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3640B1 - 서포트 바디 및 이를 포함한 척추 스트레칭 기구 - Google Patents

서포트 바디 및 이를 포함한 척추 스트레칭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640B1
KR102093640B1 KR1020180060162A KR20180060162A KR102093640B1 KR 102093640 B1 KR102093640 B1 KR 102093640B1 KR 1020180060162 A KR1020180060162 A KR 1020180060162A KR 20180060162 A KR20180060162 A KR 20180060162A KR 102093640 B1 KR102093640 B1 KR 102093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dy
actuator
frame
coupled
centr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5120A (ko
Inventor
유장석
Original Assignee
(주)썸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썸잇 filed Critical (주)썸잇
Priority to KR1020180060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64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5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6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허리를 중심으로 상반신과 하반신 양 방향으로 스트레칭을 시켜주며,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척추 스트레칭 기구 및 그 기구의 서포트 바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막대형의 몸체부(111); 상기 몸체부(111) 하단의 하단힌지부(112); 상기 몸체부(111) 상단의 상단힌지부(113); 상기 몸체부(111)의 전면에 상단이 회동하도록 결합된 각도조절 프레임(114); 및 상기 몸체부(111)의 후면에 하단이 회동하도록 결합되고, 상단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액추에이터(115); 를 포함하여 구성된 서포트 바디(11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서포트 바디 및 이를 포함한 척추 스트레칭 기구{Support Body And Spine Stretching Equip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체의 허리를 중심으로 상반신과 하반신 양 방향으로 스트레칭을 시켜주며,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척추 스트레칭 기구 및 그 기구의 서포트 바디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생활에 쫓겨 여가나 각종 운동을 접할 기회가 줄어들고 있으며, 이로 인한 운동부족으로 여러 가지 질병에 시달리는 경우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장시간 앉아서 생활하는 직장인, 학생, 주부 등의 경우에는 척추, 허리가 굽어지게 되거나 움츠려지게 되고 자세가 바르지 못하게 되면서 쉽게 피로감을 느끼며, 피로누적으로 인한 허리디스크나 척추, 근골격계통에 무리가 가해져서 심한 통증 및 각종 질환발생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에 척추스트레칭 및 운동을 돕기 위한 기구 등에 대하여 여러가지 기술들이 개발되어 제안되어 왔다.
종래 기술들 중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7-0033620호(발명의 명칭 :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2035호(발명의 명칭 : 어께 및 척추 스트레칭용 운동기구. 이하 '선행기술 2'라 함) 등이 있다.
선행기술 1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스로 하기 힘든 물구나무서기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하여 전신운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 1에 따르면, 사용자가 물구나무서기의 자세를 갖추게 될 때 사용자의 머리로 혈액이 몰리게 되어 쉽게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으며, 자칫 허리에 무리를 주어 척추질환을 되레 악화 시킬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2에 따르면, 받침판이 활처럼 굽어져 있으므로 척추를 펴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하체가 발거치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받침판을 따라 누우면서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요추를 중심으로 상체방향으로의 스트레칭 되는 정도에 비해 하체방향으로의 스트레칭이 되는 정도는 극히 미약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스트레칭의 효과가 미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허리를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의 양방향으로 스트레칭 시켜주며,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보조할 수 있는 척추 스트레칭 기구를 특허출원하여 등록받았다(등록특허 10-1728714. 이하 '선행기술 3'이라 함).
1. 공개특허 10-2007-0033620호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2. 등록실용신안 제20-0362035호 "어깨 및 척추 스트레칭용 운동기구" 3. 등록특허 10-1728714 "척추 스트레칭 기구"
본 발명은 상기 척추 스트레칭 기구의 실용화를 위해,
1. 인체 사이즈에 따라 가변적으로 셋팅할 수 있는 인체 적용성
2. 운송, 보관, 설치 등을 위한 공간 효율성 및
3. 스트레칭을 위한 기구의 작동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 등이 확보되도록 하는 서포트 바디 및 이를 이용한 척추 스트레칭 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막대형의 몸체부(111); 상기 몸체부(111) 하단의 하단힌지부(112); 상기 몸체부(111) 상단의 상단힌지부(113); 상기 몸체부(111)의 전면에 상단이 회동하도록 결합된 각도조절 프레임(114); 및 상기 몸체부(111)의 후면에 하단이 회동하도록 결합되고, 상단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액추에이터(115); 를 포함하여 구성된 서포트 바디(110)」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부(111)의 중단부는 양측면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긴 공간부(1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1111) 하부의 양측면에는 세로방향의 슬릿홈(116)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115)의 하단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고, 양단이 상기 슬릿홈(116)을 지나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 중심축(117)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중심축(117)은 상기 슬릿홈(116)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액추에이터(115)는 상기 중심축(117)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115)는 상단을 가장 낮게 조절하고, 상기 중심축(117)을 상기 슬릿홈(116)의 최하단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1)쪽으로 접어 넣음으로써 상기 공간부(1111)에 내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15)의 하단부에 돌출편(1151)을 형성시키고,
상기 중심축(117)은, 상기 돌출편(1151)을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슬릿홈(116)을 지나 돌출된 중심봉(1171), 상기 중심봉(1171) 양측에 끼움결합된 삽입관(1172), 및 상기 삽입관(1172)의 외측단부에 결합되고, 테두리부에 통공이 형성된 걸림머리(1173)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슬릿홈(116)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핀홀(h)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걸림머리(1173)의 통공을 지나 상기 핀홀(h)에 삽입되는 결합볼트(118)에 의해 상기 중심축(117)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1)의 상단부 후면에 형성된 안착부(11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서포트 바디(110); 일측단부가 상기 서포트 바디(110)의 하단힌지부(112)와 힌지결합하고,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114)의 하단이 전후로 이동, 고정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홈(121)이 구비된 하부 프레임(120); 및 하단부가 상기 서포트 바디(110)의 상단힌지부(113)와 힌지결합하고, 중단부가 상기 액추에이터(115)의 상단과 힌지결합하는 등받이 프레임(1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트레칭용 스트레칭 기구(100)」를 함께 제공한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상기 레일홈(121)이 형성된 막대형 중추부재(122); 상기 중추부재(122)가 내측 지름이 되도록 결합되고, 기저면과 안정하중을 확보하도록 구성된 링형부재(123); 및 상기 링형부재(123) 일측단의 중추부재(122)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 바디(110)의 하단힌지부(122)와 힌지결합하는 결합턱(124); 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링형부재(123) 타측단의 중추부재(122) 결합부위에 외측으로 결합된 발판부(12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포트 바디, 하부 프레임 및 등받이 프레임의 3부분으로 구분되는 척추 스트레칭 기구를 완전히 포개지도록 접어 보관 및 운송할 수 있으며, 각도조절 프레임의 설치 각도, 액추에이터의 상단 높이 등을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척추 스트레칭 기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서포트 바디의 (a) 사시도, (b) 평면도 및 (c) 측면도이다.
[도 3]은 서포트 바디 몸체부와 액추에이터의 결합부위 상세도이다.
[도 4]는 서포트 바디와 등받이 프레임의 결합부위 상세도이다.
[도 5]는 서포트 바디와 하부 프레임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다.
[도 6]은 서포트 바디의 각도조절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중추부재 간 결합부위 상세도이다.
[도 7]은 백시트 결합 전의 등받이 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각도조절 프레임의 설치 각도 조절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등받이 프레임의 설치 각도 조절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서포트 바디, 하부 프레임 및 등받이 프레임을 접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스트레칭용 서포트 프레임의 서포트 바디, 하부 프레임 및 등받이 프레임을 완전히 접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막대형의 몸체부(111); 상기 몸체부(111) 하단의 하단힌지부(112); 상기 몸체부(111) 상단의 상단힌지부(113); 상기 몸체부(111)의 전면에 상단이 회동하도록 결합된 각도조절 프레임(114); 및 상기 몸체부(111)의 후면에 하단이 회동하도록 결합되고, 상단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액추에이터(115); 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트레칭용 서포트 바디(110)」를 제공한다.
상기 서포트 바디(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 스트레칭 기구(100)를 접이식으로 구현하기 위한 가운데 몸통에 해당하는 부재이다. 상기 서포트 바디(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1), 하단힌지부(112), 상단힌지부(113), 각도조절 프레임(114) 및 액추에이터(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11)는 막대형의 길이부재이며, 세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 각도의 조절을 통해 사용자의 하반신 높이에 대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설치 각도의 조절을 위해 상기 몸체부(111)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힌지결합을 위한 하단힌지부(112) 및 상단힌지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단힌지부(112)는 척추 스트레칭 기구(100)의 하부 프레임(120)과 결합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하고, 상기 상단힌지부(113)는 척추 스트레칭 기구(100)의 등받이 프레임(130)과 결합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한다. 상기 몸체부(111)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중단부, 하단부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1)의 상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단힌지부(113)가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 안착부(119)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안착부(119)에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거치해 두고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스트레칭 상태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수집토록 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1)의 중단부는 액추에이터(115)의 설치 및 접이식 안착에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중단부에는 양측면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긴 공간부(1111)를 형성시키고, 상기 공간부(1111) 하부의 양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의 슬릿홈(116)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115)의 하단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고, 양단이 상기 슬릿홈(116)을 지나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 중심축(117)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중심축(117)이 상기 슬릿홈(116)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액추에이터(115)는 상기 중심축(117)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111)의 후면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15)의 설치를 위한 구체적 구성으로서, 상기 액추에이터(115)의 하단부에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출편(1151)을 형성시키고, 상기 중심축(117)이 상기 돌출편(1151)을 관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117)도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편(1151)을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슬릿홈(116)을 지나 돌출되는 중심봉(1171), 상기 중심봉(1171) 양측에 끼움결합된 삽입관(1172), 및 상기 삽입관(1172)의 외측단부에 결합되고, 테두리부에 통공이 형성된 걸림머리(117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상기 돌출편(1151)이 형성된 구동콘트롤러(1152), 상기 구동콘트롤러(1152)의 상단에 결합된 실린더관(1153), 상기 구동콘트롤러(1152)의 통제에 따라 상기 실린더관(1153)에서 인출되거나, 상기 실린더관(1153)으로 인입되는 구동봉(1154) 및 상기 구동봉 상단에 결합된 상단결합부(115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봉(1154)을 인입시켜, 상기 상단결합부(1155)를 가장 낮게 조절하고, 상기 돌출편(1151)을 관통하는 중심축(117)을 상기 슬릿홈(116)의 최하단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액추에이터(115)를 전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11)쪽으로 접어 넣어 상기 공간부(1111)에 내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릿홈(116)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핀홀(h)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걸림머리(1173)의 통공을 지나 상기 핀홀(h)에 삽입되는 결합볼트(118)에 의해 상기 중심축(117)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척추 스트레칭 기구의 보관이나 운송시에는 상기 중심축(117)을 상기 슬릿홈(116)의 최하단까지 내리고, 상기 액추에이터(115)를 상기 공간부(1111)에 접어 넣은 상태에서 결합볼트(118)를 상기 걸림머리(1173)의 통공 및 상기 슬릿홈(116) 하부의 핀홀(h)에 체결하면, 상기 액추에이터(115)가 상기 공간부(1111)에 내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척추 스트레칭 기구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중심축(117)을 상기 슬릿홈(116)의 최상단까지 올리고, 결합볼트(118)를 상기 걸림머리(1173)의 통공 및 상기 슬릿홈(116) 상부의 핀홀(h)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액추에이터(115)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1)의 하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단힌지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단부의 전면에는 각도조절 프레임(114)의 상단이 회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114)의 상단은 상단핀축(P1)을 매개로 상기 몸체부(111)와 힌지결합된다.
상기 하단힌지부(112) 및 각도조절 프레임(114)은 하부 프레임(120)과 결합관계를 이루며, 이 점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척추 스트레칭 기구(100)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과 함께 상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서포트 바디(110); 일측단부가 상기 서포트 바디(110)의 하단힌지부(112)와 힌지결합하고,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114)의 하단이 전후로 이동, 고정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홈(121)이 구비된 하부 프레임(120); 및 하단부가 상기 서포트 바디(110)의 상단힌지부(113)와 힌지결합하고, 중단부가 상기 액추에이터(115)의 상단과 힌지결합하는 등받이 프레임(1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척추 스트레칭 기구(100)」을 함께 제공한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추부재(122), 링형부재(123) 및 결합턱(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추부재(122)는 상기 레일홈(121)이 형성된 막대형 부재이다. 상기 레일홈(12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추부재(122)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서, 하단핀축(P2)이 상기 레일홈(121)과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114)의 하단을 횡방향으로 관통함으로써, 상기 중추부재(122)에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114)의 하단이 회동 가능한 힌지결합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이렇게 힌지결합 상태를 이룬 각도조절 프레임(114)의 하부는 상기 레일홈(121)을 따라 전후로 이동,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중추부재(122)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스형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114)이 두 갈래로 분지되어 상기 중추부재(122)의 양측 외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중추부재(1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114)이 상기 중추부재(122)의 안쪽으로 들어가 상기 레일홈(121)이 형성된 측면에 내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홈(121)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간별로 정착홈(a1, a2, a3, a4)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하단핀축(P2)이 정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114)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단핀축(P2)이 최전방의 정착홈(a1)에 정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114)이 완전히 접혀 상기 중추부재(122)와 포개진 상태를 이루게 되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나머지 정착홈(a2, a3, a4)은 사용자의 키에 따라 척추 스트레칭 기구(100)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링형부재(123)는 척추 스트레칭 기구(100)의 전도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기저면과 안정하중을 확보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중추부재(122)가 내측 지름이 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결합턱(124)은 상기 링형부재(123) 일측단의 중추부재(122)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 바디(110)의 하단힌지부(122)와 힌지결합하는 부재이다.
또한, 상기 링형부재(123) 타측단(즉, 상기 결합턱(124)의 반대편)의 중추부재(122) 결합부위에는 발판부(125)를 상기 링형부재(123)의 외측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114)의 설치 각도 조절을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키높이에 대응하면서, 상기 발판부(125)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130)은 하단부가 상기 서포트 바디(110)의 상단힌지부(113)와 힌지결합하고, 중단부가 상기 액추에이터(115)의 상단과 힌지결합한다.
[도 7]은 백시트를 제외한 등받이 프레임(130) 자체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인체 상반신의 굴곡 라인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기본 프레임(131), 상기 기본 프레임(131)의 중단을 가로질러 양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팔걸이 프레임(132), 상기 기본 프레임(131)과 팔걸이 프레임(132)의 전방에 걸쳐져 결합된 등받침판(133), 상기 등받침판(133)의 후면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서포트 바디(110)의 상단힌지부(133)와 체결되는 힌지결합부(134), 상기 등받침판(133)의 후면 중단에 결합되어 상기 액추에이터(115)의 상단과 체결되는 힌지결합턱(135) 및 상기 기본 프레임(131)의 전방 상단에 결합된 머리받침판(136)을 포함하여 구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척추 스트레칭 기구(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114)의 설치각도 조절을 통해 상기 서포트 바디(110) 상단의 높이를 사용자의 하반신 높이에 맞출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15)의 높이 조절을 통해 등받이 프레임(130)의 각도를 조절하며, 사용자가 상기 등받이 프레임(130)에 결합된 백시트(130)에 기대어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115) 하단의 중심축(117)을 슬릿홈(116)의 하단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액추에이터(115)를 접어 상기 서포트 바디(110) 몸체부(111)와 포개지도록 하고,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114)의 하단을 레일홈(121)의 최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114), 상기 몸체부(111) 및 상기 하부 프레임(120)의 중추부재(122)가 포개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위와 같은 방식으로 척추 스트레칭 기구(100)의 서포트 바디(110), 하부 프레임(120) 및 등받이 프레임(130)이 완전히 접혀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0 : 척추 스트레칭 기구
110 : 서포트 바디 111 : 몸체부 1111 : 공간부
112 : 하단힌지부 113 : 상단힌지부 114 : 각도조절 프레임
115 : 액추에이터 1151 : 돌출편 1152 : 구동콘트롤러
1153 : 실린더관 1154 : 구동봉 1155 : 상단결합부
116 : 슬릿홈 117 : 중심축 1171 : 중심봉
1172 : 삽입관 1173 : 걸림머리 118 : 결합볼트
119 : 안착부
120 : 하부 프레임 121 : 레일홈 122 : 중추부재
123 : 링형부재 124 : 결합턱
130 : 등받이 프레임 131 : 기본 프레임 132 : 팔걸이 프레임
133 : 등받침판 134 : 힌지결합부 135 : 힌지결합턱
136 : 머리받침판

Claims (7)

  1. 삭제
  2. 막대형의 몸체부(111);
    상기 몸체부(111) 하단의 하단힌지부(112);
    상기 몸체부(111) 상단의 상단힌지부(113);
    상기 몸체부(111)의 전면에 상단이 회동하도록 결합된 각도조절 프레임(114); 및
    상기 몸체부(111)의 후면에 하단이 회동하도록 결합되고, 상단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액추에이터(115);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111)의 중단부는 양측면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긴 공간부(1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1111) 하부의 양측면에는 세로방향의 슬릿홈(1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액추에이터(115)의 하단부를 횡방향으로 관통하고, 양단이 상기 슬릿홈(116)을 지나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 중심축(117);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중심축(117)은 상기 슬릿홈(116)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액추에이터(115)는 상기 중심축(117)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액추에이터(115)는 상단을 가장 낮게 조절하고, 상기 중심축(117)을 상기 슬릿홈(116)의 최하단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11)쪽으로 접어 넣음으로써 상기 공간부(1111)에 내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바디(110).
  3. 제2항에서,
    상기 액추에이터(115)의 하단부에는 돌출편(1151)이 구비되고,
    상기 중심축(117)은, 상기 돌출편(1151)을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슬릿홈(116)을 지나 돌출된 중심봉(1171), 상기 중심봉(1171) 양측에 끼움결합된 삽입관(1172), 및 상기 삽입관(1172)의 외측단부에 결합되고, 테두리부에 통공이 형성된 걸림머리(117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슬릿홈(116)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핀홀(h)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머리(1173)의 통공을 지나 상기 핀홀(h)에 삽입되는 결합볼트(118)에 의해 상기 중심축(117)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바디(110).
  4. 제2항에서,
    상기 몸체부(111)의 상단부 후면에 형성된 안착부(119);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 바디(110).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서포트 바디(110);
    일측단부가 상기 서포트 바디(110)의 하단힌지부(112)와 힌지결합하고, 상기 각도조절 프레임(114)의 하단이 전후로 이동, 고정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홈(121)이 구비된 하부 프레임(120); 및
    하단부가 상기 서포트 바디(110)의 상단힌지부(113)와 힌지결합하고, 중단부가 상기 액추에이터(115)의 상단과 힌지결합하는 등받이 프레임(1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척추 스트레칭 기구(100).
  6. 제5항에서,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상기 레일홈(121)이 형성된 막대형 중추부재(122);
    상기 중추부재(122)가 내측 지름이 되도록 결합되고, 기저면과 안정하중을 확보하도록 구성된 링형부재(123); 및
    상기 링형부재(123) 일측단의 중추부재(122) 결합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 바디(110)의 하단힌지부(122)와 힌지결합하는 결합턱(124);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스트레칭 기구(100).
  7. 제6항에서,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상기 링형부재(123) 타측단의 중추부재(122) 결합부위에 외측으로 결합된 발판부(125);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스트레칭 기구(100).
KR1020180060162A 2018-05-28 2018-05-28 서포트 바디 및 이를 포함한 척추 스트레칭 기구 Active KR102093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162A KR102093640B1 (ko) 2018-05-28 2018-05-28 서포트 바디 및 이를 포함한 척추 스트레칭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162A KR102093640B1 (ko) 2018-05-28 2018-05-28 서포트 바디 및 이를 포함한 척추 스트레칭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120A KR20190135120A (ko) 2019-12-06
KR102093640B1 true KR102093640B1 (ko) 2020-03-26

Family

ID=6883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162A Active KR102093640B1 (ko) 2018-05-28 2018-05-28 서포트 바디 및 이를 포함한 척추 스트레칭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640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644A (ja) * 1994-01-18 1995-08-15 Jerry L Wilson フリーウェートスクワット反復をシミュレートするための訓練装置
KR200362035Y1 (ko) 2004-06-25 2004-09-16 유이현 어깨 및 척추 스트레칭용 운동기구
KR20070033620A (ko) 2005-09-22 2007-03-27 최향미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KR100953501B1 (ko) * 2009-11-10 2010-04-16 박성수 운동기구
KR101728714B1 (ko) * 2015-06-05 2017-04-20 유장석 척추 스트레칭 기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공보 제10-0953501호(2010.4.16. 공고)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120A (ko) 201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76548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xoskeleton attachment
US8430910B2 (en) Adjustable spinal rehabilitation device
DE4328473C2 (de) Schaukelvorrichtung
KR101155211B1 (ko) 요추지지방석
ES2865874T3 (es) Dispositivo de asistencia para sentarse
US6615431B2 (en) Portable massage bed
KR101658486B1 (ko) 스트레칭 기능을 가진 의자
WO2017139737A1 (en) Lift device
KR101728714B1 (ko) 척추 스트레칭 기구
US6312401B1 (en) Collapsible cervical traction device
US20140346834A1 (en) Lounge chair with headrest
KR20200046592A (ko) 노약자 또는 환자용 보행 보조기구
KR102093640B1 (ko) 서포트 바디 및 이를 포함한 척추 스트레칭 기구
US20200179195A1 (en) Wheelchair
KR102004312B1 (ko) 이중 관절식 등받이 구조를 갖는 스트레칭용 의자
JP3873076B2 (ja) 義足
US20140094723A1 (en) Kit for rehabilitation apparatus
CN207950040U (zh) 折叠轮椅用自锁式连接装置
KR101386314B1 (ko) 기마자세유지 및 자세교정용 의자보조장치
JP6345365B1 (ja) 運動具
KR101438755B1 (ko) 척추 직립 장치
JP3205303U (ja) 姿勢調整器具
KR20160076155A (ko) 침대형 전신 운동기구
CN212118909U (zh) 一种胸背部矫正训练装置
KR200377861Y1 (ko) 드롭 교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