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4088B1 -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088B1
KR102094088B1 KR1020180159932A KR20180159932A KR102094088B1 KR 102094088 B1 KR102094088 B1 KR 102094088B1 KR 1020180159932 A KR1020180159932 A KR 1020180159932A KR 20180159932 A KR20180159932 A KR 20180159932A KR 102094088 B1 KR102094088 B1 KR 102094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display device
base film
composite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아림
이세철
허영민
박진석
최상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9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0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등은,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의 일 면 상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부에 유색층이 포함되는 자외선 경화형 시인성개선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필름은 상기 보호필름과 비교하여 380 nm 파장의 빛 투과율이 더 우수한 것인, 표시장치용 복합시트를 제공하여, 자외선 경화 방식으로 표시장치용 복합시트를 제조하여도 우수한 물성이 유지되며, 제조 효율성이 향상된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E SHEET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표시패널(PDP), 전기영동 표시장치(ELD)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들이 개발 중이거나 상품화되어 있다. 실내 전시용 디스플레이는 점점 대형화 및 박형화 되는 추세이고, 실외 휴대용 디스플레이는 소형화 및 경량화 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종 광학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광학필름 중 유색시트는 디스플레이의 종류 및/또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유색시트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제공되는 패턴층을 포함한다. 패턴층은 UV 경화를 통해 형성되고, 이에 따라 기재층은 UV 조사에 대한 내구성을 요구한다. 다만, 종래의 기재층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필름은 UV 조사에 따른 내구성이 떨어져, 패턴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등록 특허 제5737231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5-007905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을 적용한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복합시트는,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 i)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제1굴절층 및 ii) 상기 제1굴절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굴절층보다 작거나 큰 굴절률을 갖는 제2굴절층을 포함하는 시인성개선층; 그리고 상기 시인성개선층 상에 위치하는 보호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필름은 상기 보호필름과 비교하여 380 nm 파장의 빛 투과율이 더 우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은 380 nm 파장의 빛에 대한 광투과율이 8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은 연신필름으로, 아래 식 1로 평가한 MD방향 자외선 내구성이 82 % 이상일 수 있다.
식 1:
Figure 112018124681690-pat00001
상기 식 1에서, 상기 Duv는 자외선 내구성(%)이고, 상기 TSin은 초기 인장강도이며, 상기 TSfn은 0.68W/m2의 출력으로 48 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한 후 측정한 인장강도이다.
상기 기재필름은 연신필름으로, 상기 식 1로 평가한 TD방향 자외선 내구성이 86 %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은 상기 보호필름보다 작은 투습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은 투습도가 16 g/m2.day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상기 표시장치용 복합시트의 타면 상에 위치하는 편광판; 그리고 상기 편광판의 타면 상에 위치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은, 380 nm 파장의 빛에 대한 광투과율이 80% 이상인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과 제1굴절층용 조성물 및 제2굴절층용 조성물을 마련하는 준비단계; i) 상기 기재필름 상에 제1굴절층용 조성물로 제1패턴층을 형성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된 제1굴절층을 형성하는 제1굴절층 형성과정, 그리고 ii) 상기 제1굴절층 상에 상기 제2굴절층용 조성물로 제2패턴층을 형성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2굴절층을 형성하는 제2굴절층 형성과정,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제1굴절층과 제2굴절층을 포함하는 시인성개선층을 마련하는 시인성개선층 형성단계; 및 상기 시인성개선층의 일면 상에 보호필름을 위치시키는 보호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준비단계 이전에 기재필름 제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 제조단계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용 조성물로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형성하고 MD 방향으로 1.0 내지 1.3배 그리고 TD 방향으로 3.0 내지 5.0배로 연신하여 연신필름을 제조하는 연신과정; 그리고 상기 연신필름을 160 내지 230 ℃의 온도로 열고정하여 기재필름을 제조하는 열고정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적용하여 자외선 경화 방식으로 시인성개선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내구성이 유지되거나 그 하락이 최소화되며 광학 특성도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복합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복합시트의 단면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장치용 복합시트를 제조하는 과정을 단면으로 설명하는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또는 “A”, “B”와 같은 용어는 동일한 용어를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계는, 화합물 내에 “~”에 해당하는 화합물 또는 “~”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유도체”는 특정 화합물을 모체로, 작용기의 도입, 산화, 환원, 원자의 치환 등등 모체의 구조와 성질을 변하지 않는 한도에서 변한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A 상에 B가 위치한다는 의미는 A 상에 직접 맞닿게 B가 위치하거나 그 사이에 다른 층이 위치하면서 A 상에 B가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A의 표면에 맞닿게 B가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 표현은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문맥상 해석되는 단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도 1 내지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복합시트의 단면을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장치용 복합시트를 제조하는 과정을 단면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는,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100); 및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 상에 위치하며 굴절률이 서로 다른 제1굴절층과 제2굴절층을 포함하는 시인성개선층(20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는 표시장치용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우수한 광학특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용되는 시인성개선층(200) 외에 표시장치용 복합시트도 일정한 수준 이상의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가져야 한다.
특히, 상기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는 후술하는 제조과정에서 상기 시인성개선층(200)이 자외선 조사에 의한 경화 등의 방식으로 제조되고, 시인성개선층(200) 자체가 다층구조를 갖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우수한 자외선 투과율을 가져야 하고, 1 또는 2회 이상의 반복적인 경화 과정에서도 기재필름(100) 자체의 내구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 기재필름(100)은 후술하는 보호필름과 비교하여 380 nm 파장의 빛 투과율이 더 우수하다.
상기 기재필름(100)은 380 nm 파장의 빛에 대한 광투과율이 80% 이상일 수 있고, 80 내지 99%일 수 있으며, 85 내지 95%일 수 있다. 이렇게 우수한 광투과율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상기 기재필름(100)으로 적용하는 경우, 상기 기재필름(100)을 투과한 빛에 의하여 자외선 경화 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00)의 상기 자외선 내구성은 아래 식 1로 평가된다.
식 1:
Figure 112018124681690-pat00002
상기 식 1에서, 상기 Duv는 자외선 내구성(%)이고, 상기 TSin은 초기 인장강도이며, 상기 TSfn은 0.68W/m2의 출력으로 48 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한 후 측정한 인장강도이다.
상기 기재필름(100)은 위의 식 1에 의하여 평가되는 자외선 내구성이 80% 이상일 수 있고, 80 내지 100%일 수 있으며, 85 % 내지 95%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내구성은 인장강도를 기준으로 평가하며, 상기 기재필름(100)이 연신필름이 때문에, 방향에 따라 다른 자외선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내구성은 MD 방향으로 측정한 자외선 내구성과 TD 방향으로 측정한 자외선 내구성의 값들 중에서 낮은 값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상기 기재필름(100)은 MD방향 자외선 내구성이 82 % 이상일 수 있고, 85 % 이상일 수 있으며, 85 내지 95 %일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00)은 TD방향 자외선 내구성이 86% 이상일 수 있고, 88 % 이상일 수 있으며, 88 내지 94 %일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00)이 이러한 자외선 내구성을 갖는 경우, 반복되는 강한 자외선에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표시장치용 복합시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반복되는 자외선 조사가 진행되더라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는 기재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통상 자외선 경화 시스템을 적용하여 경화층을 형성하는 경우, 기재층 상에 코팅층을 형성한 후, 상기 코팅층 상에 자외선을 직접 조사하는 방식으로 경화층을 형성한다. 또한, 평평한 일면을 갖는 코팅층의 경우, 통상의 코팅 방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한 후에 이 코팅층 상에서 직접 이 코팅층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자외선 경화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효율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기재층을 통과한 자외선에 의해 코팅층을 경화시키는 방식을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시인성개선층(200)은, 시인성 개선층 내에 서로 그 밀도를 달리하는 복수의 층이 그 경계면에 미세한 패턴을 반복적으로 가지면서 적층되고, 이 때 적용되는 패턴의 형태나 각도도 정교하게 제어되는 것이 좋다. 즉, 시인성개선층(200)을 일반적인 코팅층(조성물층)과 마찬가지로 미경화 코팅층을 형성하고 형틀을 이용해 패턴을 형성한 후 형틀을 제거하고 미경화 코팅층의 표면에 직접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를 시도하면, 미세한 패턴의 형태나 각도가 경화되기 전에 변형되기 쉽고, 변형된 상태로 경화될 수 있으며, 코팅액의 점도 등의 제어 면에서도 그 공정이 까다로우며, 불량률이 상당히 커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패턴 형성을 위한 형틀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재 필름(100)의 타면 하에 위치하는 자외선 조사기(300)에서 자외선을 발생시키고, 이 자외선이 상기 기재필름(100)을 통과하여 시인성 개선층 형성을 위한 조성물층에 작용하고 시인성개선층(200)을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 형틀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외선 경화 진행이 가능하므로, 패턴의 형태나 각도가 정교하게 제어된 시인성개선층(200)을 형성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폴리에스테르 필름 형성용 조성물 내에 자외선 흡수제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기재필름(100)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지만 상기 기재필름 내에 실질적으로 자외선 흡수제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필름(100)은 상기 기재필름 전체를 기준으로 자외선 흡수제를 0.1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고, 0.01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를 본 발명의 기재필름(100)에 적용하는 경우, 시인성개선층(200) 형성 과정에서 자외선 경화 시스템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자외선까지도 차단될 수 있기에, 그 사용이 자제된다.
특히,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자외선 경화 시스템이 작동하는 데에 필요한 파장대인 320 내지 380nm의 파장대에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자외선 흡수제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전체를 기준으로 이러한 최대흡수파장을 갖는 자외선 흡수제는 0.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고, 0.01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면내 위상차값(Ro)는 필름의 평면 내의 직교하는 이축의 굴절률의 이방성(ANxy= |nx-ny|)과 필름 두께 d(nm)의 곱(ANxy X d)으로 정의되는 파라미터로서,광학적 등방성 또는 이방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다(아래 식 2 참고).
식 2: Ro = (nx-ny)*d
상기 식 2에서, Ro은 면내 위상차값, d는 필름의 두께, nx은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그리고 ny는 면내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다. 상기 위상차 값은 절대값으로 양수이다.
상기 기재필름(100)은 면내 위상차값(Ro, 550 nm)가 6,500nm 이상일 수 있고, 위상차 편차(Ro)가 7,000nm 이상일 수 있으며, 7,000 내지 300,000 nm일 수 있다. 이러한 면내 위상차값을 갖는 기재필름을 적용하면, 무지개 얼룩이 실질적으로 발생하고 보다 시인성이 향상된 표시장치용 복합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00)은 면내위상각 편차가 상기 면내 위상차값을 기준으로 -5% 내지 +5%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위상차 편차 값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상기 기재필름(100)으로 적용하는 경우, 색상 왜곡이 보다 방지된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두께 방향 위상차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란,필름 두께 방향의 단면에서 봤을 때의 2개의 복굴절인 △Nxz(=|Nx-Nz|), △Nyz(=|Ny-Nz|)에 각각 필름 두께 d를 곱하여 얻어지는 위상차의 평균으로 계산된다(아래 식 3 참고).
식 3: Rth = (nx-nz)*d
상기 식 3에서, Rth는 두께방향 위상차를, d은 필름의 두께를, nx은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그리고 nz은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상기 위상차 값은 절대값으로 양수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00)은 두께 방향 위상차(Rth)가 7,000nm 이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7,000nm 내지 30,000nm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1,000 내지 13,000 nm일 수 있다. 이러한 두께 방향 위상차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상기 기재필름으로 적용하는 경우, 보다 선명하고 시인성이 우수한 복합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00)은 후술하는 보호필름보다 작은 투습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00)은 투습도가 16 g/m2.day 이하일 수 있고, 0.1 내지 15 g/m2.day일 수 있으며, 0.1 내지 10 g/m2.day일 수 있고, 5 내지 9.5 g/m2.day일 수 있다. 이러한 투습도를 갖는 기재필름(100)은 보호필름으로 적용되는 TAC 필름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투습도 특성을 갖는 것이며, 보호필름과 기재필름을 하나의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내에 함께 적용하는 경우 보호필름에 부족한 투습도 특성을 보완하여 모다 물성이 우수한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00)은 그 두께가 30 내지 150 um일 수 있고, 50 내지 120 um일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00)이 위에서 언급한 두께를 갖는 경우, 적절한 내구성과 자외선 투과율을 유지하는 기재필름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00)은 그 두께 편차가 상기 기재필름의 두께를 기준으로 - 2.5 % 내지 + 2.5 % 이내인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두께 편차를 갖는 기재필름(100)을 상기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에 적용하는 경우, 보다 대면적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하여도 우수한 특성을 갖는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00)은 가시광선 투과도가 80 % 이상일 수 있고, 85 내지 98 %일 수 있다.
상기 시인성개선층(200)은 상기 기재필름(100)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자외선 경화형 제1굴절층(210); 그리고 상기 제1굴절층(210)의 일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굴절층(210)의 굴절률보다 크거나 작은 굴절률을 갖는 자외선 경화형 제2굴절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굴절층(210)의 일면은 2 이상의 반복적인 음각 또는 양각 패턴이 형성된 패턴화된 표면(213)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패턴화된 표면(213)은 상기 제1굴절층을 통과하는 빛의 이동 경로를 변화시켜 보다 상기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를 통과하는 빛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패턴화된 표면(213)은 상기 시인성개선층(200) 전체의 설계에 따라 음각 또는 양각의 패턴을 가질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음각인 패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패턴(213)은 상부에 윗면(a)이 하부에 아랫면(b)이 형성되고 이를 연결하는 경사면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단면이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형태인 싱글패턴(215)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반복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윗면(a)은 싱글패턴(215)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굴절층(210)에 도달한 광이 더 많이 확산되게 함으로써 시야각과 휘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싱글패턴(215)의 높이(h)는 25㎛ 이하일 수 있고, 5 내지 18 um일 수 있다. 상기 싱글패턴(215)은 밑각(θ)이 70 내지 89.9°일 수 있고, 80 내지 89°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갖는 싱글패턴(215)을 상기 제1굴절층(210)에 적용하는 경우, 휘도 손실을 최소화하고, 시야각을 크게 하여 시인성이 보다 개선된 복합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싱글패턴(215)의 윗면의 폭(a)과 밑면의 폭 중에서 긴 것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높이(h)의 비율이 0.2 내지 1.1 일 수 있고, 0.4 내지 0.85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측면에서의 명암비와 시야각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싱글패턴(215)은 반복하여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싱글패턴(215) 사이의 거리(p)는 10 내지 40 um일 수 있고, 10 내지 30 um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싱글패턴(215)들이 나란히 위치한 패턴(213)을 갖는 제1굴절층(210)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싱글패턴(215)의 윗면 또는 이웃하는 싱글패턴(215)들 사이에 위치하는 평탄면에 도달한 광이 패턴에 의하여 전반사되어 출사되어 빛을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싱글패턴(215) 사이의 거리에서 상기 싱글패턴의 밑면(b)을 제외한 싱글패턴들 사이의 공간(c)이 상기 싱글패턴의 밑면(b)과 같거나 큰 경우, 시야각이 보다 우수하면서도 모아레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표시장치용 복합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굴절층(210)과 상기 제2굴절층(220)은 굴절률에 서로 차이가 있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굴절층(210)의 굴절률이 제2굴절층(220)의 굴절률보다 0.05 내지 0.28 만큼 큰 것 또는 작은 것이 적용될 수 있고, 0.1 내지 0.25 만큼 큰 것 또는 작은 것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굴절층(210)과 상기 제2굴절층(220) 중에서 큰 굴절률을 갖는 것의 굴절률은 1.51 내지 1.8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굴절층(210)과 상기 제2굴절층(220) 중에서 작은 굴절률을 갖는 것의 굴절률은 1.40 내지 1.50 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굴절률과 굴절률 차이를 갖는 경우, 보다 우수한 광 확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굴절층(210)과 상기 제2굴절층(220)로는 구체적으로 아크릴,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에폭시 수지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굴절률 조절을 목적으로 금속 입자, 세라믹 입자 등이 필요에 따라 혼입되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시인성개선층(200)은 상기 제2굴절층 상에 또는 상기 제1굴절층 하에 위치하는 블랙층(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고).
상기 시인성개선층(200)은 상기 제2굴절층(220) 상에 위치하는 제3굴절층(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고).
상기 제3굴절층(240)은, 구체적으로 아크릴,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에폭시 수지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공기층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3굴절층(240)은 굴절률 조절을 목적으로 금속 입자, 세라믹 입자 등이 필요에 따라 혼입되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제2굴절층(220)과 비교하여 작거나 큰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굴절층(220)은 위에서 설명한 제1굴절층(210)과 유사하게 패턴을 제3굴절층(240)과 가까운 그 일면 상에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굴절층(210)의 패턴과 상기 제2굴절층(220)의 패턴은 90도의 각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굴절층(220)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상기 패턴과 상기 패턴에 포함되는 싱클패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한 것과 동일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시인성개선층(200)은 이러한 구성으로, 입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휘도를 높일 수 있고, 시야각을 넓힘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는 상기 기재필름(100)의 일면 상에 시인성개선층(200)이 위치한다.
상기 시인성개선층(200)은 상기 기재필름(100)의 TD 방향 또는 MD 방향과 상기 싱글패턴(215)이 나란히 형성된 방향이 일치하도록 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가 보다 우수한 시인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는 상기 시인성개선층(200)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보호필름(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700)으로는 등방성 필름이 적용되는 것이 좋으며, 표면강도가 우수한 반사방치 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필름(700)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TAC 필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시인성개선층(200)의 일면과 상기 보호필름(700) 사이에는 접착층(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으로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는 상기 시인성층개선층(200)의 타면 상에 광학용 접착층(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400)으로는 광학용 접측층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는 상기 시인성개선층(200)의 타면 상에 광학용 접착층(400)과 이면시트 또는 편광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는 상기 기재필름(100)으로 상기 보호필름(700)과 비교하여 380 nm 파장의 빛 투과율이 더 우수한 것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필름(100)은 상기 보호필름(700)과 비교하여 380 nm 파장의 빛 투과율이 5배 이상 우수한 것일 수 있고, 10배 이상 우수한 것일 수 있으며, 10 내지 20배 우수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보호필름(700)에 의하여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 전체적으로 자외선으로 인한 노화 진행을 최소화하면서도 기재필름(100)을 통해 시인성개선층(200) 등의 구조를 자외선경화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는 기재필름(100)으로 상기 보호필름(700)보다 더 작은 투습도를 갖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보호필름(700)을 보완하여 상기 기재필름(100)이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의 전체적인 내습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광학용 접착층(400) 상에는 이형필름 또는 편광판(500)이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학용 접착층(400) 상에는 상기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가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적용되기 전까지는 이형필름(500)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편광판(500)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미도시)는 위에서 설명한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 상기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의 타면 상에 위치하는 편광판(미도시) 그리고 상기 편광판의 타면 상에 위치하는 광원(미도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는 상기 표시장치의 편광판의 일면 상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LCD 표시장치, LED 표시장치, OLED 표시장치, 또는 QLED 표시장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LCD, LED 등의 광원과 퀀텀닷을 함께 적용한 QD-LED 또는 QD-LCD 표시장치 일 수 있으며, 퀀텀닷 필름을 도광판 상에 적용한 표시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은 양자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용 복합시트의 구조, 각 층, 각 층의 특성 및 특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복합시트(10)의 제조방법은, 준비단계; 시인성개선층 형성단계; 및 보호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준비단계는 380 nm 파장의 빛에 대한 광투과율이 80% 이상인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과 제1굴절층용 조성물 및 제2굴절층용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100)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또한 상기 기재필름(100)의 제조과정은 이하에서 후술한다.
상기 시인성개선층 형성단계는, 제1굴절층 형성과정, 그리고 제2굴절층 형성과정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제1굴절층과 제2굴절층을 포함하는 시인성개선층(200)을 마련한다.
상기 제1굴절층 형성과정은, 상기 기재필름(100) 상에 제1굴절층용 조성물로 제1패턴층(211)을 형성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된 제1굴절층(210)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상기 제1굴절층용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시스템이 적용된 아크릴 수지 조성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금속 입자나 세라믹 입자와 같이 굴절률 조절 재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필름(100)상에 제1굴절층용 조성물을 적용하여 제1패턴층(211)을 형성한다. 상기 제1패턴층(211)은 적절한 광확산 특성을 갖고 시인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패턴(213)을 형성한다. 상기 패턴(213)은 위에서 설명한 싱글패턴(215)이 반복하여 형성된 구조로, 상기 패턴이 음각 패턴인 경우, 대응되는 양각 패턴을 갖는 패턴틀(250)을 적용하여 패턴을 형성한다. 다만, 제1굴절층용 조성물의 경화가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진행되기 전에 상기 패턴틀(250)을 제거하는 경우 의도하는 특성을 갖는 정교한 패턴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패턴틀(250)이 제1패턴층(211)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기재필름(100)의 타면으로부터 일면 방향으로 투과되는 자외선에 의해 상기 제1패턴층(211)에 포함되는 제1굴절층용 조성물을 경화시킨다.
즉, 상기 제1굴절층 형성과정은, 상기 기재필름(100) 상에 제1굴절층용 조성물로 제1패턴층(211)을 형성하고 상기 기재필름(100)을 통과하여 상기 제1패턴층(211)에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상기 제1굴절층용 조성물이 경화되어 표면에 패턴을 갖는 제1굴절층(210)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상기 제1굴절층(210)에 형성된 후에는 상기 패턴틀(250)은 제거되고 다음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2굴절층 형성과정은, 상기 제1굴절층(210) 상에 상기 제2굴절층용 조성물로 제2패턴층(221)을 형성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2굴절층(220)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상기 제2굴절층용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시스템이 적용된 아크릴 수지 조성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금속 입자나 세라믹 입자와 같이 굴절률 조절 재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굴절층(220)이 그 일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그 타면은 상기 제1굴절층(210)과 대응되는 양각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굴절층(220)은 그 일면에 위에서 설명한 제1굴절층(210)의 패턴과 유사하나 상기 제1굴절층의 패턴과 일정한 각도를 갖는 패턴층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굴절층(220)은 상기 제2패턴층(221)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제2굴절층용 조성물이 경화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자외선 조사는 상기 제2굴절층(220)의 일면 상에서 진행되거나, 상기 제2굴절층(220)의 타면 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굴절층(220)이 그 일면에 패턴을 갖는 경우 또는 작업 효율성 향상을 목적으로, 상기 기재필름(100)과 상기 제1굴절층(210)을 통과한 자외선에 의해 상기 조성물의 자외선 경화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시인성개선층 형성단계는 블랙층 형성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층 형성과정은 상기 제1굴절층 형성과정 이전에 진행될 수 있고, 상기 제2굴절층 형성과정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블랙층 형성과정은 블랙층용 조성물로 미경화블랙층(231)을 형성한 후, 경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블랙층용 조성물은, 카본블랙 등 유색재료와 아크릴 수지 조성물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등이 혼합된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으며, 자외선 경화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블랙층 형성과정은 블랙층용 조성물로 형성된 미경화블랙층(231)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된 블랙층(230)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블랙층 형성과정에서 적용되는 자외선 조사는 블랙층(230)의 일면 상에서 조사될 수 있고, 블랙층(230)의 타면 하에서 상기 기재필름(100)을 통과한 자외선이 상기 미경화블랙층에 적용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시인성개선층 형성단계는 제3굴절층 형성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굴절층 형성과정은, 상기 제2굴절층(220) 상에 상기 제3굴절층용 조성물로 제3패턴층(241)을 형성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3굴절층(240)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상기 제3굴절층용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시스템이 적용된 아크릴 수지 조성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금속 입자나 세라믹 입자와 같이 굴절률 조절 재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패턴층(241)과 상기 제3굴절층(220)을 형성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제2굴절층(220)을 형성하는 과정과 유사하므로 그 자세한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보호단계는 상기 시인성개선층(200)의 일면 상에 보호필름(700)을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보호필름(7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보호단계는 상기 시인성개선층(200) 상에 접착층(미도시)를 형성한 후 상기 보포필름(700)을 부착시키는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준비단계 이전에 기재필름 제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 제조단계는 연신과정 그리고 열고정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연신과정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용 조성물로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형성하고 MD 방향과 TD 방향으로 연신하여 연신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하여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미연신 시트를 폭 방향(transverse direction, tenter direction, TD)과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 LD, mechanical direction, MD)으로 연신하여 연신필름을 제조한다.
MD 방향 연신은 1.0 내지 1.3배로 진행되는 것이 보다 자외선 내구성이 우수하고 자외선 투과율이 우수한 기재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TD 방향 연신은 3.0 내지 5.0배로 진행될 수 있고, 3.5 내지 5.0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4.0 내지 4.8배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비율로 상기 연신이 진행되는 경우, 자외선 투과율, 광투과율, 자외선 내구성 등이 우수하여 기재필름으로 활용도가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신의 속도는 연신 속도는 2배/분 내지 8배/분, 2.5배/분 내지 6배/분, 또는 2.5배/분 내지 3배/분일 수 있다.
연신 온도는 75 내지 120 ℃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연신 온도가 낮으면 연신성은 우수하나 필름의 파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신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도 필름 연신 시 백탁 현상 발생 등으로 파단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의 연신 온도는 75 내지 85℃, 폭 방향으로의 연신 온도는 80 내지 120℃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열고정과정은 상기 연신필름을 160 내지 230 ℃의 온도로, 구체적으로 175 내지 215 ℃의 온도로 열고정하여 기재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상기 열고정 온도가 너무 낮으면 필름 수축율이 높아질 수 있고 너무 높으면 파단이 발생하여 제작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열고정은 0.5 내지 10 분, 구체적으로 0.5 내지 5분 동안 진행된 후, 단계적으로 온도를 하강시켜 기재필름(100)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샘플의 제조
실시예 1
에틸렌글리콜과 테레프탈산을 각각 1:1 몰%로 적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SKC 사 제조)를 약 280°C의 압출기를 통하여 용융 압출한 후, 약 25°C의 캐스팅롤에서 냉각하여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미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하기 표 1에 표시된 온도에서, 하기 표 1에 표시된 배율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연신하고, 연신된 필름을 하기 표 1에 표시된 온도에서 열고정하여 기재필름을 형성하였다.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 상에는 자외선 경화의 방식으로 시인성개선층을 형성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인성개선층은 음각 패턴을 갖는 제1굴절률층(저굴절률 패턴층)과 상기 제1굴절률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굴절률층과 90도 회전된 음각패턴을 갖는 제2굴절률층(고굴절률 패턴층) 그리고 제2굴절률층 상에 위치하는 제3굴절률층이 포함되도록 하였다(도 4 참고). 상기 제3굴절률층 상에는 보호필름인 TAC 층을 위치시켰다.
또한, 상기 기재필름의 타면 상에는 접착층을, 그리고 상기 접착층 하에는 이형필름을 위치시켜 추후 편광판 상에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부착할 수 있도록 실시예 1의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3
하기 표 1에 표시된 연신 배율, 연신 온도, 열고정 온도에서 기재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기재필름을 제조했다.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과 타면 상에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시인성개선층, 보호층 등을 형성하여 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및 2
하기 표 1에 표시된 연신 배율, 연신 온도, 열고정 온도 및 두께에서 기재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TAC 필름(triacetylcellulose film)을 구입하여 아래와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평가하여 비교예 3으로 하였다.
샘플명 기재필름 공정 조건
연신 배율 연신 온도
(℃)
열고정 온도
(℃)
두께
(㎛)
MD TD 연신율곱
실시예 1 1.1 4.3 4.73 95 180 81
실시예 2 1.1 4.3 4.73 95 200 80
실시예 3 1 4.3 4.3 95 180 80
비교예 1 1.1 4.3 4.73 95 180 60
비교예 2 3.2 3.8 12.16 140 240 75
비교예 3 1 1 1 - - 60
1. 물성의 평가
1) 인장강도 및 자외선 내구성 평가
기재필름을 만능측정기를 이용하여 인장강도를 각각 MD 방향과 TD 방향으로 측정하였다(초기 인장강도, TSin, 단위: kg/mm2). 구체적으로, KS B 5521에 따라 필름에 하중을 가하여 늘어나는 값에서 최대하중을 필름의 원래 단면적으로 나누어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필름에 큐랩사의 QUV 모델을 이용하여 0.68 W/m2 출력의 자외선에 48시간 동안 노출시키고 난 후에 다시 위와 동일한 기기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노출 후 인장강도, TSfn, 단위: kg/mm2).
이렇게 측정된 값으로 아래 식 1에 적용해 자외선 내구성(Duv, 단위 %)을 평가했다. 그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냈다.
식 1:
Figure 112018124681690-pat00003
2) 자외선 투과율의 측정
자외선 투과율은 시마츠사의 UV2600 기기를 적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파장은 380 nm이었다.
3) 투습도 측정
모콘사의 PERMATRAN_W 모델을 적용하여 투습도를 측정하였다.
4) 두께, 두께편차, 면내 위상차 평가
면내 위상차(in-plane retardation, Ro)은 필름의 평면 내의 직교하는 이축의 굴절률의 이방성(ANxy= |nx-ny|)과 필름 두께 d(nm)의 곱(ANxy X d)으로 정의되는 파라미터로서,광학적 등방성 또는 이방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구체적으로, 직교하는 이축의 굴절률(nx, ny)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nz)을 오츠카사의 굴절률계(RETS, 측정파장 550nm)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필름의 두께 d(nm)는 전기 마이크로미터(밀리트론 1245D, 파인류프 사)를 이용해서 측정한 후 단위를 nm로 환산하였다. 상기 측정된 이축의 굴절률 각각의 차이를 절대값(|nx-ny|)으로 구하고, 필름의 두께 d(nm)를 곱하여(nxy×d) 면내 위상차(Ro)를 구해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냈다.
두께 방향 위상차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란,필름 두께 방향의 단면에서 봤을 때의 2개의 복굴절인 △Nxz(=|Nx-Nz|), △Nyz(=|Ny-Nz|)에 각각 필름 두께 d를 곱하여 얻어지는 위상차의 평균으로 계산된다.
5) 시인성 평가
기재필름의 정면 및 경사방향에서 육안으로 관찰하여 무지개 색 얼룩의 발생 유무에 대해서 판정하여 시인성을 평가하였다. 어느 방향에서도 무지개 색 얼룩의 발생 없거나 경사 방향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매우 연한 무지개색 얼룩이 관착되는 경우에는 Pass, 경사방향에서 관찰했을 때에 명확하게 무지개 색 얼룩이 관찰되는 경우에는 Fail로 평가했다.
MD 인장강도
(kg/mm2)
TD인장강도
(kg/mm2)
자외선 내구성
(%)
시인성
MD TD Pass
실시예 1 9.1 7.8 29.6 26.8 85.4 90.5 Pass
실시예 2 9.1 7.9 29.1 27 86.8 92.8 Pass
실시예 3 8.8 7.8 30 26.7 88.6 89 Pass
비교예 1 9 8.1 25.8 24.2 89.9 93.8 Pass
비교예 2 17.9 10.5 24.6 17.1 58.7 69.5 Fail
비교예 3 17 12.1 15.3 11.4 71.3 74.7 Pass
두께
(㎛)
두께차
(㎛)
두께편차* Ro
(㎚)
Ro
편차**
Rth
(㎚)
UV 투과율
(%, 380nm)
투습도
(g/m2.day)
실시예 1 81 1.5 Pass 8370 Pass 11700 88.9 8.6
실시예 2 80 1.6 Pass 8490 Pass 12100 89.3 9.1
실시예 3 80 1.2 Pass 8660 Pass 11500 90.1 9.2
비교예 1 60 0.6 Pass 6050 Fail 8520 1.8 17.8
비교예 2 75 2.5 Fail 3600 Fail 10940 88.6 9.1
비교예 3 60 1.4 Pass 1.4 Pass 59 6.7 660 이상
* 두께 편차는 측정한 두께의 2.5%에 해당하는 값보다 두께차 값이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Pass로, 더 큰 경우에는 Fail로 평가했다.
** Ro 편차는, 면내위상차를 전폭에 100mm 간격으로 측정하여 그 편차를 평가하여 평균 면내위상차 값을 기준으로 5% 이내의 편차를 보이면 Pass, 5% 초과의 편차를 보이면 Fail로 평가했다.
상기 표 2와 표 3의 결과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3의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은, 자외선 내구성의 면에서 MD 방향과 TD 방향 모두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고, 이는 TAC 필름보다도 우수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특히 이축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비교예 2와 비교하면 월등하게 우수한 결과이며, 이는 복합필름 제조 과정에서 자외선 경화 등의 목적으로 다량의 자외선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사용 환경상 본 발명의 복합필름에 꼭 필요한 특성이다.
아울러, 자외선 경화수지를 활용하여 상기 기재필름 상에 시인성개선층을 형성하고, 상기 시인성개선층도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다층 구조를 가지며, 이는 수 차래의 자외선 경과 과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자외선 투과율의 경우 본 기재필름이 기재필름으로써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여부에 중요한 요소가 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두 85% 이상으로 우수한 자외선투과율을 보였다. 반면에 비교예 1의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이지만 면내 위상차(Ro) 값이 대략 6000 nm의 값을 갖는 것으로, 자외선이 거의 투과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기재필름은 투습도의 면에서도 상당히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는데, 복합필름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고 필름의 내수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특성이며, 비교예 2의 의 경우 필요한 범위 내의 투습도를 가지나 비교예 1의 경우에는 투습도가 떨어지며, 비교예 3의 경우 수분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발명의 기재필름이 수분에 취약한 TAC 필름을 보완하는 역할도 한다는 점을 나타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100: 기재필름
200: 시인성개선층
210: 제1굴절층 211: 제1패턴층
213: 패턴, 패턴화된 표면 215: 싱글패턴
220: 제2굴절층 221: 제2패턴층
230: 블랙층 240: 제3굴절층
241: 제3패턴층 250: 패턴틀
300: 자외선 조사기
500: 이형필름 또는 편광판 600: 접착층
700: 보호필름
a: 윗면, 윗면의 폭 b: 밑면, 밑면의 폭
c: 싱글패턴들 사이의 공간 p: 싱글패턴들 사이의 거리
h: 싱글패턴의 높이 θ: 싱글패턴의 각도

Claims (10)

  1.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
    i)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 상에 위치하는 제1굴절층 및 ii) 상기 제1굴절층의 일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굴절층보다 작거나 큰 굴절률을 갖는 제2굴절층을 포함하는 시인성개선층; 그리고
    상기 시인성개선층 상에 위치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필름은 상기 보호필름과 비교하여 380 nm 파장의 빛 투과율이 더 우수하고,
    상기 기재 필름은 연신필름으로 아래 식으로 평가한TD방향 자외선 내구성이 86% 이상인,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식 1:
    Figure 112019116416081-pat00011

    상기 식 1에서, 상기 Duv는 자외선 내구성(%)이고, 상기 TSin은 초기 인장강도이며,
    상기 TSfn은 0.68W/m2의 출력으로 48 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한 후 측정한 인장강도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380 nm 파장의 빛에 대한 광투과율이 80% 이상인,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연신필름으로, 아래 식 1로 평가한 MD방향 자외선 내구성이 82 % 이상인,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식 1:
    Figure 112019116416081-pat00004

    상기 식 1에서,
    상기 Duv는 자외선 내구성(%)이고, 상기 TSin은 초기 인장강도이며, 상기 TSfn은 0.68W/m2의 출력으로 48 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한 후 측정한 인장강도이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상기 보호필름보다 작은 투습도를 갖는 것인,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투습도가 16 g/m2.day 이하인 것인,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7. 제1항에 따른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상기 표시장치용 복합시트의 타면 상에 위치하는 편광판; 그리고 상기 편광판의 타면 상에 위치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양자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9. 380 nm 파장의 빛에 대한 광투과율이 80% 이상인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과 제1굴절층용 조성물 및 제2굴절층용 조성물을 마련하는 준비단계;
    i) 상기 기재필름 상에 제1굴절층용 조성물로 제1패턴층을 형성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된 제1굴절층을 형성하는 제1굴절층 형성과정, 그리고 ii) 상기 제1굴절층 상에 상기 제2굴절층용 조성물로 제2패턴층을 형성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2굴절층을 형성하는 제2굴절층 형성과정,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제1굴절층과 제2굴절층을 포함하는 시인성개선층을 마련하는 시인성개선층 형성단계; 및
    상기 시인성개선층의 일면 상에 보호필름을 위치시키는 보호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은 연신필름으로 아래 식으로 평가한TD방향 자외선 내구성이 86% 이상인, 표시장치용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식 1:
    Figure 112019116416081-pat00012

    상기 식 1에서, 상기 Duv는 자외선 내구성(%)이고, 상기 TSin은 초기 인장강도이며,
    상기 TSfn은 0.68W/m2의 출력으로 48 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한 후 측정한 인장강도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준비단계 이전에 기재필름 제조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재필름 제조단계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용 조성물로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형성하고 MD 방향으로 1.0 내지 1.3배 그리고 TD 방향으로 3.0 내지 5.0배로 연신하여 연신필름을 제조하는 연신과정; 그리고
    상기 연신필름을 160 내지 230 ℃의 온도로 열고정하여 기재필름을 제조하는 열고정과정;
    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80159932A 2018-12-12 2018-12-12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2094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32A KR102094088B1 (ko) 2018-12-12 2018-12-12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32A KR102094088B1 (ko) 2018-12-12 2018-12-12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088B1 true KR102094088B1 (ko) 2020-03-27

Family

ID=6995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932A Active KR102094088B1 (ko) 2018-12-12 2018-12-12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08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7231B2 (ko) 1979-03-27 1982-08-09
KR20010002729A (ko) * 1999-06-17 2001-01-15 장용균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이층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065094A (ko) * 2007-12-17 2009-06-22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필터
KR100945753B1 (ko) * 2004-02-07 2010-03-05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투사형 스크린
KR20150079054A (ko)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효성 적층형 광학시트
KR101659241B1 (ko) * 2015-11-06 2016-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시인성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80061263A (ko) * 2015-11-13 2018-06-07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889904B1 (ko) * 2017-05-26 2018-08-2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프리즘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7231B2 (ko) 1979-03-27 1982-08-09
KR20010002729A (ko) * 1999-06-17 2001-01-15 장용균 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이층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45753B1 (ko) * 2004-02-07 2010-03-05 에스케이씨하스디스플레이필름(유) 투사형 스크린
KR20090065094A (ko) * 2007-12-17 2009-06-22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필터
KR20150079054A (ko)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효성 적층형 광학시트
KR101659241B1 (ko) * 2015-11-06 2016-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시인성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80061263A (ko) * 2015-11-13 2018-06-07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889904B1 (ko) * 2017-05-26 2018-08-2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프리즘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5572B1 (ko) 액정표시장치, 편광판 및 편광자 보호 필름
JP5585747B1 (ja) 積層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46876B1 (ko) 광대역 파장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원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JP5104373B2 (ja) 位相差板の製造方法
TWI805838B (zh) 積層薄膜
JP7413997B2 (ja) 広帯域波長フィルムの製造方法、並びに円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998648B2 (ja) 位相差板の製造方法、位相差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7059936B2 (ja) 広帯域波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円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032316B1 (ko) 광학 다층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품 및 표시장치
KR102086923B1 (ko)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6131620B2 (ja) 積層位相差フィルム及び積層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413996B2 (ja) 広帯域波長フィルムの製造方法、並びに円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094088B1 (ko) 표시장치용 복합시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9399317B2 (en) Retarder manufacturing method using cross-linked particles of a polymer having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JPWO2006054695A1 (ja) 液晶表示装置
KR101947838B1 (ko) 적층 기재, 적층체, 편광판, 액정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260744B1 (ko) 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52364B1 (ko) 편광판용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85861B1 (ko) 위상차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12399A (ko) 편광판 보호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