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696B1 - Moving type vertical cultivation device - Google Patents
Moving type vertical cultiva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2696B1 KR102092696B1 KR1020190127444A KR20190127444A KR102092696B1 KR 102092696 B1 KR102092696 B1 KR 102092696B1 KR 1020190127444 A KR1020190127444 A KR 1020190127444A KR 20190127444 A KR20190127444 A KR 20190127444A KR 102092696 B1 KR102092696 B1 KR 1020926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coupled
- guide
- frames
- hou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우스 내에서 재배되는 과일 중 특히 수박을 수직으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과일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공중에서 재배할 수 있도록 하여, 노동 강도를 저하시켜 작업속도를 향상시키고, 병원균으로부터 감염 확률을 낮춰 고품질의 과일을 생산할 수 있으며, 한정된 하우스 면적으로 밀식재배를 가능하게 하여 과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고, 하우스 내의 작업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vertical cultivation device that allows vertically cultivation of watermelons among fruits grown in a house, and more specifically, to allow fruit to be cultivated in the air by separating it from the ground, thereby reducing labor intensity. To increase the work speed, lower the probability of infection from pathogens, and to produce high-quality fruits, enable wheat cultivation with a limited house area, increase the yield of fruits, and move vertically to freely utilize the work space in the house It is about the device.
예로부터 4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의 자연 환경에서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계절의 영향을 최소화 하여 지속적으로 과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우스를 통한 재배가 널리 이루어지고 있었다.In the natural environment of Korea, where four seasons have been distinct since ancient times, cultivation through houses has been widely performed to produce fruits continuously by minimizing the influence of the season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이러한 과일 중 특히 수박은 하절기에 즐겨먹는 박과에 속하는 일년생 덩굴풀에서 성장하는 과일로서, 수박의 생산 산업규모는 약 9000억원에 이르며,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화 되어감에 따라 다양한 품종의 수박이 비닐 하우스에서 연중 재배되고 있으며, 수박의 줄기를 지면으로 유인하는 포복식 재배방법을 사용하여 재배하여 왔다.Among these fruits, especially watermelon is a fruit grown in annual vines belonging to the fruit family that is enjoyed in the summer, and the production industry of watermelon reaches about 900 billion won, and as various consumer preferences diversify, watermelons of various varieties It is cultivated year-round in a plastic greenhouse and has been cultivated using a crawling cultivation method that attracts the stems of watermelons to the ground.
하지만, 수박이 지면에 맞닿은 상태로 재배되는 경우, 성장하는 수박이 커짐에 따라 지면에 맞닿는 부분이 점차적으로 지면에 많이 점하게 되어 수박의 저면은 일조량 등의 영향으로 생장에 저해를 받게 되며, 수박이 지면에서 안정된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지 못하면 낙과가 되는 등의 손실을 가져왔다.However, when the watermelon is cultivat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as the growing watermelon grows, the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gradually gradually occupies the ground, and the bottom of the watermelon is affected by the amount of sunlight and the like, and the watermelon is inhibited. Failure to continue to maintain a stable state on this ground resulted in losses such as falling over.
또한, 통풍 불량으로 인하여 병해충의 피해가 크며, 지면으로부터의 병원균 감염으로 수박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damage of the pest is large due to poor ventilation, and the quality of watermelon is deteriorated due to pathogen infection from the ground.
그리고 수박이 커짐에 따라 지면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점차 넓어지고 그에 따라 단위면적당의 생산효율이 떨어졌으며, 작업자가 수박의 재배 전 과정에 있어서 대부분을 허리를 구부려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고, 수박을 수확하는 시기에는 수박의 무게로 인해 수박을 상하차 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들의 허리에 무리를 주어 허리디스크와 같은 직업병의 요인이 되어 왔다.And as the watermelon grows, the area occupied by the ground gradually increases, and accordingly, the production efficiency per unit area decreases.A lot of work force is required because the worker bends most of the watermelon during the whole process of cultivation of the watermelon to make a waist. At the time of harvesting watermelon, it has been a factor in occupational diseases such as lumbar discs by putting a strain on the waist of workers in the process of loading and unloading watermelon due to the weight of the watermelon.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1은 수박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재배할 수 있도록 복수의 지지대와 수박이 안착되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수박 재배장치를 제공했다.In order to solve this conventional problem, Patent Literature 1 provides a watermelon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s and a mesh on which a watermelon is placed so that the watermelon can be grown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은 수박이 지면에서 일정 높이 이격되어 재배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이나 수박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수박이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대들이 설치된 위치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비닐 하우스 내부의 로터리 작업, 관수장치설치, 피복재배 등의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존재하여 작업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atent document 1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work or the quality of the watermelon by allowing the watermelon to be cultivat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but the structure is fixed in a position where a plurality of supports to allow the watermelon to be separated from the ground is installed. As it is made of,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freely utilize the working space due to the inconvenience in performing operations such as rotary work, installation of irrigation equipment, and covering cultivation inside the vinyl hous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가로프레임, 세로프레임 및 활형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스프레임의 내측으로 복수의 가이드프레임 및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롤러와 가이드롤러에 결합되어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 가능한 제1지지프레임, 그리고 복수의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에 의해 고정되고,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구비 가능하여 상부에 과일이 올려질 수 있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재배부가 설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재배되는 과일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작업자의 노동 효율을 향상시키고, 밀식 재배가 가능하여 면적대비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로 재배부를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guide roller and a guide roller that can move left and right along a plurality of guide frames and guide frames to the inside of a house frame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vertical frames, and bow frames. The first support frame vertically installable, and fixed by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can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o that a cultivation part including a pedestal on which the fruit can be placed can be installed. By doing so, it improves the quality of the fruits that are cultivated, improves the worker's labor efficiency, and enables wheat-based cultivation to increase the yield compared to the area, and can move the cultivation section to a desired location, so that the work space can be freely utiliz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ertical cultivation devic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another technical problem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이 상호 결합 가능하여 네 개의 면으로 형성된 측면골조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측면골조의 상부에 복수의 활형프레임이 동일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결합 가능한 하우스프레임; 및 상기 하우스프레임의 내측에 구비 가능한 재배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배부는 양단이 상기 측면골조의 상부 양측에 각각 결합 가능하고, 상기 하우스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 가능한 복수의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결합 가능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의 일측에 결합 가능하며,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 가능한 제1지지프레임; 및 상기 하우스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 가능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연속되도록 결합 가능하고, 상부에 하우스에서 재배되는 과일이 올려질 수 있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nd vertical frames can be mutually coupled to achieve a side frame formed of four sides, a plurality of arched frames on the top of the side frame spaced apart at the same interval House frames that can be arranged and combined; And a cultivation part that can be provided inside the house frame, wherein the cultivation part has a plurality of guides, both ends of which can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frame, and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ouse frame. frame;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that can be coupled to the guide frame and move left and right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A first support frame that can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guide roller and extends vertically toward the ground; And a movable vertical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 pedestal that can be coupled so as to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which can be provided in a plura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e frame, the fruit grown in the house can be put on the Provides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기 가이드롤러를 목표한 위치에 고정 가능하도록 고정핀이 관통 결합되는 제1고정구가 형성 가능하며, 상기 제1고정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guide frame may be formed with a first fastener through which a fixing pin is penetrated so as to be able to fix the guide roller capable of moving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frame at a target position, and the first fastener is the length of the guide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an be formed along the direction.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관통되어 지나갈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 가능하고, 양측면이 개방 가능한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의 하부에 결합 가능하며, 일측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이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roller may be hollow inside so that the guide frame passes through, and a first bracket capable of opening both sides; And a second bracket that can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racket and can be coupled to one side so that the first support frame can be vertically extended toward the ground.
이때, 상기 제1브라켓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지나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회전 가능한 복수의 롤러; 및 상기 제1브라켓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구와 함께 상기 고정핀이 관통되어 결합 가능한 제2고정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외측면에서 적어도 두 방향 이상 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bracket includes a plurality of rollers that are rotatabl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frame passing through the inside; And 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racket further comprises a second fastener that can be coupled through the fixing pin with the first fastener, the 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two direction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frame Is done.
또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절된 길이를 고정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frame may be made of a double structure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member capable of fixing the adjusted length.
그리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는 상기 받침대를 지지 가능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irst support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member capable of supporting the pedestal.
또한, 상기 받침대는 상기 하우스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으로 구비 가능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연속 되도록 결합 가능한 제1받침프레임; 상기 제1받침프레임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받침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 가능한 제2받침프레임; 및 상기 제1받침프레임 및 제2받침프레임의 사이에 구비 가능하여 양단이 상기 제1받침프레임 및 제2받침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 가능하고, 상기 제1받침프레임 및 제2받침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 이격되어 결합 가능한 복수의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받침프레임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제3브라켓(244)에 의해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edestal is a first support frame that can be coupled to be continuous to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that can be provided in the same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e frame; A second supporting frame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first supporting frame and being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ing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t is possible to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frame and the second supporting frame so that both ends can be vertic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ing frame and the second supporting frame, respectively, and the first supporting frame and the second supporting frame. It includes a plurality of auxiliary frames that can be spaced apart at the same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supporting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upled by the first supporting frame and the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제1받침프레임 및 제2받침프레임의 이격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made of a double structure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frames.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에 과일을 올릴 경우,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받침대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재배부를 좌우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받침대가 회전하여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를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fram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is detachable, when placing fruit on the support, the support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nnection part can be connected in a state of being rotated to achieve verticality, and when the cultivation part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the support member is rotated so as to be level with the first support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removable.
또한, 상기 제1받침프레임의 일측에는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 가능한 제2지지프레임이 복수 개 더 구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frames that can be formed vertically extending toward the groun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이때, 상기 제1받침프레임 및 제2지지프레임의 결합부에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과 결합되는 상기 제1받침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제4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supporting frame and the second supporting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a fourth bracket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first supporting fram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ing frame is rotatable.
또한, 상기 재배부에는 하우스에서 재배하는 식물의 덩굴이 타고 올라갈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하향 설치 가능한 덩굴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ultiv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ine network that can be installed downwardly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so that the vines of plants grown in the house can climb and climb.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하우스에서 재배되는 과일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하여 재배되는 과일의 생육 환경(일조량, 통풍 등)이 개선되어 과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병충해를 최소화 하고 밀식재배가 가능하여 단위면적당 수확량을 증대시키고, 노동 강도를 저하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과일을 재배하는 재배부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하우스 내부의 작업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providing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growth environment (sunshine, ventilation, etc.) of the cultivated fruit is improved by allowing the fruits grown in the hous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fruit and minimizing pests And it is possible to grow wheat, increase the yield per unit area, increase the efficiency of work by lowering the labor intensity, and move the cultivation section for growing fruits to the desired location, thereby freely utilizing the working space inside the house. There is.
또한, 수직재배가 가능함으로써, 초세 증진의 효과가 있으며, 재배의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하고, 간단한 조립으로 설치 가능하여 시설의 유지 관리를 원활히 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vertical cultivation is possible, there is an effect of promoting taxation,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of cultiva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by simple assembly, there is another effect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of the facilit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를 나타내는 동작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의 가이드롤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의 받침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5는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의 덩굴망을 나타내는 예시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obile vertical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operation showing a mobile vertical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uide roller of the mobile vertical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nd of a mobile vertical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ine network of a mobile vertical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belonging to the same technical field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과일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공중에서 재배할 수 있도록 하여, 노동 강도를 저하시켜 작업속도를 향상시키고, 병원균으로부터 감염 확률을 낮춰 고품질의 과일을 생산할 수 있으며, 한정된 하우스 면적으로 밀식재배를 가능하게 하여 과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고, 하우스 내의 작업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스프레임(100) 및 상기 하우스프레임(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좌우 왕복 이동이 가능한 재배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ruits to be cultivated in the air by separating them from the ground, thereby reducing the labor intensity, improving the working speed, and lowering the probability of infection from pathogens, thereby producing high-quality fruits. It relates to a mobile vertical cultivation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yield of fruit, and can freely utilize the working space in the house, the mobile vertical cultiv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이때, 상기 하우스프레임(100)은 복수의 가로프레임(111) 및 세로프레임(112)이 상호 결합될 수 있는 측면골조(110)와 상기 측면골조(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활형프레임(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예컨대, 복수의 상기 세로프레임(112)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세로프레임(112)의 일측에 복수의 상기 가로프레임(111)이 연속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세로프레임(112)을 지지하는 구조의 상기 측면골조(110)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the
또한, 상기 측면골조(110)는 네 개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측면골조(110)의 마주보는 양측 상단에 상기 활형프레임(120)의 양단부가 상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외형인 하우스프레임(100)을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하우스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비닐을 덮어 내부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가 완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하우스프레임(100)은 기존의 비닐하우스의 골조와 동일하거나, 경우에 따라 상부를 상기 활형프레임(120)이 아닌 상기 가로프레임(111) 및 세로프레임(112)을 결합하여 완성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a vinyl house can be completed by covering the vinyl with the outside of the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상기 하우스프레임(100)의 내측에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배부(2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재배부(200)는 상기 하우스프레임(100)의 내부 공간 전체 또는 일부 공간에 오와 열을 맞춰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1 and 2,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재배부(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프레임(210) 및 가이드롤러(220), 그리고 제1지지프레임(230)과 받침대(240)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은 하우스에서 재배되는 과일이 올려짐으로써, 수직재배가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받침대(24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그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양단이 상기 측면골조(1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스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에는 복수의 상기 가이드롤러(2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240)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1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왕복 이동을 하는 상기 가이드롤러(220)의 조합으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받침대(24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고정구(2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롤러(220)와 상기 제1고정구(211)에 함께 관통되어 결합되는 고정핀(250)에 의해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을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기 가이드롤러(220)가 목표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롤러(2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롤러(222)와 제2고정구(미도시)를 포함하는 제1브라켓(221) 및 상기 제1브라켓(22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는 제2브라켓(224)으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제1브라켓(221)은 내부가 중공 되어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마주보는 양측면이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이 관통되어 지나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때, 상기 제1브라켓(221)은 하나의 사각기둥 또는 원형기둥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로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이 관통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판형 모듈이 볼트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에 상기 가이드롤러(220)를 결합시키거나, 파손이나 고장으로 인한 교체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호 조립되는 복수의 판형 모듈 사이에는 상기 롤러(222)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222)는 상기 제1브라켓(221)의 내부를 관통하여 지나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프레임(210)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을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롤러(220)가 상호 마찰에 의해 마모되어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이드롤러(220)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러한 상기 롤러(222)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의 외측면에 적어도 두 방향, 즉, 상하 또는 좌우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롤러(220)와 상기 가이드프레임(210) 간의 지지력 및 상기 가이드롤러(220)의 부드러운 이동을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의 외측면 상하좌우 네 방향에서 밀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1브라켓(221)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제2고정구(미도시)는 상기 제1고정구(211)와 함께 상기 고정핀(250)이 관통되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롤러(220)가 목표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astener (not shown), which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브라켓(224)은 상기 제1브라켓(22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분리와 조립이 간편할 수 있도록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제2브라켓(224)의 일측에는 후술 할 제1지지프레임(230)이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과 상기 제2브라켓(224)의 결합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2브라켓(224)의 하단에는 하향 연장되고 내부가 중공 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은 일측이 상기 가이드롤러(220)의 일측에 결합이 가능하며, 타측이 지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은 상기 하우스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의 일측에 연속되도록 받침대(240)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예컨대, 상기 하우스프레임(100)의 내측에 등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상기 가이드프레임(21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의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의 상기 가이드롤러(220)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구비되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스프레임(100)의 내부에서 오와 열을 맞춰 동일 선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의 일측에는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하우스에서 재배되는 과일이 상부에 올려질 수 있는 상기 받침대(240)가 연속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재배부(200)의 전체적인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guide frames 210 coupled to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inside the
이러한 상기 재배부(200)의 구조 및 배치는 도1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이때,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은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슬라이딩 됨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조절된 길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나사 또는 클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고정부재(2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즉, 상기 가이드롤러(220)에 의해 좌우 왕복 이동이 되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의 하부가 이동 간에는 지면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길이를 짧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으며, 목표한 위치로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의 길이를 늘려 지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length of the lower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의 길이 조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되는 이중 구조 외에도 텔레스코프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또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의 일측에는 상기 받침대(24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232)가 더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받침대(240)의 상부에 올라가는 과일의 무게로 인해 상기 받침대(240)가 아래로 처지거나 기울어져 상기 받침대(240)에 올라가 있는 과일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upporting the
이때, 상기 지지부재(232)는 상기 받침대(24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와이어, 끈, 쇠사슬 등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접이식 브라켓이 연결되어 상기 받침대(240)가 사용 유무에 따라 회전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24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받침프레임(241) 및 제2받침프레임(242), 그리고 보조프레임(243)이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예컨대, 상기 제1받침프레임(241)은 상기 하우스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으로 구비 가능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의 일측에 연속 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연속되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 각각에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지면을 기준으로 평행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upporting
또한, 상기 제1받침프레임(241)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2받침프레임(242)은 상기 제1받침프레임(241)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하여 상기 제1받침프레임(241) 및 상기 제2받침프레임(242)이 한 쌍을 이루어 상호 대칭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ing
이때, 상기 제1받침프레임(241) 및 상기 제2받침프레임(242)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제1받침프레임(241)과 상기 제2받침프레임(242)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상기 보조프레임(243)이며, 상기 보조프레임(243)의 양단이 상기 제1받침프레임(241) 및 제2받침프레임(242)의 일측에 각각 수직을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ing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243)은 상기 제1받침프레임(241) 및 상기 제2받침프레임(2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제1받침프레임(241) 및 상기 제2받침프레임(242)의 결속을 튼튼하게 해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상기 받침대(240)의 외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사다리의 모양과 흡사하며, 상기 보조프레임(243)이 상호 이격되는 거리는 상기 받침대(240)에 올려지는 과일의 크기 또는 수량에 따라 적절히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outer shape of the
이를 위해 상기 보조프레임(243)은 상기 제1받침프레임(241) 및 상기 제2받침프레임(242)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기 보다는 조립이 간편하도록 연결브라켓에 의해 상기 제1받침프레임(241) 및 상기 제2받침프레임(242),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243)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또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에 결합되는 상기 제1받침프레임(241)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3브라켓(244)에 의해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과 결합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받침대(240)가 회전하여 상기 받침대(240)를 접거나 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in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프레임(243)은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이중 구조 또는 텔레스코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1받침프레임(241) 및 상기 제2받침프레임(242)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받침대(240)에 올려지는 과일의 크기에 맞게 상기 받침대(240)의 폭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243)의 일측에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부재(232)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nection part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예컨대, 상기 받침대(240)에 과일이 올라갈 경우,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에 결합된 상기 받침대(240)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과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미도시)를 연결시켜 상기 받침대(240)가 기울어지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우스에서 과일이 모두 수확된 이후, 또는 식물의 재배를 준비하기 위한 로터리 작업, 관수장치설치, 피복재배 등의 작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상기 재배부(200)를 하우스의 좌우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상기 받침대(240)가 회전하여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과 수평이 되도록 상기 받침대(240)를 아래로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232)와 상기 연결부(미도시)를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fruit is raised on the
이와 같이, 상기 받침대(240)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아래로 접고, 상기 재배부(200)를 하우스의 양측으로 이동시켜 보관함으로써, 하우스 내부의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또한, 상기 제1받침프레임(241)의 일측에는 지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는 복수의 제2지지프레임(245)이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제2지지프레임(245)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과 동일하게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ing
그리고 상기 제1받침프레임 및 상기 제2지지프레임(245)의 결합부에는 제4브라켓(246)이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제1받침프레임(241)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지지프레임(245)과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에 상기 제1받침프레임(241)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3브라켓(244)에 의해 결합되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하우스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상기 받침대(240)가 상부에 올려지는 과일의 하중에 의해 처지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 및 상기 제2지지프레임(245)에 의해 지면에서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재배부(200)를 사용자가 원하는 재배 위치로 설정하거나, 하우스 내의 로터리 작업 또는 관수장치설치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재배부(200)를 좌우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 및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하여 지면에서 이격되어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240)를 접어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또한, 상기 받침대(240)에는 과일의 재배와 수확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그물망(미도시)이 설치되거나, 과일을 개별로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부재를 더 구비하여 줄 수도 있으며,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서 과일이 재배되고 수확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24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1단만 있는 것이 아닌, 2단 또는 3단 등 복수의 단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조립이 가능하여 밀식재배에 대한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a mesh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이때, 상기 재배부(20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스에서 재배하는 식물의 덩굴이 타고 올라갈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프레임(230)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하향 설치될 수 있는 덩굴망(300)이 더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수직재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5,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하우스에서 재배되는 과일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하여 재배되는 과일의 생육 환경(일조량, 통풍 등)이 개선되어 과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병충해를 최소화 하고 밀식재배가 가능하여 단위면적당 수확량을 증대시키고, 노동 강도를 저하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과일을 재배하는 재배부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하우스 내부의 작업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providing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growth environment (sunshine, ventilation, etc.) of the cultivated fruit is improved by allowing the fruits grown in the hous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fruit and minimizing pests And it is possible to grow wheat, increase the yield per unit area, increase the efficiency of work by lowering the labor intensity, and move the cultivation section for growing fruits to the desired location, thereby freely utilizing the working space inside the house. There is.
또한, 수직재배가 가능함으로써, 초세 증진의 효과가 있으며, 재배의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하고, 간단한 조립으로 설치 가능하여 시설의 유지 관리를 원활히 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vertical cultivation is possible, there is an effect of promoting taxation,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of cultiva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by simple assembly, there is another effect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of the facility.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lexical meanings,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uses the concept of terms to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as such.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nd example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100 : 하우스프레임 110 : 측면골조
111 : 가로프레임 112 : 세로프레임
120 : 활형프레임 200 : 재배부
210 : 가이드프레임 211 : 제1고정구
220 : 가이드롤러 221 : 제1브라켓
222 : 롤러 224 : 제2브라켓
230 : 제1지지프레임 231 : 고정부재
232 : 지지부재 240 : 받침대
241 : 제1받침프레임 242 : 제2받침프레임
243 : 보조프레임 244 : 제3브라켓(244)
245 : 제2지지프레임 246 : 제4브라켓
250 : 고정핀 300 : 덩굴망100: house frame 110: side frame
111: Horizontal frame 112: Vertical frame
120: bow frame 200: cultivation department
210: guide frame 211: the first fixture
220: guide roller 221: first bracket
222: roller 224: second bracket
230: first support frame 231: fixing member
232: support member 240: support
241: first supporting frame 242: second supporting frame
243: auxiliary frame 244: third bracket (244)
245: 2nd support frame 246: 4th bracket
250: fixing pin 300: vine network
Claims (12)
상기 하우스프레임의 내측에 구비 가능한 재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배부는,
양단이 상기 측면골조의 상부 양측에 각각 결합 가능하고, 상기 하우스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 가능한 복수의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결합 가능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의 일측에 결합 가능하며,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 가능한 제1지지프레임; 및
상기 하우스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 가능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연속되도록 결합 가능하고, 상부에 하우스에서 재배되는 과일이 올려질 수 있는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는,
상기 받침대를 지지 가능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하우스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으로 구비 가능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연속 되도록 결합 가능한 제1받침프레임;
상기 제1받침프레임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받침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 가능한 제2받침프레임; 및
상기 제1받침프레임 및 제2받침프레임의 사이에 구비 가능하여 양단이 상기 제1받침프레임 및 제2받침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수직으로 결합 가능하고, 상기 제1받침프레임 및 제2받침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 이격되어 결합 가능한 복수의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받침프레임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제3브라켓(244)에 의해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nd vertical frames can be mutually coupled to form a side frame formed of four surfaces, and a plurality of bow frames are spaced apart and spaced at the same intervals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And
It includes a cultivation unit that can be provided inside the house frame,
The cultivation unit,
A plurality of guide frames, each of which can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frame and spac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ouse frame;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that can be coupled to the guide frame and move left and right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A first support frame that can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guide roller and extends vertically toward the ground; And
It can be coupled so as to be continuous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which can be provided in a plura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e frame, and includes a pedestal on which fruits grown in the house can be placed on the top,
In the first support frame,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member capable of supporting the pedestal,
The pedestal,
A first support frame that can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frame that can be provided in the same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e frame;
A second supporting frame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first supporting frame and being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ing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t can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ing frame and the second supporting frame so that both ends can be vertic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ing frame and the second supporting frame, respectively, and the lengths of the first supporting frame and the second supporting frame. It includes a plurality of auxiliary frames that can be spaced apart at the same distance along the direction.
The first support frame is a movable vertical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upled by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third bracket (244) to enable rotation.
상기 가이드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한 상기 가이드롤러를 목표한 위치에 고정 가능하도록 고정핀이 관통 결합되는 제1고정구가 형성 가능하며,
상기 제1고정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the guide frame,
A first fastener through which a fixing pin is penetrated to be able to fix the guide roller capable of moving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frame to a target position can be formed,
The first fastener,
A movable vertical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guide frames can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이 관통되어 지나갈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 가능하고, 양측면이 개방 가능한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의 하부에 결합 가능하며, 일측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이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guide roller,
A first bracket capable of being hollow inside and allowing both sides to be opened to allow the guide frame to pass through; And
A movable vertical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 second bracket that can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racket and can be coupled to one side so that the first support frame can be vertically extended toward the ground.
상기 제1브라켓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지나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회전 가능한 복수의 롤러; 및
상기 제1브라켓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구와 함께 상기 고정핀이 관통되어 결합 가능한 제2고정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외측면에서 적어도 두 방향 이상 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3,
In the first bracket,
A plurality of rollers rotatabl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frame passing through the inside; And
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racket further comprises a second fastener that can be coupled through the fixing pin with the first fastener,
The roller,
A movable vertical cultiv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adhered to at least two directio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frame.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절된 길이를 고정 가능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pport frame,
Removable vertical cultivation device, which can be made of a double structure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and includes a fixing member that can fix the adjusted length.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제1받침프레임 및 제2받침프레임의 이격 거리를 조절 가능하도록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frame,
The movable vertical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made of a double structure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frames.
상기 보조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부재가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에 과일을 올릴 경우,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받침대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재배부를 좌우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받침대가 회전하여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를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frame,
The support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to be detachable,
When the fruit is placed on the pedestal,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nnection part may be conn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pedestal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is rotat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support frame,
When the cultivation unit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the movable vertical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nnection portion can be separated so that the pedestal rotates to form a level with the first support frame.
상기 제1받침프레임의 일측에는,
지면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 가능한 제2지지프레임이 복수 개 더 구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ing frame,
A mobile vertical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frames that can be formed vertically extending toward the ground can be provided.
상기 제1받침프레임 및 제2지지프레임의 결합부에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과 결합되는 상기 제1받침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제4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supporting frame and the second supporting frame,
A movable vertical cultiv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fourth bracket so that the first supporting frame coupled with the second supporting frame is rotatable.
상기 재배부에는,
하우스에서 재배하는 식물의 덩굴이 타고 올라갈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하향 설치 가능한 덩굴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수직재배 장치.According to claim 1,
In the cultivation section,
A movable vertical cultiv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vine network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so that the vines of the plants grown in the house can climb and climb upwar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7444A KR102092696B1 (en) | 2019-10-15 | 2019-10-15 | Moving type vertical cultiva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7444A KR102092696B1 (en) | 2019-10-15 | 2019-10-15 | Moving type vertical cultiva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2696B1 true KR102092696B1 (en) | 2020-03-23 |
Family
ID=69998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7444A Active KR102092696B1 (en) | 2019-10-15 | 2019-10-15 | Moving type vertical cultiva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269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9307B1 (en) * | 2021-06-30 | 2022-02-08 |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multistage type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
KR20250081557A (en) | 2023-11-29 | 2025-06-05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mated fruit harvesting robot for vertical cultivating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3763A (en) | 1999-08-19 | 2002-05-07 | 구로카와 기요시 | Meg-1 protein |
JP2008148635A (en) * | 2006-12-18 | 2008-07-03 | Osaka Prefecture Univ |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KR20100032975A (en) * | 2008-09-19 | 2010-03-29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Harvesting transport and agricultural chemicals spray equipment for protected horticulture |
KR20110007242U (en) * | 2010-01-14 | 2011-07-20 | 강희환 | Transfer of Sprayer contrivance for house |
KR20130114391A (en) * | 2012-04-09 | 2013-10-18 | 유한회사 신정알앤디 | Apparatus for growing farm products |
KR101416008B1 (en) * | 2014-01-20 | 2014-07-11 | 이경석 | Frame supporter for green house |
KR101931586B1 (en) | 2017-06-27 | 2018-12-21 | 김영완 | Culturing apparatus of watermelon |
KR20190010779A (en) * | 2017-07-20 | 2019-01-31 | 한국시티팜협동조합 | Apparatus for planting watermelon |
-
2019
- 2019-10-15 KR KR1020190127444A patent/KR10209269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3763A (en) | 1999-08-19 | 2002-05-07 | 구로카와 기요시 | Meg-1 protein |
JP2008148635A (en) * | 2006-12-18 | 2008-07-03 | Osaka Prefecture Univ |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KR20100032975A (en) * | 2008-09-19 | 2010-03-29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Harvesting transport and agricultural chemicals spray equipment for protected horticulture |
KR20110007242U (en) * | 2010-01-14 | 2011-07-20 | 강희환 | Transfer of Sprayer contrivance for house |
KR20130114391A (en) * | 2012-04-09 | 2013-10-18 | 유한회사 신정알앤디 | Apparatus for growing farm products |
KR101416008B1 (en) * | 2014-01-20 | 2014-07-11 | 이경석 | Frame supporter for green house |
KR101931586B1 (en) | 2017-06-27 | 2018-12-21 | 김영완 | Culturing apparatus of watermelon |
KR20190010779A (en) * | 2017-07-20 | 2019-01-31 | 한국시티팜협동조합 | Apparatus for planting watermelo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9307B1 (en) * | 2021-06-30 | 2022-02-08 |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multistage type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
KR20250081557A (en) | 2023-11-29 | 2025-06-05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Automated fruit harvesting robot for vertical cultivat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56190A (en) | Multistage plant culture method and multistage plant culture apparatus for use therein | |
KR102069138B1 (en) | Strawberry high cultivation equipment that can move up and down in both directions | |
KR101967533B1 (en) | Multi-stage rotary crop cultivator | |
CN204426147U (en) | A kind of telescopic three-dimensional seedling raising frame | |
KR102092696B1 (en) | Moving type vertical cultivation device | |
KR101925432B1 (en) | Swing Working Typ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JP4935722B2 (en) | Strawberry cultivated bed and strawberry cultivated method using the same | |
CN110637649B (en) | Automatic greenhouse planting and cultivation building machine and building method | |
KR200327215Y1 (en) | The multi stage cultivation equipment for crops | |
CN208739709U (en) | A kind of sliceable environmental protection type cucumber frame of plantation | |
KR20220002989U (en) | Support frame for growing vertical vine fruit tree | |
JPH05292834A (en) | Method and device for raising plant | |
KR20030021175A (en) | Method, device and warehouse for cultivating crop plants and grafts thereof | |
CN210275270U (en) | Big-arch shelter is planted to chinese yew | |
JP2013106584A (en) | Plant cultivation method and plant cultivation device | |
CN216163777U (en) | Self-interacting formula greenhouse planting frame cultivated in a pot | |
KR20200034132A (en) | A cultivation device for corps runner | |
JP7291431B1 (en) | Agricultural product cultivation equipment | |
US20240000028A1 (en) | Growing tray system, method and farming system | |
RU149913U1 (en) | TWO-PLANE TREES FOR MANAGING Grapes | |
JP6367552B2 (en) |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
KR20230036862A (en) | Tall crop high-bed cultivation apparatus | |
EP1637033A1 (en) | Plant growing system and method | |
EP169561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spacing of growing plants | |
JP5521163B2 (en) | Movable light reflector for cultivation and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0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