사산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제1 너트부(42) 및 제2 체결공(40)을 향한 가압볼트(60)의 원활한 체결 및 해제가 가능토록 한다.
즉, 작업 시에 가압볼트(60)를 수직 하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페인트를 포함한 각종 이물질이 상기 가압볼트(60)의 나사부에 묻어 고착되더라도 상기 나사부가 상기 제1 너트부(42)와 체결됨에 따라 상기 나사부에 고착된 각종 이물질이 상기 제1 돌출부(41) 및 제1 너트부(42)에 의해 제거되어 가압볼트(60)의 나사부와 제2 체결공(40)의 나사산의 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돌출부(41)의 외측면에는 개방된 제1 배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볼트의 나사부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체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너트의 나사산에 이물질 제거수단을 부착하는 종래기술의 경우, 한 방향으로만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며, 제거된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고 내부의 나사산에 축적되어 끼임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함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을 통해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이물질 제거 및 방출이 동시에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2 돌출부(43)는 상기 제2 체결공(40)의 하부면 일측에 하향 돌출되며, 상기 가압볼트(60)의 외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2 너트부(44)는 상기 가압볼트(60)의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2 돌출부(43)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 너트부(44)는 상기 제2 체결공(40)의 나사산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제2 너트부(44) 및 제2 체결공(40)을 향한 가압볼트(60)의 원활한 체결 및 해제가 가능토록 한다.
즉, 작업 시에 상기 제2 체결공(40)으로부터 가압볼트(60)의 결합 상태를 해제시킬 경우, 페인트를 포함한 각종 이물질이 상기 가압볼트(60)의 나사부에 묻어 고착되더라도 상기 나사부가 상기 제2 너트부(44)로부터 체결 해제됨에 따라 상기 나사부에 고착된 각종 이물질이 상기 제2 돌출부(43) 및 제2 너트부(44)에 의해 제거되어 가압볼트(60)의 나사부와 제2 체결공(40)의 나사산의 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이는 가압볼트(60)의 나사부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하여 제거 작업시 발생하는 나사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 공정수가 줄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거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돌출부(43)의 외측면에는 개방된 제2 배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제1 배출부와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구현함에 따라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41) 및 제2 돌출부(43)는 상하 및 좌우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가압볼트와 제2 체결공의 결합 및 해제 시 양방향으로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함에 따라 보다 완벽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에 관한 설명을 마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 : 지지대상물
10 : 비계파이프 몸체
11 : 관통공
12 : 삽입공
20 : 체결구
21 : 체결 공간
23 : 걸림돌기
30 : 제1 체결공
40 : 제2 체결공
41 : 제1 돌출부
42 : 제1 너트부
43 : 제2 돌출부
44 : 제2 너트부
50 : 체결볼트
60 : 가압볼트
70 : 걸림부재
80 : 안착부

Claims (2)

  1. 관통공 및 삽입공이 형성된 비계파이프 몸체;
    일측에 지지대상물이 삽입되도록 ㄷ자 형태의 체결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에 일측면이 고정되는 체결구;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와 접촉되는 체결구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된 제1 체결공;
    상기 체결구의 상부면에 관통 형성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체결공;
    상기 관통공 및 제1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에 체결구의 일측면을 고정시키는 체결볼트;
    외주면에 상기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체결공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체결 공간에 삽입된 지지대상물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볼트;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구의 일측에 하향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부재;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상기 체결구의 일측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비계파이프 몸체와 면접촉되며, 내주면에 탄성 재질의 실링부재가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제2 체결공의 상부면 일측에 상향 돌출되며, 상기 가압볼트의 외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돌출부;
    상기 가압볼트의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 돌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볼트와의 체결에 의하여 상기 가압볼트의 나사부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너트부;
    상기 제2 체결공의 상부면 타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압볼트와 제1 너트부의 체결에 의하여 제거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배출부;
    상기 제2 체결공의 하부면 일측에 하향 돌출되며, 상기 가압볼트의 외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돌출부;
    상기 가압볼트의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돌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볼트와의 체결에 의하여 상기 가압볼트의 나사부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너트부;
    상기 제2 체결공의 하부면 타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압볼트와 제2 너트부의 체결에 의하여 제거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는,
    내주면 하부 양측이 내향 절곡되어 170 내지 177도의 결합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
  2. 삭제
KR1020190103663A 2019-04-16 2019-08-23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 Active KR102095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44211 2019-04-16
KR1020190044211 2019-04-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322B1 true KR102095322B1 (ko) 2020-03-31

Family

ID=70002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663A Active KR102095322B1 (ko) 2019-04-16 2019-08-23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5322B1 (ko)
ZA (1) ZA20240366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3563B1 (ko) * 2024-08-20 2025-01-09 강태윤 클램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5687Y2 (ja) * 1992-04-30 1998-07-02 株式会社国元商会 パイプクランプ取付け装置
KR200162594Y1 (ko) 1997-10-28 1999-12-15 정몽규 볼트에 묻은 페인트 제거용 너트
JP2006219823A (ja) * 2005-02-08 2006-08-24 Suzutou Kk パイプ支持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パイプ支持装置
KR20120015957A (ko) * 2010-08-13 2012-02-22 장지복 볼트의 나사부 복원용 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5687Y2 (ja) * 1992-04-30 1998-07-02 株式会社国元商会 パイプクランプ取付け装置
KR200162594Y1 (ko) 1997-10-28 1999-12-15 정몽규 볼트에 묻은 페인트 제거용 너트
JP2006219823A (ja) * 2005-02-08 2006-08-24 Suzutou Kk パイプ支持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パイプ支持装置
KR20120015957A (ko) * 2010-08-13 2012-02-22 장지복 볼트의 나사부 복원용 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3563B1 (ko) * 2024-08-20 2025-01-09 강태윤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2403660B (en) 202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2032B2 (en) Lining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fastening lining elements to a support structure
KR102095322B1 (ko) 비계파이프 결합용 클램프
KR20140115596A (ko) 파이프용 클램프
JP2009150124A (ja) 作業機械バケットの横ピン型取り付け具に用いる横ピン
CN104235141A (zh) 一种膨胀螺栓
JP4421647B2 (ja) 道路橋用伸縮継手
KR102070336B1 (ko) 거푸집용 연결핀
JP4062740B2 (ja) 水栓の取付装置
KR200449780Y1 (ko) 볼트체결용 와셔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US20190301517A1 (en) Plastic nut, fastening system and fastening method
KR200466760Y1 (ko) 가설물 고정 클램프
AU2021105472A4 (en) Material handling and/or processing arrangement
KR200364620Y1 (ko) 콘크리트 파일용 조인트
KR101825694B1 (ko) 볼트 풀림 방지장치
CN201148742Y (zh) 安全围护连接夹具
KR20220136847A (ko) 풀림방지 너트
US20080304933A1 (en) Bolt holding member
KR200391347Y1 (ko) 클램프가 구비된 난간지주
CN219159354U (zh) 一种高强度连接的四爪螺母
KR200364658Y1 (ko) 차선규제봉
KR200348579Y1 (ko) 선체블록작업용 가설물의 고정볼트 보호커버
CN110497356A (zh) 大型电机转子装拆护环工装装置
CN215369042U (zh) 一种钢构立柱的固定结构
US11098814B2 (en) Stem coupling
JP2003003508A (ja) マンホール蓋の養生カバー及びその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