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6743B1 -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 - Google Patents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743B1
KR102086743B1 KR1020180150715A KR20180150715A KR102086743B1 KR 102086743 B1 KR102086743 B1 KR 102086743B1 KR 1020180150715 A KR1020180150715 A KR 1020180150715A KR 20180150715 A KR20180150715 A KR 20180150715A KR 102086743 B1 KR102086743 B1 KR 102086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ead
sides
ground
sid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희
Original Assignee
이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희 filed Critical 이충희
Priority to KR1020180150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7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20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 A01G13/27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protecting specific parts of plants, e.g. roots, trunks or fruits
    • A01G13/0237
    • A01G13/0281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30Ground coverings
    • A01G13/31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01C9/005Coverings around trees forming part of the road
    • A01G2013/00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두부변(101), 제 1 양측변(102) 및 제 1 저면변(103)으로 사변의 판재 형태를 이루어 지중에서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지면과 수직한 상기 제 1 양측변(102) 부위에서 가로수 근이 위치한 내측 방향으로 소정 두께로 파여진 결합부(104)가 상기 제 1 두부변(101)에서 상기 제 1 저면변(103)까지 형성되는 측판재(100);와 상기 측판재(100)의 상기 결합부(104)에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밀착 접촉되어 상기 측판재(100)를 서로 직교 연결 연결하도록 제 2 두부변(201), 제 2 양측변(202) 및 제 2 저면변(203)으로 사변의 판재 형태를 이루어 지중에서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전 후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전후판재(200);와 상기 측판재(100) 및 상기 전후판재(200)의 각 면에 형성되는 관통 투수공(105);과 상기 측판재(100)와 상기 전후판재(200)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측판재(100)와 상기 전후판재(200)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구비되는 제 1 연결구(106);와 상기 제 1 연결구(301)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두부변(101)과 상기 제 2 두부변(201)를 주위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도록 제 2 연결구(301)가 구비되는 연결부재(300);와 상기 측판재(100)와 상기 전후판재(200)의 외부의 상기 중공(H)를 메꾸도록 구비되는 제 1 충진부재(400);와 상기 제 1,2 저면변(103, 203)에서 상기 제 1,2 두부변(101,201) 방향으로 상기 중공(H)를 메우도록 구비되는 제 2 충진부재(500);와 상기 측판재(100) 및 상기 전후판재(200)의 지표면 부위의 상기 제 1,2 두부변(101,201)에 결합 되어 가로수 및 가로수 근을 보호하도록 중심 부위에 가로수 공(601)이 구비되는 커버재(600);를 포함하는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 { ROADSIDE TREE POT STRUCTURES FOR PREVENTING BREAKAGE FROM ROOTS }
본 발명은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수 근의 성장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가로수 덮개 및 가로수 주변 보도 블록을 파손을 예방하도록 지중에 배치되는 측판재, 전후판재 및 제 1,2 충진부재와 지표면 상에 놓여지는 커버재를 포함하는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 미관 또는 여름철 도시의 복사열을 차단하는 역할로 대부분의 도로에 심어져 있는 가로수는 도로의 환경 미화, 공해방지 및 소음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도심의 도로변의 보도상에 일정 간격으로 식재 되어 있다.
가로수는 시가와 노변의 길을 따라 줄지어 심어, 차량으로 도로를 오가는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상쾌함을 느끼게 하고, 잘 식재되어 가꾸어진 가로수의 경우에는 도시의 미관을 좋게 하여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며, 그늘을 만들어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주는 동시에 차량 등으로 인하여 오염된 대기를 정화시켜 주고 사람들이 환경친화적인 느낌을 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도심의 가로수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매연 등의 오염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가장 큰 원인은 콘크리트나 보도 블록으로 포장되어 있는 도로에 심어지는 특성상 물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고 뿌리가 숨을 쉬는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 상당히 가혹한 환경에 처해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가로수를 중심으로 그 주변의 일정한 면적만큼은 가로수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이 지면을 통해 유입되도록 토지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식재영역을 확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노출된 토지면으로부터 우천시 토사가 유출되어 도로를 더럽히거나, 토지면이 패여 가로수의 성장에 위해가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로수의 줄기 밑부분은 콘크리트나 보도블록으로 포장을 하지 않고 비포장 상태로 처리한 후 식재영역을 덮어서 토사의 유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로수를 보호하기 위한 가로수 보호덮개가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 대부분의 가로수 보호덮개는 가로수 주위의 구획된 지면에 단순히 판체 구조물을 이루는 가로수 보호덮개가 얹혀진 상태로 사용되거나, 가로수 주위의 구획된 지면에 화강석 재질의 받침틀이 조립되어 설치되고, 받침틀 상에 가로수 보호덮개가 단순히 얹혀진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가로수 보호덮개는 가로수에 시비를 하거나 오물의 유입으로 청소가 필요할 경우 가로수 보호덮개의 완전한 분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업의 번거로움으로 인력의 손실을 초래하고 단시간에 시비, 청소를 할 수 없는 등 가로수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가로수 보호덮개는 받침틀에 가로수 보호덮개가 결합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받침틀 상에 가로수 보호덮개가 얹혀진 것이어서 시간이 지나면서 가로수 보호덮개가 움직여 받침틀과 가로수 보호덮개가 제자리에 있지 못하고 이탈이 야기되어 보행자들이 보행을 할 때 걸려서 넘어지는 위험이 있고 도시미관을 해치는 일이 초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가로수의 식재는 주로 식재 구덩이를 파고 토양개량제를 섞어서 되메우기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토양 개량제가 표토부까지 되메우기 되어 측근의 발달을 촉진시키게 되며, 측근이 발달되면 수직적으로 발달하는 직근의 발달이 느려지고, 수평적으로 표토 부분에 굵은 뿌리가 뻗어가면서 보도블록, 건축물, 구조물 등을 들뜨게 한다.
즉, 상기와 같이 도시를 아름답게 형성하여 주고 환경을 개선해 주는 등의 많은 장점이 있는 가로수일지라도, 가로수 측근이 발달됨으로써 보도블럭, 건축물, 구조물 등을 들뜨게 하여 보행, 차량통과 등의 제기능을 못하도록 하거나 사고의 위험성을 유발하고 있다. 또한, 가로수를 이식한 후 뿌리가 활착되어 잘 자라지 못하는 경우에는 자연 재해에 의하여 가로수가 쓰러져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줄 수도 있으며, 가로수를 교체하는데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으므로, 가로수의 측근 발달을 억제하고, 가로수의 이식 후 뿌리가 잘 활착되며 심근화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129985호는 가로수 둘레의 지면 하부에 설치하여 가로수 뿌리의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유도하고 뿌리가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인도블록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로수 및 인도블록 보호부재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개시된 발명은 가로수의 측면 뿐 아니라 상부에도 상기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 보도 블록 등의 투수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므로 수목의 뿌리에 충분한 양의 수분을 공급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목이 고사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현재까지 제시된 다양한 방법은 가로수의 측근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거나 효과적으로 억제하더라도 수목의 생장이 불충분한 문제를 가지고 있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굴지성 및 굴수성의 수목 뿌리의 생장 특성을 이용하여 가로수의 측근 발생을 억제하고 심근화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예의 노력하였고, 다음과 같은 조건 및 특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수목의 뿌리는 굴지성에 의하여 직근이 땅속으로 수직적으로 뻗어나가고, 심장근은 측근과 직근 사이로 뻗어나가며, 측근은 굴수성에 의하여 수평적으로 발달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가로수의 측근을 억제하고, 직근의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측근이 생장할 수 있는 토양환경을 호 조건 보다는 생장에 지장이 없을 정도의 적합조건 정도로 해주고, 정기 또는 부정기적으로 측근을 단근해 주어야 하며, 직근이 발달하는 하부에 토양개량제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토부에 토양은 수목이 생장 가능한 적합조건이면서 미량 강우시에도 투수율이 좋은 입자가 굵은 토양재료를 사용하게 되면 수목 생장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토양공극이 커서 토양공기 유통이 좋고, 우수침투력이 좋아지고, 답압에 견밀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잡초가 발생량이 현저히 적어지므로 가로수 관리에 유리할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8082호 한국공개특허 제10-제2006-0129985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중에 토류 저장 공간이 제공되도록 1 조의 중공(H)을 형성하는 가로수분 구조체를 개시하여 가로수 근 및 가로수를 보호하되 가로수의 측근 생장이 야기하는 보도 블럭 또는 가로수 덮개의 파손을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중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재(100)와 상기 측판재(100)에 지지되는 전후판재(200)를 구비하여 가로수 근의 측방 파손 위험을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판재(100)와 전후판재(200)가 현장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측판재(100)와 전후판재(200)의 무게를 감소 시키고 이동 및 보관에 편리함을 주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판제(100)와 전후판재(200)를 간단하게 고정하고 결합하도록 하는 연결부재(300)를 제공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 후에 결합이 안정적으로 버티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측판재(100)와 상기 전후판재(200)의 외부의 상기 중공(H)를 메꾸도록 제 1 충진부재(400)를 개시하여 측근 생장에 따르는 가로수 구조체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 1,2 저면변(103, 203)에서 상기 제 1,2 두부변(101,201) 방향으로 상기 중공(H)를 메우도록 구비되는 제 2 충진부재(500)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향으로 성장되는 측근으로 인한 가로수 덮개부 또는 보도 블럭의 파손을 예방하도록하며, 우천시 일시적인 우수 전장 공간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측판재(100) 및 상기 전후판재(200)의 지표면 부위의 상기 제 1,2 두부변(101,201)에 결합 되어 가로수 및 가로수 근을 보호하도록 중심 부위에 가로수 공(601)이 구비되는 커버재(600)를 통하여 측판재(100), 전후판재(200) 및 커버재(600)가 상호 유기적으로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통 투수공(105)을 단면이 원형인 관 형상으로 구비하고 가로수 근이 위치한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배수가 원활해 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측판재(100) 및 상기 전후판재(200)가 접촉되는 결합부(104)에 측판재(100) 방향에 탄성 재질의 패킹재(104a)를 포함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 후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면부(10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측면 결합부(302)를 포함하고 측면 결합부(302)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후면부(20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전후면 결합부(303)가 포함되며, 상기 측면 결합부(302)와 상기 전후면 결합부(303)에 상기 제 2 연결구(301)가 관통 형성되는 연결부재(300)를 구비하여 결합 시공이 간편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개 또는 4 개의 커버재 모듈(600a)이 서로 결합하여 1 조의 상기 커버재(600)를 형성하여 상기 제 1,2 두부면(101,201)을 4 각 형태로 지표면에서 커버하되, 상기 커버재(600)에는 지면에서 지중 방향으로 다수의 투수공(603)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커버재(600)를 통하여 시공의 편리함을 추구하며 커버재(600)의 보관 및 이동이 유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재(600)의 지중 방향인 하부면에 제 2 지지부재(500)까지 커버 지주대(604)를 더 구비하여 보행자의 무게등에 안정적으로 저항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 지주대(604)는 금속재질로 구비되되 상부지주(604a)와 하부지주(604b)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지주(604a)와 상기 하부지주(604b) 사이에 외부에서 가압하는 외력에 의하여 파손될 수 있도록 지주 파손부(604c)로 구비되어 측근 생장시 커버재(600)을 직적접으로 파손 시키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는 먼저, 제 1 두부변(101), 제 1 양측변(102) 및 제 1 저면변(103)으로 사변의 판재 형태를 이루어 지중에서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지면과 수직한 상기 제 1 양측변(102) 부위에서 가로수 근이 위치한 내측 방향으로 소정 두께로 파여진 결합부(104)가 상기 제 1 두부변(101)에서 상기 제 1 저면변(103)까지 형성되는 측판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재(100)의 상기 결합부(104)에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밀착 접촉되어 상기 측판재(100)를 서로 직교 연결 연결하도록 제 2 두부변(201), 제 2 양측변(202) 및 제 2 저면변(203)으로 사변의 판재 형태를 이루어 지중에서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전 후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전후판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측판재(100) 및 상기 전후판재(200)의 각 면에 형성되는 관통 투수공(1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재(100)와 상기 전후판재(200)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측판재(100)와 상기 전후판재(200)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구비되는 제 1 연결구(1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구(301)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두부변(101)과 상기 제 2 두부변(201)를 주위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도록 제 2 연결구(301)가 구비되는 연결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판재(100)와 상기 전후판재(200)의 외부의 상기 중공(H)를 메꾸도록 구비되는 제 1 충진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2 저면변(103, 203)에서 상기 제 1,2 두부변(101,201) 방향으로 상기 중공(H)를 메우도록 구비되는 제 2 충진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측판재(100) 및 상기 전후판재(200)의 지표면 부위의 상기 제 1,2 두부변(101,201)에 결합 되어 가로수 및 가로수 근을 보호하도록 중심 부위에 가로수 공(601)이 구비되는 커버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양측변(102)의 길이와 상기 제 2 양측변(202)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2 충진부재(500)의 높이는 상기 제 1,2 양측변(102,202)의 길이 보다 짧게 구비되어 상기 커버재(600)의 저면에 커버 공간부(602)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 투수공(105)은 단면이 원형인 관 형상으로 구비되되 가로수 근이 위치한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충진부재(400)에는 상기 관통 투수공(105)과 연통되는 배수구(401) 또는 배수공극(40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04)는 상기 측판재(100) 방향에 탄성 재질의 패킹재(104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측면부(10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측면 결합부(302)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결합부(302)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후면부(20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전후면 결합부(303)가 포함되며, 상기 측면 결합부(302)와 상기 전후면 결합부(303)에 상기 제 2 연결구(301)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재(600)는 2개 또는 4 개의 커버재 모듈(600a)이 서로 결합하여 1 조의 상기 커버재(600)를 형성하여 상기 제 1,2 두부면(101,201)을 4 각 형태로 지표면에서 커버하되, 상기 커버재(600)에는 지면에서 지중 방향으로 다수의 투수공(603)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재 모듈(600a)을 서로 결합하도록 ㄷ(디귿자) 형상의 커버 연결 부재(600b)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재(600)는 상기 가로수 공(601)의 테두리에서 외부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 1,2 두부변(101,201)의 위치에서는 지표면과 높이가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재(600)는 지중 방향인 하부면에 제 2 지지부재(500)까지 커버 지주대(60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지주대(604)는 금속재질로 구비되되 상부지주(604a)와 하부지주(604b)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지주(604a)와 상기 하부지주(604b) 사이에 외부에서 가압하는 외력에 의하여 파손될 수 있도록 지주 파손부(604c)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2 두부면(101,201)의 상부에서 지중 방향으로 제 1 커버 결합공(101a,201a)가 도 포함되며, 상기 커버재(600)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 1 커버 결합공(101a,201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커버 결합공(601a)가 구비되어 상기 측면부(100), 상기 전후면부(200) 및 상기 커버재(600)을 서로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2 두부변(101,201)의 상부에서 하부로 직각 절곡 되어 상기 커버재(600)가 절곡부의 상부에 안착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를 제공하여,
첫째, 지중에 토류 저장 공간이 제공되도록 1 조의 중공(H)을 형성하는 가로수분 구조체를 개시하여 가로수 근 및 가로수를 보호하되 가로수의 측근 생장이 야기하는 보도 블럭 또는 가로수 덮개의 파손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지중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재(100)와 상기 측판재(100)에 지지되는 전후판재(200)를 구비하여 가로수 근의 측방 파손 위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측판재(100)와 전후판재(200)가 현장에서 결합 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측판재(100)와 전후판재(200)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이동 및 보관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넷째, 측판제(100)와 전후판재(200)를 간단하게 고정하고 결합하도록 하는 연결부재(300)를 제공하여 현장에서의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 후에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기 측판재(100)와 상기 전후판재(200)의 외부의 상기 중공(H)를 메꾸도록 제 1 충진부재(400)를 구비하여 측근이 생장하여도 가로수 구조체의 안정성을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제 1,2 저면변(103, 203)에서 상기 제 1,2 두부변(101,201) 방향으로 상기 중공(H)를 메우도록 구비되는 제 2 충진부재(500)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향으로 성장되는 측근으로 인한 가로수 덮개부 또는 보도 블럭의 파손을 예방하도록 하며, 우천시 일시적인 우수 저장 공간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상기 측판재(100) 및 상기 전후판재(200)의 지표면 부위의 상기 제 1,2 두부변(101,201)에 결합 되어 가로수 및 가로수 근을 보호하도록 중심 부위에 가로수 공(601)이 구비되는 커버재(600)를 통하여 측판재(100), 전후판재(200) 및 커버재(600)가 상호 유기적으로 단단히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관통 투수공(105)을 단면이 원형인 관 형상으로 구비하고 가로수 근이 위치한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배수가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상기 측판재(100) 및 상기 전후판재(200)가 접촉되는 결합부(104)에 측판재(100) 방향에 탄성 재질의 패킹재(104a)를 포함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 후의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열째, 측면부(10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측면 결합부(302)를 포함하고 측면 결합부(302)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후면부(20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전후면 결합부(303)가 포함되며, 상기 측면 결합부(302)와 상기 전후면 결합부(303)에 상기 제 2 연결구(301)가 관통 형성되는 연결부재(300)를 구비하여 결합 시공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열한째, 2개 또는 4 개의 커버재 모듈(600a)이 서로 결합하여 1 조의 상기 커버재(600)를 형성하여 상기 제 1,2 두부면(101,201)을 4 각 형태로 지표면에서 커버하되, 상기 커버재(600)에는 지면에서 지중 방향으로 다수의 투수공(603)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커버재(600)를 통하여 시공의 편리함을 추구하며 커버재(600)의 보관 및 이동이 유리하다.
열두째, 커버재(600)의 지중 방향인 하부면에 제 2 지지부재(500)까지 커버 지주대(604)를 더 구비하여 보행자의 무게등에 안정적으로 저항 할 수 있으며, 커버 지주대(604)는 금속재질로 구비되되 상부지주(604a)와 하부지주(604b)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지주(604a)와 상기 하부지주(604b) 사이에 외부에서 가압하는 외력에 의하여 파손될 수 있도록 지주 파손부(604c)로 구비되어 측근 생장시 커버재(600)을 직적접으로 파손 시키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의 측판재와 전후판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4 및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의 측판재와 전후판재가 결합되는 결합부와 패킹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6 및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의 커버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 및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의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 및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의 사용방법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 는 종래의 가로수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와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의 측판재와 전후판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4 및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의 측판재와 전후판재가 결합되는 결합부와 패킹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6 및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의 커버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8 및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의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10 및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의 사용방법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12 는 종래의 가로수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와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는 가로수 근을 지중에서 보호하도록 지중에 토류 저장 공간이 제공되도록 1 조의 중공(H)을 형성하도록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두부변(101), 제 1 양측변(102) 및 제 1 저면변(103)으로 사변의 판재 형태를 이루어 지중에서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지면과 수직한 상기 제 1 양측변(102) 부위에서 가로수 근이 위치한 내측 방향으로 소정 두께로 파여진 결합부(104)가 상기 제 1 두부변(101)에서 상기 제 1 저면변(103)까지 형성되는 측판재(1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측판재(100)의 상기 결합부(104)에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밀착 접촉되어 상기 측판재(100)를 서로 직교 연결 연결하도록 제 2 두부변(201), 제 2 양측변(202) 및 제 2 저면변(203)으로 사변의 판재 형태를 이루어 지중에서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전 후면을 형성하도록 전후판재(20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2 양측변(102,202)의 높이는 서로 동일하게 구비되어 서로 결합시에는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가로수 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2 및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재(100) 및 상기 전후판재(200)의 각 면에는 관통 투수공(105)이 형성되어 가로수 근 주위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재(100)와 상기 전후판재(200)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측판재(100)와 상기 전후판재(200)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제 1 연결구(106)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연결구(301)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두부변(101)과 상기 제 2 두부변(201)를 주위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도록 제 2 연결구(301)가 연결부재(30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한 쌍의 상기 측판부(100)과 상기 전후면부(20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재(100)와 상기 전후판재(200)의 외부의 상기 중공(H)를 메꾸도록 제 1 충진부재(400)와 상기 제 1,2 저면변(103, 203)에서 상기 제 1,2 두부변(101,201) 방향으로 상기 중공(H)를 메우도록 제 2 충진부재(500)가 구비되어 상기 측판재(100)와 상기 전후판재(200)가 강고하게 고정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재(100) 및 상기 전후판재(200)의 지표면 부위의 상기 제 1,2 두부변(101,201)에 결합 되어 가로수 및 가로수 근을 보호하도록 중심 부위에 가로수 공(601)이 형성되는 커버재(60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양측변(102)의 길이와 상기 제 2 양측변(202)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2 충진부재(500)의 높이는 상기 제 1,2 양측변(102,202)의 길이 보다 짧게 구비되어 상기 커버재(600)의 저면에 커버 공간부(602)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상향 돌출되는 가로수의 측근으로 부터 보도 블럭 또는 커버재(600)의 돌출을 예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통 투수공(105)은 단면이 원형인 관 형상으로 구비되되 가로수 근이 위치한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충진부재(400)에는 상기 관통 투수공(105)과 연통되는 배수구(401) 또는 배수공극(402)이 구비되어 자연 배수에 유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04)는 상기 측판재(100) 방향에 탄성 재질의 패킹재(104a)가 구비되어 상기 측판재(100)과 상기 전후면부(200)의 결합이 부드럽게 되고 상기 제 1,2 충진부재(400,500)이 메워진 경우에는 더욱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측면부(10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측면 결합부(302)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결합부(302)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후면부(20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전후면 결합부(303)가 포함되며, 상기 측면 결합부(302)와 상기 전후면 결합부(303)에 상기 제 2 연결구(301)가 관통 형성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현장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재(600)는 2개 또는 4 개의 커버재 모듈(600a)이 서로 결합하여 1 조의 상기 커버재(600)를 형성하여 상기 제 1,2 두부면(101,201)을 4 각 형태로 지표면에서 커버하되, 상기 커버재(600)에는 지면에서 지중 방향으로 다수의 투수공(603)이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무게와 부피를 줄여서 생산, 이동과 보관에 유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커버재 모듈(600a)을 서로 결합하도록 ㄷ(디귿자) 형상의 커버 연결 부재(600b)가 더 구비되어 결합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결합의 강고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재(600)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수 공(601)의 테두리에서 외부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 1,2 두부변(101,201)의 위치에서는 지표면과 높이가 동일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보행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재(600)에는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 방향인 하부면에 제 2 지지부재(500)까지 커버 지주대(604)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 지주대(604)는 금속재질로 구비되되 상부지주(604a)와 하부지주(604b)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지주(604a)와 상기 하부지주(604b) 사이에 외부에서 가압하는 외력에 의하여 파손될 수 있도록 지주 파손부(604c)가 구비되어 가로수 측근의 가압력이 커지는 경우에 상기 지주 파손부(604c)가 절단되어 상기 커버재(600)에 직접적으로 가압되는 외력을 일차적으로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제 1,2 두부면(101,201)의 상부에서 지중 방향으로 제 1 커버 결합공(101a,201a)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함되며 상기 커버재(600)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 1 커버 결합공(101a,201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커버 결합공(601a)가 구비되어 상기 측면부(100), 상기 전후면부(200) 및 상기 커버재(600)을 서로 결합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2 두부변(101,201)의 상부에서 하부로 직각 절곡 되어 상기 커버재(600)가 절곡부의 상부에 안착 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도 10 및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재(100)의 결합부(104) 위치에 전후판재(200)가 직교하도록 배치하고 연결부재(300)을 이용하여 중공(H) 내에 설치한 후 제 2 충진부재(500)을 이용하여 고정력을 강화시킨 후에 가로수를 식재하는 것이다.
이때, 제 1 충진부재(400)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양측변(102)의 길이보다 작게하여 커버 공간부(602)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커버 공간부(602) 위에 지주 파손부(604c)가 구비되는 커버지주(604)를 입설한 후에, 커버재(600)를 조립하여 마감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를 통하여, 지중에 토류 저장 공간이 제공되도록 1 조의 중공(H)을 형성하는 가로수분 구조체를 개시하여 가로수 근 및 가로수를 보호하되 가로수의 측근 생장이 야기하는 보도 블럭 또는 가로수 덮개의 파손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지중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재(100)와 상기 측판재(100)에 지지되는 전후판재(200)를 구비하여 가로수 근의 측방 파손 위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측판재(100)와 전후판재(200)가 현장에서 결합 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측판재(100)와 전후판재(200)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이동 및 보관에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측판제(100)와 전후판재(200)를 간단하게 고정하고 결합하도록 하는 연결부재(300)를 제공하여 현장에서의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 후에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커버재(600)의 지중 방향인 하부면에 제 2 지지부재(500)까지 커버 지주대(604)를 더 구비하여 보행자의 무게등에 안정적으로 저항 할 수 있으며, 커버 지주대(604)는 금속재질로 구비되되 상부지주(604a)와 하부지주(604b)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지주(604a)와 상기 하부지주(604b) 사이에 외부에서 가압하는 외력에 의하여 파손될 수 있도록 지주 파손부(604c)로 구비되어 측근 생장시 커버재(600)을 직접으로 파손시키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측판재
101 ... 제 1 두부변
102 ... 제 1 양측변
103 ... 제 1 저면변
104 ... 결합부
104a ... 패킹재
105 ... 관통 투수공
106 ... 제 1 연결구
200 ... 전후판재
201 ... 제 2 두부변
202 ... 제 2 양측변
203 ... 제 2 저면변
300 ... 연결부재
301 ... 제 2 연결구
302 ... 측면 결합부
303 ... 전후면 결합부
400 ... 제 1 충진부재
401 ... 배수구
402 ... 배수공극
500 ... 제 2 충진부재
600 ... 커버재
600a ... 커버재 모듈
600b ... 커버 연결 부재
601 ... 가로수 공
602 ... 커버 공간부
603 ... 투수공
604 ... 커버 지주대
604a ... 상부지주
604b ... 하부지주
604c ... 지주 파손부
H ... 중공

Claims (12)

  1. 가로수 근을 지중에서 보호하도록 지중에 토류 저장 공간이 제공되도록 1 조의 중공(H)을 형성하는 가로수분 구조체(A)에 있어서,
    제 1 두부변(101), 제 1 양측변(102) 및 제 1 저면변(103)으로 사변의 판재 형태를 이루어 지중에서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지면과 수직한 상기 제 1 양측변(102) 부위에서 가로수 근이 위치한 내측 방향으로 소정 두께로 파여진 결합부(104)가 상기 제 1 두부변(101)에서 상기 제 1 저면변(103)까지 형성되는 측판재(100);
    상기 측판재(100)의 상기 결합부(104)에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밀착 접촉되어 상기 측판재(100)를 서로 직교 연결 연결하도록 제 2 두부변(201), 제 2 양측변(202) 및 제 2 저면변(203)으로 사변의 판재 형태를 이루어 지중에서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전 후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전후판재(200);
    상기 측판재(100) 및 상기 전후판재(200)의 각 면에 형성되는 관통 투수공(105);
    상기 측판재(100)와 상기 전후판재(200)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측판재(100)와 상기 전후판재(200)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구비되는 제 1 연결구(106);
    상기 제 1 연결구(301)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두부변(101)과 상기 제 2 두부변(201)를 주위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도록 제 2 연결구(301)가 구비되는 연결부재(300);
    상기 측판재(100)와 상기 전후판재(200)의 외부의 상기 중공(H)를 메꾸도록 구비되는 제 1 충진부재(400);
    상기 제 1,2 저면변(103, 203)에서 상기 제 1,2 두부변(101,201) 방향으로 상기 중공(H)를 메우도록 구비되는 제 2 충진부재(500);
    상기 측판재(100) 및 상기 전후판재(200)의 지표면 부위의 상기 제 1,2 두부변(101,201)에 결합 되어 가로수 및 가로수 근을 보호하도록 중심 부위에 가로수 공(601)이 구비되는 커버재(600);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양측변(102)의 길이와 상기 제 2 양측변(202)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2 충진부재(500)의 높이는 상기 제 1,2 양측변(102,202)의 길이 보다 짧게 구비되어 상기 커버재(600)의 저면에 커버 공간부(602)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 투수공(105)은 단면이 원형인 관 형상으로 구비되되 가로수 근이 위치한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충진부재(400)에는 상기 관통 투수공(105)과 연통되는 배수구(401) 또는 배수공극(402)이 구비되며,
    상기 커버재(600)는 2개 또는 4 개의 커버재 모듈(600a)이 서로 결합하여 1 조의 상기 커버재(600)를 형성하여 상기 제 1,2 두부면(101,201)을 4 각 형태로 지표면에서 커버하되, 상기 커버재(600)에는 지면에서 지중 방향으로 다수의 투수공(603)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재(600)는 상기 가로수 공(601)의 테두리에서 외부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 1,2 두부변(101,201)의 위치에서는 지표면과 높이가 동일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 1,2 두부면(101,201)의 상부에서 지중 방향으로 제 1 커버 결합공(101a,201a)가 포함되며, 상기 커버재(600)의 테두리에는 상기 제 1 커버 결합공(101a,201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커버 결합공(601a)가 구비되어 상기 측판재(100), 상기 전후판재(200) 및 상기 커버재(600)을 서로 결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측판재(10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측면 결합부(302)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결합부(302)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후판재(20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전후면 결합부(303)가 포함되며, 상기 측면 결합부(302)와 상기 전후면 결합부(303)에 상기 제 2 연결구(301)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 1,2 두부변(101,201)의 상부에서 하부로 직각 절곡 되어 상기 커버재(600)가 절곡부의 상부에 안착 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버재 모듈(600a)을 서로 결합하도록 ㄷ(디귿자) 형상의 커버 연결 부재(600b)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04)는,
    상기 측판재(100) 방향에 탄성 재질의 패킹재(104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재(600)는,
    지중 방향인 하부면에 제 2 지지부재(500)까지 커버 지주대(60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지주대(604)는,
    금속재질로 구비되되 상부지주(604a)와 하부지주(604b)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지주(604a)와 상기 하부지주(604b) 사이에 외부에서 가압하는 외력에 의하여 파손될 수 있도록 지주 파손부(604c)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150715A 2018-11-29 2018-11-29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 Active KR102086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15A KR102086743B1 (ko) 2018-11-29 2018-11-29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715A KR102086743B1 (ko) 2018-11-29 2018-11-29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743B1 true KR102086743B1 (ko) 2020-04-20

Family

ID=70467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715A Active KR102086743B1 (ko) 2018-11-29 2018-11-29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7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907B1 (en) * 2003-03-07 2003-10-04 Bong Hee Go Built-up tree protection cover
KR20060129985A (ko) 2006-11-07 2006-12-18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가로수 및 인도블럭 보호부재
KR20120098082A (ko) 2011-02-28 2012-09-0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로수 측근 발생 억제 방법
JP2014117189A (ja) * 2012-12-13 2014-06-30 Tetsuya Kudo 樹木栽培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907B1 (en) * 2003-03-07 2003-10-04 Bong Hee Go Built-up tree protection cover
KR20060129985A (ko) 2006-11-07 2006-12-18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산 가로수 및 인도블럭 보호부재
KR20120098082A (ko) 2011-02-28 2012-09-05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로수 측근 발생 억제 방법
JP2014117189A (ja) * 2012-12-13 2014-06-30 Tetsuya Kudo 樹木栽培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887B1 (ko) 가로수용 급수 및 급양 장치 및 가로수 보호 조립체
KR102198013B1 (ko)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및 보도블럭의 시공방법
KR100627575B1 (ko) 도로용 화단 구조
JP4941859B2 (ja) 植物保護資材
KR102086743B1 (ko)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
KR100408850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CN108729323A (zh) 隐蔽式道路
KR102015523B1 (ko) 친환경 식생형 배수로 장치
KR200365228Y1 (ko) 식생 수목 보호판
KR200254952Y1 (ko) 수목의 수분 공급 장치
KR101167981B1 (ko) 가로수 보호장치의 시공공법
KR101900728B1 (ko)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CN210975402U (zh) 一种高速公路路基结构
KR100763874B1 (ko) 식생용 옹벽블록
CN217694614U (zh) 一种带透水盖板的新型单体树池
KR200410826Y1 (ko) 하천 제방의 사면용 보호블록 설치구조
CN217923651U (zh) 一种山地城市低成本环保型边坡支档装置
KR200283005Y1 (ko) 도로 비탈면의 유실방지용 합성골판 콘크리트블록 구조
CN214694961U (zh) 一种浅基础花径栈道
CN212344635U (zh) 一种轻便简易式市政道路悬挂绿化带
KR101335543B1 (ko)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CN209799547U (zh) 一种园林绿化用防护隔离带
CN214362681U (zh) 一种城市公园游步道交叉口生态修复装置
KR100429032B1 (ko) 녹화보도블록을 이용한 보도녹지화 포장방법
KR102583213B1 (ko) 빗물을 사용하여 잔디를 식생하는 친환경 녹색 블럭과 그 블럭을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1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