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3435B1 - Refirgerator - Google Patents

Refir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435B1
KR102093435B1 KR1020190102726A KR20190102726A KR102093435B1 KR 102093435 B1 KR102093435 B1 KR 102093435B1 KR 1020190102726 A KR1020190102726 A KR 1020190102726A KR 20190102726 A KR20190102726 A KR 20190102726A KR 102093435 B1 KR102093435 B1 KR 102093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b
latch
refrigerator
latch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7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4108A (en
Inventor
서운규
강진원
이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2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435B1/en
Publication of KR20190104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1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43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회전에 의해 개폐하며,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 후면에서 상기 메인 도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서브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래치부재; 상기 래치부재와 대응하는 상기 메인 도어에 형성되며, 상기 래치부재의 단부가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래치 수용부; 상기 서브 도어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서브 도어의 내측에서 상단은 상기 래치부재와 접하고 하단은 상기 조작부재와 접하여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시 상기 래치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forming a storage space; A main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by rotation, and has an opening formed therein; A sub-door tha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door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latch member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sub-door toward the main door and rotatably disposed on the sub-door; A latch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the main door corresponding to the latch member, the end of the latch member being selectively locked by rotation; An operation member rotatably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sub-door and rotated by a user's manipulation; And a connecting member on the inside of the sub-door, the upper end contacting the latch member, and the lower end contacting the manipulation member to rotate the latch member when the manipulation member rotates.

Figure 112019086099972-pat00003
Figure 112019086099972-pat00003

Description

냉장고 {Refirgerator}Refrigerator {Refir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Generally, a refrigerato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at a low temperature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shielded by a door. To this end, the refrigerator is configured to store stored foods in an optimal state by cool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by using cold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a refrigerant circulating through the refrigeration cycle.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에너지 효율 등을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refrigerators are gradually becoming multi-functionalized and multi-functional according to changes in diet and the trend of upgrading products, and refrigerators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convenience devices considering user convenience and energy efficiency have been released.

대표적으로, 냉장고의 도어에 별도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이를 개폐할 수 있는 홈바 도어가 구비되어 저장공간에 식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있다.Representatively, a separate storage space is formed o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nd there is a refrigerator that is provided with a home bar door that can open and close the food to store food in the storage space.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3-0072186호에는 냉장고의 제1도어에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제1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저장공간은 그 크기가 상기 제1도어의 상부 전체를 형성하게 되어 상기 서브 도어의 각 단부가 상기 제1도어의 좌우양측단과 상단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72186 has a structure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on the first door of the refrigerator and is provided rotatably on the first door to provide a sub-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It is disclosed that the size of the first door forms the entire upper portion, so that each end of the sub-door is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and the top of the first door.

그리고, 상기 제1도어와 서브 도어에는 래치후크와 래치캠으로 구성되는 록킹유닛이 구비되어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서브 도어에 구비되는 조작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록킹 유닛의 구속이 해제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oor and the sub-door are provided with a locking unit composed of a latch hook and a latch cam so that the sub-door can be fixed in a closed state, and the locking unit is operated by operating an operation button provided on the sub-door. Disclosed is a structure that releases the restraint of the door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의 개방을 위한 상기 조작버튼이 상기 서브 도어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상태가 되어, 냉장고의 외관 대부분을 차지하는 냉장고 도어의 전면의 외관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In this prior art, the operation button for opening the sub-door is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b-door,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terio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occupying most of the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is inhibited.

또한, 서브 도어를 구속하기 위한 록킹유닛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조작버튼이 위치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조작버튼의 설치 가능한 위치 또한 매우 제한적이며 조작 구조 또한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button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cking unit for restraining the sub-door, the position where the operation button can be installed is also very limited and the operation structure is also limited.

그리고, 도어가 열리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조작버튼을 눌러서 조작하게 됨으로써 조작성에 있어서도 사용상의 불편이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inconvenience in use in terms of operability by operating by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고의 도어의 외측단에 도어의 개방 조작을 위한 조작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an operation member for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is provided at an outer end of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의 구속을 해제하는 록킹유닛과, 상기 록킹유닛의 작용을 위해 조작되는 조작부재가 지지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록킹유닛은 도어의 고정이 용이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재는 조작이 용이한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unit for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door and the operating member operated for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are connected by a support member, so that the locking unit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door is easily fix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be positioned at another location that is easy to operat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회전에 의해 개폐하며,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전면을포함한 외측면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와, 내측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상기 아웃 케이스와 도어 라이너의 하단에 결합되어 하면을 형성하는 캡데코를 포함하는 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 후면에서 상기 메인 도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서브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래치부재; 상기 래치부재와 대응하는 상기 메인 도어에 형성되며, 상기 래치부재의 단부가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래치 수용부; 상기 캡데코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서브 도어의 하면에 노출된 일측을 사용자의 손으로 직접 회전 조작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서브 도어의 내측에서 상단은 상기 래치부재와 접하고 하단은 상기 조작부재와 접하여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시 상기 래치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부재는 상기 서브 도어의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서브 도어의 배면을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래치 수용부는 상기 메인 도어의 전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래치 수용부의 내측에는 상기 래치부재의 단부와 걸림 구속되도록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래치부재의 단부와 접하여 상기 래치부재의 단부와의 구속을 유도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부재의 돌출된 단부에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와 걸림 구속되는 구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부재는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구속부가 상기 걸림부를 향하여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래치부재가 구속 해제를 위해 회전될 때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를 누르는 손을 떼게 되면, 상기 래치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래치부재의 회전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 또한 회전되어 상기 조작부재가 조작 가능한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서브 도어의 좌우 양측단 중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 축과 먼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캡데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서브 도어의 내측에 위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캡데코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의 단부는 상기 캡데코와 이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캡데코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의 하방에는 상기 메인 도어의 개방을 위해 사용자가 손을 넣어 잡을 수 있는 그립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그립부의 내측에 위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의 내측으로 손을 넣어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 수용부는 상기 메인 도어의 전면에 함몰되며, 상기 서브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래치부재가 삽입된 상태로 구속될 수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와 도어 라이너의 사이에는 발포 단열재가 채워지며, 상기 서브 도어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단열재의 침투를 방지하는 연결부재 케이스가 더 구비될 수 있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forming a storage space; A main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by rotation, and has an opening formed therein; Rotat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door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 outer case forming an outer surface including a front surface, a door liner forming an inner side, and a cap forming a lower surfac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outer case and the door liner A sub door including a deco; A latch member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sub-door toward the main door and rotatably disposed on the sub-door; A latch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the main door corresponding to the latch member, the end of the latch member being selectively locked by rotation; An operation member rotatab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deco and directly rotating one side ex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door with a user's hand; And at the inside of the sub-door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upp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latch member and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operating member to rotate the latch member when the operating member is rotated.
The latch member is mounted inside the sub-door and may protrude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sub-door.
The latch accommodating part is reces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door, and an interlocking protruding part may be formed inside the latch accommodating part so as to be restrained from the end of the latch member.
The engag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latch member to induce restraint with the end of the latch member.
A protruding end portion of the latch member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to form a constraining portion that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ortion.
The latch member is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inside the door, and the elastic member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restraint portion is rotated toward the engaging portion.
The elastic member may be compressed when the latch member is rotated to release the restraint.
When the hand pressing the operating member is released, the latch member is rota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when the latch member is rotated, the operating member is also rotated by the connecting member to return the operating member to an operable state. Can be.
The operation member may be located on one side far from the rotational axis of the sub-door among both right and left ends of the sub-door.
The operation member is rotatably mounted on the cap deco, and a rotating portion located inside the sub-door; It extends from the rotating part, and includes a pressing part exposed by the outside of the cap deco and operated by a user, and an end portion of the pressing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cap deco in a direction close to the cap deco by a user's manipulation. Can be rotated.
Below the sub-door, a grip portion is formed in which the user can put their hands in order to open the main door. Can be configured.
The latch accommodating portion is recessed in the front of the main door, and when the sub-door is closed, the latch member may be locked.
A foam insulating material is filled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door liner, and the connecting memb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sub-door, and a connecting member case preventing penetration of the insulating material may be further provi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수단은 도어의 고정이 용이한 위치에 래치부재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고 전면부의 디자인을 저해하지 않는 단부에 조작부재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미려한 외관을 유지하면서 도어의 개폐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is provided with a latch member in a position where the door can be easily fixed, and the user member is easy to operate and the operation member is provided at an end that does not impair the design of the front part, thereby making the appearance more elegant. It can maintain the opening and closing performance of the door.

또한, 상기 조작부재가 도어의 회전축과 대향되는 쪽에 위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와 회동조작이 동일한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mber is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oor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position, thereby making it easier to open and close the door.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가 손잡이 쪽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도어의 전면에 노출되는 조작을 위한 구성을 삭제하여 보다 미려한 외관을 가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mber is disposed on the handle side to facilitate the user's 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configuration for the operation ex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door is eliminated to have a more beautiful appeara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서브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서브 도어의 하단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5-5'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 개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도어 개폐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서브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상기 도어 개폐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도어 개폐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b-door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sub-door.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end of the sub-door.
5 is a 5-5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FIG. 3.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when the sub-door is closed.
8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when the sub-door is ope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b-do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b-door of the refrigerator open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sai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and it is easy to facilitate other embodiment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or other inventions that are degenerate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other components. Can sugge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서브 도어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b-door o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sub-doo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a cabinet 10 forming a storage space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은 좌우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11)과 냉장실(12)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는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2)을 각각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20)와 냉장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cabinet 10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to form a freezer compartment 11 and a refrigerator compartment 1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door may be composed of a freezer compartment door 20 and a freezer compartment door 30 that respectively shield the freezer compartment 11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12.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30)에는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와 구분되는 별도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수납장치(31)(accomodation device)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12)의 내부는 제 1 저장실이 되고, 상기 수납장치(31)의 내부는 제 2 저장실(32)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0 may be provided with an accomodation device 31 that forms a separate storage space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Therefore, the interior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2 may be a first storage chamber while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30 is closed, and the interior of the storage device 31 may be a second storage chamber 32.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30)는 상기 제 1 저장실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100)와, 상기 제 2 저장실(32)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0 may include a main door 100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and a sub-door 200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32.

상기 메인 도어(100)는 도어 힌지(110)에 의해 상기 메인 도어(100)의 상단과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이 연결되며, 상기 메인 도어(100)는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메인 도어(100)의 하단에도 별도의 힌지(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도어(10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100)의 회동에 따라 상기 냉장실(12)이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12)에 식품을 수납하기 위해서 상기 메인 도어(100)를 회동시키게 된다. The main door 100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main door 100 and the top surface of the cabinet 10 by a door hinge 110, and the main door 100 is rotatable to the cabinet 10 It can be combin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 separate hinge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ain door 100 so that the main door 100 can be rotatably mounted. Therefor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may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in door 100, and the main door 100 is rotated to store foo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100)의 상부에는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20)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 그립부(33)에서 상기 메인 도어(100)의 상단과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메인 도어(100)의 좌우 양측단과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20)의 후방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 도어의 배면에는 상기 수납장치(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장치(31)는 전방으로 개구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개구부(120)를 통해서 상기 수납장치(31)의 내부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ning 120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door 100. The opening 120 may extend from a grip portion 33 serving as a handle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door 100 and to positions adjacent to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main door 100. In addition, the storage device 31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door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opening 120. The storage device 31 has a shape that opens in the front, and may be configured to allow access to the interior of the storage device 31 through the opening 120.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100)의 배면 둘레에는 상기 메인 도어(100)가 닫힐 때,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둘레와 접하는 실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실러는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압축 가능하게 구성되며, 내부에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0)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aler (not show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circumference of the cabinet 10 is provided arou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door 100 when the main door 100 is closed. The sealer is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to be compressible, and a magnet is provided insid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inet 10.

그리고, 상기 개구부(120)는 상기 메인 도어(100)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수납장치(31) 내부에 수용된 식품을 인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100)가 상기 냉장실(12)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120)를 개방시켜, 식품을 상기 수납장치(31) 내에 넣거나 꺼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120 is configured to draw in and out food received in the storage device 31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door 100 is closed. Therefore, the opening of the opening 120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door 100 shield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may open or remove food into or out of the storage device 31.

상기 개구부(120)는 상기 그립부(33)를 기준으로 상하로 2개가 배치되거나 상기 냉동실 도어(20) 및 냉장실 도어(30)에 적어도 1개 이상씩의 수납장치와 서브도어가 구비될 수도 있다.Two or more openings 120 may be provided vertically based on the grip portion 33, or at least one storage device and a subdoor may be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30.

그리고, 상기 개구부(120)는 상기 냉동실 도어(20)에도 더 형성되어 별도의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서브 도어(200)에 의해 개폐되는 하나의 개구부(120)만이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도어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And, the opening 120 is further formed in the freezer door 20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separate door, and if necessary, only one opening 120 opened and closed by the sub-door 200 may be provided. The arrangement of the door may be variously changed.

한편 상기 개구부(120)는 상기 수납장치(31)의 전면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로는 상기 메인 도어(100)의 그립부(33)의 위치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로는 상기 메인 도어(100)의 좌우 양측단 일부를 제외한 영역까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30)의 상부영역 대부분에 해당되어 일반적인 냉장고에 사용되는 홈바와는 그 크기 및 사용성에 있어 확연한 차이를 가진다.Meanwhile, the opening 120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torage device 31, and may be formed up and down over the position of the grip portion 33 of the main door 100, and to the left and right. Is formed up to an area excluding a part of both right and left ends of the main door 100. Therefore, it corresponds to most of the upper area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and has a marked difference in size and usability from a home bar used in a general refrigerator.

상기 그립부(33)는 상기 냉장실 도어(30) 즉, 상기 메인 도어(100)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 도어(100)의 중앙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사용자가 손을 넣어 당길 수 있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그립부(33)의 위치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위치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상기 냉장실 도어(30)의 상부와 하부의 경계를 형성하여 상기 서브 도어(200)를 포함하는 상기 냉장실 도어(30)가 상기 메인 도어(100) 하나로 구성된 것과 같이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grip part 33 i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0, that is, the main door 100, and i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door 100, so that the user can put his hand and pull It is formed in a recessed shape. The position of the grip portion 33 not only corresponds to a position that is easy for the user to grip, but also forms a boundar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to form the boundary betwe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and the sub-door 200. It is configured to be seen as configured as one of the main door 100.

상기 그립부(3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내측 및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33)는 상기 냉동실 도어(20)에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에서 볼 때 상기 냉장고(1)의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동일한 높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30)에 서브 도어(200)가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전방에서 볼 때 상기 냉장실 도어(30)와 냉동실 도어(20)의 형상이 동일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The grip portion 33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inward and downward to facilitate gripping by the user. In addition, the grip portion 33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i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 and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from the left end to the right end of the refrigerator 1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refore, although the sub-door 200 is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the shap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 may be the same when viewed from the front.

상기 서브 도어(200)는 상기 개구부(120)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 도어에 상부 힌지(20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상부 힌지(201)는 상기 메인 도어(100)의 상면과 상기 서브 도어(200)의 상면에 양단이 각각 축결합 상기 서브 도어(200)가 상기 메인 도어(100)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sub-door 200 i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120, and is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door by an upper hinge 201. The upper hinge 201 has both end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door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door 200 so that the sub door 200 can rotate with the main door 100 as an axis. It is configured to.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00)의 하단에는 하부 힌지(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상기 하부 힌지는 상기 서브 도어(20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도어 상에 장착되며, 상기 서브 도어(20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부 힌지는 캠 구조 또는 스프링 구조가 구비되어 상기 서브 도어(200)의 개폐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lower hinge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ub-door 200. The lower hing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ub-door 200, is mounted on the main door, the sub-door 200 is rotatably supported.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lower hing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cam structure or a spring structure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ub-door 200 more smoothly.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100)와 상기 서브 도어(200)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100)와 서브 도어(200)의 독립적인 조작에 의해 상기 냉장실(12)과 상기 개구부(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main door 100 and the sub-door 200 may rotate independently, respectively,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12 and the opening by independent manipulation of the main door 100 and the sub-door 200.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120.

한편, 상기 서브 도어(200)의 전면은 상기 냉동실 도어(20)의 전면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며, 무늬 또는 패턴이 연속성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00)의 전면은 상기 서브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200)의 전면이 상기 냉동실 도어(20)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ub-door 200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ront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 and may be formed such that a pattern or pattern is continuous. 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b-door 20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sub-door 200 is coplanar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 when the sub-door 200 is closed.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00)는 상기 그립부(33)와 인접하는 하단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 부분은 상기 메인 도어(100)의 둘레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서브 도어(200)가 형성된 연결부분 등이 보이지 않도록 일체감 있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door 20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main door 100 except for the lower end adjacent to the grip portion 33. Therefore, when the sub-door 200 is closed,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connecting portion on which the sub-door 200 is formed, etc., may be integrally formed.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냉장실 도어(30)와 냉동실 도어(20)의 전면 형상은 동일한 형상으로 보일 수 있으며, 처음 보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상기 서브 도어(200)를 용이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냉장실 도어(30) 전체가 하나의 도어로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Therefore, when viewed from the front while the sub-door 200 is closed, the front shap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 may be viewed as the same shape, and in the case of a first-time user, the sub-door ( 200) may not be easily recognized, and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entir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is made of one door.

한편, 상기 서브 도어(200)의 배면에는 식품의 수납이 가능한 도어 바스켓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 바스켓은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서브 도어(200)의 배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a door basket for storing food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b-door 200. The door basket may be detachably mounted,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mounting position can be adjusted to allow height adjustment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b-door 200.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00)의 배면에는 래치부재(4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재(430)와 대응하는 상기 메인 도어(100)의 일측에는 래치 수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atch member 43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b-door 200. In addition, a latch receiv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door 100 corresponding to the latch member 430.

상기 서브 도어(200)가 닫히게 되면, 상기 래치부재(430)는 상기 래치 수용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래치 수용부(130)의 내측에서 상기 래치부재(430)가 상기 래치 수용부(13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속되어 상기 서브 도어(20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ub-door 200 is closed, the latch member 430 may be inserted into the latch accommodating part 130, and the latch member 430 may be located inside the latch accommodating part 130. It is constrained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latch receiving portion 130, the sub-door 200 is able to maintain a closed state.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00)의 하단에는 조작부재(41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재(410)는 상기 래치부재(430)의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서브 도어(200)의 하단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재(410)는 상기 서브 도어(200)의 회동 조작이 용이하도록 회전축과 먼 쪽의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ration member 410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ub-door 200. The operation member 410 is operated by a user for the operation of the latch member 430, and may be provided at a lower edge of the sub-door 200. At this time, the operation member 410 may be provided at a corner far away from the rotating shaft to facilitate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ub-door 200.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00)에는 상기 래치부재(430)와 상기 조작부재(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브 도어(200)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개폐 어셈블리(400)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 개폐 어셈블리(40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ub-door 200 includes the latch member 430 and the operation member 410,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4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b-door 200 is provided.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는 상기 서브 도어의 하단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5-5' 단면 사시도이다. 그리고,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 개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end of the sub-door. And, Fig. 5 is a 5-5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Fig. 3. And,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 개폐 어셈블리(400)는 전체적으로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재(410)와, 상기 래치 수용부(130)에 삽입되어 구속되는 래치부재(430), 그리고 상기 래치부재(430)가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조작부재(410)와 연결하는 연결부재(420)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400 is operated by the user as a whole, the operating member 410, the latch member 430 is inserted into the latch receiving portion 130, and the latch member (430) 430) may be composed of a connecting member 420 that connects with the operating member 410 to be operable.

상세히, 상기 조작부재(410)는 상기 서브 도어(200)의 하단에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재(410)는 상기 도어 개폐 어셈블리(400)의 일 구성으로 상기 래치부재(430)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작부재(410) 하단의 모서리에 구비된다. In detail, the operation member 410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ub-door 200. The operation member 410 allows the latch member 430 to be operated in one configu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400, and is provided at a corner of the bottom of the operation member 410.

상기 조작부재(410)는 상기 서브 도어(200)의 하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작부재(410)는 상기 냉장실 도어(30)의 중앙에 배치되는 그립부(33)측으로 사용자가 조작하는 일부의 부분만이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전방에서 보았을 때에 노출되는 부분이 최소화 되도록 구성된다.The operation member 410 is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while being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ub-door 200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it. At this time, the operation member 410 is configured to expose only a portion of the user's manipulation to the grip portion 33 sid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so that the portion exposed when the user sees from the front is minimized. It is composed.

상기 조작부재(410)는 상기 서브 도어(200)의 하단을 형성하는 캡데코(230)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operation member 410 is mounted on the cap deco 230 forming the lower end of the sub-door 200,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ed by a user's operation.

상기 조작부재(41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조작부재(410)는 힌지축(411)이 삽입되는 회전부(412)와 상기 회전부(412)의 상방에서 연장되는 지지부(413) 그리고, 상기 회전부(412)의 하방에서 연장되는 누름부(415)로 구성될 수 있다. Looking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member 410, the operation member 410 is a hinge portion 411 is a rotating portion 412 is inserted and the support portion 413 extending above the rotating portion 412, and, It may be composed of a pressing portion 415 extending from below the rotating portion 412.

상기 힌지축(411)은 상기 캡데코(230)에 상기 조작부재(410)가 축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13)는 상기 회전부(412)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에는 상기 연결부재(420)의 단부가 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415)는 상기 회전부(412)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연장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상기 지지부(413)와 멀어지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누름부(415)는 연장된 단부의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The hinge shaft 411 is formed so that the operation member 410 is axially coupled to the cap deco 230. Then, the support portion 413 extends forward from the top of the rotating portion 412, and an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420 is axially coupled to the end portion. 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415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or rounded to extend for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portion 412 to gradually move away from the supporting portion 413 toward the extending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pressing portion 415 is formed to have a wide area of an extended end portion to facilitate user manipulation.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410)가 상기 캡데코(23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부재(410)의 누름부(415)를 제외한 상기 지지부(413)와 회전부(412)는 상기 캡데코(23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누름부(415)만이 상기 캡데코(230)의 하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누름부(415)의 전단은 상기 캡데코(230)의 하단과 떨어진 상태로 사용자가 누름 조작을 통해 상기 조작부재(4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member 410 is mounted on the cap deco 230, the support part 413 and the rotating part 412 except for the pressing part 415 of the operation member 410 are the cap deco 230 ), And only the pressing portion 415 protrudes downward of the cap deco 230. At this time, the front end of the pressing portion 415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rotate the operating member 410 through a pressing operation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cap deco 230.

상기 연결부재(420)는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413)에 형성된 연결부재 결합부(414)에 축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재(410)의 회동시 상기 연결부재(420)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ng member 4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end can be axially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coupling portion 414 formed on the support portion 413. Therefore, when the operation member 410 is rotated, the connection member 420 can move up and down.

상기 연결부재(420)는 길이가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420)의 하단은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414)에 축결합되고, 상단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래치부재(430)의 하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치부재(430)와 접하는 상기 연결부재(420)의 상단은 상기 래치부재(430)의 회전축(431)에서 떨어진 지점이며,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420)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래치부재(430)는 상기 래치부재(430)의 회전축(43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ng member 420 may be formed in a long rod shape,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420 is axially coupled to the connecting member engaging portion 414, and the upper end is not fixed to the latch member It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430).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420 in contact with the latch member 430 is a point away from the rotation shaft 431 of the latch member 430, and thus, the latch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420. The member 430 can rotate about the rotation axis 431 of the latch member 430.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210)와 내부를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220)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4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450)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er case 210 forming the exterior of the sub-door 200 and the door liner 220 forming the inside, and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420. The guide member 450 may be provided.

상기 가이드부재(450)는 상기 래치부재(430)가 형성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서브 도어(2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420)가 수용되는 연결부재 안내부(452)와, 상기 래치가 장착되는 래치 장착부(4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450)는 상기 서브 도어(200)의 내부에서 단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단열성능이 우수한 폴리스티렌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guide member 45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latch member 430 is formed, and is provided inside the sub-door 200, and the connecting member guide 452 receiving the connecting member 420 is accommodated. , The latch mounting portion 451 to which the latch is mounted may be formed. The guide member 450 may perform a heat insulation function inside the sub-door 200, and for this purpose, may be formed of a polystyrene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insulation performance.

상기 래치부재(430)는 상기 가이드부재(450)의 래치 장착부(45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래치부재(430)는 후단이 상기 래치 장착부(451)의 내측에서 축결합되며, 전단은 상기 도어 라이너(220)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latch member 430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latch mounting portion 451 of the guide member 450. The latch member 430, the rear end is axially coupled from the inside of the latch mounting portion 451, the front end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through the door liner 220.

상기 래치부재(43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래치부재(430)는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재(430)의 후단에는 상기 가이드부재(450) 또는 상기 서브 도어(200)의 내측에서 축결합되는 축 결합부(432)가 형성된다.Looking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latch member 430, the latch member 43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formed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a whole. In addition, a shaft coupling portion 432 that is axially coupled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member 450 or the sub-door 200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latch member 430.

그리고, 상기 축 결합부(432)의 상방에는 탄성부재(440)가 지지되는 탄성부재 지지부(435)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440)는 상기 래치부재(430)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래치 장착부(451)에서 상기 탄성부재 지지부(435)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support portion 435 on which the elastic member 440 is supported is formed above the shaft coupling portion 432. The elastic member 440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latch member 430 can maintain a horizontal state,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elastic member support 435 in the latch mounting portion 451.

상기 축 결합부(43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래치바디(433)가 형성된다. 상기 래치바디(433)는 상기 래치 장착부(451)를 통과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래치바디(433)의 단부는 상기 서브 도어(200)의 배면을 관통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 latch body 433 extending rearward from the shaft coupling portion 432 is formed. The latch body 433 is formed to extend through the latch mounting portion 451, and an end of the latch body 433 is configured to protrude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sub-door 200.

그리고, 상기 래치바디(433)의 단부에는 구속부(434)가 형성된다. 상기 구속부(434)는 상기 래치부재(430)가 상기 래치 수용부(130)의 내측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래치 수용부(130)에 형성된 돌기 형상의 걸림부(131)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 restraining portion 434 is formed at an end of the latch body 433. The restraining portion 434 is formed so that the latch member 430 may be coupled to a projection-shaped locking portion 131 formed in the latch receiving portion 130 when the latch receiving portion 130 is inserted inside. do.

상세히, 상기 구속부(434)는 상기 래치바디(433)의 전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31)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434)의 전단에는 구속 롤러(436)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구속 롤러(436)는 상기 걸림부(131)의 경사면(132)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구속부(434)와 걸림부(131)의 걸림 구속을 유도하게 된다.In detail, the restraining portion 434 is formed to open the first half of the latch body 433, and is configured to allow the locking portion 131 to be accommodated inside. In addition, a restraining roller 436 is rotatably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restraining part 434, and the restraining roller 436 is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132 of the engaging part 131 while the restraining part 434 ) And the locking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131 is induced.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450)에서 상기 래치바디(433)가 통과되는 상기 래치 장착부(451)는 상기 래치바디(433)의 두께보다 더 큰 상하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래치부재(430)가 회동시 상기 래치바디(433)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atch mounting portion 451 through which the latch body 433 is passed through the guide member 450 is formed to have a larger vertical width than the thickness of the latch body 433, and the latch member 430 During the rotation, a space through which the latch body 433 can flow is provided.

또한, 상기 래치 장착부(451)는 상기 연결부재 안내부(452)의 상단과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 안내부(452)를 통과하는 상기 연결부재(420)의 상단이 상기 래치 장착부(451)의 내부에서 상기 래치바디(433)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래치부재(430)를 회동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latch mounting portion 451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top of the connecting member guide portion 452, the top of the connecting member 420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guide portion 452, the latch mounting portion 451 )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latch body 433 so as to rotate the latch member 430.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 개폐 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7은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도어 개폐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when the sub-door is closed.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200)의 배면이 상기 메인 도어의 전면에 완전히 밀착되며, 이때, 상기 래치부재(430)는 상기 래치 수용부(13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된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sub-door 200 is closed, the rear surface of the sub-door 200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door, and at this time, the latch member 430 includes the latch receiving part ( It is fixed in a state accommodated inside the 130).

상기 서브 도어(20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부재(430)의 구속부(434)에 상기 래치 수용부(130)의 걸림부(131)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래치부재(430)는 구속된 상태가 되며,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200) 또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sub-door 200 is completely closed, the latch member 430 is in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131 of the latch receiving portion 130 is inserted into the restraining portion 434 of the latch member 430. In a constrained state, the sub-door 200 can also be kept closed.

그리고, 이때, 상기 래치부재(430)는 수평한 상태가 되며, 상기 탄성부재(440)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래치부재(430)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래치부재(430)의 하면은 상기 연결부재(420)의 상단과 접촉되는 상태이며, 상기 연결부재(420)는 상기 래치부재(430)에 다른 외력을 전달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Then, at this time, the latch member 430 is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elastic member 440 supports the latch member 430 in an uncompressed state.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latch member 430 is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420, the connecting member 420 is in a state that does not transmit any other external force to the latch member 430.

상기 조작부재(410)는 상기 연결부재(420)의 하단과 연결된 상태이며, 상기 서브 도어(200)의 하단을 통해서 누름부(415)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누름부(415)는 상기 서브 도어(200)의 하면과 떨어져 있는 상태로 상기 누름부(415)를 눌러서 상기 조작부재(410)가 회동 될 수 있도록 준비하게 된다.The operation member 410 is in a stat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420, and the pressing part 415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sub-door 200. And, at this time, the pressing unit 415 is prepared to be able to rotate the operating member 410 by pressing the pressing unit 415 in a state awa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b-door 200.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서브 도어(200)의 개방을 원하는 경우 상기 조작부재(410)의 조작을 통해 상기 래치부재(430)를 회동시켜 상기 래치부재(430)와 상기 래치 수용부(130)의 구속을 해제하고 상기 서브 도어(200)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wants to open the sub-door 200, the latch member 430 is rota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410, so that the latch member 430 and the latch receiving unit 130 ) To release the restraint and allow the sub-door 200 to be opened.

도 8은 상기 서브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상기 도어 개폐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when the sub-door is ope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200)의 개방을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재(410)의 누름부(415)를 눌러 조작하게 된다. 상기 누름부(415)를 누르게 되면, 상기 조작부재(410)는 상기 조작부재(410)의 회전축(41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지지부(413)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in order to open the sub-door 200, the user operates by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415 of the operation member 410. When the pressing portion 415 is pressed, the operation member 410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411 of the operation member 410, and the support portion 413 moves upward.

상기 지지부(413)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지지부(413)와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42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450)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420)는 상방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연결부재(420)의 상단은 상기 래치부재(430)의 하면을 밀어올리게 된다.The connection member 420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413 is moved upward by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art 413. 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420 can be stably moved upward by the guide member 450,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420 pushes up the lower surface of the latch member 430.

상기 연결부재(420)의 상단에 의해 상기 래치부재(430)는 상기 래치부재(430)의 회전축(43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상기 탄성부재(440)는 압축된다. 상기 래치부재(4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래치부재(430) 전단의 상기 구속부(434)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게 되며, 따라서, 상기 구속부(434)는 상기 래치 수용부(130)의 걸림부(131)와의 걸림 구속이 해제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200)는 자유롭게 회동되어 개방될 수 있게 된다.The latch member 430 is rotated based on the rotation axis 431 of the latch member 430 by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420, wherein the elastic member 440 is compressed. By the rotation of the latch member 430, the restraining part 434 at the front end of the latch member 430 is lifted upward, and thus, the restraining part 434 is engaged with the latch receiving part 130. The locking constraint with the part 131 may be released, and the sub-door 200 may be freely rotated and opened.

이때, 사용자는 상기 서브 도어(200)의 회전축으로 부터 먼 쪽에 위치된 상기 조작부재(410)를 눌러서 조작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상기 조작부재(410)를 누른 상태 또는 누르고 난 후 해당 부위를 잡고 상기 서브 도어(20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user operates by pressing the operation member 410 located on the far side from the rotational axis of the sub-door 200, so naturally press the operation member 410 or press and hold the corresponding part and then hold the sub-door It is possible to rotate (200).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00)의 개방 후 상기 누름부(415)를 누르는 손을 떼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4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래치부재(430)는 회전하여 초기의 수평한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420) 또한 하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연결부재(420)와 연결되는 상기 조작부재(410) 또한 회동하여 다시 상기 누름부(415)가 상기 서브 도어(200)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되어 상기 조작부재(410)가 다시 조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when the hand pressing the pressing part 415 is released after the sub-door 200 is opened, the latch member 430 rotates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40 to an initial horizontal state. Will return. Therefore, the connecting member 420 is also moved downward, and the operating member 410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420 is also rotated so that the pressing part 415 protrudes downward of the sub-door 200 again. It becomes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member 410 can be operated again.

한편, 래치부재(430)가 최초의 상태로 복귀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200)를 닫게 되면, 상기 래치부재(430) 전단의 상기 구속 롤러(436)는 상기 걸림부(131)의 경사면(132)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자연스럽게 상기 래치부재(430)는 회동하게 되어 상기 탄성부재(440)를 압축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ub-door 200 is closed in a state in which the latch member 430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the restraining roller 436 at the front end of the latch member 430 has an inclined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31 ( 132), so naturally the latch member 430 is rotated to compress the elastic member 440.

그리고, 상기 구속 롤러(436)가 완전히 상기 걸림부(131)의 경사면을 넘어가게 되면, 상기 래치부재(430)의 구속부(434)에 상기 걸림부(131)가 삽입되고 상기 래치부재(430)는 도 7에서와 같이 구속된 상태가 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래치부재(430)가 상기 래치 수용부(130)에서 걸림 구속된 상태는 상기 서브 도어(200)가 상기 메인 도어(100)에 완전히 닫힌 상태로, 상기 조작부재(410)의 조작 전까지 상기 서브 도어(20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n, when the restraining roller 436 is completely over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cking part 131, the locking part 131 is inserted into the restraining part 434 of the latch member 430 and the latch member 430 ) Can be in a constrained state as in FIG. 7. The latch member 430 is locked in the latch receiving portion 130 is a state in which the sub-door 200 is completely closed to the main door 100, until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410 The door 200 can be kept closed.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 other embodiments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예컨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상기 도어 개폐 어셈블리의 구성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may be different.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상기 도어 개폐 어셈블리 및 이와 결합되는 일부의 구성만 다를 뿐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며, 이들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중복된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parts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and parts thereof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ll other structures are the sam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도어 개폐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b-do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200)는 외측면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210)와 내측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2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되며, 상기 아웃 케이스(210)와 도어 라이너(220)의 결합된 하단에는 캡데코(23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0)의 내측에는 도어 개폐 어셈블리(500)가 구비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efrigerator doo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n outer case 210 forming an outer surface and a door liner 220 forming an inner surface, A cap deco 230 is mounted on the combined lower end of the out case 210 and the door liner 220. In addition, a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500 is provided inside the door 200.

상기 도어 개폐 어셈블리(500)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유닛(510)과,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래치 유닛(530)과, 상기 조작 유닛(510)과 래치 유닛(530)이 서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유닛(5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500 includes an operation unit 510 for a user to operate, a latch unit 530 to keep the door closed, and the operation unit 510 and a latch unit 530. It may be configured as a connection unit 520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도어(200)의 내측에는 상기 도어 개폐 어셈블리(5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열을 위한 단열재가 발포 충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도어 개폐 어셈블리(500)는 단열재에 의해 매립되되 내부의 구성들은 단열재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동작 가능하게 구성된다.And, the inside of the door 200,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500 in the state in which the insulating material for the insulation can be foamed and filled, at this tim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500 is buried by the insulation material inside The components of the are configured to be operable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상세히, 상기 조작 유닛(510)은 사용자가 눌러서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재(511)와, 상기 도어(200)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조작부재(511)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조작부재 케이스(512)와, 상기 조작부재 케이스(512)에 결합되어 개구된 면을 차폐하는 케이스 커버(513)로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operation unit 510 is an operation member case 511 that can be operated by a user and is mounted inside the door 200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operation member 511 is accommodated ( 512) and a case cover 513 coupled to the operation member case 512 to shield the opened surface.

상기 조작부재(511)는 상기 조작부재 케이스(51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누름부(514)의 회전 조작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514)는 상기 도어(200)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514)를 누르게 되면, 상기 조작부재(511)는 상기 조작부재 케이스(512)의 내측에서 회전하면서 인입된다.The operation member 511 is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operation member case 512,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ed during rotation oper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514. Then, the pressing portion 514 may be exposed protruding downward of the door 200, and when the pressing portion 514 is pressed, the operation member 511 is inside the operation member case 512 It is drawn while rotating in.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511)에는 연결부재(521)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515)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515)는 상기 조작부재(511)의 회전축(516)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평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521)의 하단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 support portion 515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521 is formed on the operation member 511. The support part 515 extends forward from the rotating shaft 516 of the operation member 511, and is formed to extend in a plan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521 can be stably supported.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521)의 하부는 상기 조작부재 케이스(512)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조작부재 케이스(512)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조작부재(511)의 지지부(515)와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521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member case 512 and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operation member case 512, in contact with the support 515 of the operation member 511 Will be able to maintain.

한편, 상기 래치 유닛(530)은 상기 조작 유닛(510)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상하 높이 중 대략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치 유닛(530)과 대응하는 냉장고의 본체 또는 다른 도어에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은 상기 래치 유닛(530)의 래치부재(531)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래치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tch unit 530 is provided above the operation unit 510, it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vertical height of the door. At this time, a latch accommodating portion that i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latch member 531 of the latch unit 530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or other door of the refrigerator corresponding to the latch unit 530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You can.

상기 래치 유닛(530)은 상기 도어(200)의 고정을 위해 걸림 구속되는 상대물에 형성되는 래치 수용부에 걸림 구속되는 래치부재(531)와, 상기 래치부재(53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래치 브라켓(532)과, 상기 래치부재(531)와 상기 래치 브라켓(532)을 수용하는 래치 케이스(533) 그리고, 상기 래치 케이스(533)의 개구된 부분을 차폐하는 케이스 커버(5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atch unit 530 is a latch member 531 and the latch member 531 and the latch member 531 is rotatably mounted to the latch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on a counterpart that is locked to fix the door 200 It includes a latch bracket 532, a latch case 533 accommodating the latch member 531 and the latch bracket 532, and a case cover 534 shielding an open portion of the latch case 533. Can be configured.

상세히, 상기 래치 케이스(533)는 전면과 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래치 케이스(533)의 전면은 상기 도어 라이너(220)의 개구된 일측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개구된 일측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 케이스(533)의 개구된 후면에는 래치 커버(534)가 장착되어 내부에 상기 래치부재(531)와 상기 래치 브라켓(532)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In detail, the latch case 533 is formed such tha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opened,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latch case 533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pened one side of the door liner 220 and can be mounted on the opened one side. It is configured to. In addition, a latch cover 534 is mounted on an opened rear surface of the latch case 533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latch member 531 and the latch bracket 532 are accommodated.

상기 래치부재(531)는 상기 래치 케이스(533)와 상기 도어 라이너(220)를 관통하여 돌출되며,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구속부(536)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속부(536)는 상기 래치부재(531)의 선택적인 회동에 따라 상기 냉장고 본체 또는 다른 도어의 걸림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latch member 531 protrudes through the latch case 533 and the door liner 220 and is configured to expose the restraining portion 536 formed in a hook shape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restraining portion 536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locking portion of the refrigerator body or another door according to the selective rotation of the latch member 531.

상기 래치부재(531)의 회전축(535)은 상기 래치 브라켓(53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535)상에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래치부재(531)의 회전시 상기 래치부재(531)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rotation shaft 535 of the latch member 531 is rotatably mounted on the latch bracket 532, and an elastic member such as a torsion spring is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535 to rotate the latch member 531 when rotated. The latch member 531 is configur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한편, 상기 조작 유닛(510)과 상기 래치 유닛(530)의 사이에는 연결 유닛(520)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 유닛(52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래치 유닛(530)과 상기 조작 유닛(510)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Meanwhile, a connection unit 520 is provided between the operation unit 510 and the latch unit 530. The connection unit 520 is formed to be vertically long, and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latch unit 530 and the operation unit 510.

상세히, 상기 연결 유닛(520)은 상기 조작부재(511)와 상기 래치부재(531)가 연동되도록 하는 연결부재(521)와 상기 연결부재(521)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재 케이스(522)로 구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connection unit 520 is a connection member case 522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connection member 521 and the connection member 521 are accommodated so that the operation member 511 and the latch member 531 are interlocked. ).

상기 연결부재(52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래치부재(531)의 하면과 접하고, 하단은 상기 조작부재(511)의 지지부(515)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521)의 하부는 절곡되어 상기 조작부재 케이스(512)의 내측에서 후방에 위치한 상기 지지부(515)에 하단이 접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작부재(511)의 회동시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connecting member 521 is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upp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atch member 531, the lower end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support portion 515 of the operation member 511.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521 is bent so that the lower end can contact the support portion 515 located on the rear side from the inside of the operating member case 512, and stably up and down when the operating member 511 is rotated. I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상기 연결부재 케이스(522)는 상기 도어 라이너(220)의 배면에 고정되며, 상기 상단과 하단은 상기 래치 케이스(533)와 조작부재 케이스(51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 케이스(522)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 라이너(22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연결부재(521)가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0) 내부에 단열재의 주입시 상기 연결부재 케이스(522)의 내부로 단열재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The connection member case 522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liner 220,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fixed to the latch case 533 and the operation member case 512. In addition, the connection member case 522 forms a space therein,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521 can be accommodated to be moved up and down therein when mounted on the door liner 220, and the door 200 When the insulating material is injected therein, the insulating material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connection member case 522.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도어 개폐 어셈블리(500)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면, 상기 조작부재(511)의 조작시 상기 연결부재(521)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연결부재(521)의 이동에 따라 상기 래치부재(531)는 회전하게 되어 상기 래치부재(531)와 상대물이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어 상기 도어(200)가 개방되거나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5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511, the connection member 521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521, the latch member 531 is rotated so that the latch member 531 and the counterpart are selectively locked and restrained so that the door 200 can be opened or closed. There will be.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예컨데,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에 각각 개폐 가능한 추가의 도어가 구비되고, 이들 추가의 도어에 각각 도어 개폐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example,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 doors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respectively ar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and each of these additional doors is provided with a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상기 도어의 구조와 상기 도어 개폐 어셈블리의 장착 위치 등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며, 이들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중복된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only the structure of the door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and all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For the same configuration, the same drawings are used to prevent duplicate descriptions.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에 의한 냉장고(1)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좌우 양측으로 구획된 냉동실(11)과 냉장실(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에는 상기 냉동실(11)과 냉동실(11)을 각각 회동에 의해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20)와 냉장실 도어(30)가 구비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11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12, which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inside the cabinet 10. In addition, the cabinet 10 is provided with a freezer compartment door 20 and a freezer compartment door 30 that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11 and the freezer compartment 11 by rotation,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20)와 냉장실 도어(30)의 전면에는 그립부(33)가 형성된다. 상기 그립부(33)는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 도어(30)와 냉동실 도어(20)를 개폐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In addition, a grip portion 33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s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The grip portion 33 is formed to be recessed inward by allowing a user to hold the user to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

상기 냉동실 도어(20)와 냉장실 도어(30)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20)와 냉장실 도어(30)의 전면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로 접근 가능한 수납 장치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수납 장치는 상기 그립부(33)의 상방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20)와 냉장실 도어(30)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20)와 냉장실 도어(30)에 형성된 각각의 수납 장치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제 1 서브도어(200)와 제 2 서브 도어(600)가 구비된다.The freezer door 20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are formed with openings in which a part of the front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is opened, and a storage device accessible to the opening is provided, respectively. The device is formed above the grip portion 33. In additio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are provided with a first subdoor 2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ed front surfaces of the respective storage devices form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2 sub-doors 600 are provided.

상기 제 1 서브도어(200)와 제 2 서브 도어(600)는 각각 상기 그립부(33) 하방의 상기 냉동실 도어(20) 및 냉장실 도어(30)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을 가지며, 동일한 무늬와 재질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서브 도어(600)는 그 장착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서브 도어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irst sub-door 200 and the second sub-door 600 have the same plane and the same pattern and material as the front surfaces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below the grip portion 33, respectively. It can be formed to have. The second sub-door 60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sub-door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for the mounting posi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제 1 서브도어(200)와 제 2 서브 도어(600)에는 각각 도어 개폐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 개폐 어셈블리의 구성 또한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그 장착 위치에만 차이가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ies are provided on the first sub-door 200 and the second sub-door 600, respectively. The configu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also has the same structure as in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and since only the mounting position is differ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세히, 상기 제 1 서브도어(200)와 제 2 서브 도어(600)에 구비되는 각각의 도어 개폐 어셈블리의 조작부재들(415,610)은 상기 제 1 서브도어(200)와 제 2 서브 도어(600)의 하단에 구비되되 서로 인접한 모서리에 위치하게 된다.In detail, the operating members 415 and 610 of each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provided in the first sub-door 200 and the second sub-door 600 are the first sub-door 200 and the second sub-door 600. I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ut is located at the corner adjacent to each other.

즉, 상기 조작부재들(415,610)은 상기 제 1 서브도어(200)와 제 2 서브 도어(600)의 하단에서 각각 상기 각각의 제 1 서브도어(200)와 제 2 서브 도어(600)의 회전축과 먼 위치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재들(415,610)의 조작이 용이함은 물론 상기 제 1 서브도어(200)와 제 2 서브 도어(600)의 회전 조작 또한 한꺼번에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배치된다.That is, the operating members 415 and 610 are rotation axes of the respective first sub-doors 200 and the second sub-doors 600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sub-door 200 and the second sub-door 600, respectively. I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remote location and is disposed so that the manipulation of the manipulation members 415 and 610 is easy, as well as the rotation of the first sub-door 200 and the second sub-door 600 at once.

또한, 상기 조작부재들(415,610)이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서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상기 제 1 서브도어(200)와 제 2 서브 도어(600)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members 415 and 61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user can more easily operate the first sub-door 200 and the second sub-door 600.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예컨데,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하 방에 각각 개폐 가능한 추가의 도어가 구비되고, 이들 추가의 도어에 각각 도어 개폐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example,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 doors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respectively ar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nd the freezer door, and each of the additional doors is provided with a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Is don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상기 도어의 구조와 상기 도어 개폐 어셈블리의 장착 위치 등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며, 이들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중복된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only the structure of the door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and all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b-door of the refrigerator is opened.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에 의한 냉장고(1)는 캐비닛(10)의 좌우 양측에 구획된 냉동실(11)과 냉장실(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에는 상기 냉동실(11)과 냉동실(11)을 각각 회동에 의해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20)와 냉장실 도어(30)가 구비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freezer compartment 11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12 partition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binet 10. In addition, the cabinet 10 is provided with a freezer compartment door 20 and a freezer compartment door 30 that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11 and the freezer compartment 11 by rotation,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20)와 냉장실 도어(30)의 전면에는 그립부(33)가 형성된다. 상기 그립부(33)는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 도어(30)와 냉동실 도어(20)를 개폐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In addition, a grip portion 33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s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The grip portion 33 is formed to be recessed inward by allowing a user to hold the user to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20.

상기 냉장실 도어(30)에는 전면이 개구된 수납 장치(31)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장치는 상기 그립부(33)를 기준으로 상방과 하방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30)에는 상기 냉장실 도어(30)에 형성된 각각의 수납장치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제 1 서브 도어(200)와 제 3 서브 도어(300)가 구비된다.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30 is provided with a storage device 31 with an open front surface, and the storage device is formed above and below the grip portion 33,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0 is provided with a first sub-door 200 and a third sub-door 3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ed front surfaces of the respective storage devices form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30.

상기 제 1 서브 도어(200)와 제 3 서브 도어(300)의 전면은 서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며, 상기 냉동실 도어(20)의 전면과도 동일한 평면을 가지며, 동일한 무늬와 재질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도어(200)와 제 3 서브 도어(300)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sub-door 200 and the third sub-door 300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have the same plane as the front surface of the freezer door 20, and are formed to have the same pattern and material. Can be. Since the first sub-door 200 and the third sub-door 300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제 1 서브 도어(200)와 제 3 서브 도어(300)에는 각각 도어 개폐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 개폐 어셈블리의 구조 또한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그 장착 위치에만 차이가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ies are provided in the first sub-door 200 and the third sub-door 300, respectively. The structure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assembly also has the same structure as in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and since it differs only in the mounting posi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세히, 상기 제 1 서브 도어(200)와 제 3 서브 도어(300)에 구비되는 각각의 도어 개폐 어셈블리의 조작부재들(310,415)은 상기 제 1 서브 도어(200)의 하단 및 제 3 서브 도어(300)의 상단에 구비되되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인접한 모서리에 위치하게 된다.In detail, the operating members 310 and 415 of each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provided in the first sub-door 200 and the third sub-door 300 are the lower and third sub-doors of the first sub-door 200 ( It is provided on the top of 300) but is located at the adjacent edge of the position facing each other.

즉, 상기 조작부재들(310,415)은 상기 제 1 서브 도어(200)와 제 3 서브 도어(300)의 하단과 상단에 구비되며, 각각 회전축과 먼 위치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재들(310,415)의 조작이 용이함은 물론 상기 제 1 서브 도어(200)와 제 3 서브 도어(300)의 회전 조작 또한 한꺼번에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배치된다.That is, the manipulation members 310 and 415 are provided at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first sub-door 200 and the third sub-door 300, and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ends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distal position, thereby operating the members 310 and 415 ), As well as the ease of operation, the first sub-door 200 and the third sub-door 300 are arranged to be rotated.

또한, 상기 조작부재들(310,415)이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서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상기 제 1 서브 도어(200)와 제 3 서브 도어(300)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members 310 and 415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user can more easily operate the first sub-door 200 and the third sub-door 300.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3 실시예와 제 4 실시예가 조합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에 각각 한쌍씩의 추가의 서브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제공되고, 이들 도어에는 각각의 도어 개폐 어셈블리가 구비 되되 각각이 상기 그립부의 영역에 위치되는 각각의 도어의 단부에 위치되고, 각 도어의 회전축과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fourth embodiment are combined to provide a pair of additional sub-doors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respectively, so that each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ssemblies is provided. It is provided, each of which is located at the end of each door located in the region of the grip portion, i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rotation axis of each door.

Claims (13)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회전에 의해 개폐하며,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전면을포함한 외측면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와, 내측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상기 아웃 케이스와 도어 라이너의 하단에 결합되어 하면을 형성하는 캡데코를 포함하는 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 후면에서 상기 메인 도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서브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래치부재;
상기 래치부재와 대응하는 상기 메인 도어에 형성되며, 상기 래치부재의 단부가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래치 수용부;
상기 캡데코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서브 도어의 하면에 노출된 일측을 사용자의 손으로 직접 회전 조작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서브 도어의 내측에서 상단은 상기 래치부재와 접하고 하단은 상기 조작부재와 접하여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시 상기 래치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A cabinet forming a storage space;
A main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by rotation, and has an opening formed therein;
Rotat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door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 outer case forming an outer surface including a front surface, a door liner forming an inner side, and a cap forming a lower surfac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outer case and the door liner A sub door including a deco;
A latch member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sub-door toward the main door and rotatably disposed on the sub-door;
A latch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the main door corresponding to the latch member, the end of the latch member being selectively locked by rotation;
An operation member rotatab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deco and directly rotating one side ex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door with a user's hand; And
In the inside of the sub-door, the upp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latch member, and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control memb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a connecting member to rotate the latch member when the control member is rot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재는 상기 서브 도어의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서브 도어의 배면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latch member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sub-door, and a refrigerator protruding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sub-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용부는 상기 메인 도어의 전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래치 수용부의 내측에는 상기 래치부재의 단부와 걸림 구속되도록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latch receiving portion is recessed in the front of the main door,
A refrigerator having a locking portion protruding to be locked with an end of the latch member is formed inside the latch receiving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래치부재의 단부와 접하여 상기 래치부재의 단부와의 구속을 유도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The refrigerator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latch member to induce restraint with the end of the latch memb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재의 돌출된 단부에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와 걸림 구속되는 구속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A refrigerator having a hook shape formed at a protruding end of the latch member to form a constraining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locking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재는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구속부가 상기 걸림부를 향하여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5,
The latch member is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inside the door,
The elastic member is a refrigerator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restraint portion is rotated toward the locking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래치부재가 구속 해제를 위해 회전될 때 압축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6,
The elastic member is a refrigerator that is compressed when the latch member is rotated to release the restrain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를 누르는 손을 떼게 되면,
상기 래치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래치부재의 회전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 또한 회전되어 상기 조작부재가 조작 가능한 상태로 복귀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hand pressing the operation member is released,
The latch member is rota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When the latch member rotates, the operation member is also rotated by the connection member to return the operation member to an operable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서브 도어의 좌우 양측단 중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 축과 먼 일측에 위치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member is a refrigerator located on one side far from the rotational axis of the sub-doors of both right and left ends of the sub-door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캡데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서브 도어의 내측에 위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캡데코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의 단부는 상기 캡데코와 이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캡데코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2,
The operation member,
A rotation part rotatably mounted on the cap deco and positioned inside the sub-door;
It extends from the rotating portion, and includes a pressing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p deco and operated by a user,
The end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cap deco, the refrigerator being rotated in a direction close to the cap deco by user manipul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의 하방에는 상기 메인 도어의 개방을 위해 사용자가 손을 넣어 잡을 수 있는 그립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그립부의 내측에 위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의 내측으로 손을 넣어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Below the sub-door, a grip portion is formed in which a user can put their hands to open the main door.
The operation member is located inside the grip portion, and the refrigerator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a user putting his hand inside the grip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용부는 상기 메인 도어의 전면에 함몰되며,
상기 서브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래치부재가 삽입된 상태로 구속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The latch receiving portion is recessed in the front of the main door,
When the sub-door is closed, the refrigerator is restrained with the latch member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케이스와 도어 라이너의 사이에는 발포 단열재가 채워지며,
상기 서브 도어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단열재의 침투를 방지하는 연결부재 케이스가 더 구비되는 냉장고.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out case and the door liner is filled with a foam insulation,
A refrigerator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sub-door, and a connecting member case for preventing penetration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further provided.
KR1020190102726A 2019-08-21 2019-08-21 Refirgerator Active KR1020934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726A KR102093435B1 (en) 2019-08-21 2019-08-21 Refir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726A KR102093435B1 (en) 2019-08-21 2019-08-21 Refirgera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908A Division KR102179342B1 (en) 2013-12-23 2013-12-23 Refir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108A KR20190104108A (en) 2019-09-06
KR102093435B1 true KR102093435B1 (en) 2020-03-25

Family

ID=6794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726A Active KR102093435B1 (en) 2019-08-21 2019-08-21 Refir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43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2556A1 (en) * 2020-10-23 2022-05-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987B1 (en) * 2010-01-04 2013-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727B1 (en) * 1997-09-08 2000-04-01 전주범 Door open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KR200239625Y1 (en) * 1998-03-05 2001-11-22 윤종용 Refrigerator with door lo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987B1 (en) * 2010-01-04 2013-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2556A1 (en) * 2020-10-23 2022-05-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732952B2 (en) 2020-10-23 2023-08-2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2135162B2 (en) 2020-10-23 2024-11-0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108A (en)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9477B2 (en) Refrigerator
US11499771B2 (en) Refrigerator
KR102179342B1 (en) Refirgerator
KR102227959B1 (en) Refirgerator
KR102093435B1 (en) Refirgerator
KR102150095B1 (en) Refirgerator
KR102392210B1 (en) Refirgerator
US20240191933A1 (en) Refrigerator
KR102093448B1 (en) Refirgerator
KR102093461B1 (en) Refirgerator
KR102093456B1 (en) Refirgerator
KR102111717B1 (en) Refirgerator
KR102150097B1 (en) Refirgerator
KR102762550B1 (en) Refirgerator
KR102208532B1 (en) Refir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82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31223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301609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4I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