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062B1 - Travel control apparatus of excavator - Google Patents
Travel control apparatus of exca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8062B1 KR102088062B1 KR1020130129803A KR20130129803A KR102088062B1 KR 102088062 B1 KR102088062 B1 KR 102088062B1 KR 1020130129803 A KR1020130129803 A KR 1020130129803A KR 20130129803 A KR20130129803 A KR 20130129803A KR 102088062 B1 KR102088062 B1 KR 1020880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mp
- traveling
- spool
- excavator
- control spoo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0720 hydraulic 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53—Controlling the travelling speed of vehicles, e.g. adjusting travelling speed according to implement loads, control of hydrostatic transmiss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굴삭기의 주행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굴삭기의 주행제어장치는 굴삭기의 주행모터와 연결되어 복수의 액츄에이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제1 펌프 및 제2 펌프와, 복수의 액츄에이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제3 펌프와,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의 최상류측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주행모터로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주행 제어스풀 및 제2 주행 제어스풀과, 주행 모드 및 작업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 스위치, 그리고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에 의하여 주행 모드가 선택될 경우에 상기 제3 펌프의 압유를 상기 제1 주행 제어스풀 및 상기 제2 주행 제어스풀의 상류측으로 합류시키는 주행합류 전환밸브를 포함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veling control device for an excavator, and the traveling control device for an excavator is connected to the traveling motor of the excavator, the first pump and the second pump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plurality of actuators, and the hydraulic pressure to the plurality of actuators A third pump for supplying, and a first traveling control spool and a second traveling control spool, which are installed in the uppermost flow paths of the first pump and the second pump and control the flow of hydraulic oil supplied to the traveling motor, A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mode and a work mode, and when the driving mode is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switch, pressurizes the third pump to the upstream side of the first driving control spool and the second driving control spool It includes a running confluence switching valve.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주행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ca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veling control device for an excavator.
일반적으로 굴삭기와 같은 건설장비는 엔진과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와 유압펌프에서 발생되는 유압을 유압밸브에 의해 제어하는 제어부와 유압에 의해 일을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In general,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an excavator includes a hydraulic pump that generates hydraulic pressure using an engine and engine power,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by the hydraulic pump by a hydraulic valve, and an actuator that works by hydraulic pressure.
특히 건설장비는 유량과 유압을 제어함에 따라 붐(Boom), 암(Arm), 버켓(bucket) 등을 작동시키면서 특정한 일을 하게 되며, 이때 각각의 액츄에이터에 가해지는 유량과 유압을 제어하여야 한다.In particular, as construction equipment controls the flow rate and hydraulic pressure, specific operations are performed while operating a boom, arm, bucket, etc. At this time, the flow rate and hydraulic pressure applied to each actuator must be controlled.
굴삭기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메인펌프를 구비하여 이들 메인펌프의 압유를 프론트작업이나 주행에 적절히 분배하여 사용한다. Excavators are provided with at least two or more main pumps, and the oil pressure of these main pumps is appropriately used for front work or driving.
종래 세개의 펌프로 구성된 굴삭기의 경우, 주행시에는 주행 스위치를 누르고 진행하며 제1 펌프, 제2 펌프의 유량을 합류시켜 주행 모터에 압유를 공급하여 주행 모터를 작동시킨다. In the case of an excavator composed of three conventional pumps, when driving, the traveling switch is depressed and the flow of the first pump and the second pump is joined to supply pressure oil to the traveling motor to operate the traveling motor.
한편, 제3 펌프는 평상시에는 붐, 암, 버켓 등의 프론트 작업을 위해 구동된다. 구체적으로, 굴삭기의 주행시 프론트 작업은 고정은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3 펌프의 유압은 탱크로 회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hird pump is normally driven for front work such as a boom, arm, bucket, and the like. Specifically, when the excavator is running, the front work is fixed. Accordingly,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third pump is recovered into the tank.
이때, 굴삭기의 주행속도를 주행 타켓과 속도를 맞추기 위하여 탱크로 회수된 유량만큼 엔진의 속도를 강제로 상승시킨다. At this time, in order to match the traveling speed of the excavator with the traveling target, the engine speed is forcibly increased by the flow rate recovered by the tank.
그러나, 엔진의 속도를 강제로 증가시키게 되면 속도 증가를 위해 공급되는 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굴삭기 전제의 주행 연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speed of the engine is forcibly increased, the flow rate supplied for increasing the speed increases,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iving fuel efficiency of the excavator is lower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굴삭기가 주행할 때 사용되지 않는 펌프의 유량을 주행스풀로 합류시켜 사용할 수 있는 굴삭기의 주행제어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veling control device for an excavator that can be used by joining a flow rate of a pump that is not used when the excavator is traveling into the traveling spoo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굴삭기의 주행제어장치는 굴삭기의 주행모터와 연결되어 복수의 액츄에이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제1 펌프 및 제2 펌프와, 복수의 액츄에이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제3 펌프와, 상기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의 최상류측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주행모터로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주행 제어스풀 및 제2 주행 제어스풀과, 주행 모드 및 작업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 스위치, 그리고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에 의하여 주행 모드가 선택될 경우에 상기 제3 펌프의 압유를 상기 제1 주행 제어스풀 및 상기 제2 주행제어 스풀의 상류측으로 합류시키는 주행합류 전환밸브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veling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is connected to the traveling motor of the excavator, the first pump and the second pump for supplying pressure oil to the plurality of actuators, and the third pump for supplying pressure oil to the plurality of actuators , A first driving control spool and a second driving control spool, which are installed in the flow paths upstream of the first pump and the second pump and control the flow of hydraulic oil supplied to the driving motor, and select a driving mode and a work mode And a mode selection switch and a traveling confluence switching valve for joining the oil pressure of the third pump to the upstream side of the first traveling control spool and the second traveling control spool when the traveling mode is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switch. .
상기 주행합류 전환밸브는 상기 제3 펌프으로부터 최상류측 유로에 설치될 수 있다. The traveling confluence switching valve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most flow path from the third pump.
또한, 상기 주행합류전환밸브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가 주행모드로 선택될 경우에 상기 제3 펌프의 압유 전부를 상기 제1 주행 제어스풀 및 상기 제2 주행 제어스풀의 상류측으로 합류시키는 제1 스풀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ode selection switch is selected as the driving mode, the traveling confluence switching valve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spool that causes all of the oil pressure of the third pump to flow upstream of the first traveling control spool and the second traveling control spool. It can contain.
더불어, 상기 주행합류전환밸브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가 작업 모드로 선택될 경우에 상기 제3 펌프의 압유를 상기 제1 주행 제어스풀 및 상기 제2 주행 제어스풀의 하류측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1 주행 제어스풀 및 상기 제2 주행 제어스풀을 제외한 상기 제1 펌프와 상기 제2 펌프와 연결된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로 공급되는 제2 스풀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veling confluence switching valve supplies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third pump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traveling control spool and the second traveling control spool when the mode selection switch is selected as the working mode to control the first traveling It may include a second spool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actuators connected to the first pump and the second pump except the spool and the second travel control spoo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굴삭기가 주행할 경우 탱크로 빠져나가는 펌프의 유량을 주행제어스풀로 합류시켜 사용함으로써 주행 타켓과의 속도를 맞추기 위하여 굴삭기의 엔진 속도를 강제로 상승시킬 필요가 없게되므로 굴삭기의 연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cavator is running, the flow rate of the pump exiting the tank is joined to the traveling control spool,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forcibly increase the engine speed of the excavator to match the speed with the traveling targe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mprove the fuel efficiency of the excava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주행제어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주행제어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of a traveling control device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veling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It is not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proportions of the parts in the figure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drawings, and any dimension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similar features in the same structures, elements, or parts appearing in two or mor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present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illustration are expected. Therefore,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 of the illustrated area, and includes, for example, modification of the form by manufacturing.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주행제어장치(101)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주행제어장치(101)는 제1 펌프(P1), 제2 펌프(P2), 제3 펌프(P3), 제1 주행 제어스풀(10), 제2 주행 제어스풀(20), 모드선택 스위치(51), 그리고 주행합류 전환밸브(40)를 포함한다. 1 to 3,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주행제어장치(101)는 주행을 위하여 두 개의 메인 펌프인 제1 펌프(P1)와 제2 펌프(P2)를 구비한다. 제1 펌프(P1)와 제2 펌프(P2)에는 굴삭기의 주행모터(M)가 연결된다. The
주행모터(M)는 선회모터일 수 있으며, 주행모터(M)의 종류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The driving motor M may be a turning motor, and the type of the driving motor M may be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제1 펌프(P1)와 제2 펌프(P2)는 복수의 액츄에이터에 압유를 공급한다. The first pump P1 and the second pump P2 supply pressurized oil to a plurality of actuators.
제1 펌프(P1)와 제2 펌프(P2)로 공급된 압유를 복수의 액츄에이터에 적절히 분배하여 사용한다. The pressure oil supplied to the first pump (P1) and the second pump (P2) is appropriately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actuators for use.
여기서, 제3 펌프(P3)도 복수의 액츄에이터에 압유를 공급한다. Here, the third pump P3 also supplies pressure oil to the plurality of actuators.
구체적으로, 제3 펌프(P3)는 프론트 작업을 위한 압유를 제공한다. 프론트 작업이란 굴삭기의 붐 업/다운(Boom up/down), 암 크라우드(Arm crowd), 스윙(Swing) 등과 같은 일련의 작업들을 말한다. 즉, 프론트 작업장치용 제어스풀(30)(31)(32)는 제3 펌프(P3)의 압유를 제공받아 프론트 작업을 수행한다. Specifically, the third pump P3 provides pressure oil for the front operation. Front work refers to a series of work such as excavator boom up / down, arm crowd, and swing. That is, the control spools 30, 31, and 32 for the front work device perform the front work by receiving the pressure oil of the third pump P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펌프(P3)는 기어 펌프일 수 있다. 기어 펌프는 같은 모양을 가진 기어의 맞물림에 의하여 압유를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퍼올린다. 또한, 제3 펌프(P3)에 의해 퍼올려진 압유가 역류되지 않도록 한다. The third pump P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gear pump. Gear pumps pump oil from low to high by engaging gears of the same shape. Further, the pressure oil pumped up by the third pump P3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ward.
제1 주행 제어스풀(10)과 제2 주행 제어스풀(20)은 제1 펌프(P1)와 제2 펌프(P2)의 유로에 설치된다. The first
구체적으로, 제1 주행 제어스풀(10)과 제2 주행 제어스풀(20)은 제1 펌프(P1)와 제2 펌프(P2)의 최상류측 유로에 설치되어 주행모터(M)로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한다. Specifically, the first
제1 주행 제어스풀(10)과 제2 주행 제어스풀(20) 각각은 굴삭기의 주행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주행 제어스풀(10)이 굴삭기의 우주행을 위한 제어스풀이 되면 제2 주행 제어스풀(20)은 굴삭기의 좌주행을 위한 제어스풀이 된다. 또는 제1 주행 제어스풀(10)과 제2 주행 제어스풀(20)에서 토출되는 유량이 합쳐져 주행모터(M)에 공급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통상의 기술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주행합류 전환밸브(40)는 제1 주행 제어스풀(10)과 제2 주행 제어스풀(20)에 주행 신호(FNR)을 제공한다. 주행합류 전환밸브(40)는 제1 스풀(41)과 제2 스풀(42)로 형성된다. The traveling
구체적으로, 굴삭기가 주행 모드 일 경우에는 주행 합류 전환밸브(40)는 외부에서 입력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1 스풀(41)쪽으로 절환되고, 굴삭기가 작업 모드 일 경우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주행합류 전환밸브(40)가 제2 스풀(42)쪽으로 절환된다. Specifically, when the excavator is in the traveling mode, the traveling
이때,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에 의해 주행합류 전환밸브(40)가 절환되고, 주행합류 전환밸브(40)의 절환에 의해 제3 펌프(P3)의 압유는 제1 주행 제어스풀(10) 및 제2 주행 제어스풀(20)의 상류측으로 합류된다. 여기서, 제3 펌프(P3)의 압유의 합류는 굴삭기가 주행 모드 일 경우에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traveling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주행합류 전환밸브(40)를 구동하기 위하여 주행절환밸브(50), 모드선택 스위치(51), 그리고 파일럿 펌프(52)를 포함할 수 있다. For the above operation, a
주행절환밸브(5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절환밸브(5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과 같은 전자밸브로 형성된다. Various types of valves known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be used as the traveling
모드선택 스위치(51)는 일반적인 전자스위치의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드선택 스위치(51)는 굴삭기의 주행 모드 또는 작업 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The
파일럿 펌프(52)는 모드선택 스위치(51)에 의해 주행절환밸브(50)의 유로가 변경되면 변경된 유로로 파일럿 펌프(52)의 압유를 공급되고, 공급된 압유에 의해 주행합류 절환밸브(40)는 절환된다. When the flow path of the
제3 펌프(P3)의 압유를 제1 주행 제어스풀(10)의 상류측에 합류되어 공급되도록 제3 펌프(P3)와 제1 주행 제어스풀(10)을 연결하는 제1 합류유로(L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first confluence channel (L1) connecting the third pump (P3) and the first travel control spool (10) so that the pressurized oil of the third pump (P3) is joined and supplied to the upstream side of the first travel control spool (10).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제3 펌프(P3)의 압유가 제1 주행 제어스풀(10) 뿐만 아니라 제2 주행 제어스풀(20)에도 합류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제3 펌프(P3)와 제2 주행 제어스풀(20)을 연결하는 제2 합류유로(L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pump (P3) and the second driving control spool (20) so that the oil pressure of the third pump (P3)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driving control spool (10) as well as the second driving control spool (20). )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fluence channel (L2) connecting.
즉, 제3 펌프(P3)의 압유를 제1 주행 제어스풀(10) 또는 제2 주행 제어스풀(20)의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제1 합류유로(L1) 또는 제2 합류유로(L2) 중 한가지의 합류유로만을 선택하여 형성하거나, 제1 주행 제어스풀(10) 및 제2 주행 제어스풀(20) 모두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제1 합류유로(L1) 및 제2 합류유로(L2) 모두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통상의 기술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That is, either the first confluence flow path L1 or the second confluence flow path L2 to supply the pressure oil of the third pump P3 to either the first
이때, 제1 합류유로(L1) 상에는 체크 밸브(60)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구체적으로, 제1 합류유로(L2)상에 체크 밸브(60)가 형성되어 제1 합류유로(L1)를 통하여 제3 펌프(P3)의 압유가 제1 주행 제어스풀(10)로 공급될 때 제3 펌프(P3)의 압유가 제3 펌프(P3)로 역류(리턴)되는 것을 방지한다. Specifically, when the
한편, 제3 펌프(P3)의 압유를 제2 주행 제어스풀(20)에 공급하기 위한 제2 합류유로(L2)가 형성되면, 제2 합류유로(L2) 상에도 체크 밸브(60)가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second confluence flow path L2 for supplying the pressurized oil of the third pump P3 to the secon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주행제어장치(101)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traveling
일례로, 굴삭기가 주행을 할 경우에 제1 펌프(P1)와 제2 펌프(P2)의 압유는 제1 주행 제어스풀(10)과 제2 주행 제어스풀(20)에 공급된다. 제1 주행 제어스풀(10)과 제2 주행 제어스풀(20)로 공급된 압유에 의하여 굴삭기는 주행동작을 하게 된다. In one example, when the excavator is running, the oil pressure of the first pump P1 and the second pump P2 is supplied to the first
여기서, 제3 펌프(P3)는 굴삭기의 프론트 작업을 위해 프론트 작업장치스풀(30)(31)(32)에 압유를 공급하는 펌프이지만, 굴삭기는 주행 중에 프론트 작업은 하지 않기 때문에 제3 펌프(P3)의 압유는 탱크(T)로 빠져나간다. Here, the third pump (P3) is a pump for supplying oil pressure to the front working device spool (30, 31, 32) for the front work of the excavator, but the excavator is not working during the front of the third pump (3 The oil pressure of P3) is discharged to the tank T.
이때,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어 주행신호가 입력되면, 모드 선택 스위치(51)에 의해 주행절환밸브(50)가 절환된다. 주행절환밸브(50)가 절환되면 센터 바이패스 라인(C/L)의 압력에 의하여 중립 상태로 유지하던 주행 합류 전환밸브(40)가 제1 스풀(41)로 절환된다. At this time,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driving signal is input, the
주행합류 전환밸브(40)가 절환되어 제1 스풀(41)로 절환되면 제1 합류 유로(L1)와 제2 합류 유로(L2)를 통하여 제3 펌프(P3)의 압유가 제1 주행 제어스풀(10)과 제2 주행 제어스풀(20)의 상류측으로 전부 합류된다. When the traveling
한편, 모드선택 스위치(51)에 의하여 굴삭기가 작업 모드로 선택될 경우에는 주행은 중지되고 굴삭기는 프론트 작업을 하게 된다. 센터바이 패스 라인(C/L)의 압력에 의하여 중립을 유지하던 주행합류 전환밸브(40)가 제2 스풀(42)로 유로가 변경된다. 이에 따라, 제3 펌프(P3)의 압유는 복수의 액츄에이터, 즉 프론트 작업장치용 제어스풀(30)(31)(32)에 공급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cavator is selected as the work mode by the
다시 말해, 제3 펌프(P3)의 압유를 제1 주행 제어스풀(10) 및 제2 주행 제어스풀(2)의 하류측으로 공급하여 제1 주행 제어스풀(10) 및 제2 주행 제어스풀(20)을 제외하고 제1 펌프(P1)와 제2 펌프(P2)에 연결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로 공급된다. In other words, the first
이와 같은 구성 및 동작으로 인하여, 굴삭기가 주행 모드로 선택될 경우 탱크(T)로 빠져나가는 제3 펌프(P3)의 압유를 제1 주행 제어스풀(10)과 제2 주행 제어스풀(20)로 합류시켜 사용한다. 이에 따라, 주행 타켓과의 속도를 맞추기 위하여 굴삭기의 엔진 속도를 강제로 상승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굴삭기의 연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ue to this configuration and operation, when the excavator is selected as the driving mode,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third pump P3 exiting the tank T is transferred to the first
일례로, 굴삭기의 주행시에 장비제어장치의 펌프 정보에서 습득한 제3 펌프(P3)의 토출 유량에 비례하여 엔진 속도(RPM)을 감소시키는 제어를 굴삭기의 엔진제어장치에서 시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of reducing the engine speed (RPM) in proportion to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third pump (P3) acquired from the pump information of the equipment control device when the excavator is running may be implemented in the engine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below,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ny altered or modified form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 주행 제어스풀 20: 제2 주행 제어스풀
30, 31, 32: 프론트 작업장치용 제어스풀
40: 주행합류 전환밸브 41: 제1 스풀
42: 제2 스풀 50: 주행절환밸브
51: 모드선택 스위치 52: 파일럿 펌프
60: 체크밸브 L1: 제1 합류유로
L2: 제2 합류유로 M: 주행모터
P1: 제1 펌프 P2: 제2 펌프
P3: 제3 펌프
101: 굴삭기의 주행제어장치10: first travel control spool 20: second travel control spool
30, 31, 32: Control spool for front work unit
40: running confluence switching valve 41: first spool
42: second spool 50: travel switching valve
51: Mode selection switch 52: Pilot pump
60: check valve L1: first confluence channel
L2: Second confluence channel M: Driving motor
P1: First pump P2: Second pump
P3: third pump
101: driving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Claims (4)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제3 펌프(P3);
상기 제1 펌프(P1) 및 상기 제2 펌프(P2)의 최상류측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주행모터(M)로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주행 제어스풀(10) 및 제2 주행 제어스풀(20);
주행 모드 및 작업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 스위치(51); 및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굴삭기의 모드에 따라 상기 제3 펌프의 압유가 하류로 공급되는 유로를 서로 달리하는 주행합류 전환밸브를 포함하고,
주행합류 전환밸브(40)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51)에 의하여 주행 모드가 선택될 경우에 상기 제3 펌프(P3)의 압유를 상기 제1 주행 제어스풀(10) 및 상기 제2 주행 제어스풀(20)의 상류측으로 합류시키고,
상기 주행합류 전환밸브(40)는 상기 제3 펌프(P3)으로부터 최상류측 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합류 전환밸브에 의해 상기 제3 펌프의 압유가 상기 제1 주행 제어스풀(10) 및 상기 제2 주행 제어스풀(20)의 상류측으로 합류되는 경우, 상기 제3 펌프의 토출 유량에 비례하여 상기 굴삭기의 엔진의 회전속도가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엔진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굴삭기의 주행제어장치.
A first pump (P1) and a second pump (P2) for supplying hydraulic oil to the traveling motor (M) and a plurality of actuators of the excavator;
A third pump (P3) for supplying pressurized oil to the plurality of actuators;
The first driving control spool 10 and the second driving control installed in the uppermost flow paths of the first pump P1 and the second pump P2 and controlling the flow of hydraulic oil supplied to the driving motor M Spool 20;
A mode selection switch 51 for selecting a driving mode and a work mode; And
And a traveling confluence switching valve for different flow passages through which the hydraulic oil of the third pump is supplied downstream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excavator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switch while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mode selection switch.
When the traveling mode is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switch 51, the traveling confluence switching valve 40 applies the oil pressure of the third pump P3 to the first traveling control spool 10 and the second traveling control spool. To the upstream side of (20),
The traveling confluence switching valve 40 is installed in the uppermost flow path from the third pump P3,
When the oil pressure of the third pump is joined by the traveling confluence switching valve to the upstream side of the first traveling control spool 10 and the second traveling control spool 20, in proportion to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third pump The traveling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including an engin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gine of the excavator to decrease.
상기 주행합류 전환밸브(40)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51)가 주행모드로 선택될 경우에 상기 제3 펌프(P3)의 압유 전부를 상기 제1 주행 제어스풀(10) 및 상기 제2 주행 제어스풀(20)의 상류측으로 합류시키는 제1 스풀(41)을 포함하는 굴삭기의 주행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mode selection switch 51 is selected as the traveling mode, the traveling confluence switching valve 40 controls all the oil pressure of the third pump P3 to the first traveling control spool 10 and the second traveling control. A traveling control device for an excavator comprising a first spool (41) joining upstream of the spool (20).
상기 주행합류 전환밸브(40)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51)가 작업 모드로 선택될 경우에 상기 제3 펌프(P3)의 압유를 상기 제1 주행 제어스풀(10) 및 상기 제2 주행 제어스풀(20)의 하류측으로 공급하여 상기 제1 주행 제어스풀(10) 및 상기 제2 주행 제어스풀(20)을 제외한 상기 제1 펌프(P1)와 상기 제2 펌프(P2)와 연결된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로 공급되는 제2 스풀(42)을 포함하는 굴삭기의 주행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veling confluence switching valve 40 uses the first traveling control spool 10 and the second traveling control spool to pressurize the third pump P3 when the mode selection switch 51 is selected as the working mode. The plurality of actuators connected to the first pump P1 and the second pump P2 except for the first travel control spool 10 and the second travel control spool 20 by supplying them downstream. Driving control device of the excavator including a second spool (42) supplied t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9803A KR102088062B1 (en) | 2013-10-30 | 2013-10-30 | Travel control apparatus of excavator |
CN201410592773.3A CN104594437B (en) | 2013-10-30 | 2014-10-29 | driving control device of exca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9803A KR102088062B1 (en) | 2013-10-30 | 2013-10-30 | Travel control apparatus of excav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9352A KR20150049352A (en) | 2015-05-08 |
KR102088062B1 true KR102088062B1 (en) | 2020-04-14 |
Family
ID=5312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9803A KR102088062B1 (en) | 2013-10-30 | 2013-10-30 | Travel control apparatus of excavato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8062B1 (en) |
CN (1) | CN104594437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23455A (en) * | 2016-10-31 | 2017-03-22 | 西南大学 | Tractor load-sensitive hydraulic system with double-pump confluence function |
WO2018097346A1 (en) * | 2016-11-23 | 2018-05-31 |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64727Y2 (en) * | 1991-03-01 | 1998-03-09 | 油谷重工株式会社 | Hydraulic circuit of small excavator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21268B2 (en) * | 1995-01-20 | 2001-10-22 | 日立建機株式会社 | Hydraulic circuit of excavator |
JP3499962B2 (en) * | 1995-04-06 | 2004-02-23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Hydraulic control valve |
JPH11217852A (en) * | 1998-02-02 | 1999-08-10 | Sumitomo Constr Mach Co Ltd | 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equipment using third hydraulic pump |
JP4137431B2 (en) * | 2001-11-09 | 2008-08-20 | ナブテスコ株式会社 | Hydraulic circuit |
JP4270505B2 (en) * | 2004-08-11 | 2009-06-03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Load control device for engine of work vehicle |
KR101155718B1 (en) * | 2004-12-31 | 2012-06-12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tarting speed of an excavator |
KR101260072B1 (en) * | 2005-12-28 | 2013-05-02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combined operation of en excavator |
KR101517240B1 (en) * | 2008-12-23 | 2015-05-06 |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 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ry |
-
2013
- 2013-10-30 KR KR1020130129803A patent/KR102088062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10-29 CN CN201410592773.3A patent/CN104594437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64727Y2 (en) * | 1991-03-01 | 1998-03-09 | 油谷重工株式会社 | Hydraulic circuit of small excav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9352A (en) | 2015-05-08 |
CN104594437B (en) | 2017-04-12 |
CN104594437A (en) | 2015-05-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07557B2 (en) |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excavator | |
US10107311B2 (en) | Hydraulic drive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 |
US20100000211A1 (en) | Hydraulic control circuit for excavator | |
US8146355B2 (en) | Traveling device for crawler type heavy equipment | |
JP5779256B2 (en) | Construction machine hydraulic system | |
JP5771332B2 (en) |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ry | |
JP5802338B2 (en) | Drive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work equipment | |
US20140137549A1 (en) | Hydraulic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ry | |
JP5086718B2 (en) | 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ry | |
US9765504B2 (en) | Hydraulic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ry | |
EP3203086A1 (en) | 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 | |
EP2799723B1 (en) | System for reducing fuel consumption in excavator | |
JP5102656B2 (en) | 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ry | |
KR102088062B1 (en) | Travel control apparatus of excavator | |
JP2016133206A (en) | 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 | |
CN105723100A (en) | Work vehicle control system and low pressure selection circuit | |
EP3093401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bined-operation of construction machine | |
KR102083034B1 (en) | Main control valve for Excavator | |
KR20130114863A (en) | Electro hydraulic system for electric excavator | |
JP6089666B2 (en) | 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ry | |
JP2017075668A (en) | Hydraulic transmission | |
JP2015166533A (en) | Oil hydraulic circuit of construction machine | |
KR20070069876A (en) |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combined motion control of excavator | |
KR101715946B1 (en) | 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ry | |
KR20210041640A (en) | Hydraulic Circuit for Flow Control of Multi-Purpose Hydraulic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30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8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0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9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1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1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3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2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1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1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