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393B1 - instant shunt type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instant shunt type circuit bre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8393B1 KR102088393B1 KR1020190136673A KR20190136673A KR102088393B1 KR 102088393 B1 KR102088393 B1 KR 102088393B1 KR 1020190136673 A KR1020190136673 A KR 1020190136673A KR 20190136673 A KR20190136673 A KR 20190136673A KR 102088393 B1 KR102088393 B1 KR 1020883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 shunt
- upper side
- movable switching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1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voltage falling below a predetermined value, e.g. for no-volt prot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74—Means for adjust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device will function to provid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과전류의 발생시 신속하게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구동신뢰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전원입력부와 부하출력부가 전후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에 배치되되, 전단부가 상기 전원입력부에 접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상측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며 후단부측이 상기 부하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스위칭부;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며 상기 가동스위칭부의 전단측이 전후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공간이 형성되되, 내측에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션트부가 수납된 제1수용부와, 개구타측이 상기 제1수용부의 상측과 인접하게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의 후측에 배치되며 전면부에 경사단턱이 전향 돌설된 트립부; 전단부가 상기 제1수용부의 상측에 대면 배치되되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가동스위칭부가 접점 연결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래치부; 상기 하우징부에 전후 회동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가 하단부에 연결된 핸들부; 및 상기 제2수용부에 관통 삽입되며 타단부가 상기 션트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상측에 걸림 배치되되, 상기 션트부가 탄발력을 통해 상기 래치부를 타격하도록 과전류 발생시 상기 가동스위칭부에 발생하는 흡인 자력에 의해 타단측이 일단측으로 수축 이동되는 자성체 재질의 흡인수축바를 포함하는 순시션트형 차단기를 제공한다.While th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upply unit and a load output unit spaced apart at the front and rear sides so as to improve driving reliability by quickly blocking current flow when an overcurrent occurs; A movable switch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power input unit and the load output unit, the front end being contact-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providing elastic recovery force to the upper side so as to be selectively spaced, and the rear end sid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ad output unit. ; It is supported by the upper side and is formed with a transit space open so that the front end side of the movable switching portion cross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containing the shunt portion supported by the upper side and receiving the opening side, A crossbar including a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djacent to the upper side of the one accommodation portion; A trip portion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crossbar and having an inclined stepped forward in the front portion; A front end portion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but a rear en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stepped portion such that the power input portion and the movable switching portion are contacted and pressed downwardly to press the crossbar; A handle unit coupled to the housing unit to be rotated back and forth, and a pressing member connected to the lower end to move upward and downward to press the latch unit downward according to a rotation direction; And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other end presses the shunt portion downward, by the suction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movable switching portion when an overcurrent occurs such that the shunt portion strikes the latch portion through the elastic force. Provided is a momentary-type circuit breaker including a suction and contraction bar made of a magnetic material whose other end contracts and moves to one end.
Description
본 발명은 순시션트형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과전류의 발생시 신속하게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구동신뢰성이 개선된 순시션트형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antaneous type circuit br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tantaneous type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driving reliability by quickly blocking the flow of current when an overcurrent occurs while th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설정값을 초과한 과전류가 흐르거나 회로 내에 누전이 발생하는 경우 전기선로의 개폐조작을 신속하게 전환시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부하측에 연결된 전기제품 및 선로의 파손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차단기는 수동 또는 자동 조작에 의해 구동되며, 바람직하게는 과전류가 발생시 자동으로 전류가 단락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In general, the circuit breaker prevents damage to electrical products and lines connected to the load side by rapidly switch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line when an overcurrent exceeding a set value or a short circuit occurs in the circuit to block the flow of current. Device. Such a circuit breaker is driven by manual or automatic operation, and preferably can be operated to automatically short circuit the current when an overcurrent occurs.
여기서, 종래에는 열팽창율이 다른 두 금속판을 붙여 놓고 과전류로 인한 열이 가해질 경우 열팽창율이 작은 쪽으로 휘는 특성을 이용한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는 통상 회로에 전류가 공급되면 저항이 발생하여 상기 바이메탈이 가열되고, 일정한 기준 이상의 과다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바이메탈이 휘어지면서 인접하여 닿아있는 트립부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바이메탈의 하부에 결합된 접촉단자가 입력터미널로부터 이격되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는 구조로 구동된다.Here, in the related art, a bimetal type circuit breaker using a property in which two metal plates having differe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are attached and bend to a smaller thermal expansion rate when heat due to overcurrent is applied. In a bimetal circuit breaker, when a current is supplied to a circuit, a resistance is generated to heat the bimetal, and when an excess current of a certain level or more flows, the bimetal is bent and drives a trip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In addition, the contact terminal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imetal is driven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flow of current is cut off by being separated from the input terminal.
그러나, 종래의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는 상기 바이메탈이 변형되는 시간이 발생됨으로 인해 전류를 즉각적으로 차단하지 못하고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전류가 차단되는 속도가 상대적으로 지연됨에 따라 차단기 내부의 구성부품뿐만 아니라 부하측에 연결된 전기제품 및 선로의 파손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imetal type circuit breaker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immediately cut off the current and is delayed due to the time during which the bimetal is deformed. Moreover, as the speed at which the current is cut off is relatively delay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mponents inside the circuit breaker as well as the electrical products connected to the load side and the line may be damaged.
이에 일부에서는 과전류가 발생시 전송되는 신호를 통해 트립바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영상변류기 방식의 차단기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영상변류기 방식의 차단기는 상기 영상변류기, 솔레노이드부,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은 복잡하고 고가의 부품을 포함하므로 차단기 자체의 제조단가 및 판매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잡한 부품이 상기 차단기의 내부에 조밀하게 설치되므로 제조난이도가 상승하며, 각 부품간이 과도하게 인접하여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in some cases, a circuit breaker of an image current transformer method that controls a trip bar to be driven through a signal transmitted when an overcurrent occurs is disclosed. However, such a video current transformer type circuit breaker includes a complicated and expensive component such as the video current transformer, a solenoid part, a printed circuit board, etc., thus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selling cost of the circuit breaker itself. In addition, since complicated parts are densely installed inside the breaker, manufacturing difficulty increase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lfunction occurs due to excessively adjacent part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과전류의 발생시 신속하게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구동신뢰성이 개선된 순시션트형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n instantaneous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driving reliability by quickly blocking the flow of current when an overcurrent occurs while th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입력부와 부하출력부가 전후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에 배치되되, 전단부가 상기 전원입력부에 접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상측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며 후단부측이 상기 부하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스위칭부;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며 상기 가동스위칭부의 전단측이 전후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공간이 형성되되, 내측에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션트부가 수납된 제1수용부와, 개구타측이 상기 제1수용부의 상측과 인접하게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의 후측에 배치되며 전면부에 경사단턱이 전향 돌설된 트립부; 전단부가 상기 제1수용부의 상측에 대면 배치되되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가동스위칭부가 접점 연결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래치부; 상기 하우징부에 전후 회동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가 하단부에 연결된 핸들부; 및 상기 제2수용부에 관통 삽입되며 타단부가 상기 션트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상측에 걸림 배치되되, 상기 션트부가 탄발력을 통해 상기 래치부를 타격하도록 과전류 발생시 상기 가동스위칭부에 발생하는 흡인 자력에 의해 타단측이 일단측으로 수축 이동되는 자성체 재질의 흡인수축바를 포함하되, 상기 션트부는 상단부 타측에 돌설된 타격돌기 및 상기 흡인수축바의 타단부가 걸림되어 하향 가압되도록 상기 타격돌기의 일측에 단차지게 함몰된 걸림단턱을 포함하는 션트블록과, 상기 제1수용부의 하면에 안착되되 상기 흡인수축바의 타단측이 압축 이동되어 상기 걸림단턱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션트블록을 상측으로 탄발 가압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순시션트형 차단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input unit and the load output unit is provided with a housing spaced apart at the front and rear sides; A movable switch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power input unit and the load output unit, the front end being contact-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providing elastic recovery force to the upper side so as to be selectively spaced, and the rear end sid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ad output unit. ; It is supported by the upper side and is formed with a transit space open so that the front end side of the movable switching portion cross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containing the shunt portion supported by the upper side and receiving the opening side, A crossbar including a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djacent to the upper side of the one accommodation portion; A trip portion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crossbar and having an inclined stepped forward in the front portion; A front end portion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portion, but a rear en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stepped portion such that the power input portion and the movable switching portion are contacted and pressed downwardly to press the crossbar; A handle unit coupled to the housing unit to be rotated back and forth, and a pressing member connected to the lower end to move upward and downward to press the latch unit downward according to a rotation direction; And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other end presses the shunt portion downward, by the suction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movable switching portion when an overcurrent occurs such that the shunt portion strikes the latch portion through the elastic force. The other end side includes a suction shrink bar made of a magnetic material that contracts and moves to one end, and the shunt portion is recessed stepwise on one side of the hitting projection so that the hitting protrusion protruding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shrinking bar are engaged and pressed downward. It includes a shunt block including a locking step, and a return spring that is se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but is compressed and moved to the upper side when the other end side of the suction and contraction bar is compressed and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step. It provides an instantaneous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순시션트형 차단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s, the instantaneous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과전류 유입시 가동스위칭부에 발생하는 흡인 자력에 의해 흡인수축바의 타단이 일측으로 압축 이동되면 그 단부에 걸림된 션트부의 구속이 해제되면서 탄발복원력을 통해 래치부를 직접 타격하여 전류가 단락되므로 종래에 트립부를 완전히 후퇴시키기 위한 정밀한 구조를 요구하지 않아 제조난이도가 개선될 수 있다.First, when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and contraction bar is compressed and moved to one side by the suction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movable switching part when overcurrent flows, the shunt part is locked from the end and the current is shorted by directly hitting the latch part through the elastic recovery force. In the prior art, the manufacturing difficulty can be improved by not requiring a precise structure to completely retract the tripping portion.
둘째, 흡인수축바가 흡인 자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압축 이동되면서 션트부의 구속이 즉각적으로 해제되면 션트블록이 튕기듯이 상측으로 탄발 이동되어 래치부를 강한 힘으로 타격하므로 종래의 저항열을 통해 휘어지는 바이메탈보다 전류 차단속도가 빠른 차단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Second, when the suction and contraction bar is instantly compressed by the suction magnetic force and the shunt part is immediately released, the shunt block is moved upwards like a bouncing and hits the latch part with strong force, thus blocking current than bimetal bent through conventional resistance heat. Fast breakers can be provided.
셋째, 전류 차단 후 흡인 자력이 소멸되면 흡인수축바의 타단부가 복귀 인장되되 션트블록의 일측에 하향 경사진 복귀슬라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션트블록을 하향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흡인수축바의 단부가 걸림단턱에 자동으로 복귀되므로 제품의 반복적인 작동에도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Third, when the suction magnetic force is extinguished after the current is cut off,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contraction bar is tensioned to return, but slides along the return slide surface inclined downward on one side of the shunt block, and simultaneously presses the shunt block downward and at the same time ends of the suction contraction bar. Since it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locking step, driving reliabil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even after repeated operation of the product.
넷째, 흡인수축바의 일측에 나사부가 형성됨에 따라 나사체결을 위해 회전시키면서 제2수용부에 관통 삽입되는 횡방향 위치가 용이하게 조절되므로 션트부를 하향 가압하는 흡인수축바의 압축하중을 기설정된 차단전류에 대응하여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구동신뢰성 및 호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Fourth, as the threaded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ction shrinking bar, the lateral position inserted through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s easily adjusted while rotating for screwing, so that the compression load of the suction shrinking bar that presses down the shunt portion is preset. Since it can be precisely adjusted in response to the current, driving reliability and compatibil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시션트형 차단기의 커버가 분리되어 내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시션트형 차단기에서 크로스바, 션트부 및 흡인수축바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시션트형 차단기의 정상 상태 예시도 및 A부분 확대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시션트형 차단기의 과전류 상태 예시도 및 B부분 확대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시션트형 차단기의 전류가 차단된 상태의 예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of the instantaneous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the inside is expose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rossbar, a shunt portion and a suction and contraction bar in an instantaneous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eady state of the instantaneous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nlarged view of part A.
4A and 4B are exemplary overcurrent states of the instantaneous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nlarged exemplary view of part B.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of the instantaneous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of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시션트형 차단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instantaneous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시션트형 차단기의 커버가 분리되어 내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시션트형 차단기에서 크로스바, 션트부 및 흡인수축바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시션트형 차단기의 정상 상태 예시도 및 A부분 확대예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시션트형 차단기의 과전류 상태 예시도 및 B부분 확대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시션트형 차단기의 전류가 차단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이때, 이하에서 설명될 순시션트형 차단기와 차단기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는 전선 및 부하출력부의 도시가 생략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of the instantaneous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FIG. 2 is a crossbar and shunt part of the instantaneous typ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contraction bar. And, Figures 3a and 3b is a normal state of the instant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rt A enlarged illustrative view, Figures 4a and 4b is an instant seat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the overcurrent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and an enlarged example of the B part, and FIG. 5 is an exemplary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of the instantaneous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off.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e instantaneous circuit breaker and the circuit breaker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same sense. In addition, Figure 5 is preferably understood that the illustration of the electric wire and the load output unit is omitted.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시션트형 차단기(300)는 하우징부(10), 가동스위칭부(320), 크로스바(330), 션트부(335), 트립부(340), 래치부(50), 핸들부(60) 및 흡인수축바(370)를 포함한다.1 to 5, the instantaneous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10)는 상기 차단기(300)의 구성부품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절연성 및 불연성의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우징부(10)의 내부에는 각 구성부품이 설치 및 조립되도록 구획격벽, 설치홈 또는 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0)의 전측에는 전원측에 접속되는 전원입력부(11)가 구비되며 후측에는 부하측과 연결되는 부하출력부(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원입력부(11)에는 고정접점부(13)가 구비된다.In detail, the
그리고, 상기 가동스위칭부(320)는 전단부가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인접하되 후방으로 연장된 자화대면부(3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화대면부(323)의 전단부에는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접점 연결되는 가동접점부(325)가 구비된다. 즉, 상기 가동스위칭부(320)는 상기 자화대면부(323) 및 그의 전단측에 구비된 상기 가동접점부(325)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자화대면부(323)는 상기 가동접점부(325)가 상기 고정접점부(13)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전도성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자화대면부(323)는 전도성을 가지면서도 전류를 통해 자화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자화대면부(323)의 후단부측이 전선(15)을 통해 상기 부하출력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자화대면부(323)의 전단부가 하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상기 가동접점부(325)가 접촉되며, 상기 전원입력부(11), 상기 가동스위칭부(320), 상기 전선(15) 및 상기 부하출력부(12)를 거쳐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In addition, the rear end side of the
한편, 상기 가동스위칭부(320)의 전단부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크로스바(3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330)는 상기 가동스위칭부(320)의 전단측에 구비되되 상기 가동스위칭부(320)의 전단측이 전후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공간(3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바(330)가 하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경유공간(331)을 형성하는 홈의 상면측에 상기 가동스위칭부(320)의 전단부가 가압된다. 이때, 상기 가동스위칭부(320)의 전단부가 가압된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자화대면부(323)의 전단부가 가압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크로스바(330)는 상측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되 하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333)을 통해 상측으로 탄발 지지된다.Meanwhile, the
상세히, 정상 상태에서 상기 탄성수단(333)의 탄발력보다 상기 크로스바(330)가 하측으로 가압되는 힘이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바(330)가 하향 가압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탄성수단(333)은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경유공간(331)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상기 가동스위칭부(320)의 전단부가 구부러지면서 하향 가압된다. 이를 통해, 상기 가동접점부(325)가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접점 연결된다. 이때, 과전류가 발생하거나 상기 핸들부(60)의 조작을 통해 상기 크로스바(330)를 가압하는 힘이 상실되면 상기 탄성수단(333)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크로스바(330)가 상향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가동스위칭부(320)를 가압하던 가압력이 상실되므로 상기 자화대면부(323)가 탄발복원력을 통해 펴지면서 상기 가동접점부(325)가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이격된다.In detail, the force to which the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330)에는 중앙부의 상측으로 개구되며 내측에 션트부(335)가 수납되는 제1수용부(334)와, 개구타측이 상기 제1수용부(334)의 상측과 인접하게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수용부(338)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수용부(334)에는 상기 션트부(335)가 삽입되되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용부(338)에는 상기 흡인수축바(370)가 관통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션트부(335)는 션트블록(336)과 복귀스프링(337)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상세히, 상기 션트블록(336)의 상단부 타측에는 상기 래치부(50)의 전단부(50a) 하면과 대향 배치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래치부(50)의 전단부(50a)를 타격하는 타격돌기(336a)가 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타격돌기(336a)의 일측에는 상기 흡인수축바(370)의 타단부에 걸림되어 하향 가압되도록 단차지게 함몰된 걸림단턱(336b)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복귀스프링(337)은 상기 제1수용부(334)의 하면에 안착되되 상기 흡인수축바(370)의 타단부가 일측으로 압축 이동되어 상기 걸림단턱(336b)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션트블록(336)을 상측으로 탄발 가압하도록 구비된다.In detail,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한편, 상기 트립부(340)는 상기 크로스바(330)의 후면측에 배치되며, 하단부에 형성된 회동단부(340a)를 중심으로 전후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트립부(340)의 전면부에는 경사단턱(341)이 전향 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50)는 전단부(50a)가 상기 크로스바(330)의 상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수용부(334)의 개구된 상측에 대향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가 상기 트립부(340)의 전면부와 마주보는 길이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는 상기 경사단턱(341)과 접촉 또는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더불어, 상기 핸들부(60)는 상기 하우징부(10)에 전후 회동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50)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61)가 하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회동방향이라 함은 상기 가동접점부(325)가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접촉되도록 동작되는 접속방향과 상기 가동접점부(325)와 상기 고정접점부(13)가 이격되도록 동작되는 차단방향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접속방향을 전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설명 및 도시하고 차단방향을 후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In addition, the
상세히, 상기 핸들부(60)가 접속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61)가 하향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61)는 상기 래치부(50)의 중앙측에 형성된 승강연결부(51)에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61)가 하향 이동되면 상기 래치부(50)가 연동 이동되되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가 상기 경사단턱(341)의 경사진 상면에 면접촉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가 상기 경사단턱(341)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단부(50a)가 하향 회동되면서 래치가압부(332)에 접촉 및 상기 크로스바(330)를 가압하며, 상기 고정접점부(13)와 상기 가동접점부(325)가 접점 연결된다.In detail, the pressing
한편, 상기 흡인수축바(370)는 상기 제2수용부(338)에 관통 삽입되되 상기 션트부(335)를 하향 가압하도록 타단부가 상기 션트부(335)의 상측에 걸림 배치된다. 이때, 상기 흡인수축바(370)라 함은 흡인 자력에 의해 타단측이 일단측으로 이동되면서 그 중앙부에 구비된 스프링이 압축됨에 따라 전체적인 길이가 수축되는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션트부(335)가 탄발력을 통해 상기 래치부(50)를 타격하도록 과전류 발생시 상기 가동스위칭부(320)에 발생하는 흡인 자력에 의해 타단측이 일단측으로 압축 이동되는 자성체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흡인수축바(370)는 순철 또는 주철과 같이 강자성체인 철(Fe)성분이 다량 함유된 금속으로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ction and
그리고, 상기 흡인수축바(370)는 헤드부(371)와 압축스프링부(372), 그리고 가압연장부(37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부(371)는 상기 제2수용부(338)의 내경을 초과하는 부피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수용부(338)의 개구일측에 체결위치가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연장부(373)는 단부가 상기 제1수용부(334)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수용부(338)의 개구타측으로 돌출 배치되되 상기 션트부(335)를 하향 가압하도록 상기 걸림단턱(336b)에 걸림된다.In addition, the suction and
더불어, 상기 압축스프링부(372)는 상기 헤드부(371) 및 상기 가압연장부(373)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가동스위칭부(320)의 흡인 자력에 의해 상기 가압연장부(373)가 상기 헤드부(371)측으로 당겨지면서 압축된다. 그리고, 흡인 자력이 소멸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스프링부(372)의 탄발복원력 및 압축하중에 의해 상기 가압연장부(373)가 타측으로 밀리면서 그 단부가 상기 타격돌기(336a)의 측면에 접촉 지지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헤드부(371)는 상기 제2수용부(338)의 개구일측에 구속된 상태이므로 상기 압축스프링부(372)의 탄발복원력을 통한 압축하중이 상기 가압연장부(373)에 실질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부(371), 상기 압축스프링부(372) 및 상기 가압연장부(373)는 별도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제2수용부(338)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371), 상기 압축스프링부(372) 및 상기 가압연장부(373)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상세히, 상기 전원입력부(11)를 통해 전류가 유입되면 상기 가동스위칭부(320)로 전류가 흐르면서 자화된다. 이때, 과전류가 유입되면 상기 가동스위칭부(320)가 유입되는 전류에 대응하여 주변에 금속을 흡인하는 흡인 자력이 고조된다. 여기서, 상기 흡인수축바(370)가 자성체로 구비되되 상기 헤드부(371)측이 상기 제2수용부(338)의 개구일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용부(338)의 하측으로 형성된 상기 경유공간(331)에 상기 가동스위칭부(320)가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헤드부(271)측에 흡인 자력이 가해진다.In detail,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이때, 상기 흡인수축바(370)는 상기 헤드부(371)에 의해 상기 제2수용부(338)의 개구 일측으로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가압연장부(373)가 흡인 자력에 의해 상기 헤드부(371)측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상기 압축스프링부(372)는 상기 가압연장부(373)가 상기 헤드부(371)측으로 당겨지면서 가해지는 힘과 코일간에 형성되는 자성 인력을 통해 압축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연장부(373)의 단부가 상기 걸림단턱(336b)으로부터 이격된다.At this time, since the suction and
그리고, 상기 션트블록(336)을 하향 가압하던 구속력이 해제되면 상기 복귀스프링(337)의 탄발력을 통해 상기 션트블록(336)이 상향 가압되며, 상기 타격돌기(336a)가 상기 래치부(50)의 전단부(50a) 하면을 순간적으로 타격한다. 이때, 상기 래치부(50)의 전단부(50a)가 상향 이동되면서 상기 크로스바(330) 및 상기 경사단턱(341)에 지지되었던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가 상기 경사단턱(341)으로부터 이격된다.Then, when the restraining force that pressurized the
즉, 상기 래치부(50)가 상기 션트블록(336)이 상측으로 튕겨 오르면서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타격력에 의해 균형을 잃으면서 후단부(50b)가 상기 경사단턱(341)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래치부(50)를 가압 지지하던 구속력이 상실된다. 이를 통해, 상기 크로스바(330)에 가해지던 가압력이 제거되며, 상기 자화대면부(323)가 탄발 복원되어 펴지면서 상기 가동접점부(325)와 상기 고정접점부(13)가 이격될 수 있다.That is, while the
이때, 상기 션트블록(336)에는 복귀슬라이드면(336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복귀슬라이드면(336c)은 상기 흡인수축바(370)의 타단측, 즉 상기 가압연장부(373)의 단부와 대향 배치되는 상기 션트블록(336)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턱(336b)으로부터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스위칭부(320)의 흡인 자력이 소멸시 상기 압축스프링부(373)의 탄발력에 의해 복귀 인장되는 상기 흡인수축바(370)의 타단부가 상기 복귀슬라이드면(336c)을 따라 자동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걸림단턱(336b)에 복귀 안착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때, 상기 흡인수축바(370)가 흡인 자력에 의해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션트블록(336)이 상측으로 탄발 가압시 상기 흡인수축바(370)의 타단부는 상기 복귀슬라이드면(336c)과 대면 배치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복귀스프링(337)에 의해 상기 션트블록(336)이 상측으로 탄발 가압되면 상기 복귀슬라이드면(336c)이 상기 제1수용부(334)로부터 상향 노출되되, 상기 제2수용부(338)의 개구타측이 상기 복귀슬라이드면(336c)의 경사면과 마주보게 형성된다. At this time, when the
그리고, 흡인 자력이 소멸되어 상기 흡인수축바(370)가 복귀 인장되면 상기 가압연장부(373)의 단부가 상기 복귀슬라이드면(336c)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흡인수축바(370)가 복귀 인장되면서 상기 가압연장부(373)가 타측으로 이동하려는 가압력이 상기 복귀슬라이드면(336c)에 가해지면 상기 션트블록(336)이 하향 가압된다. 이를 통해, 상기 션트블록(336)이 하향 가압되면서 상기 가압연장부(373)의 단부가 상기 복귀슬라이드면(336c)의 경사진 상측으로 슬라이드되며 상기 걸림단턱(336b)에 안착된다. 그리고, 단차지게 상향 돌설된 상기 타격돌기(336a)의 측면에 상기 가압연장부(373)의 단부가 접촉되되 압축하중에 의해 가압 지지되어 복귀 인장이 제한된다.Then, when the suction magnetic force is extinguished and the suction and
이처럼 본 발명은 전류가 차단되어 상기 흡인수축바(370)를 수축시키는 흡인 자력이 소멸되기만 하면 상기 가압연장부(373)의 단부가 상기 복귀슬라이드면(336c)을 슬라이드 가압하면서 상기 션트블록(336)이 상기 제1수용부(334) 내측으로 다시 수납되도록 가압된다. 이와 동시에 별도의 조작 없이도 상기 가압연장부(373)가 상기 복귀슬라이드면(336c)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상기 걸림단턱(336b)으로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blocks the
한편, 상기 제1수용부(334)의 후측으로 상기 래치부(50)의 전단부(50a) 하면이 접촉 지지되는 래치가압부(33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래치가압부(332)의 상면은 상기 제2수용부(338)의 내주보다 상측으로 더 돌설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래치부(50)가 상기 래치가압부(33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인수축바(370)의 타단부와 접촉 및 간섭됨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격돌기(336a)는 상기 흡인수축바(370)의 타단측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정상 상태에서 상기 흡인수축바(370)를 통해 상기 션트부(335)가 하향 가압되면 상기 타격돌기(336a)가 상기 래치부(50)의 전단부(50a) 하면과 명확하게 이격되므로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또한, 상기 압축스프링부(372)의 압축하중이 상기 복귀스프링(337)의 압축하중보다 강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과전류 상태에서 흡인 자력에 의해 상기 압축스프링부(372)가 신속하게 압축되면서도 정상 상태에서는 상기 압축스프링부(372)가 신속하게 인장되어 상기 션트블록(336)을 안정적으로 하향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상 상태에서 상기 흡인수축바(370)가 임의로 압축됨으로 인해 전류가 단락됨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ression load of the
더욱이, 상기 헤드부(371)의 타측으로 나사부(374)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수용부(338)의 개구일측 내주에는 상기 나사부(374)가 회전 체결되는 나사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헤드부(371)는 상기 나사부(374)가 상기 나사홈에 나사 체결됨에 따라 체결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연장부(373)가 상기 션트부(335)를 가압하도록 상기 압축스프링부(372)의 압축하중이 기설정된 차단전류에 대응하여 설정되도록 상기 나사부(374)가 상기 나사홈에 체결되는 체결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세히, 전류의 흐름에 의해 상기 가동스위칭부(320)가 자화되더라도 정상허용전류 범위에서는 상기 흡인수축바(370)가 수축되지 않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흡인수축바(370)는 정상허용전류 범위를 초과한 과전류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스위칭부(320)에 형성되는 흡인 자력에 의해 반드시 흡인 회동되어야 한다.In detail, even if the
이를 위해, 상기 흡인수축바(370)은 상기 제2수용부(338)에 관통 삽입되되 타단부가 상기 걸림단턱(336b)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스프링부(372)의 압축하중이 기산출된 압력을 유지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때, 기산출된 압력이라 함은 기설정정된 정상허용전류 범위 및 차단이 요구되는 차단전류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기(300)가 정상 구동되도록 흡인 자력이 상기 압축스프링부(372)의 압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압력 범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suction and
즉, 차단전류가 작은 값인 경우 상기 헤드부(371)가 상기 제2수용부(338)의 개구일측과 이격되도록 나사 회전시켜 체결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헤드부(371)와 상기 타격돌기(336a) 사이 간격이 넓게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371) 및 상기 가압연장부(373) 사이에 상기 압축스프링부(372)가 압축되는 압력을 작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션트블록(336)이 상기 압축스프링부(372)의 약한 압축하중으로 통해 하향 가압되므로 약한 차단전류에서도 상기 션트부(335)가 신속하게 상측으로 탄발 가압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breaking current is a small value, the fastening interval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또는, 차단전류가 큰 값인 경우 상기 헤드부(371)가 상기 제2수용부(338)의 개구일측에 접촉되도록 나사 회전시켜 체결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헤드부(371)와 상기 타격돌기(336a) 사이 간격이 좁게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371) 및 상기 가압연장부(373) 사이에 상기 압축스프링부(372)가 압축되는 압력을 크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션트블록(336)이 상기 압축스프링부(372)의 강한 압축하중을 통해 하향 가압되므로 약한 차단전류에서 상기 션트부(335)가 임의로 상측으로 탄발 가압됨을 방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cut-off current is a large value, the fastening interval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screw so that the
이때, 산출돤 간격값과 실제 테스트를 통해 작동되는 간격이 상이할 경우, 상기 제2수용부(338)의 개구일측에 나사 체결된 상기 헤드부(371)의 나사 체결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차단기(300)의 구동이 정밀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차단기(300)가 과전류 발생시 명확하게 차단 작동되도록 하여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인수축바(370)의 체결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차단전류값에 따라 다양한 차단기(300)에 호환 적용이 가능하므로 호환성 및 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흡인수축바(370)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기설정된 차단전류에서 정확하게 단락 구동되도록 조절 가능하므로 제조편의성 및 정밀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calculated 돤 interval value and the interval operated through the actual test are different, the breaker (by adjusting the screw tightening interval of the
한편, 상기 핸들부(60)는 상기 하우징부(10)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되, 상기 래치부(50)를 가압 지지하던 구속력이 상실되면 일측에 구비된 복귀수단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차단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복귀수단은 토션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60)의 하면에 힌지 연결된 상기 가압부재(61)가 상향 이동되며, 상기 래치부(50)가 상기 크로스바(330) 및 상기 트립부(340)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전류가 다시 접속되도록 상기 핸들부(60)가 접속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면 상기 가압부재(61)가 하향 이동되되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가 상기 경사단턱(341)측으로 이동 및 그의 상면에 다시 접촉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50b)가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가압부재(61)의 가압력이 계속 전달되면 상기 래치부(50)의 전단부(50a)가 하향 이동된다. 이때, 상기 래치가압부(332)에 상기 래치부(50)의 전단부(50a)가 접촉 및 하측으로의 가압력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가동스위칭부(320)가 하측으로 가압되며 상기 가동접점부(325)와 상기 고정접점부(13)가 다시 접촉되도록 조작된다.At this time, when the
더불어, 후단부가 상기 가동스위칭부(320)의 후단부와 연결되되 상기 가동스위칭부(320)와 교차되는 상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전단부가 상기 트립부(340)의 전면측에 대향 배치되는 전류이동부(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하출력부(12)는 상기 전선(15)을 통해 상기 전류이동부(3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입력부(11), 상기 가동스위칭부(320), 상기 전류이동부(324), 상기 전선(15) 및 상기 부하출력부(12)를 거쳐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In addition, the rear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여기서, 상기 전류이동부(324)는 상기 가동스위칭부(320)와 마찬가지로 전도성을 가지면서도 전류를 통해 자화되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잇다. 또는, 경우에 따라 상기 전류이동부(324)는 자화되면서도 전면 및 후면이 각각 상이한 열팽창계수를 가지는 바이메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과전류를 통한 저항열로 인해 상기 전류이동부(324)의 온도가 상승되면 낮은 열팽창계수를 가진 후면측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순시션트형 차단기(300)는 과전류 유입시 상기 가동스위칭부(320)의 흡인 자력에 의해 상기 흡인수축바(370)의 타단부가 일측으로 압축 이동되면 그 단부에 걸림된 상기 션트부(335)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때, 상기 션트부(335)가 탄발복원력을 통해 상기 래치부(50)를 직접 타격하여 전류가 단락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 트립부를 완전히 후퇴시키기 위한 정밀한 구조를 요구하지 않아 제조난이도가 개선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uction and
이때, 상기 흡인수축바(370)가 흡인 자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압축 이동되면서 상기 션트부(335)의 구속이 즉각적으로 해제되면 상기 션트블록(336)이 튕기듯이 상측으로 탄발 이동되어 상기 래치부(50)를 강한 힘으로 타격한다. 이를 통해, 종래의 저항열을 통해 휘어지는 바이메탈보다 전류 차단속도가 빠른 차단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uction and
또한, 전류 차단 후 흡인 자력이 소멸되면 상기 흡인수축바(370)의 타단부가 복귀 인장되되 상기 션트블록(336)의 일측에 하향 경사진 상기 복귀슬라이드면(336c)을 따라 슬라이드된다. 이를 통해, 상기 션트블록(336)을 하향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흡인수축바(370)의 단부가 상기 걸림단턱(336b)에 자동으로 복귀되므로 제품의 반복적인 작동에도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ction magnetic force is extinguished after the current is cut off, the other end of the
더불어, 상기 흡인수축바(370)의 일측에 상기 나사부(374)가 형성됨에 따라 나사체결을 위해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2수용부(338)에 관통 삽입되는 횡방향 위치가 용이하게 조절된다. 이를 통해, 기설정된 차단전류에 대응하여 상기 션트부(335)를 하향 가압하는 상기 흡인수축바(370)의 압축하중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구동신뢰성 및 호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더욱이, 상기 흡인수축바(370) 및 상기 션트부(335)가 상기 크로스바(330)에 형성된 각 수용부에 소형으로 수납 설치되어 제품을 컴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부(50)가 상기 션트부(335)에 타격되면서 구속력이 물리적으로 해제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전류가 차단되므로 영상변류기 등의 고가의 부품이 요구되지 않아 제조비용 절감을 통한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Moreover, the suction and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terms "include", "compose", "have" or "have" as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an be intrinsic, unless otherwise state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cluded rather than exclud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하우징부 50: 래치부
60: 핸들부 320: 가동스위칭부
330: 크로스바 334: 제1수용부
335: 션트부 337: 복귀스프링
338: 제2수용부 340: 트립부
370: 흡인수축바 372: 압축스프링부
300: 순시션트형 차단기10: housing portion 50: latch portion
60: handle portion 320: movable switching portion
330: crossbar 334: first accommodation unit
335: shunt part 337: return spring
338: second receiving unit 340: trip unit
370: suction contraction bar 372: compression spring
300: instantaneous circuit breaker
Claims (5)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부하출력부 사이에 배치되되, 전단부가 상기 전원입력부에 접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상측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며 후단부측이 상기 부하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스위칭부;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며 상기 가동스위칭부의 전단측이 전후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공간이 형성되되, 내측에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션트부가 수납된 제1수용부와, 개구타측이 상기 제1수용부의 상측과 인접하게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의 후측에 배치되며 전면부에 경사단턱이 전향 돌설된 트립부;
전단부가 상기 제1수용부의 상측에 대면 배치되되 상기 전원입력부와 상기 가동스위칭부가 접점 연결되도록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래치부;
상기 하우징부에 전후 회동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가 하단부에 연결된 핸들부; 및
상기 제2수용부에 관통 삽입되며 타단부가 상기 션트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상측에 걸림 배치되되, 상기 션트부가 탄발력을 통해 상기 래치부를 타격하도록 과전류 발생시 상기 가동스위칭부에 발생하는 흡인 자력에 의해 타단측이 일단측으로 압축 이동되는 자성체 재질의 흡인수축바를 포함하되,
상기 션트부는
상단부 타측에 돌설된 타격돌기 및 상기 흡인수축바의 타단부가 걸림되어 하향 가압되도록 상기 타격돌기의 일측에 단차지게 함몰된 걸림단턱을 포함하는 션트블록과,
상기 제1수용부의 하면에 안착되되 상기 흡인수축바의 타단측이 압축 이동되어 상기 걸림단턱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션트블록을 상측으로 탄발 가압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순시션트형 차단기.A housing unit provided with a power input unit and a load output unit spaced apart at the front and rear sides;
A movable switch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power input unit and the load output unit, the front end being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and providing a resilient upward force to be selectively spaced apart, and the rear end si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ad output unit. ;
It is supported by the upper side and is formed with a transit space opened such that the front end side of the movable switching portion cross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first receiving portion containing the shunt portion supported by the upper side is received in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is the first A crossbar including a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djacent to the upper side of the one accommodation portion;
A trip portion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crossbar and having an inclined stepped forward in the front portion;
A front end portion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but a rear en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stepped portion such that the power input portion and the movable switching portion are contacted and pressed downwardly to press the crossbar;
A handle portion coupled to the housing portion to be rotated back and forth, and a pressing membe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to be moved upward and downward to press the latch portion downward according to a rotation direction; And
It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other end presses the shunt portion downward, and is struck by the suction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movable switching portion when an overcurrent occurs such that the shunt portion strikes the latch portion through an elastic force. Includes a suction and contraction bar made of a magnetic material whose one side is compressed and moved to one side,
The shunt part
A shunt block including a striking protrusion protruding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and a locking step recessed stepwise on one side of the striking protrusion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contraction bar is caught and pressed downward,
When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contraction bar is se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is compressed and moved away from the locking step, the instantaneous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turn spring for pressurizing the shunt block upward.
상기 션트블록에는 상기 가동스위칭부의 흡인 자력이 소멸되면서 인장 복귀되는 상기 흡인수축바의 타단부가 자동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걸림단턱에 복귀 안착되도록 상기 걸림단턱으로부터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복귀슬라이드면이 형성되되, 상기 션트블록이 상측으로 탄발 가압시 상기 흡인수축바의 타단부는 상기 복귀슬라이드면과 대면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타격돌기는 상기 흡인수축바의 타단부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순시션트형 차단기.The method of claim 1,
The shunt block is formed with a return slide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engaging step to one sid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contraction bar is automatically slided back while the suction magnetic force of the movable switching part is extinguished. , When the shunt block is pressurized upward,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and contraction bar is provided to face the return slide surface.
The hitting projection is a momentary typ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protruding with a width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shrink bar.
상기 흡인수축바는
상기 제2수용부의 내경을 초과하는 부피를 갖는 헤드부와,
단부가 상기 제1수용부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수용부의 개구타측으로 돌출 배치되되 상기 션트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상기 걸림단턱에 걸림되는 가압연장부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가압연장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가동스위칭부의 흡인 자력에 의해 상기 가압연장부가 상기 헤드부측으로 당겨지면서 압축되는 압축스프링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순시션트형 차단기.The method of claim 1,
The suction shrink bar
A head portion having a volume exceed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A pressing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such that an end por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locking step so as to press the shunt portion downward;
It is provided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pressure extension portion, the instantaneous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pression spring portion is compressed while the compression extension portion is pulled toward the head portion by the suction magnetic force of the movable switching portion.
상기 가압연장부가 상기 션트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압축스프링부의 압축하중이 기설정된 차단전류에 대응하여 설정되도록, 상기 헤드부와 상기 압축스프링부 사이에는 상기 제2수용부의 개구일측에 회전 체결되어 체결간격이 조절되는 나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순시션트형 차단기.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compression spring portion, the fastening interval is rotat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so that the compression extension portion is set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breaking current so that the compression extension portion pressurizes the shunt portion. A momentary typ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an adjustable screw portion is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6673A KR102088393B1 (en) | 2019-10-30 | 2019-10-30 | instant shunt type circuit brea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6673A KR102088393B1 (en) | 2019-10-30 | 2019-10-30 | instant shunt type circuit break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8393B1 true KR102088393B1 (en) | 2020-03-12 |
Family
ID=69803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6673A Active KR102088393B1 (en) | 2019-10-30 | 2019-10-30 | instant shunt type circuit brea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8393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6485Y1 (en) * | 2001-12-05 | 2002-02-28 | 두원정밀 주식회사 | Small-sized breaker for home |
KR200341427Y1 (en) | 2003-11-18 | 2004-02-11 | 신동아전기(주) | earth leakage breaker |
KR20040074429A (en) * | 2003-02-18 | 2004-08-25 | 엘지산전 주식회사 | Circuit Braker |
JP2017162666A (en) * | 2016-03-09 | 2017-09-14 | 三菱電機株式会社 | Tripp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and protection object circuit using tripp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
-
2019
- 2019-10-30 KR KR1020190136673A patent/KR10208839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6485Y1 (en) * | 2001-12-05 | 2002-02-28 | 두원정밀 주식회사 | Small-sized breaker for home |
KR20040074429A (en) * | 2003-02-18 | 2004-08-25 | 엘지산전 주식회사 | Circuit Braker |
KR200341427Y1 (en) | 2003-11-18 | 2004-02-11 | 신동아전기(주) | earth leakage breaker |
JP2017162666A (en) * | 2016-03-09 | 2017-09-14 | 三菱電機株式会社 | Tripp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and protection object circuit using tripp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03086B2 (en) |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protection | |
KR102088936B1 (en) | bimetal instant trip type circuit breaker | |
US8222982B2 (en) | Overload relay trip mechanism | |
AU2002301799B2 (en) | Circuit interrupter employing a mechanism to open a power circuit in response to a resistor body burning open | |
CN102683130B (en) | Circuit breaker with optimized space allocation | |
KR102088393B1 (en) | instant shunt type circuit breaker | |
US6853274B2 (en) | Circuit breaker | |
US4220935A (en) |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 with high speed magnetic trip device | |
US7911298B2 (en) |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trip actuator assembly therefor | |
CN102683131B (en) | Circuit breaker for optimizing space allocation | |
KR102088939B1 (en) | spring instant attraction type circuit breaker | |
CN202142482U (en) | Electric leakage tripping mechanism | |
KR20060101035A (en) | Forward seating device of circuit breaker | |
US6707657B1 (en) | Integrated electrically actuated mechanical release mechanism | |
US5392016A (en)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mechanical rating plug | |
CN214313105U (en) | Overload protection structure of circuit breaker | |
KR102088389B1 (en) | crossbar instant trip type circuit breaker | |
KR102088395B1 (en) | hammer link type circuit breaker | |
KR102088935B1 (en) | conical spring instant contact type circuit breaker | |
KR102088930B1 (en) | auxiliary trip bar instant trip type circuit breaker | |
KR102088398B1 (en) | trip pin rotating type circuit breaker | |
KR102088926B1 (en) | electric attraction rotate type circuit breaker | |
JP2727738B2 (en) | Circuit breaker for wiring | |
KR102088932B1 (en) | instant elastic attraction type circuit breaker | |
US5834723A (en) | Apparatus for retaining a movable contact in a circuit interrup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0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