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3137B1 - 에어로드가 형성된 탈기시트 및 이를 이용한 탈기공법 - Google Patents

에어로드가 형성된 탈기시트 및 이를 이용한 탈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137B1
KR102093137B1 KR1020190087797A KR20190087797A KR102093137B1 KR 102093137 B1 KR102093137 B1 KR 102093137B1 KR 1020190087797 A KR1020190087797 A KR 1020190087797A KR 20190087797 A KR20190087797 A KR 20190087797A KR 102093137 B1 KR102093137 B1 KR 102093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assing
weight
air rod
sheet
base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욱
Original Assignee
윤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욱 filed Critical 윤정욱
Priority to KR1020190087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1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4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로드가 형성된 탈기시트 및 이를 이용한 탈기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의 필름형 관구조로 이루어지며, 내경으로 관통되도록 다수 개의 통공이 외경에 관통형성된 에어로드와; 상기 에어로드의 상, 하부로 적층되어 에어로드가 매입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바탕면 또는 신축 줄눈에서 기화되는 수분이 통과되도록 다수 개의 기공이 하부에서 에어로드까지 형성된 탈기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바탕면에 형성된 신축줄눈이 탈기로로서 이용되어 바탕면에서 방출되는 수증기 또는 가스가 방수층의 외곽으로 유도된 후 탈기되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탈기로가 확보되며,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수증기나 가스가 탈기되므로, 후속공정에 의해 형성된 방수층에 에어포켓 등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에어로드가 형성된 탈기시트 및 이를 이용한 탈기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로드가 형성된 탈기시트 및 이를 이용한 탈기공법{Air vent sheet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에어로드가 형성된 탈기시트 및 이를 이용한 탈기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탕면에 형성된 신축줄눈이 탈기로로서 이용되어 바탕면에서 방출되는 수증기 또는 가스가 방수층의 외곽으로 유도된 후 탈기되게 함으로써, 안정적인 탈기로가 확보되며,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수증기나 가스가 탈기되므로, 후속공정에 의해 형성된 방수층에 에어포켓 등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에어로드가 형성된 탈기시트 및 이를 이용한 탈기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방수공사는 사용자의 거주성 및 쾌적성과 건축물의 안전성 관점에서 중요한 공정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건설공사에서 발생하는 하자 중의 약 30% 이상이 누수와 관계되며, 누수로 인해 손실되는 경비가 최초시공경비의 약 3배 이상 추가되는 등 많은 손실을 가져온다. 이러한 방수 공사의 하자는 대부분 시공 부주의로 발생되기 때문에 사전대비가 가능하다.
건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방수공법으로는 콘크리트 표면에 고무계, 염화비닐수지계, 에틸렌초산비닐수지계 등의 합성 고분자계 루핑시트(roofing sheet)를 접착제로 부착하는 시트방수나 2성분 우레탄 고무계 방수재를 현장에서 혼합도포하는 도막방수 등이 있다.
이때, 상기 시트방수는 일정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시트들을 현장에서 이어주는 작업으로서, 방수시공이 가능하므로 일정한 막 두께가 확보되고 경화 및 양생하는 기간도 불필요하여 시공기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으나, 시트들의 접합부(이음매 부분)에 누수가 발생되는 사례가 많다.
또한, 상기 도막방수는 현장에서 2액을 결합 및 교반하여 도포하기 때문에 시트방수와 같은 접합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일체형의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고, 콘크리트 바닥면과 접착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도막방수의 방수층과 콘크리트 계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수층의 부풀림 현상(air pocket)이 발생되고 이는 직사광선을 직접 받는 옥상 고유의 환경에 의한 자연발생적인 현상이므로 그 대안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종래에는 시트 상면에 경화가 빠른 특성을 갖는 폴리우레아수지를 방수제로 사용하여 도포함으로써 통기성을 최대한 확보하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 폴리우레아수지 이외에는 시트 상면에 방수층 형성을 위해 도포 시 공극이 막혀 통기성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므로 방수층 형성을 위한 재료사용에 있어 극히 제한됨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바탕면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완전히 건조되지 않을때 바탕면에 함수된 수증기 또는 가스가 방출되며, 이러한 수증기나 가스 역시 방수층을 바탕면으로부터 들뜨게 하는 에어포켓 현상을 유발하여 방수층이 쉽게 파손되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바탕면이 외부환경요인에 의하여 거동할때 이 거동성에 대응하고, 거동에 의하여 구조체에 그 영향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바탕면에 형성된 신축줄눈이 탈기로로서 이용되도록 하여 바탕면에서 방출되는 수증기 또는 가스가 방수층의 외곽으로 유도된 후 탈기되도록 하는 에어로드가 형성된 탈기시트 및 이를 이용한 탈기공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의 필름형 관구조로 이루어지며, 내경으로 관통되도록 다수 개의 통공(102a)이 외경에 관통형성된 에어로드(102)와; 상기 에어로드(102)의 상, 하부로 적층되어 에어로드(102)가 매입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바탕면(104) 또는 신축 줄눈(104a)에서 기화되는 수분이 통과되도록 다수 개의 기공(도시하지 않음)이 하부에서 에어로드(102)까지 형성된 탈기부재(1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드(102)가 형성된 탈기시트(110)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탈기부재(106)는, 아스팔트 또는 부틸 30 ~ 45 중량%, SBS고무 10 ~ 20 중량%, SB LATEX 3 ~ 10 중량%, 셀룰로오스 10 ~ 15 중량%가소제 6 ~ 17 중량%, 점착증진수지 5 ~ 12 중량%, 흐름방지재 2 ~ 5 중량%, 충진재 10 ~ 20 중량%, PVB(polyvinyl butyral) 1 ~ 5 중량%, 소석회 2 ~ 5 중량%, 습윤점착제 3 ~ 8 중량%로 이루어진 상, 하부 시트부(106a)(106b)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바탕면(104)을 정리하고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와; 상기 바탕면(104)에 형성된 신축 줄눈(104a) 상부면에 에어로드(102)가 형성된 탈기시트(110)를 부착하는 제1부착단계와; 상기 제1부착단계에 의해 부착되는 탈기시트(110)가 바탕면(104) 끝단의 코너부와 측벽면에 기립하여 부착되게 하는 제2부착단계와; 상기 제2부착단계에 의해 측벽면에 부착된 탈기시트(110)의 끝단(A)에 탈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는 탈기구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드(102)가 형성된 탈기시트를 이용한 탈기공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탈기시트가 가지는 다수 개의 기공을 통하여 바탕면에서 방출되는 수증기, 가스가 에어로드의 통공으로 유도되고, 에어로드는 탈기시트의 끝단에 형성된 탈기구와 연결되어있으므로, 결국, 바탕면에서 방출되는 수증기나 가스가 에어로드를 통하여 탈기구로 탈기되게 함으로써, 바탕면 또는 콘크리트에서 배출되는 습기와 공기압력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공성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 균일한 접착력 및 균일한 탈기로를 확보할 수 있는 탈기로를 갖는 방수구조물을 제공 및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줄눈이 형성된 바탕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에어로드가 탈기시트에 삽입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드가 형성된 탈기시트를 이용한 탈기공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기시트가 시공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드(102)가 형성된 탈기시트(110) 및 이를 이용한 탈기공법은 탈기로를 형성하여 콘크리트에서 배출되는 습기 및 공기압력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바탕면(104)과 이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 콘크리트 측벽면(104b)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바탕면(104)과 이에 연장되는 콘크리트 측벽면(104b)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슬라브 또는 콘크리트 바탕면(104)(이하, 바탕면(104)이라 함)에는 하절기와 동절기의 온도변화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체가 수축하거나 신장됨으로써 발생하는 거동 시 그 영향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신축 줄눈(104a)이 형성된다.
상기 신축 줄눈(104a)은 일정 폭과 깊이로 형성되며, 바탕면(104)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모두에 형성되어 바둑판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에어로드(102)가 형성된 탈기시트(110)는 상기한 신축 줄눈(104a)의 상부에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형성되어 신축 줄눈(104a)으로부터 방출되는 수증기나 가스 등을 포집하여 측벽면(104b)에 형성되는 탈기구까지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에어로드(102)가 형성된 탈기시트(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한 소재(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필름 등)로 성형된 관형상의 에어로드(102)가 탈기부재(106)의 내측에 함입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에어로드(102)에는 내, 외경이 연통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통공(10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탈기부재(10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드(102)의 상, 하부에 적층되어 에어로드(102)가 탈기부재(106)의 내측에 삽입된 구조를 가지게 하며, 이 탈기부재(106)의 하부면에도 다수 개의 기공이 형성되며, 이 기공은 에어로드(102)까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신축 줄눈(104a)에서 방출되는 수증기, 가스 등이 기공을 통하여 에어로드(102)의 통공(102a)을 통과하여 에어로드(102)의 내경으로 유도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드(102)가 관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임을 도시한 것이고, 실질적으로 탈기부재(106)에 함입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상태로 구조적으로 변형된 후 제조되며,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관의 구조에서 납작한 형태로 구조적인 변형을 가한 후 제조될 수도 있으며, 최초부터 납작한 관의 구조로 에어로드(102)를 성형한 후 상, 하부 시트부(106a)(106b) 사이에 에어로드(102)를 삽입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탈기부재(106)는, 아스팔트 또는 부틸 30 ~ 45 중량%, SBS고무 10 ~ 20 중량%, SB LATEX 3 ~ 10 중량%, 셀룰로오스 10 ~ 15 중량%가소제 6 ~ 17 중량%, 점착증진수지 5 ~ 12 중량%, 흐름방지재 2 ~ 5 중량%, 충진재 10 ~ 20 중량%, PVB(polyvinyl butyral) 1 ~ 5 중량%, 소석회 2 ~ 5 중량%, 습윤점착제 3 ~ 8 중량%로 이루어진 상, 하부 시트부(106a)(106b)로 구성된다.
상기 탈기부재(106) 조성물 중 아스팔트는 침입도가 80 ~ 100, 연화점이 42∼50℃,이고 저 비점인 AP-3를 주로 사용한다, AP-5를 사용하면 점착 강도는 우수하나 내한성이 떨어져 저온 하에서는 점착력 발휘가 안 되고,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주로 AP-3를 사용한다.
상기 아스팔트는 30 중량% 이하 첨가 시 초기 점착력이 저하되고, 가격이 상승되며, 45 중량% 이상 첨가 시 가격은 내려가나, 저온에서 깨지는 현상 발생한다.
상기 탈기부재(106) 조성물 중 열가소성 고무인 SBS고무는 부타디엔(butadiene)과 스타이렌(styrene)을 유기용매에서 중합한 블록(block) 공중합체로서 리니어(Linear), 래디얼(Radial)구조를 갖고 있으며, 리니어(Linear) 구조는 부타디엔(butadiene) 과 스타이렌(styrene)의 2면이 중합되어 고온의 아스팔트 컴파운드(asphalt compound)내에서 잘 녹으면서 분산이 잘 되지만 래디얼(Radial) 구조는 부타디엔(butadiene)과 스타이렌(styrene)의 4면이 중합되어 고온의 아스팔트 컴파운드(asphalt compound) 내에서 잘 녹지 않으며 또한 분산도 어렵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SBS고무를 본 발명에서는 인장강도, 내열성, 탄성, 점착력 등을 고려하여 혼합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아스팔트(asphalt) 및 다른 폴리머(polymer)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첨가량을 10 중량% ~ 20 중량%로 한정하여 원가 절감, 작업성을 수월하게 하였다.
열가소성 고무 SBS고무를 10 중량% 이하 첨가하면 탄성을 잃어 잘 파손되고, 내열성도 현저히 떨어지며, 열가소성 SBS고무를 20 중량% 이상 첨가하면 아스팔트 컴파운드(asphalt compound)내에 SBS 중 부타디엔(butadiene)과의 중합할 수 있는 단량체(monomer)가 적어져 고탄성, 점착력, 내열성 등의 큰 효과가 없고 오히려 원가만 상승하는 결과만 초래한다.
상기 탈기부재(106) 조성물 중 SB LATEX는 나노 입자크기의 아크릴 라텍스, 나노 에멀젼 레텍스의 단독 또는 일반적인 아크릴 라텍스와의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바탕면(104)의 크랙 또는 공극 속으로 더 잘 침투하여 더욱 향상된 부착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입자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부착력과 결합력이 우수해져 장기간 부착력이 향상되고, 수분을 제거하면서 오일을 첨가하면 제품의 내한성과 내열성 향상되고, 탄성이 증가된다.
상기한 SB LATEX는 점착층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이하 첨가 시 내열성과 내한성의 향상이 미미하며, 10 중량% 이상 첨가 시 고무의 결합력 증가로 배합이 잘 안되고 제품의 가격이 상승되므로, 3 ~ 10 중량%의 첨가량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기부재(106) 조성물 중 셀룰로오스는 자연계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유기화합물로 섬유소라고도 하며, 식물 세포벽의 기본구조이며, 모든 식물성 물질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다.
목재를 처리하여 얻는 펄프의 주성분으로 종이, 화학 섬유의 원료로서, 독특한 구조적 특성을 가지는 체인 모양의 생체고분자이며, 장력이 아주 강하고, 여러 가지 방식으로 화학적인 변형이 가능해서 구조적인 결합력 강화를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인장강도나 인장탄성계수와 같은 고분자의 기계적 강도 등을 크게 개선시키고, 산소투과도가 낮고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며, 재료들간의 연결고리를 형성시킴으로써 소성 변형에 의한 수축균열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셀룰로오스는 탈기부재(106)를 조성하는 조성물의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10 ~ 15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중량% 미만 첨가 시 재료들간의 연결고리에 의한 수축균열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미미하고, 15 중량%를 초과 첨가 시 동절기 시 딱딱해져 파손이 우려된다.
상기 탈기부재(106) 조성물 중 가소제는 아스팔트 화합물이 상온에서 겔 상태의 점성을 유지하여 탄성 및 유연성을 영구적으로 가질 수 있도록 첨가되는 것으로서, 프로세스 오일(Process oil)중에서 파라핀계 오일(Paraffinc Oil), 나프텐계 오일(Naphthenic Oil), 아로마틱계 오일(Aromatic Oil)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프로세스 오일(Process oil)과 함께 글리콜유(Glycol Oil) 또는 미네랄 스프리트 오일(Mireral Sprit Oil)중 어느 하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아스팔트와 상용성이 우수한 다른 가소제를 첨가해도 무방하다.
상기 가소제의 기능은 점착기능 부여, 폴리머간의 상용성 향상과 컴파운드내에서 가소성을 부여하여 가공성을 개선하고 물리적 성질을 변화시켜 우수한 성질을 갖도록 보조하며, 고탄성 합성고무를 첨가하여 저온하에서도 깨지는 현상이 없고 고온에서도 잘 흘러내리지 않게 한다.
이때, 상기 가소제의 첨가비율이 6 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아스팔트의 점도 조절 저하로 점착력이 저하되며, 17 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내열성이 저하되고, 고온(여름)에서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점착층 조성물 중 점착증진수지는, 석유화학수지, 천연수지(송진), 천연수지 가공(로진에스테르) 등을 첨가하며, 각 폴리머간의 결합력, 점착력, 내열성 등이 향상되어 별도의 점착제, 토오치 등이 필요 없이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천연수지는 일반적으로 송진을 말하며 석유화학 수지가 개발되기 전 많이 사용된 수지이며, 상기 석유화학 수지는 벤젠핵을 가지는 방향족화합물(벤젠, 톨루엔, 자일렌, 페놀)과 사슬모양 고분자를 가진 지방족화합물(메탄올, 폼알데하이드, 폴리에틸렌, 아크릴로나이트릴)로 분류되며 본 발명에서는 지방족 석유화학 수지(C-5)에 소량 방향족 첨가된 지방족(C-5/C-9) 석유화학 수지를 사용한다.
점착증진수지(석유화학 수지)는 탈기부재(106) 조성물 중 전체중량에 대해 5 ~ 12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중량% 이하로 첨가할 경우 고단가인 석유화학 수지 소량 첨가로 가격의 인하 효과는 있으나 점착기능 상실로 자착기능이 상실되며, 수지 등의 다른 재료간의 결합력저하 등의 이유로 인한 탈기부재(106)의 내열성이 저하되며, 12 중량% 이상 첨가할 경우 석유화학 수지는 고단가로 인하여 가격 상승을 초래하며, 저온에서 딱딱해져 시공의 불편함이 초래되며, 자외선, 열, 기타 환경에 의해 쉽게 산화되어 탈기부재(106)의 내후성이 떨어진다.
또한, 가소제의 함유량 증가로 오히려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방향족 첨가된 지방족(C-5/C-9)을 소량 첨가하여 피착 표면에 프라이머 도포되어 있어도 밀어내지 않으면서 서로 반응하여 견고한 점착력 즉 강력한 부착력을 실현하기 위하여 첨가한 석유화학 수지이다.
상기 탈기부재(106) 조성물 중 흐름방지재는 클레이, 톱밥 등을 첨가하며, 상기 흐름방지재는 낮은 점도로 인해 온도 상승되면, 저점도 컴파운드가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의 원료를 1종, 2종 을 첨가하여 점도와 내열성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흐름방지제는 전체중량 기준으로 2 ~ 5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2 중량% 이하 첨가할 경우 소량으로 인해 고온에서 컴파운드가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반면에 5 중량% 이상 초과할 경우 저 비중으로 부피가 일반 충진재보다 커서 점착기능이 저하되며, 또한 흡수력이 매우 뛰어나 투입된 가소제를 모두 흡수하여 점착층이 딱딱해진다.
상기 탈기부재(106) 조성물 중 충진재는, 저렴하고, 각종 폴리머간의 결합력 등을 향상시키는 탄산칼슘(caco3)을 10 중량% ~ 20 중량% 첨가한다.
상기 충진재를 10 중량% 이하 첨가 시 효과가 미비하고, 비중만 증가시키며, 20 중량% 이상 첨가 시 가격 인하효과는 발생하나, 점착력 저하, 점도 상승으로 내한성 저하, 고 비중으로 인한 제품 중량 증가로 이동 및 설치가 어려우며, 벽체 설치시 떨어지는 현상 발생하며, 충진재는 결합력 증대, 가격 인하 효과, 극성부여로 점착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탈기부재(106) 조성물 중 PVB(polyvinyl butyral)는 폴리초산비닐은겐화하여에스텔기의 대부분, 또는 전부를 수산기로 만들어 폴리비닐알콜로하여 이 수산기의 일부를 부틸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틸화한 수지를 말한다.
방향족 탄화수소계로 아스팔트(방향족 탄화수소계)와의 상용성이 매우 뛰어나고, PVB 레진은 내 산성, 내 알칼리성이 매우 뛰어나며, 일반 탄화수소계 용제에도 강한 화학적 특성이 있으며, 뛰어난 수지내의 결합력으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강한 점착력으로 피착면과의 부착력이 뛰어나 제품의 들뜸 현상, 탈착 현상을 제고한다.
그리고, 밀착성, 인성, 유연성이 우수하여 제품 시공시 취약부위 누수 현상 방지가 우수하고, 페놀수지,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알키드 수지, 천연수지 등과 상용성이 뛰어나 점착력이 향상되고, 소수성 고분자인 PVA는 극성 표면에 의해 접착성이 매우 우수하므로 건축, 금속 분산제, 분말코팅, 잉크에 대한 접착 증진제등에 사용되고본 제품의 극성 분자와의 결합력 우수하여 점착력과 부착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필름으로 형상된 제품은 강화 유리에 적용되어 유리의 파손을 방지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1 중량% 이하 첨가 시 점착력과 결합력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5 중량% 이상 첨가 시 결합력 강화로 피착면에 대한 침투력이 떨어져서 부착기능이 저하된다.
상기 탈기부재(106) 조성물 중 소석회는 불용성 이온화합물로서 아스팔트의 극성분자와 결합하여 아스팔텐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산화에 의한 아스팔트의 경화를 막아 노화가 저지되고, 아스팔트 화합물 중 일부 폴리머의 극성을 변화시켜 아스팔트 계면의 접착성를 강하게 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증진시킨다.
상기 소석회는 아스팔트 화합물의 점도를 높여주고 혼합물의 강성을 향상시켜 소성변형 저항성을 높여주어 내열성을 향상시키고, 아스팔트의 화합물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반복 하중에 의한 피로저항성을 향상 극대화시키며, 물의 침투를 방지하여 피착면에서의 박리현상을 현저히 줄어들게 하는 것으로서, 2 중량% 이하 첨가 시 소석회의 불용성 이온의 기능이 발휘되지 못하고, 5 중량% 이상 첨가 시 아스팔트 혼합물이 고점도화 되어 점착기능이 저하된다.
상기 탈기부재(106) 조성물 중 습윤점착제는 수분이 다수 포함된 알카리성 콘크리트 표면에 접착성을 나타낼 수 있는 접착제의 합성에 관한 것으로, 접착제가 수분에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부여하여 수분이 다수 포함된 알카리성 콘크리트 표면에서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착제의 합성에 관한 것이며, 점착제의 합성 조성물 중 Conjugated Diene Monomer를 사용하고 폴리머의 구조가 망상의 구조를 형성하게 하여 점착제가 하절기 열에 의해 흘러내리거나 거동하지 않게 한 것이다.
상기 습윤점착제는, 1-Step에서 알코올로 Glycerol, Sorbitol, Erythritol, Manitol 중에서 1종의 다가 알코올을 0.294mol을 사용하고 Oxalic Acid, Malonic Acid, Adipic Acid, Fumanic Acid, 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0.47mol, Polyethylen glycol, polypropylene glycol에서1을 선택하여 0.0588mol 그리고Hexa-2,4-dienedioic Acid, Hexa-2,4-dienedioic Acid 같은 Conjugated Diene acid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0.117mol을 첨가 진한 황산 100ppm, BHT 400ppm, THQ를 부가하여 콘덴서가 부착된 4구 플라스크에 질소를 퍼지하여 210℃ 정도까지 약 20시간 반응하여 산가가 10mgKOH/g이하에서 반응을 종결시킨다.
이상의 반응물을 50℃까지 하강시켜서 아크릴산 0.0588mol을 부가하고, MHO 200ppm, THQ 200ppm을 부가하여 160℃ 이내에서 4~6시간 반응하여 산가가 9mgKOH/g에서 반응을 종결시킨다.
이와 같이 반응된 점착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올리고머에 이용 교환수지를 이용하여 황산 촉매를 제거하고, 이를 케톤 및 에틸아세테이트 용매에 중량비 30%를 부가하고 BPO를 중량비 1%를 첨가하여 100℃ 내외에서 4~8시간 중합하여 반응을 종결하여 얻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합된 습윤점착제 중에서 카르복실기(COOH)가 피착면의 수분을 흡수, 반응하여 습윤피착면에서도 부착이 가능게 되며, 상기와 같은 습윤점착제를 첨가함으로써, 피착면이 습윤 상태에서도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기존의 습윤점착제 중 수용성 액체형은 물과 기름을 혼합하여 만든 제품으로 원료 자체에 물이 있어 피착면의 물과 자연스럽게 혼합, 부착되지만 부착강도가 떨어지고, 시트형태의 제품은 제조할 수 없었다.
그리고, 충진재가 수분을 흡수하는 형태는 원료 배합시 흡수성이 우수한 충진재를 투입하여 피착면의 수분을 흡수하여 점착하는 형태로서, 이러한 경우는 원료 배합시 먼저 가소제가 충진재에 침투하여 극히 일부분만 피착면의 수분을 흡수하여 부착하는 방식으로 가소제의 투입 함량이 많아져 고온 하에서는 오히려 흘려내리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습윤점착제는 원료의 점도를 저점도로 하여 분자의 크기를 작게 하였기 때 부착하는 형태는 고온 시 탈착현상, 부착강도저하 등으로 벽체 부착시 탈착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윤점착제를 3 중량% 이하 투입 시 습기 점착제 중 카르복실기(COOH)가 피착면의 습기를 전부 흡수하지 못하며, 나머지 습기에 의하여 점착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으며, 8 중량% 이상 투입 시 고가의 습윤점착제의 과다투입으로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성된 탈기부재(106)는,상기한 바와 같이 상, 하부 시트부(106a)(106b)로 구성되며, 이 상, 하부 시트부(106a)(106b)의 사이에 에어로드(102)가 도 3과 같이 납작하게 삽입된 구조를 가지게 되고, 하부 시트부(106b)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기공이 형성되어 신축 줄눈(104a)에서 방출되는 수증기나 가스 등을 에어로드(102)의 통공(102a)으로 안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기부재(106)는 신축 줄눈(104a)의 상부에 부착되는 것이므로, 바탕면(104) 거동 시 탈기부재(106)의 상부에 형성되는 방수층보다 바탕면(104)의 거동에 따른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탈기부재(106)는 신축력과 탄력이 우수하여 바탕면(104)의 거동에 대한 순응성이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방수시트 등보다 우수하며, 바탕면(104) 또는 프라이머층과의 강력한 부착성능이 보장되며, 상기 탈기부재(106) 시공 후에는 변형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여 탈기기능이 장기간에 걸쳐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기부재(106)를 구성하는 상부 시트부(106a)의 하부와 하부 시트부(106b)의 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매쉬망(108)이 적층되게 하여 탈기부재(106)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드(102)가 형성된 탈기시트(110)를 이용한 탈기공법을 첨부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탕면(104)을 정리하고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를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바탕면(104)의 신축 줄눈(104a) 상부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로드(102)가 형성된 탈기시트(110)를 도 4와 같이 부착하는 제1부착단계를 실시한다.
또한, 상기 제1부착단계에 의해 신축 줄눈(104a)의 상부에 부착된 탈기시트(110)의 끝단은, 바탕면(104) 끝단의 코너부와 측벽면(104b)까지 연장되게 하여 부착시키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되게 부착시키는 제2부착단계를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2부착단계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면(104b)에 부착된 탈기시트(110)의 끝단 위치(A)에 탈기구를 결합시키거나 형성하는 탈기구 형성단계를 실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탈기구의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탈기구, 탈기장치를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면(104)에 형성된 신축 줄눈(104a)이 바둑판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면, 가로방향의 신축 줄눈(104a)과 세로방향의 신축 줄눈(104a)에 부착되는 탈기시트(110)가 교차점에서 겹침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로 겹침구조를 가지는 겹침부위에 우레탄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겹침 시 발생하는 미세한 틈새가 우레탄 도막방수재로 충진될 수 있게 할 수도 있으며, 탈기시트(110)를 '+'자 구조로 형성하고, 이 탈기시트(110) 내부에 함입되는 에어로드(102)도 '+'자로 성형되게 한 후, 겹침부위에 '+'자 탈기시트(110)를 먼저 부착시킨 후, 'ㅡ'자 형 탈기시트(110)가 연접될 수 있게 시공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자 에어로드(102)와 'ㅡ'자 에어로드(102)는 서로 관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 중 어느 하나든 다른 하나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2 : 에어로드 102a : 통공
104 : 바탕면 104a : 신축 줄눈
104b : 측면벽
106 : 탈기부재 106a : 상부 시트부
106b : 하부 시트부 108 : 매쉬망
110 : 탈기시트

Claims (3)

  1.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의 필름형 관구조로 이루어지며, 내경으로 관통되도록 다수 개의 통공(102a)이 외경에 관통형성된 에어로드(102)와;
    상기 에어로드(102)의 상, 하부로 적층되어 에어로드(102)가 매입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바탕면(104) 또는 신축 줄눈(104a)에서 기화되는 수분이 통과되도록 다수 개의 기공이 하부에서 에어로드(102)까지 형성된 탈기부재(106)를 포함하며,
    상기 탈기부재(106)는,
    아스팔트 또는 부틸 30 ~ 45 중량%, SBS고무 10 ~ 20 중량%, SB LATEX 3 ~ 10 중량%, 셀룰로오스 10 ~ 15 중량%가소제 6 ~ 17 중량%, 점착증진수지 5 ~ 12 중량%, 흐름방지재 2 ~ 5 중량%, 충진재 10 ~ 20 중량%, PVB(polyvinyl butyral) 1 ~ 5 중량%, 소석회 2 ~ 5 중량%, 습윤점착제 3 ~ 8 중량%로 이루어진 상, 하부 시트부(106a)(10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드(102)가 형성된 탈기시트.
  2. 삭제
  3. 바탕면(104)을 정리하고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와;
    상기 바탕면(104)에 형성된 신축 줄눈(104a) 상부면에 제1항에 의한 에어로드(102)가 형성된 탈기시트(110)를 부착하는 제1부착단계와;
    상기 제1부착단계에 의해 부착되는 탈기시트(110)가 바탕면(104) 끝단의 코너부와 측벽면(104b)에 기립하여 부착되게 하는 제2부착단계와;
    상기 제2부착단계에 의해 측벽면(104b)에 부착된 탈기시트(110)의 끝단(A)에 탈기구를 형성하는 탈기구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드(102)가 형성된 탈기시트를 이용한 탈기공법.
KR1020190087797A 2019-07-19 2019-07-19 에어로드가 형성된 탈기시트 및 이를 이용한 탈기공법 Active KR102093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797A KR102093137B1 (ko) 2019-07-19 2019-07-19 에어로드가 형성된 탈기시트 및 이를 이용한 탈기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797A KR102093137B1 (ko) 2019-07-19 2019-07-19 에어로드가 형성된 탈기시트 및 이를 이용한 탈기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137B1 true KR102093137B1 (ko) 2020-03-25

Family

ID=7000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797A Active KR102093137B1 (ko) 2019-07-19 2019-07-19 에어로드가 형성된 탈기시트 및 이를 이용한 탈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693B1 (ko) * 2021-08-23 2022-10-24 박종식 Sbr 기반의 방수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314A (ja) * 1994-08-10 1996-02-20 Ig Tech Res Inc 耐火パッキング材
JPH09170272A (ja) * 1995-12-21 1997-06-30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外壁パネル目地間に使用する排気口付きガスケット
KR20120107213A (ko) * 2011-03-21 2012-10-02 박연진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비노출 방수 및 그 방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314A (ja) * 1994-08-10 1996-02-20 Ig Tech Res Inc 耐火パッキング材
JPH09170272A (ja) * 1995-12-21 1997-06-30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外壁パネル目地間に使用する排気口付きガスケット
KR20120107213A (ko) * 2011-03-21 2012-10-02 박연진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비노출 방수 및 그 방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693B1 (ko) * 2021-08-23 2022-10-24 박종식 Sbr 기반의 방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368439A1 (en) Adhesive composition and use thereof for providing a self-healing adhered roofing systems
KR102006275B1 (ko) 아스팔트 자착식 방수방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공법
WO2013067062A1 (en) Plasticizers for adhesive, coating and sealant compositions applied to asphalt
KR102327868B1 (ko) 자가치유 고무아스팔트 복합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N107556948B (zh) 一种防水卷材专用自粘胶
US20180201813A1 (en) Self-adhesive waterproof sheet with modified synthetic rubber
KR101859999B1 (ko) 박막 방수층이 포함된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KR102115242B1 (ko) 금속분말이 포함된 방수방근 복합시트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93278B1 (ko) 나노 탄소재와 라텍스 수지재를 포함하는 복합형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093137B1 (ko) 에어로드가 형성된 탈기시트 및 이를 이용한 탈기공법
KR102442086B1 (ko) 인열강도가 보강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내균열성 복합방수공법
KR20210132389A (ko) 단열효과를 가지는 방수시트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43897A (ko) 박리 방지형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20200015319A (ko) 고무 아스팔트 또는 부틸 합성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분시설용 또는 토목 매립지용 재활용시설의 방수공법
KR102031132B1 (ko) 노출 자착식 방수시트
KR101889329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KR102031130B1 (ko) 자착식 방근방수시트
CN107351486A (zh) 一种屋顶绿化用防水卷材及制备方法
KR20160087131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 보수공법
KR102061172B1 (ko)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KR20170088555A (ko)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KR102061169B1 (ko) 비노출 자착식 방수시트
KR102709705B1 (ko) 그리드섬유 보강시트를 활용한 후레싱 및 박공지붕 방수 보강공법
CN109912897B (zh) 丁基橡胶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KR102031128B1 (ko) 자착식 방수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