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4625B1 -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 - Google Patents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625B1
KR102084625B1 KR1020200013564A KR20200013564A KR102084625B1 KR 102084625 B1 KR102084625 B1 KR 102084625B1 KR 1020200013564 A KR1020200013564 A KR 1020200013564A KR 20200013564 A KR20200013564 A KR 20200013564A KR 102084625 B1 KR102084625 B1 KR 102084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unit
thread
shaft
liga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오
류석창
Original Assignee
이동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오 filed Critical 이동오
Priority to KR1020200013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625B1/ko
Priority to PCT/KR2020/001699 priority patent/WO202115776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62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4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hollow, e.g. with socket or cannul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with a threaded shaft, e.g.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6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for soft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61F2002/0817Structure of the anchor
    • A61F2002/0823Modular anchor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te parts
    • A61F2002/0835Modular anchor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te parts with deformation of anchor parts, e.g. expansion of dowel by set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eur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외벽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 헤드 유닛; 상기 나사 헤드 유닛과 별개로 제작되되 상기 나사 헤드 유닛과 결합하며, 외벽에 상기 제1 나사산과 동일한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 샤프트 유닛; 상기 나사 헤드 유닛과 상기 나사 샤프트 유닛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나사 헤드 유닛과 상기 나사 샤프트 유닛이 서로 조립되는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 상기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를 조립하는 조립부재; 및 상기 나사 헤드 유닛과 상기 나사 샤프트 유닛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탄성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Ligament fixing screw}
본 발명은,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나사와 달리 자체 탄성을 가지면서도 유연한 안정성(Dynamic fixation)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나사의 파손(Metal Breakage), 변형, 이탈(Loosening) 문제를 줄일 수 있으며, 골절 치료 시 기체결합 나사의 파손, 변형, 이탈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옵션으로 적용할 수 있는 탄성줄(실)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에 관한 것이다.
신체 부위 중에서 특히 발목은 일상생활 속에서 손상되기 쉬운 관절이다. 계단을 오르내리다 삐끗하여 발목 인대가 파열되기도 하고 운동을 하다가 혹은 일상생활에서 갑작스럽게 꺾여서 발목 인대가 파열되기도 한다.
발목을 자주 접질리는 사람은 불안정성 발목으로서 손상이 반복되는 악순환이 될 수 있으므로 꼭 치료가 필요하다.
발목 인대의 파열은 그 정도에 따라 회복 기간이 상이하다. 발목 인대가 단순히 늘어난 수준이라면 2~3주의 회복 기간이 소요되고, 부분 파열(부분 찢어짐)이라면 한 두어 달의 회복 기간이 소요된다. 하지만, 발목 인대가 완전히 파열된 경우라면 수술이 필요하고 십수 개월의 회복 기간이 소요된다.
물론, 개개인의 파열 정도가 다르고 회복 속도도 개인마다 달라서 위의 회복 기간이 정답이 될 수는 없으나, 기본적으로 발목 인대 파열에 따른 회복 기간은 몇 개월은 돼야 완전히 회복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통증이 없어졌을 뿐, 손상된 발목 인대가 치료과정을 통해서 더욱 약해지기 때문에 이전보다 훨씬 약해진 발목관절을 갖고 살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예컨대, 발목 인대가 파열된 이전보다 활동량도 줄이고 조심조심 살아가는 데도 특별한 손상 없이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무엇보다도 일상 활동에 제약이 많아서 삶의 질이 극히 낮아지고 운동 부족으로 인한 건강 이상이 생길 수도 있다. 따라서, 발목 인대 파열이 치료되고 난 이후에도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한편, 앞서 기술한 것처럼 자연 회복 수준의 발목 인대 파열이 아닌 수술이 필요할 경우, 수술과 더불어 발목을 고정하는 작업이 수반된다. 이때는 골절된 부위를 이웃한 인대에 고정하기 위해 인대 고정 나사를 사용할 수 있다.
기존 정형외과 시장의 대부분 나사(Screw)는 헤드(head)와 바디(body)로 구성된 헬리컬 나사산이 구현된 나사이다. 이러한 나사는 단순하게 뼈에 나사산을 만들어 치료기간 동안 골의 정합(Reduction)을 유지하는 데 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중공을 갖은 나사(Cannulated Screw), 해면골 전용 나사(Cancellous Screw), 피질골 전용 나사(Cortical Screw), 플레이트와 잠금 기능을 갖은 나사(Locking Screw)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골절 치료 중 미세한 움직임이나 체중이 실리는 움직임이 발생하는 부위에 전술한 통상의 나사를 사용할 경우, 해당 나사의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나사의 파손(Metal Breakage), 변형, 이탈(Loosening)이 동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3343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14754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9390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4-00418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나사와 달리 자체 탄성을 가지면서도 유연한 안정성(Dynamic fixation)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나사의 파손(Metal Breakage), 변형, 이탈(Loosening) 문제를 줄일 수 있으며, 골절 치료 시 기체결합 나사의 파손, 변형, 이탈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옵션으로 적용할 수 있는 탄성줄(실)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헤드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외벽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 헤드 유닛; 상기 나사 헤드 유닛과 별개로 제작되되 상기 나사 헤드 유닛과 결합하며, 외벽에 상기 제1 나사산과 동일한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 샤프트 유닛; 상기 나사 헤드 유닛과 상기 나사 샤프트 유닛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나사 헤드 유닛과 상기 나사 샤프트 유닛이 서로 조립되는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 상기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를 조립하는 조립부재; 및 상기 나사 헤드 유닛과 상기 나사 샤프트 유닛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탄성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나사 헤드 유닛과 상기 나사 샤프트 유닛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탄성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는 조립될 때, 원통형 구조를 이루게 복수의 조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 헤드 유닛에 상기 탄성줄의 설치를 위한 복수의 제1 줄 설치구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 샤프트 유닛에 상기 탄성줄의 설치를 위한 복수의 제2 줄 설치구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줄은 상기 복수의 제1 줄 설치구 중 하나에 결합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줄 설치구 중 하나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줄은 일측이 개방되게 마련되며, 상기 나사 샤프트 유닛의 단부 영역에는 상기 나사 샤프트 유닛의 초기 식립 진입 방향을 안내하는 진입 방향 안내부가 마련되고, 상기 진입 방향 안내부의 주변에는 커팅 에지부(cutting edge portion)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초기 식립 진입 방향을 안내하는 진입 방향 안내부; 상기 진입 방향 안내부의 주변에 형성되는 커팅 에지부(cutting edge portion); 상기 샤프트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헤드부에 이웃하게 마련되는 제1 나사산;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진입 방향 안내부에 이웃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나사산보다 피치 간격이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산과 비연속되는 제2 나사산; 상기 제1 나사산이 위치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줄 설치구; 및 상기 제2 나사산이 위치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줄 설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줄 설치구를 통해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줄은, 상기 복수의 제1 줄 설치구 중 하나에 결합하는 제1 결합부; 상기 복수의 제2 줄 설치구 중 하나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나사산과 상기 제2 나사산 사이의 상기 샤프트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또한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나사와 달리 자체 탄성을 가지면서도 유연한 안정성(Dynamic fixation)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나사의 파손(Metal Breakage), 변형, 이탈(Loosening) 문제를 줄일 수 있으며, 골절 치료 시 기체결합 나사의 파손, 변형, 이탈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옵션으로 적용할 수 있는 탄성줄(실)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탄성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회전시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4의 조립 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탄성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탄성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탄성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회전시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4의 조립 상태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100)를 적용할 경우, 기존 나사와 달리 자체 탄성을 가지면서도 유연한 안정성(Dynamic fixation)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나사의 파손(Metal Breakage), 변형, 이탈(Loosening) 문제를 줄일 수 있으며, 골절 치료 시 기체결합 나사의 파손, 변형, 이탈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옵션으로 적용할 수 있는 탄성줄(실)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100)는 분리 조립형 제작된다. 즉 나사 헤드 유닛(110)과 나사 샤프트 유닛(120)의 분리 조립 구조를 갖는데, 뼈의 길이, 골절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인대(ligament)란 앞서도 뼈와 뼈 사이를 연결해주는 강인한 섬유성 결합조직을 일컫는데, 골절 치료 시 골절된 부위를 이웃한 인대에 고정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100)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인대 외에도 조립이 가능하거나 유연성을 갖춘 뼈를 고정할 때도 본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100)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100)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 우선 나사 헤드 유닛(110)은 헤드부(112)가 일측에 형성되고 외벽에 제1 나사산(111)이 형성되는 구조물이다.
그리고, 나사 샤프트 유닛(120)은 나사 헤드 유닛(110)과 별개로 제작되되 나사 헤드 유닛(110)과 결합하며, 외벽에 제1 나사산(111)과 같은 피치 구조를 이루는 제2 나사산(121)이 형성되는 구조물이다.
나사 샤프트 유닛(120)의 단부 영역에는 나사 샤프트 유닛(120)의 초기 식립 진입 방향을 안내하는 진입 방향 안내부(127)가 마련된다. 진입 방향 안내부(127)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100)의 초기 식립 시 진입 방향이 잘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식립될 수 있다.
그리고, 진입 방향 안내부(127)의 주변에는 커팅 에지부(128, cutting edge portion)가 마련된다. 커팅 에지부(128)를 이루는 날카로운 선단으로 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100)의 식립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나사 헤드 유닛(110)과 나사 샤프트 유닛(120)이 조립될 때, 하나의 나사(Screw)를 이룰 수 있는데, 이들의 조립을 위해 나사 헤드 유닛(110)과 나사 샤프트 유닛(120)에는 나사 헤드 유닛(110)과 나사 샤프트 유닛(120)이 서로 조립되기 위한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114,124)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114,124)는 조립될 때, 원통형 구조를 이루게 복수의 조각으로 형성된다. 즉 도 3 및 도 4의 확대된 부분에 도시된 것처럼 조각 구조를 이루는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114,124)가 서로 조립될 때, 원통형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식립에 도움이 된다.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114,124)에는 체결공(115,125)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114,124)의 조립 부위에 핀(pin) 타입의 조립부재(130)가 조립된다. 즉 조립부재(130)는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114,124)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체결공(115,125)으로 삽입되어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114,124)를 조립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114,124)가 임의로 분리되면 안 되므로 조립부재(130)는 제1 및 제2 체결공(115,125)에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물론, 이 방식 외에 미세나사의 조립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들은 생체적합성 고분자소재(Biocomposite Material)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100)에는 탄성줄(140)이 더 적용될 수 있다.
탄성줄(140)은 나사 헤드 유닛(110)과 나사 샤프트 유닛(120)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라인(line, 줄)이며, 옵션으로 적용되는 사항이다. 즉 옵션으로 적용할 수 있는 탄성줄(140)을 사용할 경우, 골절 치료 시 기체결합 나사의 파손(Metal Breakage), 변형, 이탈(Loosening)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2차적인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줄(140)의 설치를 위하여 나사 헤드 유닛(110)에는 복수의 제1 줄 설치구(116)가 형성되고, 나사 샤프트 유닛(120)에는 복수의 제2 줄 설치구(126)가 형성된다.
탄성줄(140)은 복수의 제1 줄 설치구(116) 중 하나에 결합하는 제1 결합부(141)와, 복수의 제2 줄 설치구(126) 중 하나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142)와, 제1 및 제2 결합부(141,142)를 연결하는 연결부(14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줄(140)은 일측이 개방되게 마련되기 때문에 제1 결합부(141)를 나사 헤드 유닛(1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줄 설치구(116) 중 하나에 결합하고, 제2 결합부(142)를 나사 샤프트 유닛(1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줄 설치구(126) 중 하나에 결합함으로써 팽팽하게 탄성줄(14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100)를 조립한 후, 이를 골절 치료 시 사용할 수 있는데, 미세한 움직임이나 체중이 실리는 움직임이 발생하는 부위에 적용해서 설사 나사의 파손(Metal Breakage), 변형, 이탈(Loosening)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2차적으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나사와 달리 자체 탄성을 가지면서도 유연한 안정성(Dynamic fixation)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나사의 파손(Metal Breakage), 변형, 이탈(Loosening) 문제를 줄일 수 있으며, 골절 치료 시 기체결합 나사의 파손, 변형, 이탈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옵션으로 적용할 수 있는 탄성줄(실)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탄성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한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200) 역시, 골절 치료 시 인대(혹은 조립이 가능하거나 유연성을 갖춘 뼈)를 고정할 때 사용할 수 있는데,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분리형이 아닌 일체형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200)는 샤프트(210)를 구비한다. 샤프트(210)의 일측 단부에는 샤프트(210)의 초기 식립 진입 방향을 안내하는 진입 방향 안내부(211)가 마련된다. 진입 방향 안내부(211)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200)의 초기 식립 시 진입 방향이 잘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진입 방향 안내부(211)의 주변에 커팅 에지부(212, cutting edge portion)가 마련된다. 커팅 에지부(212)를 이루는 날카로운 선단으로 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200)의 식립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샤프트(210)의 타측 단부에는 헤드부(220)가 형성된다. 헤드부(220)에 공구를 대고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200)를 해당 위치에 식립할 수 있다.
한편, 샤프트(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헤드부(220)에 이웃하게 제1 나사산(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샤프트(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진입 방향 안내부(211)에 이웃하게 제2 나사산(232)이 형성된다.
이때, 제2 나사산(232)은 제1 나사산(231)보다 피치 간격이 다르게 형성되고 제1 나사산(231)과 비연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나사산(232)의 피치 간격이 제1 나사산(231)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 나사산(231)의 경우, 2개의 산이 번갈아 가며 연결된 구조로서, 이 구조로 인해 나사 삽입(식립) 시 경비골의 압박 효과를 피할 수 있다.
제1 나사산(231)이 위치하는 영역에는 복수의 제1 줄 설치구(233)가 형성되며, 제2 나사산(232)이 위치하는 영역에는 복수의 제2 줄 설치구(2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줄 설치구(233) 및 제2 줄 설치구(234)를 매개로 해서 샤프트(210)에 탄성줄(240)이 결합할 수 있다.
탄성줄(240)은 샤프트(210)가 부러지는 등의 제기능을 못할 때, 2차적인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줄(240)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즉 탄성줄(240)은 복수의 제1 줄 설치구(233) 중 하나에 결합하는 제1 결합부(241)와, 복수의 제2 줄 설치구(234) 중 하나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242)와, 제1 및 제2 결합부(241,242)를 연결하는 연결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일체형 구조의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200)가 적용되더라도 기존 나사와 달리 자체 탄성을 가지면서도 유연한 안정성(Dynamic fixation)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나사의 파손(Metal Breakage), 변형, 이탈(Loosening) 문제를 줄일 수 있으며, 골절 치료 시 기체결합 나사의 파손, 변형, 이탈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옵션으로 적용할 수 있는 탄성줄(실)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탄성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한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300) 역시, 골절 치료 시 인대(혹은 조립이 가능하거나 유연성을 갖춘 뼈)를 고정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제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300)에는 제1 나사산(231)과 제2 나사산(232) 사이의 샤프트(310)에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또한 샤프트(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공(311)이 형성된다. 통공(311)들은 탄성줄(240)이나 혹은 다른 인장력 제공수단을 걸거나 끼울 때 활용할 수 있다. 통공(311)은 단순 원형 외에도 선, 타원, 다각형 등 얼마든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와 같은 일체형 구조의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300)가 적용되더라도 기존 나사와 달리 자체 탄성을 가지면서도 유연한 안정성(Dynamic fixation)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나사의 파손(Metal Breakage), 변형, 이탈(Loosening) 문제를 줄일 수 있으며, 골절 치료 시 기체결합 나사의 파손, 변형, 이탈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옵션으로 적용할 수 있는 탄성줄(실)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 110 : 나사 헤드 유닛
111 : 제1 나사산 112 : 헤드부
114 : 제1 유닛 조립부 115 : 제1 체결공
116 : 제1 줄 설치구 120 : 나사 샤프트 유닛
121 : 제2 나사산 124 : 제2 유닛 조립부
125 : 제2 체결공 126 : 제2 줄 설치구
127 : 진입 방향 안내부 128 : 커팅 에지부
130 : 조립부재 140 : 탄성줄
141 : 제1 결합부 142 : 제2 결합부
143 : 연결부

Claims (4)

  1. 헤드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외벽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 헤드 유닛;
    상기 나사 헤드 유닛과 별개로 제작되되 상기 나사 헤드 유닛과 결합하며, 외벽에 상기 제1 나사산과 동일한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 샤프트 유닛;
    상기 나사 헤드 유닛과 상기 나사 샤프트 유닛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나사 헤드 유닛과 상기 나사 샤프트 유닛이 서로 조립되는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를 조립하는 조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헤드 유닛과 상기 나사 샤프트 유닛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탄성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유닛 조립부는 조립될 때, 원통형 구조를 이루게 복수의 조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 헤드 유닛에 상기 탄성줄의 설치를 위한 복수의 제1 줄 설치구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 샤프트 유닛에 상기 탄성줄의 설치를 위한 복수의 제2 줄 설치구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줄은 상기 복수의 제1 줄 설치구 중 하나에 결합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줄 설치구 중 하나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줄은 일측이 개방되게 마련되며,
    상기 나사 샤프트 유닛의 단부 영역에는 상기 나사 샤프트 유닛의 초기 식립 진입 방향을 안내하는 진입 방향 안내부가 마련되고, 상기 진입 방향 안내부의 주변에는 커팅 에지부(cutting edge portion)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
  3.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초기 식립 진입 방향을 안내하는 진입 방향 안내부;
    상기 진입 방향 안내부의 주변에 형성되는 커팅 에지부(cutting edge portion);
    상기 샤프트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헤드부에 이웃하게 마련되는 제1 나사산;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진입 방향 안내부에 이웃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나사산보다 피치 간격이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산과 비연속되는 제2 나사산;
    상기 제1 나사산이 위치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줄 설치구; 및
    상기 제2 나사산이 위치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줄 설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줄 설치구를 통해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줄은,
    상기 복수의 제1 줄 설치구 중 하나에 결합하는 제1 결합부;
    상기 복수의 제2 줄 설치구 중 하나에 결합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나사산과 상기 제2 나사산 사이의 상기 샤프트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또한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
KR1020200013564A 2020-02-05 2020-02-05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 Expired - Fee Related KR102084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564A KR102084625B1 (ko) 2020-02-05 2020-02-05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
PCT/KR2020/001699 WO2021157762A1 (ko) 2020-02-05 2020-02-06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564A KR102084625B1 (ko) 2020-02-05 2020-02-05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625B1 true KR102084625B1 (ko) 2020-03-04

Family

ID=6978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564A Expired - Fee Related KR102084625B1 (ko) 2020-02-05 2020-02-05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4625B1 (ko)
WO (1) WO2021157762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438A (ko) 2002-05-10 2010-03-29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링크 제어 재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의 재전송의 순위 지정을 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28432A (ko) * 2009-05-28 2010-12-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토크 렌치
KR20130093902A (ko) 2012-02-15 2013-08-23 홍병기 수평대
KR20140041826A (ko) 2011-07-14 2014-04-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수납 용기, 현상제 수납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2017012354A (ja) * 2015-06-30 2017-01-19 京セラメディカル株式会社 生体インプラント
KR20180110423A (ko) * 2017-03-29 2018-10-10 주식회사 티제이씨라이프 풀림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7462A (en) * 1991-03-05 1993-06-08 Pfizer Hospital Products Group, Inc. Screw and driver
EP2741714B1 (en) * 2011-08-13 2015-10-14 Hip Innovation Technology LLC Reverse hip acetabular cup and its combination with interlocking acetabular fixation screws
US10813769B2 (en) * 2018-07-24 2020-10-27 DePuy Synthes Products, Inc. Baseplate of a modular shoulder joint prosthesis and related methods for implanting the same
KR102070247B1 (ko) * 2019-08-16 2020-01-28 이동오 발목 인대 고정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438A (ko) 2002-05-10 2010-03-29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무선 링크 제어 재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의 재전송의 순위 지정을 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28432A (ko) * 2009-05-28 2010-12-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토크 렌치
KR20140041826A (ko) 2011-07-14 2014-04-0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제 수납 용기, 현상제 수납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20130093902A (ko) 2012-02-15 2013-08-23 홍병기 수평대
JP2017012354A (ja) * 2015-06-30 2017-01-19 京セラメディカル株式会社 生体インプラント
KR20180110423A (ko) * 2017-03-29 2018-10-10 주식회사 티제이씨라이프 풀림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및 이를 포함하는 봉합사 앵커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57762A1 (ko)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8705B2 (en) Graft anchor
US10413341B2 (en) Bone-fixation plate for the distal fibula and device for distal tibiofibular syndesmosis fixation
US6117139A (en) Ligament graft-securing device
JP4421474B2 (ja) 長骨骨幹端骨折用の髄内固定デバイス
JP4980881B2 (ja) 継手付き骨ねじ
US8821580B2 (en) System for making a bone repair
MXPA05002485A (es) Sistema para la fijacion de fracturas de hueso.
US8343152B2 (en) Fixed angle dual prong pin fixation system
US20140228898A1 (en) Universal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bone, ligament and tendon
CN112702964A (zh) 髌骨骨板
US20160354074A1 (en) Orthopedic Screw with Suture Anchor and Multipurpose Connector
KR102084625B1 (ko) 인대 고정용 골접합 나사
US20120016366A1 (en) Proximal Radius Locking Plate
CN209285604U (zh) 骨锚钉
US20220192817A1 (en) Dynamic fixation implant and method of use
JP2022517010A (ja) 改善された骨アンカーおよび関連する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3039006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emi-rigid bone fixation
KR101774390B1 (ko) 확장형 앵커
CN213249618U (zh) 腓骨接骨板
CN219207108U (zh) 一种组合式带线锚钉
US11771550B2 (en) Safe-release bone fastener for use with a ligament augmentation strap
CN209713107U (zh) 一种后交叉韧带撕脱骨折固定板
TW202145966A (zh) 高位脛骨截骨手術用的穩固型固定骨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