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6680B1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680B1
KR102086680B1 KR1020130017672A KR20130017672A KR102086680B1 KR 102086680 B1 KR102086680 B1 KR 102086680B1 KR 1020130017672 A KR1020130017672 A KR 1020130017672A KR 20130017672 A KR20130017672 A KR 20130017672A KR 102086680 B1 KR102086680 B1 KR 102086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vice
terminal
transmission strength
data c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3775A (ko
Inventor
이해정
권세용
노종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7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680B1/ko
Publication of KR20140103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68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가입자에게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라 차별화된 하향링크 데이터호전송세기를 적용함으로써, 가입자 모두의 데이터서비스 품질을 효율적으로 보장하면서 셀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BASE ST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가입자에게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라 차별화된 하향링크 데이터호전송세기를 적용함으로써, 가입자 모두의 데이터서비스 품질을 효율적으로 보장하면서 셀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이동통신은 LTE(Long Term Evolution) 망의 성장으로 3G 서비스인 WCDMA에서 그 중심이 LTE 망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LTE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LTE 단말)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이동통신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들이 자신의 단말 즉 LTE 단말을 통해 다운로드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SNS 서비스 및 포털 서비스 등 다양한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데이터서비스 중 다운로드 서비스나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는 대용량의 컨텐츠(예 : 영화, 음악)를 단말로 전송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데이터 사용을 요구하고, 가입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포털 서비스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소용량의 컨텐츠(예 : 웹페이지)를 단말로 전송하기 때문에 적은 양의 데이터 사용을 요구한다.
한편, 전술과 같이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이 접속된 기지국에서는, 데이터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실은 하향링크 데이터호를 단말로 전송하는데 있어서 지정된 하향링크 데이터호전송세기 설정 방식에 따라 설정되는 전송세기를 적용하고 있다.
이때, 기존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전송세기 설정 방식은,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되면,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서비스의 종류와 관계없이 최대 전송세기를 설정하고 있다.
이에, 기지국 입장에서는, 많은 양의 데이터 사용을 요구하는 데이터서비스이든 적은 양의 데이터 사용을 요구하는 데이터서비스이든 구분 없이 동일한 최대 전송세기를 적용하기 때문에, 무선자원의 운영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들 중 대다수는, 데이터서비스 이용요금의 부담으로 인해 적은 양의 데이터 사용을 요구하는 데이터서비스(예 : 포털 서비스)를 이용하는 편이다. 그런데, 기존에는 전술과 같이 기지국이 적은 양의 데이터 사용을 요구하는 데이터서비스(예 : 포털 서비스)에도 항상 최대 전송세기를 적용하기 때문에, 다른 기지국의 셀 과의 간섭 발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단말(가입자)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라 차별화된 하향링크 데이터호전송세기를 적용함으로써, 가입자 모두의 데이터서비스 품질을 효율적으로 보장하면서 셀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가입자에게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라 차별화된 하향링크 데이터호전송세기를 적용함으로써, 가입자 모두의 데이터서비스 품질을 효율적으로 보장하면서 셀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가입자에게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라 차별화된 하향링크 데이터호전송세기를 적용함으로써, 가입자 모두의 데이터서비스 품질을 효율적으로 보장하면서 셀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가입자에게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라 차별화된 하향링크 데이터호전송세기를 적용함으로써, 가입자 모두의 데이터서비스 품질을 효율적으로 보장하면서 셀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단말(10),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다수의 단말(10)로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서비스장치(200),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수의 단말(10) 및 데이터서비스장치(20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패킷(PS : Packet Switched)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로서, 예를 들면 LTE 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서비스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다수의 단말(10)로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여기서, 데이터서비스는, 다운로드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SNS 서비스 및 포털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단말(10)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서비스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서비스 즉 다운로드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SNS 서비스 및 포털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이다.
즉, 다수의 단말(10)은,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고, 이에 기지국장치(100)를 통해 접속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데이터서비스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단말(10) 중 단말1,2가 기지국장치(100)에 접속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기지국장치(100)는, 자신에 접속되는 단말에 대하여, 기지국장치(100) 자신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네트워크 기반의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기지국장치(100)는,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고자 접속된 단말에 대하여, 단말 및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기지국장치(100)는, 단말이 접속되면, 데이터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실은 데이터호 즉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설정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단말(10) 중 단말1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이 접속되면 즉 단말1에 대한 데이터호 세션 연결절차를 수행하여 단말1과의 데이터호 세션이 연결되면, 단말1에 대하여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설정함으로써 설정한 전송세기로 하향링크 데이터호를 단말1로 전송하게 된다.
예컨대, 기지국장치(100)에는,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로서 설정 가능한 데이터호전송세기들(예 : 0dB, -1dB, -3dB, -6dB)로 구성된 테이블이 보유될 수 있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이 접속되면, 전술한 테이블을 기초로 하나의 데이터호전송세기를 선택하여, 단말1에 대하여 데이터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실은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전술의 선택한 데이터호전송세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기존의 기지국장치라면, 단말1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종류와 상관없이 전술의 테이블에서 설정 가능한 데이터호전송세기들(예 : 0dB, -1dB, -3dB, -6dB) 중 하나 예컨대 최대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0dB)를 선택함으로써, 단말1에 대하여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설정할 것이다.
이에, 기존의 기지국장치에서는, 기지국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는 다수의 단말(10) 각각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가 모두 동일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0dB)로 설정되기 때문에, 적은 양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데이터서비스(예 : 포털 서비스)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대해서도 최대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0dB)를 적용함에 따라 기지국장치의 무선자원 운영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무선자원 운영측면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에 대하여 데이터서비스의 종류 즉 서비스타입에 따라 차별화된 하향링크 데이터호전송세기를 적용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장치(100)는, 접속되는 단말1에 대하여 단말1에서 이용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을 확인하고, 확인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 별로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를 결정하여,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에 따라 단말1로 전송하는 데이터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조정한다.
다시 말하면,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이 접속되면 즉 단말1에 대한 데이터호 세션 연결절차를 수행하여 단말1과의 데이터호 세션이 연결되면, 우선은 기 설정된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의 하향링크 데이터호를 단말1로 전송하도록 한다.
예컨대,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이 접속되면, 우선은 단말1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과 상관없이 전술의 테이블에서 설정 가능한 데이터호전송세기들(예 : 0dB, -1dB, -3dB, -6dB) 중 기 설정된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를 선택하여 단말1에 대하여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이 접속된 직후에는 데이터서비스장치(200)로부터 단말1로 제공되는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 데이터를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실어 단말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는, 서비스타입 별로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 중 가장 작은 데이터호전송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술의 테이블을 언급하자면,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는,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들(예 : 0dB, -1dB, -3dB, -6dB) 중에서 가장 작은 데이터호전송세기 -6dB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지국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의 하향링크 데이터호를 통해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단말1로 전송하는 한편, 단말1에서 이용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을 확인한다.
이때 기지국장치(100)는, 데이터서비스와 관련하여 단말1로 전송되는 데이터패킷량을 기초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은, 데이터서비스를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패킷량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예컨대 다운로드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SNS 서비스 및 포털 서비스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다운로드 서비스나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는 대용량의 컨텐츠(예 : 영화, 음악)를 단말로 전송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데이터 사용을 요구하고, 가입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포털 서비스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소용량의 컨텐츠(예 : 웹페이지)를 단말로 전송하기 때문에 적은 양의 데이터 사용을 요구한다.
이에, 사용하는 데이터패킷량을 기준으로 가장 많은 데이터패킷량을 사용하는 데이터서비스부터 우선순위를 두어 나열한다면, 다운로드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SNS 서비스 및 포털 서비스의 순서로 나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에 대하여 확인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 별로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를 결정한다.
즉,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에 대하여 확인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이 무엇이냐에 따라서, 예컨대 다운로드 서비스인지, 스트리밍 서비스인지, SNS 서비스인지 또는 포털 서비스인지에 따라서 상이하게 지정된 데이터호전송세기를 결정하는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테이블을 언급하여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 별로 지정된 데이터호전송세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표1로 표현할 수 있다.
서비스타입 데이터패킷량 기준 우선순위 데이터호전송세기
다운로드 서비스 1 0dB
스트리밍 서비스 2 -1dB
SNS 서비스 3 -3dB
포털 서비스 4 -6dB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에 대하여 확인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이 무엇이냐에 따라서, 전술의 표1을 기초로 해당 데이터호전송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예 : 다운로드 서비스)에 따라서 전술의 표1에서 데이터호전송세기들(예 : 0dB, -1dB, -3dB, -6dB) 중 해당하는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0dB)를 결정하여, 단말1에 대하여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현재 전송세기(예 : 최소 데이터호전송세기 -6dB)를 새로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0dB)로 조정하여 재 설정할 수 있다.
물론,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조정하여 재 설정하는 과정에서 재 설정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0dB)의 정보를 단말1로 제공함으로써, 단말1에서 재 설정된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예컨대, 기지국장치(100)는, 재 설정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0dB)의 정보를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를 통해 단말1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이 접속된 직후에는 데이터서비스장치(200)로부터 단말1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과 상관 없이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실어 단말1로 전송하다가,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른 특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를 결정하면 단말1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른 특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실어 단말1로 전송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단말이 접속되는 단말접속부(110)와, 단말에서 이용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을 확인하는 서비스타입확인부(130)와, 상기 확인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 별로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를 결정하는 전송세기결정부(140)와, 상기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에 따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데이터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조정하는 전송세기제어부(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데이터호전송부(120)를 더 포함한다.
단말접속부(110)는, 기지국장치(100)의 셀에 위치한 다수의 단말(10)이 접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단말(10) 중 단말1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단말접속부(110)는, 단말1이 접속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말접속부(110)는,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 예컨대 단말1에 대한 데이터호 세션 연결절차를 수행하여, 단말1 및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서비스장치(200) 사이의 데이터호 세션을 연결한다.
서비스타입확인부(130)는, 단말1에서 이용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을 확인한다.
전송세기결정부(140)는, 서비스타입확인부(130)에서 확인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 별로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를 결정한다.
전송세기제어부(150)는, 전송세기결정부(140)에서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에 따라, 단말1로 전송하는 데이터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조정한다.
이때, 전송세기제어부(150)는, 전술과 같이 단말접속부(110)에 단말1이 접속되는 시점에는 기 설정된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의 데이터호를 단말1로 전송하도록 하고, 전술과 같이 전송세기결정부(140)에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른 데이터호전송세기가 결정된 이후에는 단말1로 전송하는 데이터호의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를 상기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송세기제어부(150)는, 전술과 같이 단말접속부(110)에 단말1이 접속되면 즉 단말1에 대한 데이터호 세션 연결절차를 수행하여 단말1과의 데이터호 세션이 연결되면, 기 설정된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를 단말1에 대하여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로서 설정하도록 전송세기결정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전송세기결정부(140)는 전술과 같이 단말접속부(110)에 단말1이 접속되는 시점에, 우선은 단말1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과 상관없이 전술의 테이블에서 설정 가능한 데이터호전송세기들(예 : 0dB, -1dB, -3dB, -6dB) 중 기 설정된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를 선택하여 단말1에 대하여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는, 서비스타입 별로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 중 가장 작은 데이터호전송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술의 테이블을 언급하자면,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는,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들(예 : 0dB, -1dB, -3dB, -6dB) 중에서 가장 작은 데이터호전송세기 -6dB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기지국장치(100)의 데이터호전송부(120)는, 단말1이 접속된 이후 데이터서비스장치(200)로부터 단말1로 제공되는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 데이터를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 즉 최소 데이터호전송세기 -6dB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실어 단말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데이터호전송부(120)에서 전술과 같이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의 하향링크 데이터호를 통해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단말1로 전송하는 한편, 서비스타입확인부(130)는, 단말1에서 이용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을 확인한다.
이때, 서비스타입확인부(130)는, 데이터서비스와 관련하여 단말1로 전송되는 데이터패킷량을 기초로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패킷을 저장하는 데이터버퍼(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데이터호전송부(120)에서 전술과 같이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의 하향링크 데이터호를 통해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단말1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단말1로 전송하는 데이터 즉 데이터패킷은 기지국장치(100) 내 데이터버퍼(125)에 저장되어 데이터버퍼(125)의 저장공간을 일시적으로 점유하게 된다.
이에, 서비스타입확인부(130)는, 기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단말1과 관련하여 데이터버퍼(125)를 모니터링하여 단말1로 전송되는 데이터 즉 데이터패킷이 데이터버퍼(125)에서 점유하는 저장공간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비율은 결국 기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단말1로 전송되는 데이터패킷의 양을 의미할 것이다.
즉, 서비스타입확인부(130)는, 전술과 같이 데이터버퍼(125)를 모니터링하여 단말1로 전송되는 데이터패킷량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한 데이터패킷량을 기초로 단말1에서 이용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은, 데이터서비스를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패킷량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각 서비스타입 별로 상이한 데이터패킷량이 맵핑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타입 별로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는, 맵핑된 데이터패킷량을 기초로 데이터패킷량이 가장 적은 서비스타입부터 데이터패킷량이 가장 큰 서비스타입의 순서에 따라, 각 서비스타입의 데이터호전송세기가 순차적으로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전술의 표1과 같이, 맵핑되는 데이터패킷량을 기준으로 가장 많은 데이터패킷량을 사용하는 데이터서비스부터 우선순위를 두어 나열하면 다운로드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SNS 서비스 및 포털 서비스의 순서로 나열할 수 있고, 데이터패킷량이 가장 많은 우선순위1의 다운로드 서비스에 가장 큰 최대 데이터호전송세기 0dB가, 우선순위2의 스트리밍 서비스에 데이터호전송세기 -1dB가, 우선순위3의 SNS 서비스에 데이터호전송세기 -3dB가, 우선순위4의 포털 서비스에 데이터호전송세기 -6dB가 설정될 수 있다.
전송세기결정부(140)는, 전술과 같이 서비스타입확인부(130)에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예 : 스트리밍 서비스)을 확인하면, 전술의 표1을 기초로 해당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1dB)를 결정할 수 있다.
전송세기제어부(150)는, 전송세기결정부(140)에서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에 따라, 단말1로 전송하는 데이터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전송세기제어부(150)는, 전송세기결정부(140)에서 단말1에 대한 데이터호전송세기가 결정되면, 결정된 데이터호전송세기를 단말1에 대하여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로서 재 설정하도록 전송세기결정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전송세기결정부(140)는, 단말1에 대하여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현재 전송세기(예 : 최소 데이터호전송세기 -6dB)를 새로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1dB)로 조정하여 재 설정할 수 있다.
이에, 기지국장치(100)의 데이터호전송부(120)는, 단말1이 접속된 직후에는 데이터서비스장치(200)로부터 단말1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과 상관 없이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최소 데이터호전송세기 -6dB)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실어 단말1로 전송하다가,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예 : 스트리밍 서비스)에 따른 특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를 결정하면 단말1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른 특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1dB)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실어 단말1로 전송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이 데이터서비스를 위해 접속되면 초기에는 작은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6dB)를 적용하여 단말1로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고, 이후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라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증가된 데이터호전송세기로 조정/적용하여 단말1로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송세기제어부(150)는, 전송세기결정부(140)에서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에 따라 단말1로 전송하는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조정한 이후, 단말1에 대한 데이터전송속도가 특정 목표속도 이하인 경우 단말1로 전송하는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 별로 목표속도가 기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확인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이 스트리밍 서비스이고, 스트리밍 서비스의 목표속도는 x Mbps라고 예를 들면, 전송세기제어부(150)는, 전술과 같이 전송세기결정부(140)에서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1dB)에 따라 단말1로 전송하는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조정한 이후,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송세기를 조정한 이후 기 지정된 판단대기시간이 경과한 이후, 단말1에 대한 데이터전송속도가 특정 목표속도 즉 x Mbps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전송세기제어부(150)는, 단말1에 대한 데이터전송속도가 x Mbps 이하인 경우, 단말1로 전송하는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현재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1dB)를 기 지정된 증가치(예 : +0.5dB) 만큼 더 증가시키도록 전송세기결정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전송세기결정부(140)는, 단말1에 대하여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현재 전송세기(예 : 데이터호전송세기 -1dB)를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0.5dB)로 조정하여 재 설정할 수 있다.
이에, 기지국장치(100)의 데이터호전송부(120)는, 단말1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른 특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1dB)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실어 단말1로 전송한 이후 이에 따른 단말1에 대한 데이터전송속도가 목표속도 이하이면, 단말1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른 특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1dB) 보다 증가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0.5dB)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실어 단말1로 전송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에 대해서만 전술과 같이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 적용 및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 확인 후 차별화된 데이터호전송세기로 조정의 구성을 적용하며, 단말로 전송하는 기준신호(Reference signal)에 대해서는 기존의 전송세기 전송 방식을 그대로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단말이 데이터서비스를 위해 접속되면 초기에는 작은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6dB)를 적용하여 단말1로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고, 이후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라 차별화된 데이터호전송세기로 조정/적용하여 단말1로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가입자 모두의 데이터서비스 서비스 품질을 효율적으로 보장하도록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단말이 데이터서비스를 위해 접속되면 초기에는 작은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6dB)를 적용하여 단말1로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고, 이후 대다수의 단말이 이용하는 적은 양의 데이터 사용을 요구하는 포털 서비스인 경우 초기에 적용한 작은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6dB)를 유지/적용함으로써, 셀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운영할 수 있는 효과까지 도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단말(10) 중 단말1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가 포함된 통신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이 접속되면 즉 단말1에 대한 데이터호 세션 연결절차를 수행하여 단말1과의 데이터호 세션이 연결되면(S10), 우선은 기 설정된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의 하향링크 데이터호를 단말1로 전송하도록 한다.
예컨대,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이 접속되면, 우선은 단말1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과 상관없이 전술의 테이블에서 설정 가능한 데이터호전송세기들(예 : 0dB, -1dB, -3dB, -6dB) 중 기 설정된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를 선택하여 단말1에 대하여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이 접속된 직후에는 데이터서비스장치(200)로부터 단말1로 제공되는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가 수신되면(S20), 이 데이터를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실어 단말1로 전송할 수 있다(S30).
이때,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는, 서비스타입 별로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 중 가장 작은 데이터호전송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술의 테이블을 언급하자면,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는,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들(예 : 0dB, -1dB, -3dB, -6dB) 중에서 가장 작은 데이터호전송세기 -6dB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지국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의 하향링크 데이터호를 통해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단말1로 전송하는 한편, 단말1에서 이용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을 확인한다(S40).
이후,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에 대하여 확인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 별로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를 결정한다(S50).
즉,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에 대하여 확인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이 무엇이냐에 따라서, 예컨대 다운로드 서비스인지, 스트리밍 서비스인지, SNS 서비스인지 또는 포털 서비스인지에 따라서 상이하게 지정된 데이터호전송세기를 결정하는 것이다.
예컨대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에 대하여 확인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이 무엇이냐에 따라서, 전술의 표1을 기초로 해당 데이터호전송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예 : 다운로드 서비스)에 따라서 전술의 표1에서 데이터호전송세기들(예 : 0dB, -1dB, -3dB, -6dB) 중 해당하는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0dB)를 결정하면(S50), 단말1에 대하여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현재 전송세기(예 : 최소 데이터호전송세기 -6dB)를 새로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0dB)로 조정하여 재 설정할 수 있다.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S50단계에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른 특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를 결정하여 이에 따라 단말1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조정하면, 이후에는 데이터서비스장치(200)로부터 단말1로 제공되는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가 수신되면(S60), 이 데이터를 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0dB)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실어 단말1로 전송할 수 있다(S70).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이 접속된 직후에는 데이터서비스장치(200)로부터 단말1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과 상관 없이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실어 단말1로 전송하다가,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른 특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를 결정하면 단말1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른 특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실어 단말1로 전송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 예컨대 단말1에 대한 데이터호 세션 연결절차를 수행하여 단말1이 접속되면(S100), 기 설정된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를 단말1에 대하여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로서 설정한다(S110).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단말1이 접속되는 시점에, 우선은 단말1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과 상관없이 전술의 테이블에서 설정 가능한 데이터호전송세기들(예 : 0dB, -1dB, -3dB, -6dB) 중 기 설정된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를 선택하여 단말1에 대하여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는, 서비스타입 별로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 중 가장 작은 데이터호전송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술의 테이블을 언급하자면,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는,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들(예 : 0dB, -1dB, -3dB, -6dB) 중에서 가장 작은 데이터호전송세기 -6dB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이 접속된 이후 데이터서비스장치(200)로부터 단말1로 제공되는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 데이터를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 즉 최소 데이터호전송세기 -6dB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실어 단말1로 전송할 수 있다(S120).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의 하향링크 데이터호를 통해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단말1로 전송하는 한편, 단말1에서 이용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을 확인한다(S13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서비스와 관련하여 단말1로 전송되는 데이터패킷량을 기초로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단말1과 관련하여 데이터버퍼(125)를 모니터링하여 단말1로 전송되는 데이터 즉 데이터패킷이 데이터버퍼(125)에서 점유하는 저장공간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비율은 결국 기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 단말1로 전송되는 데이터패킷의 양을 의미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데이터버퍼(125)를 모니터링하여 단말1로 전송되는 데이터패킷량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한 데이터패킷량을 기초로 단말1에서 이용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의 표1과 같이,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은, 다운로드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SNS 서비스 및 포털 서비스로 구분되며, 데이터패킷량을 기준으로 가장 많은 데이터패킷량을 사용하는 데이터서비스부터 우선순위를 두어 나열하면 다운로드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 SNS 서비스 및 포털 서비스의 순서로 나열할 수 있고, 데이터패킷량이 가장 많은 우선순위1의 다운로드 서비스에 가장 큰 최대 데이터호전송세기 0dB가, 우선순위2의 스트리밍 서비스에 데이터호전송세기 -1dB가, 우선순위3의 SNS 서비스에 데이터호전송세기 -3dB가, 우선순위4의 포털 서비스에 데이터호전송세기 -6dB가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예 : 스트리밍 서비스)을 확인하면, 전술의 표1을 기초로 해당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1dB)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단말1로 전송하는 데이터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S140).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표1을 기초로 해당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1dB)가 결정되면, 단말1에 대하여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현재 전송세기(예 : 최소 데이터호전송세기 -6dB)를 새로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1dB)로 조정하여 재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른 특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1dB)를 결정하여 이에 따라 단말1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조정하면, 이후에는 데이터서비스장치(200)로부터 단말1로 제공되는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 데이터를 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1dB)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실어 단말1로 전송할 수 있다(S15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이 접속된 직후에는 데이터서비스장치(200)로부터 단말1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과 상관 없이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최소 데이터호전송세기 -6dB)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실어 단말1로 전송하다가,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예 : 스트리밍 서비스)에 따른 특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를 결정하면 단말1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른 특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1dB)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실어 단말1로 전송할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라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로 단말1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조정한 이후, 단말1에 대한 데이터전송속도가 특정 목표속도 이하인 경우 단말1로 전송하는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 별로 목표속도가 기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확인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이 스트리밍 서비스이고, 스트리밍 서비스의 목표속도는 x Mbps라고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라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1dB)로 단말1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조정한 이후,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송세기를 조정한 이후 기 지정된 판단대기시간이 경과한 이후, 단말1에 대한 데이터전송속도가 특정 목표속도 즉 x Mbps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S16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1에 대한 데이터전송속도가 x Mbps 이하인 경우, 단말1로 전송하는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현재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1dB)를 기 지정된 증가치(예 : +0.5dB) 만큼 더 증가시켜 단말1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호의 현재 전송세기(예 : 데이터호전송세기 -1dB)를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0.5dB)로 조정하여 재 설정할 수 있다(S17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1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른 특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1dB)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실어 단말1로 전송한 이후 이에 따른 단말1에 대한 데이터전송속도가 목표속도 이하이면, 단말1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른 특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1dB) 보다 증가된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0.5dB)의 하향링크 데이터호에 실어 단말1로 전송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이 데이터서비스를 위해 접속되면 초기에는 작은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6dB)를 적용하여 단말1로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고, 이후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라 차별화된 데이터호전송세기로 조정/적용하여 단말1로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가입자 모두의 데이터서비스 서비스 품질을 효율적으로 보장하도록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이 데이터서비스를 위해 접속되면 초기에는 작은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6dB)를 적용하여 단말1로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고, 이후 대다수의 단말이 이용하는 적은 양의 데이터 사용을 요구하는 포털 서비스인 경우 초기에 적용한 작은 데이터호전송세기(예 : -6dB)를 유지/적용함으로써, 셀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운영할 수 있는 효과까지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가입자에게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라 차별화된 하향링크 데이터호전송세기를 적용함으로써, 가입자 모두의 데이터서비스 품질을 효율적으로 보장하면서 셀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기지국의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 다수의 단말 100 : 기지국장치
200 : 데이터서비스장치

Claims (12)

  1. 단말이 접속되는 단말접속부;
    상기 단말에서 이용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을 확인하는 서비스타입확인부;
    상기 확인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 별로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를 결정하는 전송세기결정부; 및
    상기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에 따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상기 데이터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조정하는 전송세기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세기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접속부에 접속되는 시점에는 상기 확인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과 상관없이 기 설정된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의 데이터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확인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라 상기 데이터호전송세기가 결정된 이후에는 상기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를 상기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로 조정하며,
    상기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는,
    서비스타입 별로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 중 가장 작은 데이터호전송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타입확인부는,
    상기 데이터서비스와 관련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패킷량을 기초로 상기 단말이 이용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는,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패킷을 저장하는 데이터버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타입확인부는,
    상기 데이터버퍼에서 상기 단말로 전송된 데이터패킷들이 점유하는 저장공간의 비율을 통해 상기 단말이 이용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세기제어부는,
    상기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에 따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조정한 이후, 상기 단말에 대한 데이터전송속도가 특정 목표속도 이하인 경우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접속된 단말에서 이용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을 확인하는 서비스타입확인단계;
    상기 확인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 별로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를 결정하는 전송세기결정단계; 및
    상기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에 따라, 상기 데이터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조정하는 전송세기제어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세기제어단계는,
    상기 단말이 접속되는 시점에는 상기 확인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과 상관없이 기 설정된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의 데이터호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확인한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에 따라 상기 데이터호전송세기가 결정된 이후에는 상기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를 상기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로 조정하며,
    상기 초기 데이터호전송세기는,
    서비스타입 별로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 중 가장 작은 데이터호전송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타입확인단계는,
    상기 데이터서비스와 관련하여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패킷량을 기초로 상기 단말이 이용하는 데이터서비스의 서비스타입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비스타입 별로 상이한 데이터패킷량이 맵핑되며,
    상기 서비스타입 별로 상이한 데이터호전송세기는,
    맵핑된 데이터패킷량을 기초로 데이터패킷량이 가장 적은 서비스타입부터 데이터패킷량이 가장 큰 서비스타입의 순서에 따라, 각 서비스타입의 데이터호전송세기가 순차적으로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한 데이터호전송세기에 따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조정한 이후, 상기 단말에 대한 데이터전송속도가 특정 목표속도 이하인 경우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호의 전송세기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30017672A 2013-02-19 2013-02-19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Active KR102086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672A KR102086680B1 (ko) 2013-02-19 2013-02-19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672A KR102086680B1 (ko) 2013-02-19 2013-02-19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775A KR20140103775A (ko) 2014-08-27
KR102086680B1 true KR102086680B1 (ko) 2020-03-09

Family

ID=5174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672A Active KR102086680B1 (ko) 2013-02-19 2013-02-19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6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4360A (ja) * 2008-09-17 2010-04-02 Ntt Docomo Inc 放送及び通信システム並びにパラメータ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088B1 (ko) * 2010-10-01 201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펨토 기지국의 송신 전력 설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4360A (ja) * 2008-09-17 2010-04-02 Ntt Docomo Inc 放送及び通信システム並びにパラメータ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775A (ko)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1994B2 (en) Method for delivering data packet,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11026133B2 (en) Flexible quality of service for inter-base station handovers within wireless network
US20200077287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6371398B2 (ja) 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209738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플로우 제어 방법 및 장치
US9521683B2 (e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JP6745353B2 (ja) 無線アクセス制御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20150121005A (ko) 디바이스간 통신을 위해 송신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251132B2 (e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uplink power control for unlicensed serving cell
EP292233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adio bearer control
US20160323835A1 (en) Method for Power Processing and Terminal
WO201817754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use in power headroom reporting
CN114257331B (zh) 卫星通信系统的调度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24029137A (ja) 方法及び端末装置
US2022026435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acket Flow to Data Radio Bearer Mapping
JP6580702B2 (ja) 協調型マルチセル通信技術に基づく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の接続障害検出
EP2846604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tandard version mode of base station, terminal and base station
US11388653B2 (e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access control
KR20190055056A (ko) 통신 방법, 단말 설비와 네트워크 설비
CN104322099B (zh) 业务分流方法、装置及系统
JP6982079B2 (ja) 情報伝送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端末機器
JP2015523009A (ja) 公称パケットサイズに基づく電力コントロールの実行
CN107333336B (zh) 一种在随机接入信道上发送前导序列的方法、基站及终端
KR102086680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N112512106A (zh) 一种上行功率分配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2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