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443B1 - 터치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터치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0443B1 KR102090443B1 KR1020200006022A KR20200006022A KR102090443B1 KR 102090443 B1 KR102090443 B1 KR 102090443B1 KR 1020200006022 A KR1020200006022 A KR 1020200006022A KR 20200006022 A KR20200006022 A KR 20200006022A KR 102090443 B1 KR102090443 B1 KR 1020904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input
- touch input
- direction change
- fun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0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2260 Accidental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및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 내지 도 8,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제어 방법의 예를 도시한 도면.
Claims (15)
- 표시부상에서 기 설정된 기능을 실행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부상에서 터치 해제되지 않은 상태로 수행하는 터치 입력에 의해 유효한 방향 전환이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한 방향 전환에 의해 기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은 직선(straight line) 및 곡선(curve)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수행되고, 상기 유효한 방향 전환이 발생하는 시점은, 상, 하, 좌 및 우 중 하나이거나, 상 또는 하와 좌 또는 우의 조합인 정해지지 않은 임의의 제1방향으로 수행중인 터치 입력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정해지지 않은 임의의 제2방향으로 수행함으로써 기 설정된 내각의 범위로 꼭지점이 생성되는 시점이고, 상기 기 설정된 내각의 범위는 90도 미만으로 설정되고, 상기 터치 입력은 잠금 해제를 위한 입력 영역이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한 방향 전환 후 상기 터치 입력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더 수행하는 터치 입력에 의해 더 발생되는 유효한 방향 전환으로 기 설정된 다른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능은 상기 유효한 방향 전환이 기 설정된 횟수로 발생하는 시점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능은 터치 입력의 해제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유효한 방향 전환이 발생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한 개 내지 다섯 개 중 하나의 터치점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능은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터치점의 개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방법 - 표시부상에서 기 설정된 기능을 실행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부상에서 터치 해제되지 않은 상태로 수행하는 터치 입력에 의해 유효한 방향 전환이 발생하는 단계;
상기 유효한 방향 전환이 발생하는 제1시점에 기 설정된 기능이 실행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및
상기 유효한 방향 전환 후 터치 입력이 해제된 제2시점의 마지막으로 수행된 터치 입력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방향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은 직선(straight line) 및 곡선(curve)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수행되고, 상기 유효한 방향 전환이 발생하는 시점은, 상, 하, 좌 및 우 중 하나이거나, 상 또는 하와 좌 또는 우의 조합인 정해지지 않은 임의의 제1방향으로 수행중인 터치 입력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정해지지 않은 임의의 제2방향으로 수행함으로써 기 설정된 내각의 범위로 꼭지점이 생성되는 시점이고, 상기 기 설정된 내각의 범위는 90도 미만으로 설정되고, 상기 터치 입력은 잠금 해제를 위한 입력 영역이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되고, 상기 기 설정된 기능은 상기 제2시점의 방향에 대응하는 객체의 가장자리 위치를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방법 -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상기 입력부의 정해지지 않은 위치에서 시작하거나 정해지지 않은 영역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방법 -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상기 입력부의 정해진 위치에서 시작하거나 정해진 영역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방법 -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하드웨어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사용자에 의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표시부;
상기 입력부에 의한 터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의 방법들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터치 제어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및 입력부는 결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및 입력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동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6022A KR102090443B1 (ko) | 2020-01-16 | 2020-01-16 | 터치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6022A KR102090443B1 (ko) | 2020-01-16 | 2020-01-16 | 터치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0443B1 true KR102090443B1 (ko) | 2020-03-17 |
Family
ID=70003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6022A Active KR102090443B1 (ko) | 2020-01-16 | 2020-01-16 | 터치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044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12296A (ko) * | 2013-03-13 | 2014-09-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중 터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KR20150057079A (ko) * | 2013-11-18 | 2015-05-28 |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 특정 패턴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자동 실행 장치 및 방법 |
KR20150080741A (ko) * | 2014-01-02 | 2015-07-1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연속 값 입력을 위한 제스처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
2020
- 2020-01-16 KR KR1020200006022A patent/KR10209044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12296A (ko) * | 2013-03-13 | 2014-09-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중 터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KR20150057079A (ko) * | 2013-11-18 | 2015-05-28 |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 특정 패턴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자동 실행 장치 및 방법 |
KR20150080741A (ko) * | 2014-01-02 | 2015-07-1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연속 값 입력을 위한 제스처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100368A1 (en) | User interfaces for improving single-handed operation of devices | |
US11842044B2 (en) | Keyboard management user interfaces | |
KR102415851B1 (ko) | 키보드 입력의 모호성 제거 | |
KR101361214B1 (ko) | 터치스크린의 제어영역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
WO2016098418A1 (ja) | 入力装置、ウェアラブル端末、携帯端末、入力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入力装置の動作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プログラム | |
US9740400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racter deletion | |
US20140152585A1 (en) | Scroll jump interface for touchscreen input/output device | |
US20150347010A1 (en) | Continuity | |
KR101156610B1 (ko) |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입력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
US9851867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program for invoking an application by dragging objects to a screen edge | |
CN111488111A (zh) | 虚拟计算机键盘 | |
KR102205283B1 (ko) |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20150123907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form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 |
KR101154137B1 (ko) | 터치 패드 상에서 한손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 |
CN108700990B (zh) | 一种锁屏方法、终端及锁屏装置 | |
CN110945469A (zh) | 触摸输入设备及方法 | |
EP2741194A1 (en) | Scroll jump interface for touchscreen input/output device | |
US20140225854A1 (en) |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Program | |
KR102090443B1 (ko) | 터치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US10101905B1 (en) | Proximity-based input device | |
KR20120081422A (ko)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터치 이벤트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 | |
EP3433713B1 (en) | Selecting first digital input behavior based on presence of a second, concurrent, input | |
WO2018123320A1 (ja) |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及び電子機器 | |
KR101654710B1 (ko) | 손동작 기반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
KR102205235B1 (ko) | 즐겨찾기모드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1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