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5728B1 - 다용도 채칼 장치 - Google Patents

다용도 채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728B1
KR102085728B1 KR1020180115568A KR20180115568A KR102085728B1 KR 102085728 B1 KR102085728 B1 KR 102085728B1 KR 1020180115568 A KR1020180115568 A KR 1020180115568A KR 20180115568 A KR20180115568 A KR 20180115568A KR 102085728 B1 KR102085728 B1 KR 102085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disposed
slice cutter
grooves
c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미
Original Assignee
한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미 filed Critical 한영미
Priority to KR1020180115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72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26D2003/285Household devices therefor cutting one single slice at each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26D2003/286Household devices therefor having a detachable blade that is removable attached to the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채칼 장치에 한 것으로, 피삭체의 시단과 말단을 형성하고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관통홈들, 상기 복수의 관통홈들을 직각으로 절곡되게 연결하여 상기 피삭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 상기 말단에 배치된 관통홈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 블레이드 및 상기 수평 블레이드에 배치된 상부 피삭체 투입구를 포함하는 상부 슬라이스 커터, 상기 복수의 관통홈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 및 상기 상부 피삭체 투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하부 피삭체 투입구을 포함하는 하부 슬라이스 커터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슬라이스 커터들과 체결되어 상기 피삭체를 수용하는 채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채칼 장치{APPARATUS OF MULTI FUNCTIONAL SLICE CUTTER}
본 발명은 다용도 채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 썰기, 깍뚝 썰기, 나박 썰기 및 다지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채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리(Cooking)는 먹기 좋게 가공된 음식 혹은 가공하는 행위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후자인 식재료의 영양분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인간이 소화시키기 알맞은 형태로 가공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요리는 동물과 인간을 구분하는 행위로, 독소를 제거하거나 중화시키지 않으면 섭취한 인간을 사망에 이르게 하는 식재료도 존재하기 때문에 중요한 생존요인으로 인식되었다.
근래에도 이와 같은 요리의 중요성은 변하지 않았으며, 가정을 영위하고 인간의 삶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로 여겨지고 있다. 요리는 조리뿐만 아니라 식재료의 손질에서부터 설거지까지의 전 과정을 포함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썰기는 요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식재료의 손질 방법 가운데 하나로, 채 썰기, 깍둑 썰기, 나박 썰기 및 다지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장치를 통해 이 썰기를 보다 간편하게 하려는 시도들이 있었으나, 여전히 식재료를 균일하게 손질하기 어렵고 손질 과정에서 부상의 위험이 있는 등의 문제가 잔존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441(2014.11.25)호는 자동 채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야채가 투입되는 투입구, 하부측에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는 비스듬한 경사가이드면 및 측부에 상기 경사가이드면과 동일한 경사각도의 경사지지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측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경사가이드면과 동일한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가이더; 상기 경사가이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경사지지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착탈브라켓을 포함하는 슬라이더브라켓; 상기 착탈브라켓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공간부로 돌출되는 채칼 및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썰어지는 야채의 두께 및 모양을 조절하는 두께모양조절판을 포함하는 채칼플레이트; 상기 본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구동판; 상기 회전구동판과 슬라이더브라켓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구동판의 회전운동을 상기 슬라이더브라켓의 왕복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직선운동변환부; 및 본체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채칼플레이트에 의하여 채썰어진 야채를 보관하는 용기;를 포함하는 자동 채칼 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3718(2015.11.26)호는 자동 채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설치되며, 중앙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면 양측에 각각 레일이 형성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 레일에 결속되어 슬라이드로 전후 이동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 상부 사이를 연결하면서 중앙에 절단수단이 형성되는 채판; 상기 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 일측면에 일측단이 고정되면서 소정의 길이로 수평 설치되는 판상의 로드와 상기 로드의 타측단이 중앙의 결속공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캠축에 결합되는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의 중앙 결속공에 회전축이 연결되면서 회전축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모터로 구성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채판의 절단수단에 대면하는 상면에 제1투입공이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제1투입공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투입공에 대면하는 일면에 제2투입공이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제2투입공 외주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내측 하부에 체결공과 내측 상부의 둘레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되는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과 조절판 사이에 설치되며 조절판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되도록 하부 외주면 양측에 체결핀이 형성되며 상기 조절판의 요홈에 대응되어 요홈 내부로 내속되도록 상부 외주면 양측에 차단핀이 형성되는 투입봉으로 구성되는 투입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채칼 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441(2014.11.25)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3718(2015.11.26)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부 슬라이스 커터 및 하부 슬라이스 커터의 결합을 통해 채 썰기, 깍뚝 썰기, 나박 썰기 및 다지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채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간격을 가진 가이드라인 및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을 통해 해당 간격으로 피삭체를 절단할 수 있는 다용도 채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쇄용 그레이터를 포함하는 하부 슬라이스 커터를 통해 피삭체를 갈아서 즙을 내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채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절식 레버를 포함하는 하부 슬라이스 커터를 통해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다용도 채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다용도 채칼 장치는 피삭체의 시단과 말단을 형성하고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관통홈들, 상기 복수의 관통홈들을 직각으로 절곡되게 연결하여 상기 피삭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 상기 말단에 배치된 관통홈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 블레이드 및 상기 수평 블레이드에 배치된 상부 피삭체 투입구를 포함하는 상부 슬라이스 커터, 상기 복수의 관통홈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 및 상기 상부 피삭체 투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하부 피삭체 투입구을 포함하는 하부 슬라이스 커터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슬라이스 커터들과 체결되어 상기 피삭체를 수용하는 채반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슬라이스 커터는 상기 시단과 상기 말단을 각각 두 개씩 형성하도록 직방형으로 배치된 네 개의 상기 복수의 관통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슬라이스 커터는 각각 두 개씩 형성된 상기 시단들과 상기 말단들을 직각으로 절곡되게 연결하도록 제1 가이드라인 및 제2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이드라인의 간격을 상기 제2 가이드라인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슬라이스 커터는 일측에 원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관통홀들 및 상기 복수의 관통홀들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돌기들을 포함하는 분쇄용 그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슬라이스 커터는 측면에 배치된 원형의 조절식 레버를 포함하여 상기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채반은 측면에 배치된 스프링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슬라이스 커터들을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채칼 장치는 상부 슬라이스 커터 및 하부 슬라이스 커터의 결합을 통해 채 썰기, 깍뚝 썰기, 나박 썰기 및 다지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채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채칼 장치는 다양한 간격을 가진 가이드라인 및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을 통해 해당 간격으로 피삭체를 절단할 수 있는 다용도 채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채칼 장치는 분쇄용 그레이터를 포함하는 하부 슬라이스 커터를 통해 피삭체를 갈아서 즙을 내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채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채칼 장치는 조절식 레버를 포함하는 하부 슬라이스 커터를 통해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다용도 채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채칼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부 슬라이스 커터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하부 슬라이스 커터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채반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채칼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채칼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채칼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용도 채칼 장치(100)는 상부 슬라이스 커터(110), 하부 슬라이스 커터(120) 및 채반(130)을 포함한다.
다용도 채칼 장치(100)는 채 썰기, 깍뚝 썰기, 나박 썰기 및 다지기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과일이나 채소 등의 식재료를 손질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채 썰기는 식재료를 5cm ~ 6cm 길이로 썰어 세로로 얇게 저민 후 비스듬히 포개어 손으로 가볍게 누르면서 실 같이 가늘게 손질하는 방법이고, 깍뚝 썰기는 식재료를 수평으로 자른 후 다시 수직으로 나란하게 썰어 대략 가로 세로 1.5cm 내외에 높이 2cm 정도의 직육면체가 되게 손질하는 방법이며, 나박 썰기는 식재료를 깍뚝 썰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썰되 대략 가로 세로 1.2cm 내외에 높이 0.3cm 정도의 직육면체가 되게 손질하는 방법이고, 다지기는 식재료를 여러 번 채 썰어 잘게 손질하는 방법에 해당한다.
상부 슬라이스 커터(110)는 식재료를 수평으로 절단할 수 있는 수평 절단 수단에 해당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슬라이스 커터(110)는 피삭체의 시단과 말단을 형성하고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관통홈들(111), 복수의 관통홈들(111)을 직각으로 절곡되게 연결하여 피삭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113), 말단에 배치된 관통홈(111)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 블레이드(115) 및 수평 블레이드에 배치된 상부 피삭체 투입구(117)를 포함하여 식재료를 수평으로 절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상부 슬라이스 커터(110)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 슬라이스 커터(120)는 식재료를 수직으로 절단할 수 있는 수직 절단 수단에 해당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슬라이스 커터(120)는 복수의 관통홈들(111)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121) 및 상부 피삭체 투입구(117)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하부 피삭체 투입구(123)을 포함하여 상부 슬라이스 커터(110)의 하단에 결합함으로써 식재료를 수직으로 절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하부 슬라이스 커터(120)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채반(130)은 상부 및 하부 슬라이스 커터들(110, 120)을 통해 절단된 식재료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로 결합된 상부 슬라이스 커터(110) 및 하부 슬라이스 커터(120)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여 하부에 마련된 수용 공간에 상부 피삭체 투입구(117) 및 하부 피삭체 투입구(123)를 통해 투입되는 절단된 식재료를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채반(130)은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손잡이와 별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채반(130)에 대해서는 도 4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상부 슬라이스 커터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슬라이스 커터(110)는 식재료를 수평으로 절단할 수 있는 수평 절단 수단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삭체의 시단과 말단을 형성하고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관통홈들(111), 복수의 관통홈들(111)을 직각으로 절곡되게 연결하여 피삭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113), 말단에 배치된 관통홈(111)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 블레이드(115) 및 수평 블레이드에 배치된 상부 피삭체 투입구(117)를 포함한다.
복수의 관통홈들(111)은 직방형으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배치되어 피삭체의 시단과 말단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관통홈들(111)은 상부 슬라이스 커터(110)와 하부 슬라이스 커터(120)의 결합 시 하부 슬라이스 커터(120)의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121)을 삽입하여, 가이드라인(113)을 따라 이동하는 피삭체의 절단 과정에서 시단 및 말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관통홈들(11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단과 말단을 각각 두 개씩 형성하도록 직방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관통홈들(111)은 네 개의 관통홈들(111)로 구성되고 맞은편에 배치된 다른 관통홈(미도시)과 상호 대응하도록 직방형의 각 모서리 마다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복수의 관통홈들(111)을 직각으로 절곡되게 연결하는 가이드라인(113)은 평면의 관점에서 직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라인(113)은 복수의 관통홈들(111)을 직각으로 절곡되게 연결하여 피삭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관통홈들(111)을 연결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의 복수의 돌출편들로 구성된 레인(Lane)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레인의 간격 즉, 복수의 돌출편들 사이의 간격은 전역에서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고 또는, 특정 영역에서 다른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인의 간격은 하부 슬라이스 커터(120)에 구비되는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121)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홈들(111)에 삽입되는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121)의 간격이 서로 다른 경우, 레인의 간격은 아래와 같이, 선형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단조함수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Figure 112018095892253-pat00001
여기에서, F()는 실수구간의 정의역 및 공역을 가지는 함수에 해당한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복수의 관통홈들(111)이 상기 시단과 말단을 각각 두 개씩 형성하도록 직방형으로 배치된 경우, 가이드라인(113)은 각각 두 개씩 형성된 상기 시단과 말단을 직각으로 절곡되게 연결하는 제1 가이드라인 및 제2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이드라인의 간격을 상기 제2 가이드라인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수평 블레이드(115)는 말단에 배치된 관통홈의 일측에 형성되어 피삭체를 수평으로 절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블레이드(115)는 5cm ~ 6cm의 길이로 형성되고 중앙에서 일정 각도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재료를 채 썰기 위해 상부 슬라이스 커터(110)를 하부 슬라이스 커터(120)와 결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부 피삭체 투입구(117)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수평 블레이드(115)의 하부에 배치되어 절단된 피삭체를 채반(130)으로 투입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하부 슬라이스 커터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슬라이스 커터(120)는 식재료를 수직으로 절단할 수 있는 수직 절단 수단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관통홈들(111)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121) 및 상부 피삭체 투입구(117)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하부 피삭체 투입구(123)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슬라이스 커터(120)는 일측에 원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관통홀들 및 상기 복수의 관통홀들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돌기들을 포함하는 분쇄용 그레이터(Grat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레이터는 과일이나 야채 등을 갈아서 즙을 내는 수단으로, 피삭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재료를 그레이팅 하기 위해, 하부 슬라이스 커터(120)를 상부 슬라이스 커터(110)와 결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121)은 복수의 관통홈들(111)에 삽입되어 피삭체를 수직으로 절단할 수 있다. 수직 블레이드 절편(121)은 블레이드 끝단과 같이 삼각형의 절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각형 및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121)은 다양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식재료를 나박 썰기 위해 수직 1.2cm 내외의 간격으로 형성된 블레이드 절편들(121)로 구성된 하부 슬라이스 커터(120)를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관통홈들(111)이 상기 시단과 말단을 각각 두 개씩 형성하도록 직방형으로 배치된 경우, 서로 다른 말단들을 형성하는 복수의 관통홈들(111)에 삽입되는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121)은 각기 다른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121)은 측면에 배치된 원형의 조절식 레버를 포함하여 상기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조절식 레버는 나사체결을 통해 다이얼식으로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121)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또는 래크 피니언(Rack and Pinion) 기어를 통해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121)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수단에 해당할 수 있다.
하부 피삭체 투입구(123)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 피삭체 투입구(117)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절단된 피삭체를 채반(130)으로 투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피삭체 투입구(117, 123)은 상호 대응하도록 상하로 결합하여 절단된 피삭체를 채반(130)으로 투입하는 투입구를 공유하도록 형성된다.
도 4는 도 1의 채반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채반(130)은 채반(130)은 상부 및 하부 슬라이스 커터들(110, 120)을 통해 절단된 식재료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채반(130)은 측면에 배치된 스프링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슬라이스 커터들(110, 120)을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프링 버튼은 채반(130)의 일측에 형성된 홈에 걸려 체결된 상부 및 하부 슬라이스 커터들(110, 120)을 채반(130)의 내측으로 밀어냄으로써 스프링의 탄성을 통해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 수단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채칼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다용도 채칼 장치(100)는 상부 슬라이스 커터(110)에 구비된 복수의 관통홈들(111)에 하부 슬라이스 커터(120)에 구비된 수직 블레이트 절편들(121)을 삽입하여 피삭체의 시단과 말단을 형성한다. 피삭체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피삭체는 시단에서 최초로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121)의 간격에 따라 수직으로 절단되고, 사용자에 의해 가이드라인(113)을 따라 말단으로 이동하며, 시단과 직각으로 형성된 말단에서 다시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121)의 간격에 따라 수직으로 절단되어 십자 형태로 절단된 후, 말단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 블레이드(115)에 의해 수평으로 절단되어 하부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피삭체 투입구(117, 123)으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다용도 채칼 장치(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식재료를 손질하기 위해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121)의 간격 및 수평 블레이드(115)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 슬라이스 커터들(110, 12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용도 채칼 장치(100)는 피삭체를 깍뚝 썰기 위해서 2cm 정도의 높이에 배치된 수평 블레이드(115)를 포함하는 상부 슬라이스 커터(110) 및 1.5cm 내외의 간격으로 형성된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121)을 포함하는 하부 슬라이스 커터(1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용도 채칼 장치(100)는 피삭체의 시단과 말단을 형성하고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관통홈들(111), 상기 복수의 관통홈들(111)을 직각으로 절곡되게 연결하여 상기 피삭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113), 상기 말단에 배치된 관통홈(111)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 블레이드(115) 및 상기 수평 블레이드(115)에 배치된 상부 피삭체 투입구(117)를 포함하는 상부 슬라이스 커터(110), 상기 복수의 관통홈들(111)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121) 및 상기 상부 피삭체 투입구(117)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하부 피삭체 투입구(123)을 포함하는 하부 슬라이스 커터(120)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슬라이스 커터들(110, 120)과 체결되어 상기 피삭체를 수용하는 채반(130)을 포함하여 채 썰기, 깍뚝 썰기, 나박 썰기 및 다지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채칼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다양한 간격을 가진 가이드라인(113) 및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121)을 통해 해당 간격으로 피삭체를 절단할 수 있는 다용도 채칼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분쇄용 그레이터를 포함하는 하부 슬라이스 커터(120)를 통해 피삭체를 갈아서 즙을 내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채칼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조절식 레버를 포함하는 하부 슬라이스 커터(120)를 통해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121)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다용도 채칼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다용도 채칼 장치
110: 상부 슬라이스 커터
111: 복수의 관통홈들 113: 가이드라인
115: 수평 블레이드 117: 상부 피삭체 투입구
120: 하부 슬라이스 커터
121: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 123: 하부 피삭체 투입구
130: 채반

Claims (6)

  1. 피삭체의 시단과 말단을 형성하고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관통홈들, 상기 복수의 관통홈들을 직각으로 절곡되게 연결하여 상기 피삭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 상기 말단에 배치된 관통홈의 일측에 형성된 수평 블레이드 및 상기 수평 블레이드에 배치된 상부 피삭체 투입구를 포함하는 상부 슬라이스 커터;
    상기 복수의 관통홈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 및 상기 상부 피삭체 투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하부 피삭체 투입구을 포함하는 하부 슬라이스 커터;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슬라이스 커터들과 체결되어 상기 피삭체를 수용하는 채반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슬라이스 커터는
    상기 시단과 상기 말단을 각각 두 개씩 형성하도록 직방형으로 배치된 네 개의 상기 복수의 관통홈들을 포함하고, 각각 두 개씩 형성된 상기 시단들과 상기 말단들을 직각으로 절곡되게 연결하도록 제1 가이드라인 및 제2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이드라인의 간격을 상기 제2 가이드라인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채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라이스 커터는
    일측에 원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관통홀들 및 상기 복수의 관통홀들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돌기들을 포함하는 분쇄용 그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채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라이스 커터는
    측면에 배치된 원형의 조절식 레버를 포함하여 상기 수직 블레이드 절편들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채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반은
    측면에 배치된 스프링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슬라이스 커터들을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채칼 장치.
KR1020180115568A 2018-09-28 2018-09-28 다용도 채칼 장치 Active KR102085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568A KR102085728B1 (ko) 2018-09-28 2018-09-28 다용도 채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568A KR102085728B1 (ko) 2018-09-28 2018-09-28 다용도 채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728B1 true KR102085728B1 (ko) 2020-03-06

Family

ID=6980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568A Active KR102085728B1 (ko) 2018-09-28 2018-09-28 다용도 채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72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583U (ko) * 1996-05-15 1997-12-10 하해술 채칼
US20040217219A1 (en) * 2003-05-02 2004-11-04 Bitonto Anthony Di Food grater
JP2005074619A (ja) * 2003-09-01 2005-03-24 Shuichi Kitamura 食材加工器
KR200475441Y1 (ko) 2013-07-23 2014-12-03 이옥기 자동 채칼 장치
KR101573718B1 (ko) 2015-07-23 2015-12-02 김맹수 자동 채칼 장치
JP2016128200A (ja) * 2015-01-09 2016-07-14 敦子 信濃 細の目スライサ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583U (ko) * 1996-05-15 1997-12-10 하해술 채칼
US20040217219A1 (en) * 2003-05-02 2004-11-04 Bitonto Anthony Di Food grater
JP2005074619A (ja) * 2003-09-01 2005-03-24 Shuichi Kitamura 食材加工器
KR200475441Y1 (ko) 2013-07-23 2014-12-03 이옥기 자동 채칼 장치
JP2016128200A (ja) * 2015-01-09 2016-07-14 敦子 信濃 細の目スライサー
KR101573718B1 (ko) 2015-07-23 2015-12-02 김맹수 자동 채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6221B2 (en) Food dicer
US7266894B1 (en) Apparatus for slicing fruit and other items
US8596192B2 (en) Vegetable cutter
US10220536B2 (en) Device for cutting foodstuffs
KR101469922B1 (ko) 계육 수직 절단가공장치
US20160193744A1 (en) Onion cutter device with specialist cutting blades for various vegetable and fruit finishes
WO2017070214A1 (en) Food processor spiral cutting attachment
WO2010082857A1 (en) Multifunctional kitchen appliance
KR102350859B1 (ko) 닭고기 자동 절단장치
US8667878B1 (en) Multi-function manual salad preparation unit
US20140216226A1 (en) System for finely chopping food
US20100011973A1 (en) Plantain slicer
KR101394418B1 (ko) 계육 수평 절단가공장치
KR102085728B1 (ko) 다용도 채칼 장치
US20180015623A1 (en) Spiral cutting apparatus
US10131066B2 (en) Cut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573718B1 (ko) 자동 채칼 장치
CN218921451U (zh) 一种鸡爪去趾装置
WO2024099401A1 (zh) 一种手动立式蔬果加工装置
CN110919718A (zh) 一种蔬菜黄瓜自动切片收集装置
KR101149575B1 (ko) 주방용 식품 절단기
JP2017185572A (ja) 栗皮カッター
KR20130080378A (ko) 여러개의 모드를 갖는 다용도 슬라이서
KR20160087502A (ko) 회전식 다기능 채칼
KR101163480B1 (ko) 가로썰기가 용이한 주방용 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