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3931B1 - 광각 렌즈계 - Google Patents

광각 렌즈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931B1
KR102083931B1 KR1020140007471A KR20140007471A KR102083931B1 KR 102083931 B1 KR102083931 B1 KR 102083931B1 KR 1020140007471 A KR1020140007471 A KR 1020140007471A KR 20140007471 A KR20140007471 A KR 20140007471A KR 102083931 B1 KR102083931 B1 KR 102083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wide
lens system
refractive power
lens grou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059A (ko
Inventor
이원신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931B1/ko
Priority to US14/469,796 priority patent/US9874718B2/en
Priority to CN201410641794.XA priority patent/CN104793316B/zh
Publication of KR20150087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9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체측으로부터 이미지측으로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군;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군;을 포함하며,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계를 개시한다.
<조건식>
16 < |L/f| < 17.5
여기서, L은 상기 제1 렌즈군의 가장 물체측에 배치된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렌즈군의 가장 이미지측에 배치된 면까지의 거리를, f는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광각 렌즈계{Wide angle lens system}
본 발명은 광각 렌즈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군 광각 렌즈계에 관한 것이다.
최근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과 같은 고체 촬상 소자가 소형화, 고화소화 됨에 따라, 촬상 소자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 또는 감시용 카메라와 같은 결상 광학 기기에 구비된 렌즈계 역시 높은 광학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보안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공공 기관이나 기업체뿐만 아니라, 개인에 의해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용 감시 카메라나 정밀 측정 카메라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감시 카메라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넓은 범위에 대하여, 중심부뿐만 아니라 주변부까지 왜곡이 없는 고해상도의 영상을 얻기를 원하며, 이에 따라 감시 카메라 등에 구비되는 렌즈계는 광각이면서 저왜곡을 구현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2군의 광각 렌즈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체측으로부터 이미지측으로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군;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군;을 포함하며,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계를 개시한다.
<조건식>
16 < |L/f| < 17.5
여기서, L은 전체 렌즈계의 길이를, f는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에 구비된 상기 제2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5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6 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7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군은 적어도 하나의 접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5 렌즈와 상기 제6 렌즈는 접합 렌즈일 수 있다.
인 광각 렌즈계.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7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7 렌즈의 굴절률(Nd7)은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Nd7 < 1.78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4.0 < fL/f < 4.4
여기서, fL은 상기 제2 렌즈군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vd4 < 25
여기서, vd4는 상기 제4 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의 사이에 배치된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형이면서 해상도가 높고 시야각이 넓은 광각 렌즈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광학적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각 렌즈계의 종방향 수차를 나타낸 수차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각 렌즈계의 횡방향 수차를 나타낸 수차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광학적 배치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각 렌즈계의 종방향 수차를 나타낸 수차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광각 렌즈계의 횡방향 수차를 나타낸 수차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광학적 배치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광각 렌즈계의 종방향 수차를 나타낸 수차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광각 렌즈계의 횡방향 수차를 나타낸 수차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광학적 배치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광각 렌즈계의 종방향 수차를 나타낸 수차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광각 렌즈계의 횡방향 수차를 나타낸 수차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도 4, 도 7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광학적 배치도이다.
도 1, 도 4,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광각 렌즈계는 물체측(O)으로부터 이미지측(I)으로 순서대로 제1 렌즈군(G1) 및 제2 렌즈군(G2)을 포함한다.
제1 렌즈군(G1)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O)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L11),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L12),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L13)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L14)의 4매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L11) 및 제2 렌즈(L12)는 볼록면이 물체측(O)을 향하는 메니스커스(meniscus) 부렌즈일 수 있으며, 제3 렌즈(L13)는 이미지측(I)에 위치한 오목면을 포함하는 부렌즈, 제4 렌즈(L14)는 물체측(O)에 위치한 볼록면을 포함하는 정렌즈일 수 있다.
제1 렌즈군(G1)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하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구면 렌즈는 제2 렌즈(L12)일 수 있다.
상기 제2 렌즈(L12)는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L12)의 적어도 한 면을 비구면으로 구성함으로써, 비축 상에서 발생하는 수차, 즉 비점 수차 및 상면 만곡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렌즈군(G2)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5 렌즈(L21),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6 렌즈(L22)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7 렌즈(L23)의 3매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렌즈(L21)와 제6 렌즈(L22)는 접합 렌즈일 수 있다. 즉, 제5 렌즈(L21)와 제6 렌즈(L22)를 접합 렌즈로 구성함으로써, 색수차 등의 수차를 보정하면서 제조시의 부착 오차 등의 영향을 적게 하여 안정된 광학 품질을 얻을 수 있고, 구성을 간이화할 수 있어 소형화에 적합하다.
상기 제7 렌즈(L23)는 양볼록 렌즈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7 렌즈(L23)는 물체측(O) 또는 이미지측(I)에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도 있고, 양측에 비구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7 렌즈(L23)의 적어도 한 면을 비구면으로 구성함으로써, 비축 상에서 발생하는 수차, 즉 비점 수차 및 상면 만곡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렌즈군(G1)과 제2 렌즈군(G2)의 사이에는 조리개(ST)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렌즈군(G2)와 이미지면(IP)의 사이에는 광학 블록(G)이 배치될 수 있으며, 광학 블록(G)은 저역 통과 필터(LPF; low pass filter)나 적외선 차단 필터(IR-cut filter) 등의 광학 필터, 촬상 소자의 촬상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유리(CG; cover glass) 등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소형이면서 넓은 화각 및 높은 광학 성능을 가지는 광각 렌즈계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렌즈계는 하기의 <조건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16 < |L/f| < 17.5
여기서, L은 상기 제1 렌즈군(G1)의 가장 물체측(O)에 배치된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렌즈군(G2)의 가장 이미지측에 배치된 면까지의 거리, 즉 제1 렌즈(G11)의 물체측(O)에 배치된 면(S1)으로부터 제7 렌즈(L23)의 이미지측(I)에 배치된 면(S14)까지의 거리를, f는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조건식 1>은 광각 렌즈계의 초점거리에 대한 전체 렌즈계의 길이의 비의 범위를 정의한 것이다. <조건식 1>의 상한치 이상에서는 반화각이 90도 이상인 영역에서 광학적 성능, 즉 해상도가 저하되며, 하한치 이하에서는 90도 이상의 화각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각 렌즈계는 하기의 <조건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
Nd7 < 1.78
여기서, Nd7는 제2 렌즈군(G2)에 포함된 제7 렌즈(L23)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조건식 2>는 제2 렌즈군(G2)의 가장 이미지측에 배치된 렌즈, 즉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7 렌즈(L23)의 굴절률의 범위를 나타낸 식으로, <조건식 2>의 상한치 이상에서는 광각 렌즈계의 코마 수차를 제어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각 렌즈계는 하기의 <조건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3>
4.0 < fL/f < 4.4
여기서, f는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를, fL은 제2 렌즈군(G2)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조건식 3>은 광각 렌즈계의 초점거리에 대한 제2 렌즈군(G2)의 초점거리의 비의 범위를 정의한 것으로, 제2 렌즈군(G2)의 초점거리에 의해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가 정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건식 3>의 상한치 이상에서는 전체 렌즈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고성능을 구현할 수는 있으나 넓은 화각을 구현하기 어려워지며, 하한치 이하에서는 넓은 화각을 구현할 수는 있으나, 광축으로부터 멀리 배치된 주변부에서 고성능을 구현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각 렌즈계는 하기의 <조건식 4>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4>
vd4 < 25
여기서, vd4는 제4 렌즈(L14)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조건식 4>는 제1 렌즈군(G1)의 가장 이미지측에 배치된 렌즈, 즉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L14)의 굴절률의 범위를 나타낸 식으로, <조건식 4>의 상한치 이상에서는 색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결상된 이미지에 특정 파장의 색이 나타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 1] 내지 [표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설계 데이터를 설명한다.
설계 데이터에서, R은 각 렌즈면의 곡률 반경[mm](단, R의 값이 ∞가 되는 면은 그 면이 평면임을 나타낸다.)을, Dn는 광축 상에서 렌즈면과 렌즈면 사이의 거리[mm]로서, 렌즈의 두께 또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Nd는 d선에서의 각 렌즈의 굴절률을, vd는 d선에서의 각 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포함된 비구면(ASP)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4006373480-pat00001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각 렌즈계에 포함된 비구면 형상은, 광축 방향을 z축으로 하고, 광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h축으로 할 때, 광선의 진행 방향을 정(positive)으로 하여 상기 정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z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h는 광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K는 코닉상수(conic constant)를, A, B, C는 비구면 계수를, c는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반경의 역수(1/R)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
[표 1]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의 부호 Si는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을 1번째 면(S1)으로 하고, 이미지측 방향을 따라 면 번호가 증가되도록 부호를 붙인 i번째의 면을 나타낸다.
Figure 112014006373480-pat00002
상기 표에서 *은 비구면을 나타낸다, [표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에 포함된 비구면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다. 비구면 계수의 수치에서 E-m(m은 정수)이라는 표기는 ×10-m을 의미한다.
Figure 112014006373480-pat00003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각 렌즈계의 종방향 수차를 나타내며, 각각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distortion)을 나타낸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약 656.2725 nm, 587.5618 nm, 546.0740 nm, 486.1327 nm 및 435.8343 nm의 파장을 갖는 빛에 대하여 도시되었으며, 비점수차와 왜곡은 546.0740 nm 파장을 갖는 빛에 대하여 도시된 것이다. 비점수차에서 점선은 자오면(T; tangential surface)에서의 비점 수차를, 실선은 구결면(S; sagittal surface)에서의 비점 수차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각 렌즈계의 횡방향 수차를 나타내며, 약 656.2725 nm, 587.5618 nm, 546.0740 nm, 486.1327 nm 및 435.8343 nm의 파장을 갖는 빛에 대하여, 자오면 및 구결면에서의 횡방향 수차, 즉 배율 색수차 및 코마수차 등을 나타낸다.
<제2 실시예>
[표 3]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006373480-pat00004
상기 표에서 *은 비구면을 나타낸다, [표 4]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에 포함된 비구면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다. 비구면 계수의 수치에서 E-m(m은 정수)이라는 표기는 ×10-m을 의미한다.
Figure 112014006373480-pat00005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각 렌즈계의 종방향 수차를 나타내며, 각각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distortion)을 나타낸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약 656.2725 nm, 587.5618 nm, 546.0740 nm, 486.1327 nm 및 435.8343 nm의 파장을 갖는 빛에 대하여 도시되었으며, 비점수차와 왜곡은 546.0740 nm 파장을 갖는 빛에 대하여 도시된 것이다. 비점수차에서 점선은 자오면(T; tangential surface)에서의 비점 수차를, 실선은 구결면(S; sagittal surface)에서의 비점 수차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광각 렌즈계의 횡방향 수차를 나타내며, 약 656.2725 nm, 587.5618 nm, 546.0740 nm, 486.1327 nm 및 435.8343 nm의 파장을 갖는 빛에 대하여, 자오면 및 구결면에서의 횡방향 수차, 즉 배율 색수차 및 코마수차 등을 나타낸다.
<제3 실시예>
[표 5]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006373480-pat00006
상기 표에서 *은 비구면을 나타낸다, [표 6]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에 포함된 비구면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다. 비구면 계수의 수치에서 E-m(m은 정수)이라는 표기는 ×10-m을 의미한다.
Figure 112014006373480-pat00007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광각 렌즈계의 종방향 수차를 나타내며, 각각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distortion)을 나타낸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약 656.2725 nm, 587.5618 nm, 546.0740 nm, 486.1327 nm 및 435.8343 nm의 파장을 갖는 빛에 대하여 도시되었으며, 비점수차와 왜곡은 546.0740 nm 파장을 갖는 빛에 대하여 도시된 것이다. 비점수차에서 점선은 자오면(T; tangential surface)에서의 비점 수차를, 실선은 구결면(S; sagittal surface)에서의 비점 수차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광각 렌즈계의 횡방향 수차를 나타내며, 약 656.2725 nm, 587.5618 nm, 546.0740 nm, 486.1327 nm 및 435.8343 nm의 파장을 갖는 빛에 대하여, 자오면 및 구결면에서의 횡방향 수차, 즉 배율 색수차 및 코마수차 등을 나타낸다.
<제4 실시예>
[표 7]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006373480-pat00008
상기 표에서 *은 비구면을 나타낸다, [표 8]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에 포함된 비구면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다. 비구면 계수의 수치에서 E-m(m은 정수)이라는 표기는 ×10-m을 의미한다.
Figure 112014006373480-pat00009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광각 렌즈계의 종방향 수차를 나타내며, 각각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distortion)을 나타낸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약 656.2725 nm, 587.5618 nm, 546.0740 nm, 486.1327 nm 및 435.8343 nm의 파장을 갖는 빛에 대하여 도시되었으며, 비점수차와 왜곡은 546.0740 nm 파장을 갖는 빛에 대하여 도시된 것이다. 비점수차에서 점선은 자오면(T; tangential surface)에서의 비점 수차를, 실선은 구결면(S; sagittal surface)에서의 비점 수차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광각 렌즈계의 횡방향 수차를 나타내며, 약 656.2725 nm, 587.5618 nm, 546.0740 nm, 486.1327 nm 및 435.8343 nm의 파장을 갖는 빛에 대하여, 자오면 및 구결면에서의 횡방향 수차, 즉 배율 색수차 및 코마수차 등을 나타낸다.
다음의 [표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초점거리(f), f 넘버(fno) 및 반화각(ω)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006373480-pat00010
다음의 [표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각 렌즈계가 <조건식 1> 및 <조건식 3>을 만족함을 나타낸다.
Figure 112014006373480-pat0001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형이면서 해상도가 높고 시야각이 넓은 광각 렌즈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광각 렌즈계는,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구비하는 감시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또는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광각 렌즈계에 의해 결상된 광을 수광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과 같은 고체 촬상 소자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은 광각 렌즈계의 이미지면(IP)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G1: 제1 렌즈군 L11: 제1 렌즈
L12: 제2 렌즈 L13: 제3 렌즈
L14: 제4 렌즈 G2: 제2 렌즈군
L21: 제5 렌즈 L22: 제6 렌즈
L23: 제7 렌즈

Claims (11)

  1. 물체측으로부터 이미지측으로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군;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군;을 포함하며,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하며, 반화각이 90도 보다 큰, 광각 렌즈계.
    <조건식>
    16 < |L/f| < 17.5
    여기서, L은 상기 제1 렌즈군의 가장 물체측에 배치된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렌즈군의 가장 이미지측에 배치된 면까지의 거리를, f는 전체 렌즈계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를 포함하는 광각 렌즈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에 구비된 상기 제2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하는 광각 렌즈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5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6 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7 렌즈;를 포함하는 광각 렌즈계.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군은 적어도 하나의 접합 렌즈를 포함하는 광각 렌즈계.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렌즈와 상기 제6 렌즈는 접합 렌즈인 광각 렌즈계.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하는 광각 렌즈계.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렌즈의 굴절률(Nd7)은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계.
    <조건식>
    Nd7 < 1.78
  9. 제1 항에 있어서,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계.
    <조건식>
    4.0 < fL/f< 4.4
    여기서, fL은 상기 제2 렌즈군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10. 제2 항에 있어서,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계.
    <조건식>
    vd4 < 25
    여기서, vd4는 상기 제4 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의 사이에 배치된 조리개를 더 포함하는 광각 렌즈계.
KR1020140007471A 2014-01-21 2014-01-21 광각 렌즈계 Active KR102083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471A KR102083931B1 (ko) 2014-01-21 2014-01-21 광각 렌즈계
US14/469,796 US9874718B2 (en) 2014-01-21 2014-08-27 Wide angle lens system
CN201410641794.XA CN104793316B (zh) 2014-01-21 2014-11-06 广角镜头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471A KR102083931B1 (ko) 2014-01-21 2014-01-21 광각 렌즈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059A KR20150087059A (ko) 2015-07-29
KR102083931B1 true KR102083931B1 (ko) 2020-03-03

Family

ID=5354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471A Active KR102083931B1 (ko) 2014-01-21 2014-01-21 광각 렌즈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74718B2 (ko)
KR (1) KR102083931B1 (ko)
CN (1) CN1047933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5238B2 (ja) * 2014-07-02 2018-11-21 カンタツ株式会社 撮像レンズ
KR102508341B1 (ko) * 2015-09-04 2023-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초광곽 광학계
CN105137575B (zh) * 2015-09-21 2017-06-30 中山联合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低温红外共焦、大光圈、小体积光学系统
CN105372789A (zh) * 2015-11-11 2016-03-02 苏州莱能士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无畸变高分辨率大视角无人机镜头光学系统
KR102580305B1 (ko) * 2016-01-05 2023-09-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JP6643090B2 (ja) * 2016-01-12 2020-02-12 ナンチャン オー−フィルム オプティカル−エレクトロニック 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TWI582457B (zh) * 2016-04-20 2017-05-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取像光學系統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CN107462969B (zh) * 2016-06-03 2021-04-27 扬明光学股份有限公司 光学镜头
CN108761743B (zh) 2016-07-13 2020-10-02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七片式广角镜头
US10634885B2 (en) * 2016-07-25 2020-04-28 Nidec Sankyo Corporation Wide-angle lens
CN107884913B (zh) * 2016-09-30 2020-05-19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广角镜头
KR102789043B1 (ko) * 2016-12-05 2025-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CN106896474B (zh) * 2016-12-30 2019-12-27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镜片组
CN110832375A (zh) * 2017-06-02 2020-02-21 猫头鹰实验室股份有限公司 用于外围视场成像的广角镜头及照相机系统
KR102369803B1 (ko) * 2017-09-12 2022-03-0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어안 렌즈계
JP2019066645A (ja) * 2017-09-29 2019-04-2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広角レンズ
KR101983194B1 (ko) 2017-10-31 2019-05-28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US10386611B2 (en) * 2017-12-18 2019-08-20 AAC Technologies Pte. Ltd. Camera optical lens
CN109960020B (zh) * 2017-12-22 2021-10-29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
TWI703345B (zh) * 2017-12-29 2020-09-01 光芒光學股份有限公司 鏡頭及其製造方法
CN108363163B (zh) * 2018-01-15 2020-03-24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成像镜头
TWI660196B (zh) * 2018-03-30 2019-05-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攝像用光學鏡頭、取像裝置及電子裝置
WO2019205944A1 (zh) * 2018-04-28 2019-10-31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及成像设备
CN110412718B (zh) * 2018-04-28 2020-11-24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
CN108459460A (zh) * 2018-05-25 2018-08-28 武汉赫天光电股份有限公司 全景光学系统
KR102815917B1 (ko) 2018-07-12 2025-06-02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CN108663783B (zh) * 2018-08-28 2023-10-10 深圳市特莱斯光学有限公司 一种大光圈低成本全景鱼眼镜头
CN110346920B (zh) * 2019-07-02 2024-05-28 舜宇光学(中山)有限公司 鱼眼镜头
CN110412752B (zh) * 2019-09-06 2024-06-28 舜宇光学(中山)有限公司 广角镜头
KR102395178B1 (ko) * 2019-12-17 2022-05-06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US11796761B2 (en) * 2019-12-18 2023-10-24 Logitech Europe S.A. High resolution, wide FOV static lens assembly
CN111239983B (zh) * 2020-03-24 2022-06-14 南京理工大学 一种高成像质量的广角摄影镜头
CN111538143B (zh) * 2020-05-29 2024-11-08 宁波锦辉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镜头
CN112068284B (zh) * 2020-08-12 2021-06-18 中国科学院西安光学精密机械研究所 一种用于双目立体视觉的大视场光学系统
TW202229980A (zh) * 2020-11-18 2022-08-01 中強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系統及投影裝置
WO2022141124A1 (zh) * 2020-12-29 2022-07-0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光学系统、拍摄装置、云台及可移动平台
TWI804892B (zh) * 2021-06-17 2023-06-11 紘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攝像透鏡組、成像裝置及電子裝置
CN113741012B (zh) * 2021-11-08 2022-02-15 沂普光电(天津)有限公司 一种光学透镜模组
CN114488480B (zh) * 2022-01-12 2023-09-05 江西晶超光学有限公司 光学系统、摄像模组和电子设备
CN114545605B (zh) * 2022-02-24 2023-07-14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成像镜片组
CN115220183B (zh) * 2022-06-17 2023-11-21 广东省三目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超广角车载全景摄像头及cms系统
CN115951482B (zh) * 2023-03-15 2023-08-01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光学镜头
CN117310945B (zh) * 2023-11-30 2024-03-08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光学镜头
CN117970612B (zh) * 2024-03-29 2024-06-18 协益电子(苏州)有限公司 一种环视镜头、摄像装置及具有其的驾驶工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6978A1 (en) * 2009-04-24 2012-03-08 Issei Abe Wide angle lens and imag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1116A (en) 1980-01-17 1981-08-13 Minolta Camera Co Ltd Fisheye lens
JP3478265B2 (ja) * 2000-06-12 2003-12-15 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装置
JP2006113404A (ja) 2004-10-15 2006-04-27 Konica Minolta Opto Inc 変倍光学系、撮像レンズ装置及びデジタル機器
JP2007164079A (ja) 2005-12-16 2007-06-28 Elmo Co Ltd 魚眼レンズユニット
JP4667269B2 (ja) 2006-02-24 2011-04-06 Hoya株式会社 広角レンズ系
JP2008134494A (ja) 2006-11-29 2008-06-12 Topcon Corp 超広角光学系、撮像レンズ装置
US7822963B2 (en) 2007-06-05 2010-10-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mote computer operating system upgrade
JP5048474B2 (ja) 2007-12-18 2012-10-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魚眼レンズおよ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KR100962673B1 (ko) 2008-01-12 2010-06-11 (주) 이노티브잉크코리아 영상처리시스템, 영상처리방법 및 영상전달방법
US7957074B2 (en) * 2008-05-27 2011-06-07 Fujinon Corporation Imaging lens system and imaging apparatus using the imaging lens system
KR101486775B1 (ko) * 2008-09-03 2015-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형 줌 광학계
JP2010160479A (ja) * 2008-12-10 2010-07-22 Fujinon Corp 撮像レンズおよびこの撮像レンズを用いた撮像装置
JP5399306B2 (ja) * 2009-04-10 2014-01-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KR101582089B1 (ko) * 2009-05-20 2016-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각 렌즈 및 이를 구비한 결상 광학 장치
US8625973B2 (en) 2009-10-30 2014-01-07 Verint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video system
JP5330202B2 (ja) * 2009-11-20 2013-10-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US9058191B2 (en) 2010-03-22 2015-06-16 Qualcomm Incorporated Direct transfer of executable software image to memory allocated by target processor based on transferred image header
US8724232B2 (en) * 2010-10-29 2014-05-13 Samsung Techwin Co., Ltd. Zoom len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463265B2 (ja) * 2010-11-17 2014-04-09 株式会社タムロン 広角レンズ
WO2013046567A1 (ja) * 2011-09-29 2013-04-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CN103033908A (zh) * 2011-09-30 2013-04-10 上海三鑫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广角投影物镜
JP5871630B2 (ja) * 2012-01-23 2016-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KR101776705B1 (ko) * 2012-08-22 2017-09-0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US9021141B2 (en) 2013-08-20 2015-04-28 Lsi Corporation Data storage controller and method for exposing information stored in a data storage controller to a host system
JP6189736B2 (ja) * 2013-12-18 2017-08-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6978A1 (en) * 2009-04-24 2012-03-08 Issei Abe Wide angle lens and imag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93316B (zh) 2018-10-26
CN104793316A (zh) 2015-07-22
US9874718B2 (en) 2018-01-23
KR20150087059A (ko) 2015-07-29
US20150205070A1 (en)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931B1 (ko) 광각 렌즈계
KR101853808B1 (ko) 광각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2422126B1 (ko) 줌 렌즈계
KR102004988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2052124B1 (ko) 어안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844509B1 (ko) 줌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890304B1 (ko) 줌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383900B1 (ko) 줌 렌즈 시스템
KR102052126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2369803B1 (ko) 어안 렌즈계
KR102369801B1 (ko) 줌 렌즈계
CN107436486B (zh) 变焦透镜系统
KR20150135919A (ko) 줌렌즈계
KR102066941B1 (ko) 줌 렌즈계
KR102094508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40014710A (ko) 광각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933088B1 (ko) 렌즈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776704B1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880633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776705B1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JP2017058589A (ja)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KR20150060398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522288B1 (ko) 고정 초점 렌즈계
KR20210114794A (ko) 줌 렌즈계
KR20130122867A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10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1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