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503B1 - 다계층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다계층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계층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다계층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4503B1 KR102094503B1 KR1020130041277A KR20130041277A KR102094503B1 KR 102094503 B1 KR102094503 B1 KR 102094503B1 KR 1020130041277 A KR1020130041277 A KR 1020130041277A KR 20130041277 A KR20130041277 A KR 20130041277A KR 102094503 B1 KR102094503 B1 KR 1020945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c
- information
- picture
- random access
- access poi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04N19/122—Selection of transform size, e.g. 8x8 or 2x4x8 DCT; Selection of sub-band transforms of varying structure or typ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3—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by compressing encoding parameters before transmiss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error resilience
- H04N19/6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error resilience involving the insertion of resynchronisation markers into the bitstre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77—Motion compensation with bidirectional frame interpolation, i.e. using B-pic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계층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NAL 단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NAL 단위의 식별자(nal_unit_type)의 값에 따라서 NAL 단위의 종류를 나타낸 예시들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NAL 단위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CRA 픽처의 슬라이스 헤더 정보를 나타낸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NAL 단위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CRA 픽처의 슬라이스 헤더 정보를 나타낸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계층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계층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계층 비디오 복호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계층 비디오의 영상 순서 결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예측을 수반하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비디오 예측을 수반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개념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부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복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 및 파티션을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심도별 부호화 정보들을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도별 부호화 단위를 도시한다.
도 21, 22 및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24는 표 1의 부호화 모드 정보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관계를 도시한다.
분할 정보 0 (현재 심도 d의 크기 2Nx2N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부호화) | 분할 정보 1 | ||||
예측 모드 | 파티션 타입 | 변환 단위 크기 | 하위 심도 d+1의 부호화 단위들마다 반복적 부호화 | ||
인트라 인터 스킵 (2Nx2N만) |
대칭형 파티션 타입 | 비대칭형 파티션 타입 | 변환 단위 분할 정보 0 | 변환 단위 분할 정보 1 |
|
2Nx2N 2NxN Nx2N NxN |
2NxnU 2NxnD nLx2N nRx2N |
2Nx2N | NxN (대칭형 파티션 타입) N/2xN/2 (비대칭형 파티션 타입) |
Claims (16)
- 다계층 비디오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계층 비디오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다계층 영상 스트림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계층 영상 스트림들 중 기본 계층인 제 1 계층 영상 스트림에 포함된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Random Access Point) 픽처와 대응되며, 제 2 계층 영상 스트림에 포함된 제 2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정보를 구비한 소정 데이터 단위 헤더로부터,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Picture Order Count)와 동일하게 설정된 상기 제 2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의 제 1 부분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 1 POC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소정 데이터 단위 헤더로부터 상기 제 2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의 제 2 부분값에 대한 제 2 POC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제 1 POC 정보 및 제 2 POC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비디오 복호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는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 이전의 IDR(Instantaneous Decoding Refresh) 픽처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리키며,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에 대응되는 이진값이 m(m은 정수) 개의 상위 비트들 및 n(n은 정수) 개의 하위 비트들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POC 정보는 상기 m개의 상위 비트들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제 2 POC 정보는 상기 n개의 하위 비트들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비디오 복호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는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 이전의 IDR 픽처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픽처의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리키며,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에 대응되는 이진값이 m(m은 정수) 개의 상위 비트들 및 n(n은 정수) 개의 하위 비트들로 구성되고, 상기 n개의 하위 비트들을 이용하여 표현가능한 (2^n)개의 순서를 1사이클(cycle)로 정의할 때,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가 상기 IDR 픽처를 기준으로 x*(2^n) (x는 정수)와 {(x+1)*(2^n)-1} 번째 중 어느 하나의 순서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 1 POC 정보는 상기 1사이클의 반복 횟수를 나타내는 x의 값이며, 상기 제 2 POC 정보는 상기 n개의 하위 비트들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비디오 복호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POC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 데이터 단위 헤더로부터 상기 제 1 POC 정보의 이용 여부를 나타내는 소정의 플래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플래그가 상기 제 1 POC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제 1 POC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비디오 복호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는 CRA(Clean Random Access) 픽처 또는 BLA(Broken Link Access) 픽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비디오 복호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데이터 단위 헤더는 SPS(Sequence Parameter Set), PPS(Picture Parameter Set), APS(Adaptation Parameter Set) 및 슬라이스 헤더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비디오 복호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계층 영상 스트림에 포함된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정보를 구비한 소정 데이터 단위 헤더로부터 획득된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제 1 POC 정보 및 제 2 POC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를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제 1 POC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보다 이전의 IDR 픽처의 POC를 0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전의 IDR 픽처 이후에 디스플레이되는 픽처마다 상기 0으로 설정된 POC를 1씩 증가시킴으로써 획득된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제 2 POC와 상기 제 1 POC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제 1 POC와 상기 제 2 POC가 차이가 나는 경우, 상기 다계층 영상 스트림들에 포함된 픽처의 손실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비디오 복호화 방법. - 다계층 비디오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계층 비디오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다계층 영상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상기 다계층 영상 스트림들 중 기본 계층인 제 1 계층 영상 스트림에 포함된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Random Access Point) 픽처와 대응되며, 제 2 계층 영상 스트림에 포함된 제 2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정보를 구비한 소정 데이터 단위 헤더로부터,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Picture Order Count)와 동일하게 설정된 상기 제 2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의 제 1 부분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 1 POC 정보 및 상기 제 2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의 제 2 부분값에 대한 제 2 POC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 1 POC 정보 및 제 2 POC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를 획득하는 수신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다계층 영상 스트림을 복호화하는 다계층 복호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비디오 복호화 장치. - 다계층 비디오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계층 비디오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다계층 영상들을 부호화하여 복수 개의 다계층 영상 스트림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다계층 영상 스트림들 중 기본 계층인 제 1 계층 영상 스트림에 포함된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Random Access Point) 픽처와 대응되며, 제 2 계층 영상 스트림에 포함된 제 2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정보를 구비한 소정 데이터 단위 헤더에,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Picture Order Count)와 동일하게 설정된 상기 제 2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의 제 1 부분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 1 POC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데이터 단위 헤더에 상기 제 2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의 제 2 부분값에 대한 제 2 POC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비디오 부호화 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는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 이전의 IDR(Instantaneous Decoding Refresh) 픽처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리키며,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에 대응되는 이진값이 m(m은 정수) 개의 상위 비트들 및 n(n은 정수) 개의 하위 비트들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POC 정보는 상기 m개의 상위 비트들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제 2 POC 정보는 상기 n개의 하위 비트들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비디오 부호화 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는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 이전의 IDR 픽처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디스플레이 순서를 가리키며,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에 대응되는 이진값이 m(m은 정수) 개의 상위 비트들 및 n(n은 정수) 개의 하위 비트들로 구성되고, 상기 n개의 하위 비트들을 이용하여 표현가능한 (2^n)개의 순서를 1사이클(cycle)로 정의할 때,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가 상기 IDR 픽처를 기준으로 x*(2^n) (x는 정수)와 {(x+1)*(2^n)-1} 번째 중 어느 하나의 순서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 1 POC 정보는 상기 1사이클의 반복 횟수를 나타내는 x의 값이며, 상기 제 2 POC 정보는 상기 n개의 하위 비트들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비디오 부호화 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데이터 단위 헤더에 상기 제 1 POC 정보의 이용 여부를 나타내는 소정의 플래그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POC 정보가 이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POC 정보를 부가하는 단계를 스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비디오 부호화 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는 CRA(Clean Random Access) 픽처 또는 BLA(Broken Link Access) 픽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비디오 부호화 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데이터 단위 헤더는 SPS(Sequence Parameter Set), PPS(Picture Parameter Set), APS(Adaptation Parameter Set) 및 슬라이스 헤더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비디오 부호화 방법. - 다계층 비디오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계층 비디오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다계층 영상들을 부호화하여 복수 개의 다계층 영상 스트림들을 생성하는 다계층 영상 부호화부; 및
상기 다계층 영상 스트림들 중 기본 계층인 제 1 계층 영상 스트림에 포함된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Random Access Point) 픽처와 대응되며, 제 2 계층 영상 스트림에 포함된 제 2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정보를 구비한 소정 데이터 단위 헤더에, 상기 제 1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Picture Order Count)와 동일하게 설정된 상기 제 2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의 제 1 부분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 1 POC 정보를 부가하고, 상기 소정 데이터 단위 헤더에 상기 제 2 랜덤 액세스 포인트 픽처의 POC의 제 2 부분값에 대한 제 2 POC 정보를 부가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층 비디오 부호화 장치.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261624311P | 2012-04-15 | 2012-04-15 | |
US61/624,311 | 2012-04-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6217A KR20130116217A (ko) | 2013-10-23 |
KR102094503B1 true KR102094503B1 (ko) | 2020-03-30 |
Family
ID=49383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41277A Expired - Fee Related KR102094503B1 (ko) | 2012-04-15 | 2013-04-15 | 다계층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다계층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063463A1 (ko) |
KR (1) | KR102094503B1 (ko) |
WO (1) | WO201315779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91913B2 (en) * | 2012-04-24 | 2019-11-26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Identifying a parameter set for decoding a multi-layer video representation |
US9736476B2 (en) * | 2012-04-27 | 2017-08-15 | Qualcomm Incorporated | Full random access from clean random access pictures in video coding |
US9516308B2 (en) | 2012-04-27 | 2016-12-06 | Qualcomm Incorporated | Parameter set updates in video coding |
US9225978B2 (en) | 2012-06-28 | 2015-12-29 | Qualcomm Incorporated | Streaming adaption based on clean random access (CRA) pictures |
US9532052B2 (en) * | 2013-04-08 | 2016-12-27 | Qualcomm Incorporated | Cross-layer POC alignment for multi-layer bitstreams that may include non-aligned IRAP pictures |
KR20150043222A (ko) * | 2013-10-12 | 2015-04-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 레이어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멀티 레이어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
US10212435B2 (en) | 2013-10-14 | 2019-02-19 | Qualcomm Incorporated | Device and method for scalable coding of video information |
US10264272B2 (en) * | 2013-10-15 | 2019-04-16 | Qualcomm Incorporated | Device and method for scalable coding of video information |
US9628820B2 (en) * | 2013-11-19 | 2017-04-18 | Qualcomm Incorporated | POC value design for multi-layer video coding |
WO2015082763A1 (en) * | 2013-12-02 | 2015-06-11 | Nokia Technologies Oy | Video encoding and decoding |
KR102266902B1 (ko) * | 2014-01-13 | 2021-06-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 레이어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멀티 레이어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US9866851B2 (en) | 2014-06-20 | 2018-01-09 | Qualcomm Incorporated | Full picture order count reset for multi-layer codecs |
US11539957B2 (en) * | 2019-06-20 | 2022-12-27 | Tencent America LLC | Layered random access with reference picture resampling |
US11810123B1 (en) | 2022-05-10 | 2023-11-07 | Capital One Services, Llc | System and method for card present account provisioning |
US11995643B2 (en) | 2022-05-10 | 2024-05-28 | Capital One Services, Llc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temporary virtual payment card |
US11587053B1 (en) | 2022-05-10 | 2023-02-21 | Capital One Services, Llc |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ccount provisioning |
US11606360B1 (en) | 2022-05-10 | 2023-03-14 | Capital One Services, Llc | System and method for multi-account provisioning |
US11887103B2 (en) | 2022-05-10 | 2024-01-30 | Capital One Services, Llc |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ransaction account provisioning |
US20250024050A1 (en) * | 2023-07-10 | 2025-01-16 | Nokia Technologies Oy | Encoding and Decoding for Multi-Format Bitstrea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3179B1 (ko) | 2005-04-01 | 2007-10-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비동기 픽쳐의 모션 벡터를 압축/복원하는 방법 및 그방법을 이용한 장치 |
US20140064363A1 (en) | 2011-09-27 | 2014-03-06 | Jonatan Samuelsson | Decoders and Methods Thereof for Managing Pictures in Video Decoding Process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811897C (en) * | 2004-04-28 | 2014-06-03 | Panasonic Corporation | Moving picture stream generation apparatus, moving picture coding apparatus, moving picture multiplexing apparatus and 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 |
DE602005026277D1 (de) * | 2004-06-02 | 2011-03-24 | Panasonic Corp | Bildcodierungsvorrichtung und bilddecodierungsvorrichtung |
EP2348710B1 (en) * | 2004-07-01 | 2015-07-29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Random access video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
KR100837722B1 (ko) * | 2006-08-07 | 2008-06-1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계층적 부호화 환경에서 pocs 기반의 에러 은닉 방법 |
JP5056560B2 (ja) * | 2008-03-17 | 2012-10-24 | 富士通株式会社 | 符号化装置、復号化装置、符号化方法および復号化方法 |
EP2304955B1 (en) * | 2008-07-26 | 2017-03-29 | Thomson Licensing | A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packetization method for fast channel change applications using scalable video coding (svc) |
JP5332773B2 (ja) * | 2009-03-18 | 2013-11-06 | ソニー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
US9106927B2 (en) * | 2011-09-23 | 2015-08-11 | Qualcomm Incorporated | Video coding with subsets of a reference picture set |
CN104160706B (zh) * | 2012-01-20 | 2018-12-28 | 诺基亚技术有限公司 | 对图像进行编码的方法和装置以及对图像比特流进行解码的方法和装置 |
-
2013
- 2013-04-15 KR KR1020130041277A patent/KR10209450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4-15 US US14/394,644 patent/US2015006346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04-15 WO PCT/KR2013/003154 patent/WO201315779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3179B1 (ko) | 2005-04-01 | 2007-10-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비동기 픽쳐의 모션 벡터를 압축/복원하는 방법 및 그방법을 이용한 장치 |
US20140064363A1 (en) | 2011-09-27 | 2014-03-06 | Jonatan Samuelsson | Decoders and Methods Thereof for Managing Pictures in Video Decoding Process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Advanced video coding for generic audiovisual services(H.264), 2012년 1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157797A1 (ko) | 2013-10-24 |
KR20130116217A (ko) | 2013-10-23 |
US20150063463A1 (en) | 2015-03-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94503B1 (ko) | 다계층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다계층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2135966B1 (ko) | 복호화기의 버퍼 관리를 위한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1997039B1 (ko) |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 상태 식별을 위한 비디오 데이터의 다중화 방법 및 장치, 역다중화 방법 및 장치 | |
KR102252319B1 (ko) | 시간적 스케일러빌러티를 갖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시간적 스케일러빌러티를 갖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2180470B1 (ko) | 다계층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다계층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2270788B1 (ko) | 멀티 레이어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멀티 레이어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2219907B1 (ko) |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2177831B1 (ko) |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
KR20150035667A (ko) | 랜덤 액세스를 위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20140095442A (ko) |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20140122200A (ko) |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2047492B1 (ko) |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스케일러블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20150033194A (ko) | 병렬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20140048802A (ko) | 멀티 레이어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멀티 레이어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20130119381A (ko) |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20140091494A (ko) |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
KR20140122191A (ko) | 멀티 레이어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멀티 레이어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2114416B1 (ko) |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다시점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KR102219909B1 (ko) |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멀티 레이어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4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