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861B1 - Top down pip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er - Google Patents
Top down pip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1861B1 KR102091861B1 KR1020200015832A KR20200015832A KR102091861B1 KR 102091861 B1 KR102091861 B1 KR 102091861B1 KR 1020200015832 A KR1020200015832 A KR 1020200015832A KR 20200015832 A KR20200015832 A KR 20200015832A KR 102091861 B1 KR102091861 B1 KR 1020918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wnward
- cleaning liquid
- pipe
- pipeline
- pipeline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4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abstract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1243 air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72 inorganic ga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 B01F5/0057—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하향관로유닛, 제2하향관로유닛, 제1세정수조, 제2세정수조, 제1세정액투입수단 및 제2세정액투입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제1하향관로유닛과 제2하향관로유닛을 통해 오염된 공기와 세정액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흘러 접촉하도록 하면서 접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염된 공기의 탈취 및 정화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제1하향관로유닛의 제1하향다단관로와 제2하향관로유닛의 제2하향다단관로에 대하여, 각 최상부에 배치된 관로 선단 및 중앙과 하부에 배치된 관로 내부에 증속스크루 및 난류형성스크루가 구비됨으로써 관로 내부로 이송되는 오염공기와 세정액의 이송시 이송속도가 증대되도록 하면서 난류를 형성하여 이송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오염공기와 세정액에 대한 접촉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하향관로유닛과 제2하향관로유닛의 각 연장연결관을 관통토록 연결설치되어 오존을 투입시키는 오존투입호스를 더 포함함으로써 오염공기에 내포된 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은 고분자 독성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apparatus, and more specifically, a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a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a first washing tank, a second washing tank, a first washing liquid injection means and a second By applying the cleaning liquid input mean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tact efficiency by allowing the contaminated air and the cleaning liquid to flow in the same direction through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and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thereby deodorizing and purifying the polluted air. On the other hand, for the efficiency to be maximiz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ownward multi-stage pipeline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and the second downward multi-stage pipeline of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the pipes disposed at the top of each pipe and the pipes disposed at the center and bottom Even if the increased speed screw and the turbulence forming screw are provided inside, the feed rate is increased while transferring the polluted air and the cleaning liquid to be transported inside the pipelin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contact efficiency of contaminated air and cleaning liquid, and through the extension pipes of the first downstream pipe unit and the second downstream pipe unit, the ozone input hose is used to input ozone. It further relates to a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that can exert a function of removing polymer toxic substances such as formaldehyde contained in contaminated air.
세계적으로 18세기 이후부터 오늘날까지 급속한 인구증가와 산업의 발전으로 크고 작은 대기오염사건들로 기인된 물적 인적 피해가 심각하게 대두되어 오고 있다.From the 18th century onwards to the present day, the rapid increase in pop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industry have seriously caused material and human damage caused by large and small air pollution events.
국내에는 오늘날에도 미세먼지와 악취로 인하여 인류의 건강상 피해와 다양한 형태의 부작용이 사회 전반적으로 팽배해 있어 정치권과 정부는 물론 민간에서도 이를 제어하기 위해 막대한 시간과 자금이 수요되고 있는 실정이다.In Korea, the damage to human health and side effects of various forms are widespread throughout society due to fine dust and odor, and it is a situation that demands tremendous time and money to control it in the political and governmental sectors as well as in the private sector.
이러한 노력에도 날로 심각한 수준의 대기오염물질이 대기 중으로 계속해서 방출되고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재앙 수준의 대기오염 물질이 우리의 건강과 재산상의 피해를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Despite these efforts, it is a reality that a serious level of air pollutants continues to be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and sometimes disaster-level air pollutants are damaging our health and property.
이는 주변국에서 대기의 흐름에 따라 날아오는 것도 있지만 국내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과 악취물질도 다량으로 대기 중에 배출되는 점에서 초래되고 있는 것이다.This is due to the fact that air flows from neighboring countries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air, but air pollutants and odors generated in Korea are also discharged in the atmosphere in large quantities.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산업계나 관계자들 역시 많은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형태의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 방법이나 기술을 개발 또는 도입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 분야의 산업이 상당한 신장을 가져 올 것으로 예상된다. To solve this problem, related industries and related parties are also interested in developing or introducing various types of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methods or technologie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industry in this field will bring considerable growth in the future.
종래의 탈취장치는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38429호 2016.07.05.등록.)에서 보는 바와 같은 거품제거 및 염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세정 탈취장치로서, 원탑 형상 또는 사각 함체 형상을 갖는 본체의 내부에 제1단 및 제2단 세정부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저면 또는 본체의 외측에 제1 및 제2세정액 저장탱크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저장탱크의 일측과 본체의 제1단 및 제2단 세정부 일측 사이에는 제1 및 제2세정액 순환펌프가 구비된 제1 및 제2세정액 공급관을 설치하고, 본체의 제1단 및 제2단 세정부의 타측 저부와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저장탱크의 타측 사이에는 상기 제1단 및 제2단 세정부를 순환하고 이송되어 오는 제1 및 제2세정액을 각각 제1 및 제2세정액 저장탱크로 회수시켜 주는 제1 및 제2세정액 회수관이 구비된 약액세정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저장탱크 내의 일측부에 거품 및 염 제거겸 수위 조절조를 형성하고, 상기 거품 및 염제거겸 수위 조절조의 저부에는 제1 및 제2세정액 회수관의 저단부를 각각 관통되게 연결하며, 상기 거품 및 염 제거겸 수위 조절조의 후방 칸막이 저부에는 세정액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거품 및 염 제거겸 수위 조절조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는 회수되는 세정액의 유입방향과 배출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갖도록 복수의 염 부착 필터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상기 거품 및 염 제거겸 수위 조절조의 상부에는 세정액의 수면으로 떠오른 거품에 액체를 분사시켜 거품 수집조 측으로 밀어내는 타이머 제어형 샤워노즐을 설치하고, 거품 배출공이 천공된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저장탱크의 일측면에는 거품 수집조를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conventional deodorizing device is a chemical liquid cleaning deodorizing device having defoaming and salt removal functions as seen in Patent Document 1 (Registration No. 1638429, Republic of Korea 2016.07.05.), Of a main body having a circular column shape or a rectangular box shape The first and second stage cleaning units are installed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in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liquid storage tank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or outside the main body, and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liquid are stored. First and second cleaning liquid supply pipe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leaning liquid circulation pumps are installed between one side of the tank and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parts of the main body, and the first and second stages of the main body are installed.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liquids circulating and conveying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liquids between the bottom of the other side of the government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liquid storage tanks are respectively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liquid storage tanks. 1st and 2nd cleaning amount recovered In the chemical liquid cleaning and deodorizing device equipped with a tube,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liquid storage tank forms a bubble and salt removal and water level control tank on one side, and the foam and salt removal and water level adjustment tank at the bottom of the first and The bottom ends of the second cleaning liquid recovery pipe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leaning liquid outle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ar partition of the bubble and salt removal and water level control tank, and the bubbles and salts are removed and recov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water level control tank. A plurality of salt-attached filters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have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inflow direction and the outflow direction of the cleaning liquid, and bubbles are collected by spraying the liquid on the bubbles rising to the surface of the cleaning liquid at the top of the bubble and salt removal and water level control tank.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leaning liquid storage tanks having a timer-controlled shower nozzle that pushes out to the jaw side and a bubble discharge hole is perforated. On the side,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bubble collection tank is installed.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탈취장치에 의하면, 상향 다단으로 세정부를 구성하는 상향류식 세정탑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다단으로 세정하여 탈취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eodoriz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it has an upward flow type washing tower structure constituting a washing unit in multiple stages upward, and through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xert a deodorizing function by washing in multiple stages.
전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래의 탈취장치를 포함하는 종래의 탈취장치들은 상향류식 세정탑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업체별 근소한 차이점만 가지고 있을 뿐 기본 원리는 대동소이하다.Conventional deodorization apparatuses, including the conventional deodorization apparatus as seen in Patent Document 1, as described above, are mainly upstream cleaning towers and have only minor differences by company, and the basic principle is largely differen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상향류식 세정탑 구조가 적용된 탈취장치는 순환세정액 공급 시 미세노즐을 사용하고 있는 관계로 노즐 막힘 현상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탈취성능이 저하됨과 동시에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deodorizing device to which the upflow type washing tower structure is applied has a nozzle clogging phenomenon due to the use of a micro-nozzle when supplying a circulating cleaning solution, thereby deteriorating the deodorizing performance and at the same tim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
또한, 충진층의 오염으로 자주 청소를 해줘야 하는 점 역시 종래의 상향류식 세정탑 구조가 적용된 탈취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다.In addition, the point of frequent cleaning due to contamination of the filling layer is also a problem of the deodorizing device to which the conventional upstream washing tower structure is applied.
즉, 종래의 상향류식 세정탑 구조가 적용된 탈취장치는 오염공기에 대한 탈취를 위한 방식으로서, 상향류 방식을 적용함과 동시에 순환수는 하향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형태는 타워형으로 시설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That is, the conventional deodorizing device to which the upstream washing tower structure is applied is a method for deodorizing contaminated air, and the upstream method is applied, while the circulating water adopts a downward method, and the tower type is excessively expensive. There was a problem.
다시 말하면, 종래의 상향류식 세정탑 구조가 적용된 탈취장치는 순환 세정액의 공급을 위해 미세노즐로 제공되는 세정액 분사노즐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고, 충진층의 오염 발생으로 인해 충진층의 청소 및 교체가 빈번하게 요구되어 세정액 분사노즐의 막힘과 충진층의 오염으로 인해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미세기포 배출방지를 위한 데미스터의 청소 및 교체 등이 요구되는 등의 문제로 인해 탈취장치의 유지관리가 어렵고 유지관리를 위한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deodorizing device to which the upflow type washing tower structure is applied causes clogging of the cleaning liquid spray nozzle provided as a fine nozzle for supply of the circulating cleaning liquid, and cleaning and replacement of the filling layer due to contamination of the filling layer occurs. Deodorizing device due to problems such as clogging of the spray nozzle of cleaning liquid and contamination of the filling layer, which frequently requires, deteriorating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and also requiring cleaning and replacement of the demister to prevent discharge of micro bubbles There was a problem that maintenance was difficult and cost for maintenance was excessive.
또한, 충진층의 오염으로 인해 충진층에 박테리아 혹은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2차 오염유발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due to contamination of the filling lay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secondary contamination that bacteria or viruses multiply in the filling layer.
더욱이, 종래의 상향류식 세정탑 구조가 적용된 탈취장치는 오염된 공기와 세정액이 상하방향으로 반대의 흐름에서 충돌하는 방식으로, 오염된 공기와 세정액에 대한 접촉효율이 저하되며, 이에 따라 오염된 공기에 대한 탈취 및 정화효율이 현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Moreover, the deodorization apparatus to which the conventional upflow type washing tower structure is applied is such that the contaminated air and the cleaning liquid collide in the opposite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tact efficiency between the contaminated air and the cleaning liquid decreases, thereby contaminating the contaminated ai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efficiency for the drop significantly.
그러므로 오염된 공기와 세정액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흘러 접촉하도록 하면서 접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염된 공기의 탈취 및 정화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탈취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tact efficiency while allowing the contaminated air and the cleaning liquid to flow in the same direction, and through thi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deodorization device that maximizes the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contaminated air is required. to b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하향관로유닛, 제2하향관로유닛, 제1세정수조, 제2세정수조, 제1세정액투입수단 및 제2세정액투입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제1하향관로유닛과 제2하향관로유닛을 통해 오염된 공기와 세정액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흘러 접촉하도록 하면서 접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염된 공기의 탈취 및 정화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by applying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the first washing tank, the second washing tank, the first washing liquid injection means and the second washing liquid injection means. Through the downward pipeline unit and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the contact efficiency can be improved while flowing in contact with the contaminated air and the cleaning liquid in the same direction, thereby allowing the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polluted air to be maximize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제1하향관로유닛, 제2하향관로유닛, 제1세정수조, 제2세정수조, 제1세정액투입수단 및 제2세정액투입수단이 적용되되, 제1하향관로유닛의 제1하향다단관로와 제2하향관로유닛의 제2하향다단관로에 대하여 각 최상부에 배치된 관로 선단 및 중앙과 하부에 배치된 관로 내부에 증속스크루 및 난류형성스크루가 구비됨으로써 관로 내부로 이송되는 오염공기와 세정액의 이송시 이송속도가 증대되도록 하면서 난류를 형성하여 이송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오염공기와 세정액에 대한 접촉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the first washing tank, the second washing tank, the first washing liquid injection means and the second washing liquid injection means are applied, and the first downward pipeline With respect to the first downward multi-stage pipe line of the unit and the second downward multi-stage pipe line of the second downstream pipe line unit, the inside of the pipe line is provided with an increasing speed screw and a turbulence forming screw inside the top and bottom pipe lines disposed at the top and bottom of each pipe. The transfer speed of the polluted air and the cleaning liquid to be transferred can be increased while forming a turbulent flow so that the contact efficiency of the polluted air and the cleaning liquid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제1하향관로유닛, 제2하향관로유닛, 제1세정수조, 제2세정수조, 제1세정액투입수단 및 제2세정액투입수단이 적용되되, 제1하향관로유닛과 제2하향관로유닛의 각 연장연결관을 관통토록 연결설치되어 오존을 투입시키는 오존투입호스를 더 포함함으로써 오염공기에 내포된 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은 고분자 독성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the first washing tank, the second washing tank, the first washing liquid injection means and the second washing liquid injection means are applied, and the first downward flow. Each extension connector of the pipeline unit and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is install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it, and further includes an ozone injection hose to inject ozone, so that it can function to remove polymer toxic substances such as formaldehyde contained in contaminated air. In the ship.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는 복합악취를 내포하는 오염공기를 유입시켜 하향 관로 타입으로 안내하면서 탈취처리하여 탈취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는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에 있어서, 오염공기를 일 방향으로 송풍 안내하되, 공기가 유입되어 안내되도록 일 측에 유입안내관로가 연결되는 송풍팬; 일 측 상부가 상기 유입안내관로와 연결되고, 상부로부터 하향 다단의 굴절 타입으로 벤딩된 후 벤딩된 단부로부터 직교하여 상하로 연통연장되는 관로를 형성하며, 송풍팬을 통해 유입안내되는 오염공기를 다단으로 하향 이송시키는 제1하향관로유닛; 상기 제1하향관로유닛의 하부 타 측이 연통연결되고, 상부에 제1하향관로유닛의 다단의 굴절된 부분 일 측을 지지하는 관로설치대 하단이 고정되며, 제1하향관로유닛 상부 일 측으로 공급되어 이송되는 오염공기에 접촉되도록 한 후 제1하향관로유닛 내부를 경유하여 제1하향관로유닛 하부 타 측을 거쳐 하향 낙하하는 제1세정액이 내부에 수용되는 제1세정수조; 상기 제1세정수조 일 측으로부터 상기 제1하향관로유닛 상부 일 측에 걸쳐 설치되며, 상기 제1세정수조 내의 제1세정액을 펌핑하여 제1하향관로유닛 상부 일 측에 대한 내측으로 투입시켜 제1세정액이 오염공기와 접촉되도록 하는 제1세정액투입수단; 상기 제1하향관로유닛을 거친 후 탈취 정화되어 상향 배출안내되는 공기에 대하여 2차적으로 탈취 정화처리하도록, 일 측 상부가 연결관을 통해 상기 제1하향관로유닛의 타 측 상부와 연결되고, 상부로부터 하향 다단의 굴절 타입으로 벤딩된 후 벤딩된 단부로부터 직교하여 상하로 연통연장되는 관로를 형성하며, 제1하향관로유닛을 거쳐 유입안내되는 공기를 다단으로 하향 이송시키는 제2하향관로유닛; 상기 제2하향관로유닛의 하부 타 측이 연통연결되고, 상부에 제2하향관로유닛의 다단의 굴절된 부분 일 측을 지지하는 관로설치대 하단이 고정되며, 제2하향관로유닛 상부 일 측으로 유입되어 이송되는 공기에 접촉되도록 한 후 제2하향관로유닛 내부를 경유하여 제2하향관로유닛 하부 타 측을 거쳐 하향 낙하하는 제2세정액이 내부에 수용되는 제2세정수조; 및 상기 제2세정수조 일 측으로부터 상기 제2하향관로유닛 상부 일 측에 걸쳐 설치되며, 상기 제2세정수조 내의 제2세정액을 펌핑하여 제2하향관로유닛 상부 일 측에 대한 내측으로 투입시켜 제2세정액이 제1하향관로유닛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접촉되도록 하는 제2세정액투입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That is, the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polluted air containing a complex malodor and guides it to the down-pipe type while deodorizing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hrough the deodorization to the atmosphere. In the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apparatus, a fan for guiding the polluted air in one direction, but the inlet guide pipe is connected to one side so that air is introduced and guided; The upper side of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inflow guide pipe, and is bent in a multi-stage refraction type downward from the top, forms a pipe extending perpendicularly and vertically from the bent end, and multi-stag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blower fan. A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for downward transportation to the; The lower other side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pipeline installation st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multi-stage bent portion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is fixed to the upper side, and is suppli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A first washing water tank in which the first cleaning liquid that falls downward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after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minated air to be transferred is accommodated therein; It is installed from one side of the first washing tank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and pumping the first cleaning liquid in the first washing tank to inward the upper one side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to enter the first side. A first cleaning liquid introduction means for bringing the cleaning liquid into contact with contaminated air;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the upper side of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through a connecting pipe so as to secondarily deodorize and purify the air that is guided to discharge upward through deodorization purification. A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that is bent in a multi-stage refractive type downward from and forms a pipeline extending orthogonally from the bent end, and downwardly conveys air guided through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to the multiple stage; The lower other side of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pipeline installation support supporting the multi-stage curved part of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is fixed to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one side. A second washing water tank in which a second cleaning liquid that falls downward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through the inside of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after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ir to be transferred is accommodated therein; And it is installed from one side of the second washing water tank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downward pipe line unit, and pumping the second cleaning liquid in the second washing tank to input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downward pipe line unit.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second cleaning liquid inlet means for allowing the cleaning liqui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air introduced from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여기서, 상기 제1하향관로유닛은 일 측이 유입안내관로와 연결되고, 타 측을 향하여 협소하게 테이퍼 진 관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세정액투입수단의 제1세정수조와 대향되는 단부가 관통연결되는 제1협소연결관과, 일 측이 제1협소연결관의 타 측에 일정길이 연장되게 연결되는 제1연장연결관과, 일 측이 제1연장연결관의 타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을 향하여 확장되게 테이퍼 진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확장연결관과, 상부 일 측이 제1확장연결관 타 측에 연결되고, 상부로부터 하향 3단의 굴절 타입으로 벤딩되는 제1하향다단관로 및 수직의 관 타입으로 제공되어 하단이 제1세정수조와 연통연결되고, 하부 일 측에 제1하향다단관로의 하측 단부가 연통연결되며, 개방된 상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탈취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1배출관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downward pipe unit is connected to the inlet guide pipe on one side, is provided in a narrowly tapered pipe shape toward the other side, the end opposite to the first cleaning water tank of the first cleaning liquid injection means penetrates A first narrow connector connected to one side, a first extension connector connected one side to be extend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narrow connector, and one sid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xtended connector, A first expansion connecting pipe provided in a tapered tube shape extending toward the side, and a first downward multi-stage pipe having one upper sid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xpansion connecting pipe and bending in a three-stage refraction type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Provided in a furnace and vertical tube type, the lower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washing water tank,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downward multi-stage condu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side, and selectively deodorized and purifi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 upper end. Including the first discharge pipeline It is preferable.
이때, 상기 제1연장연결관은 일 측에 오존투입호스가 연결되어 내부로 오존이 투입되는 한편, 상기 제1하향다단관로는 상부 일 측의 내부에 타 측을 향하여 일정길이에 걸쳐 나선형 이송공간이 협소해지도록 내향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증속스크루가 형성되며, 3단의 굴절타입에서 중앙과 최하단에 배치된 관로 내부에 동일한 길이로 내향 일정하게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난류형성스크루가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At this time, the first extension connecting pipe is connected with an ozone input hose on one side, and ozone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while the first downward multi-stage pipe is a spiral transfer space over a certain length toward the other side inside the upper one side. It is preferable to form a turbulence-forming screw by protruding inwardly and helically with the same length inwardly in the pipeline arranged at the center and the bottom in the three-stage refraction type to protrude spirally inward to make this narrow.
더욱이, 상기 제1배출관로는 개방된 상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탈취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거리 떨어진 내부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기밸브가 내설되는 한편, 배기밸브의 상측 외면으로부터 오염도측정을 위한 오염도측정구가 돌출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the first discharge pipe is provided with an exhaust valve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inside a certain distance downward from the top so as to selectively discharge deodorized and purified air through the open top, whil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from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exhaust valv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mination measuring instrument for measurement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또한, 상기 제1세정액투입수단은 일 측이 상기 제1세정수조와 연결되며, 제1세정수조로부터 제1세정액을 펌핑하는 제1세정액공급펌프와, 일 측이 상기 제1세정액공급펌프와 연결되며, 제1세정액공급펌프에 의해 펌핑된 제1세정액을 일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세정액안내호스와, 일 측이 상기 제1세정액안내호스와 연결되며, 타 측 단부가 제1하향관로유닛의 상부 일 측에 관통 연결되어 제1하향관로유닛 내부로 제1세정액을 분사시키는 제1세정액분사관 및 제1세정액분사관의 제1세정액안내호스와 연결되는 부분에 제1세정액의 분사를 위한 이송량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제1분사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first washing liquid injection means is connected to the first washing tank, and a first washing liquid supply pump for pumping the first washing liquid from the first washing tank and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washing liquid supply pump. And a first cleaning liquid guide hose for guiding the first cleaning liquid pumped by the first cleaning liquid supply pump in one direction, and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cleaning liquid guide hos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Transfer amount for spraying the first cleaning solution to the part connected to the first cleaning fluid guide hose of the first cleaning fluid spray tube and the first cleaning fluid spray tube which is connected through the upper side and sprays the first cleaning fluid into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rst injection amount control valve installed to adjust the.
이때, 상기 제1세정액분사관은 제1하향관로유닛 내부로 제1세정액의 분사시 미세기포화를 통해 분사되면서 오염공기와 접촉율이 증대되도록, 제1하향관로유닛의 상부 일 측에 관통 연결되는 단부에 이젝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rst cleaning fluid injection pipe is connected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so that the contact rate of the contaminated air is increased while spraying through the micro bubbles when the first cleaning fluid is injected into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It is preferred that an ejector is installed at the end.
그리고 상기 제2하향관로유닛은 일 측이 제1하향관로유닛의 타 측 상부와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고, 타 측을 향하여 협소하게 테이퍼 진 관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세정액투입수단의 제2세정수조와 대향되는 단부가 관통연결되는 제2협소연결관과, 일 측이 제2협소연결관의 타 측에 일정길이 연장되게 연결되는 제2연장연결관과, 일 측이 제2연장연결관의 타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을 향하여 확장되게 테이퍼 진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확장연결관과, 상부 일 측이 제2확장연결관 타 측에 연결되고, 상부로부터 하향 3단의 굴절 타입으로 벤딩되는 제2하향다단관로 및 수직의 관 타입으로 제공되어 하단이 제2세정수조와 연통연결되고, 하부 일 측에 제2하향다단관로의 하측 단부가 연통연결되며, 개방된 상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탈취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2배출관로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And the second downstream pipe unit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ownward pipe unit through a connecting pipe, and is provided in a narrowly tapered pipe shape toward the other side, the second cleaning liquid injection means 2 The second narrow connection pipe through which the end opposite to the washing tank is connected through, and the second extension connecto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narrow connection pipe for a certain length, and the second extension connection on one side A second extension connector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ube and provided in a tapered tube shape to be extended toward the other side, and one side of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xtension connector and bends three steps downward from the top It is provided as a second downward multi-stage pipe that is bent into a type and a vertical pipe type so that the lower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washing tank,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downward multi-stage pip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side, and the open upper end is provided. Through selectively deodorized purified air It is preferred that the delivery includes a second discharge pipe.
이때, 상기 제2연장연결관은 일 측에 오존투입호스가 연결되어 내부로 오존이 투입되는 한편,상기 제2하향다단관로는 상부 일 측의 내부에 타 측을 향하여 일정길이에 걸쳐 나선형 이송공간이 협소해지도록 내향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증속스크루가 형성되며, 3단의 굴절타입에서 중앙과 최하단에 배치된 관로 내부에 동일한 길이로 내향 일정하게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난류형성스크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cond extension connecting pipe has an ozone input hose connected to one side and ozone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while the second downward multi-stage pipe is helical conveying space over a certain length toward the other side inside the upper one side. It is preferable to form a turbulence-forming screw by protruding inwardly and helically with the same length in the inside of the pipe disposed at the center and the bottom in a three-stage refraction type, so as to narrow this narrowly and protrude inwardly.
또한, 상기 제2세정액투입수단은 일 측이 상기 제2세정수조와 연결되며, 제2세정수조로부터 제2세정액을 펌핑하는 제2세정액공급펌프와, 일 측이 상기 제2세정액공급펌프와 연결되며, 제2세정액공급펌프에 의해 펌핑된 제2세정액을 일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세정액안내호스와, 일 측이 상기 제2세정액안내호스와 연결되며, 타 측 단부가 제2하향관로유닛의 상부 일 측에 관통 연결되어 제2하향관로유닛 내부로 제2세정액을 분사시키는 제2세정액분사관 및 제2세정액분사관의 제2세정액안내호스와 연결되는 부분에 제2세정액의 분사를 위한 이송량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제2분사량조절밸브을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second washing liquid injection means is connected to the second washing tank, and a second washing liquid supply pump for pumping the second washing liquid from the second washing tank, and one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washing liquid supply pump. And, a second cleaning liquid guide hose for guiding the second cleaning liquid pumped by the second cleaning liquid supply pump in one direction,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cleaning liquid guide hos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Transfer amount for spraying the second cleaning liquid to the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cleaning liquid guide hose of the second cleaning liquid spray pipe and the second cleaning liquid spray pipe which is connected through the upper side and sprays the second cleaning liquid into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injection amount control valve installed to control the.
더욱이, 상기 제2세정액분사관은 제2하향관로유닛 내부로 제2세정액의 분사시 미세기포화를 통해 분사되면서 오염공기와 접촉율이 증대되도록, 제2하향관로유닛의 상부 일 측에 관통 연결되는 단부에 이젝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the second cleaning liquid injection pipe is connected through the upper one side of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rate with the contaminated air while spraying through the micro bubbles when spraying the second cleaning liquid into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It is preferred that an ejector is installed at the end.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첫째, 제1하향관로유닛, 제2하향관로유닛, 제1세정수조, 제2세정수조, 제1세정액투입수단 및 제2세정액투입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제1하향관로유닛과 제2하향관로유닛을 통해 오염된 공기와 세정액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흘러 접촉하도록 하면서 접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염된 공기의 탈취 및 정화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First,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and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are applied by applying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the first washing tank, the second washing tank, the first washing fluid injection means, and the second washing fluid injection means. Through this, the contact efficiency can be improved while flowing and contacting the contaminated air and the cleaning liquid in the same direction, thereby maximizing the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contaminated air.
둘째, 제1하향관로유닛, 제2하향관로유닛, 제1세정수조, 제2세정수조, 제1세정액투입수단 및 제2세정액투입수단이 적용되되, 제1하향관로유닛의 제1하향다단관로와 제2하향관로유닛의 제2하향다단관로에 대하여 각 최상부에 배치된 관로 선단 및 중앙과 하부에 배치된 관로 내부에 증속스크루 및 난류형성스크루가 구비됨으로써 관로 내부로 이송되는 오염공기와 세정액의 이송시 이송속도가 증대되도록 하면서 난류를 형성하여 이송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오염공기와 세정액에 대한 접촉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the first washing tank, the second washing tank, the first washing fluid injection means and the second washing fluid injection means are applied, but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is appli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downward multi-stage pipeline of the and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an increasing speed screw and a turbulence forming screw are provided inside the pipe ends disposed at the top and the pipelines disposed at the center and the lower part of the contaminated air and cleaning liquid transferred into the pipeline. It is possible to form a turbulent flow while transferring while increasing the transfer speed during transfer,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contact efficiency of contaminated air and cleaning liquid.
셋째, 제1하향관로유닛, 제2하향관로유닛, 제1세정수조, 제2세정수조, 제1세정액투입수단 및 제2세정액투입수단이 적용되되, 제1하향관로유닛과 제2하향관로유닛의 각 연장연결관을 관통토록 연결설치되어 오존을 투입시키는 오존투입호스를 더 포함함으로써 오염공기에 내포된 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은 고분자 독성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Third,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the first washing tank, the second washing tank, the first washing fluid injection means and the second washing fluid injection means are applied, but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and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It is possible to exert the function of removing polymer toxic substances such as formaldehyde contained in contaminated air by further including an ozone input hose that is connected to and installed through each of the extension connecting pipes to input oz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를 나타낸 전방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를 나타낸 후방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제1하향관로유닛과 제2하향관로유닛의 관로 부분에 대하여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전개상태 예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state example showing the developed s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downstream pipeline unit and the second downstream pipeline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를 나타낸 전방 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를 나타낸 후방 사시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제1하향관로유닛과 제2하향관로유닛의 관로 부분에 대하여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전개상태 예시도이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eployed state with respect to a pipeline portion of a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and a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도 1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1000)는 복합악취를 내포하는 오염공기를 유입시켜 하향 관로 타입으로 안내하면서 탈취처리하여 탈취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이때 복합악취를 내포하는 오염공기라 함은 예컨대 하수처리장이나 분뇨처리장, 음식물 처리시설, 축산시설에서의 각종 유기 또는 무기 가스로 인해 발생하는 복합악취로서의 오염공기를 의미한다.1 to 3, the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1000)는 복합악취를 내포하는 오염공기를 유입시켜 하향 관로 타입으로 안내하면서 탈취처리하여 탈취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크게 송풍팬(10), 제1하향관로유닛(100), 제1세정수조(200), 제1세정액투입수단(300), 제2하향관로유닛(400), 제2세정수조(500) 및 제2세정액투입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팬(10)은 오염공기를 일 방향으로 송풍 안내하되, 공기가 유입되어 안내되도록 일 측에 유입안내관로(10a)가 연결되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blowing
이때, 상기와 같은 유입안내관로(10a) 상에는 유입된 오염공기의 농도를 선택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유입가스농도측정구(11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gas
한편, 상기 제1하향관로유닛(100)은 일 측 상부가 상기 유입안내관로(10a)와 연결되고, 상부로부터 하향 다단의 굴절 타입으로 벤딩된 후 벤딩된 단부로부터 직교하여 상하로 연통연장되는 관로를 형성하며, 송풍팬(10)을 통해 유입안내되는 오염공기를 다단으로 하향 이송시키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또한, 상기 제1세정수조(200)는 상기 제1하향관로유닛(100)의 하부 타 측이 연통연결되고, 상부에 제1하향관로유닛(100)의 다단의 굴절된 부분 일 측을 지지하는 관로설치대(20a) 하단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first
이러한 제1세정수조(200)는 제1하향관로유닛(100) 상부 일 측으로 공급되어 이송되는 오염공기에 접촉되도록 한 후 제1하향관로유닛(100) 내부를 경유하여 제1하향관로유닛(100) 하부 타 측을 거쳐 하향 낙하하는 제1세정액이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다.The first
이때, 상기 제1세정액은 오염공기 내에 내포된 알칼리성분을 중화시키기 위한 산성세정액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rst cleaning solution is preferably provided as an acidic cleaning solution for neutralizing the alkali component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그리고 상기 제1세정액투입수단(300)은 상기 제1세정수조(200) 일 측으로부터 상기 제1하향관로유닛(100) 상부 일 측에 걸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first washing liquid injection means 300 is installed from one side of the first
상기와 같은 제1세정액투입수단(300)은 상기 제1세정수조(200) 내의 제1세정액을 펌핑하여 제1하향관로유닛(100) 상부 일 측에 대한 내측으로 투입시켜 제1세정액이 오염공기와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first cleaning liquid injecting means 300 pumps the first cleaning liquid in the first
또한, 상기 제2하향관로유닛(400)은 상기 제1하향관로유닛(100)을 거친 후 탈취 정화되어 상향 배출안내되는 공기에 대하여 2차적으로 탈취 정화처리하도록, 일 측 상부가 연결관(400a)을 통해 상기 제1하향관로유닛(100)의 타 측 상부와 연결된다.In addition, after the second
아울러, 상기와 같은 제2하향관로유닛(400)은 상부로부터 하향 다단의 굴절 타입으로 벤딩된 후 벤딩된 단부로부터 직교하여 상하로 연통연장되는 관로를 형성하며, 제1하향관로유닛(100)을 거쳐 유입안내되는 공기를 다단으로 하향 이송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한편, 상기 제2세정수조(500)는 상기 제2하향관로유닛(400)의 하부 타 측이 연통연결되고, 상부에 제2하향관로유닛(400)의 다단의 굴절된 부분 일 측을 지지하는 관로설치대(40a) 하단이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이러한 제2세정수조(500)는 제2하향관로유닛(400) 상부 일 측으로 유입되어 이송되는 공기에 접촉되도록 한 후 제2하향관로유닛(400) 내부를 경유하여 제2하향관로유닛(400) 하부 타 측을 거쳐 하향 낙하하는 제2세정액이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다.The second
이때, 상기 제2세정액은 오염공기 내에 내포된 산성성분을 중화시키기 위한 알칼리세정액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cond cleaning solution is preferably provided as an alkali cleaning solution for neutralizing the acidic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또한, 상기 제2세정액투입수단(600)은 상기 제2세정수조(500) 일 측으로부터 상기 제2하향관로유닛(400) 상부 일 측에 걸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leaning liquid injection means 600 is installed from one side of the second
이러한 제2세정액투입수단(600)은 상기 제2세정수조(500) 내의 제2세정액을 펌핑하여 제2하향관로유닛(400) 상부 일 측에 대한 내측으로 투입시켜 제2세정액이 제1하향관로유닛(10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second cleaning liquid injecting means 600 pumps the second cleaning liquid in the second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1000)에서, 특히 제1하향관로유닛(100)은 제1협소연결관(110)과, 제1연장연결관(120)과, 제1확장연결관(130)과, 제1하향다단관로(140) 및 제1배출관로(150)를 포함한다.In the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상세히, 상기 제1협소연결관(110)은 일 측이 유입안내관로(10a)와 연결되고, 타 측을 향하여 협소하게 테이퍼 진 관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세정액투입수단(300)의 제1세정수조(200)와 대향되는 단부가 관통연결되는 것이다.In detail, the first
그리고 상기 제1연장연결관(120)은 일 측이 제1협소연결관(110)의 타 측에 일정길이 연장되게 연결되는 것이다.And the
또한, 상기 제1확장연결관(130)은 일 측이 제1연장연결관(120)의 타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을 향하여 확장되게 테이퍼 진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제1하향다단관로(140)는 상부 일 측이 제1확장연결관(130) 타 측에 연결되고, 상부로부터 하향 3단의 굴절 타입으로 벤딩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downward
즉, 상기 제1하향다단관로(140)는 수평 타입 관과 C자형 관이 다수 개로 플랜지 이음을 통해 연결되면서 상부로부터 하향 3단의 굴절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downward
아울러, 상기와 같은 제1하향다단관로(140)는 3단의 굴절 타입 중 최하단에 배치된 수평 형상의 관로 일 측에 외부로부터 내부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투시창(145)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downward
또한, 상기 제1배출관로(150)는 수직의 관 타입으로 제공되어 하단이 제1세정수조(200)와 연통연결되고, 하부 일 측에 제1하향다단관로(140)의 하측 단부가 연통연결되며, 개방된 상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탈취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제1배출관로(1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수직 타입 관이 플랜지 이음을 통해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물론 단일의 수직 타입 관으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하향관로유닛(100)에서의 상기 제1연장연결관(120)은 일 측에 오존투입호스(121)가 연결되어 내부로 오존이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더욱이, 상기 제1하향다단관로(140)는 상부 일 측의 내부에 타 측을 향하여 일정길이에 걸쳐 나선형 이송공간이 협소해지도록 내향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증속스크루(141)가 형성되며, 3단의 굴절타입에서 중앙과 최하단에 배치된 관로 내부에 동일한 길이로 내향 일정하게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난류형성스크루(14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Moreover, the first downward
아울러, 상기 제1배출관로(150)는 개방된 상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탈취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거리 떨어진 내부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기밸브(151)가 내설되는 한편, 배기밸브(151)의 상측 외면으로부터 오염도측정을 위한 오염도측정구(153)가 돌출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1000)에서의, 상기 제1세정액투입수단(300)은 크게 분류하면, 제1세정액공급펌프(310)와, 제1세정액안내호스(320)와, 제1세정액분사관(330) 및 제1분사량조절밸브(340)를 포함한다.In the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이때, 상기 제1세정액공급펌프(310)는 일 측이 상기 제1세정수조(200)와 연결되며, 제1세정수조(200)로부터 제1세정액을 펌핑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rst cleaning
또한, 상기 제1세정액안내호스(320)는 일 측이 상기 제1세정액공급펌프(310)와 연결되며, 제1세정액공급펌프(310)에 의해 펌핑된 제1세정액을 일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first cleaning
그리고 상기 제1세정액분사관(330)은 일 측이 상기 제1세정액안내호스(320)와 연결되며, 타 측 단부가 제1하향관로유닛(100)의 상부 일 측에 관통 연결되어 제1하향관로유닛(100) 내부로 제1세정액을 분사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first cleaning
상기와 같은 제1세정액분사관(330)은 특히, 제1하향관로유닛(100) 내부로 제1세정액의 분사시 미세기포화를 통해 분사되면서 오염공기와 접촉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The first cleaning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세정액분사관(330)은 제1하향관로유닛(100)의 상부 일 측에 관통 연결되는 단부에 이젝터(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o this e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irst cleaning
더욱이, 상기 제1세정액분사관(330)은 제1하향관로유닛(100)의 상부 일 측에 관통 연결되는 단부에 대하여 2개로 분기되어 제1하향관로유닛(100)의 상부 일 측에 대한 양측으로부터 관통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Moreover, the first cleaning
또한, 상기 제1분사량조절밸브(340)는 제1세정액분사관(330)의 제1세정액안내호스(320)와 연결되는 부분에 제1세정액의 분사를 위한 이송량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injection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세정액투입수단(300)은 제1세정액의 분사가 제1하향관로유닛(100)의 상부, 중앙, 하부의 3단에 걸쳐 분산 투입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cleaning liquid injection means 3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sprayed with the first cleaning liquid distributed over three stages of the top, center, and bottom of the first
이러한 경우에 제1세정액투입수단(300)은 제1세정액분사관(330)의 구성에 대하여, 3갈래로 분기되어 각 단부가 각 한 쌍으로 제1하향관로유닛(100)의 상부, 중앙, 하부의 어느 양측으로부터 관통연결되는 구성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irst cleaning liquid injection means 300 is branched into three branches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leaning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1000)에서의, 상기 제2하향관로유닛(400)은 크게 분류하면, 제2협소연결관(410)과, 제2연장연결관(420)과, 제2확장연결관(430)과, 제2하향다단관로(440) 및 제2배출관로(45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상세히, 상기 제2협소연결관(410)은 일 측이 제1하향관로유닛(100)의 타 측 상부와 연결관(400a)을 통해 연결되고, 타 측을 향하여 협소하게 테이퍼 진 관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세정액투입수단(600)의 제2세정수조(500)와 대향되는 단부가 관통연결되는 것이다.In detail, the second
그리고 상기 제2연장연결관(420)은 일 측이 제2협소연결관(410)의 타 측에 일정길이 연장되게 연결되는 것이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또한, 상기 제2확장연결관(430)은 일 측이 제2연장연결관(420)의 타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을 향하여 확장되게 테이퍼 진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제2하향다단관로(440)는 상부 일 측이 제2확장연결관(430) 타 측에 연결되고, 상부로부터 하향 3단의 굴절 타입으로 벤딩되는 것이다.And the second downward
즉, 상기 제2하향다단관로(440)는 수평 타입 관과 C자형 관이 다수 개로 플랜지 이음을 통해 연결되면서 상부로부터 하향 3단의 굴절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second downward
아울러, 상기와 같은 제2하향다단관로(440)는 3단의 굴절 타입 중 최하단에 배치된 수평 형상의 관로 일 측에 외부로부터 내부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투시창(445)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downward
또한, 상기 제2배출관로(450)는 수직의 관 타입으로 제공되어 하단이 제2세정수조(500)와 연통연결되고, 하부 일 측에 제2하향다단관로(440)의 하측 단부가 연통연결되며, 개방된 상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탈취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제2배출관로(450)는 제1배출관로(15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수직 타입 관이 플랜지 이음을 통해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물론 단일의 수직 타입 관으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Like th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하향관로유닛(400)에서, 특히 상기 제2연장연결관(420)은 일 측에 오존투입호스(421)가 연결되어 내부로 오존이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cond
또한, 상기 제2하향다단관로(440)는 상부 일 측의 내부에 타 측을 향하여 일정길이에 걸쳐 나선형 이송공간이 협소해지도록 내향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증속스크루(441)가 형성되며, 3단의 굴절타입에서 중앙과 최하단에 배치된 관로 내부에 동일한 길이로 내향 일정하게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난류형성스크루(443)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downwar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1000)에서의, 상기 제2세정액투입수단(600)은 크게 분류하면, 제2세정액공급펌프(610)와, 제2세정액안내호스(620)와, 제2세정액분사관(630) 및 제2분사량조절밸브(650)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구체적으로, 상기 제2세정액공급펌프(610)는 일 측이 상기 제2세정수조(500)와 연결되며, 제2세정수조(500)로부터 제2세정액을 펌핑하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second washing
또한, 상기 제2세정액안내호스(620)는 일 측이 상기 제2세정액공급펌프(610)와 연결되며, 제2세정액공급펌프(610)에 의해 펌핑된 제2세정액을 일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second cleaning
그리고 상기 제2세정액분사관(630)은 일 측이 상기 제2세정액안내호스(620)와 연결되며, 타 측 단부가 제2하향관로유닛(400)의 상부 일 측에 관통 연결되어 제2하향관로유닛(400) 내부로 제2세정액을 분사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second cleaning
상기와 같은 제2세정액분사관(630)은 특히, 제2하향관로유닛(400) 내부로 제2세정액의 분사시 미세기포화를 통해 분사되면서 오염공기와 접촉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The second cleaning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세정액분사관(630)은제2하향관로유닛(400)의 상부 일 측에 관통 연결되는 단부에 이젝터(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leaning
더욱이, 상기 제2세정액분사관(630)은 제2하향관로유닛(400)의 상부 일 측에 관통 연결되는 단부에 대하여 2개로 분기되어 제1하향관로유닛(400)의 상부 일 측에 대한 양측으로부터 관통연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Moreover, the second cleaning
또한, 상기 제2분사량조절밸브(650)는 제2세정액분사관(630)의 제2세정액안내호스(620)와 연결되는 부분에 제2세정액의 분사를 위한 이송량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injection amount control valve 650 is installed to adjust the transfer amount for the injection of the second cleaning liquid to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leaning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세정액투입수단(600)은 제2세정액의 분사가 제2하향관로유닛(400)의 상부, 중앙, 하부의 3단에 걸쳐 분산 투입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leaning liquid injection means 600 mad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sprayed with the second cleaning liquid distributed over three stages of the upper, middle,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이러한 경우에 제2세정액투입수단(600)은 제2세정액분사관(630)의 구성에 대하여, 3갈래로 분기되어 각 단부가 각 한 쌍으로 제2하향관로유닛(400)의 상부, 중앙, 하부의 어느 양측으로부터 관통연결되는 구성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second cleaning liquid injection means 600 is branched into three branches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leaning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1000)는 송풍팬(10), 배기밸브(151), 제1세정액공급펌프(310), 제2세정액공급펌프(610) 등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박스(미부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10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최초 송풍팬(10)의 구동에 의해 탈취 정화의 대상인 오염공기가 유입안내관로(10a)를 거쳐 제1하향관로유닛(110)의 상부 일 측으로부터 유입된다.When describ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이때, 제1세정수조(200)의 제1세정액이 제1세정액투입수단(300)의 제1세정액공급펌프(310)에 대한 구동에 따라, 제1세정액분사관(330) 단부의 이젝터를 통해 미세기포 타입으로 분사되며, 이와 같이 분사되는 제1세정액은 제1하향관로유닛(110)의 제1협소연결관(110) 내부로 투입 분사된다.At this time, the first cleaning liquid of the
상기와 같이 제1세정액이 투입 분사되면서 제1하향관로유닛(110)의 상부 일 측에 대한 내부로부터 오염공기와 제1세정액이 접촉하면서 함께 제1하향관로유닛(110)의 제1하향다단관로(140)를 경유하면서 하향 굴절 타입으로 이송되며, 제1하향다단관로(140)가 연통연결되는 제1배출관로(150) 내부 하측에 이르면 제1세정액은 하향 낙하하여 제1세정수조(200)로 유입되고, 동시에 제1세정액과 접촉하여 탈취 정화처리가 된 공기는 제1배출관로(150)의 상측을 향해 이송된다.As described above, as the first cleaning liquid is injected and sprayed, the first downward multi-stage pipe of the first
상기와 같이, 제1배출관로(150)의 상측을 향해 이송되는 공기는 오염도측정구(153)를 통한 측정을 통해 2차적으로 제2세정액을 통해 탈취 정화처리가 요구될 경우에는 배기밸브(151)이 폐쇄되면서, 연결관(400a)을 거쳐 제2하향관로유닛(400)으로 유입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ir transport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이후, 제2하향관로유닛(400)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세정액투입수단(600)의 제2세정액공급펌프(610)에 대한 구동에 따라, 제2세정액분사관(630) 단부의 이젝터를 통해 미세기포 타입으로 분사되는 제2세정액과 접촉하면서 제2세정액과 함께 제2하향관로유닛(410)의 제2하향다단관로(140)를 경유하면서 하향 굴절 타입으로 이송된다.Subsequent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downward
그리고 나서, 제2하향다단관로(140)를 경유하면서 하향 굴절 타입으로 이송된 후의 제2세정액과 접촉된 공기 중, 제2세정액은 제2배출관로(450)의 내부 하측에 이르면 하향 낙하하여 제2세정수조(500)로 유입되고, 동시에 제2세정액과 접촉하여 탈취 정화처리가 된 공기는 제2배출관로(450)의 상측을 향해 이송 배출되는 것이다.Then, in the air contacted with the second cleaning liquid after being transferred to the downward refraction type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downward
즉,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오염공기가 하향 다단식으로 이송되면서 순차적으로 제1세정액 및 제2세정액과 접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오염공기에 내포된 산성과 알칼리성의 성분을 각각 순차적으로 중화시키면서 탈취 정화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contaminated air is transported in a multi-stage downward manner, it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leaning liquid and the second cleaning liquid sequentially, thereby neutralizing the acidic and alkalin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deodorized and purified air to the outsid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에 의하면, 제1하향관로유닛, 제2하향관로유닛, 제1세정수조, 제2세정수조, 제1세정액투입수단 및 제2세정액투입수단이 적용됨으로써 제1하향관로유닛과 제2하향관로유닛을 통해 오염된 공기와 세정액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흘러 접촉하도록 하면서 접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염된 공기의 탈취 및 정화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the first washing tank, the second washing tank, and the first washing liquid injection means And by applying the second cleaning liquid injecting means, the contact efficiency can be improved while flowing and contacting the contaminated air and the cleaning liquid through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and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in the same direction.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efficiency can be maximized.
또한, 제1하향관로유닛, 제2하향관로유닛, 제1세정수조, 제2세정수조, 제1세정액투입수단 및 제2세정액투입수단이 적용되되, 제1하향관로유닛의 제1하향다단관로와 제2하향관로유닛의 제2하향다단관로에 대하여 각 최상부에 배치된 관로 선단 및 중앙과 하부에 배치된 관로 내부에 증속스크루 및 난류형성스크루가 구비됨으로써 관로 내부로 이송되는 오염공기와 세정액의 이송시 이송속도가 증대되도록 하면서 난류를 형성하여 이송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오염공기와 세정액에 대한 접촉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the first washing tank, the second washing tank, the first washing fluid injection means and the second washing fluid injection means are applied, but the first downstream pipeline unit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is appli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downstream multi-stage pipeline of the and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there is provided an incremental screw and a turbulence forming screw inside the pipeline front end disposed at the top and the pipelines disposed at the center and the bottom of the contaminated air and cleaning solution transferred into the pipeline. It is possible to form turbulence and to be transported while increasing the transport speed during transport,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contact efficiency of contaminated air and cleaning liquid.
더욱이, 제1하향관로유닛, 제2하향관로유닛, 제1세정수조, 제2세정수조, 제1세정액투입수단 및 제2세정액투입수단이 적용되되, 제1하향관로유닛과 제2하향관로유닛의 각 연장연결관을 관통토록 연결설치되어 오존을 투입시키는 오존투입호스를 더 포함함으로써 오염공기에 내포된 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은 고분자 독성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Moreover,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the first washing tank, the second washing tank, the first washing fluid injection means and the second washing fluid injection means are applied, but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and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are applied. It is possible to exert a function of removing polymer toxic substances such as formaldehyde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air by further including an ozone input hose through which each extension connector of the pipe is connected and installed to input ozone.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person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such modifications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탈취장치
10: 송풍팬 10a: 유입안내관로
11a: 유입가스농도측정구 20a, 40a: 관로설치대
100: 제1하향관로유닛 110: 제1협소연결관
120: 제1연장연결관 121: 오존투입호스
130: 제1확장연결관 140: 제1하향다단관로
141: 증속스크루 143: 난류형성스크루
145: 투시창 150: 제1배출관로
151: 배기밸브 153: 오염도측정구
200: 제1세정수조 300: 제1세정액투입수단
310: 제1세정액공급펌프 320: 제1세정액안내호스
330: 제1세정액분사관 340: 제1분사량조절밸브
400a: 연결관 400: 제2하향관로유닛
410: 제2협소연결관 420: 제2연장연결관
421: 오존투입호스 430: 제2확장연결관
440: 제2하향다단관로 441: 증속스크루
443: 난류형성스크루 445: 투시창
450: 제2배출관로 451: 배기밸브
453: 오염도측정구 500: 제2세정수조
600: 제2세정액투입수단 610: 제2세정액공급펌프
620: 제2세정액안내호스 630: 제2세정액분사관
640: 제2분사량조절밸브1000: deodorizer
10: blowing
11a: inlet gas
100: first downstream pipe unit 110: first narrow connector
120: first extension connector 121: ozone injection hose
130: first extension connector 140: first downward multi-stage pipeline
141: Incremental screw 143: Turbulence forming screw
145: viewing window 150: first discharge channel
151: exhaust valve 153: pollution level measuring instrument
200: first washing tank 300: first washing liquid input means
310: first cleaning liquid supply pump 320: first cleaning liquid guide hose
330: first cleaning liquid injection pipe 340: first injection volume control valve
400a: connector 400: second downstream pipeline unit
410: 2nd narrow connector 420: 2nd extension connector
421: ozone input hose 430: second expansion connector
440: 2nd Downward Dadangwan-ro 441: Incremental Screw
443: turbulence forming screw 445: viewing window
450: second discharge pipe 451: exhaust valve
453: pollution level measuring instrument 500: second washing tank
600: second cleaning liquid injection means 610: second cleaning liquid supply pump
620: Second cleaning amount information hose 630: Second cleaning amount injection hall
640: second injection volume control valve
Claims (10)
오염공기를 일 방향으로 송풍 안내하되, 공기가 유입되어 안내되도록 일 측에 유입안내관로(10a)가 연결되는 송풍팬(10);
일 측 상부가 상기 유입안내관로(10a)와 연결되고, 상부로부터 하향 다단의 굴절 타입으로 벤딩된 후 벤딩된 단부로부터 직교하여 상하로 연통연장되는 관로를 형성하며, 송풍팬(10)을 통해 유입안내되는 오염공기를 다단으로 하향 이송시키는 제1하향관로유닛(100);
상기 제1하향관로유닛(100)의 하부 타 측이 연통연결되고, 상부에 제1하향관로유닛(100)의 다단의 굴절된 부분 일 측을 지지하는 관로설치대(20a) 하단이 고정되며, 제1하향관로유닛(100) 상부 일 측으로 공급되어 이송되는 오염공기에 접촉되도록 한 후 제1하향관로유닛(100) 내부를 경유하여 제1하향관로유닛(100) 하부 타 측을 거쳐 하향 낙하하는 제1세정액이 내부에 수용되는 제1세정수조(200);
상기 제1세정수조(200) 일 측으로부터 상기 제1하향관로유닛(100) 상부 일 측에 걸쳐 설치되며, 상기 제1세정수조(200) 내의 제1세정액을 펌핑하여 제1하향관로유닛(100) 상부 일 측에 대한 내측으로 투입시켜 제1세정액이 오염공기와 접촉되도록 하는 제1세정액투입수단(300);
상기 제1하향관로유닛(100)을 거친 후 탈취 정화되어 상향 배출안내되는 공기에 대하여 2차적으로 탈취 정화처리하도록, 일 측 상부가 연결관(400a)을 통해 상기 제1하향관로유닛(100)의 타 측 상부와 연결되고, 상부로부터 하향 다단의 굴절 타입으로 벤딩된 후 벤딩된 단부로부터 직교하여 상하로 연통연장되는 관로를 형성하며, 제1하향관로유닛(100)을 거쳐 유입안내되는 공기를 다단으로 하향 이송시키는 제2하향관로유닛(400);
상기 제2하향관로유닛(400)의 하부 타 측이 연통연결되고, 상부에 제2하향관로유닛(400)의 다단의 굴절된 부분 일 측을 지지하는 관로설치대(40a) 하단이 고정되며, 제2하향관로유닛(400) 상부 일 측으로 유입되어 이송되는 공기에 접촉되도록 한 후 제2하향관로유닛(400) 내부를 경유하여 제2하향관로유닛(400) 하부 타 측을 거쳐 하향 낙하하는 제2세정액이 내부에 수용되는 제2세정수조(500); 및
상기 제2세정수조(500) 일 측으로부터 상기 제2하향관로유닛(400) 상부 일 측에 걸쳐 설치되며, 상기 제2세정수조(500) 내의 제2세정액을 펌핑하여 제2하향관로유닛(400) 상부 일 측에 대한 내측으로 투입시켜 제2세정액이 제1하향관로유닛(10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접촉되도록 하는 제2세정액투입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
In the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apparatus 1000 for deodorizing and discharging purified air to the atmosphere by introducing contaminated air containing a complex odor and guiding it to the downward pipeline type,
A blowing fan 10 through which air is guided by blowing in one direction, and an inlet guide pipe 10a is connected to one side so that air is introduced and guided;
One side upp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nlet guide pipe (10a), bends in a multi-stage refraction type downward from the top and forms a pipe that extends vertically and communicates vertically from the bent end, and flows through the blowing fan (10) A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100) for downwardly transporting the guided polluted air to multiple stages;
The lower other side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100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pipeline installation table 20a supporting a multi-stage refracted portion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10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1 Downward conduit unit 100 is supplied to one side of the upper side so that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taminated air, and then falls downwar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first downstream conduit unit 100 through the other side A first washing tank 200 in which one washing amount is accommodated therein;
It is installed from one side of the first washing water tank 200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100, and pumps the first cleaning liquid in the first washing tank 200 to pump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100 ) The first cleaning liquid injection means 300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side so that the first cleaning liquid contacts the contaminated air;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100,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100 has an upper side through a connecting pipe 400a so as to secondarily deodorize and purify the air that is deodorized and purified and guided upwardly.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is bent in a multi-stage refraction type downward from the top and forms a pipe extending perpendicularly from the bent end to communicate vertically, and the air guided through the first downward pipe unit 100 is introduced. A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400 for downwardly transporting in multiple stages;
The other lower side of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400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pipeline installation table 40a supporting the multi-stage curved part of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40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2 The second downward pipe line unit 40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second downward pipe line unit 400 and falls downward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downward pipe line unit 400 after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ir that is transferred to the upper one side. A second washing water tank 500 in which the cleaning liquid is accommodated; And
It is installed from one side of the second washing water tank 500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400, and pumping the second cleaning liquid in the second washing tank 500 to pump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400 ) A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system comprising a second cleaning liquid introduction means 600 that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one side so that the second cleaning liquid comes into contact with air introduced from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100. Device.
상기 제1하향관로유닛(100)은 일 측이 유입안내관로(10a)와 연결되고, 타 측을 향하여 협소하게 테이퍼 진 관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세정액투입수단(300)의 제1세정수조(200)와 대향되는 단부가 관통연결되는 제1협소연결관(110)과,
일 측이 제1협소연결관(110)의 타 측에 일정길이 연장되게 연결되는 제1연장연결관(120)과,
일 측이 제1연장연결관(120)의 타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을 향하여 확장되게 테이퍼 진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확장연결관(130)과,
상부 일 측이 제1확장연결관(130) 타 측에 연결되고, 상부로부터 하향 3단의 굴절 타입으로 벤딩되는 제1하향다단관로(140) 및
수직의 관 타입으로 제공되어 하단이 제1세정수조(200)와 연통연결되고, 하부 일 측에 제1하향다단관로(140)의 하측 단부가 연통연결되며, 개방된 상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탈취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1배출관로(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ownward pipe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inlet guide pipe 10a on one side, is provided in a narrowly tapered pipe shape toward the other side, and the first cleaning of the first cleaning liquid injection means 300 A first narrow connection pipe 110 through which an end opposite to the water tank 200 is connected through,
A first extension connector 12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narrow connector 110 to be extended by a certain length;
A first extension connector 13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xtension connector 120, and provided in a tapered tube shape to be extended toward the other side;
A first downward multi-stage conduit 140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xtension connector 130 and is bent in a three-stage refraction type downward from the top, and
Provided as a vertical pipe type, the lower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washing water tank 200,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downward multi-stage conduit 14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side, and selectively deodorized through the open upper end. A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comprising a first discharge pipe (150) for discharging purified air.
상기 제1연장연결관(120)은 일 측에 오존투입호스(121)가 연결되어 내부로 오존이 투입되는 한편,
상기 제1하향다단관로(140)는 상부 일 측의 내부에 타 측을 향하여 일정길이에 걸쳐 나선형 이송공간이 협소해지도록 내향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증속스크루(141)가 형성되며, 3단의 굴절타입에서 중앙과 최하단에 배치된 관로 내부에 동일한 길이로 내향 일정하게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난류형성스크루(1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extension connecting pipe 120 is connected to the ozone input hose 121 on one side, and ozone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e first downward multi-stage pipe 140 protrudes in an inward spiral so that the spiral transport space is narrowed over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other side in the inside of the upper one side, and the increasing screw 141 is formed, and the third stage is refracted. A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turbulence-forming screw 143 is formed to protrude in a uniform spiral inward to the same length inside the pipeline disposed at the center and the bottom in the type.
상기 제1배출관로(150)는 개방된 상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탈취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거리 떨어진 내부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기밸브(151)가 내설되는 한편, 배기밸브(151)의 상측 외면으로부터 오염도측정을 위한 오염도측정구(153)가 돌출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
According to claim 2,
On the other hand, the first discharge pipe 150 is provided with an exhaust valve 151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inside a certain distance downward from the top so as to selectively discharge deodorized and purified air through the open top, while the exhaust valve ( 151) A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ollution measuring instrument 153 for measuring the pollution from the upper out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상기 제1세정액투입수단(300)은 일 측이 상기 제1세정수조(200)와 연결되며, 제1세정수조(200)로부터 제1세정액을 펌핑하는 제1세정액공급펌프(310)와,
일 측이 상기 제1세정액공급펌프(310)와 연결되며, 제1세정액공급펌프(310)에 의해 펌핑된 제1세정액을 일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세정액안내호스(320)와,
일 측이 상기 제1세정액안내호스(320)와 연결되며, 타 측 단부가 제1하향관로유닛(100)의 상부 일 측에 관통 연결되어 제1하향관로유닛(100) 내부로 제1세정액을 분사시키는 제1세정액분사관(330) 및
제1세정액분사관(330)의 제1세정액안내호스(320)와 연결되는 부분에 제1세정액의 분사를 위한 이송량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제1분사량조절밸브(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leaning liquid injection means 300 is connected to the first cleaning water tank 200, a first cleaning liquid supply pump 310 for pumping the first cleaning liquid from the first cleaning water tank 200,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cleaning liquid supply pump 310, and a first cleaning liquid guide hose 320 for guiding the first cleaning liquid pumped by the first cleaning liquid supply pump 310 in one directio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cleaning fluid guide hose 3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100 through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100 to clean the first cleaning fluid. The first cleaning liquid injection pipe 330 to be sprayed,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injection amount control valve 340 is installed to adjust the amount of feed for the injection of the first cleaning liquid to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leaning liquid guide hose 320 of the first cleaning liquid injection pipe 330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상기 제1세정액분사관(330)은 제1하향관로유닛(100) 내부로 제1세정액의 분사시 미세기포화를 통해 분사되면서 오염공기와 접촉율이 증대되도록,
제1하향관로유닛(100)의 상부 일 측에 관통 연결되는 단부에 이젝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cleaning liquid injection pipe 330 is sprayed through micro-bubble when the first cleaning liquid is injected into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100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and the contact rate are increased.
A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ejector is installed at an end connect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100).
상기 제2하향관로유닛(400)은 일 측이 제1하향관로유닛(100)의 타 측 상부와 연결관(400a)을 통해 연결되고, 타 측을 향하여 협소하게 테이퍼 진 관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세정액투입수단(600)의 제2세정수조(500)와 대향되는 단부가 관통연결되는 제2협소연결관(410)과,
일 측이 제2협소연결관(410)의 타 측에 일정길이 연장되게 연결되는 제2연장연결관(420)과,
일 측이 제2연장연결관(420)의 타 측에 연결되고, 타 측을 향하여 확장되게 테이퍼 진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확장연결관(430)과,
상부 일 측이 제2확장연결관(430) 타 측에 연결되고, 상부로부터 하향 3단의 굴절 타입으로 벤딩되는 제2하향다단관로(440) 및
수직의 관 타입으로 제공되어 하단이 제2세정수조(500)와 연통연결되고, 하부 일 측에 제2하향다단관로(440)의 하측 단부가 연통연결되며, 개방된 상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탈취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2배출관로(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ownward pipeline unit 100 and the other side through a connection pipe 400a, and is provided in a narrowly tapered pipe shape toward the other side. A second narrow connection pipe 410 through which an end opposite to the second washing tank 500 of the second washing liquid injection means 600 is connected through,
A second extension connector 42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narrow connector 410 to be extended by a certain lengt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xtension connector 420, the second extension connector 430 is provided in a tapered tube shape to be extended toward the other side,
An upper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xtension connector 430, and a second downward multi-stage pipe 440 is bent in a three-stage refractive type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Provided as a vertical pipe type, the lower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washing water tank 500, the lower end of the second downward multi-stage conduit 44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side, and selectively deodorized through the open upper end. A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comprising a second discharge line (450) for discharging purified air.
상기 제2연장연결관(420)은 일 측에 오존투입호스(421)가 연결되어 내부로 오존이 투입되는 한편,
상기 제2하향다단관로(440)는 상부 일 측의 내부에 타 측을 향하여 일정길이에 걸쳐 나선형 이송공간이 협소해지도록 내향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증속스크루(441)가 형성되며, 3단의 굴절타입에서 중앙과 최하단에 배치된 관로 내부에 동일한 길이로 내향 일정하게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난류형성스크루(4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extension connecting pipe 420 is connected to the ozone input hose 421 on one side and ozone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e second downward multi-stage pipe 440 protrudes in an inward spiral so that the helical transfer space is narrowed over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other side in the inside of the upper one side, and the increasing screw 441 is formed, and the third stage is refracted. A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turbulence-forming screw 443 is formed to protrude in a uniform spiral in the same length to the inside of the pipeline disposed at the center and the bottom in the type.
상기 제2세정액투입수단(600)은 일 측이 상기 제2세정수조(500)와 연결되며, 제2세정수조(500)로부터 제2세정액을 펌핑하는 제2세정액공급펌프(610)와,
일 측이 상기 제2세정액공급펌프(610)와 연결되며, 제2세정액공급펌프(610)에 의해 펌핑된 제2세정액을 일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세정액안내호스(620)와,
일 측이 상기 제2세정액안내호스(620)와 연결되며, 타 측 단부가 제2하향관로유닛(400)의 상부 일 측에 관통 연결되어 제2하향관로유닛(400) 내부로 제2세정액을 분사시키는 제2세정액분사관(630) 및
제2세정액분사관(630)의 제2세정액안내호스(620)와 연결되는 부분에 제2세정액의 분사를 위한 이송량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제2분사량조절밸브(6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leaning liquid injection means 6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leaning water tank 500, a second cleaning liquid supply pump 610 for pumping the second cleaning liquid from the second cleaning water tank 500,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cleaning liquid supply pump (610), the second cleaning liquid supply pump (610) and the second cleaning liquid guide hose (620) for guiding the second cleaning liquid pumped in one direction,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cleaning fluid guide hose 6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400, and the second cleaning fluid is injected into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400. The second cleaning liquid injection pipe 630 to be sprayed,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injection amount control valve 650 that is installed to adjust the amount of feed for the injection of the second cleaning liquid to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leaning liquid guide hose 620 of the second cleaning liquid injection pipe (630)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상기 제2세정액분사관(630)은 제2하향관로유닛(400) 내부로 제2세정액의 분사시 미세기포화를 통해 분사되면서 오염공기와 접촉율이 증대되도록,
제2하향관로유닛(400)의 상부 일 측에 관통 연결되는 단부에 이젝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식 관로형 대기오염방지 및 탈취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cleaning liquid injection pipe 630 is sprayed through micro-bubble when the second cleaning liquid is injected into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400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and the contact rate are increased.
A top-down pipelin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ejector is installed at an end connect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second downward pipeline unit 4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5832A KR102091861B1 (en) | 2020-02-10 | 2020-02-10 | Top down pip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5832A KR102091861B1 (en) | 2020-02-10 | 2020-02-10 | Top down pip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1861B1 true KR102091861B1 (en) | 2020-03-20 |
Family
ID=6995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5832A Active KR102091861B1 (en) | 2020-02-10 | 2020-02-10 | Top down pip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186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0872B1 (en) | 2020-09-28 | 2021-02-02 |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 Same direction flowing-pip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er |
KR20240062659A (en) | 2022-11-02 | 2024-05-09 |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 Top-down rotary induction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system |
KR20250046407A (en) | 2023-09-26 | 2025-04-03 | 주식회사 한국그린텍 | Cleaning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7927A (en) * | 1993-09-09 | 1995-04-15 | 이대성 | Shower Tunnel Exhaust System with Wastewater Regeneration |
JP2002192107A (en) * | 2000-12-25 | 2002-07-10 | Freeway:Kk | Dry carbonization equipment for hydrous organic waste |
KR20150142560A (en) * | 2014-06-11 | 2015-12-22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Using a water-soluble toxic gas microbubble washing scrubber system |
KR101638429B1 (en) | 2016-01-29 | 2016-07-12 | (주)이화에코시스템 | Chemical cleaning and deodorizing device having a foam salt removal |
KR20170063013A (en) * | 2015-11-30 | 2017-06-08 | 백용기 | Deodorization Module Using Clean Water |
KR101783373B1 (en) * | 2016-07-28 | 2017-10-23 | (주)효진아이디에스 | Scrubber for removing waste gas discharged from a semiconductor process |
KR101867443B1 (en) | 2018-02-06 | 2018-06-15 | 주식회사 이현테크 | A horizontality and verticality mixture type deodorizing device using the cleaning solution |
KR101906985B1 (en) | 2018-03-16 | 2018-10-11 | 주식회사 이엠제이 | Device for Deodorizing Polluted Air |
KR102025024B1 (en) | 2018-12-17 | 2019-11-14 | 주식회사 창우엔바이로 | Three-stage deodorizing apparatus of single absorption tower |
-
2020
- 2020-02-10 KR KR1020200015832A patent/KR10209186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7927A (en) * | 1993-09-09 | 1995-04-15 | 이대성 | Shower Tunnel Exhaust System with Wastewater Regeneration |
JP2002192107A (en) * | 2000-12-25 | 2002-07-10 | Freeway:Kk | Dry carbonization equipment for hydrous organic waste |
KR20150142560A (en) * | 2014-06-11 | 2015-12-22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Using a water-soluble toxic gas microbubble washing scrubber system |
KR20170063013A (en) * | 2015-11-30 | 2017-06-08 | 백용기 | Deodorization Module Using Clean Water |
KR101638429B1 (en) | 2016-01-29 | 2016-07-12 | (주)이화에코시스템 | Chemical cleaning and deodorizing device having a foam salt removal |
KR101783373B1 (en) * | 2016-07-28 | 2017-10-23 | (주)효진아이디에스 | Scrubber for removing waste gas discharged from a semiconductor process |
KR101867443B1 (en) | 2018-02-06 | 2018-06-15 | 주식회사 이현테크 | A horizontality and verticality mixture type deodorizing device using the cleaning solution |
KR101906985B1 (en) | 2018-03-16 | 2018-10-11 | 주식회사 이엠제이 | Device for Deodorizing Polluted Air |
KR102025024B1 (en) | 2018-12-17 | 2019-11-14 | 주식회사 창우엔바이로 | Three-stage deodorizing apparatus of single absorption towe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0872B1 (en) | 2020-09-28 | 2021-02-02 |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 Same direction flowing-pip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er |
KR20240062659A (en) | 2022-11-02 | 2024-05-09 | 큰나라찬사회적협동조합 | Top-down rotary induction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system |
KR20250046407A (en) | 2023-09-26 | 2025-04-03 | 주식회사 한국그린텍 | Cleaning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91861B1 (en) | Top down pip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er | |
CN102459089B (en) | Fluid handling device | |
US561408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a water supply | |
KR102210872B1 (en) | Same direction flowing-pipe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er | |
KR101986293B1 (en) | A multiple deodorizing apparatus with modular injection device | |
EP1409397A4 (en) | Beverage line purifier | |
US6355096B1 (en) | Mass transfer system | |
KR102297416B1 (en) | Deodorization device of multi-stage treatment method | |
RU143767U1 (en) | INSTALLATION FOR COMPREHENSIVE CLEANING OF DRINKING WATER | |
WO2007023749A1 (en) | Deodorization apparatus and deodorization method | |
JP4915564B2 (en) | Wet air cleaning device | |
KR101765189B1 (en) | Stink gas deodorization device | |
RU2165891C1 (en) | Method of cleaning water | |
KR101827915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bad smell | |
KR101020112B1 (en) | Dissolved Oxygen Removal and Sterilization Device | |
KR102082938B1 (en) | Bio deodorization equipment | |
KR102829277B1 (en) | Recycling System of Waste Salt Water | |
US20070126133A1 (en) | Vena contracta | |
EA010270B1 (en) | Method of waste gas purification of organic compounds and device therefor | |
RU2453354C1 (en) | Self-cleaning filter | |
KR20110001685A (en) | External Immersion Membrane System | |
RU2375311C2 (en) | Device for reagentless water purification - module for intense aeration and degassing (miad) | |
KR102560450B1 (en) | Air purifier using bubbles | |
KR102150941B1 (en) | Rotation vortex mixed mode multi-stage chemical cleaning deodorization device | |
KR20240062659A (en) | Top-down rotary induction typ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2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