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771B1 - A side wall of container bag - Google Patents
A side wall of container ba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3771B1 KR102083771B1 KR1020200001090A KR20200001090A KR102083771B1 KR 102083771 B1 KR102083771 B1 KR 102083771B1 KR 1020200001090 A KR1020200001090 A KR 1020200001090A KR 20200001090 A KR20200001090 A KR 20200001090A KR 102083771 B1 KR102083771 B1 KR 1020837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portion
- corner
- side wall
- container bag
- ed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63 fu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883 loss of bal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65D88/1625—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with stiffening rigid means between the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실링부와 재봉부를 갖는 컨테이너 백의 측면벽부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백의 모서리벽부와 사각유지밴드 사이의 모서리 공간으로 투입되는 내용물이 신속하고 원할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각유지밴드를 절단한 절단 가장자리에 잔류하는 잔사(부스러기)들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열실링부와 재봉부를 갖는 컨테이너 백의 측면벽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wall portion of a container bag having a heat sealing portion and a sewing por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llow contents to be quickly and smoothly filled into the corner space between the edge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bag and the square holding band. A side wall portion of a container bag having a heat sealing portion and a sewing portion to easily remove residues (crumbs) remaining on the cutting edge cut the square holding band.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경량화에 유리하도록 종이재, 직물 또는 플렉서블한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며, 곡물, 사료, 시멘트, 합성수지원료(resin) 등과 같이 분말이나 작은 입자 상태의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운반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general, container bags are made of paper, fabric, or flexible synthetic resins, which are advantageous for light weight. They contain and store the contents of powder or small particles such as grain, feed, cement, synthetic resin, etc. Allow it to be transported.
이와 같은 컨테이너 백은 외형의 변형이 용이하므로 내용물을 수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피를 최소로 하여(접어서) 보관시킬 수 있게 한다.Such a container bag is easy to deform in appearance, so that it can be stored with minimal volume (folding) in a state where the contents are not received.
한편, 항공 또는 선박을 통한 운송시에는 물류비의 경감을 위하여 정해진 공간에(컨테이너)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ransporting by air or ship, it is preferable to load a large amount of cargo in a predetermined space (container) in order to reduce the logistics cost.
컨테이너 백에 화물, 특히 분체나 분말 형태의 화물을 적재하면 측면부의 중앙 쪽에 높은 압력이 가해져 결국 컨테이너 백의 측면부가 불룩해지는 배불림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배불림 현상은 컨테이너 백을 한정된 공간에 밀집해 적재하는 데에 있어 방해 요인이 된다.Loading cargo into the container bag, particularly in the form of powder or powder, results in a high pressure on the center of the side, resulting in a bulging phenomenon in which the side of the container bag bulges. This fulling phenomenon is an obstacle to loading the container bag in a confined space.
이러한 배불림 현상을 방지하는 컨테이너 백들이 일본특허공개 평8-80994호(1996.03.26 공개),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255475호(2001. 12. 20 공고),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346357호(2004.03.30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0956942호(2010.05.11 공고), 한국공개특허 10-2016-0088714호(2016.07.26 공개)들에 공개되어 있다.Container bags for preventing such bulging ar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80994 (published on March 26, 1996),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255475 (December 20, 2001), an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46357 (2004.03) .30 Announcemen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956942 (announced May 11, 2010),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88714 (Published July 26, 2016).
이들 컨테이너 백들중 한국등록특허 제0956942호에 개시된 컨테이너 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Of these container bags, the container bag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0956942 is shown in FIG. 1.
컨테이너 백 본체(100) 내면에는 지지체(200)(사각유지밴드)들이 측면부(100a) 네모서리 부위에 재봉되어 결합되어 있고, 각 지지체(200)들에는 분체 또는 분말형 화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복수의 천공부(210)가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지지체(200)는 서로 인접한 측면부(100a)의 중앙부를 상호 연결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부가 불룩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The
컨테이너 백의 내부에 지지체(200)를 마련함으로써 배불림 현상을 줄일 수는 있으나, 화물 적재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By providing the
첫째, 분체/분말과 같은 알갱이 형태의 화물은 컨테이너 백의 상측으로부터 투입될 경우, 알갱이의 슬립성으로 인해 하측 중앙부에 쌓이고 이어서 쌓여진 화물들의 경사면을 따라 주변부로 화물이 흘러내려가(슬립) 적층되게 된다.First, when granulated cargo such as powder / powder is introduc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ag, the granules are accumulated in the lower center due to the slipperiness of the granules, and then the cargo flows down to the periphery along the slope of the stacked cargoes (slip).
그런데 천공부(210)를 통하여 모서리부분으로 화물이 유입되려 하지만(적색 화살표), 천공부(210)의 양측 가장자리(210a)에 의해 화물의 슬립이 방해가 되어 컨테이너 백의 모서리 측으로 화물의 유입이 어렵고 잘 적재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By the way, the cargo flows into the corner portion through the perforation 210 (red arrow), but the slip of the cargo is hindered by the
이로 인해 화물에 충진된 컨테이너 백의 이송에 필요한 2단 적층시 상단부의 컨테이너 백의 균형 상실로 무너질 가능성이 있다. This may result in a loss of balance of the container bag at the top when two-stage stacking is required for the transport of the container bag filled with cargo.
둘째, 지지체(200)에 천공부(210)를 형성하기 위하여 천공을 한 후에는 천공부(210)의 가장자리에는 잔사(殘渣)(부스러기)와 같은 이물질이 잔류하게 되는데, 이는 화물에 혼입되어 화물의 순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Second, after the perforations to form the
첫째, 컨테이너 백의 모서리벽부와 사각유지밴드 사이의 모서리 공간으로 내용물이 신속하고 원할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한 열실링부와 재봉부를 갖는 컨테이너 백의 측면벽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Firs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de wall portion of a container bag having a heat sealing portion and a sewing portion so that the contents can be quickly and smoothly filled into the corner space between the edge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bag and the square holding band.
둘째, 컨테이너 백의 접합부 강도 향상과 함께 방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백의 측면벽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econdl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de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bag so that the waterproofing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together with the strength of the joint of the container bag.
셋째, 사각유지밴드의 관통공 형성을 위해 절단한 절단 가장자리에 잔류하는 잔사(부스러기)들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백의 측면벽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ir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de wall portion of a container bag so that residues (crumbs) remaining on the cutting edge cut for forming the through holes of the square holding band can be easily removed.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사각통형으로 형성된 측면벽부의 모서리부에 사각유지밴드를 가지며 내용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 백의 측면벽부 제작방법에 있어서,In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bag having a rectangular holding band in the corner of the side wall portion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er shape to accommodate the contents,
상기 사각통형의 측면벽부는 상기 측면벽부의 네면부를 형성하는 사각형상의 4개의 메인벽부와, 상기 사각통형의 네 모서리부를 형성하며 인접하는 상기 메인벽부 사이를 연결하는 4개의 모서리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사각유지밴드는 상기 모서리부에 내용물이 출입되는 복수의 관통공이 상,하로 복수 형성되고, 상기 각 관통공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접합을 위한 접합여유부가 형성되며,The square cylindrical side wall portion has four rectangular wall portions that form four sides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four corner wall portions that form four corner portions of the square cylindrical shape and connect the adjacent main wall portions.
The rectangular retaining b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contents enter and exi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 joining margin for joining is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edges of the through holes.
상기 접합여유부는 상기 메인벽부와 상기 모서리벽부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접합여유부가 상기 사각통형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메인벽부, 접합여유부 및 상기 모서리벽부가 함께 접합되며,The joining margin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wall portion and the edge of the corner wall portion, the main wall portion, the joining margin and the corner wall portion are joined together so that the joining margin does not protrude into the rectangular cylindrical space.
상기 메인벽부와 상기 모서리벽부의 가장자리 사이에 상기 접합여유부 및 상기 관통공의 일부분이 배치되고,A portion of the joint margin part and the through hole is disposed between an edge of the main wall part and the edge wall part;
상기 메인벽부와 상기 모서리벽부의 가장자리를 접은 후 상기 관통공 부분이 포함되도록 열실링 접합한 열실링부와, 상기 열실링부의 외측을 재봉하여 형성된 재봉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fter folding the edge of the main wall portion and the corner wall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at sealing portion which is heat-sealed and bonded to include the through-hole portion, and a sewing portion formed by sewing the outer side of the heat sealing portion.
첫째, 사각유지밴드(30)의 접합여유부(32)가 사각통형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접합함으로써, 사각유지밴드(30)의 관통공(31)을 통하여 모서리벽부(20)와 사각유지밴드(30) 사이의 모서리 공간으로 내용물이 신속하고 원할하게 채워질 수 있게 한다.First, by joining the
둘째, 관통공(31)의 절단 가장자리가 융착부(33)에 의해서 잔류하는 잔사(부스러기)들이 융착됨으로써, 내용물에 잔사와 같은 불순물들의 혼입을 방지한다. Second, residues (crumbs) in which the cutting edge of the through
셋째, 메인벽부(10)와 모서리벽부(20)의 가장자리 사이에 접합여유부(32) 및 관통공(31)의 일부분을 배치시킨 후, 열실링부(41)와 재봉부(42)에 의해서 이중으로 접합함으로써, 접합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액상의 내용물을 누수없이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Third, after arranging the
도 1은 종래 컨테이너 백의 측면벽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컨테이너 백의 측면벽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메인벽부, 사각유지밴드 및 모서리벽부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측면벽부에 적용되는 사각유지밴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사각유지밴드의 다른 배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실링부와 재봉부를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측면벽부에서 내용물이 모서리부로 유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8은 접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wall portion of a conventional container bag,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ba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main wall portion, the square holding band and the corner wall portion of FIG.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rectangular holding band applied to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arrangement of the square holding band,
Figure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the sealing portion and the sewing portion,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flow to the corner portion in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joint.
본 발명의 컨테이너 백은 컨테이너 백의 모서리벽부와 사각유지밴드 사이의 모서리 공간으로 내용물이 신속하고 원할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각유지밴드를 절단한 관통공 가장자리에 잔류하는 잔사(부스러기)들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ainer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ntents to be quickly and smoothly filled into the corner space between the edge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bag and the square holding band, and also easily removes residues (crumbs) remaining at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cut through the square holding band. Do it.
본 발명 실시예의 컨테이너 백의 측면벽부(1)를 나타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는 사각통형의 형상으로서 상면에는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상면부(미도시)가 접합되고, 하면에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면부(미도시)가 접합된다.2 and 3 showing the side wall portion 1 of the container ba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the upper surface portion (not shown)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contents are introduced is join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contents on the lower surface. The lower surface part (not shown) in which this discharge port is formed is joined.
상기 측면벽부(1)는 사각형상의 4개의 메인벽부(10)와, 상기 메인벽부(10) 사이를 연결하는 4개의 모서리벽부(20)와, 모서리부에 내용물이 출입되는 복수의 관통공(31)이 상,하로 복수 형성되고 각 관통공(3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접합을 위한 접합여유부(32)가 형성된 사각유지밴드(30)를 구비한다.The side wall portion 1 includes four rectangular
상기 관통공(31)은 펀칭 또는 재단되어 형성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31)의 가장자리는 열융착하여 열융착부(33)가 형성되어 있다.The through
상기 접합여유부(32)는 상기 사각통형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메인벽부(10), 접합여유부(32) 및 상기 모서리벽부(20)가 함께 접어져 접합되어 있다.The joining
도 2에서, "A"부분은 상기 메인벽부(10), 상기 접합여유부(32) 및 모서리벽부(20)가 접합되지 않은채 맞닿은 상태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며, 확대부분은 접합부분을 접어서 실링 및 재봉으로 접합한 상태를 나타낸다.In FIG. 2, part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상기 메인벽부(10), 접합여유부(32), 및 모서리벽부(20)의 가장자리가 함께 접어진 부분에는 열실링하여 접합된 열실링부(41)와, 상기 열실링부(41)의 외측에 재봉되어 접합된 재봉부(42)가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의 측면벽부(1)는 상기 접합여유부(32)가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통형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접합됨으로써, 모서리벽부(20)와 사각유지밴드(30) 사이의 모서리 공간으로 내용물이 신속하고 원할하게 채워질 수 있게 된다.The side wall portion 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joined to the
또한, 관통공(31)의 절단 가장자리가 융착부(33)에 의해서 잔류하는 잔사(부스러기)들이 융착됨으로써, 내용물에 잔사와 같은 불순물들의 혼입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residues (crumbs) in which the cutting edges of the through
또한, 측면벽부(1)를 열실링부(41)와 재봉부(42)에 의해서 이중으로 접합함으로써, 접합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액상의 내용물을 누수없이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joining the side wall portion 1 by the
도 8(확대도 "B")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의 측면벽부는 상기 메인벽부(10), 상기 접합여유부(32) 및 모서리벽부(20)를 재봉부(42)(42a)로 이중 접합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 8 (enlarged view "B"),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 백의 측면벽부(1) 제작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ide wall 1 of the container bag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직물 또는 플렉서블한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상기 사각유지밴드(30)는 상기 모서리부에 내용물이 출입되는 복수의 관통공(31)을 상,하로 복수 형성하고, 상기 각 관통공(3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접합을 위한 접합여유부(32)를 형성한다.First, referring to Figure 4, the
상기 관통공(31)들은 펀칭 또는 재단하여 형성하는데, 이때 관통공(31)의 가장자리에는 직물의 잔사들이 형성되므로 상기 관통공(31)의 가장자리를 열융착하여 융착부(33)를 형성하여서, 상기 잔사들이 융착되도록 한다.The through
이어서 상기 측면벽부(1)의 네면부를 형성하는 사각형상의 4개의 메인벽부(10)와, 상기 측면벽부(1)의 네 모서리부를 형성하며 인접하는 상기 메인벽부(10) 사이를 연결하는 4개의 모서리벽부(20)를 형성한다.Subsequently, four quadrilateral
이어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여유부(32)를 상기 메인벽부(10)와 상기 모서리벽부(20)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하되, 상기 접합여유부(32)가 상기 사각통형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메인벽부(10), 접합여유부(32) 및 상기 모서리벽부(20)를 함께 접합시킨다.3 and 7, the
이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벽부(10)와 상기 모서리벽부(20)의 가장자리 사이에 상기 접합여유부(32) 및 상기 관통공(31)의 일부분이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메인벽부(10)와 상기 모서리벽부(20)의 가장자리 사이에 상기 접합여유부(32)가 상기 사각통형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하는 작업이 수월하게 된다.5 and 6, a portion of the joining
이어서 상기 메인벽부(10)와 상기 모서리벽부(20)의 가장자리를 접은 후 상기 관통공(31) 부분이 포함되도록 열실링 접합하여 열실링부(41)를 형성시키고, 상기 열실링부(41)의 외측을 재봉하여 재봉부(42)를 형성시킨다.Subsequently, after the edges of the
상기와 같은 제작방법은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여유부(32)를 상기 사각통형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접합함으로써, 모서리벽부(20)와 사각유지밴드(30) 사이의 모서리 공간으로 내용물이 신속하고 원할하게 채워질 수 있게 한다.2, 3 and 7, the manufactur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by joining the joining
또한, 관통공(31)의 절단 가장자리가 융착부(33)에 의해서 잔류하는 잔사(부스러기)들이 융착됨으로써, 내용물에 잔사와 같은 불순물들의 혼입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residues (crumbs) in which the cutting edges of the through
또한, 측면벽부(1)를 열실링부(41)와 재봉부(42)에 의해서 이중으로 접합함으로써, 접합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액상의 내용물을 누수없이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joining the side wall portion 1 by the
1...측면벽부 10...메인벽부
20...모서리벽부 30...사각유지밴드
31...관통공 32...접합여유부
33...융착부 41...열실링부
42...재봉부1 ...
20 ...
31 through-through 32
33.Welded
42.Sewing
Claims (1)
상기 사각통형의 측면벽부는 상기 측면벽부의 네면부를 형성하는 사각형상의 4개의 메인벽부(10)와, 상기 사각통형의 네 모서리부를 형성하며 인접하는 상기 메인벽부(10) 사이를 연결하는 4개의 모서리벽부(20)를 구비하며,
상기 사각유지밴드(30)는 상기 모서리부에 내용물이 출입되는 복수의 관통공(31)이 상,하로 복수 형성되고, 상기 각 관통공(3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접합을 위한 접합여유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접합여유부(32)는 상기 메인벽부(10)와 상기 모서리벽부(20)의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접합여유부(32)가 상기 사각통형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메인벽부(10), 접합여유부(32) 및 상기 모서리벽부(20)가 함께 접합되며,
상기 메인벽부(10)와 상기 모서리벽부(20)의 가장자리 사이에 상기 접합여유부(32) 및 상기 관통공(31)의 일부분이 배치되고,
상기 메인벽부(10)와 상기 모서리벽부(20)의 가장자리를 접은 후 상기 관통공(31) 부분이 포함되도록 열실링 접합한 열실링부(41)와, 상기 열실링부(41)의 외측을 재봉하여 형성된 재봉부(42)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실링부와 재봉부를 갖는 컨테이너 백의 측면벽부.In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bag having a rectangular holding band at the corner of the side wall portion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er shape to receive the contents,
The rectangular cylindrical side wall portion is formed by four rectangular main wall portions 10 forming four side portions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four rectangular portions forming the four corner portions and connecting the adjacent main wall portions 10. It has a corner wall portion 20,
The square retaining band 3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up and down, the contents entering and exiting the corner portion, the joint margin for bonding to both left and right edges of the through holes 31 Section 32 is formed,
The joining margin part 32 is disposed between the edges of the main wall part 10 and the edge wall part 20, and the main joining part 32 does not protrude into an inner space of the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10), the joint margin portion 32 and the edge wall portion 20 are bonded together,
A portion of the joining margin part 32 and the through hole 31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wall part 10 and the edge of the corner wall part 20.
After folding the edges of the main wall portion 10 and the corner wall portion 20, the heat sealing portion 41 is heat-sealed and bonded to include the through hole 31, and the outer side of the heat sealing portion 41.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bag having a heat sealing portion and a sew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ing portion formed by sewing 42 is includ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1090A KR102083771B1 (en) | 2020-01-04 | 2020-01-04 | A side wall of container ba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1090A KR102083771B1 (en) | 2020-01-04 | 2020-01-04 | A side wall of container bag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2793A Division KR102084348B1 (en) | 2019-02-26 | 2019-02-26 | Method of manufacture for side wall of container bag having a ban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3771B1 true KR102083771B1 (en) | 2020-03-02 |
Family
ID=69805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1090A Active KR102083771B1 (en) | 2020-01-04 | 2020-01-04 | A side wall of container ba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377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0422A (en) * | 2022-04-21 | 2023-10-31 | 주식회사 진우 | One-layer baffle bag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US12151878B1 (en) * | 2021-11-20 | 2024-11-26 | Ameriglobe, Llc | Stitchless bulk bag including a baffle insert and method of production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53487A (en) * | 1987-11-30 | 1989-06-15 | Izumi Kk | Manufacture of corner reinforcing member for square container |
JPH0880994A (en) | 1994-01-20 | 1996-03-26 | Mulox Ibc Ltd | Bag container |
KR100255475B1 (en) | 1992-10-08 | 2000-05-01 | 오카메 히로무 | Flowmeter |
KR100346357B1 (en) | 1993-10-29 | 2002-12-18 | 삼성세미콘덕터, 인코포레이티드 | Structure of Output Switching Circuit for Frame Buffer |
KR200422738Y1 (en) * | 2006-05-19 | 2006-07-31 | 신림산업 주식회사 | Container bag |
KR100956942B1 (en) | 2008-05-15 | 2010-05-11 | 김영옥 | How to make a carrying bag |
KR20160088714A (en) | 2015-01-16 | 2016-07-26 | 박혜진 | Container bag |
KR101911881B1 (en) * | 2018-03-31 | 2018-10-25 | 민인순 | Bag of structure improvement type |
-
2020
- 2020-01-04 KR KR1020200001090A patent/KR10208377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53487A (en) * | 1987-11-30 | 1989-06-15 | Izumi Kk | Manufacture of corner reinforcing member for square container |
KR100255475B1 (en) | 1992-10-08 | 2000-05-01 | 오카메 히로무 | Flowmeter |
KR100346357B1 (en) | 1993-10-29 | 2002-12-18 | 삼성세미콘덕터, 인코포레이티드 | Structure of Output Switching Circuit for Frame Buffer |
JPH0880994A (en) | 1994-01-20 | 1996-03-26 | Mulox Ibc Ltd | Bag container |
KR200422738Y1 (en) * | 2006-05-19 | 2006-07-31 | 신림산업 주식회사 | Container bag |
KR100956942B1 (en) | 2008-05-15 | 2010-05-11 | 김영옥 | How to make a carrying bag |
KR20160088714A (en) | 2015-01-16 | 2016-07-26 | 박혜진 | Container bag |
KR101911881B1 (en) * | 2018-03-31 | 2018-10-25 | 민인순 | Bag of structure improvement typ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151878B1 (en) * | 2021-11-20 | 2024-11-26 | Ameriglobe, Llc | Stitchless bulk bag including a baffle insert and method of production |
KR20230150422A (en) * | 2022-04-21 | 2023-10-31 | 주식회사 진우 | One-layer baffle bag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784037B1 (en) | 2022-04-21 | 2025-03-24 | 주식회사 진우 | One-layer baffle bag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84380B1 (en) | Method of manufacture for side wall of container bag having a band | |
US6244443B1 (en) | Octagon shaped stackable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 |
US6220755B1 (en) | Stackable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having corner supports | |
US5685644A (en) | Bulk cargo bag | |
US6196719B1 (en) | Tip-over dischargeable bulk bag | |
US6688471B2 (en) | Octagon shaped stackable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 |
US5865541A (en) | Bulk container liner and method | |
KR102083771B1 (en) | A side wall of container bag | |
KR102083772B1 (en) | A side wall of container bag having a band | |
JP7371332B2 (en) | Gusseted pou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usseted pouch | |
KR101700085B1 (en) | Vacuum bags and waterproof containers available | |
KR102006704B1 (en) | A Container Bag and a Liner for the Container Bag | |
KR102084348B1 (en) | Method of manufacture for side wall of container bag having a band | |
KR20220110952A (en) | Container bag | |
KR102010193B1 (en) | A container bag | |
JP2017210257A (en) | Gazette bag with spout | |
KR102377427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inner liner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
KR102792283B1 (en)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 |
JP2009023683A (en) | Bag body having exhausting structure | |
AU2013201046A1 (en) | Gusseted Bag | |
JP2002255191A (en) | Connected body of bag for bag-in-box and folding-up method therefor | |
JP3534232B2 (en) | Molding method of rectangular cylindrical flexible container bag | |
KR102775125B1 (en) | Deep simplified container bag | |
KR102142237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bag | |
KR20180002636U (en) | Large bag protrusion-preventio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10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90226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9002279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