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426B1 - Ground crop collecting device for ground crop harvester - Google Patents
Ground crop collecting device for ground crop harves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4426B1 KR102094426B1 KR1020190130520A KR20190130520A KR102094426B1 KR 102094426 B1 KR102094426 B1 KR 102094426B1 KR 1020190130520 A KR1020190130520 A KR 1020190130520A KR 20190130520 A KR20190130520 A KR 20190130520A KR 102094426 B1 KR102094426 B1 KR 1020944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derground
- crop
- link
- collection device
- ang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124569 Lycaenidae Species 0.000 claims 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4000017020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626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08 swee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 A01D17/1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with smooth conveyor belts, lath bands or rake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0—Digging machines with potato-picking implements
- A01D21/04—Digging machines with potato-picking implements with rotating picking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진 농경지에서 굴취(掘取) 된 땅속작물이 그 경사져 기울어진 측으로 편중된 상태에서도 땅속작물 수확기의 이송수단 중앙 측으로 모아 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수확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땅속작물 수확기의 프레임 선단 양측에 땅속작물을 굴취하기 위한 농경지의 경사진 기울기에 따라 그 기울어진 측의 각 모음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각각의 제1,2 작동링크를 수동방식 또는 자동방식에 의해 소정각도로 펼쳐 고정한 후 굴취 된 땅속작물을 이동수단 측으로 모으도록 하면서 상기 제1,2 작동링크를 펼치기 위한 스프링의 탄력보다 큰 부하 발생시 펼쳐진 상기 제1 작동링크의 각도를 상기 스프링이 인장되면서 완만하게 접혀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땅속작물 수확기용 땅속작물 모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에 따라 경사져 기울기를 가지는 농경지에서도 굴취 된 땅속작물의 수확이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harvest work to be smoothly carried out by allowing the harvest work to be smoothly collected as the underground crop excavated from the sloping farmland can be gathered toward the central side of the transport means of the crop harvester even when it is biased toward the inclined side. The first and second working links,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each vowel plate on the inclined side according to the inclined slope of the agricultural land for excavating underground crops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frame, are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a manual method or an automatic method. After collecting the excavated underground crops toward the moving means, when the load greater than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for spreading the first and second working links occurs, the angle of the first working link is expanded so that the spring is stretched and folded gently. It is to provide an underground crop collection device for an underground crop harvester.
Accordingly, even in agricultural lands that have a slanted slope, harvesting of crops excavated under the ground has an effect that can be quickly and smoothly performed without hassle or inconvenie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땅속작물 수학기용 땅속작물 모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사진 농경지에서 굴취(掘取) 된 땅속작물이 그 경사져 기울어진 측으로 편중된 상태에서도 땅속작물 수확기의 이송수단 중앙 측으로 모아 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수확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땅속작물 수확기용 땅속작물 모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ground crop collection device for an underground crop mathematics machine, so that the underground crop excavated from the inclined farmland can be collected to the central side of the transport means of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even when biased to the inclined side. It relates to an underground crop collection device for an underground crop harvester so that the harvesting work can be smoothly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box.
일반적으로 땅속작물에는 감자, 고구마, 양파, 마늘, 당근 등이 이에 속하며, 이러한 땅속작물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수확할 경우, 일일이 땅속을 파헤치면서 수확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경비의 소모가 큰 문제점을 가진다. In general, underground crops include potatoes, sweet potatoes, onions, garlic, and carrots, and when harvesting by hand, the underground crops need to be harvested by digging into the ground. Have
그에 따라 근래 들어서는 경운기나 트랙터 등의 농업용 견인차량의 후미에 연결하여 그 견인차량의 동력을 전달받아 땅속작물을 수확하는 땅속작물 수확기가 사용되고 있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an underground crop harvester has been used that harvests underground crops by receiving the power of the towing vehicle by connecting to the rear of an agricultural towing vehicle such as a cultivator or tractor.
통상적인 땅속작물 수확기는 본체 프레임에 견인차량의 동력을 전달받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 전방 측에 땅속의 땅속작물을 굴취하는 굴취 수단과, 상기 굴취 수단의 후방에 동력전달수단과 공지된 방식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굴취 된 땅속작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방식 또는 롤러 이송방식 등과 같은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A conventional underground crop harvester receives power from a traction vehicle to the main frame,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excavation means for excavating the subterranean crop i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and behind the excavation means It includes a conveying means such as a conveyor method or a roller conveying method for conveying underground crops excavated while being rotated by being connected by a power transmission means and a known method.
이러한 땅속작물 수확기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공보 제20-1996-000400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399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88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523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1037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6602호 등에 게시된 바 있다(이하 '선행기술문헌들'이라 한다). Prior arts related to the harvester of the underground crop include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6-0004000,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53996,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68882,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 -1195232,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71037 and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76602 have been publish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s').
상기한 선행기술문헌들은 대부분이 동력전달방식이나 무진동, 특히 땅속에서 굴취 된 땅속작물에 묻어 있는 흙을 털어내는 기술들이 대부분이다. Most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s are mostly power transmission methods or vibration-free, in particular, techniques for shaking off the soil buried in underground crops excavated from the ground.
그러나 선행기술문헌들의 땅속작물 수확기는 땅속작물을 굴취하고자 하는 농경지가 비교적 평평한 수평상태에는 원활하게 땅속작물을 수확할 수 있었으나, 경사진 농경지에서 굴취 된 땅속작물은 그 경사져 기울어진 측으로 작물이 편중된 상태로 모임에 따라 이를 원활하게 수확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However, the crop harvester of the prior art documents was able to harvest the crop smoothly in a horizontal state in which the farmland to excavate the crop was relatively flat, but the crop harvested from the sloping farmland was biased toward the inclined side.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cannot be harvested smoothly depending on the meeting.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경사진 농경지에서 굴취(掘取) 된 땅속작물이 그 경사져 기울어진 측으로 편중된 상태에서도 땅속작물 수확기의 이송수단 중앙 측으로 모아 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수확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땅속작물 수확기용 땅속작물 모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specific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is gathered to the central side of the transport means of the crop harvester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underground crop excavated from the inclined farmland is biased toward the inclined sid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collecting underground crops for an underground crop harvester so that the harvesting oper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quality.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모음장치의 펼쳐지는 범위를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최대한 넓은 폭으로 펼쳐지면서 그 펼쳐지는 폭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specific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set the unfolding range of the vowel device, as well as to unfold the width as wide as possible to limit the unfolding width.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모음장치에 의해 땅속작물을 모으는 과정에서 모음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의 탄지력 보다 큰 부하 발생시 모음 플레이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specific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amage to the collection plate when a load greater than the spring holding force of the spring supporting the collection plate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underground crops by the collection device.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땅속작물 수확기용 땅속작물 모음장치는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되면서 농경지의 땅속작물을 굴취 후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시키는 땅속작물 수확기에 구비되는 모음장치로서, 상기 모음장치는 땅속작물 수확기의 프레임 선단 양측에 한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이 서로 상이한 각도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각각의 모음장치는 땅속작물 수확기의 프레임 선단 각 내면에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 상기 장착 브래킷의 후방 측에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측에 모음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제1 작동링크, 상기 제1 작동링크의 선단에 중간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후단이 상기 제1 작동링크와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작동 링크 및, 상기 장착 브래킷의 전방과 제2 작동링크의 선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2 작동링크의 각도로 형성하는 각도형성부재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1 작동링크에 돌출 형성되어 제2 작동링크의 접촉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스토퍼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각도형성부재에 의해 제1 작동링크와 제2 작동링크가 설정된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1 작동링크의 모음 플레이트에 스프링의 탄력보다 큰 부하 발생시 상기 스프링이 인장되면서 스토퍼가 제2 작동링크의 접촉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nderground crop collection device for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specific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is a collection provided in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to be transported by a conveying means after excavating the underground crop of agricultural land while being towed by a towing vehicle As a device, the collection device is provided as a pair on both sides of the frame tip of the crop harvester, each provided to be fixed at different angles, each collection device is mounted on each inner surface of the frame tip of the crop harvester Mounting bracket, a first working link having an end rotatably provided on a rear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and having a collection plate mounted inside, an intermediate portion rotatably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first working link, and a rear end having the first end A second working link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working link and a spring, and an angle forming member formed between the front of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tip of the second working link to form an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working links. On the other hand, a state in which the first working link and the second working link maintain the set angle by the angle forming member by including a stopper protruding from the first working link and sliding along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working link.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liding stopper along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operating link as the spring is tensioned when a load greater than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on the collection plate of the first operating link.
삭제delete
상기 수동방식의 각도형성부재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겹쳐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신축 앵글과, 상기 각 신축 앵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딩 위치를 제어하도록 체결구로 체결 고정되는 각각의 장방형 형태의 고정공을 포함한다. The angle forming member of the manual method is fixed to each of the rectangular shape that is fastened and fixed with fasteners to control sliding position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telescopic angles and at least two of which are slidably provided by overlapping each other. Includes the ball.
상기 자동방식의 각도형성부재는 실린더이다. The automatic angle forming member is a cylinder.
상기 제2 작동링크는 부메랑 형태로 둔각 범위 내의 각도로 형성된다. The second operation link is formed in an angle within an obtuse angle range in a boomerang shape.
상기 제2 작동링크에 의해 모음 플레이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스프링의 탄력보다 큰 부하 발생시 상기 모음 플레이트의 펼쳐진 각도가 완만하게 접히도록 상기 스프링이 인장되면서 스토퍼와 접한 상기 제2 작동링크의 접촉면이 접혀지는 방향으로 소정 폭만큼 슬라이딩 됨에 따라 접히는 것을 포함한다.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working link in contact with the stopper is folded while the spring is tensioned so that the unfolded angle of the collection plate is gently folded when a load greater than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occurs when the collection plate is extended by the second operation link. As it is slid by a predetermined width, it includes folding.
상기 장착 브래킷에는 각도형성부재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장착공이 더 구비된다. The mounting bracket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ch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ngle forming member.
상기 모음 플레이트는 제1 작동링크에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선단 측에 굴취 된 땅속작물을 이송수단 측으로 모으도록 구비되는 모음판을 포함한다. The collection plate includes a mounting plate mounted on the first operation link, and a collection plate provided to collect the underground crop excavat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mounting plate toward the transport means.
본 발명은 경사진 농경지에서 굴취(掘取) 된 땅속작물이 그 경사져 기울어진 측으로 편중된 상태에서도 땅속작물 수확기의 이송수단 중앙 측으로 모아 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수확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사져 기울기를 가지는 농경지에서도 굴취 된 땅속작물의 수확이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harvesting operation to be performed smoothly as the underground crop excavated from the sloping farmland can be collected to the central side of the transport means of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even when biased to the inclined side. Even in agricultural lands with slopes, harvesting of excavated underground crops has the effect that it can be done quickly and smoothly without hassle or inconvenience.
또한, 모음장치의 펼쳐지는 범위를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최대한 넓은 폭으로 펼쳐지면서 그 펼쳐지는 폭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경지의 경사진 기울기 정도에 따라 모음장치의 펼쳐지는 정도 또한 적정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In addition, by setting the unfolding range of the collection device, as well as by expanding the width as wide as possible, by limiting the unfolding width, the unfolding degree of the collection device is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inclined slope of the farmland. It also has an effect that can be used.
또, 모음장치에 의해 땅속작물을 모으는 과정에서 모음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의 탄지력 보다 큰 부하 발생시 모음 플레이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음 플레이트를 안전하게 사용함은 물론 그 사용기간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underground crop by the collection device, damage to the collection plate can be prevented when a load greater than the spring holding force of the spring supporting the collection plate is prevented, so that the collection plate can be safely used and its service life can be extended as much as possible. It also has th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땅속작물 수확기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 내지 제4는 본 발명의 모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접힌 상태, 펼쳐진 상태, 펼쳐진 후 부하 발생에 따른 일부 접혀진 상태의 평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이 땅속작물 수확기에 장착되어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각도형성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attached to the crop harvest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is a folded state for explaining the vowe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lded state, a plan view of a partially folded state according to a load generated after being unfolded,
5 to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crop harvester,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ngle form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땅속작물 수확기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제4는 본 발명의 모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접힌 상태, 펼쳐진 상태, 펼쳐진 후 부하 발생에 따른 일부 접혀진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이 땅속작물 수확기에 장착되어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attached to the crop harvest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4 is a folded state for explaining the coll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folded state, and a partially folded state due to the load after unfolding 5 to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crop harvester.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땅속작물 수확기(100)는 공지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통상의 경운기나 트랙터 등과 같은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되면서 땅속작물을 굴취 후 통상적인 컨베이어 방식 또는 롤러 이송방식 등과 같은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As shown, the conventional
그러나 통상적인 땅속작물 수확기(100)는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한 바와 같이 경사진 농경지에서 굴취 된 땅속작물은 그 경사져 기울어진 측으로 작물이 편중된 상태로 모임에 따라 이를 원활하게 수확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However, the conventional under-
본 발명은 경사진 농경지에서 굴취(掘取) 된 땅속작물이 그 경사져 기울어진 측으로 편중된 상태에서도 땅속작물 수확기의 이송수단 중앙 측으로 모아 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수확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땅속작물 수확기용 땅속작물 모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harvest work to be smoothly performed as the underground crop excavated from the sloping farmland can be gathered to the central side of the transport means of the crop harvester even when the soil crop is biased toward the inclined sid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llection device for underground crops for harvesting.
본 발명에 따른 모음장치(1)는 상기 모음장치는 땅속작물 수확기의 프레임 선단 양측에 한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이 서로 상이한 각도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각각의 모음장치는 땅속작물 수확기(100)의 프레임(110) 선단 양측에 땅속작물을 굴취하기 위한 농경지의 경사진 기울기에 따라 그 기울어진 측의 각 모음 플레이트(40)가 구비되는 각각의 제1,2 작동링크(20)(30)를 수동방식 또는 자동방식에 의해 소정각도로 펼쳐 고정한 후 굴취 된 땅속작물을 이동수단 측으로 모으도록 하면서 상기 제1,2 작동링크(20)(30)를 펼치기 위한 스프링(25)의 탄력보다 큰 부하 발생시 펼쳐진 상기 제1 작동링크(20)의 각도를 상기 스프링이 인장되면서 완만하게 접혀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The
Each collection device is provided with each
상기에서, 자동방식의 각도형성부재(10)는 실린더이며, 상기 수동방식의 각도형성부재(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겹쳐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글 자음의 디귿("ㄷ") 자 형태의 신축 앵글(10A)과, 상기 각 신축 앵글(10A)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딩 위치를 제어하도록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체결구로 체결 고정되는 각각의 장방형 형태의 고정공(10B)을 포함한다. In the above, the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모음장치는 경사진 기울기를 가지는 농경지의 기울기에 따라 그 기울어진 측의 각 모음 플레이트가 구비된 각 제1,2 작동링크를 수동방식 또는 자동방식에 의해 소정각도로 펼쳐 고정한다.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farmland having an inclined slope, the coll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unfolds and fixes each first and second operation link provided with each collection plate on the inclined side at a predetermined angle by a manual method or an automatic method. do.
그에 따라 땅속작물 수확기에 의해 굴취 된 땅속작물이 그 경사진 기울기를 가지는 농경지의 일측으로 편중될 때, 경사져 기울어진 측의 펼쳐진 본 발명 모음장치의 각 모음 플레이트에 의하여 이송수단의 중앙 측으로 원활하게 모을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when the underground crop excavated by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is biased to one side of the farmland having the inclined slope, it is smoothly collected to the central side of the conveying means by each collection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ion device on the inclined side. It is possible.
그로 인해 견인되는 과정에서 굴취 된 땅속작물이 이송수단으로 원활하게 올라가도록 함에 따라 이송수단에 의해 신속하고 원활하게 수확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harvest quickly and smoothly by the conveying means as the underground crop excavated during the towing process smoothly rises to the conveying means.
특히, 모음장치는 농경지의 경사진 기울기 정도에 따라 펼쳐지는 범위를 수동방식이나 자동방식에 의해 각각의 제1,2 작동링크의 펼쳐지고 접혀지는 폭을 설정할 수 있는 관계로, 경사진 기울기를 가지는 어떠한 농경지에서도 원활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 또한 제공한다. In particular, the collection device can set the unfolding and folding width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orking links by a manual method or an automatic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farmland. It also provides convenience that can be applied smoothly in agricultural fields.
더욱이 본 발명의 모음장치는 그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이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제1,2 작동링크를 수동방식이나 자동방식에 의한 간단한 작동원리에 의해 접혀지고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새로 제작되는 땅속작물 수확기는 물론 기존의 땅속작물 수확기에도 간단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도 뛰어난 조건을 가진다. Moreover, the coll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complicated structure of its 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links are folded and unfolded by a simple operation principle by a manual method or an automatic method, so that the newly produced underground crop harvester Of course, it also has excellent compatibility that can be used simply by applying it to existing crops of underground crops.
모음장치(1)는 땅속작물 수확기(100)의 프레임(110) 선단 각 내면에 브래킷이나 볼팅 또는 스크류 등에 의해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22)과, 상기 장착 브래킷(22)의 후방 측에 끝단이 힌지 방식 또는 핀 결합방식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측에 굴취 된 땅속작물을 모으는 모음 플레이트(40)가 볼트나 스크류 등에 의해 장착되는 제1 작동링크(20)를 포함한다. The
또한, 상기 제1 작동링크(20)의 선단에 중간 부분이 힌지 방식 또는 핀 결합방식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후단이 상기 제1 작동링크(20)와 스프링(25)으로 탄력지지 되게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작동 링크(3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iddle portion of the
또, 상기 장착 브래킷(22)의 전방과 제2 작동링크(30)의 선단이 힌지 방식 또는 핀 결합방식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동방식 또는 자동방식에 의해 상기 제1,2 작동링크(20)(30)가 접혀지고 펼쳐지도록 하는 각도형성부재(10)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25)과 연결되는 측의 제1 작동링크(20)에 제2 작동링크(3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24)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모음장치는 평상시 땅속작물 수확기의 프레임 선단 측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땅속작물을 모으고자 할 때, 특히 땅속작물을 굴취하고자 하는 농경지가 경사져 기울기를 가질 경우, 그 기울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본 발명의 모음장치를 수동방식 또는 자동방식의 각도형성부재에 의해 펼쳐 굴취 된 땅속작물이 중앙 측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한다. In other words, the coll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folded state toward the front end of the frame of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and when collecting the underground crop, in particular, when the agricultural land to excavate the underground crop has an inclined slope, it is in the inclined direction. The coll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is opened by an angle forming member of a manual method or an automatic method so that the excavated underground crops can be gathered to the central side.
즉,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수동방식 또는 실린더 등과 같은 자동방식에 의해 제1 작동링크의 선단 측에서 중간 부분이 회전되는 기점으로 제2 작동링크를 전방 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제1 작동링크의 후단 또한 장착 브래킷에서 회전되는 부분을 기점으로 전방 측이 장착 브래킷으로부터 이격 되면서 펼쳐지게 되고, 상기 제1 작동링크에 구비된 모음 플레이트 또한 펼쳐짐에 따라 굴취 된 땅속작물을 땅속작물 수확기의 전방 중앙 측으로 모으게 된다. That is, the rear end of the first working link is also rotated by rotating the second working link to the front side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middle part being rotated from the front end side of the first working link by a manual method by the operator by hand or an automatic method such as a cylinder. Starting from the rotating part of the mounting bracket, the front side is spread apart from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collection plate provided in the first operating link is also unfolded to collect the excavated underground crop to the front central side of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부연하자면, 경사져 기울기를 갖는 농경지에는 굴취 된 땅속작물이 그 경사져 기울어진 측으로 편중되는 데, 작업자는 작업의 방향에 따른 농경지의 기울어진 각도를 고려하여 각도형성부재를 작동시켜 굴취된 땅속작물이 중앙측으로 모일 수 있는 적절한 각도를 설정하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인 모음장치의 펼쳐진 모음 플레이트에 의해 땅속작물 수확기의 중앙 측으로 모여지도록 함으로써, 견인되는 땅속작물 수확기에 의해서 수확 또한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Incidentally, in a farmland having an inclined slope, the excavated underground crop is biased toward the inclined side, and the worker operates the angle forming member in consideration of the inclined angle of the farmlan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work, so that the excavated underground crop is centered. It will set the proper angle to gather to the side.
As a result, the harvester can be quickly and smoothly harvested by the towed crop harvester by being gathered toward the central side of the crop harvester by the unfolded collect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장착 브래킷(22)에는 각도형성부재(1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장착공(2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즉, 각도형성부재를 장착 브래킷의 후방 측으로 설치할 경우, 제1,2 작동링크의 작동에 의해 모음 플레이트의 펼쳐지는 범위를 더욱더 넓게 가질 수 있으며, 각도형성부재를 장착 브래킷의 전방 측에 설치할 경우, 후방 측으로 설치하는 것에 비하여, 제1,2 작동링크에 의해 모음 플레이트의 펼치지는 범위를 좁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unting
이는 농경지에 경사진 조건에 따라 모음장치의 모음 플레이트가 펼쳐지는 범위 또한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This has a condition that can be simply set the extent to which the collection plate of the collection device is unfolded according to the inclined conditions on the farmland.
아울러, 상기 제2 작동링크(30)에 의해 모음 플레이트(40)가 펼쳐진 상태에서 스프링(25)의 탄력보다 큰 부하 발생시 상기 모음 플레이트(40)의 펼쳐진 각도가 완만하게 접히도록 상기 스프링(25)이 인장되면서 스토퍼(24)와 접한 상기 제2 작동링크(30)의 접촉면이 접혀지는 방향으로 소정 폭만큼 슬라이딩 됨에 따라 접히는 것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다시 말해서, 땅속작물을 땅속작물 수확기의 중앙 측으로 모으도록 모음 플레이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혹여 돌이나 딱딱한 감자나 고구마 등과 같은 땅속작물에 의해 스프링이 탄력 지지되고 있는 탄력보다 큰 부하가 발생할 경우, 스토퍼에 의해 지지되고 있던 제2 작동링크의 접촉면이 스토퍼 상에서 접혀지는 방향 측으로 순간적으로 소정 폭만큼 슬라이딩 되면서 접혀져 모음 플레이트가 펼쳐진 각도보다 완만한 각도를 가진다. 이는 스프링의 인장에 의해 순간적으로 접혀진다. In other words, if the collection plate is unfolded to collect the underground crop to the central side of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if a load greater than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is supported by the ground crop, such as a stone or hard potato or sweet potato, by a stopper,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working link, which is being supported, is instantaneously slid by a predetermined width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folded on the stopper, so that it is folded and has a gentler angle than the angle at which the collection plate is unfolded. It is momentarily folded by the tension of the spring.
그로 인해 모음 플레이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완만한 각도로 슬라이딩 되어 이동됨으로써, 그 모음 플레이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안전수단의 일환으로 모음 플레이트의 사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하는 기술적 구성이다. As a result, the vowel plat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sliding and moving at a gentle angle in the unfolded state. This is a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can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collection plate as part of safety measures.
또, 상기 제2 작동링크(30)는 통상적인 부메랑 형태로 둔각 범위 내의 각도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다시 말해서, 상기 제2 작동링크는 실린더에 의해 회전되면서 제1 작동링크를 펼쳐지고 접혀지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제2 작동링크의 각도가 예각 범위 내일 경우에는 펼쳐지는 폭이 좁게 한정됨으로 인해 둔각 범위 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ther words, the second working link serves to unfold and fold the first working link while being rotated by a cylinder. When the angle of the second working link is within the acute angle range, the unfolding range is limited because the unfolding width is narrowly limited. It is preferable to form into.
이 또한 실린더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것과 같은 기능으로 모음 플레이트의 펼쳐지는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으로, 농경지의 경사진 기울기의 조건에 따라 제2 작동링크의 각도 또한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is also a 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 for setting the unfolding range of the collection plate with the same function as ch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ylinder, and can be used by selectively applying the angle of the second working link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inclined slope of the farmland. It is desirable.
여기서, 본 발명의 모음장치에 구비되는 모음 플레이트가 장착된 제1 작동링크를 각도형성부재와 직접 연결하여 모음 플레이트를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제1 작동링크와 각도형성부재 사이에 제2 작동링크를 개재시키는 것은 제1 작동링크의 펼쳐지는 범위를 안정적이면서 더욱더 넓은 폭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요한 구성요소인 것이다. Here, the first working link equipped with the vowel plate provided in the vowe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angle forming member so that the vowel plate can be opened and folded, but i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operating link and the angle forming member. 2 The interposing of the working link is an important component for stably expanding the spreading range of the first working link with a wider width.
그리고 상기 모음 플레이트(40)는 제1 작동링크(20)에 볼팅이나 스크류 등에 의해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42)와, 상기 장착 플레이트(42)의 선단 측에 굴취 된 땅속작물을 이송수단 측으로 모으도록 구비되는 모음판(44)을 포함한다. And the
상기에서, 모음판(44)은 굴취 된 땅속작물이 이송수단 측으로 원활하게 모여질 수 있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등과 같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땅속에서 굴취 된 땅속작물을 사각형 형태의 모음판에 의해 최대한 넓은 폭으로 쓸어담듯이 모을 수 있도록 한다. In the above, the
한편, 모음판은 작물 또는 돌 등으로부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재질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vowel plate is preferably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impact from crops or stones.
이로써, 본 발명은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농경지, 특히 경사져 기울기를 가지는 농경지에서 굴취 된 땅속작물을 땅속작물 수확기의 중앙 측으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모아 줌으로써, 경사져 기울기를 가지는 농경지에서도 땅속작물의 수확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complicated technical configuration, but by quickly and smoothly collecting the underground crops excavated from the agricultural land, particularly the agricultural land having an inclined slope by a simple technical configuration, to the central side of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even in farmland having an inclined slop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harvesting crops under the ground.
1 : 땅속작물 모음장치
10 : 각도형성부재 10A : 신축 앵글
10B : 고정공 20 : 제1 작동링크
21 : 장착 공 22 : 장착 브래킷
24 : 스토퍼 25 : 스프링
30 : 제2 작동링크 40 : 모음 플레이트
42 : 장착 플레이트 44 : 모음판
100 : 땅속작물 수확기
110 : 프레임 1: Underground crop collection device
10:
10B: Fixer 20: First working link
21: mounting hole 22: mounting bracket
24: stopper 25: spring
30: second working link 40: collection plate
42: mounting plate 44: collection plate
100: Underground crop harvester
110: frame
Claims (8)
상기 모음장치는 땅속작물 수확기의 프레임 선단 양측에 한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이 서로 상이한 각도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각각의 모음장치는 땅속작물 수확기의 프레임 선단 각 내면에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
상기 장착 브래킷의 후방 측에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측에 모음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제1 작동링크,
상기 제1 작동링크의 선단에 중간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후단이 상기 제1 작동링크와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작동 링크 및,
상기 장착 브래킷의 전방과 제2 작동링크의 선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2 작동링크의 각도로 형성하는 각도형성부재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1 작동링크에 돌출 형성되어 제2 작동링크의 접촉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스토퍼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각도형성부재에 의해 제1 작동링크와 제2 작동링크가 설정된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1 작동링크의 모음 플레이트에 스프링의 탄력보다 큰 부하 발생시 상기 스프링이 인장되면서 스토퍼가 제2 작동링크의 접촉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포함하는 땅속작물 수확기용 땅속작물 모음장치.
As a collection device provided in an underground crop harvester that is towed by a towing vehicle to excavate the crops of the agricultural land and transport them by a transport means,
The collection device is provided as a pair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frame of the crop harvester, each of which is provided to be fixed at different angles,
Each collection device is a mounting bracket mounted to each inner surface of the frame tip of the crop harvester,
A first working link having an end rotatably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and a vowel plate mounted on the inside,
The second operation link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operation link rotatably, and the rear end is rotatably provid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operation link by a spring,
On the other hand, including an angle forming member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working link to form an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working links,
By including a stopper that is protrudingly formed on the first working link and slidable along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working link,
When a load greater than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occurs on the collection plate of the first working link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working link and the second working link are maintained by the angle forming member, the stopper stops the second working link. Underground crop collection device for the underground crop harvester comprising sliding along the contact surface.
상기 각도형성부재는 자동방식 또는 수동방식으로서,
상기 자동방식의 각도형성부재는 실린더이고,
상기 수동방식의 각도형성부재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겹쳐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신축 앵글과, 상기 각 신축 앵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슬라이딩 위치를 제어하도록 체결구로 체결 고정되는 고정공을 포함하는 땅속작물 수확기용 땅속작물 모음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ngle forming member is an automatic method or a manual method,
The automatic angle forming member is a cylinder,
The manual angle forming member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overlapping and slidable sliding angles, and a fixing hole fastened and fixed with a fastener to control sliding position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ngles. Underground crop collection device for crop harvesters.
상기 제2 작동링크는 부메랑 형태로 둔각 범위 내의 각도로 형성되는 땅속작물 수확기용 땅속작물 모음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operating link is a boomerang shape and an underground crop collection device for an underground crop harvester formed at an angle within an obtuse angle range.
상기 모음 플레이트는 제1 작동링크에 장착되는 장착 플레이트, 상기 장착 플레이트의 선단 측에 굴취 된 땅속작물을 이송수단 측으로 모으도록 구비되는 모음판을 포함하는 땅속작물 수확기용 땅속작물 모음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llection plate is a mounting plate mounted to the first working link, the collection device for underground crop harvesters, including a collection plate provided to collect the underground crop excavated at the front end side of the mounting plate to the conveying means 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0520A KR102094426B1 (en) | 2019-10-21 | 2019-10-21 | Ground crop collecting device for ground crop harves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0520A KR102094426B1 (en) | 2019-10-21 | 2019-10-21 | Ground crop collecting device for ground crop harves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4426B1 true KR102094426B1 (en) | 2020-05-26 |
Family
ID=7091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0520A Active KR102094426B1 (en) | 2019-10-21 | 2019-10-21 | Ground crop collecting device for ground crop harves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442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75184A (en) * | 2020-09-26 | 2020-12-15 | 萧县火红果蔬种植农民专业合作社 | Automatic carrot harvester |
KR102636290B1 (en) | 2023-05-18 | 2024-02-14 | 김준희 | Apparatus for harvesting underground crops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4000U (en) | 1994-07-26 | 1996-02-14 | Vacuum cleaner extension tube fixing structure | |
KR200353996Y1 (en) | 2004-04-02 | 2004-06-23 |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 Garlic harvester |
KR20100131316A (en) * | 2009-06-05 | 2010-12-15 | 태호(주) | Agricultural Machinery Grip Device |
KR101195232B1 (en) | 2012-06-27 | 2012-10-29 | 김영석 | Crops harvest machine |
KR200468882Y1 (en) | 2011-07-29 | 2013-09-06 | 이재용 | Harvester |
KR101323850B1 (en) * | 2013-02-06 | 2013-10-31 | 주식회사 불스 | A reaping machine for the crops |
KR101348296B1 (en) * | 2013-07-03 | 2014-01-09 | (주)조은농기계 | Implanted device of crops |
KR101471037B1 (en) | 2013-04-11 | 2014-12-09 | 모영환 | Harvester for underground crops |
KR101676602B1 (en) | 2016-06-02 | 2016-11-15 | 충청남도 태안군(태안군 농업기술센터장) | No vibration type bulbs such harvester |
KR101942277B1 (en) * | 2017-07-14 | 2019-04-11 | 윤병운 | Harvester cultivation of land the crops |
-
2019
- 2019-10-21 KR KR1020190130520A patent/KR10209442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4000U (en) | 1994-07-26 | 1996-02-14 | Vacuum cleaner extension tube fixing structure | |
KR200353996Y1 (en) | 2004-04-02 | 2004-06-23 |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 Garlic harvester |
KR20100131316A (en) * | 2009-06-05 | 2010-12-15 | 태호(주) | Agricultural Machinery Grip Device |
KR200468882Y1 (en) | 2011-07-29 | 2013-09-06 | 이재용 | Harvester |
KR101195232B1 (en) | 2012-06-27 | 2012-10-29 | 김영석 | Crops harvest machine |
KR101323850B1 (en) * | 2013-02-06 | 2013-10-31 | 주식회사 불스 | A reaping machine for the crops |
KR101471037B1 (en) | 2013-04-11 | 2014-12-09 | 모영환 | Harvester for underground crops |
KR101348296B1 (en) * | 2013-07-03 | 2014-01-09 | (주)조은농기계 | Implanted device of crops |
KR101676602B1 (en) | 2016-06-02 | 2016-11-15 | 충청남도 태안군(태안군 농업기술센터장) | No vibration type bulbs such harvester |
KR101942277B1 (en) * | 2017-07-14 | 2019-04-11 | 윤병운 | Harvester cultivation of land the crop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75184A (en) * | 2020-09-26 | 2020-12-15 | 萧县火红果蔬种植农民专业合作社 | Automatic carrot harvester |
KR102636290B1 (en) | 2023-05-18 | 2024-02-14 | 김준희 | Apparatus for harvesting underground crop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94426B1 (en) | Ground crop collecting device for ground crop harvester | |
KR101929387B1 (en) | Harvester cultivation of land the crops | |
KR102556707B1 (en) | Stem cutting device for harvesting dry crops | |
CN105960925B (en) | Double sieve self-balance digging harvesters | |
JP3268289B2 (en) | Folding farm work machine | |
KR102201118B1 (en) | Flattening device for harvester | |
US20040221999A1 (en) | Landscape preparation apparatus | |
KR102326125B1 (en) | A Harvesting Equipment for Bolb Crop Planted in Slope Land | |
KR100920776B1 (en) | Root harvester | |
RU2571053C1 (en) | Fastening device with configuration of double cut for frame elements of agricultural tillage tool | |
US12031294B2 (en) | Ditch blade assembly | |
KR101942277B1 (en) | Harvester cultivation of land the crops | |
KR102471983B1 (en) | A collection type bulb crop extractor for tractors | |
KR102215730B1 (en) | Device for harvesting underground crops and collecting vinyl | |
KR102144689B1 (en) | Digging apparatus for bulbous plants | |
US2923073A (en) | Ditch digger | |
JP4866055B2 (en) | Harvesting machine | |
KR102755431B1 (en) | A Harvesting device of Bulbous plant | |
KR102431181B1 (en) | Bulbs harvester | |
RU132944U1 (en) | POTATO digger | |
JP2568425Y2 (en) | Potato digging machine | |
JP4107756B2 (en) | Root crop crop harvester | |
JPS5936978Y2 (en) | digging equipment | |
KR200213526Y1 (en) | Bucket Attachment Underground Harvester | |
KR200461743Y1 (en) | Crop emission structure for harvesting machine of underground crop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0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91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