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083B1 - 회로 설계의 누설 전력을 조기에 추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회로 설계의 누설 전력을 조기에 추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9083B1 KR102089083B1 KR1020180140031A KR20180140031A KR102089083B1 KR 102089083 B1 KR102089083 B1 KR 102089083B1 KR 1020180140031 A KR1020180140031 A KR 1020180140031A KR 20180140031 A KR20180140031 A KR 20180140031A KR 102089083 B1 KR102089083 B1 KR 1020890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kage power
- circuit design
- input signals
- average
- unit interv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30—Circuit design
- G06F30/32—Circuit design at the digital level
- G06F30/33—Design verification, e.g. functional simulation or model checking
- G06F30/3308—Design verification, e.g. functional simulation or model checking using simul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83—Generation of test inputs, e.g. test vectors, patterns or sequences
- G01R31/318342—Generation of test inputs, e.g. test vectors, patterns or sequences by preliminary fault modelling, e.g. analysis, simulation
- G01R31/318357—Simul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30—Circuit design
- G06F30/36—Circuit design at the analogue level
- G06F30/367—Design verification, e.g. using simulation, simulation program with integrated circuit emphasis [SPICE], direct methods or relaxation metho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4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hard- or software simulation or using knowledge-based systems, e.g. expert systems, artificial intelligence or interactive algorithms
- G01R31/2848—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hard- or software simulation or using knowledge-based systems, e.g. expert systems, artificial intelligence or interactive algorithms using simul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83—Generation of test inputs, e.g. test vectors, patterns or sequences
- G01R31/318314—Tools, e.g. program interfaces, test suite, test bench, simulation hardware, test compiler, test program languag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30—Circuit design
- G06F30/32—Circuit design at the digital level
- G06F30/327—Logic synthesis; Behaviour synthesis, e.g. mapping logic, HDL to netlist, high-level language to RTL or netlis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9/00—Details relating to the type or aim of the analysis or the optimisation
- G06F2119/06—Power analysis or power optim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회로 설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회로 설계의 입력 신호들 및 출력 신호들의 예시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단계 S600의 예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누설 전력 모델을 생성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누설 전력 모델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누설 전력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 8의 방법에 따라 수행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단계 S800의 예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레퍼런스 입력 신호들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집적 회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저장 매체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Claims (20)
-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입력 신호들이 인가되는 입력들을 포함하는 회로 설계의 누설 전력을 추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전력을 추정하는 방법은,
레퍼런스 입력 신호들에 따라 상기 회로 설계를 기능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생성된 파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파형 데이터에 따라 상기 회로 설계의 소비 전력을 계산함으로써 생성되고 상기 파형 데이터에 동기된 누설 전력의 그래프를 포함하는, 누설 전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파형 데이터 및 상기 누설 전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회로 설계의 누설 전력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누설 전력 모델에 기초하여 테스트 입력 신호들에 따라 상기 회로 설계를 기능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상기 회로 설계의 누설 전력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전력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단위 구간 마다 상기 레퍼런스 입력 신호들 각각의 평균 레벨들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위 구간 마다 상기 누설 전력의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전력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구간 동안 상기 테스트 입력 신호들 각각의 평균 레벨들을 상기 누설 전력 모델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력 모델은, 단위 구간 동안 상기 입력들에 인가되는 상기 입력 신호들 각각의 평균 레벨들에 대응하는 상기 누설 전력의 단위 구간 동안 평균을 제공하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력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선형 함수로서 상기 누설 전력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력 모델은, 단위 구간 동안 상기 입력들에 인가되는 상기 입력 신호들 각각의 평균 레벨들로부터 상기 누설 전력의 단위 구간 동안 평균을 계산하는, 선형 함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력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입력 신호들 각각의 평균 레벨들이 상호 동일한 단위 구간들을 하나의 단위 구간으로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상기 단위 구간들의 누설 전력들의 평균들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 설계는 클락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구간은, 상기 클락 입력에 인가되는 클락 신호의 주기(cycle)의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력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제1 단위 구간에서, 상기 레퍼런스 입력 신호들 각각의 제1 평균 레벨들 및 상기 누설 전력의 제1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 및
제2 단위 구간에서, 상기 레퍼런스 입력 신호들 각각의 제2 평균 레벨들 및 상기 누설 전력의 제2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력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평균 레벨들 및 상기 제2 평균 레벨들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단위 구간 및 상기 제2 단위 구간을 하나의 단위 구간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제1 평균 및 상기 제2 평균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력을 추정하는 단계는, 단위 구간 마다 상기 누설 전력 모델의 출력을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력을 추정하는 방법은,
상기 회로 설계의 입력 신호들의 조건을 획득하는 단계; 및
난수 및 상기 입력 신호들의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레퍼런스 입력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 설계는, 복수의 소자들 및 상기 복수의 소자들의 연결관계를 정의하는 네트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형 데이터는, VCD(Value Change Dump) 포맷 및 FSDB(Fast Signal DataBase)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입력 신호들이 인가되는 입력들을 포함하는 회로 설계의 누설 전력을 추정하기 위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레퍼런스 입력 신호들에 따라 상기 회로 설계를 기능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생성된 파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파형 데이터에 따라 상기 회로 설계의 소비 전력을 계산함으로써 생성되고 상기 파형 데이터에 동기된 누설 전력의 그래프를 포함하는, 누설 전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파형 데이터 및 상기 누설 전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회로 설계의 누설 전력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누설 전력 모델에 기초하여 테스트 입력 신호들에 따라 상기 회로 설계를 기능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상기 회로 설계의 누설 전력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전력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단위 구간 마다 상기 레퍼런스 입력 신호들 각각의 평균 레벨들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위 구간 마다 상기 누설 전력의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전력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구간 동안 상기 테스트 입력 신호들 각각의 평균 레벨들을 상기 누설 전력 모델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력 모델은, 단위 구간 동안 상기 입력들에 인가되는 상기 입력 신호들 각각의 평균 레벨들에 대응하는 상기 누설 전력의 단위 구간 동안 평균을 제공하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력 모델은, 단위 구간 동안 상기 입력들에 인가되는 상기 입력 신호들 각각의 평균 레벨들로부터 상기 누설 전력의 단위 구간 동안 평균을 계산하는, 선형 함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 삭제
- 삭제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력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레퍼런스 입력 신호들 각각의 평균 레벨들이 상호 동일한 단위 구간들을 하나의 단위 구간으로 그룹핑하고, 그룹핑된 상기 단위 구간들의 누설 전력들의 평균들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시, 입력 신호들이 인가되는 입력들을 포함하는 회로 설계의 누설 전력을 추정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저장 매체로서, 상기 동작들은,
레퍼런스 입력 신호들에 따라 상기 회로 설계를 기능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생성된 파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파형 데이터에 따라 상기 회로 설계의 소비 전력을 계산함으로써 생성되고 상기 파형 데이터에 동기된 누설 전력 그래프를 포함하는, 누설 전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파형 데이터 및 상기 누설 전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회로 설계의 누설 전력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누설 전력 모델에 기초하여 테스트 입력 신호들에 따라 상기 회로 설계를 기능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상기 회로 설계의 누설 전력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전력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단위 구간 마다 상기 레퍼런스 입력 신호들 각각의 평균 레벨들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단위 구간 마다 상기 누설 전력의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 전력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구간 동안 상기 테스트 입력 신호들 각각의 평균 레벨들을 상기 누설 전력 모델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인 저장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0031A KR102089083B1 (ko) | 2018-11-14 | 2018-11-14 | 회로 설계의 누설 전력을 조기에 추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US16/682,866 US10878155B2 (en) | 2018-11-14 | 2019-11-13 |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leakage power of circuit design at early st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0031A KR102089083B1 (ko) | 2018-11-14 | 2018-11-14 | 회로 설계의 누설 전력을 조기에 추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9083B1 true KR102089083B1 (ko) | 2020-03-16 |
Family
ID=6994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0031A Active KR102089083B1 (ko) | 2018-11-14 | 2018-11-14 | 회로 설계의 누설 전력을 조기에 추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878155B2 (ko) |
KR (1) | KR10208908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87626B (zh) * | 2020-10-26 | 2022-05-06 | 浙江大学 | 基于静态时序信息的开关电流模型拟合功耗变化波形方法 |
WO2023272615A1 (zh) * | 2021-06-30 | 2023-01-05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静态功耗估计方法及相关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71360A (ja) * | 2003-08-22 | 2005-03-17 |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 リーク電流感度(leakagecurrentsensitivity)を求め、それを用いて集積回路の設計を最適化する方法 |
JP2008234240A (ja) * | 2007-03-20 | 2008-10-02 | Fujitsu Ltd | 消費電力解析方法及び消費電力解析装置 |
KR20100025951A (ko) * | 2008-08-28 | 2010-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소자의 누설전류 예측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793239B2 (en) * | 2006-04-24 | 2010-09-07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of modeling leakage |
US8275331B2 (en) * | 2009-04-21 | 2012-09-25 | Qualcomm, Incorporated | PA gain state switching based on waveform linearity |
KR101139603B1 (ko) | 2010-08-24 | 2012-04-27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클럭 게이팅 집적 회로 장치의 소비 전력 예측 방법 |
US20160217239A1 (en) * | 2015-01-22 | 2016-07-28 | Synopsys, Inc. |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stimulation signals for power estimation |
-
2018
- 2018-11-14 KR KR1020180140031A patent/KR102089083B1/ko active Active
-
2019
- 2019-11-13 US US16/682,866 patent/US10878155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71360A (ja) * | 2003-08-22 | 2005-03-17 |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 リーク電流感度(leakagecurrentsensitivity)を求め、それを用いて集積回路の設計を最適化する方法 |
JP2008234240A (ja) * | 2007-03-20 | 2008-10-02 | Fujitsu Ltd | 消費電力解析方法及び消費電力解析装置 |
KR20100025951A (ko) * | 2008-08-28 | 2010-03-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소자의 누설전류 예측 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김종규, 이준환. 클럭 게이팅 적용회로의 상위수준 전력 모델링.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52, No.10, October 2015. 56-63쪽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151296A1 (en) | 2020-05-14 |
US10878155B2 (en) | 2020-1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02173B2 (en) | System for designing integrated circuit using extracted model parame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tegrated circuit using the same | |
CN106886623B (zh) | 用于设计具有布局前rc信息的集成电路的系统 | |
EP1989647B1 (en) | Computation of electrical properties of an ic layout | |
KR20190135550A (ko) | 셀 레벨 레이아웃 의존성 응력 효과들을 사용하는 셀의 배치 및 라우팅 | |
US9122833B2 (en) | Method of designing fin field effect transistor (FinFET)-based circuit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he same | |
TW201802712A (zh) | 用於積體電路設計之方法 | |
US10747916B2 (en) | Parameter generation for modeling of process-induced semiconductor device variation | |
JP2010020372A (ja) | 遅延ライブラリ、遅延ライブラリの作成方法、および遅延計算方法 | |
US20170344692A1 (en) | Computer-implemented method of designing an integrated circuit | |
US20160342719A1 (en) | Parameter generation for semiconductor device trapped-charge modeling | |
US20180231604A1 (en) |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and computing systems for designing integrated circuits by considering back-end-of-line | |
KR102089083B1 (ko) | 회로 설계의 누설 전력을 조기에 추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US8850374B2 (en) | Method of reducing parasitic mismatch | |
JP3926296B2 (ja) | 半導体集積回路の性能分散系算出装置及びその算出方法 | |
JPWO2012081158A1 (ja) | 回路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半導体集積回路 | |
TWI824233B (zh) | 具有漏電流中的統計變化之動態隨機存取記憶體通路電晶體的設計 | |
TWI777210B (zh) | 用於設計上下文感知電路的方法 | |
US7036096B1 (en) | Estimating capacitances using information including feature sizes extracted from a netlist | |
JP4871194B2 (ja) | パラメータ抽出方法及び当該パラメータ抽出方法を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具備する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 |
JP2005196265A (ja) | 遅延ライブラリ作成方法および遅延ライブラリ作成装置 | |
US12204839B2 (en) | Method for integrated circuit design | |
JP2009276822A (ja) | 半導体デバイス設計支援装置及び半導体デバイス設計支援方法 | |
US2019033293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clock network | |
KR20230144396A (ko) | 셀 라이브러리, 로컬 레이아웃 효과를 고려한 집적 회로를 설계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 및 집적 회로 설계 방법 | |
CN116127910A (zh) | 时钟树布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