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9508B1 -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 - Google Patents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508B1
KR102089508B1 KR1020190091728A KR20190091728A KR102089508B1 KR 102089508 B1 KR102089508 B1 KR 102089508B1 KR 1020190091728 A KR1020190091728 A KR 1020190091728A KR 20190091728 A KR20190091728 A KR 20190091728A KR 102089508 B1 KR102089508 B1 KR 102089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line
pair
distribution line
distribu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규
Original Assignee
(주)선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선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91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50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 분야 기술 중에서,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주에 대한 고정작업이 간편하고, 현수애자의 고정작업 및, 라인포스트애자의 고정작업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가공선로의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그 만큼 고소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배전선과 점프선 간의 연결점에 비틀림이 생기지 않게 하여 배전선과 점프선 간의 접속부위에 접속불량이나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배전선로를 보호할 수 있는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connection structure for overhead electric power line}
본 발명은 배전 분야 기술 중에서,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주에 대한 고정작업이 간편하고, 현수애자의 고정작업 및, 라인포스트애자의 고정작업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가공선로의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그 만큼 고소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배전선과 점프선 간의 연결점에 비틀림이 생기지 않게 하여 배전선과 점프선 간의 접속부위에 접속불량이나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배전선로를 보호할 수 있는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전한 전력은 발전소 변전시설에 의하여 극초고압으로 승압하여 송전되며, 변전소에서 다시 특고압(22.9kV)으로 강압하여 수용가 밀집지역으로 배전되며, 최종적으로 지상변압기 또는 주상변압기에 의하여 사용전압(230V 또는 380V)으로 강압하여 수용가에 배전하게 된다.
여기서 가공배전선로는 전주의 양측에 고정되는 좌우측 완철과, 좌우측 완철에 좌우측 현수애자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좌우측 배전선과, 좌우측 배전선을 연결하는 점프선과, 좌우측 완철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점프선을 지지하는 라인포스트애자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측 완철을 전주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완철고정수단을 사용하게 되는데, 완철고정수단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전후단부에 절곡부가 절곡 형성되며 중간부에 평철이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하프밴드를 전주의 외주면 좌우측에 접하게 하고, 절곡부를 관통하는 볼트와 이에 대응하는 너트를 체결하여 한 쌍의 하프밴드가 전주의 외주면 좌우측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 다음, 상기 완철과 평철을 관통하는 장볼트와 이에 대응하는 너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좌우측 완철이 전주의 외주면 좌우측에 평철과 하프밴드를 통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좌우측 완철에 좌우측 현수애자를 고정함에 있어서는 현수애자 고정수단을 사용하게 되는데, 현수애자 고정수단은 일단에 ㄷ자형 결합편이 결합된 나사봉을 상기 좌우측 완철에 좌우방향으로 관통시키고, 나사봉에 너트를 체결하여 나사봉과 결합편을 좌우측 완철에 고정하며, 결합편에 현수애자의 단부에 구비된 연결고리를 삽입하고, 결합편과 연결고리를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좌우측 현수애자가 현수애자 고정수단을 통하여 좌우측 완철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라인포스트애자를 완철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라인포스트애자 고정수단을 사용하게 되는데, 라인포스트애자 고정수단은 라인포스트애자의 단부에 구비된 나사봉을 완철에 상하방향으로 관통시키고, 나사봉에 너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라인포스트애자가 라인포스트애자 고정수단을 통하여 완철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가공선로에서는 완철을 완철고정수단을 통하여 전주에 고정하는 완철고정작업과, 현수애자를 현수애자 고정수단을 통하여 완철에 고정하는 현수애자고정작업 및, 라인포스트애자를 라인포스트애자 고정수단을 통하여 완철에 고정하는 라인포스트애자 고정작업을 개별적으로 진행하여야 하므로 가공선로의 시공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그 만큼 고소작업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공배전선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전선(2)을 지지하는 현수애자(5)는 애자고정구의 나사봉(6)을 완철(4)에 수평으로 관통시켜 너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되고, 점프선(3)을 지지하는 라인포스트애자(7)는 애자고정구의 나사봉(8)을 완철(4)에 수직으로 관통시켜 너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되어야하기 때문에 측면에서 볼 때, 나사봉(6)과 나사봉(8)의 위치가 D1만큼 이격될 수밖에 없으며, 라인포스트애자(7)에 지지되는 점프선(3)의 지지중심점과 현수애자(5)에 대한 배전선(2)의 지지중심점 사이에도 D1만큼의 간격이 생길 수밖에 없어 결과적으로 점프선(3)은 수직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현수(懸垂)되지 못하고 수직선에 대하여 θ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된다.
따라서 배전선(2)과 점프선(3) 간의 연결점에는 비틀림이 생기게 되고, 이에 따라 배전선(2)과 점프선(3) 간의 접속부위에 접속불량이나 쇼트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6114호(2013.11.27. 등록) "송전선로의 누전차단을 위한 케이블 절연대"는 라인포스트애자의 하단에 구비되는 점프선 지지수단이 배전선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배전선과 점프선의 지지중심점이 동일 수직면 상에 위치하고, 점프선이 수직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현수되어 배전선과 점프선 간의 연결점에 비틀림이 생기지 않아 배전선과 점프선 간의 접속부위에 접속불량이나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전주에 대한 완철의 고정작업과 완철에 대한 현수애자의 고정작업 및 완철에 대한 라인포스트애자의 고정작업의 번거로움과 안전사고의 위험성 등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주에 대한 완철의 고정작업이 간편하고, 완철에 대한 현수애자의 고정작업 및, 완철에 대한 라인포스트애자의 고정작업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가공선로의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그 만큼 고소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배전선과 점프선 간의 연결점에 비틀림이 생기지 않게 하여 배전선과 점프선 간의 접속부위에 접속불량이나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배전선로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6114호(2013.11.27. 등록) "송전선로의 누전차단을 위한 케이블 절연대"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주에 대한 고정작업이 간편하고, 현수애자의 고정작업 및, 라인포스트애자의 고정작업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가공선로의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그 만큼 고소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배전선과 점프선 간의 연결점에 비틀림이 생기지 않게 하여 배전선과 점프선 간의 접속부위에 접속불량이나 쇼트가 발생하지 않하여 배전선로를 보호할 수 있는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전주의 외주면 좌우측에 밀착되게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둘레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된 좌우 한 쌍의 고정밴드와, 상기 좌우 한 쌍의 고정밴드의 중간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양측에는 상하부로 관통되게 복수개의 고정공이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봉을 관통하는 장볼트와, 상기 장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좌우 한 쌍의 고정밴드를 전주의 외주면 좌우측에 밀착시키는 너트 및, 상기 지지봉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전주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방에 각각 끼워지고 고정공에 대응되는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고, 일단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전면측 스토퍼와 후면측 스토퍼와, 상기 고정공과 삽입공에 삽입되어 전면측 스토퍼와 후면측 스토퍼를 고정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진 고정대; 상기 지지봉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고 일단에는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사각완철부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사각완철부를 연결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사각완철부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좌우측 배전선이 지지되는 현수애자가 고정되는 현수애자고정편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점프선이 지지되는 라인포스트애자가 결합되는 라인포스트애자고정용 나사보스로 이루어진 연결대; 상기 지지봉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끼워지는 사각관부와, 상기 사각완철부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사각관부의 상하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볼트관통공과, 상기 볼트관통공에 삽입된 후 좌우 한 쌍의 지지봉에 형성된 고정공에 끼워지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고정수단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에 의하면, 고정밴드와 지지봉이 구비된 고정대를 전주에 고정함으로써 전주에 대한 고정작업이 간편하게 되고, 지지봉에 복수개의 연결대를 끼우고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하여 연결대에 현수애자와 라인포스트애자를 고정함으로써 현수애자의 고정작업 및, 라인포스트애자의 고정작업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가공선로의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그 만큼 고소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연결대에 현수애자와 라인포스트애자를 고정함으로써 배전선과 점프선간의 연결점에 비틀림이 생기지 않게 하여 배전선과 점프선 간의 접속부위에 접속불량이나 쇼트를 방지하여 배전선로를 보호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가공선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의 측단면도.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주를 기준으로 하여 전주를 향하는 방향을 내측으로, 반대방향을 외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단순히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공에 대해서는 도면에는 도시하되 도면부호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는 전주(EP)에 고정되는 고정대(100)와; 상기 고정대(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우측 배전선(L1, L2)이 지지되는 현수애자(10)가 고정되며 점프선(J)이 지지되는 라인포스트애자(20)가 고정되는 연결대(200)와; 상기 연결대(200)를 고정대(10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현수애자(10)의 일측단부 내측에는 연결고리(11)가 구비되고, 상기 라인포스트애자(20)의 단부(도면에서는 상단부)에는 나사봉(21)이 구비된다. 라인포스트애자(20)는 도시예와 같이 점프선(J)이 하방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나사봉(21)이 상단에 위치하게 되고, 반대로 점프선(J)이 상방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나사봉(21)이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라인포스트애자(20)의 타단에는 점프선(J)을 지지하는 점프선지지구(22)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대(100)는 전주(EP)의 외주면 좌우측에 밀착되는 좌우 한 쌍의 고정밴드(110)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고정밴드(110)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밴드(110)의 내측 둘레면에는 전주(EP)에 설치된 후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111)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밴드(110)의 중간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지지봉(120)이 마련되어 있되, 상기 지지봉(120)의 양측에는 복수개의 고정공(121)이 상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봉(120)을 관통하는 장볼트(131)와, 상기 장볼트(131)에 체결되어 상기 좌우 한 쌍의 고정밴드(110)를 전주(EP)의 외주면 좌우측에 밀착시키는 너트(132) 및, 상기 지지봉(120)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고정공(121)에 대응되는 삽입공(142, 152)이 각각 형성되는 전면측 스토퍼(140)와 후면측 스토퍼(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공(121)과 삽입공(142, 152)에 삽입되어 전면측 스토퍼(140)와 후면측 스토퍼(150)를 고정하는 고정핀(143. 15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고정밴드(110)와 지지봉(120)은 주조(鑄造)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거나 용접 또는 나사체결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좌우 한 쌍의 고정밴드(110)의 내주면은 전주(EP)의 상단 외경이 작고 하단 외경이 큰 테이퍼각도에 따라 상단 내경이 작고 하단 내경이 큰 테이퍼형으로 형성하여 전주(EP)에 고정하였을 때 전주(EP)의 외주면과 좌우 한 쌍의 고정밴드(110)의 내주면 간의 쐐기작용 및 미끄럼 방지돌기(111)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면측 스토퍼(140)과 후면측 스토퍼(150)는 전주(EP)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 대칭형으로 마련되고, 전면측 스토퍼(140)과 후면측 스토퍼(150)의 일단에는 끼움돌기(141, 15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120)의 길이는 통상적인 완철의 길이와 일치하도록 구성하여 전면측과 후면측에 각각 2쌍 이상의 배전선(L1, L2)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실제로는 전면측에 2쌍의 배전선(L1, L2)을, 후면측에 1쌍의 배전선(L1, L2)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봉(120)의 단면 크기는 사각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통상적인 완철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대(200)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하며, 설치시에는 전주(EP)를 기준으로 하여 전면측과 후면측에 대칭형으로 설치된다.
상기 연결대(200)는 상기 지지봉(120)에 끼워져서 상기 전면측 스토퍼(140)와 후면측 스토퍼(150)에 형성된 끼움돌기(141, 151)가 끼워지는 끼움홈(211)이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사각완철부(210)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사각완철부(210)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220)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사각완철부(210)의 외측면(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현수애자고정편부(230)및, 상기 연결부(22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는 라인포스트애자고정용 나사보스(240)를 포함한다.
상기 사각완철부(210)는 통상적인 완철과 동일한 단면 크기를 가지는 사각파이프로 구성하여 상기 지지봉(12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각완철부(210)와 연결부(220)는 일체로 형성하거나,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현수애자고정편부(230)는 전후 한 쌍의 돌출편으로 구성되어 현수애자(10)의 단부에 구비된 연결고리(11)를 삽입한 상태에서 현수애자고정편부(230)과 연결고리(11)에 연결볼트(231)를 관통시키고 이에 연결너트(232)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현수애자(1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라인포스트애자고정용 나사보스(240)는 나사홀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라인포스트애자(20)의 단부에 구비된 나사봉(21)을 라인포스트애자고정용 나사보스(240)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라인포스트애자(2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300)은 지지봉(120)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끼워지는 사각관부(310)와, 상기 사각관부(310)와 사각완철부(210)의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탄성부재(340)와, 상기 사각관부(310)의 상하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볼트관통공(330)과, 상기 볼트관통공(330)에 삽입된 후 좌우 한 쌍의 지지봉(120)에 형성된 고정공(121)에 끼워지는 고정볼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에 의하여 가공선로를 연결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정대(100)를 전주(EP)에 고정함에 있어서는 고정대(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고정밴드(110)를 전주(EP)의 외주면 좌우측에서 접근시켜 한 쌍의 고정밴드(110)의 내주면이 전주(EP)의 외주면 좌우측에 접하도록 한 다음, 지지봉(120)에 장볼트(131)를 관통시키고 장볼트(131)의 돌출단부에 조임너트(132)를 체결하여 조임이는 것이다.
이때 한 쌍의 고정밴드(110)의 내주면이 전주(EP)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밴드(110)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미끄럼 방지돌기(111)는 전주(EP)의 표면에 긴밀히 접촉되어 미끄럼이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대(100)를 전주(EP)에 고정하는 작업이 한 쌍의 장볼트(131)와 조임너트(132)의 체결에 의하여 종래의 고정밴드와 평철의 고정과 완철의 고정작업에 상당하는 고정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주(EP)에 대한 고정대(100)의 고정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지지봉(120)에 연결대(200)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전면측 스토퍼(140)와 후면측 스토퍼(150)를 지지봉(120)에 끼우고, 지지봉(120)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공(121)중 스토퍼를 고정하고자하는 위치에 형성된 고정공(121)과 전면측 스토퍼(140)와 후면측 스토퍼(150)에 형성된 삽입공(142, 152)을 일치시킨 후 고정핀(143. 153)을 삽입하는 것으로서, 전면측 스토퍼(140)와 후면측 스토퍼(150)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대(200)의 사각완철부(210)를 지지봉(120)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끼워서 사각완철부(210)의 일단에 형성된 끼움홈(211)에 전면측 스토퍼(140)와 후면측 스토퍼(150)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삽입되도록 끼우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봉(12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고정수단(300)의 탄성부재(340)를 끼우고 사각관부(310)를 결합하되, 상기 탄성부재(340)를 가압하면서 사각관부(310)에 형성된 볼트관통공(330)과 지지봉(120)에 형성된 고정공(121)을 일치시킨 후 사각관부(310)에 형성된 볼트관통공(330) 및 고정공(121)을 통해 고정볼트(320)를 관통시켜 상기 지지봉(120)의 전단면과 후단면에 형성된 볼트체결공(340)에 삽입하고, 체결너트(321)를 체결하여 조이면, 연결대(200)는 견고히 고정됨과 동시에 탄성부재(340)에 의해서 탄력지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개의 연결대(200)를 지지봉(120)의 선택된 위치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전면측에 2개의 연결대(200)와 후면측에 2개의 연결대(200)가 지지봉(120)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되며, 4개의 연결대(200)의 고정작업이 고정볼트(320)의 체결에 의하여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현수애자(10)는 연결고리(11)를 사각완철부(210)의 현수애자결합편부(230)에 삽입하고, 현수애자결합편부(230)와 연결고리(11)에 연결볼트(231)를 관통시키고 연결너트(232)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연결대(200)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라인포스트애자(20)는 나사봉(21)을 사각완철부(210)에 형성된 라인포스트애자고정용 나사보스(240)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연결대(2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나사봉(21)에 로크너트(23)를 체결하여 라인포스트애자고정용 나사보스(240)에 조임으로써 라인포스트애자(2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현수애자(10)에 대한 배전선(L1, L2)의 연결과 라인포스트애자(20)에 의한 점프선(J)의 지지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현수애자(10)를 연결하기 위한 현수애자연결편부(230)와 라인포스트애자(20)를 고정하기 위한 라인포스트 애자고정용 나사보스(240)는 동일한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현수애자(10)에 의하여 지지되는 배전선(L1, L2)와 라인포스트애자(2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점프선(J)이 동일 수직면 상에 위치하게 되어 현수애자(10)에 의한 배전선(L1, L2)의 지지중심점과 라인포스트애자(20)에 의한 점프선(J)의 지지중심점 간에 간격이 생기지 않게 되므로 배전선(L1, L2)와 점프선(J) 간의 연결점에 비틀림이 생기지 않게 되어 점프선(J)이 자연스럽게 현수되어 배전선(L1, L2)와 점프선(J) 간의 접속부위에 접속불량이나 쇼트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하나의 전주(EP)에는 3라인의 배전선(L1, L2)이 지지되는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봉(120)의 전면측과 후면측에는 각각 2개씩 4개의 연결대(200)를 결합하되, 3개의 연결대(200)에만 배전선(L1, L2)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후면측 스토퍼(150)에 결합되는 연결대(200)에 배전선(L1, L2)를 지지하지 않고 나머지 3개의 연결대(200)에만 배전선(L1, L2)를 지지하였으나, 가공배전선로가 설치되는 현장의 조건에 따라서 변경될 수도 있다.
EP: 전주 L1, L2: 배전선
J: 점프선 10: 현수애자
11: 연결고리 20: 라인포스트애자
21: 나사봉 100: 고정대
110: 고정밴드 120: 지지봉
131: 장볼트 132: 조임너트
140: 전면측 스토퍼 150: 후면측 스토퍼
141, 151: 끼움돌기 200: 연결대
210: 사각완철부 220: 연결부
230: 현수애자연결편부 231: 연결볼트
300: 고정수단 310: 사각관부
320: 고정볼트 321 : 고정너트
330: 볼트관통공 340: 탄성부재

Claims (1)

  1. 전주(EP)의 외주면 좌우측에 밀착되게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둘레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111)가 형성된 좌우 한 쌍의 고정밴드(110)와, 상기 좌우 한 쌍의 고정밴드(110)의 중간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양측에는 상하부로 관통되게 복수개의 고정공(121)이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지지봉(120)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봉(120)을 관통하는 장볼트(131)와, 상기 장볼트(131)에 체결되어 상기 좌우 한 쌍의 고정밴드(110)를 전주(EP)의 외주면 좌우측에 밀착시키는 너트(132) 및, 상기 지지봉(120)의 전면측과 후면측에 전주(EP)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방에 각각 끼워지고 고정공(121)에 대응되는 삽입공(142, 152)이 각각 형성되고, 일단에는 끼움돌기(141, 151)가 형성된 전면측 스토퍼(140)와 후면측 스토퍼(150)와, 상기 고정공(121)과 삽입공(142, 152)에 삽입되어 전면측 스토퍼(140)와 후면측 스토퍼(150)를 고정하는 고정핀(143. 153)으로 이루어진 고정대(100);
    상기 지지봉(12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고 일단에는 끼움홈(211)이 각각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사각완철부(210)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사각완철부(210)를 연결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220)와, 상기 좌우 한 쌍의 사각완철부(210)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좌우측 배전선(L1, L2)이 지지되는 현수애자(10)가 고정되는 현수애자고정편부(230) 및, 상기 연결부(22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점프선(J)이 지지되는 라인포스트애자(20)가 결합되는 라인포스트애자고정용 나사보스(240)로 이루어진 연결대(200);
    상기 지지봉(12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끼워지고 상하부에 볼트관통공(330)이 관통되게 형성된 사각관부(310)와, 상기 사각완철부(210)를 탄력 지지하도록 지지봉(120)에 끼워지는 탄성부재(340)와, 상기 볼트관통공(330)에 삽입된 후 좌우 한 쌍의 지지봉(120)에 형성된 고정공(121)에 끼워져 사각관부(310)를 고정하는 고정볼트(320)로 이루어진 고정수단(30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
KR1020190091728A 2019-07-29 2019-07-29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 Active KR102089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728A KR102089508B1 (ko) 2019-07-29 2019-07-29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728A KR102089508B1 (ko) 2019-07-29 2019-07-29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508B1 true KR102089508B1 (ko) 2020-03-16

Family

ID=69948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728A Active KR102089508B1 (ko) 2019-07-29 2019-07-29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5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536B1 (ko) 2020-04-22 2020-10-29 한일전기감리 주식회사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시스템
KR20210154039A (ko) 2020-06-11 2021-12-20 한국전력공사 점퍼선의 회전 구속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201Y1 (ko) * 2002-10-31 2003-02-06 한국전력공사 특고압 컷아웃 스위치용 브라켓트 구조
KR101336114B1 (ko) 2013-07-04 2013-12-03 (주)동성기술감리단 송전선로의 누전차단을 위한 케이블 절연대
KR101862100B1 (ko) * 2017-04-27 2018-05-29 정경하 전주 연결형 가공선로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201Y1 (ko) * 2002-10-31 2003-02-06 한국전력공사 특고압 컷아웃 스위치용 브라켓트 구조
KR101336114B1 (ko) 2013-07-04 2013-12-03 (주)동성기술감리단 송전선로의 누전차단을 위한 케이블 절연대
KR101862100B1 (ko) * 2017-04-27 2018-05-29 정경하 전주 연결형 가공선로 연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536B1 (ko) 2020-04-22 2020-10-29 한일전기감리 주식회사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시스템
KR20210154039A (ko) 2020-06-11 2021-12-20 한국전력공사 점퍼선의 회전 구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90151A (en) Support for electrical devices
KR101600293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애자 구조
KR20190000870U (ko) 케이블 받침대
KR102089508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
KR101343520B1 (ko)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WO2017133255A1 (zh) 一种瓷瓶绝缘子架空导线固定装置
KR100901721B1 (ko) 배전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1862100B1 (ko) 전주 연결형 가공선로 연결구조
KR102104667B1 (ko) 전선케이블 고정클램프
KR102073865B1 (ko) 가공배전선 안정적 지지를 위한 완철장치
KR102788799B1 (ko)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전력선을 보호하는 바인드리스 라인 포스트 커버
KR102280470B1 (ko) 배전선로의 전신주 변압기 고정 장치
KR101793024B1 (ko) 특고압 배전 가공전선의 연결 애자
KR101597610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1753150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2075824B1 (ko) 개폐기용 지지유닛
US3445582A (en) Pole top mounting bracket for electrical transmission line
KR101336114B1 (ko) 송전선로의 누전차단을 위한 케이블 절연대
KR102266058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JP6857901B2 (ja) ストラップ押上工具
KR200140987Y1 (ko) 가공지선 설치용 지지대
KR20020021580A (ko) 애자용 전선 고정장치
KR102696939B1 (ko) 티분기용 클램프 구조체
JP4709620B2 (ja) 変流器固定装置
RU2159969C2 (ru) Изолирующая траверс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