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3559B1 - 생체용 전극, 생체 신호 처리 장치 및 생체 신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용 전극, 생체 신호 처리 장치 및 생체 신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559B1
KR102083559B1 KR1020130015154A KR20130015154A KR102083559B1 KR 102083559 B1 KR102083559 B1 KR 102083559B1 KR 1020130015154 A KR1020130015154 A KR 1020130015154A KR 20130015154 A KR20130015154 A KR 20130015154A KR 102083559 B1 KR102083559 B1 KR 102083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ignal
measuring
biosignal
mo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1937A (ko
Inventor
고병훈
김종팔
박상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559B1/ko
Priority to US14/177,407 priority patent/US20140228650A1/en
Priority to EP14154764.6A priority patent/EP2767231B1/en
Priority to CN201410049634.6A priority patent/CN103976726B/zh
Publication of KR2014010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937A/ko
Priority to US16/533,861 priority patent/US2019035784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55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282Holders for multipl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A61B5/7207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of noise induced by motion artifacts
    • A61B5/7214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of noise induced by motion artifacts using signal cancellation, e.g. based on input of two identical physiological sensors spaced apart, or based on two signals derived from the same sensor, for different optical waveleng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61B2562/046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in a matrix arr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7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 A61B5/259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using conductive adhesive means, e.g.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3Monitoring or controlling sensor contac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A61B5/7207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of noise induced by motion artifacts
    • A61B5/721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of noise induced by motion artifacts using a separate sensor to detect motion or using motion information derived from signals other than the physiological signal to be measu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생체용 전극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제1 전극; 상기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잡음과 유사한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용 전극, 생체 신호 처리 장치 및 생체 신호 처리 방법{ELECTRODE FOR LIVING BOD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IOLOGICAL SIGNAL}
아래의 설명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용 전극, 측정한 생체 신호를 처리하는 생체 신호 처리 장치 및 생체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등장한 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Smart Healthcare Solutions)은 일상 생활에서 여러 종류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진단의 정확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개인 건강 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해 건강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에서는 인체로부터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근전도(Electromyograph, EMG),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 피부저항(Galvanic Skin Resistance, GSR) 등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생체용 전극을 사용한다.
생체용 전극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사용되며, 생체 내의 전기적인 현상을 나타내는 생체 전위를 검출한다. 생체용 전극은 표면 전극(Surface Electrode), 침 전극(Needle electrode), 미소 전극(Micro Electrode) 등으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표면 전극이 많이 사용된다. 생체용 전극은 전해질, 피부와 부착되는 접착 시트, 금속 전극 등으로 구성되고, 금속 전극은 생체 신호 측정 장치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제1 전극; 상기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잡음과 유사한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에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부를 통해 다른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에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을 중심으로 다른 제2 전극과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상기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잡음과 유사한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용 전극; 및 상기 움직임 기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 신호에서 상기 동잡음을 제거하는 신호 측정 및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에서, 상기 생체용 전극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동잡음과 유사한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에서, 상기 생체용 전극은 상기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제2 전극들이 상기 제1 전극에 인접한 영역에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방법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잡음과 유사한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 기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 신호에서 상기 동잡음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기반 신호의 전달 경로를 회로 모델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제2 전극의 수직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제2 전극을 통해 측정된 움직임 기반 신호의 전달 경로를 회로 모델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가 수행하는 생체 신호 처리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발명의 범위가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방법은 생체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생체용 전극(100)은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및 지지부재(support member)(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용 전극(100)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 측정용 전극과 움직임 기반 신호 측정용 전극을 포함하는 복합(hybrid) 전극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110)은 심전도, 근전도, 뇌전도, 피부저항 등의 생체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서 측정할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다른 제1 전극(110)과 쌍으로 결합되어 생체 전위 차이(bioelectrical difference)를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피부와 부착되는 접착 시트, 금속 전극, 금속 전극과 피부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전해질(electroly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된 생체 신호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동잡음(motion artifacts)이 포함될 수 있다. 외부의 움직임에 의해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시스템과 제1 전극(110) 간 인터페이스에 상대적인 변위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가 확장되어 유발된 변위가 제1 전극(110)으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인터페이스의 변화로 인해 동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 생체 신호의 전달 경로상에서 전기적 특성 변화(임피던스 또는 반전지 전위)로 인해 동잡음이 생체 신호에 중첩될 수 있고, 동잡음에 의해 생체 신호가 왜곡될 수 있다.
제2 전극(120)은 동잡음과 유사한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잡음을 추정하기 위해 움직임 기반 신호가 이용될 수 있다. 제2 전극(120)은 제1 전극(110)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제1 전극(110)의 인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120)도, 제1 전극(110)과 마찬가지로 피부와 부착되는 접착 시트, 금속 전극, 금속 전극과 피부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전해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120)은 복수 개의 쌍을 구성하여 여러 지점에서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전극(120)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부(140)를 통해 다른 제2 전극(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120)은 전기적 연결부(140)를 이용하여 전극과 피부 간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는 반전지 전위(Half-cell Potential, HCP)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120)은 전기적 연결부(140)를 통해 전해질과 금속 전극 사이의 반전지 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반전지 전위는 금속이 전해질 속의 이온과 평형 상태에 있을 때, 금속이 가지는 고유의 전극 전위를 나타낸다. 금속 전극과 전해질 사이 또는 전해질과 피부 사이에 이중층(double-charge layer)이 형성될 수 있고, 이중충에서의 이온 농도의 변화로 인해 반전지 전위가 발생할 수 있다. 발생된 반전지 전위는 네른스트 방정식(Nernst Equation)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금속 전극과 전해질 사이에서 발생하는 반전지 전위의 크기에 비해 전해질과 피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반전지 전위의 크기는 매우 작으므로, 전해질과 피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반전지 전위의 변화는 무시될 수 있다.
제2 전극(120)은 제1 전극(110)을 중심으로 다른 제2 전극(120)과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120)은 제1 전극(110)을 중심으로 좌우로 배열되거나 또는 상하좌우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120)은 복수 개의 서브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브 전극들은 전도성 물질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재(130)는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을 지지하며,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을 사용자의 피부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30)는 피부에 부착되는 패드(pad)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생체용 전극(100)은 오른 다리 구동 회로(Right Leg Drive Circuit)를 위한 제3 전극(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전극(150)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회로의 잡음에 대한 영향을 줄이고, 공통 모드 제거비(Common Mode Rejection Ratio, CMRR)를 개선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생체 신호 처리 장치는 생체용 전극(210) 및 신호 측정 및 처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용 전극(210)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잡음과 유사한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생체용 전극(210)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제1 전극(230) 및 동잡음과 유사한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제2 전극(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용 전극(210)은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복수의 제2 전극(240)들이 제1 전극(230)에 인접한 영역에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전극(240)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부(250)를 통해 다른 제2 전극(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240)은 전기적 연결부(250)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경로에서 발생하는 반전지 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전극(240)은 제1 전극(230)을 중심으로 다른 제2 전극(240)과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서브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 기재되지 않은 생체용 전극(210)에 관한 설명에 대해서는 도 1의 관련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신호 측정 및 처리부(220)는 생체용 전극(210)에 의해 측정된 생체 신호 및 움직임 기반 신호의 크기를 증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측정 및 처리부(220)는 차동 신호 증폭부 등을 이용하여 측정된 신호를 원하는 크기의 신호로 증폭할 수 있다.
신호 측정 및 처리부(220)는 움직임 기반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에서 동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측정 및 처리부(220)는 움직임 기반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잡음을 추정하고, 추정된 동잡음을 이용하여 생체 신호에서 동잡음을 제거(또는, 저감)할 수 있다. 신호 측정 및 처리부(220)는 적응 필터링(adaptive filtering) 기법 또는 독립 성분 분석(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동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독립 성분 분석 기법은 선형적으로 혼합된 신호들로부터 통계적으로 상호 독립적인 신호들을 분리해내는 기법이다. 신호 측정 및 처리부(220)가 독립 성분 분석 기법을 이용하는 경우, 신호 측정 및 처리부(220)는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동잡음이 혼합된 생체 신호로부터 원래의 생체 신호(동잡음이 제거된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일상 생활에서 사용자가 생체용 전극(210)을 이용하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동잡음이 생체 신호에 유입되어 측정될 수 있다. 동잡음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인터페이스 변화로 발생하는 잡음으로, 생체 신호와 동시에 측정되어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이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경우, 위와 같은 동잡음으로 인해 심전도의 특징점인 R-peak의 검출 과정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발생한 오류는 심전도의 부정확한 진단을 야기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처리 장치는 생체 신호에 유입되는 동잡음을 추정하고, 유입된 동잡음을 제거하거나 또는 생체 신호의 측정에 있어서 동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 신호 처리 장치는 동적 환경(dynamic environment)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동잡음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잡음(환경 잡음)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동잡음 또는 외부 잡음에 기초하여 잡음이 포함된 생체 신호로부터 동잡음 또는 외부 잡음을 제거함으로써 신호 대 잡음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생체 신호 처리 장치는 생체용 전극(310) 및 신호 측정 및 처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용 전극(310)은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전극(330) 및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잡음과 유사한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전극(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340)은 측정 대상으로부터 유발되는 생체 신호가 신호 측정 및 처리부(32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부(350)를 통해 다른 제2 전극(340)과 연결될 수 있다.
신호 측정 및 처리부(320)는 입력되는 생체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amplifier)(360), 움직임 기반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370) 및 움직임 기반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에서 동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부(360) 및 증폭부(370)는 두 지점에서 측정한 신호의 차이를 증폭(차동 증폭)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필터링부는 복수 개의 적응 필터(380)들을 이용하여 적응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신호 측정 및 처리부(320)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필터의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처리 장치는 생체용 전극(310)에 포함된 제1 전극(330)을 통해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생체 신호에는 사용자의 움직임 등의 내부 변화에 의한 동잡음 또는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잡음이 포함될 수 있다. 생체 신호 처리 장치는 생체용 전극(310)의 제2 전극(340)을 통해 동잡음과 유사한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생체 신호 및 움직임 기반 신호는 각각 증폭부를 통해 증폭될 수 있다. 신호 측정 및 처리부(320)는 움직임 기반 신호를 통해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잡음의 형태를 추정하고, 추정한 동잡음의 형태에 기초하여 생체 신호에서 동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동잡음의 제거 과정이 완료되면, 신호 측정 및 처리부(320)는 생체 신호에서 동잡음이 제거된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기반 신호의 전달 경로를 회로 모델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의 피부에 전위를 측정하기 위한 생체용 전극이 부착될 때, 전극과 전해질 간의 인터페이스 모델은 저항 성분(R3, R4)과 커패시터 성분(C4)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모델은 서로 다른 물질이 접촉되는 이중층에서 발생하는 반전지 전위(E34)를 포함할 수 있다.
저항 성분(R3, R4) 및 커패시터 성분(C4)의 크기는 증폭부(430)의 입력 임피던스의 크기에 비해 매우 작으므로, 저항 성분(R3, R4)과 커패시터 성분(C4)의 변화에 의한 잡음의 영향은 거의 무시될 수 있다. 하지만, 이중층에서 발생하는 반전지 전위(E34)의 변화는 측정되는 생체 신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4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가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제2 전극들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지점의 전위 차이를 측정할 때, 신호원(예를 들어, 심장)(410)으로부터 증폭부(430)까지의 폐루프(closed loop)를 나타낸다. 움직임 기반 신호의 전달 경로 상의 양단은 임피던스 성분(42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임피던스 성분(420)은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두 제2 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부에 대응될 수 있다.
전기적 연결부에 의해 증폭부(430)는 가까운 쪽의 폐루프 상의 전위 차이를 측정할 수 있고, 신호원(410)에 의한 전위 차이는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생체 신호 측정 장치는 전기적 연결부에 의해 신호의 전달 경로상에서 발생하는 잡음 및 신호의 왜곡을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신호의 전달 경로상에서 발생하는 잡음 및 신호의 왜곡은 움직임 기반 신호에 대응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제2 전극의 수직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전극은 사용자의 피부(540)에 부착되어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잡음과 유사한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은 움직임 기반 신호 측정을 위한 금속 전극(510), 전해질로서 전도성 점착제(530), 서로 다른 금속 전극(5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은 제2 전극을 피부(540)와 단단히 고정시키는 지지부재(5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금속 전극(510)들을 통해 측정된 신호는 증폭부(560)에 입력되어 증폭될 수 있다.
제2 전극의 전기적 연결부(520)는 전도성 점착제(530)를 통해 금속 전극(5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2 전극의 전기적 연결부(520)는 금속 전극(510)과 동일하게 전도성 점착제(530) 위에 위치함에 따라 전도성 점착제(530)와 전기적 연결부(520)의 접합부에 반전지 전위가 발생될 수 있다. 전기적 연결부(520)의 형태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제2 전극을 통해 측정된 움직임 기반 신호의 전달 경로를 회로 모델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와 유사하게, 생체 신호 측정 장치가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제2 전극들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지점의 전위 차이를 측정할 때, 신호원 (예를 들어, 심장)(610)으로부터 증폭부(630)까지의 폐루프를 나타낸다.
도 5의 제2 전극들은 전기적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전기적 연결부는 금속 전극과 동일하게 전도성 점착제와 접해있다. 따라서, 도 5의 제2 전극을 통해 측정된 움직임 기반 신호의 전달 경로를 나타내는 회로 모델은, 금속 전극과 전도성 점착제 간의 인터페이스 모델 뿐만 아니라 전기적 연결부와 전도성 점착제 간의 인터페이스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금속 전극과 전도성 점착제 간의 인터페이스 모델과 전기적 연결부(620)와 전도성 점착제 간의 인터페이스 모델이 도시되어 있다. 전기적 연결부(620)와 전도성 점착제 간의 인터페이스 모델 또한, 저항 성분(R1, R2), 커패시터 성분(C2) 및 반전지 전위(E23)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전기적 연결부(620)에 의해 증폭부(630)는 가까운 쪽의 폐루프 상의 전위 차이를 측정할 수 있고, 신호원(610)에 의한 전위 차이는 제거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전극은 복수 개의 서브 전극(720)들로 구성될 수 있다. 서브 전극(720)들은 제1 전극(710)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서브 전극(720)들 간에는 전도성을 갖는 물질(7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브 전극(720)들은 제1 전극(710)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를 가지고 배열되거나 또는 동심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서브 전극(72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기적 연결부(730)를 통해 다른 제2 전극에 포함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브 전극(7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브 전극(720)들은 제1 전극(71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서브 전극(720)들이 제1 전극(710)에 대칭적으로 배열됨에 따라 제1 전극(710)이 측정하는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잡음과 움직임 기반 신호 간의 유사성(또는, 상관도(correlation))는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의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2 전극(820)은 1 전극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면서 나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나선 형태를 가지는 제1 전극(810) 및 제1 전극(810)에 인접하여 배열된 나선 형태의 제2 전극(820)을 통해 동잡음에 대한 움직임 기반 신호의 정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제1 전극(810) 및 피부, 제2 전극(820) 및 피부 간의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전해질(830)로서, 이방성 하이드로겔(anisotropic hydrogel)이 이용될 수 있다. 이방성 하이드로겔은 수직 방향으로만 전도성을 가지고, 그 외의 방향으로는 전류를 흐르지 않게 하는 전기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방성 하이드로겔을 통해 제1 전극(810)과 제2 전극(820)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신호 처리 장치가 수행하는 생체 신호 처리 방법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910)에서, 생체 신호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처리 장치는 생체용 전극에 포함된 제1 전극을 통해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증폭부를 통해 측정한 생체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단계(920)에서, 생체 신호 처리 장치는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잡음과 유사한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처리 장치는 생체용 전극에 포함된 제2 전극을 통해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고, 증폭부를 통해 측정한 움직임 기반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제2 전극은 제1 전극의 인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전극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전극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부를 통해 다른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은 복수 개의 서브 전극들로 구성될 수 있고, 서브 전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기적 연결부를 통해 다른 제2 전극에 포함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브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계(920)은 단계(910)보다 먼저 수행되거나 또는 단계(910)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범위가 단계(910)과 단계(920)의 수행 순서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계(930)에서, 생체 신호 처리 장치는 움직임 기반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에서 동잡음을 제거(또는,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 신호 처리 장치는 움직임 기반 신호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잡음을 추정하고, 추정된 동잡음을 이용하여 생체 신호에서 동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처리 장치는 적응 필터링 기법 또는 독립 성분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동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처리 장치는 독립 성분 분석 기법을 이용하는 경우, 동잡음이 혼합된 생체 신호로부터 통계적인 방법에 의해 원래의 생체 신호(동잡음이 제거된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제1 전극;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지지하는 지지부재(support member)
    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잡음과 상기 움직임 기반 신호는 각각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부를 통해 다른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전기적 연결부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경로에서 발생하는 반전지 전위를 측정하는, 생체용 전극.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을 중심으로 다른 제2 전극과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생체용 전극.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복수 개의 서브 전극들로 구성되고, 상기 서브 전극들은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생체용 전극.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서브 전극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제2 전극에 포함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브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생체용 전극.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서브 전극들은 상기 제1 전극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를 가지고 배열되는 생체용 전극.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면서 나선 형태를 가지는 생체용 전극.
  9. 사용자의 생체 신호 및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용 전극; 및
    상기 움직임 기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 신호에서 상기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잡음을 제거하는 신호 측정 및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동잡음과 상기 움직임 기반 신호는 각각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고,
    상기 생체용 전극은,
    상기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제1 전극; 및
    상기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제2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부를 통해 다른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전기적 연결부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경로에서 발생하는 반전지 전위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처리 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용 전극은,
    상기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제2 전극들이 상기 제1 전극에 인접한 영역에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생체 신호 처리 장치.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을 중심으로 다른 제2 전극과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생체 신호 처리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복수 개의 서브 전극들로 구성되고, 상기 서브 전극들은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생체 신호 처리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면서 나선 형태를 가지는 생체 신호 처리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측정 및 처리부는,
    상기 움직임 기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잡음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동잡음을 이용하여 생체 신호에서 동잡음을 제거하는 생체 신호 처리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측정 및 처리부는,
    적응 필터링(adaptive filtering) 기법 또는 독립 성분 분석(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동잡음을 제거하는 생체 신호 처리 장치.
  18. 제1 전극에 의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제2 전극에 의해,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신호 측정 및 처리부에 의해, 상기 움직임 기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 신호에서 상기 생체 신호에 포함된 동잡음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동잡음과 상기 움직임 기반 신호는 각각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고,
    상기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움직임 기반 신호를 측정하는 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전극들에서의 반전지 전위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처리 방법.
  19. 삭제
  20. 제18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15154A 2013-02-13 2013-02-13 생체용 전극, 생체 신호 처리 장치 및 생체 신호 처리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2083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154A KR102083559B1 (ko) 2013-02-13 2013-02-13 생체용 전극, 생체 신호 처리 장치 및 생체 신호 처리 방법
US14/177,407 US20140228650A1 (en) 2013-02-13 2014-02-11 Bio-electrod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iosignal
EP14154764.6A EP2767231B1 (en) 2013-02-13 2014-02-1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iosignals
CN201410049634.6A CN103976726B (zh) 2013-02-13 2014-02-13 生物电极以及用于处理生物信号的设备和方法
US16/533,861 US20190357849A1 (en) 2013-02-13 2019-08-07 Bio-electrod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bio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154A KR102083559B1 (ko) 2013-02-13 2013-02-13 생체용 전극, 생체 신호 처리 장치 및 생체 신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937A KR20140101937A (ko) 2014-08-21
KR102083559B1 true KR102083559B1 (ko) 2020-03-02

Family

ID=5015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154A Expired - Fee Related KR102083559B1 (ko) 2013-02-13 2013-02-13 생체용 전극, 생체 신호 처리 장치 및 생체 신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140228650A1 (ko)
EP (1) EP2767231B1 (ko)
KR (1) KR102083559B1 (ko)
CN (1) CN1039767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5275A1 (en) 2014-12-23 2016-06-30 Nitto Denko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moval of artifact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s
CN113331813B (zh) 2015-01-08 2024-06-11 美达森斯生物测定有限公司 用于生理监测的电极阵列和包括或利用电极阵列的设备
EP3463060A4 (en) * 2016-05-31 2020-01-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noise caused by stimulation artifacts in neural signals received by neuro-modulation devices
CN107981859A (zh) * 2017-12-05 2018-05-04 电子科技大学 具有运动伪迹抑制功能的心电监测胸带
CN108836308A (zh) * 2018-05-17 2018-11-20 南京大学 一种去除可穿戴心电运动干扰的装置
KR102560306B1 (ko) * 2018-10-05 2023-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혈압 추정 장치 및 방법
CN109464140A (zh) * 2019-01-09 2019-03-15 浙江强脑科技有限公司 生物电信号检测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6098624A (zh) * 2023-01-03 2023-05-12 复旦大学附属中山医院 一种心电图采集系统和方法以及心电图采集机器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4411A1 (en) * 2004-10-05 2006-04-06 Granite Advisory Services Biomedical dispersive electrode
KR100825888B1 (ko) 2005-10-05 2008-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극 동잡음 보상 회로 및 전극 동잡음 보상 방법
US20110306892A1 (en) * 2010-06-10 2011-12-15 Kim Jong-Pal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biological signal
US20120116198A1 (en) * 2009-07-13 2012-05-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physiological measurement with reduced motion artifact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0146A (en) * 1973-06-04 1975-04-29 Donald B Everett Noise compensation techniques for bioelectric potential sensing
US5309909A (en) * 1992-05-22 1994-05-10 Physio-Control Corporation Combined skin preparation and monitoring electrode
US5713367A (en) * 1994-01-26 1998-02-03 Cambridge Heart, Inc. Measuring and assessing cardiac electrical stability
US9351659B2 (en) * 2009-07-28 2016-05-31 Altec, Inc. Biomedical electrode configuration for suppressing movement artifact
KR101674580B1 (ko) * 2010-03-26 2016-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CN102692439B (zh) * 2011-03-25 2015-06-03 中国科学院电子学研究所 双螺旋结构的微电极系统、电化学传感器及其制备方法
KR101832264B1 (ko) * 2011-08-25 2018-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CN103006199B (zh) * 2011-09-26 2016-09-28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测量生物信号的设备和方法
CN102446896A (zh) * 2011-11-08 2012-05-09 上海华力微电子有限公司 一种盘旋式金属间电容结构及其布局
KR102026740B1 (ko) * 2012-02-07 2019-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신호 측정용 전극 및 그 제조방법과,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
US9147325B2 (en) * 2012-06-28 2015-09-29 Fike Corporatio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4411A1 (en) * 2004-10-05 2006-04-06 Granite Advisory Services Biomedical dispersive electrode
KR100825888B1 (ko) 2005-10-05 2008-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극 동잡음 보상 회로 및 전극 동잡음 보상 방법
US20120116198A1 (en) * 2009-07-13 2012-05-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physiological measurement with reduced motion artifacts
US20110306892A1 (en) * 2010-06-10 2011-12-15 Kim Jong-Pal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biological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937A (ko) 2014-08-21
EP2767231B1 (en) 2020-09-16
CN103976726B (zh) 2019-02-15
EP2767231A1 (en) 2014-08-20
US20140228650A1 (en) 2014-08-14
US20190357849A1 (en) 2019-11-28
CN103976726A (zh)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559B1 (ko) 생체용 전극, 생체 신호 처리 장치 및 생체 신호 처리 방법
CN102949188B (zh) 测量生物电信号的设备和方法
CN102283641B (zh) 用于测量生物信号的设备和方法
US9289178B2 (en) Apparatus, unit measurer and method of measuring biological signal
US88605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
US111164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signals
US9588146B2 (en) Electrode for measuring biosignal and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US20130204110A1 (en) Electrode for measuring bio potentia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de, and system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
Kuronen Epic sensors in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JP5935272B2 (ja) 生体信号測定装置
CN104095629A (zh) 心电图仪和用于测量心电图的方法
Sandra et al. Simulation study of a contactless, capacitive ECG system
Svärd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capacitively coupled sensor readout circuit, toward contact-less ECG and EEG
KR101581866B1 (ko) 다채널 뇌파신호 검출을 위한 동상모드 제거비 개선 장치
KR101941171B1 (ko)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CN116584953A (zh) 一种改进型脑电信号采集系统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2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2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