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780B1 - Functional jumper with affected compression - Google Patents
Functional jumper with affected compress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8780B1 KR102088780B1 KR1020190118620A KR20190118620A KR102088780B1 KR 102088780 B1 KR102088780 B1 KR 102088780B1 KR 1020190118620 A KR1020190118620 A KR 1020190118620A KR 20190118620 A KR20190118620 A KR 20190118620A KR 102088780 B1 KR102088780 B1 KR 1020887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ffected area
- affected part
- sleeve
- affec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0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4088 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4604 Blow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AYPIBMASNFSPL-UHFFFAOYSA-N Ethylene oxide Chemical group C1CO1 IAYPIBMASNFSP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XVEUJTIZHZIHJM-UHFFFAOYSA-N a828782 Chemical compound CCOC(N)=O.CCOC(N)=O XVEUJTIZHZIH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94 fluo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05 pla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4—Garment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2—Professional or protective garments with pockets for particular uses, e.g. game pockets or with holding means for tool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 A41D13/057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in an openable pocket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 pa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70—Remova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부 압박 수단이 구비된 기능성 점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찰관, 군인, 산악대원 등과 같이 각종 사고 현장에 출동하여 부상자를 구급대원에게 인계하기 전에 부상부위를 감싸서 고정함으로써 추가적인 부상 또는 부상부위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환부 압박 수단이 구비된 기능성 점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jumper equipped with an affected part compression means, and more specifically, it is dispatched to various accident sites such as police officers, soldiers, mountain crews, etc., and additional wounds are wrapped or fixed by wrapping the wounded part before handing over the injured person to an ambulance. It relates to a functional jumper equipped with a wound compression means that can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injury.
일반적으로 경찰관, 군인, 산악대원 등은 치안, 교통정리 등의 기본적인 임무 이외에 사고현장, 훈련 및 작전 수행 중 발생하는 부상병, 낙상사고현장 등에 긴급히 투입되어 현장의 정리, 부상자의 구출 등의 부가적인 임무를 가지는 직업이다.In general, police officers, soldiers, and mountain crews are urgently put into the field of accidents, injuries that occur during the execution of training and operations, and fall accident sites, in addition to basic tasks such as security and traffic cleanup, and additional tasks such as cleanup of the site and rescue of the injured It is a job to have.
특히 경찰관의 경우 교통사고 현장에 신속히 이동하여 사고 현장을 정리하여 교통의 흐름을 복구하는 것 이외에도 사고차량으로부터 부상자를 구출한 후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까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In particular, in addition to restoring the flow of traffic by quickly moving to the scene of a traffic accident, police officers must rescue the injured from the accident vehicle and keep it stable until an ambulance arrives.
여기서 부상자의 안정적인 상태란 부상 부위를 고정하거나 출혈이 발생한 부위를 압박하여 출혈량을 감소시키거나 호흡이 불안정한 부상자의 경우 인공호흡을 통해 안정적인 호흡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Here, the stable state of the injured person is to fix the injured area or compress the bleeding area to reduce the amount of bleeding or to maintain stable breathing through artificial respiration in the case of an unstable inhaled person.
그러나, 현재의 경찰관은 부상 부위를 고정하거나 압박하기 위한 구급장비가 없거나 구급상자에 구비된 구급장비는 단순한 붕대이기 때문에 부상부위를 감는 정도이기 때문에 부상 부위의 안정적인 고정이 어렵고, 출혈 부위를 압박하지 못하여 출혈에 따른 쇼크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urrent police officers do not have first aid equipment for fixing or compressing the injured area, or the first aid kit provided in the first aid box is a simple bandage, so it is difficult to fix the injured area and it is difficult to fix the injured area.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prevent shock due to bleeding.
또한, 주 5일 근무에 따라 여가시간이 증가하여 야외 활동 시간이 늘어나고 있는데, 야외 활동 중 대표적인 것으로, 등산, 낚시, 자전거 및 각종 스포츠 등이 있다.In addition, leisure time increases with 5 days a week, so the time for outdoor activities is increasing. As a representative of outdoor activities, there are hiking, fishing, biking, and various sports.
이러한 야외 활동이 증가할수록 사고 발생율도 높아질 수밖에 없는데, 교통수단 및 도로 상황이 잘 갖춰진 도심에서는 구급차 또는 구급용 헬기가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사고 현장으로 이동이 가능하나, 도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의 산속 또는 해상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구급용 헬기나 구급용 선박이 사고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As these outdoor activities increase, the incidence of accidents will inevitably increase. In urban centers with well-equipped transportation and road conditions, ambulances or ambulance helicopters can move to the accident site in a relatively short time, but they are located in the mountains or sea far from the city center.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time is required until an emergency helicopter or emergency ship arrives at the accident site.
그리고, 경찰관의 경우 자동차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 현장에 도착하여 사고차량 또는 주변의 부상자를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킨 후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변 상황을 정리해야 하는데, 부상자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부상 부위를 잘못 건드려 부상 부위가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구급대원이 오기 전까지는 사고 현장을 정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ar accident, the police officer should arrive at the accident site and move the injured vehicle or the injured person to a safe place, and arrange the surrounding situa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traffic flow.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site of the accident could not be cleaned up until an ambulance officer came, because the injured area could be worsened by touching the wrong number.
한편, 군인의 경우 훈련 또는 군사 작전 중 부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부상이 발생한 군인을 의무병이 치료하는 과정에서 부상 부위를 제대로 압박하지 못하여 추가적인 부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부상병을 이동 또는 후송하는 과정에서 어깨동무나 등에 업고서 이동할 때 부상 부위가 흔들려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oldiers, injuries may occur during training or military operation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dditional injuries occur due to failure to properly press the injured part in the course of the medical personnel treating the injured soldiers, and the process of moving or evacuating the injured soldiers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d serious sequelae because the injured part was shaken when moving with a shoulder or back.
그리고, 산악대원의 경우 추락 또는 접질림 등에 의한 부상자의 부상 부위를 압박하여 구급용 헬기를 통해 이송해야 하나, 구급용 헬기가 접근하기 어려운 지형 또는 강풍이 심해서 구급용 헬기가 이륙하지 못하는 경우에 구급대원은 부상자의 부상부위에 부목(副木)을 맞댄 후 붕대로 감싸서 고정한 후 들것을 이용하거나 부상자를 부축하여 구급용 헬기가 접근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거나 하산해야 했다.Also, in the case of a mountain crew, the injured part of the injured person due to a fall or fold or the like should be transported through an ambulance helicopter, but if the ambulance helicopter cannot take off because the terrain or strong wind is difficult to access. Won had to put a splint on the injured part of the injured, wrap it in a bandage and fix it, then use a stretcher or support the injured to move or descend to a position accessible by emergency helicopters.
그러나 상기의 경우와 같이 부상자를 이동 시키는 과정에서 부상 부위를 제대로 압박하지 못하는 경우 부상 부위에 심각한 추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 출혈에 의해 의복 및 붕대가 손상되기 때문에 정확한 출혈 부위를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f the injured area is not properly compressed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injured person as in the above case, serious additional damage may occur to the injured area, and if bleeding occurs, the bleeding will damage the clothes and bandages.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difficult to fin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특히 경찰관, 군인 등과 같이 사고 현장이나 화재 현장 또는 부상병의 위치에 도착한 후 부상자를 안전한 위치로 이동시킬 때 부상자의 부상 부위를 압박하여 고정한 상태로 이동시켜 부상 부위를 보호하면서도 부상자를 안전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환부 압박 수단이 구비된 기능성 점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particular, when an injured part is moved to a safe position after arriving at an accident site, a fire site, or an injured position, such as a police officer, a soldier, etc.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jumper equipped with a means for compressing the affected area to move the injured to a safe position while protecting the injured area by moving.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몸통과, 상기 몸통에 구비된 한 쌍의 소매를 포함한 점퍼에 있어서,In the jumper including a body and a pair of sleeves provided on the body,
상기 소매에는 소매의 길이 방향 또는 소매의 둘레 방향 중 어느 하나를 따라 형성된 환부 압박 포켓;The sleeve may include an affected part compression pocket formed in either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sleeve or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leeve;
상기 환부 압박 포켓의 입구를 통해 내부로 투입되어 경화됨으로서 환자의 환부를 압박 고정하는 환부 압박용 발포제;A foaming agent for compressing the affected part to press and fix the affected part by being cured by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entrance of the affected part compression pocket;
상기 환부 압박 포켓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A co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of the affected area compression pocket;
상기 소매를 상기 몸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고,Includes; coupling mean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sleeve to the body;
상기 환부 압박 포켓은,The affected area compression pocket,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경계부가 형성되어 상기 경계부에 의해 다수개의 구획 공간으로 구획되며, A plurality of boundary porti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sion spaces by the boundary portion,
상기 경계부에는 야광성 물질이 충진된 구획재가 배치되고, A partition material filled with a luminous material is disposed at the boundary,
상기 구획재는 외부 압력에 의해 파손되고, 상기 환부 압박 포켓의 입구를 통해 투입된 환부 압박용 발포제와 혼합되어 환부 압박 포켓에 충진되어 환부 확인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rtitioning material is damaged by external pressure, and is mixed with a foaming agent for compressing the affected part injected through the inlet of the affected part compressing pocket and filled in the affected part pressing pocket, thereby making it easy to confirm the affected part.
이때, 상기 구획재는, 겔(gel) 형태로 이루어진 축광성 물질과, 상기 축광성 물질을 보호하는 캡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partitioning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gel (gel) photoluminescent material and a capsule protecting the photoluminescent material.
한편, 상기 환부 압박 포켓은, 상기 소매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외부에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ffected area compression pocke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transparent portion that can be seen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exposed from the sleeve.
그리고, 상기 소매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상기 환부 압박 포켓의 테두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수단이 구비된 고정띠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leeve is made of a belt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band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means for detachably coupled to the rim of the affected area compression pocket on one side.
이때, 상기 환부 압박 포켓은, 상기 몸통의 길이 방향 또는 둘레 방향 중 어느 하나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affected area po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eith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나아가, 상기 환부 압박용 발포제는, 발포 가능한 에폭시(Epoxy) 또는 우레탄(Urethane) 또는 물(Water)과 반응하여 경화하는 분말 형태의 석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말 형태의 석고는 상기 환부 압박 포켓의 내부에 미리 충진되어 투입되는 물과 반응하여 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oaming agent for compressing the affected area is made of any one of powdery gypsum that is cured by reacting with foamable epoxy or urethane or water, and the powdery type plaster is the affected area compression pock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hardened by reacting with water that is pre-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input.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사고 현장 또는 화재 현장에 출동하는 경찰관 또는 군인이 착용하는 점퍼에 부상자의 환부를 압박할 수 있는 환부 압박 포켓이 구비되어 경찰관, 군인이 부상자에게 점퍼 또는 점퍼의 일부만을 분리하여 착용 시킨 후 환부 압박용 발포제를 환부 압박 포켓에 투입하면 상기 환부 압박용 발포제가 경화되면서 환부를 고정 압박하여 부상자의 부상 부위를 고정한 상태로 부상자를 안전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부상자의 이동시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jumper worn by a policeman or a soldier dispatched to the scene of an accident or fire is provided with a pocket for compressing the affected part of the injured, so that the policeman or the soldier has only a part of the jumper or jumper for the injured. After putting it on and wearing it, the foaming agent for compressing the affected area is put into the pocket for compressing the affected area. Damage can be prevented.
또한, 환부 압박 포켓의 내부에 축광성 물질이 충진된 구획재가 배치되고, 상기 구획재를 경찰관 또는 군인이 외부에서 가압하여 파괴 후 환부 압박용 발포제를 투입하면, 축광성 물질과 환부 압박용 발포제가 혼합되면서 외부에서 부상자의 환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부상자를 식별할 수 있어 구급대원, 의사, 간호사 등이 부상 부위를 찾기 위한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 compartment filled with a photoluminescent material is disposed inside the affected area compression pocket, and when a police officer or a soldier presses the compartment outside and destroys it, a foaming agent for compressing the affected area is added, and the photosensitive material and the foamed material for affected area compression are added. As it is mixed,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affected part from the outside and to identify the injured, so an emergency responder, doctor, nurse, etc. saves time to find the injured part, so there is an advantage of rapid respon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부 압박 수단이 구비된 기능성 점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환부 압박 포켓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부 압박 수단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획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매를 이용하여 다리를 감싸는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Figure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unctional jumper equipped with a wound press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ffected part pocke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use state of the affected part press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artition material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wrapping a leg using a slee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Hereinafter,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 will be apparent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부 압박 수단이 구비된 기능성 점퍼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describe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unctional jumper equipped with a wound press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환부 압박 수단이 구비된 기능성 점퍼(1)는, 몸통(10)과 상기 몸통(10)에 구비된 한 쌍의 소매(20)를 포함한 점퍼(1)에 있어서, 상기 소매(20)에 형성된 환부 압박 포켓(30)과,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의 입구(31)를 통해 내부로 투입되어 경화되는 환부 압박용 발포제(40)와,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의 입구(31)를 개폐하는 커버(50)와, 상기 소매(20)를 상기 몸통(10)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60)을 포함한 것으로, 상기 환부 압박용 발포제를 환부 압박 포켓에 투입하여 발포제가 경화되어 환부를 압박 고정할 수 있어 부상자의 환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부상자가 이동할 수 있어 추가적인 피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First, the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환부 압박 포켓(30)은 소매(20)의 길이 방향 또는 둘레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매(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the affected
여기서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은 투입되는 환부 압박용 발포제(40)가 발포되는 과정에서 부피가 증가하면 이에 대응하여 팽창할 수 있는 신축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은 도면 중 도시된 직선 형태 이외에도 완만한 곡선 또는 파(波)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곡선형 또는 파형의 경우 환부 압박용 발포제(40)가 투입되는 면적이 넓어지고 이에 따라 투입되는 양도 많아지기 때문에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파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투입된 환부 압박용 발포제(40)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부피가 팽창하면 인접한 부위로 이동하면서 팽창 및 경화되어 환부 압박 포켓(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affected
한편,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일면이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통해 후술하는 구획재(34)가 환부 압박용 발포제(40)와 혼합 후 경화되면 이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야간, 우천 등과 같이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상기 구획재(34)를 구성하는 축광성 물질을 통해 외부에서 환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ffected
여기서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의 노출된 일면은 평상시 이물질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띠(21)에 의해 덮여진 상태로 대기한다.Here, the exposed side of the affected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에는 길이 방향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환부 압박용 발포제(40)가 투입되는 입구(31)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31)는 후술하는 커버(5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배치된다.At least one of the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with an
여기서 상기 입구(31)는 환부 압박 포켓(30)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되거나 환부 압박 포켓(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환부 압박용 발포제(40)를 복수의 위치에서 투입할 수 있고, 후술하는 경계부(32)에 의해 환부 압박 포켓(30)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상태에서 각각의 공간에 입구(31)를 배치하여 필요한 위치의 공간에만 환부 압박용 발포제(40)를 투입할 수 있다.Here, the
또한, 입구(31)가 환부 압박 포켓(30)의 길이 방향 양단 중 어느 일단에만 형성되는 것에 비해 환부 압박용 발포제(40)가 이동이 상대적으로 용이한데, 이는 하나의 입구(31)를 통해 투입된 환부 압박용 발포제(40)가 투입 후 발포 및 경화가 진행되면, 경화가 진행된 선단부가 환부 압박 포켓(30)을 내부 공간을 채우기 때문에 후속으로 투입되는 환부 압박용 발포제(40)의 이동을 방해하거나 발포 경화된 선단부가 환부 압박 포켓(30)의 내면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입구를 형성하거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let is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ffected
상기 경계부(32)는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을 다수개의 구획 공간(33)으로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경계부(32)를 통해서 환부 압박 포켓(30)을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區劃)하는 것은 각각의 공간이 독립되는 것이 아닌 상호 연통되는 것이다. 즉, 상기 경계부(32)는 후술하는 구획재(34)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돌기(321)와 상기 돌기(321) 사이에 형성된 구획재 끼움홈(322)으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The
이러한 경계부(32)는 점퍼를 입은 상태의 경찰관, 군인이 일반적인 활동시에 구획재(34)의 위치 이탈을 최소화하고, 부상자에게 착용시 경찰관, 군인이 구획재를 외부에서 가압하여 파손하면 경계부(32)의 양측으로 축광성 물질(341)이 이동하여 투입된 환부 압박용 발포제(40)와 혼합된다.The
상기 고정띠(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의 테두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수단(22)이 구비된다.The fixing
이때 상기 고정띠(21)는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의 일면을 보호하는 역할 이외에도 환부 압박용 발포제(40)가 투입되어 부상 부위를 압박한 상태에서 고정띠(21)를 이용하여 부상자의 목, 허리 등을 감싸서 환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role of protecting the one surface of the affected
즉,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상자의 부상 부위가 팔꿈치에서 손목에 이르는 팔의 하부 부위인 경우에 환부 압박 포켓(30)에 환부 압박용 발포제(40)를 투입하여 발포 경화된 후 상기 고정띠(21)의 일단은 소매(20)를 감싸고 타단은 부상자의 목을 감싼 후 양단을 결속하여 부상자의 이동시 환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That is,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injured part of the injured is the lower part of the arm from the elbow to the wrist, the foaming
또한, 상기 고정띠(21)는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타단이 체결 가능한 버클(buckle)이 구비되어 고정띠(21)의 양단을 결합함과 동시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ing
한편, 상기 고정띠(21)는 환부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상자의 목을 감싸기 위해 환부 압박 포켓(30)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의 일면을 덮을 때 외부로 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접히고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접힘부(211)가 더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여기서 상기 접힘부(211)는 고정띠(21)의 길이 방향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되 형성되는 부위의 폭 방향 양단을 재봉하여 형성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접힘 상태를 유지하다가 위급시 경찰관 또는 군인이 고정띠의 길이 방향 양단을 잡고 벌리면 접힘부(211)의 재봉한 부위가 파손되면서 접힘부가 풀리는 것이다.Here, the folded
한편, 상기 고정띠(21)에 형성된 착탈수단(22)은 고정띠(21)에 일면에 형성된 후크(hook)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의 테두리에는 루프(loop)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와 루프가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착탈수단(22)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띠(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숫단추와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의 테두리에 배치되되 상기 숫단추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암단추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tachable means 22 formed on the fixing
한편, 상기 구획재(34)는 겔(gel) 형태로 이루어진 축광성 물질(341)과, 상기 축광성 물질(341)을 보호하는 캡슐(342)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경계부(32)에 배치되어 경찰관 또는 군인이 환부 압박용 발포제(40)를 입구(31)에 투입하기 이전 또는 이후에 구획재(34)를 가압하여 파괴시켜 축광성 물질이 환부 압박용 발포제와 혼합되도록 하고, 이후 환부 압박용 발포제가 발포 및 경화된 후 축광성 물질이 외부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 및 구급대원이 부상자의 환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환부 압박용 발포제(40)는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의 입구(31)를 통해 환부 압박 포켓(30)의 내부로 투입되어 발포 및 경화되면서 부상자의 환부를 압박 고정하는 것으로, 발포 가능한 에폭시(Epoxy) 또는 우레탄(Urethane) 또는 물(Water)과 반응하여 경화하는 분말 형태의 석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말 형태의 석고는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의 내부에 미리 충진되어 투입되는 물과 반응하여 경화되는 것이다.The foaming
이러한 환부 압박용 발포제(40)는 노즐을 통해 스프레이 형태로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oaming
상기 커버(50)는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의 입구(31)를 개폐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소매(20)의 외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경찰관 또는 군인이 일상 생활에서는 입구(31)를 커버(50)로 폐쇄하고, 부상자의 환부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커버(50)를 개방하여 환부 압박용 발포제(40)를 환부 압박 포켓(30)으로 투입하며 투입이 완료된 후 커버(50)로 입구(31)를 폐쇄하여 투입된 환부 압박용 발포제(40) 또는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이때 상기 커버(50)가 입구(31)를 폐쇄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일면에는 경찰관 또는 군인이 입구를 찾기 용이하도록 하고, 야간과 같이 시야 확보가 제한적인 상황에서도 입구를 찾을 수 있도록 야광 또는 축광성 물질이 도포되거나 야광 또는 축광성 물질이 포함된 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그리고, 상기 커버(50)가 입구(31)를 폐쇄한 상태에서 입구(31)를 폐쇄한 방향에는 축광성 물질이 포함된 구획재(34)가 배치될 수 있고 환부 압박용 발포제(40)를 투입한 후 커버(50)를 외부에서 가압하여 구획재(34)를 파손시켜 축광성 물질과 환부 압박용 발포제가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A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이를 통해 시야 확보가 제한적인 상황에서도 부상자의 환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check the affected part of the injured person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visibility is limited.
상기 결합수단(60)은 상기 소매(20)를 몸통(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소매(20)와 몸통(10)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파스너(fastener)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The coupling means 60 i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60)의 부위에 의해서 외부의 공기가 몸통 또는 소매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결합수단(60)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아 미관을 저해하지 않기 위하여 상기 소매(20)에는 상기 결합수단(60)을 덮는 가림천(61)이 더 배치될 수 있다.And, by preventing the external air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body or sleeve by the portion of the coupling means 60, and not exposing the coupling means 60 to the outside, the
여기서 상기 가림천(61)은 일단은 소매의 외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몸통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일면에 후크 또는 루프가 구비되고 상기 몸통의 외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루프 또는 후크가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상기 가림천(61)을 통해 결합수단(60)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결합수단(60)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차단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키고 점퍼의 기본적인 성능인 착용자의 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Without exposing the coupling means 60 to the outside through the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매(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매(20)를 전개 또는 결합하도록 하는 전개수단(70)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전개수단(70)은 상기의 파스너로 이루어져 소매(20)를 전개한 후 부상자의 환부에 맞댄 후 결합하여 환부를 감싸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5, deployment means 70 may be further provided to deploy or engage the
이를 통해 부상자의 환부 이동을 최소화하면서도 환부를 감쌀 수 있는 것으로, 특히 환부가 팔, 다리인 경우 소매(20)가 결합된 상태에서 팔 또는 다리를 소매(20)에 끼우는 과정에서 환부가 움직여 추가적인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rough this, the affected part can be minimized while the affected part is moved, and in particular, when the affected part is the arm or leg, the affected part is moved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arm or leg into th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결합수단(60)을 통해 경찰관, 군인은 부상자의 환부에 따라 소매(20)를 몸통에서 분리한 후 환부를 감싸서 압박 고정함으로써 환부의 위치 이동을 최소화하면서 부상자의 환부에 대한 초기 대응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Police officers and soldiers through the engaging means 60 made as described abov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is provided to help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Anyon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the thing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below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
1 : 환부 압박 수단이 구비된 기능성 점퍼
10 : 몸통
20 : 소매
21 : 고정띠 22 : 착탈수단
30 : 환부 압박 소켓
31 : 입구 32 : 경계부
33 : 구획 공간 34 : 구획재
35 : 투시부
40 : 환부 압박용 발포제
50 : 커버
60 : 결합수단
61 : 가림천
70 : 전개수단1: Functional jumper equipped with affected part compression means
10: torso
20: Retail
21: fixing band 22: detachable means
30: affected part compression socket
31: entrance 32: boundary
33: compartment space 34: compartment material
35: fluoroscopy
40: foaming agent for compressing the affected area
50: cover
60: combining means
61: Garimcheon
70: deployment means
Claims (6)
상기 소매(20)에는 소매의 길이 방향 또는 소매의 둘레 방향 중 어느 하나를 따라 형성된 환부 압박 포켓(30);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의 입구(31)를 통해 내부로 투입되어 경화됨으로서 환자의 환부를 압박 고정하는 환부 압박용 발포제(40);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의 입구(31)를 개폐하는 커버(50);
상기 소매(20)를 상기 몸통(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60);을 포함하고,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경계부(32)가 형성되어 상기 경계부(32)에 의해 다수개의 구획 공간(33)으로 구획되며,
상기 경계부(32)에는, 내부에 축광성 물질이 충진된 구획재(34)가 배치되고,
상기 구획재(34)는 외부 압력에 의해 파손되고,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의 입구(31)를 통해 투입된 환부 압박용 발포제(40)와 혼합되어 환부 압박 포켓(30)에 충진되어 환부 확인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압박 수단이 구비된 기능성 점퍼.
In the jumper (1) including a body (10) and a pair of sleeves (20) provided on the body (10),
The sleeve (20) has a sleeve compression pocket (30) formed along eith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eeve or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leeve;
A foaming agent 40 for compressing the affected part by pressing and fixing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by being cured by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inlet 31 of the affected part compression pocket 30;
A cover 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31 of the affected part compression pocket 30;
Containing means (60) for detachably coupling the sleeve (20) to the body (10); includes,
The affected part compression pocket 30,
A plurality of boundary portions 3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sion spaces 33 by the boundary portion 32,
In the boundary portion 32, a partition material 34 filled with a photoluminescent material is disposed therein,
The compartment 34 is broken by external pressure, mixed with the blowing agent 40 for pressing the affected part, which is injected through the inlet 31 of the affected part compression pocket 30, and filled in the affected part compression pocket 30 to check the affected part Functional jumper equipped with the affected part pressing means characterized by this easy.
겔(gel) 형태로 이루어진 축광성 물질(341)과, 상기 축광성 물질(341)을 보호하는 캡슐(3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압박 수단이 구비된 기능성 점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rtition member 34,
Functional jumper provided with the affected part press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gel (gel) photoluminescent material 341 and the capsule 342 protecting the photoluminescent material 341.
상기 소매(20)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외부에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부(3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압박 수단이 구비된 기능성 점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ffected area pocket 30,
Functional jumper provided with a press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see-through portion 35 that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on the surface exposed from the sleeve 20 to the outside.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상기 환부 압박 포켓(30)의 테두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수단(22)이 구비된 고정띠(2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압박 수단이 구비된 기능성 점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eeve (20),
It is made in the form of a strip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ffected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band 21 further comprises a detachable means 22 detachably coupled to the rim of the affected part compression pocket 30 on one surface is further provided Functional jumper with compression means.
상기 몸통(10)의 길이 방향 또는 둘레 방향 중 어느 하나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부 압박 수단이 구비된 기능성 점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affected area compression pocket (30),
Functional jumper provided with a press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eith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8620A KR102088780B1 (en) | 2019-09-26 | 2019-09-26 | Functional jumper with affected compress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8620A KR102088780B1 (en) | 2019-09-26 | 2019-09-26 | Functional jumper with affected compress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8780B1 true KR102088780B1 (en) | 2020-03-13 |
Family
ID=6993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8620A Active KR102088780B1 (en) | 2019-09-26 | 2019-09-26 | Functional jumper with affected compress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878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0788U (en) * | 2021-10-14 | 2023-04-21 | 오광일 | Vest for compressio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58042A (en) * | 1981-09-30 | 1983-04-06 | ハワ−ド・シ−・バロン | Human body compressing apparatus |
US4852557A (en) * | 1988-05-24 | 1989-08-01 | Royce Medical Company | Soft-goods type, formable orthopaedic cast |
KR101029899B1 (en) * | 2011-02-10 | 2011-04-18 | 오기림 | Counseling for Fracture Injuries |
KR20120055298A (en) * | 2010-11-23 | 2012-05-31 | 김상기 | Easy portable medical supporting ankle |
KR101444898B1 (en) | 2013-04-29 | 2014-09-26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Clothes for sport with rescue means |
KR20140139252A (en) | 2013-05-27 | 2014-12-05 | 손재문 | Leggings with sports clothing |
WO2018005808A1 (en) * | 2016-06-30 | 2018-01-04 | Deren Jeffrey A | Inflatable splint for medical treatment |
-
2019
- 2019-09-26 KR KR1020190118620A patent/KR10208878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58042A (en) * | 1981-09-30 | 1983-04-06 | ハワ−ド・シ−・バロン | Human body compressing apparatus |
US4852557A (en) * | 1988-05-24 | 1989-08-01 | Royce Medical Company | Soft-goods type, formable orthopaedic cast |
KR20120055298A (en) * | 2010-11-23 | 2012-05-31 | 김상기 | Easy portable medical supporting ankle |
KR101029899B1 (en) * | 2011-02-10 | 2011-04-18 | 오기림 | Counseling for Fracture Injuries |
KR101444898B1 (en) | 2013-04-29 | 2014-09-26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Clothes for sport with rescue means |
KR20140139252A (en) | 2013-05-27 | 2014-12-05 | 손재문 | Leggings with sports clothing |
WO2018005808A1 (en) * | 2016-06-30 | 2018-01-04 | Deren Jeffrey A | Inflatable splint for medical treatmen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0788U (en) * | 2021-10-14 | 2023-04-21 | 오광일 | Vest for compression |
KR200497416Y1 (en) * | 2021-10-14 | 2023-11-02 | 오광일 | Vest for compress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178502A (en) | Anatomical compression device | |
US9770061B2 (en) | Emergency head covering cold pack for head trauma, concussions, wounds or migraines | |
WO2011100074A1 (en) | A first-aid treatment kit and resupply system | |
US20110094020A1 (en) | Protective Ensemble | |
ES2908619T3 (en) | Set for release and rescue | |
KR102088780B1 (en) | Functional jumper with affected compression | |
US3467085A (en) | First aid strap | |
US20240000639A1 (en) | Foldable Survival Stretcher | |
US20220175394A1 (en) | Holster and Tourniquet Device and Method of Use | |
WO1996033630A1 (en) | Twin collar protective enclosure | |
US20240390011A1 (en) | Wearable safety tourniquet apparel | |
US3074398A (en) | Pneumatic splint | |
US11298139B2 (en) | Tourniquet belt | |
RU2140232C1 (en) | Medical transportation folding splint | |
US10966509B2 (en) | Carrying box integrateable in an article of clothing | |
KR102407958B1 (en) | Bulletproof clothing with emergency equipment for 5 minutes | |
KR102499844B1 (en) | Dressing cap | |
CN212937956U (en) | Sanitary soldier modular tactical first-aid vest | |
CN209473633U (en) | Combat rescue dual-purpose single-person carrying device | |
CN208974347U (en) | People's Armed Police's individual first-aid kit | |
US20210259395A1 (en) | Support strap with integrated windlass tourniquet | |
US4971047A (en) | Treating burns | |
CN211068826U (en) | High strength fire control safety belt | |
CN109043688A (en) | Dual-purpose single carry-over tool is rescued in war | |
CN222657329U (en) | Self-rescue first-aid kit for customs staf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9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