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5145B1 -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 - Google Patents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145B1
KR102085145B1 KR1020190073999A KR20190073999A KR102085145B1 KR 102085145 B1 KR102085145 B1 KR 102085145B1 KR 1020190073999 A KR1020190073999 A KR 1020190073999A KR 20190073999 A KR20190073999 A KR 20190073999A KR 102085145 B1 KR102085145 B1 KR 102085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crushing
fluid
impeller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지호
이은석
Original Assignee
(주)대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진정공 filed Critical (주)대진정공
Priority to KR1020190073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1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7/00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D7/02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 F04D7/04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ous
    • F04D7/045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ous with means for comminuting, mixing stirring or otherwise tr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8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3Kind or type mixed, e.g. two-phase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러지를 파쇄하여 유체와 함께 토출하기 위한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는 배수조에 설치되어 유체에 포함된 슬러지와 함께 유체를 이송하는 펌프에 있어서, 배수조 슬러지 펌프에 있어서, 상기 배수조의 내부에 위치되어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회전 가능하게 내부에 설치되고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펌프케이싱,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슬러지만을 통과하도록 슬러지를 걸러내는 거름커버, 상기 거름커버의 하부에서 상기 임펠러에 결합되어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하며 난류를 발생시켜 상기 거름커버에 걸린 슬러지를 유동시킴과 동시에 파쇄하는 난류파쇄팬, 상기 흡입구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난류파쇄팬의 회전에 의해 유동되는 슬러지를 포집하는 포집커버, 및 상기 포집커버의 내주에서 복수 개가 돌출되어 상기 난류파쇄팬에 의해 유동하는 슬러지가 충돌하여 파쇄되는 파쇄돌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슬러지를 파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Pump with sludge crushing function by turbulent crushing fan}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러지를 파쇄하여 유체와 함께 토출하기 위한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조에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 펌프가 설치된다.
통상의 배수조에는 이물질이 포함된 유체가 유입되기 때문에 펌프에 의해 유체를 이송할 때, 이물질이 펌프의 흡입구를 막거나, 내부에 걸려 부하를 증가시키거나, 유체의 토출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5846호(2015.7.6.공개)의 "퇴적 슬러지 처리용 입형 분쇄펌프"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퇴적 슬러지 처리용 입형 분쇄펌프는 흡입부에 분쇄날과 분쇄판이 설치되어 흡입구로 흡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슬러지를 분쇄하여 흡입하기 때문에 유체와 함께 슬러지를 흡입하여 토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퇴적 슬러지 처리용 입형 분쇄펌프는 분쇄날과 분쇄판에 의해 슬러지를 분쇄하는 한계로 인해 미처 분쇄되지 못한 슬러지가 펌프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펌프의 부하를 증대시키거나, 흡입부를 막아 펌프의 효율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난류를 발생하여 슬러지를 파쇄하는 난류파쇄팬을 설치하여 슬러지의 분쇄성을 향상시켜 유체와 함께 슬러지를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축에 슬러지의 끼임을 방지하여 부하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고 구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교체와 윤활유의 공급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는 배수조에 설치되어 유체에 포함된 슬러지와 함께 유체를 이송하는 펌프에 있어서, 배수조 슬러지 펌프에 있어서, 상기 배수조의 내부에 위치되어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회전 가능하게 내부에 설치되고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펌프케이싱,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슬러지만을 통과하도록 슬러지를 걸러내는 거름커버, 상기 거름커버의 하부에서 상기 임펠러에 결합되어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하며 난류를 발생시켜 상기 거름커버에 걸린 슬러지를 유동시킴과 동시에 파쇄하는 난류파쇄팬, 상기 흡입구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난류파쇄팬의 회전에 의해 유동되는 슬러지를 포집하는 포집커버, 및 상기 포집커버의 내주에서 복수 개가 돌출되어 상기 난류파쇄팬에 의해 유동하는 슬러지가 충돌하여 파쇄되는 파쇄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난류파쇄팬은 상기 임펠러에 의해 유체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유체를 유동시켜 난류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난류파쇄팬은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거름커버의 하부에서 상기 거름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임펠러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구동축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조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모터, 상기 동력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배수조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임펠러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을 감싸 상기 배수조의 내부에 위치되는 유체에 포함된 슬러지로부터 상기 구동축을 보호하는 축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조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커버, 상기 안착커버에서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제1 축지지부, 및 상기 제1 축지지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제2 축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케이싱의 토출구에서 상기 안착커버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쇄돌기는 상기 배수조로 유입되는 슬러지의 종류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포집커버에 나사체결되는 돌기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름커버에 의해 미리 설정된 크기의 슬러지만 유입하고, 거름커버에 걸린 슬러지를 난류를 발생하는 난류파쇄팬에 의해 제거하여 파쇄함으로써, 슬러지의 파쇄성을 향상시켜 유체와 함께 슬러지를 용이하게 흡입하여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슬러지를 포집하는 포집커버의 내주에 슬러지가 충돌하여 파쇄되는 파쇄돌기가 설치되어 슬러지의 파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축을 제1 축지지부와 제2 축지지부에 의해 배수조의 상부에서 지지하여 구동축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어링의 마모에 따른 교체 또는 윤활유의 주입과 같은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이 축커버에 감싸져 구동축에 슬러지가 끼임에 따른 부하의 발생을 감소시켜 펌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난류파쇄팬이 축결합부에 의해 구동축에 결합되어 난류파쇄팬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의 포집커버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의 포집커버가 설치된 부분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100)는 임펠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110)는 배수조(200)의 내부에 위치되어 회전함에 따라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다.
임펠러(110)는 원심임펠러(110)일 수 있으며, 임펠러(110)는 복수 개의 베인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하부 중앙으로는 유체를 흡입하고, 흡입한 유체는 둘레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임펠러(110)는 베인이 복수 개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베인이 하나일 수도 있으며, 임펠러(11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임펠러(110)를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100)는 펌프케이싱(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펌프케이싱(120)은 내부에 임펠러(1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며 임펠러(110)에 의해 흡입되는 유체와 토출되는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펌프케이싱(120)의 하부에는 임펠러(110)에 의해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1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펌프케이싱(120)의 측면에는 흡입구(121)로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100)는 거름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거름커버(130)는 미리 설정된 크기의 슬러지만 펌프케이싱(120)의 내부로 흡입되어 슬러지의 걸림을 방지하도록 흡입구(121)에 설치될 수 있다.
거름커버(130)는 미리 설정된 크기의 슬러지만 통과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크기의 구멍이 복수 개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거름커버(130)는 흡입구(121)의 하부에 볼트에 의해 펌프케이싱(120)에 체결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100)는 난류파쇄팬(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난류파쇄팬(150)은 거름커버(130)의 하부에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임펠러(110)와 함께 회전하며 흡입구(121)로 흡입되는 유체에 난류를 발생시켜 난류에 의해 거름커버(130)에 걸린 슬러지를 유동시켜 제거함과 동시에 난류에 의해 고화된 슬러지를 작은 크기로 파쇄할 수 있다.
그리고, 난류파쇄팬(150)은 난류에 의해 슬러지를 부양시키며 슬러지와 부딪혀 슬러지를 파쇄할 수 있다.
난류파쇄팬(150)은 임펠러(110)에 의해 흡입구(121)로 흡입되는 유체에 역류를 발생시키는 형태로 흡입구(121)에 난류를 발생할 수 있으며, 난류파쇄팬(150)은 임펠러(110)의 하부에 임펠러(110)를 관통하는 구동축(161)의 하부에 결합되어 임펠러(110)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하며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난류가 발생하면, 난류에 의해 흡입력이 하락되지만, 거름커버(130)에 슬러지가 걸려 막힌 경우에는 유체가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난류에 의해 거름커버(130)에 걸린 슬러지를 제거하여 흡입성능의 하락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난류파쇄팬(150)은 임펠러(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더라도 임펠러(110)에 의해 유체가 흡입되는 반대방향으로 기류가 발생하도록 베인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난류파쇄팬(150)이 난류를 발생하는 기류발생력보다 임펠러(110)에 의해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력이 더 크게 작용하도록 난류파쇄팬(150)의 크기는 흡입구(121)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100)는 포집커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포집커버(140)는 흡입구(121)의 둘레를 감싸 난류파쇄팬(150)에 의해 거름커버(130)에서 난류에 의해 제거되는 슬러지를 포집과 동시에 배수조(200)에서 부양되는 슬러지를 포집할 수 있다.
포집커버(140)는 용이하게 슬러지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흡입구(121)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난류파쇄팬(150)은 거름커버(130)의 하부에서 거름커버(130)를 관통하여 임펠러(110)를 관통한 구동축(161)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동축(161)에 결합되는 축결합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축결합부(151)는 임펠러(110)를 구동축(161)에 고정하는 너트가 끼워져 안착되는 너트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축결합부(151)는 임펠러(110)를 고정하는 너트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거나, 너트안착홈에 임펠러(110)를 고정하는 너트가 일체로 용접되어 축결합부(151)의 너트를 구동축(161)에 체결하면, 임펠러(110)를 구동축(161)에 고정함과 동시에 난류파쇄팬(150)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100)는 파쇄돌기(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파쇄돌기(145)는 포집커버(140)의 내부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난류파쇄팬(150)에 의해 발생된 난류에 의해 포집커버(14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슬러지가 충돌하며 작은 크기로 파쇄될 수 있다.
한편, 파쇄돌기(145)는 포집커버(140)의 내주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복수 개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파쇄돌기(145)는 판의 형태 또는 못과 같은 단부가 뾰족한 형태 또는 칼날과 같은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돌기의 형태로 돌출되어 파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파쇄돌기(145)는 배수조(200)로 유입되는 슬러지의 종류에 따라 포집커버(140)에서 교체하여 설치하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슬러지의 종류 또는 케이크 형태로 뭉친 슬러지의 크기에 따라 칼날의 형태의 파쇄돌기(145)가 설치되거나, 쐐기 형태의 파쇄돌기(145)를 설치하거나, 판의 형태의 파쇄돌기(145)를 설치하거나, 다양한 형태의 파쇄돌기(145)를 복합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파쇄돌기(145)를 교체 가능하도록 포집커버(140)에 설치공(141)이 형성되고, 파쇄돌기(145)에는 돌기체결부(146)가 형성되어 설치공(141)에 돌기체결부(146)가 나사체결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파쇄돌기(145)를 포집커버(140)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100)는 동력모터(160), 구동축(161), 및 축커버(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모터(160)는 배수조(20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동력모터(160)는 전기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하는 전기모터이거나, 화석연료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하는 엔진모터일 수 있으며, 동력모터(160)는 임펠러(11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축(161)의 일단은 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배수조(200)의 내부에 위치된 펌프케이싱(120)을 관통하여 펌프케이싱(120)의 내부에 설치된 임펠러(110)에 결합되어 동력모터(160)의 동력을 임펠러(110)로 전달하여 임펠러(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축커버(170)는 배수조(200)의 내부에 위치되는 구동축(161)을 감싸 구동축(161)에 슬러지 등이 고착되거나, 구동축(161)을 지지하는 부분의 사이로 슬러지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동축(161)을 감쌀 수 있다.
축커버(170)는 파이프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구동축(161)이 관통하는 형태로 구동축(161)을 감쌀 수 있다.
축커버(170)의 일단은 구동축(161)이 관통한 펌프케이싱(120)의 상면에 결합되고, 축커버(170)의 타단은 하기에 설명될 안착커버(180)에 고정설치되어 배수조(200)의 내부에 위치된 구동축(161)을 슬러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100)는 안착커버(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안착커버(180)는 배수조(200)에 펌프(100)를 설치하기 위해 형성된 설치공(141)을 덮어 배수조(200)를 밀폐할 수 있다.
안착커버(18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커버(180)는 설치공(141)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동력모터(160)는 안착커버(180)의 상부에 위치되어 배수조(20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임펠러(110)와 펌프케이싱(120)은 배수조(200)의 하부에 위치되어 배수조(2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100)는 제1 축지지부(163)와 제2 축지지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축지지부(163)는 안착커버(18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동축(161)의 부분을 지지할 수 있으며, 제2 축지지부(165)는 제1 축지지부(163)의 상부에서 동력모터(160)의 회전축과 구동축(161)의 연결되는 부분에서 구동축(161)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축지지부(163)와 제2 축지지부(165)에는 구동축(161)의 원활한 회전을 보장하기 위해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수조(200)의 내부에 위치되는 안착커버(180)에서 구동축(161)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안착커버(180)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안착커버(180)가 손상되어 슬러지가 유입되는 경우, 구동축(161)을 지지하는 부분에 슬러지가 끼임으로써, 마찰의 증대로 인한 부하가 증대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착커버(180)에서는 구동축(161)을 지지하지 않고 배수조(20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 축지지부(163)와 제2 축지지부(165)에서 구동축(161)을 지지함으로써, 베어링의 마모에 따른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윤활유 등의 보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구동축(161)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축지지부(163)와 제2 축지지부(165)는 동력모터(160)와 안착커버(18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동력모터(160)와 안착커버(180)의 사이에 위치되는 제1 축지지부(163)와 제2 축지지부(165)는 동력커버에 의해 감싸져 이물질이 제1 축지지부(163)와 제2 축지지부(165)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100)는 안착커버(180)의 하부로 이격되어 임펠러(110)가 위치되며, 임펠러(110)는 펌프케이싱(120)에 감싸져 설치된다.
그리고, 펌프케이싱(120)의 토출구(123)에는 안착커버(180)까지 연장되어 안착커버(180)의 상부로 유체를 토출시키는 토출배관(125)이 설치되며, 펌프케이싱(120)의 흡입구(121)에는 미리 설정된 크기의 슬러지만 흡입될 수 있도록 슬러지를 걸러내는 거름커버(130)가 설치된다.
포집커버(140)의 내주에는 뭉쳐진 슬러지를 작은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돌기(145)가 설치될 수 있으며, 파쇄돌기(145)는 포집커버(140)의 내주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거름커버(130)의 하부에는 임펠러(110)와 함께 회전하여 난류를 발생하는 형태로 거름커버(130)에 걸린 슬러지를 유동시킴과 동시에 파쇄하는 난류파쇄팬(150)이 설치되며, 난류파쇄팬(150)은 임펠러(110)를 관통한 구동축(161)의 부분에 축결합부(151)가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된다.
동력모터(160)는 안착커버(18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동력모터(160)의 하부에는 동력모터(160)의 회전축과 임펠러(110)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임펠러(110)로 전달하여 임펠러(110)를 회전시키는 구동축(161)이 설치된다.
배수조(200)의 내부에 위치되는 구동축(161)의 부분은 축커버(170)에 의해 감싸져 슬러지로부터 구동축(161)을 보호하며, 구동축(161)과 안착커버(180)의 사이에는 구동축(161)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구동축(161)을 지지하는 제1 축지지부(163)와 제2 축지지부(165)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1 축지지부(163)와 제2 축지지부(165)는 구동축(161)을 견고히 지지하여 구동축(161)의 떨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100)는 동력모터(160)에 동력에 의해 구동축(161)이 회전하면 구동축(161)에 결합된 임펠러(110)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배수조(200)에 저장된 유체는 펌프케이싱(120)의 흡입구(121)로 흡입되고, 흡입된 유체는 토출구(123)와 토출배관(125)을 통해 토출되어 배수조(200)의 외부로 이송된다.
유체가 흡입구(121)로 흡입될 때에는 거름커버(130)에 의해 미리 설정된 크기의 슬러지만 흡입되고,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슬러지는 거름커버(130)에 걸쳐진다.
한편, 임펠러(110)가 회전하면, 임펠러(110)와 함께 구동축(161)에결합된 난류파쇄팬(150)도 함께 회전하며, 난류파쇄팬(150)은 흡입구(121)로 유체가 흡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기류를 형성하여 거름커버(130)가 위치된 부분에서 난류를 발생시켜 거름커버(130)에 걸린 슬러지를 유동시켜 제거한다.
그리고, 난류파쇄팬(150)에 의해 발생된 난류에 의해 배수조(200)의 슬러지 및 거름커버(130)에서 유동되는 슬러지가 포집커버(140)의 내부에서 유동하며, 슬러지가 유동하면서 포집커버(140)에서 돌출되는 파쇄돌기(145)에 충돌하면서 작은 크기로 파쇄된다.
이러게 파쇄돌기(145)에 의해 슬러지가 파쇄되면 거름커버(130)를 통과하여 흡입구(121)를 통해 유체와 함께 흡입되어 토출구(123) 및 토출배관(125)을 통해 유체와 함께 배수조(200)에서 이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100)는 임펠러(110)와 함께 난류파쇄팬(150)이 회전하여 흡입구(121)의 부분에서 난류를 발생시켜 거름커버(130)에 걸린 슬러지를 유동시켜 제거함과 동시에 작은 크기로 파쇄하여 유체와 함께 슬러지를 토출하여 슬러지의 제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난류파쇄팬(150)에 의해 난류가 발생하면서, 슬러지들이 포집커버(140)의 내부에서 유동하면서 파쇄돌기(145)에 충돌하여 작은 크기로 파쇄되면서 유체와 함께 흡입되어 슬러지를 제거하여 슬러지의 제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난류파쇄팬(150)이 축결합부(151)에 의해 구동축(161)에 결합되어 난류파쇄팬(15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축(161)에 임펠러(11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배수조(200)의 상부에 구동축(161)을 지지하는 제1 축지지부(163)와 제2 축지지부(165)를 설치하여 구동축(161)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어링의 마모에 따른 교체 등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161)이 축커버(170)에 감싸져 구동축(161)에 슬러지가 끼임에 따른 부하의 발생을 감소시켜 펌프(10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펌프 110: 임펠러
120: 펌프케이싱 121: 흡입구
123: 토출구 125: 토출배관
130: 거름커버 140: 포집커버
141: 설치공 145: 파쇄돌기
146: 돌기체결부 150: 난류파쇄팬
151: 축결합부 160: 동력모터
161: 구동축 163: 제1 축지지부
165: 제2 축지지부 170: 축커버
180: 안착커버 200: 배수조

Claims (7)

  1. 배수조에 설치되어 유체에 포함된 슬러지와 함께 유체를 이송하는 배수조 슬러지 펌프에 있어서,
    상기 배수조의 내부에 위치되어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회전 가능하게 내부에 설치되고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펌프케이싱,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슬러지만을 통과하도록 슬러지를 걸러내는 거름커버,
    상기 거름커버의 하부에서 상기 임펠러에 결합되어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하며 난류를 발생시켜 상기 거름커버에 걸린 슬러지를 유동시킴과 동시에 파쇄하는 난류파쇄팬,
    상기 흡입구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난류파쇄팬의 회전에 의해 유동되는 슬러지를 포집하는 포집커버, 및
    상기 포집커버의 내주에서 복수 개가 불규칙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난류파쇄팬에 의해 유동하는 슬러지가 충돌하여 파쇄되는 파쇄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조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모터, 상기 동력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배수조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임펠러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을 감싸 상기 배수조의 내부에 위치되는 유체에 포함된 슬러지로부터 상기 구동축을 보호하는 축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조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커버, 상기 안착커버에서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제1 축지지부, 및 상기 제1 축지지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제2 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쇄돌기는 상기 배수조로 유입되는 슬러지의 종류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포집커버에 나사체결되는 돌기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난류파쇄팬은 상기 임펠러에 의해 유체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유체를 유동시켜 난류를 발생하고,
    상기 난류파쇄팬은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거름커버의 하부에서 상기 거름커버를 관통하고, 상기 임펠러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임펠러를 상기 구동축에 고정하는 너트가 끼워져 안착되는 너트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파쇄돌기는 단부가 뾰족한 돌기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케이싱의 토출구에서 상기 안착커버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
  7. 삭제
KR1020190073999A 2019-06-21 2019-06-21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 Active KR102085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999A KR102085145B1 (ko) 2019-06-21 2019-06-21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999A KR102085145B1 (ko) 2019-06-21 2019-06-21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145B1 true KR102085145B1 (ko) 2020-03-05

Family

ID=6980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999A Active KR102085145B1 (ko) 2019-06-21 2019-06-21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14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34642A (zh) * 2020-07-20 2020-10-02 无锡三和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智能泥砂吸入嘴粉碎装置
KR102210485B1 (ko) * 2020-10-30 2021-01-29 고일영 충격완충구조를 갖는 육상펌프
KR102294160B1 (ko) 2021-04-13 2021-08-26 염대영 재해 방지를 위한 수중펌프용 컬럼파이프 설치구조
KR102317907B1 (ko) 2021-06-07 2021-10-28 (유)일도엔지니어링 난류 감소형 재해 방지 수중펌프
CN114087202A (zh) * 2021-11-15 2022-02-25 安徽迈宁工业泵有限公司 一种自吸式低阻渣浆泵
KR102461409B1 (ko) 2022-01-20 2022-11-02 주식회사 엘제이 이앤에스 슬러지 이송 펌프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4928A (ko) * 2007-08-06 2009-02-11 (주)씨트웰 수중펌프
KR101142629B1 (ko) * 2009-11-25 2012-05-03 윌로펌프 주식회사 전수로형 배수 펌프
KR101307447B1 (ko) * 2013-04-10 2013-09-11 김형용 용탕펌프
KR20150075846A (ko) * 2013-12-26 2015-07-06 디에이치엠(주) 퇴적슬러지 처리용 입형 분쇄펌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4928A (ko) * 2007-08-06 2009-02-11 (주)씨트웰 수중펌프
KR101142629B1 (ko) * 2009-11-25 2012-05-03 윌로펌프 주식회사 전수로형 배수 펌프
KR101307447B1 (ko) * 2013-04-10 2013-09-11 김형용 용탕펌프
KR20150075846A (ko) * 2013-12-26 2015-07-06 디에이치엠(주) 퇴적슬러지 처리용 입형 분쇄펌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34642A (zh) * 2020-07-20 2020-10-02 无锡三和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智能泥砂吸入嘴粉碎装置
KR102210485B1 (ko) * 2020-10-30 2021-01-29 고일영 충격완충구조를 갖는 육상펌프
KR102294160B1 (ko) 2021-04-13 2021-08-26 염대영 재해 방지를 위한 수중펌프용 컬럼파이프 설치구조
KR102317907B1 (ko) 2021-06-07 2021-10-28 (유)일도엔지니어링 난류 감소형 재해 방지 수중펌프
CN114087202A (zh) * 2021-11-15 2022-02-25 安徽迈宁工业泵有限公司 一种自吸式低阻渣浆泵
CN114087202B (zh) * 2021-11-15 2024-03-19 安徽迈宁工业泵有限公司 一种自吸式低阻渣浆泵
KR102461409B1 (ko) 2022-01-20 2022-11-02 주식회사 엘제이 이앤에스 슬러지 이송 펌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145B1 (ko) 난류파쇄팬에 의해 슬러지 파쇄기능을 갖는 펌프
CA2934308C (en) Pump casing with strainer section and flow distribution vanes
AU2012267258B2 (en) Multistage comminuting pump
US4697746A (en) Grinder pump
CA2262114C (en) Flow controller for mechanical seal protection
KR20120002637U (ko) 실링 보호기능을 갖춘 펌프
US5167418A (en) Grit protector
KR101712381B1 (ko) 맨홀펌프용 임펠러
JP5220092B2 (ja) 工業用ポンプのエアーディフューザーシステム
US2784914A (en) Waste disposal apparatus
CN112814091B (zh) 一种垃圾处理器
AU2016201972B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umps
JP2000097188A (ja) サンプポンプ及びこのポンプを設置したサンプ
JP2004113989A (ja) 粉砕圧送装置
JP4362157B2 (ja) 繊維状、紐状異物を含む汚水汚物中で使用されるボルテックス型遠心ポンプにおける羽根車入口部の閉塞防止装置
CN222686882U (zh) 一种具有防堵塞泥浆泵
JP4326616B2 (ja) 繊維状、紐状異物を含む汚水汚物中で使用されるボルテックス型遠心ポンプにおける羽根車入口部の閉塞防止装置
KR200329216Y1 (ko) 분쇄팬과 이 분쇄팬이 채택된 분쇄장치
JP3218677B2 (ja) 汚物破砕装置
JP4326615B2 (ja) 繊維状、紐状異物を含む汚水汚物中で使用されるボルテックス型遠心ポンプにおける羽根車入口部の閉塞防止装置
JP2001050260A (ja) 水中軸受の異物混入防止装置
CN117661685A (zh) 一种防堵型厨余垃圾处理器
CN117231515A (zh) 一种潜液式浆料提升泵
NZ614617B2 (en) Multistage comminuting pump
JPH08284880A (ja) 立軸ポンプの軸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9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1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2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1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1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