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484B1 -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 Google Patents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9484B1 KR102089484B1 KR1020190007058A KR20190007058A KR102089484B1 KR 102089484 B1 KR102089484 B1 KR 102089484B1 KR 1020190007058 A KR1020190007058 A KR 1020190007058A KR 20190007058 A KR20190007058 A KR 20190007058A KR 102089484 B1 KR102089484 B1 KR 1020894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roof
- roof module
- wall
- wood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4220 muscle 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 E04B7/02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the trusses or frames supporting load-bearing purlins, e.g. braced purl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2—Flat foundations without substantial excav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04B1/7076—Air vents for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04B2/70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 E04B2/707—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with supporting function obturation by means of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5—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04D3/351—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e.g. fibre or foam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02D2200/115—Height being adjustable with separate pie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지붕모듈 제조공정 중에 지중패널 저면에 장선을 일체로 형성하여 현장에서 트러스부 상현재에 지붕모듈을 올린 상태로 지붕패널, 장선 및 트러스부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현장 시공 중에 장선 설치공정이 생략되어 시공성 및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특히 지붕모듈과 장선의 일체형 구조로 인해 장선이 힘살기능을 수행하여 휨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지붕모듈을 대형사이즈로 형성하더라도 인양 중에 변형을 포함하는 손상이 방지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and more specifically, to form a joist on the bottom of an underground panel integrally during the roof module manufacturing process, with the roof module on the top of the truss in the field. As the roof panel, joist and truss part are assembled by fastening the fixing means at the same location,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joist is omitted during construction, which greatly reduces the workability and working time. It is related to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that prevents damage including deformation during lifting even if the roof module is formed in a large size because the durability against bending is improved by performing this force function.
통상적으로 목조 건물은 주요 구조부재로 목재제품을 사용하여 시공하는데, 이들 구조용 목재제품을 골조와 덮개로 사용하면서 서로 접합하여 전체 구조요소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목조 건물의 벽체는 수직하중을 지지하고 지붕과 바닥의 하중을 건물의 기초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현장에서 골조와 합판을 일일이 재단하여 조립시공되는 실정이다.Typically, wooden buildings are constructed using wooden products as the main structural member, and these structural wooden products are used as a frame and a cover to join each other to form a whole structural element. In addition, the wall of a wooden building is a structure that supports vertical loads and transmits the loads of the roof and the floor to the foundation of the building.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번호 10-1289236호에서,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다수의 기둥과, 상기 다수의 기둥의 상부를 따라 설치되는 장여와, 상기 장여의 상부에서 상기 장여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도리와, 상기 도리의 상부에서 상기 도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지지되며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서까래를 구비하고, 상기 장여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장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장여 단열재와, 상기 도리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도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도리 단열재와, 상기 도리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서까래와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서까래 단열재를 구비하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Accordingly, in the registration number 10-1289236 disclosed in the related art, a plurality of pillars that partition the inner space, a jangyeo installed along the top of the plurality of pillars, and a purlin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jangyeo from the top of the jangyeo ,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rafters suppor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urlin from the top of the purlin, arranged in a certain interval, and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owel, the bowel insulating material continuously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wel, and A technique has been pre-registered to include a purlin insulation material inserted into the purlin and continuously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rlin, and a rafter insula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urlin and having the same cross-section as the rafter.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지붕을 씌우기 위한 서까래는 실외측에 구비되는 제1서까래와, 실내측에 구비되는 제2서까래와, 상기 제1서까래와 상기 제2서까래 사이에 구비되는 서까래 단열재를 구성되나, 이들 서까래를 현장시공시 작업이 까다로우면서 비숙련공에 의한 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특히 서까래를 시공 후 씌워지는 지붕이 판형태로 형성되어 내구성이 취약함에 따라 소형사이즈로 제작하여 조립시공해야 하므로 부품개수 증가로 공사기간이 지연되는 폐단이 따랐다. However, in the prior art, the rafter for covering the roof is composed of a first rafter provided on the outdoor side, a second rafter provided on the indoor side, and a rafter insulat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rafter and the second rafter. Since these rafters are difficult to work on-site during construction,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work by unskilled workers. Particularly, since the roof to be covered after the rafters is formed in a plate shape, it has to be manufactured and assembled in a compact size due to its weak durability. The closing period was delay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지붕모듈 제조공정 중에 지중패널 저면에 장선을 일체로 형성하여 현장에서 트러스부 상현재에 지붕모듈을 올린 상태로 지붕패널, 장선 및 트러스부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현장 시공 중에 장선 설치공정이 생략되어 시공성 및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특히 지붕모듈과 장선의 일체형 구조로 인해 장선이 힘살기능을 수행하여 휨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지붕모듈을 대형사이즈로 형성하더라도 인양 중에 변형을 포함하는 손상이 방지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roof panel, joist and truss are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underground panel during the roof module manufacturing process by raising the roof module on the truss part in the field. As the parts are assembled in such a way that the fixing means are fastened to the matching position,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joist is omitted during construction, which greatly reduces the workability and working time. Especially, due to the integrated structure of the roof module and the joist, the joist performs a force func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structure that prevents damage including deformation during lifting even if the roof module is formed in a large size because durability against bending is improv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분할 제작되어 현장 조립에 의해 목조건물 측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벽체모듈(10); 상기 벽체모듈(10)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구획 상부를 마감하고, 하부에 설비층(202)이 형성되는 천장모듈(200); 상기 천장모듈 상부에 설치되고, 상, 하현재(212)(214)와, 상, 하현재(212)(214)를 연결하는 웨브(216)로 구성되는 복수의 트러스부(210); 및 상기 트러스부(210) 상부를 마감하는 지붕패널(222)과, 지붕패널(222)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트러스부(210)를 서로 연결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으로 구성되는 지붕모듈(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 지붕모듈(220)이 안착되면, 지붕패널(222),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트러스부(210)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230)을 체결하여 조립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상기 천장모듈(200)은, 내부 골조를 구성하는 천장용 목재프레임(203)과, 천장용 목재프레임(203)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204)와, 천장용 목재프레임(203) 실, 내외측을 마감하는 천장용 목재보드(205)(206)로 구성되고, 실외측 천장용 목재보드(206)에는 타공홀(206a)이 형성되거나, 분할판으로 이격 배치되어 틈새공간(206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는 지붕모듈(220)의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조립위치를 결정하는 복수의 장선받이(218)(219)가 구비되며, 상기 장선받이(218)는 지붕모듈(220) 낮은 측에 위치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단부와 맞물려 하향 이송을 제한하는 스톱 장선받이(218)와, 지붕모듈(220) 높은 측에 위치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단부과 맞물려 하향 이송을 안내하도록 경사면(219a)이 형성되는 가이드 장선받이(2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벽체모듈(10)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일단이 벽체모듈(10) 외측으로 돌출되는 업힐돌부(22)와, 다른 일단은 벽체모듈(10) 폭 대비 짧게 형성되어 업힐돌부(22)와 맞물려 조립되는 말단 받을홈부(24)로 구성되는 도리목(20); 및 상기 벽체모듈(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측홈(32)과, 측홈(32)에 맞물리도록 벽체모듈(10) 다른 측면에 설치되는 끼움장(40)으로 구성되는 벽체연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도리목(20)은 벽체모듈(10)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목재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에 업힐돌부(22)와 다른 일측에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되거나, 도리목(20)과 벽체모듈(10)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목재프레임을 어긋나도록 결합하여, 일측에 업힐돌부(22)와 다른 일측에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도리목(20)의 업힐돌부(22) 폭방향 사이즈(L1)와 말단 받을홈부(24)의 길이방향 사이즈(L2)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벽체모듈(10)을 직교하도록 조립시 업힐돌부(22) 측면이 말단 받을홈부(24) 내측면에 면접되어, 서로 조립된 벽체모듈(10)들의 실외측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벽체모듈(10)을 T형 구조로 조립시, 업힐돌부(22)와 대응하는 벽체모듈(10) 상면에 중간 받을홈부(26)가 형성되고, 중간 받을홈부(26)는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도리목(20) 사이에 형성되며, 업힐돌부(22) 및 중간 받을홈부(26)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축소되는 상광하협 구조의 경사면(22a)(26a)이 형성되며, 선 시공된 측벽모듈(10)을 기준으로 다른 측벽모듈(10)을 하향 조립시 업힐돌부(22)와 중간 받을홈부(26)가 경사면(22a)(26a)을 타고 조립위치가 안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assembling the
또한, 상기 끼움장(40)은, 상, 하부 끼움블록(42)(44)으로 이분할 형성되어 경사면(42a)(44a)으로 맞물리고, 상부 끼움블록(42)은 하부 끼움블록(44) 대비 짧게 형성되면서 상부 끼움블록(42)은 측홈(32) 상부로 편중 설치되며, 상기 상부 끼움블록(42)의 경사면(42a)은 벽체모듈(10) 측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하부 끼움블록(44)의 경사면(44a)은 벽체모듈(10) 측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선 시공된 측벽모듈(10)을 기준으로 다른 측벽모듈(10)을 하향 조립시 상부 끼움블록(42)의 경사면(42a)이 하부 끼움블록(44)의 경사면(44a)과 미끄럼운동되어 인접하는 측벽모듈(10) 간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벽체모듈(10)의 측홈(32)과 대응하는 단부에 업힐돌부(22)가 배치되고, 업힐돌부(22) 저면과 측홈(32) 내주면이 교접되는 위치에 'ㄱ'형 설치홈(34)이 형성되며, 'ㄱ'형 설치홈(34)에 상부 끼움블록(42)의 상부 모서리부(42b)가 맞물려 위치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또한, 상기 벽체모듈(10)은, 타공홀(12a)이 형성되거나, 분할판으로 이격 배치되어 틈새공간(12b)이 형성되는 실외측 목재보드(12)와, 실외측 목재보드(12)에 설치되는 투습방수지(14)와, 투습방수지(14) 상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레인스크린바(16)와, 레인스크린바(16)에 의해 실외측 목재보드(12)와 이격되어 공기순환층(18a)을 형성하는 외장재(1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벽체모듈(10)과 대응하는 기초바닥(1) 상에 매립시공되고, 기초바닥(1) 내부골조(1a)에 지지되어 수평레벨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각관(100); 상기 베이스각관(100) 상면에 체결되어 하부 토대목(122)과, 하부 토대목 상면에 적층 체결되는 복수의 상부 토대목(124)으로 구성되는 토대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상면에 하부 토대목(122)이 체결되는 수평설치면(102)과, 수평설치면(102)과 직교하는 실외측 측면에 수직설치면(104)이 형성되고, 수직설치면(104)에 장착되고 수평설치면(102)과 직교하도록 연장되어 토대부(120) 실외측 측면 및 벽체모듈(10)에 체결되는 실외측 수직플레이트(1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토대부(120) 실내측 측면을 마감하면서 실내바닥구조물(2) 설치구획을 형성하는 판상 방수단열재(1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또한, 상기 벽체모듈(10)에 의해 복수의 실내구획이 형성되고, 복수의 실내구획 중에 기초바닥(1) 높이가 기준 높이 대비 낮은 실내구획의 벽체모듈(10)을 지지하는 베이스각관(100) 내측면에는 멀티각관(110)이 설치되며, 멀티각관(110)은 베이스각관(100) 대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상면이 베이스각관(100)의 수평설치면(102)과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구비되며, 멀티각관(110) 측면에는 눈금(112)이 표시되어, 눈금(112)을 기준으로 기초바닥(1)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물빠짐 경사도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interior compartments are formed by the
또한,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레벨링부(130)에 의해 높낮이 조절되고, 상기 레벨링부(130)는 기초바닥(1) 타설 전에 거푸집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부에 암나사홀(132a)이 형성되는 고정측 지지관(132)과, 고정측 지지관(132)을 타고 상하 이송되고, 상부에 관통홀(134a)이 형성되는 유동측 지지관(134)과, 유동측 지지관(134)의 관통홀(134a)에 삽입된 상태로 스톱핀(137)에 의해 구속되고, 헤드부(136a)가 상부로 노출되고 수나사부(136b)가 고정측 지지관(132)의 암나사홀(132a)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136)와, 유동측 지지관(134) 상부에 설치되어 베이스각관(100)을 지지하는 받침브라켓(13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측 지지관(132) 및 유동측 지지관(134)에는 기초바닥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개방부(13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지붕모듈 제조공정 중에 지중패널 저면에 장선을 일체로 형성하여 현장에서 트러스부 상현재에 지붕모듈을 올린 상태로 지붕패널, 장선 및 트러스부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현장 시공 중에 장선 설치공정이 생략되어 시공성 및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특히 지붕모듈과 장선의 일체형 구조로 인해 장선이 힘살기능을 수행하여 휨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지붕모듈을 대형사이즈로 형성하더라도 인양 중에 변형을 포함하는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roof panel, the joist and the truss part coinciding with the roof module on the top of the truss part in the field by integrally forming the joist on the bottom of the underground panel during the roof module manufacturing process. As it is assembled by means of fasten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joist is omitted during construction, which greatly shortens the workability and working time. Especially, due to the integral structure of the roof module and the joist, the joist performs a force function to improve durability against bending. Therefore, even if the roof module is formed in a large siz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damage including deformation during lifting.
그리고, 조립식 벽체모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도리목을 일체로 형성하여 현장 조립시간이 크게 단축과 더불어 작업자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높은 수준의 조립 정밀도를 제공하고, 특히 벽체모듈 측면에서 경사면을 통하여 맞물리는 상, 하부 끼움블록에 의해 측벽모듈 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자동으로 밀착 평행 정렬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refabricated wall module, the doryok is integrally forme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on-site assembly time and provide a high level of assembly precision without being affected by operator skill, especially interlocking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at the side of the wall module. There is an effect of automatically and in close parallel alignment by the attraction between the side wall modules by the upper and lower fitting blocks.
또, 베이스각관을 기초바닥에 매립설치하고, 베이스각관 상에 토대부 및 하부 깔도리를 체결하므로 벽체 수평시공성이 우수하고, 특히 실내, 외측 플레이트에 의해 적층시공된 복수의 토대부 측면이 서로 결속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됨과 더불어 기초바닥을 이루는 실내바닥구조물(콘크리트, 다짐토)과 토대부 실내측 측벽이 실내측 플레이트에 의해 격리 구분되어 수분 등에 의한 토대부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ase angle tube is buried and installed on the base floor, and the base part and the lower base are fastened on the base angle tube, so the horizontal construction of the wall is excellent. In particular, the sides of the plurality of base parts laminated by the interior and exterior plates are joined together. As the structural stability is secured, the indoor floor structures (concrete, compacted soil) constituting the base floor and the side walls of the base section are separated by the interior plat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base section due to mois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장선받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벽체모듈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업힐돌부와 말단 받을홈부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업힐돌부와 중간 받을홈부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상, 하부 끼움블록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벽체모듈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벽체모듈과 기초바닥 조립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실내, 외측 수직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의 멀티각관을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joist of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wall module of th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uphill protrusion and the end receiving groove of th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the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uphill protrusion and the intermediate receiving groove of th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the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upper and lower fitting blocks of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wall module of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wall module and the base floor of th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ior and exterior vertical plates of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ulti-angle tube of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때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은 지붕모듈 제조공정 중에 지중패널 저면에 장선을 일체로 형성하여 현장에서 트러스부 상현재에 지붕모듈을 올린 상태로 지붕패널, 장선 및 트러스부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현장 시공 중에 장선 설치공정이 생략되어 시공성 및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특히 지붕모듈과 장선의 일체형 구조로 인해 장선이 힘살기능을 수행하여 휨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지붕모듈을 대형사이즈로 형성하더라도 인양 중에 변형을 포함하는 손상이 방지하기 위해 벽체모듈(10), 천장모듈(200), 트러스부(210), 지붕모듈(220), 고정수단(23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structure, wherein th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structure is a truss part in the field by integrally forming a joist on the bottom of the underground panel during the roof module manufacturing process. As the roof module is mounted in a state where the roof module is raised and the fixing means are fastened to the position where the roof panel, joist and truss are matched,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joist is omitted during construction, which greatly reduces the workability and working time. Due to the integral structure of the module and the joist, the joist performs a force function to improve the durability against bending, so even if the roof module is formed in a large size, the
본 발명에 따른 벽체모듈(10)은 분할 제작되어 현장 조립에 의해 목조건물 측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벽체모듈(10)은 목재프레임과, 목재프레임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와, 목재프레임 실, 내외측을 마감하는 목재보드로 구성된다.The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천장모듈(200)은 벽체모듈(10)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구획 상부를 마감하고, 하부에 설비층(202)이 형성된다. 상기 천장모듈(200)은, 내부 골조를 구성하는 천장용 목재프레임(203)과, 천장용 목재프레임(203)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204)와, 천장용 목재프레임(203) 실, 내외측을 마감하는 천장용 목재보드(205)(206)로 구성되고, 실외측 천장용 목재보드(206)에는 타공홀(206a)이 형성되거나, 분할판으로 이격 배치되어 틈새공간(206b)이 형성된다.In FIG. 1, the
이에 상기 타공홀(206a) 또는 틈새공간(206b)에 의해 천장모듈(200) 내부 공간이 실외측으로 연통되면서 공기순환유로를 형성하므로, 천장모듈(200)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어 실외측 천장용 목재보드(206) 내벽에 곰팡이 발생 및 목재보드가 썩는 등의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된다. Accordingly, since the space inside the
그리고, 상기 천장모듈(200)은 목조건물을 구성하는 벽체모듈(10) 상면에 설치되는 도리목(20)과 후술하는 트러스부(210) 사이에 설치되는바, 즉, 천장모듈(200) 저면 가장자리부가 도리목(20) 위에 안착된 상태로 못, 나사못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되고, 천장모듈(200) 상면에 경사형 또는 평면 트러스부(210)가 안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또, 상기 천장모듈(200) 저면에 설비층(202)이 형성되는바, 여기서 설비층(202)은 천장모듈(200) 저면에 실내측 천장패널이 설치되고, 천장패널은 복수의 천장 구조목에 의해 지지되며, 설비층(202) 내부로 전선, 신호선을 포함하는 케이블이 시공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부(210)는 상기 천장모듈(200) 상부에 설치되고, 상, 하현재(212)(214)와, 상, 하현재(212)(214)를 연결하는 웨브(216)로 구성된다. 트러스부(210)는 지붕형상에 따라 삼각형의 경사 트러스와 평면트러스로 형성되고, 천장모듈(200)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소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지붕모듈(220)을 지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도 3에서, 상기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는 지붕모듈(220)의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조립위치를 결정하는 복수의 장선받이(218)(219)가 구비되며, 장선받이(218)는 지붕모듈(220) 낮은 측에 위치되는 장선(224)과 맞물려 하향 이송을 제한하는 스톱 장선받이(218)와, 지붕모듈(220) 높은 측에 위치되는 장선(224)과 맞물려 하향 이송을 안내하도록 경사면(219a)이 형성되는 가이드 장선받이(219)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In FIG. 3, the
여기서, 상기 장선받이(218)는 트러스부(210)를 제작하는 공정 중에 일체로 형성되고, 지붕모듈(220)을 시공시, 가이드 장선받이(219)의 경사면(219a)은 지붕모듈(220)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와 맞물려 지붕모듈(220) 조립위치를 안내하여 정위치로 안내한다.Here, the
이에 상기 트러스부(210)를 경사 트러스로 형성하더라도, 지붕모듈(220)의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가 장선받이(218)(219)에 맞물린 상태로 위치고정되어 조립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임시 고정수단을 체결하지 않더라도 하향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고소작업 중에 작업 안전성이 확보된다.Accordingly, even i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붕모듈(220)은 상기 트러스부(210) 상부를 마감하는 지붕패널(222)과, 지붕패널(222)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트러스부(210)를 서로 연결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로 구성된다. 지붕모듈(220)은 단층 또는 복층 구조의 패널로 구성되고, 실외측 외면 즉, 상면에는 방수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장에서 지붕모듈(220)을 제작하는 과정 중에 도 1 (a)와 같이 판형 구조목이 가로로 설치되어 장선(224)을 형성하거나, 도 1 (b)처럼 세로로 설치되어 서까래(224')를 형성하면서 복수개소에 일체로 형성되고, 현장 시공시,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는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 면접된 상태로 고정되거나, 상기 장선받이(218)에 맞물려 고정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 지붕모듈(220)이 안착되면, 지붕패널(222),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트러스부(210)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230)을 체결하여 조립되도록 구비된다. At this time, when the
도 1 (b)에서, 상기 서까래(224')를 적용한 지붕모듈(220) 조립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천장모듈(200) 상면에 스톱 장선받이(218) 및 높이가 서로 상이한 평면 트러스부(210)를 적어도 2개소에 이격 배치하고, 서까래(224')의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홈(224a)이 스톱 장선받이(218)에 맞물리도록 조립되고 다른 일단은 평면 트러스부(210) 상면에 안착고정된다. 이때 평면 트러스부(210)에 고정되는 서까래(224') 단부에는 'ㅗ'형 장선받이(218')가 구비되어 이후 연속하여 조립되는 다른 지붕모듈(220)의 서까래(224') 단부와 맞물려 지지된다. 그리고 지붕모듈(220)이 서로 연결되는 영역의 지붕패널(222)은 서까래(224') 대비 짧게 형성되어 서까래(224')가 외부로 노출되고, 지붕모듈(220)을 시공 후에 노출된 서까래(224') 상부를 별도의 멀티 지붕패널(222')로 마감하게 된다.In (b) of FIG. 1, when looking at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여기서, 상기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와 대응하는 지붕모듈(220) 상면에는 기준선이 표시되고, 기준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멀티 기준선이 표시된다. 이에 트러스부(210)와 일치하는 멀티 기준선과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선이 교차되는 교차점에 못, 나사못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타설하여 지붕패널(222),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트러스부(210)를 일체로 체결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준선 및 멀티 기준선은 별도의 표시선으로 형성되거나, 지붕모듈(220) 상면에 표시되는 디자인 무늬의 종, 횡 선에 의해 식별되도록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Here, a reference line is display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본 발명은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때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은 조립식 벽체모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도리목을 일체로 형성하여 현장 조립시간이 크게 단축과 더불어 작업자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높은 수준의 조립 정밀도를 제공하고, 특히 벽체모듈 측면에서 경사면을 통하여 맞물리는 상, 하부 끼움블록에 의해 측벽모듈 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자동으로 밀착 평행 정렬되도록 하기 위해 벽체모듈(10), 도리목(20), 벽체연결부(3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structure, wherein th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structure is formed integrally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prefabricated wall module, which greatly increases the on-site assembly time. In addition to shortening, it provides a high level of assembly precision without being affected by operator skill, and in particular, it is automatically and parallelly aligned by the attraction between the sidewall modules by the upper and lower fitting blocks interlocking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on the side of the wall module. In order to do so, the main module includes a
본 발명에 따른 벽체모듈(10)은 분할 제작되어 현장 조립에 의해 목조건물 측벽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벽체모듈(10)은 목재프레임과, 목재프레임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와, 목재프레임 실, 내외측을 마감하는 목재보드로 구성되고, 상부에 도리목(20)이 일체로 체결된 상태로 제작되어 현장 조립시공된다.The
여기서, 상기 도리목(20)은 상기 벽체모듈(10)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일단이 벽체모듈(10) 외측으로 돌출되는 업힐돌부(22)와, 다른 일단은 벽체모듈(10) 폭 대비 짧게 형성되어 업힐돌부(22)와 맞물려 조립되는 말단 받을홈부(24)로 구성된다. 도 4와 같이 도리목(20)은 횡형 목재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벽체모듈(10) 외측으로 돌출되고, 다른 일단은 벽체모듈(10) 내측으로 들여 설치되는 구조에 의해 벽체모듈(10) 양측에 업힐돌부(22)와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게 된다.Here, the
이때, 상기 도리목(20)은 벽체모듈(10)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목재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에 업힐돌부(22)와 다른 일측에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되거나, 도리목(20)과 벽체모듈(10)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목재프레임을 어긋나도록 결합하여, 일측에 업힐돌부(22)와 다른 일측에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도리목(20) 일체형 상부 목재프레임(11)을 이용하여 벽체모듈(10)을 제작하므로, 목재 부품들 간에 일체성이 향상되고, 이는 목조건물의 구조적 안정성 향상으로 이어지는 이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연결부(30)는 벽체모듈(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측홈(32)과, 측홈(32)에 맞물리도록 벽체모듈(10) 다른 측면에 설치되는 끼움장(40)으로 구성된다. 측홈(32)은 벽체모듈(10)의 측부 목재프레임을 실, 내외측 목재보드 대비 내측으로 인입 설치하여, 인입된 거리만큼 함몰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형성되고, 측홈(32)과 조립되는 다른 벽체모듈(10)의 측면에는 끼움장(40)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끼움장(40)은 종형 목재 프레임으로 벽체모듈(10)의 측부 목재프레임에 체결되어, 벽체모듈(10)을 조리시공시 벽체모듈(10) 측홈(32)에 끼움결합되어 내구성 향상 및 단열성능 향상을 도모한다.Here, the fitting 40 is a vertical wooden frame and is fastened to the side wooden frame of the
도 5에서, 상기 도리목(20)의 업힐돌부(22) 폭방향 사이즈(L1)와 말단 받을홈부(24)의 길이방향 사이즈(L2)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5 (a)는 벽체모듈(10)이 직렬시공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2 (b)는 벽체모듈(10)을 직교하도록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바, 이때 벽체모듈(10)을 직교하도록 조립시 업힐돌부(22) 측면이 말단 받을홈부(24) 내측면에 면접되어 위치고정되므로 서로 조립되는 벽체모듈(10) 실외측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비되면서 조립정밀도가 향상되고, 작업자 숙련도에 관계없이 시공품질이 향상된다.In FIG. 5, the width direction size L1 of the
도 6 (a)에서, 상기 벽체모듈(10)을 T형 구조로 조립시, 업힐돌부(22)와 대응하는 벽체모듈(10) 상면에 중간 받을홈부(26)가 형성되고, 중간 받을홈부(26)는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도리목(20) 사이에 형성되며, 업힐돌부(22) 및 중간 받을홈부(26)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축소되는 상광하협 구조의 경사면(22a)(26a)이 형성된다. 이에 도 6 (b)와 같이 선 시공된 측벽모듈(10)을 기준으로 다른 측벽모듈(10)을 하향 조립시 업힐돌부(22)와 중간 받을홈부(26)가 경사면(22a)(26a)을 타고 조립위치가 안내되어, 중간 받을홈부(26) 정중앙에 업힐돌부(22)가 조립되므로 별도의 위치보정작업이 생략된다.6 (a), when assembling the
도 7 (a)에서, 상기 끼움장(40)은, 상, 하부 끼움블록(42)(44)으로 이분할 형성되어 경사면(42a)(44a)으로 맞물리고, 상부 끼움블록(42)은 하부 끼움블록(44) 대비 짧게 형성되면서 상부 끼움블록(42)은 측홈(32) 상부로 편중 설치되며, 상기 상부 끼움블록(42)의 경사면(42a)은 벽체모듈(10) 측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하부 끼움블록(44)의 경사면(44a)은 벽체모듈(10) 측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으로 형성된다. In Fig. 7 (a), the fitting 40 is formed by dividing the upper and lower fitting blocks 42 and 44 into engagement with the
이에 도 7 (b)처럼 선 시공된 측벽모듈(10)을 기준으로 다른 측벽모듈(10)을 하향 조립시 상부 끼움블록(42)의 경사면(42a)이 하부 끼움블록(44)의 경사면(44a)과 미끄럼운동되어 인접하는 측벽모듈(10) 간에 인력이 작용하고, 이로 인해 측벽모듈(10)의 상부에서 밀착 결합력이 작용하여 인접하는 측벽모듈(10)이 평행 정렬되므로 기초바닥 평행도가 불일치하는 조건에서도 복수의 측벽모듈(10)이 수평선상에 정밀시공된다. 또 측벽모듈(10) 사이 밀착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측벽모듈(10)을 밀거라 인양 크레인을 정밀조작하지 않더라도 쉽게 밀착 조립되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ly, when assembling the
도 7 (b)에서, 상기 벽체모듈(10)의 측홈(32)과 대응하는 단부에 업힐돌부(22)가 배치되고, 업힐돌부(22) 저면과 측홈(32) 내주면이 교접되는 위치에 'ㄱ'형 설치홈(34)이 형성되며, 'ㄱ'형 설치홈(34)에 상부 끼움블록(42)의 상부 모서리부(42b)가 맞물려 위치고정되도록 구비된다. In FIG. 7 (b), the
이에 상부 끼움블록(42)의 상면 및 측면이 벽체모듈(10)의 'ㄱ'형 설치홈(34)에 맞물려 2면 접촉됨과 더불어 상부 끼움블록(42)이 측홈(32)에 의해 실내, 외측 방향에서 지지되므로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됨과 더불어 고하중에도 유동이 방지되어, 상기 하부 끼움블록(44)과 맞물림 구조에 의한 측벽모듈(10) 수평 시공에 따른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된다.Accordingly, the top and side surfaces of the upper
도 8에서, 상기 벽체모듈(10)은, 타공홀(12a)이 형성되거나, 분할판으로 이격 배치되어 틈새공간(12b)이 형성되는 실외측 목재보드(12)와, 실외측 목재보드(12)에 설치되는 투습방수지(14)와, 투습방수지(14) 상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레인스크린바(16)와, 레인스크린바(16)에 의해 실외측 목재보드(12)와 이격되어 공기순환층(18a)을 형성하는 외장재(18)로 이루어진다. 이에 타공홀(12a) 또는 틈새공간(12b)에 의해 벽체모듈 내부 공간이 실외측으로 연통되면서 공기순환층(18a)을 통하여 공기순환유로를 형성하므로, 벽체모듈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어 실외측 목재보드 내벽에 곰팡이 발생 및 목재보드가 썩는 등의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된다. In FIG. 8,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각관(100)은 상기 벽체모듈(10)과 대응하는 기초바닥(1) 상에 매립시공되고, 기초바닥(1) 내부골조(1a)에 지지되어 수평레벨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베이스각관(100)은 목조건물 평면도의 구조를 기준으로 벽체모듈 설치위치와 대응하는 기초바닥(1) 상에 매립시공되는바, 즉 도 9와 같이 기초바닥(1)을 시공하기 위해 배근되는 철근 골조에 베이스각관(100)이 지지되도록 설치하고, 수평게이즈를 이용하여 베이스각관(100) 상면의 수평설치면(102) 수평레벨을 설정한다. 이후 기초바닥(1) 형성을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바닥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바닥을 형성 후, 콘크리트 상면 수평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베이스각관(100) 수평설치면(102)의 수평도가 유지되므로, 이후 벽체모듈(10)이 베이스각관(100)을 기준으로 수평 정렬시공되므로 비숙련공에 의한 조립정밀도가 향상됨과 더불어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된다.Accordingly, after pouring the concrete to form the foundation floor, the horizontality of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공장에서 목조건물 평면도 형상으로 일체로 제작되어 현장시공되거나, 실내 구획 별로 분할형성되어 현장에서 볼트 또는 용접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각관(100)을 분할 형성할 경우 서로 대응하는 연결 부분에 음양각 체결부를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끼움 결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대부(120)는 상기 베이스각관(100) 상면에 체결되어 하부 토대목(122)과, 하부 토대목 상면에 적층 체결되는 복수의 상부 토대목(124)으로 구성된다. 상, 하부 토대목(122)(124)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목재판으로서, 도 10과 같이 하부 토대목(122)을 베이스각관(100) 수평설치면(102)에 올리고 나사못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으로 체결하고, 이후 하부 토대목(122) 상면에 복수의 상부 토대목(124)을 적층하여 고정수단으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토대부(120)를 형성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도 10에서,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상면에 하부 토대목(122)이 체결되는 수평설치면(102)과, 수평설치면(102)과 직교하는 실외측 측면에 수직설치면(104)이 형성되고, 수직설치면(104)에 장착되고 수평설치면(102)과 직교하도록 연장되어 토대부(120) 실외측 측면 및 벽체모듈(10)에 체결되는 실외측 수직플레이트(160)가 구비된다. 실외측 수직플레이트(160)는 판형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판형 철물로서, 하부 영역이 수직설치면(104)에 체결되고,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타공을 통하여 나사못을 체결하여 토대부(120) 측면이 종방향으로 정렬고정된다.In FIG. 10, the
한편, 상기 수직플레이트(160)를 시공 후에는, 외주면에 목판이 덧댐 설치되고, 이때 목판은 벽체모듈(10)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일체로 마감하게 되며, 목판에는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어 이후 목판 외주면에 설치되는 목조건물 외피 마감판사이에 단열공기층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그리고, 상기 토대부(120) 실내측 측면을 마감하면서 실내바닥구조물(2) 설치구획을 형성하는 판상 방수단열재(180)가 구비된다. 판상 방수단열재(180)는 판형 철물, 방부목, 일반합판, 단열재, 방수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하여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상, 하부 토대목(122)(124) 측면을 일체로 마감하게 된다.And, the
이처럼, 상기 판상 방수단열재(180)에 의해 토대부(120) 실내측 측면이 마감되어 기초바닥(1) 상면에 설치구획이 형성되고, 설치구획 내부로 단열재, 보일러 호스, 다짐 토를 포함하는 실내바닥구조물(2)이 시공되며, 이때 실내바닥구조물(2)과 토대부(120) 사이가 판상 방수단열재(180)에 의해 차폐되어 실내바닥구조물(2)을 시공하는 중에 포함된 수분 및 보일러 호스 누수로 인해 발생되는 수분 등에 의한 토대부(120) 손상이 방지됨과 더불어 실내바닥구조물(2)의 신축변형을 유연하게 흡수하여 온도차에 의한 실내바닥구조물(2)이 크랙이 방지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rior side of the
도 10의 확대도에서,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레벨링부(130)에 의해 높낮이 조절되고, 상기 레벨링부(130)는 기초바닥(1) 타설 전에 거푸집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부에 암나사홀(132a)이 형성되는 고정측 지지관(132)과, 고정측 지지관(132)을 타고 상하 이송되고, 상부에 관통홀(134a)이 형성되는 유동측 지지관(134)과, 유동측 지지관(134)의 관통홀(134a)에 삽입된 상태로 스톱핀(137)에 의해 구속되고, 헤드부(136a)가 상부로 노출되고 수나사부(136b)가 고정측 지지관(132)의 암나사홀(132a)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136)와, 유동측 지지관(134) 상부에 설치되어 베이스각관(100)을 지지하는 받침브라켓(13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측 지지관(132) 및 유동측 지지관(134)에는 기초바닥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개방부(139)가 형성된다. In the enlarged view of FIG. 10, the
즉, 상기 레벨링부(130)는 기초바닥(1)을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해 거푸집에 의해 형성되는 구획 내부에 설치되고, 이때 레벨링부(130)는 기초바닥(1) 내부골조(1a)에 결속되거나, 하부에 바닥판이 구비되어 거푸집 내부 바닥에 고정된다. 그리고 받침브라켓(138) 상에 베이스각관(100)을 안착시킨 상태로 나사못, 용접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되고, 이후 공구를 이용하여 조절볼트(136)를 회전시키면 수나사부(136b)와 암나사홀(132a)에 나사결합에 의해 유동측 지지관(134)이 고정측 지지관(132)을 타고 상하 이송되면서 베이스각관(100)이 수평조절되고, 이때 레벨링부(130)는 복수개소에 이격 배치하고, 그 사이에는 고정한 받침대를 설치하여 베이스각관(100) 수평지지력을 보강하게 된다.That is, the leveling
이후, 기초바닥(1)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콘크리트가 복수의 개방부(139)를 통하여 고정측 지지관(132) 및 유동측 지지관(134) 내부로 유입되어 경화되면, 고정측 지지관(132) 및 유동측 지지관(134)이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로 고착되어 레벨링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Subsequently, when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undation floor 1, when concrete is introduced into the fixed
도 11에서, 상기 벽체모듈(10)에 의해 복수의 실내구획이 형성되고, 복수의 실내구획 중에 기초바닥(1) 높이가 기준 높이 대비 낮은 실내구획의 벽체모듈(10)을 지지하는 베이스각관(100) 내측면에는 멀티각관(110)이 설치되며, 멀티각관(110)은 베이스각관(100) 대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상면이 베이스각관(100)의 수평설치면(102)과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구비되며, 멀티각관(110) 측면에는 눈금(112)이 표시되어, 눈금(112)을 기준으로 기초바닥(1)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물빠짐 경사도가 조절되도록 구비된다.In FIG. 11, a base leg tube supporting a
이처럼, 상기 멀티각관(110)에 의해 기준 높이 대비 낮은 실내구획(욕실, 현관, 다용도실, 보일러실)에 해당하는 실내구획의 베이스각관(100) 폭이 확장됨에 따라 베이스각관(100) 상에 토대부(120) 및 벽체모듈(10)을 시공한 후에, 멀티각관(110) 상에 실내구획 내벽 단열재를 포함하는 내장재 설치공간이 확보된다. As such, as the width of the
그리고, 상기 멀티각관(110) 측면에 눈금(112)이 표시되고, 눈금(112)은 베이스각관(100)의 수평설치면(102)을 기준으로 종방향으로 표시되며, 눈금(112)을 기준으로 욕실에 해당하는 실내구획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시 물빠짐 설계 반영한 경사바닥 타설이 간단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진다.Then, the
10: 벽체모듈 20: 도리목
30: 벽체연결부 40: 끼움장
100: 베이스각관 120: 토대부
122, 124: 상, 하부 토대목 160: 실외측 수직플레이트
180: 판상 방수단열재 200: 천장모듈
210: 트러스부 220: 지붕모듈
230: 고정수단10: Wall module 20: Dorimok
30: wall connection 40: fitting
100: base angle tube 120: foundation
122, 124: upper and lower foundations 160: outdoor vertical plate
180: plate waterproof insulation 200: ceiling module
210: truss part 220: roof module
230: fixing means
Claims (14)
상기 벽체모듈(10)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구획 상부를 마감하고, 하부에 설비층(202)이 형성되는 천장모듈(200);
상기 천장모듈 상부에 설치되고, 상, 하현재(212)(214)와, 상, 하현재(212)(214)를 연결하는 웨브(216)로 구성되는 복수의 트러스부(210); 및
상기 트러스부(210) 상부를 마감하는 지붕패널(222)과, 지붕패널(222)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의 트러스부(210)를 서로 연결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으로 구성되는 지붕모듈(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 지붕모듈(220)이 안착되면, 지붕패널(222),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트러스부(210)가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수단(230)을 체결하여 조립되며,
상기 천장모듈(200)은, 내부 골조를 구성하는 천장용 목재프레임(203)과, 천장용 목재프레임(203)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204)와, 천장용 목재프레임(203) 실, 내외측을 마감하는 천장용 목재보드(205)(206)로 구성되고, 실외측 천장용 목재보드(206)에는 타공홀(206a)이 형성되거나, 분할판으로 이격 배치되어 틈새공간(206b)이 형성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A wall module 10 which is dividedly manufactured and is provided to form a side wall of a wooden building by field assembly;
A ceiling module 200 that closes the upper portion of the indoor compartment formed by the wall module 10 and has a facility layer 202 formed on the lower portion;
A plurality of truss parts 210 installed on the ceiling module and composed of webs 216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chords 212 and 214 and the upper and lower chords 212 and 214; And
The roof panel 222 that ends the upper portion of the truss 210 and the roof panel 222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ss portion 210 to a joist 224 or rafter 224 'connecting the truss parts 210 to each other. Consists of a roof module 220 consisting of;
When the roof module 220 is seated on the truss part 210, the top chord 212, the roof panel 222, joists 224 or rafters 224 ', fixing means in a position where the truss parts 210 coincide It is assembled by fastening 230,
The ceiling module 200, a wooden frame for ceiling 203 constituting an internal frame,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204 filled between the wooden frame for ceiling 203, a wooden frame for ceiling 203, and inside and outside Consisting of a wooden board for ceiling (205) (206) for finishing, a perforated hole (206a) is formed in the wooden board (206) for the outdoor side, or is spaced apart by a partition plate to form a clearance space (206b) Structure assembly system compris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figuration.
상기 트러스부(210) 상현재(212)에는 지붕모듈(220)의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조립위치를 결정하는 복수의 장선받이(218)(219)가 구비되며, 상기 장선받이(218)는 지붕모듈(220) 낮은 측에 위치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단부와 맞물려 하향 이송을 제한하는 스톱 장선받이(218)와, 지붕모듈(220) 높은 측에 위치되는 장선(224) 또는 서까래(224') 단부과 맞물려 하향 이송을 안내하도록 경사면(219a)이 형성되는 가이드 장선받이(2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truss portion 210, the top chord 21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joists (218) 219 to determine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joists 224 or rafters 224 'of the roof module 220, and the joists (218) is a roof module 220, a joist 224 or a rafter 224 'located on the lower side and a stop joist 218 that restricts downward transportation by engaging the end, and the roof module 220 is located on the higher side It includes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t least one of a guide joist (219)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 (219a) is formed to guide the downward transfer in engagement with the end of the joist (224) or rafter (224 ') Structure assembly system.
상기 벽체모듈(10)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일단이 벽체모듈(10) 외측으로 돌출되는 업힐돌부(22)와, 다른 일단은 벽체모듈(10) 폭 대비 짧게 형성되어 업힐돌부(22)와 맞물려 조립되는 말단 받을홈부(24)로 구성되는 도리목(20); 및
상기 벽체모듈(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측홈(32)과, 측홈(32)에 맞물리도록 벽체모듈(10) 다른 측면에 설치되는 끼움장(40)으로 구성되는 벽체연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wall module 1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ne end protruding outwardly of the wall module 10, and the other end is formed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wall module 10, and the uphill protrusion 22 is formed. Doryim 20 consisting of the end receiving groove (24) to be engaged with assembly; And
A wall connection part 30 consisting of a side groove 32 formed on one side of the wall module 10 and a fitting 4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wall module 10 to engage with the side groove 32; Structure assembly system compris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상기 도리목(20)은 벽체모듈(10)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목재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일측에 업힐돌부(22)와 다른 일측에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되거나, 도리목(20)과 벽체모듈(10)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목재프레임을 어긋나도록 결합하여, 일측에 업힐돌부(22)와 다른 일측에 말단 받을홈부(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The purlin 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wooden frame 11 constituting the frame of the wall module 10, or is provided to form an uphill protrusion 22 on one side and a groove 24 for receiving the end on the other side, Dorimok 20 and the wall module (10) by combining the upper wooden frame constituting th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form a groove portion (24) to receive the end on one side and the uphill protrusion (22) on the other sid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the roof module of a building.
상기 도리목(20)의 업힐돌부(22) 폭방향 사이즈(L1)와 말단 받을홈부(24)의 길이방향 사이즈(L2)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벽체모듈(10)을 직교하도록 조립시 업힐돌부(22) 측면이 말단 받을홈부(24) 내측면에 면접되어, 서로 조립된 벽체모듈(10)들의 실외측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5,
The uphill protrusions 22 of the purlin 20 are formed in the same way as the width direction size L1 and the lengthwise size L2 of the end receiving grooves 24, and when assembled to orthogonally cross the wall module 10, the uphill protrusions ( 22) Th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the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surfaces are interview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receiving groove portion 24, and the outdoor side surfaces of the wall modules 10 assembled with each other are formed to form a flat surface.
상기 벽체모듈(10)을 T형 구조로 조립시, 업힐돌부(22)와 대응하는 벽체모듈(10) 상면에 중간 받을홈부(26)가 형성되고, 중간 받을홈부(26)는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도리목(20) 사이에 형성되며, 업힐돌부(22) 및 중간 받을홈부(26)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축소되는 상광하협 구조의 경사면(22a)(26a)이 형성되며, 선 시공된 측벽모듈(10)을 기준으로 다른 측벽모듈(10)을 하향 조립시 업힐돌부(22)와 중간 받을홈부(26)가 경사면(22a)(26a)을 타고 조립위치가 안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When assembling the wall module 10 in a T-shaped structure, an intermediate receiving groove 2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module 10 corresponding to the uphill protrusion 22, and the intermediate receiving groove 26 is spaced apart. It is formed between a pair of purlins 20, and the uphill protrusion 22 and the intermediate receiving groove 26 are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22a, 26a of an upper and lower strait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decreases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line is constructed. When assembling the other sidewall module 10 downward based on the sidewall module 10, the uphill protrusion 22 and the intermediate receiving groove 26 are provided to guide the assembly position on the inclined surfaces 22a and 26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the roof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상기 끼움장(40)은, 상, 하부 끼움블록(42)(44)으로 이분할 형성되어 경사면(42a)(44a)으로 맞물리고, 상부 끼움블록(42)은 하부 끼움블록(44) 대비 짧게 형성되면서 상부 끼움블록(42)은 측홈(32) 상부로 편중 설치되며, 상기 상부 끼움블록(42)의 경사면(42a)은 벽체모듈(10) 측면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하부 끼움블록(44)의 경사면(44a)은 벽체모듈(10) 측면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선 시공된 측벽모듈(10)을 기준으로 다른 측벽모듈(10)을 하향 조립시 상부 끼움블록(42)의 경사면(42a)이 하부 끼움블록(44)의 경사면(44a)과 미끄럼운동되어 인접하는 측벽모듈(10) 간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벽체모듈(10)의 측홈(32)과 대응하는 단부에 업힐돌부(22)가 배치되고, 업힐돌부(22) 저면과 측홈(32) 내주면이 교접되는 위치에 'ㄱ'형 설치홈(34)이 형성되며, 'ㄱ'형 설치홈(34)에 상부 끼움블록(42)의 상부 모서리부(42b)가 맞물려 위치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The fitting 40 is formed by dividing the upper and lower fitting blocks 42 and 44 into engagement with the inclined surfaces 42a and 44a, and the upper fitting block 42 is shorter than the lower fitting block 44. As it is formed, the upper fitting block 42 is biased to the upper side of the side groove 32, and the inclined surface 42a of the upper fitting block 42 is formed at an upward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side of the wall module 10, and the lower fitting block ( The inclined surface 44a of 44) is formed at a downward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side of the wall module 10, and when assembling another sidewall module 10 downward based on the pre-installed sidewall module 10, the upper fitting block 42 The inclined surface (42a) is provided to slide the inclined surface (44a) of the lower fitting block (44) and the attraction between the adjacent side wall modules (10),
An uphill protrusion 22 is disposed at an end corresponding to the side groove 32 of the wall module 10, and an 'a' type installation groove 34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uphill protrusion 2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groove 32 intersect. ) Is formed, the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dge portion 42b of the upper fitting block 42 is engaged and fixed to the 'a' type installation groove 34 .
상기 벽체모듈(10)은, 타공홀(12a)이 형성되거나, 분할판으로 이격 배치되어 틈새공간(12b)이 형성되는 실외측 목재보드(12)와, 실외측 목재보드(12)에 설치되는 투습방수지(14)와, 투습방수지(14) 상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레인스크린바(16)와, 레인스크린바(16)에 의해 실외측 목재보드(12)와 이격되어 공기순환층(18a)을 형성하는 외장재(1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4,
The wall module 10 is provided on the outdoor wooden board 12 and the outdoor wooden board 12 where the perforated hole 12a is formed or is spaced apart by a partition plate to form a clearance space 12b. Th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resin 14, the plurality of rain screen bars 16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resin 14, and the air circulation layer spaced apart from the outdoor wooden board 12 by the rain screen bars 16 Structure assembly system compris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 exterior material (18a) forming (18a).
상기 벽체모듈(10)과 대응하는 기초바닥(1) 상에 매립시공되고, 기초바닥(1) 내부골조(1a)에 지지되어 수평레벨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각관(100);
상기 베이스각관(100) 상면에 체결되어 하부 토대목(122)과, 하부 토대목 상면에 적층 체결되는 복수의 상부 토대목(124)으로 구성되는 토대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A base angle tube 100 which is buried on the base floor 1 corresponding to the wall module 10 and is supported by the inner frame 1a of the base floor 1 so as to adjust a horizontal leve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se portion 12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upper foundation trees 124 that are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ase tree 122 and the lower foundation tree 122 by being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leg tube 100;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the roof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상면에 하부 토대목(122)이 체결되는 수평설치면(102)과, 수평설치면(102)과 직교하는 실외측 측면에 수직설치면(104)이 형성되고, 수직설치면(104)에 장착되고 수평설치면(102)과 직교하도록 연장되어 토대부(120) 실외측 측면 및 벽체모듈(10)에 체결되는 실외측 수직플레이트(1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0,
The base angle tube 100 has a horizontal installation surface 102 on which the lower foundation 122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and a vertical installation surface 104 is formed on an outdoor side surface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installation surface 102, It is mounted on the vertical installation surface 104 and extend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installation surface 102,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door side vertical plate 160 is fastened to the outdoor side and the wall module 10 of the base portion 120 is provided.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the roof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상기 토대부(120) 실내측 측면을 마감하면서 실내바닥구조물(2) 설치구획을 형성하는 판상 방수단열재(1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1,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a plate-shaped waterproofing insulation material 180 is formed to form the installation section of the indoor floor structure 2 while closing the side of the foundation 120 on the indoor side.
상기 벽체모듈(10)에 의해 복수의 실내구획이 형성되고, 복수의 실내구획 중에 기초바닥(1) 높이가 기준 높이 대비 낮은 실내구획의 벽체모듈(10)을 지지하는 베이스각관(100) 내측면에는 멀티각관(110)이 설치되며, 멀티각관(110)은 베이스각관(100) 대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상면이 베이스각관(100)의 수평설치면(102)과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구비되며, 멀티각관(110) 측면에는 눈금(112)이 표시되어, 눈금(112)을 기준으로 기초바닥(1)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물빠짐 경사도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9,
A plurality of interior compartments are formed by the wall module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tube 100 supporting the interior wall module 10 having a lower base floor height than the reference height among the plurality of indoor compartments In the multi-angle tube 110 is installed, the multi-angle tube 110 is form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base angle tube 100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aligned with the horizontal installation surface 102 and the horizontal line of the base tube 100, On the side of the multi-angle pipe 110, a scale 112 is displayed, and the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so that the slope of water fall is adjusted by pouring concrete on the basis of the scale 112. Structure assembly system.
상기 베이스각관(100)은 레벨링부(130)에 의해 높낮이 조절되고, 상기 레벨링부(130)는 기초바닥(1) 타설 전에 거푸집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부에 암나사홀(132a)이 형성되는 고정측 지지관(132)과, 고정측 지지관(132)을 타고 상하 이송되고, 상부에 관통홀(134a)이 형성되는 유동측 지지관(134)과, 유동측 지지관(134)의 관통홀(134a)에 삽입된 상태로 스톱핀(137)에 의해 구속되고, 헤드부(136a)가 상부로 노출되고 수나사부(136b)가 고정측 지지관(132)의 암나사홀(132a)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136)와, 유동측 지지관(134) 상부에 설치되어 베이스각관(100)을 지지하는 받침브라켓(13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측 지지관(132) 및 유동측 지지관(134)에는 기초바닥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개방부(13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목조건물의 지붕모듈을 포함하는 구조물 조립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0,
The base angle tube 100 is height-adjusted by the leveling unit 130, and the leveling unit 130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formwork before the foundation floor 1 is placed, so that the female screw hole 132a is formed at the top. The support pipe 132 and the fixed-side support pipe 132 are transported up and down, and the flow-side support pipe 134 through which the through-hole 134a is formed and the through-hole of the flow-side support pipe 134 ( 134a), which is restrained by the stop pin 137, the head portion 136a is exposed to the top, and the male screw portion 136b is screwed to the female screw hole 132a of the fixed side support tube 132 Consists of an adjustment bolt 136 and a support bracket 138 installed on the flow side support tube 134 to support the base angle tube 100, and the fixed side support tube 132 and the flow side support tube 134 )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openings 139 are formed so that concrete flows into the inside when the foundation floor concrete is poured. The structure is assembled systems, including the roof module of the wooden build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7058A KR102089484B1 (en) | 2019-01-18 | 2019-01-18 |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7058A KR102089484B1 (en) | 2019-01-18 | 2019-01-18 |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9484B1 true KR102089484B1 (en) | 2020-03-17 |
Family
ID=7000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7058A Active KR102089484B1 (en) | 2019-01-18 | 2019-01-18 |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948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78118A (en) * | 2021-12-01 | 2022-04-05 | 广东中集建筑制造有限公司 | Modular building |
CN114351868A (en) * | 2022-01-26 | 2022-04-15 | 刘大为 | Assembled construction body, assembling method of assembled construction body and house assembling metho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46393A (en) * | 1992-11-04 | 1994-05-27 | Sekisui Chem Co Ltd | Roof unit with ceiling |
JPH09228476A (en) * | 1996-02-22 | 1997-09-02 | Noda Corp | Wood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
JP2000199267A (en) * | 1999-01-05 | 2000-07-18 | Toyota Woodyou Home Corp | Panel construction method using self-sustaining type exterior-wall corner panel |
JP2003193616A (en) * | 2001-12-27 | 2003-07-09 | Nippon Steel Corp | Building ceiling structure |
-
2019
- 2019-01-18 KR KR1020190007058A patent/KR10208948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46393A (en) * | 1992-11-04 | 1994-05-27 | Sekisui Chem Co Ltd | Roof unit with ceiling |
JPH09228476A (en) * | 1996-02-22 | 1997-09-02 | Noda Corp | Wood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
JP2000199267A (en) * | 1999-01-05 | 2000-07-18 | Toyota Woodyou Home Corp | Panel construction method using self-sustaining type exterior-wall corner panel |
JP2003193616A (en) * | 2001-12-27 | 2003-07-09 | Nippon Steel Corp | Building ceiling structur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78118A (en) * | 2021-12-01 | 2022-04-05 | 广东中集建筑制造有限公司 | Modular building |
CN114278118B (en) * | 2021-12-01 | 2023-12-01 | 广东中集建筑制造有限公司 | Modularized building |
CN114351868A (en) * | 2022-01-26 | 2022-04-15 | 刘大为 | Assembled construction body, assembling method of assembled construction body and house assembl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75445B2 (en) | Light weight modular units for staggered stacked building system | |
CA2757563C (en) |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 |
US4194339A (en) | Method for constructing town houses and the like | |
US4759160A (en) | Prefabricated concrete buildings with monolithic roof, wall, and floor members | |
KR102059880B1 (en) | A structure assembling system including a wall module of a wooden building | |
AU2018319415B2 (en) | A modular building system | |
US4073102A (en) | Premanufactured modular town house building construction | |
CA2508366C (en) | Vertical alignment and levelling of modular building units | |
KR102089484B1 (en) | A structure assembly system including a roof module of a wooden building | |
RU59088U1 (en) | DESIGN OF THE METAL FRAME OF THE CONSTRUCTION VOLUME BLOCK FOR A SMALL BUILDING | |
US20110047898A1 (en) | Building components and the buildings constructed therewith | |
US9453332B2 (en) | Building system, particularly a residential building | |
US20060254208A1 (en) | Paneling system and method | |
KR102044858B1 (en) | Foundation structure assembly system of wooden buildings | |
US20080289286A1 (en) | Method of constructing foundation substructure and a building | |
US3466818A (en) | Prefabricated buildings | |
CN115012518B (en) | Wall and floor slab connecting node and connecting method | |
KR101385554B1 (en) | Prefabricated construction using half slab | |
US20140196398A1 (en) | Masonry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asonry building | |
WO1995009954A1 (en) | Structural member and building structures | |
US20080148656A1 (en) | Bulilding Construction Kit | |
RU2713847C1 (en) | Prefabricated frame building | |
AU2009279384A1 (en) |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 |
JPH08253970A (en) | Building unit | |
CA245771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erecting buildings, and buildings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5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