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748B1 - Cooling element inserting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Cooling element inserting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2748B1 KR102092748B1 KR1020180083987A KR20180083987A KR102092748B1 KR 102092748 B1 KR102092748 B1 KR 102092748B1 KR 1020180083987 A KR1020180083987 A KR 1020180083987A KR 20180083987 A KR20180083987 A KR 20180083987A KR 102092748 B1 KR102092748 B1 KR 1020927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lant
- path
- mold
- path portion
- op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893 sla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01208 Crucible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749 continuous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3 scrap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5—Cooling the mou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2—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cooling cast stock or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형 개구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냉각재를 투입할 수 있는 냉각재 투입장치로서, 상기 주형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를 향해서 하향 경사지는 냉각재의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부; 및 냉각재의 경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경로부에 설치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주형으로 냉각재를 투입하여 주편의 테일부를 용이하게 냉각시켜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olant input device capable of introducing a coolant extending in an extending direction of a mold opening, the path portion forming a path of the coolant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and inclining downward toward the opening; And to block the path of the coolant, a blocking portion installed in the path portion; including, it is possible to easily cool the tail portion of the cast by injecting coolant into the mold.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각재 투입장치 및 냉각재 투입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형으로 냉각재를 투입하여 주편의 테일부를 용이하게 냉각시켜줄 수 있는 냉각재 투입장치 및 냉각재 투입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ant input device and a coolant input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lant input device and a coolant input method that can easily cool the tail portion of the cast by injecting coolant into a mold.
일반적으로, 연속 주조공정은 주편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공정이다. 용강을 수송하는 래들이 턴디쉬로 용강을 주입한다. 턴디쉬에 주입된 용강은 침지노즐을 통해 주형에 연속적으로 주입된다. 주형 내에서 표면이 응고된 용강을 주형의 하측으로 인발하면 슬라브, 블룸 및 빌렛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주편이 제조된다.Generally,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is a process of continuously casting a cast piece. Ladle transporting molten steel injects molten steel into tundish. The molten steel injected into the tundish is continuously injected into the mold through an immersion nozzle. When the molten steel whose surface is solidified in the mold is drawn to the lower side of the mold, cast pieces of various shapes such as slabs, blooms, and billets are manufactured.
이때, 래들 내의 용강을 턴디쉬로 주입할 때마다 슬래그가 용강에 혼입되어 턴디쉬에 유입된다. 턴디쉬로 유입된 슬래그는 출강 완료 시점에 용강과 함께 주형 내로 유입되어, 주형의 탕면에 슬래그층하고, 주편의 테일(Tail)부를 형성한다. 그러나 주편의 테일부를 형성하는 슬래그는 용강의 응고 진행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주편이 주형의 하부측에 이르렀을 때 미응고된 용강이 슬래그층을 뚫고 유출되는 블리딩(Bleed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유출되는 미응고 용강에 의해 주변설비가 파손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At this time, whenever molten steel in the ladle is injected into the tundish, slag is mixed into the molten steel and flows into the tundish. The slag flowing into the tundish flows into the mold together with the molten steel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the course, and forms a slag layer on the molten surface of the mold, and forms a tail portion of the cast. However, the slag forming the tail portion of the cast steel may interfere with the solidification process of the molten steel. Therefore, when the cast piece reaches the lower side of the mold, a bleeding phenomenon may occur in which uncoagulated molten steel flows through the slag layer.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afety accident occurs as the peripheral equipment is damaged by the unflowed molten steel.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편의 테일부 표면을 강제로 냉각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예를 들어, 주조 말기에 주편의 테일부를 원활하게 냉각하여 강제 응고시키기 위해 주조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주편을 인발하는 구동롤을 정지시켜 주편의 인발을 정체시켰다. 그러나 이 경우 단시간에 고열의 슬래그를 모두 제거하기가 불가능하며, 주편 제조가 정체됨에 따라 주편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In the related art, an operation of forcibly cooling the tail surface of the cast piece was performed to prevent this. For example, at the end of the casting, the casting speed was slowed down to smoothly cool the tail portion of the cast, or the driving roll for drawing the cast was stopped to stagnate the casting. However, in this case, it is impossible to remove all of the high-temperature slag in a short ti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cast is adversely affected as the manufacturing of the cast becomes stagnant.
또는, 주형 내에 칩 또는 고철과 같은 금속 조각을 투입하여 주편 테일부의 미응고 슬래그와 용강을 강제 응고시킨 후 주편을 인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작업자가 주형에 접근하여 주형 내로 금속 조각을 투입하기 때문에, 주형 내에서 올라오는 고온의 열기와 용강의 폭발로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Alternatively, a metal piece, such as a chip or scrap metal, was put into the mold to force the solidified slag and molten steel in the tail portion of the cast steel, and then to draw the cast.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worker approaches the mold and injects a piece of metal into the mol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ncreases, such as a worker getting burned due to the high temperature heat rising from the mold and the explosion of molten steel.
본 발명은 주형 내로 냉각재를 안전하게 투입할 수 있는 냉각재 투입장치 및 냉각재 투입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lant input device and a coolant input method that can safely input coolant into a mold.
본 발명은 주편의 테일부를 용이하게 냉각시켜줄 수 있는 냉각재 투입장치 및 냉각재 투입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lant input device and a coolant input method that can easily cool the tail portion of the cast.
본 발명은 주형 개구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냉각재를 투입할 수 있는 냉각재 투입장치로서, 상기 주형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를 향해서 하향 경사지는 냉각재의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부; 및 냉각재의 경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경로부에 설치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olant input device capable of introducing a coolant extending in an extending direction of a mold opening, the path portion forming a path of the coolant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and inclining downward toward the opening; And a blocking portion installed in the path portion so as to block the path of the coolant.
상기 냉각재는 적어도 일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The coolant is formed at least partially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냉각재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냉각재의 둘레에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된다.The coolant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provided around the coolant.
상기 냉각재는 연장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다.The coolant can be adjusted in length in the extending direction.
상기 경로부는, 상기 냉각재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 상기 냉각재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이 일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냉각재의 연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냉각재와 접촉할 수 있는 복수개의 경로부재;를 포함한다.The path portion,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olant; A connecting member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olant, one end connected to one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nother support member; And a plurality of path members installed on the connecting member so as to be movabl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olant and having an upp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olant.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냉각재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경로부는, 상기 경로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경로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Th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olant, and the path portion, through the path member so as to fix the path member, a fixing member that can be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t further includes.
상기 경로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냉각재의 연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경로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와 마주보는 부분이 냉각재와 접촉할 수 있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한다.The path portion, the connection member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olant, is locat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path member, a portion facing the connection member further comprises a guide member that can contact the coolant Includes.
상기 차단부는, 상기 경로부재보다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경로부재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스토퍼와 연결되는 구동부재;를 포함한다.The blocking portion, the stopper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on the path member, so that it can protrude above the path member; And a driving member connected to the stopper to move the stopper up and down.
본 발명은 주형의 개구로 냉각재를 투입할 수 있는 냉각재 투입방법으로서, 냉각재 및 적어도 일부가 하향 경사지는 경로부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경로부를 상기 주형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과정; 및 상기 경로부의 경사를 따라 상기 냉각재를 굴려서 상기 주형의 개구로 투입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introducing a coolant capable of introducing a coolant into an opening of a mold, the process of providing a coolant and a path port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inclined downward; Placing the path part on the upper part of the mold; And a process of rolling the coolant along an inclination of the path portion and introducing it into the opening of the mold.
상기 냉각재를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냉각재의 길이를 상기 개구의 연장 길이보다 작게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ocess of providing the coolant includes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olant to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opening.
상기 경로부를 상기 주형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과정은, 상기 개구에 대해서 상기 경로부를 정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ocess of positioning the path part on the upper part of the mold includes aligning the path part with respect to the opening.
상기 경로부를 정렬하는 과정은, 상기 경로부의 중심부를 상기 개구의 중심부와 동일선상에 위치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ocess of aligning the path portion includes position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path portion on the same line as the center portion of the opening.
상기 경로부의 경사를 따라 상기 냉각재를 굴리기 전에, 상기 경로부 상에 상기 냉각재를 위치시키고, 정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Before rolling the coolant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path por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positioning and stopping the coolant on the path por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냉각재 투입장치가 주형 내로 냉각재를 안전하게 투입할 수 있다. 이에, 냉각재를 투입할 때 용강의 유출로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주조공정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주조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ant input device can safely input the coolant into the mold. Accordingly, when the coolant is introduced, a safety accident such as a worker's burn due to the outflow of molten steel can be prevented. Therefore, the casting process can be safely performed, and the efficiency of the casting process can be improved.
또한, 냉각재 투입장치가 주편으로 투입한 냉각재가 주편의 테일부를 용이하게 냉각시켜, 미응고된 용강을 응고시켜줄 수 있다. 이에, 테일부가 미응고된 주편으로 인해 용강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설비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주조공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ant injected by the coolant input device into the cast can easily cool the tail portion of the cast, thereby solidifying the unsolidified molten stee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lten steel from leaking due to the uncoagulated cast portion of the tail por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fely protect the surrounding facilities and to stably perform the casting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재 투입장치와 주형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부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재 투입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st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olant input device and a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o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ath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b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a coolant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completely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To describe the invention in detail,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주조설비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st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casting equipment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주조설비는, 래들(10), 턴디쉬(20), 주형(30), 냉각재 투입장치, 및 냉각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조설비는 용강을 주형(30)에 연속하여 주입하고, 반응고된 주편을 주형(30)의 하부에서 연속하여 인출시켜 빌렛, 블룸, 슬라브 등의 주편을 얻는 연속 주조설비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casting facility may include a
래들(10)은 원통형의 용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래들(10)은 용강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래들(10)의 하부에는 주입기(15)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래들(10) 내부에 저장된 용강이 주입기(15)를 통해 턴디쉬(2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The
턴디쉬(20)는 래들(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턴디쉬(20)는 용강이 저장될 수 있는 용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턴디쉬(20)의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에는 침지노즐(25)이 구비될 수 있다. The tundish 20 may be located below the
침지노즐(25)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침지노즐(25)은 상단부가 턴디쉬(20) 바닥면에 형성된 출강구와 연결되고, 하단부가 주형(30)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출강구를 통해 침지노즐(25) 내부로 유입된 용강이 주형(3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The
또한, 주형(30)으로 공급되는 용강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턴디쉬(20)의 출강구를 개폐하는 스토퍼(미도시)가 턴디쉬(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스토퍼의 작동을 제어하여 침지노즐(25)을 통해 주형(30)으로 공급되는 용강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 stopper (not shown) that opens and closes the outlet of the tundish 20 to control the flow rate of molten steel supplied to the
또는, 턴디쉬(20)와 침지노즐(25)에는 슬라이딩 게이트(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슬라이딩 게이트는 침지노즐(25) 내부에 형성된 용강의 이동경로의 개방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슬라이딩 게이트의 작동을 제어하여 턴디쉬(20)에서 주형(30)으로 용강이 공급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Alternatively, a sliding gate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tundish 20 and the
주형(30)은 턴디쉬(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주형(30)은 용강을 응고시켜 금속 제품의 외관을 결정하는 틀이다. 주형(3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2개의 장변 플레이트와, 2개의 장변 플레이트 사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2개의 단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장변 플레이트들과 단변 플레이트들 사이의 용강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주형(30)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어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장변 플레이트들과 단변 플레이트들 중 적어도 일부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순환하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주형(30) 내부로 공급된 용강이 냉각수에 의해 열을 빼앗겨 신속하게 응고될 수 있다.The
냉각재 투입장치는 주형(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재 투입장치는 냉각재를 주형(30) 내로 투입할 수 있다. 냉각재는 주형(30) 내 주편 테일부의 미응고 슬래그와 용강을 강제로 응고시킬 수 있다. 이에, 주형(30)의 하측으로 인발되는 주편에서 미응고 용강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olant input device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냉각대(40)는 주형(3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냉각대(40)는 주편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면서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45), 및 이송롤러(45)에 의해 이동하는 주편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냉각대(40)는 주형(30)으로부터 인발되어 이동하는 주편을 냉각시키면서 일련의 성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Cooling table 40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ld (30). The cooling table 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재 투입장치와 주형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olant input device and a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o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재 투입장치(100)는, 주형(30)의 개구로 냉각재(110)를 투입할 수 있는 냉각재 투입장치이다. 냉각재 투입장치(100)는 경로부(120) 및 차단부(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olant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olant input device that can input the
냉각재(110)는 주형(30) 내로 투입되어, 주편 테일부의 표면을 강제로 냉각시켜 응고시키는 역할을 한다. 냉각재(110)는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재(110)는 주형(30) 개구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냉각재(110)가 평면 형상이 주편 테일부의 평면 형상과 동일해질 수 있다. 냉각재(110)는 주형(30)의 개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재(110)가 주형(30)의 개구를 통해 투입되어, 주편 테일부의 상부 전체를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The
또한, 냉각재(110)는 적어도 일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의 (a)와 같이 냉각재(110)가 용이하게 구를 수 있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냉각재(110)가 경로부(120)의 경사를 따라 용이하게 굴러가서 주형(30)의 개구로 투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냉각재(110)는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재(110)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양측이 개방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냉각재(110)의 개방된 양측을 통해 주편의 미응고된 용강이 냉각재(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재(110)가 용강 상에 부유하지 않고, 용강 내로 가라앉을 수 있다.The
또한, 냉각재(110)의 둘레 전체에 복수개의 관통홀(110a)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냉각재(110)의 어느 부분이 용강과 접촉하는지 상관없이, 주편의 테일부의 미응고된 용강이 관통홀(110a)들을 통해 냉각재(110)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재(110)가 미응고된 용강 상에 부유하지 않고, 미응고된 용강 내로 더 효과적으로 가라앉아, 미응고된 용강을 용이하게 냉각시켜줄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이때, 냉각재(110)의 둘레에 삽입홈(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삽입홈은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경로부(120)에 구비되는 경로부재(123)가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경로부재(123)가 레일 역할을 하여, 냉각재(110)가 경로부재(123)를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경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an insertion groove (not shown) may be provided around the
한편, 도 3의 (b)와 같이 냉각재(110)는 연장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생산되는 주편의 종류에 따라 주형(30)의 개구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냉각재(110)의 길이를 주형(30)의 길이보다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재(110)는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2)가 서로 중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냉각재(1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2)의 표면에 관통홀(110a)들이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b), the
제1 몸체(111)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몸체(111)의 내부에 용강이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제2 몸체(112)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112)의 내부 직경이 제1 몸체(111)의 외부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몸체(111)가 제2 몸체(112)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몸체(111)가 제2 몸체(112) 내부에 끼워지는 정도를 조절하면 냉각재(11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또한, 제2 몸체(112)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몸체(112)는 한 쌍이 구비되어 제1 몸체(111)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제2 몸체(112)가 제1 몸체(111)의 양측에서, 주형(30) 개구의 연장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부(12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a plurality of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2)의 외부 직경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냉각재(110)의 제1 몸체(111)와 제2 몸체(112)가 각각 경로부(120)와 접촉하는 경우, 냉각재(110)가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냉각재(110)가 경로부(120) 상에서 이동할 때 한쪽으로 치우쳐 굴러갈 수 있고, 주형(30)의 개구에 잘못 투입되거나 투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When the outer diameters of th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냉각재(110)가 경로부(120) 상에 안착될 때, 한 쌍의 제2 몸체(112)를 경로부(120)에 접촉시키고, 제1 몸체(111)는 경로부(120)와 접촉시키지 않을 수 있다. 제2 몸체(112)들의 외부 직경이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냉각재(110)가 경로부(120) 상에 수평을 유지하면서 안착될 수 있다. 이에, 경로부(120)의 경사를 따라 냉각재가 이동할 때, 냉각재(110)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경사를 따라 일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재(110)가 주형(30)의 개구로 안정적으로 투입될 수 있다.To solve this problem, when the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몸체(111)의 내부에 제2 몸체(112)가 삽입될 있게 형성되어, 제1 몸체(111)만 경로부(120)에 접촉하고 제2 몸체(112)는 경로부(120)와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냉각재(110)의 구조와 형상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부의 작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부와 차단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4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ath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ructure of a block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path portion and a block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의 (a)를 참조하면, 경로부(120)는 주형(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주형(30)의 장변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경로부(120)는 주형(30)의 개구를 향해서 하향 경사지는 냉각재(110)의 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냉각재(110)가 형성하는 경로를 따라 냉각재(110)가 굴러가면 주형(30)의 개구를 향하여 이동하여 주형(30) 내로 투입될 수 있다. 경로부(120)는 지지부재(121), 연결부재(122), 및 경로부재(123)를 포함한다. 경로부(120)는 고정부재(124) 및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a) of FIG. 4, the
지지부재(121)는 삼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21)는 주형(30)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지지부재(121)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지지부재(121)가 구비되어 냉각재(110)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지지부재(121)들이 서로 이격되는 거리는, 주형(30)의 개구의 연장되는 길이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12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연결부재(122)는 냉각재(110)의 연장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재(122)의 일단(또는, 좌측 단부)은 일측(또는, 좌측)에 위치한 지지부재(121)에 연결되고, 타단(또는, 우측 단부)은 타측(또는, 우측)에 위치한 지지부재(121)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122)는 경로부재(123)가 가지는 경사면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연결부재(122)가 경로부재(123)의 경사면 상에 위치하는 않을 수 있고, 경로부재(123)의 경사면을 따라 냉각재(110)가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The connecting
또한, 연결부재(122)는 메인 연결바(122a)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연결바(122a)는 원형의 막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연결바(122a)는 경로부재(123)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이에, 경로부재(123)가 메인 연결바(122a)에 끼워져 메인 연결바(122a)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한편, 연결부재(122)는 보조 연결바(122b)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조 연결바(122b)는 원형의 막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연결바(122b)는 메인 연결바(122a)와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연결바(122a)와 보조 연결바(122b)는 경로부(120)의 경사를 따라 배치될 수 있고, 메인 연결바(122a)가 보조 연결바(122b)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연결바(122a)와 보조 연결바(122b)가 함께 경로부재(123)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경로부재(123)가 흔들지 않고, 지지부재(121)들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보조 연결바(122b)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ing
또한, 연결부재(122)에 냉각재(110)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삽입홈(122c)이 구비될 수도 있다. 삽입홈(122c)은 상부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경로부재(123)를 관통하는 고정부재(124)가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122c)은 상측을 메인 연결바(122a)와 보조 연결바(12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재(12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경로부재(123)는 삼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경로부재(123)는 개구에서 주형(30)의 외측으로 갈수록 상하방향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경로부재(123)의 상부면은 경사를 가질 수 있다. 경로부재(123)의 상부면은 냉각재(110)와 접촉할 수 있고, 냉각재(110)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또한, 경로부재(123)는 연결부재(122)에 냉각재(110)의 연장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경로부재(123)는 지지부재(121)들 사이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경로부재(123)의 측면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구멍의 직경은 연결부재(122)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경로부재(123)의 구멍을 연결부재(122)가 관통할 수 있고, 경로부재(123)는 연결부재(122)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재(122)가 메인 연결바(122a)와 보조 연결바(122b)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경로부재(123)에는 메인 연결바(122a)와 보조 연결바(122b)의 위치에 대응하는 구멍들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경로부재(123)의 상부면에는 삽입홀(123a)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123a)은 연결부재(122)의 위치에 맞추어 배치될 수 있다. 삽입홀(123a)은 경로부재(123)의 상부면에서 연결부재(122)가 관통하는 구멍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경로부재(123)의 위치에 따라 경로부재(123)의 삽입홀(123a)과 연결부재(122)의 삽입홈(122c)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124)가 삽입홀(123a)을 관통하여 삽입홈(122c)에 끼워지면 경로부재(123)가 좌우로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될 수 있다.An
또한, 경로부재(123)의 상부면에는 장착홈(123b)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123b)은 경로부재(123)의 상부면에서 하측으로 파여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123b)은 내부에 차단부(13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장착홈(123b)은 경로부재(123)의 중심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장착홈(123b)에 설치된 차단부(130)가 냉각재(110)가 이동하는 경로의 중간을 차단하여, 냉각재(110)가 경로부재(123) 상에서 이동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mounting
경로부재(123)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경로부재(123)가 구비될 수 있다. 경로부재(123)들 지지부재(121)들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길이가 조절된 냉각재(110)의 길이에 맞추어, 경로부재(123)들을 이동시켜 경로부재(123)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냉각재(110)의 길이가 감소하면 경로부재(123)들 사이의 간격을 좁히고, 냉각재(110)의 길이가 증가하면 경로부재(123)들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그러나 경로부재(123)의 구조와 형상 및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A plurality of
고정부재(124)는 경로부재(123)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재(124)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부재(124)는 경로부재(123)의 삽입홀(123a)보다 상하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고정부재(124)는 경로부재(123)를 관통하여 연결부재(122)의 삽입홈(122c)에 끼워질 수 있다. 고정부재(124)가 삽입홀(123a)과 삽입홈(122c)에 끼워지면 경로부재(123)가 좌우로 이동하지 못해 고정되고, 고정부재(124)를 삽입홀(123a)과 삽입홈(122c)에서 빼내면 경로부재(123)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xing
도 4의 (b)를 참조하면, 가이드부재(125)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5)는 경로부재(123)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가이드부재(125)는 경로부재(123)가 형성하는 냉각재(110)의 경로 일측 또는 양측에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5)의 연결부재(122)와 마주보는 부분이 냉각재(11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부재(123)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냉각재(110)가 경로를 이탈하려고 하면, 가이드부재(125)와 접촉하여 경로를 벗어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4 (b), the
또한, 가이드부재(125)는 연결부재(122)에 냉각재(110)의 연장방향(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5)는 지지부재와 상기 경로부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가이드부재(125)는 지지부재(121)와 경로부재(123) 사이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5)의 측면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구멍의 직경은 연결부재(122)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5)의 구멍을 연결부재(122)가 관통할 수 있고, 가이드부재(125)는 연결부재(122)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재(122)가 메인 연결바(122a)와 보조 연결바(122b)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가이드부재(125)에는 메인 연결바(122a)와 보조 연결바(122b)의 위치에 대응하는 구멍들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가이드부재(125)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125)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5) 중 하나는 좌측에 위치한 지지부재(121)와 경로부재(123) 사이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우측에 위치한 지지부재(121)와 경로부재(12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25)들 사이의 간격은 냉각재(110)의 길이에 맞추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125)들 사이의 간격은 냉각재(110)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냉각재(110)가 가이드부재(125)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가이드부재(125)들이 양측에서 냉각재(110)가 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e or a plurality of
도 5를 참조하면, 차단부(130)는 냉각재(110)의 경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차단부(130)는 경로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차단부(130)는 스토퍼(131) 및 구동부재(13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5, the blocking
스토퍼(131)는 상하로 연장되는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경로부재(123)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토퍼(131)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경로부재(123)의 상부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스토퍼(131)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경로부재(123)에 구비된 장착홈(123b)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도 5의 (a)와 같이 스토퍼(131)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냉각재(110)와 접촉하여 냉각재(110)가 굴러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도 5의 (b)와 같이 스토퍼(131) 하측으로 이동하면 스토퍼(131)가 냉각재(110)의 경로를 막지 않아 냉각재(110)가 경로부재(123)의 경사를 따라 굴러가서 주형(30) 내로 투입될 수 있다. 그러나 스토퍼(13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구동부재(132)는 스토퍼(13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재(132)는 경로부재(123)에 구비되는 장착홈(123b)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재(132)는 스토퍼(131)의 하부와 연결되어 스토퍼(1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재(132)는 실린더일 수 있다. 따라서, 에어나 유압 등에 유체의 압력에 의해 스토퍼(131)를 상측으로 밀어내거나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구동부재(132)의 작동을 제어하여 경로부재(123) 상에 안착된 냉각재(110)를 원하는 시점에 주형(30) 내로 투입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재(132)가 스토퍼(13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drivin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재 투입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재 투입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6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introducing a coo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introducing a coola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재 투입방법은, 주형의 개구로 냉각재를 투입할 수 있는 냉각재 투입방법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냉각재 투입방법은, 냉각재 및 경로부를 마련하는 과정(S110), 경로부를 주형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과정(S120), 및 경로부의 경사를 따라 냉각재를 굴려서 주형의 개구로 투입시키는 과정(S130)을 포함한다.Coolant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olant input method that can input the coolant into the opening of the mold. Referring to FIG. 6, the method of introducing a coolant, a process of providing a coolant and a path part (S110), a process of placing the path part on the upper part of the mold (S120), and rolling the coolant along the slope of the path part to input the coolant into the opening of the mold It includes the process (S130).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냉각재(110) 및 적어도 일부가 하향 경사지는 경로부(120)를 구비하는 냉각재 투입장치(100)를 마련할 수 있다. 주형(30)에서 생산되는 주편의 종류에 따라 주형(30)의 개구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형(30) 개구의 폭이 1100~2200mm로 다양할 수 있다. 이에, 주형(30)의 개구가 연장되는 길이(또는, 폭)보다 작아지도록, 냉각재(110)의 길이(또는, 폭)를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5, first, a coolant input device 100 having a
경로부(120)는 주형(30)의 개구를 향하는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냉각재(110)를 경로부(120) 상에 위치시키면, 냉각재(110)가 경로를 따라 굴러갈 수 있다. The
그 다음, 경로부(120)를 주형(30)의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경로부(120)는 주형(30)의 장변 플레이트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경로부(120)의 경사가 주형(30)의 개구를 향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Then, the
또한, 주형(30)의 개구에 대해서 경로부(120)를 정렬할 수 있다. 주형(30)의 개구와 경로부(120)의 위치가 맞지 않으면, 냉각재(110)가 주형(30)의 개구로 이동하지 못하고, 개구 외측으로 벗어날 수 있다. 이에, 주형(30)의 개구의 위치에 맞춰서 경로부(120)를 정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경로부(120)의 중심부를 주형(30)의 개구의 중심부와 동일선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경로부(120)의 구비되는 경로부재(123)가 주형(30)의 개구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주형(30)의 상부면에 경로부(120)의 지지부재(121)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홈에 지지부재(121)를 안착시키면 주형(30)의 개구 중심부와 경로부(120)의 중심부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경로부(120)를 통해 이동하는 냉각재(110)가 주형(30)의 개구 내로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entral portion of the
그 다음, 경로부(120) 상에 냉각재(110)를 위치시킬 수 있다. 경로부(120)에 대해서 냉각재(110)를 정렬할 수 있다. 경로부(120)와 냉각재(110)의 위치가 맞지 않으면, 냉각재(110)가 경로부(120)가 형성하는 경로를 이탈하여 주형(30)의 개구로 이동하지 못하고, 개구 외측으로 벗어날 수 있다. 이에, 경로부(120)의 위치에 맞춰서 냉각재(110)를 정렬시켜 경로부(12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Then, the
예를 들어, 냉각재(110)의 중심부를 경로부(120)의 중심부와 동일선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냉각재(110)가 경로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냉각재(110)가 경로부(120)를 벗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entral portion of the
또한, 경로부(120)에 냉각재(110)를 그대로 안착시키면 경사를 따라 굴러갈 수 있기 때문에, 차단부(130)로 냉각재(110)가 이동하는 경로를 막을 수 있다. 이에, 도 2의 (a)와 같이 냉각재(110)가 차단부(130)에 의해 경로부(120) 상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차단부(130)의 작동을 제어하여 냉각재(110)가 주형(30) 내로 투입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주조 공정이 말기에 진입하면 주형(30) 내로 냉각재(110)를 투입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차단부(130)의 작동을 제어하여 차단부(130)가 냉각재(110)의 경로를 개방하면, 경로부(120)의 경사를 따라 냉각재(110)가 굴러갈 수 있다. 이에, 도 2의 (b)와 같이 냉각재(110)가 주형(30)의 개구로 이동할 수 있고, 주형(30) 내 주편의 테일부로 장입되어 미응고된 용강을 냉각시켜줄 수 있다.When the casting process enters at the end,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peration of injecting the
이처럼 경로부(120)가 주형(30) 내로 냉각재(110)를 안전하게 투입할 수 있다. 이에, 냉각재(110)를 투입할 때 용강의 유출로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주조공정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주조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such, the
또한, 주편으로 투입한 냉각재(110)가 주편의 테일부를 용이하게 냉각시켜, 미응고된 용강을 응고시켜줄 수 있다. 이에, 테일부가 미응고된 주편으로 인해 용강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설비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주조공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ut also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30: 주형 100: 냉각재 투입장치
110: 냉각재 120: 경로부
121: 지지부재 122: 연결부재
123: 경로부재 124: 고정부재
125: 가이드부재 130: 차단부
131: 스토퍼 132: 구동부재30: mold 100: coolant input device
110: coolant 120: path portion
121: support member 122: connecting member
123: path member 124: fixing member
125: guide member 130: blocking portion
131: stopper 132: drive member
Claims (13)
상기 주형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를 향해서 하향 경사지는 냉각재의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부; 및
냉각재의 경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경로부에 설치되는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형의 개구와 상기 경로부의 정렬이 맞춰질 수 있도록, 상기 주형에 상기 경로부가 안착되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경로부와 상기 냉각재의 정렬이 맞춰질 수 있도록, 상기 냉각재의 둘레에는 상기 경로부에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이 구비되는 냉각재 투입장치.As a coolant input device that can input a coolant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ld opening,
A path portion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ld and forming a path of a coolant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pening; And
In order to block the path of the coolant, the blocking portion installed in the path portion; includes,
In order to align the opening of the mold and the path portion, a groove through which the path portion is seated and inserted into the mold is formed,
A coolant input device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that can be fitted into the path portion around the coolant so that the alignment of the path portion and the coolant is aligned.
상기 냉각재는 적어도 일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냉각재 투입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olant is a coolant input devi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냉각재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냉각재의 둘레에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되는 냉각재 투입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olant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 coolant input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ound the coolant.
상기 냉각재는 연장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냉각재 투입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olant is a coolant input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in the extending direction.
상기 경로부는,
상기 냉각재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
상기 냉각재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이 일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냉각재의 연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냉각재와 접촉할 수 있는 복수개의 경로부재;를 포함하는 냉각재 투입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ath portion,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olant;
A connecting member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olant, one end connected to one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nother support member; And
A coolant input device comprising a; a plurality of path member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olant in the connecting member and having an upp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olant.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냉각재의 연장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경로부는, 상기 경로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경로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각재 투입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olant,
The path portion, the coolant input device further comprises a fixing member that can be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rough the path member so as to fix the path member.
상기 경로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냉각재의 연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경로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와 마주보는 부분이 냉각재와 접촉할 수 있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각재 투입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path portion,
Coolant input is further provided in the connecting member so as to be movable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oolant,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path member, and further comprising a guide member that allows the portion facing the connection member to contact the coolant. Device.
상기 차단부는,
상기 경로부재보다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경로부재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스토퍼와 연결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냉각재 투입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blocking unit,
A stopper movably installed on the path member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path member; And
And a driving member connected to the stopper to move the stopper up and down.
냉각재 및 적어도 일부가 하향 경사지는 경로부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경로부를 상기 주형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과정;
상기 경로부 상에 상기 냉각재를 위치시키는 과정; 및
상기 경로부의 경사를 따라 상기 냉각재를 굴려서 상기 주형의 개구로 투입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경로부를 상기 주형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과정은, 상기 주형에 형성된 홈에 상기 경로부를 안착시켜 상기 주형과 상기 경로부의 정렬을 맞추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경로부 상에 상기 냉각재를 위치시키는 과정은, 상기 냉각재의 둘레에 형성된 홈을 상기 경로부에 끼워 상기 경로부와 상기 냉각재의 정렬을 맞추는 과정을 포함하는 냉각재 투입방법.As a cooling material input method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opening of the mold,
Providing a coolant and a path portion at least partially sloped downward;
Placing the path part on the upper part of the mold;
Placing the coolant on the path portion; And
Including the process of rolling the coolant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path portion and putting it into the opening of the mold;
Positioning the path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includes seating the path portion in a groove formed in the mold and aligning the mold with the path portion,
The process of locating the coolant on the path portion includes inserting a groove formed around the coolant into the path portion and aligning the path portion with the coolant.
상기 냉각재를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냉각재의 길이를 상기 개구의 연장 길이보다 작게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냉각재 투입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coolant,
An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olant to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opening.
상기 경로부를 상기 주형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과정은,
상기 개구에 대해서 상기 경로부를 정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냉각재 투입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process of positioning the path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Coolant inpu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ligning the path portion with respect to the opening.
상기 경로부를 정렬하는 과정은,
상기 경로부의 중심부를 상기 개구의 중심부와 동일선상에 위치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냉각재 투입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The process of aligning the path portion,
Coolant inpu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osition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th portion in line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opening.
상기 경로부의 경사를 따라 상기 냉각재를 굴리기 전에,
상기 경로부 상에 상기 냉각재를 위치시키고, 정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냉각재 투입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Before rolling the coolant along the slope of the path portion,
The method of placing a coolant on the path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pping the coolant input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3987A KR102092748B1 (en) | 2018-07-19 | 2018-07-19 | Cooling element inserting apparatus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3987A KR102092748B1 (en) | 2018-07-19 | 2018-07-19 | Cooling element inserting apparatus and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9526A KR20200009526A (en) | 2020-01-30 |
KR102092748B1 true KR102092748B1 (en) | 2020-03-24 |
Family
ID=6932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3987A Active KR102092748B1 (en) | 2018-07-19 | 2018-07-19 | Cooling element inserting apparatus and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2748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47961A (en) * | 2010-01-21 | 2011-08-04 | Olympus Corp | Molding method and mold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2961B1 (en) * | 2002-05-16 | 2008-05-27 | 주식회사 포스코 | Cast marking centering and level adjusting device of cast marking equipment |
KR101389860B1 (en) * | 2012-03-09 | 2014-04-29 | 주식회사 포스코 | Apparatus for Mold seal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inuous slab |
KR20140060733A (en) | 2012-11-12 | 2014-05-21 | 주식회사 포스코 | Apparatus for capping |
-
2018
- 2018-07-19 KR KR1020180083987A patent/KR10209274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47961A (en) * | 2010-01-21 | 2011-08-04 | Olympus Corp | Molding method and mold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9526A (en) | 2020-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92748B1 (en) | Cooling element inserting apparatus and method | |
KR20120053745A (en) | Mold capable of changing width thereof during continuous casting and continuous casting process using the same | |
KR20120053744A (en) | Apparatus for cooling cast piece in continuous casting process | |
KR20130034323A (en) | Molten metal pouring apparatus made non-oxidation atmosphere in tundish | |
JP4507887B2 (en) | Steel continuous casting method | |
KR102164125B1 (en) | Mold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process and continuous cas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934801B1 (en) | Molten steel | |
KR101518630B1 (en) | Mold for continuous casting and cooling method of molten steel using the same | |
KR100466416B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casting slab | |
KR101224014B1 (en) | Apparatus and mothod for closing of entry nozzle in tundish | |
KR102100794B1 (en) | Mold | |
KR20210009180A (en) | Roller apparatus and casting systems | |
US3512573A (en) | Method of continuously casting metal using carbon dioxide for cooling | |
KR20030020978A (en) | Method and strand guide for supporting, guiding and cooling casting strands made of steel, especially preliminary sections for girders | |
KR101481602B1 (en) | Continuous casting tundish and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 |
KR100840284B1 (en) | Dummy bars of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 |
KR20200091116A (en) | Sealing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 |
KR20190076338A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scattering of molten steel | |
KR100642778B1 (en) | Continuous casting method | |
KR20070103144A (en) | Apparatus for blocking outflow of melting steel | |
KR101927769B1 (en) | Method for casting | |
KR20170022148A (en) | Mold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process | |
KR100533126B1 (en) | Metal strip casting method and apparatus | |
JPS61195754A (en) |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 |
KR100823657B1 (en) | Emergency injection device of ladle molten ste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