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126B1 - Vacuum fixture - Google Patents
Vacuum fix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3126B1 KR102083126B1 KR1020190094740A KR20190094740A KR102083126B1 KR 102083126 B1 KR102083126 B1 KR 102083126B1 KR 1020190094740 A KR1020190094740 A KR 1020190094740A KR 20190094740 A KR20190094740 A KR 20190094740A KR 102083126 B1 KR102083126 B1 KR 1020831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head
- adsorption
- support
- pres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흡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연질재로 이루어진 흡착판을 채용하면서도 진공형성을 위해 흡착판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는 경우 흡착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흡착판을 가압하는 가압판의 하면에 흡착판의 상면을 파고드는 복수의 침부가 형성되어 가압판이 흡착판 상면에서 미끄러지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압판이 일측 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흡착판의 타측 방향으로 진공면적이 확대되면서 진공면적의 가장자리에서 흡착판 테두리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외부공기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진공 흡착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suction port, while adopting a suction plate made of a soft material, when the center portion of the suction plate is lifted to the upper side for vacuum formation, the suction plate increases the suction force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plate is pressed on the lower plate of the pressure plate. The plunging needles are formed to prevent the pressure plate from slipping or rotating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plate. Even if the pressure plate is pulled in one direction, the vacuum area is expand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suction plate, and the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vacuum area to the edge of the suction plate. Minimize the shortening to provide a vacuum suction port that effectively blocks the inflow of external air.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 흡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리, 거울, 타일, 가구 등의 피착물에 부착한 흡착판의 중앙부를 들어올리는 경우 흡착판의 중앙부로 진공을 집중시켜 흡착판의 진공면적을 최소화하여 흡착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흡착판을 가압하는 가압판의 하부에 흡착판의 상면을 파고드는 복수의 침부가 형성되어 가압판이 흡착판 상면에서 미끄러지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압판이 일측 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흡착판의 타측 방향으로 진공면적이 확대되는 것을 억제하여 흡착판의 흡착 상태를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진공 흡착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suction port, and more specifically, when lif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ction plate attached to the adherend of glass, mirror, tile, furniture, etc., by concentrating the vacuum to the center of the suction plate to minimize the vacuum area of the suction plate.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needles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ressure plate that pressurizes the adsorption plate to increase the adsorption force, thereby preventing the pressure plate from slipping or rota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plate, even if the pressure plate is pulled in one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suction port which can stably maintain the adsorption state of the adsorption plate for a long time by suppressing the expansion of the vacuum area in the other direction.
일반적으로 진공 흡착구는 유리, 거울, 타일, 가구 등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서도 피착물의 표면(피착면)에 제품을 부착하거나 각종 수건이나 비누 등을 걸거나 올려놓을 수 있는 수건걸이나 비누 받침대, 세면도구 보관함 등과 같은 경량의 생활용품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기구이다.In general, the vacuum suction hole is a towel rack or soap stand which can attach the product to the surface of the adherend (hanging surface) or hang or place various towels or soaps without damaging the surface of glass, mirror, tile, furniture, etc. It is a device used to install lightweight household items such as toiletries storage box.
이러한 진공 흡착구는 흡착 방식에 따라 손으로 단순 가압하여 진공 압축하는 방식, 지렛대를 당겨 진공 압축하는 방식, 나사 조임을 통해 진공 압축하는 방식 등이 있다. 이들에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09-0096379호(참고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5-0144948호(참고문헌 2) 등이 제안된 바 있다.Such a vacuum suction port may be a method of vacuum compression by simply pressurizing by hand according to an adsorption method, a vacuum compression method by pulling a lever, and a vacuum compression method by screwing. As related arts,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s. 10-2009-0096379 (Reference 1) and 10-2015-0144948 (Reference 2) have been proposed.
상기 참고문헌 1은 단순 가압방식의 흡착판에 관한 것으로,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고, 일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일반적인 흡착판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흡착판의 중심부를 손가락으로 단순 가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흡착판 표면을 가압하는 별도의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하고 흡착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중심부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이 전혀 제공되지 않아 흡착판의 자체 복원력에 의존함에 따라 유리나 거울 또는 타일 등의 피착면에 가해지는 흡착력이 미약해 잘 떨어져 수건걸이나 비누 받침대, 세면도구 보관함 등을 부착하는데 부적합해 주로 가볍고 깨지지 않는 물건의 고정에만 사용하므로 그 용도가 극히 제한적이다.
다음으로, 상기 참고문헌 2의 종래기술에는 지렛대 방식과 나사 조임 방식의 흡착구의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참고문헌 2의 지렛대 방식의 종래 진공흡착구는 피착면에 밀착력을 갖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지캡과, 상기 지지캡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피벗결합되는 작동레버로 이루어져, 흡착판을 피착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작동레버를 선회시키면 작동레버와 연결된 포스트에 의해 흡착부재가 들어 올려져 피착면과 흡착판 사이가 진공상태가 되어 피착면에 부착됨을 알 수 있다. Next, in the prior art of the
그리고 참고문헌 2의 나사 조임 방식의 종래 진공흡착구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된 캡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관통공에 정렬되며 나사산이 구비된 포스트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하측에 구비되는 연질소재로 된 흡착판과, 상기 포스트의 선단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와, 저면 일부가 상기 흡착판의 둘레부 상면에 겹쳐지도록 상기 케이스의 저면 둘레부에 끼워지는 가압링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링은 상기 흡착판 보다 경도가 낮은 연질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진공흡착구는 피착면에 가압한 후, 상기 조임너트를 조이면 상기 흡착판의 중앙부가 상향으로 들어 올려지며, 상기 흡착판의 중앙부가 들리면 피착면과 흡착판 사이에 형성되는 밀폐공간에 진공압이 발생하여 진공흡착구가 부착됨을 알 수 있다. And the conventional vacuum suction port of the screw tightening method of the
그런데 참고문헌 2에 제안된 지렛대 방식과 나사 조임 방식의 흡착구는 흡착판의 사출성형시 흡착판과의 분리 방지를 위해 하부에 원판 형상의 지지부가 형성되는 포스트를 인서트 방식으로 고정함에 따라, 포스트가 상측으로 당겨지면 포스트의 지지부가 흡착판의 중앙부를 들어올리게 되므로 피착면에서 분리되면서 형성되는 진공면적이 포스트의 지지부 면적 이상으로 넓게 형성됨에 따라 진공면적의 가장자리로부터 흡착판 테두리까지 거리가 짧아지는 원인이 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 우려가 커 장시간 흡착력을 유지하는데 불리하다.By the way, the suction hole of the lever method and the screw tightening method proposed in
아울러 참고문헌 2의 흡착구는 지지캡 또는 조임너트가 일측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흡착판의 타측으로 진공공간이 편중되어 진공면적의 타측과 흡착판의 타측 테두리 사이의 거리가 급격하게 짧아져 외부공기는 진공공간으로 급속히 유입되어 피착면에서 쉽게 분리되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pport cap or the tightening nut is pulled in one direction, the suction port of
이에 더해 참고문헌 2의 흡착구는 케이스의 가장자리 하부를 따라 케이스의 동일 반경의 원주 상에 연속적으로 지지턱이 형성되어 흡착판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므로 초기상태에서는 어느 정도 가압력을 제공하지만,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흡착판의 특성상 지지캡 또는 조임너트가 일측 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흡착판의 일측부는 압축되어 두꺼워지고 타측부는 당겨지며 얇아지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흡착판의 가장자리는 지지턱이 초기에 지지했던 부분이 이탈하면서 외부공기가 진공공간으로 더욱 쉽게 유입되어 흡착구가 피착면에서 더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 adsorption port of
이러한 종래 진공 흡착구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질재로 이루어진 흡착판을 채용하면서도 진공형성을 위해 흡착판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는 경우 발생하는 진공면적으로 최소화하여 흡착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흡착판을 가압하는 가압판의 하면에 흡착판의 상면을 파고드는 복수의 침부가 형성되어 가압판이 흡착판 상면에서 미끄러지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압판이 일측 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흡착판의 타측 방향으로 진공면적이 확대 및 편중되면서 진공면적의 가장자리에서 흡착판 테두리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는 것도 최소화하여 외부공기가 진공공간으로 급속히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 흡착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vacuum suction port,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 suction plate made of a soft material while minimizing the vacuum area generated when the center portion of the suction plate is lifted to the upper side to form a vacuum to increase the suction force and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needles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plat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to press the pressure plate to prevent the pressure plate from slipping or rota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plate, and even if the pressure plate is pulled in one direction, the vacuum area is expand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suction plate. And to minimize the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vacuum area to the edge of the adsorption plate while being biased to provide a vacuum suction port that can prevent the external air from rapidly entering the vacuum space.
또한, 본 발명은 가압판이 일측으로 당겨지더라도 흡착판의 초기 가압 부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흡착판을 부착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더욱 안정적으로 가압판이 흡착판을 가압하여 흡착판이 피착면에서 안정적인 흡착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진공 흡착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initial pressurized portion of the adsorption plate from being separated even if the pressure plate is pulled to one side, the adsorption plate is pressed to the adsorption plate more stably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adhering the adsorption plate, the adsorption plate is stable on the adhered surfa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acuum suction port that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피착물의 피착면에 하면이 밀착되는 흡착 몸체와, 상기 흡착 몸체의 중앙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기둥형상의 목부와, 상기 목부의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외경이 확장되는 머리부가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상면을 가압하되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흡착판의 머리부가 통과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가압 몸체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흡착판의 흡착 몸체 상면을 파고들도록 끝단이 뾰족한 침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 몸체의 관통부 가장자리를 따라 중앙 상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머리부의 하단을 받쳐주는 머리 받침부가 구비되는 가압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를 제공한다.Adsorption body, the adsorption body of which the low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dhered surface of the adherend, the columnar neck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to the upper center of the adsorption body, and the adsorption plate integrally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of which the outer diameter is expanded is made of soft material. and;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plate but penetrates up and down in the center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ized body is formed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head portion of the adsorption plate protrudes downward to point the needle pointe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body of the adsorption plate It is provided with a vacuum suction por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ressing plate which is provided with a head restraint portion protruding upwardly protruding upward from the center along the edge of the through portion of the pressing body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head.
이때, 상기 가압 몸체의 하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침부는 가압 몸체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침부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머리 받침부는 관통부를 흡착판의 머리부가 통과하여 받쳐주도록 상기 관통부의 중앙 상측을 향하도록 가압 몸체 내측 테두리에서 상향 경사지며 균일하게 절개된 제1 구획부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제1 탄성날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needle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body is formed such that the length of the needle portion is shorter from the center of the pressing body in the radial direction, the headrest portion is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through portion so as to support the through portion through the head of the suction pla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first elastic wings are inclined upward from the inner edge of the pressing body so as to face the first partition portion is uniformly cut.
그리고, 상기 가압 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돌출되어 흡착판의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단부가 피착면에 지지되는 외측 지지부가 구비되되 상기 외측 지지부는 상기 가압 몸체 외측 테두리에서 외부 하측으로 하향 경사지며 균일하게 절개된 제2 구획부에 구분되는 복수의 제2 탄성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 몸체의 일측에는 물건을 걸 수 있는 걸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outer support portion is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ly outwardly along the edge of the pressing body to surround the edge of the suction plate, and an end support is supported on the adherend surface, and the outer support portion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pressing body to the outside. It is made of a plurality of second elastic wings divided into a second partition evenly cut,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of the pressing body is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for hanging things.
또한, 본 발명은;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피착물의 피착면에 하면이 밀착되는 흡착 몸체와, 상기 흡착 몸체의 중앙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기둥형상의 목부와, 상기 목부의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외경이 확장되는 머리부가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의 머리부를 감싸 지지하며 외부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머리 지지구와; 상기 흡착판의 상면을 가압하되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머리 지지구가 통과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가압 몸체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흡착판의 흡착 몸체 상면을 파고들도록 끝단이 뾰족한 복수의 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 상측으로 상기 머리 지지구가 안내되는 통로를 갖는 안내부가 상향 돌출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의 관통부를 통과해 상부로 돌출된 상기 머리 지지구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머리 지지구를 상측으로 당기면서 상기 가압판을 상기 흡착판 상면에 가압하는 조임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도 제공한다.Adsorption body, the adsorption body of which the low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dhered surface of the adherend, the columnar neck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to the upper center of the adsorption body, and the adsorption plate integrally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neck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of which the outer diameter is expanded is made of soft material. and; A head supporter wrapped around the head of the suction plate and having a male thread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plate but penetrates up and down in the center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k-shaped pressurized body through which the through-hole is passed through the end protrudes downward to dig the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body of the adsorption plate A press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ointed needles formed therein, and a guide having a passage for guiding the head support above the through portion; Also provided with a vacuum suction port comprising a tightening nut for screwing the pressure pla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plate while the head support is screwed with the head support protruding upward through the through portion of the pressure plate to pull the head support upward. .
이때, 상기 머리 지지구는 분할된 제1 및 제2 머리지지부가 접힘선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머리지지부의 밀착면에는 상기 머리부가 안착되는 머리안착부와 상기 흡착판의 목부가 안착되는 목안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머리안착홈과 제1 및 제2 목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머리지지부의 밀착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머리지지부의 밀착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head suppor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ivided first and second head support parts are symmetrically connected around the fold line, and the head seating part in which the head is seat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support parts. First and second head seating grooves and first and second neck seating grooves are respectively formed to form a neck seat on which the neck of the suction plate is seated, and a fitting groove is formed on the close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head support. The close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head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projection is fitted to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protruding.
그리고, 상기 머리 지지구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판의 관통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부의 통로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부는 균일하게 절개된 제3 구획부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제3 탄성날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로는 중앙 상측으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head support is made of a square pillar shape, the through portion of the pressing plate is made of a circular shape, the passage of the guide portion is made of a square cross-section, the guide portion is divided by the third partition evenly cut The passage is made of a plurality of third elastic wi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narrower toward the upper center.
아울러, 상기 조임너트는 상기 머리 지지구가 안내되며 상기 머리 지지구의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지지구 유입부가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하며 상기 가압판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은 가압 몸체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조임너트의 가장자리 하단이 가압되되 지지홈을 갖는 밀착돌부가 상향 돌출되고, 상기 조임너트와 가압판 사이에는 물건을 걸 수 있도록 가압판 상부에 밀착되는 밀착부의 일측에 연장되어 물건을 걸 수 있는 걸이부가 형성되는 걸이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밀착부에는 상기 가압판 중앙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부가 끼워지는 지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ightening nut is the head support is guided and the female thread is screwed to the male thread of the head support is formed in the support inlet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downward along the edge is formed a pressing projection for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The pressing plate is press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pressing body, the lower edge of the tightening nut is pressed, the contact protrusion having a support groove is upwardly projected, and the close contact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ressing plate so as to hang an object between the tightening nut and the pressing plate. It is provided with a hook member is formed on the side extending to one side to hang the object, the contac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hole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plate to the guide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연질재로만 이루어진 흡착판의 하부 중앙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해 흡착판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는 경우 진공면적이 최소화되어 흡착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흡착판을 가압하는 가압판의 하면에 복수의 뾰족한 침부가 형성되어 흡착판의 상면을 파고들어 지지함에 따라 가압판이 흡착판 상면에서 미끄러지거나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며, 가압판이 일측 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흡착판의 타측 방향으로 진공면적이 확대되면서 진공면적의 가장자리에서 흡착판 테두리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외부공기가 흡착판의 중앙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흡착판의 흡착력을 장시간 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adsorption plate is lifted upward to form a vacuum in the lower center of the adsorption plate made of only a soft material, the vacuum area is minimized to increase the adsorption force and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the lower surfaces of the pressure plate to pressurize the adsorption plate. As the pointed needle is formed to penetrate and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plate, the pressure plate is prevented from slipping or rota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plate, and even if the pressure plate is pulled in one direction, the vacuum area is expande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adsorption plate and at the edge of the vacuum area. By minimizing the distance to the adsorption plate border, the outside air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lower part of the adsorption plate, thereby maintaining the adsorption force of the adsorption plate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판의 침부에서 흡착판의 초기 가압 부위가 이탈되는 것도 방지될 뿐만 아니라 흡착판을 피착물의 피착면에 가압한 후 지속적으로 침부의 끝단이 흡착판의 표면을 서서히 파고들며 지지함에 따라 더욱 안정적으로 가압판이 흡착판을 가압하여 피착면에 대한 흡착판의 흡착력도 증가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initial pressurized portion of the suction plate is prevented from deviating from the needle plate of the pressure plate, but also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adhered surface of the adherend, and then the tip of the needle continuously penetrates and supports the surface of the suction plate. The pressure plate stably pressurizes the adsorption plate, which also increases the adsorption force of the adsorption plate on the adhered surfac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판의 하면에 고르게 복수의 침부가 형성됨에 따라 표면이 고르지 못해 굴곡진 면을 갖는 울퉁불퉁한 타일 등에 흡착판을 밀착시키더라도 침부가 흡착판 상면을 파고들며 가압함에 따라 굴곡진 피착면에 흡착판이 잘 밀착되고 이로 인해 진공 흡착구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plurality of needles are formed even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even if the surface is uneven and the suction plate is closely adhered to a bumpy tile having a curved surface, the curved adhered surface as the needle penetrates and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plate. The adsorption plate is well adhered to and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can faithfull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vacuum suction por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를 상측과 하측에서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를 상측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를 하측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사용 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피착면 흡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를 상측과 하측에서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를 하측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사용 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의 피착면 흡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에 걸이부재를 포함한 상태를 상측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vacuum suction po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 suction po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bov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 suction 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below.
4 is a cross-sectional view before use of the vacuum suction 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adhered surface adsorption state of the vacuum suction 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vacuum suction po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cuum suction po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below.
8 is a cross-sectional view before use of the vacuum suction po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adhered surface adsorption state of the vacuum suction port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ok member is included in a vacuum suction po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bov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흡착구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vacuum suction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First, FIGS. 1 to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vacuum suction po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진공 흡착구(1)는 연질재로 이루어져 유리, 거울, 타일, 가구 등과 같은 피착물(2)의 피착면(20)에 흡착되는 흡착판(100)과, 상기 흡착판(100)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판(200)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is, the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흡착판(100)은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유리, 거울, 타일, 가구 등과 같은 피착물(2)의 피착면(20)에 하면이 밀착되는 흡착 몸체(110)와, 상기 흡착 몸체(110)의 중앙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기둥형상의 목부(120)와, 상기 목부(120)의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외경이 확장되는 머리부(130)로 이루어진다. The
이때 상기 흡착판(100)은 목부(120)와 머리부(130)가 흡착 몸체(110)와 동일한 한가지의 연질재로 일체로 제조되어 목부(120)와 머리부(130)를 흡착 몸체(110) 성형시 인서트하여 사출하는 방식에 비해 흡착판(100)의 제조단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제조공정 역시 간단하다. 이러한 흡착판(100)은 우레탄, PVC, 고무 등의 다양한 연질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밀착성이 우수한 다양한 소재도 사용가능하며 이러한 정도의 재질변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흡착 몸체(110)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중앙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외에도 균등한 범위 내에서의 설계변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물론 상기 흡착 몸체(110)의 하면은 중심부의 높이가 높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은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흡착 몸체(110)의 중앙 상측으로는 목부(120)가 수직으로 연장 돌출된다. 이러한 목부(120)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각, 육각, 팔각 기둥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 외에도 균등한 범위 내에서의 설계변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In addition, the
아울러 상기 목부(120)의 상단에는 머리부(130)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러한 머리부(130)는 목부(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경이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머리부(130)는 구형,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각, 육각, 팔각 기둥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 외에도 균등한 범위 내에서의 설계변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In addition, the top of the
그리고 상기 흡착 몸체(110)의 테두리에는 수평으로 분리용 손잡이(140)가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분리용 손잡이(14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외부공기가 진공공간(V)으로 급속히 유입되어 흡착판(100)을 피착면(2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And the
또한, 상기 흡착 몸체(110)의 상면에는 동일 원주 상에 연속적으로 지지돌기(111)가 상향 돌출되어 후술하는 가압판(200)의 하면에 대응 형성되는 지지홈(211)에 삽입 지지된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가압판(200)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상면을 유리, 타일 등의 피착면(20)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30)가 통과되는 관통부(212)가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가압 몸체(210)와, 상기 가압 몸체(210)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상면을 파고들도록 끝단이 뾰족한 침부(220)와, 상기 가압 몸체(210)의 관통부(212) 가장자리를 따라 중앙 상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머리부(130)의 하단을 받쳐주는 머리 받침부(230)와, 상기 가압 몸체(210)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돌출되어 흡착판(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단부가 피착면(20)에 지지되는 외측 지지부(240)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가압 몸체(210)의 일측에는 물건을 걸 수 있는 걸이부(250)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And one side of the
이때 상기 가압 몸체(210)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지만, 흡착판(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도 설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가압 몸체(210)의 하면에는 끝단이 뾰족한 복수의 침부(220)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상면을 쉽게 파고든다. 이때, 상기 침부(220)는 머리 받침부(230) 및 외측 지지부(240)와 인접한 가압 몸체(210)의 내측 및 외측 가장자리 하부에 집중적으로 배치함이 바람직하나, 가압 몸체(210)의 하면 전체에 고르게 복수의 침부(220)를 형성함도 가능하다. The lower surface of the
아울러 상기 복수의 침부(220)는 가압 몸체(210)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침부(22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하며, 이 경우 침부(220)의 길이는 파고드는 흡착판(100)의 해당부위의 두께의 1/2 이하의 범위로 형성하여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가 침부(220)에 의해 관통되어 외부 공기가 새어들어오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이와 같은 침부(220)는 가압 몸체(2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압판(200)을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시 가압 몸체(210)의 하면에 침부(220)가 일체로 함께 형성되도록 제조하거나, 사출 성형시 가압 몸체(210)에 끝단이 뾰족한 금속재질의 침을 인서트하는 방식으로 고정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Such a
그리고 상기 가압 몸체(210)의 하면에는 동일 원주 상에 연속적으로 지지홈(211)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의 상면에 동일 원주 상으로 연속 형성된 지지돌기(111)가 삽입 지지된다. 이때 상기 가압 몸체(210)의 하면에는 지지홈(211)을 중심으로 내측 및 외측에 분할되게 복수의 침부(220)를 동심원상에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지지돌기(111)와 지지홈(211)은 흡착판(100)과 가압판(200)에 오목한 링홈 및 돌출된 링의 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일정 구간마다 형성됨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아울러 상기 가압판(200)의 가압 몸체(210) 하면에 형성되는 지지홈(211)은 동심원상에 복수가 등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될 수 있으며,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상면에도 복수의 지지돌기(111)를 동심원상에 등간격을 유지하며 복수의 지지홈(211)에 대응되게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가압 몸체(21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침부(220)는 끝단이 날카롭고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질재로 이루어진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의 상면을 파고들어 가압판(200)이 흡착판 상면에서 미끄러지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가압 몸체(210) 일측으로 돌출되는 걸이부(250)에 물건을 걸어 가압 몸체(210)가 일측으로 하중이 가해져 당겨지더라도 가압 몸체(210)의 침부(220)가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상면의 초기 가압 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며 가압판(200)이 일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며 흡착판(100)이 더 늘어나는 것도 방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아울러, 상기 가압 몸체(210)의 하면 전체에 고르게 복수의 침부(220)를 형성하는 경우 울퉁불퉁한 타일 등과 같이 피착면(20)이 고르지 못한 굴곡진 면에 침부(220)가 흡착판(100) 상면을 가압하여 흡착판(100)이 피착면(20)에 잘 밀착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흡착판(100)을 가압판(200)이 가압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면서 서서히 침부(220)의 날카롭고 뾰족한 단부가 흡착판(100)의 상면을 더 깊이 파고들어 침부(220)가 파고든 위치를 더욱 견고히 잡아줄 뿐만아니라 흡착판(100)이 피착면(20)에 더욱 밀착되어 안정적인 흡착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Then, as time passes in the state in which the
아울러 흡착판(100)을 가압하는 가압판(200)이 일측으로 당겨지더라도 흡착판(100)의 타측에 진공공간(V)이 편중되지 않아 흡착판(100)의 중앙 하부가 들뜨는 피착면(20)의 진공면적(S) 타측과 흡착판(100)의 타측 테두리 사이의 거리가 급격하게 짧아지는 것도 방지하여 외부공기가 진공공간(V)으로 급속히 유입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이러한 가압판(200)의 침부(220)는 흡착판(100)과 가압판(200) 사이의 표면 밀착 면적 증가를 고려한다면 가압판(200)의 가압 몸체(210) 하면의 침부(220)를 오목한 밀착홈(미도시됨)으로 대체하여 형성하거나 침부(220)들 사이의 공간에 밀착홈을 함께 형성함도 가능하고, 상기 가압판(200)의 가압 몸체(210) 하면에 형성된 침부(220)를 점착층(미도시됨)으로 대체하여 형성하거나 침부(220)들 사이의 공간에 점착층을 함께 형성함도 가능하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If the
아울러 상기 가압판(200)의 침부(220)는 가압판(200)이 흡착판(100)을 가압하는 경우 하중분산의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하중이 일측으로 가해지는 경우 가압판(200)의 타측이 조금 벌어져도 침부(220)가 흡착판(100)에 깊이 파고들어 박혀 있으므로 가압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유도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머리 받침부(230)는 상기 가압 몸체(210)의 관통부(212) 가장자리를 따라 중앙 상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30) 하단을 받쳐주며 머리부(130)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밀어올리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머리 받침부(230)는 관통부(212)의 중앙 상측을 향하도록 가압 몸체(210) 내측 테두리에서 상향 경사지며 균일하게 절개된 제1 구획부(231)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제1 탄성날개(232)로 이루어져 관통부(212)를 흡착판(100)의 머리부(130)가 통과 가능하며 이후 머리부(130) 하단을 받쳐준다. In more detail, the
이러한 머리 받침부(230)는 복수의 제1 탄성날개(232)로 인해 흡착판(100)의 머리부(130)를 눌러 피착물(2)의 피착면(20)에 밀착시킨 후 누르는 힘을 제거하는 경우 머리부(130)가 상승하려고 하는 흡착판(100) 자체의 복원력에 더해 머리 받침부(2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1 탄성날개(232)의 복원력이 머리부(130)를 더욱 밀어올리게 되어 더 강한 진공압이 흡착판(100)의 중앙 하부에 집중되어 흡착력이 증대된다. The
이때, 상기 제1 구획부(231)는 가압 몸체(210) 방향으로 깊게 형성하여 제1 탄성날개(232)를 더 길게 형성함으로서 제1 탄성날개(232)의 탄성이 잘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제1 탄성날개(232)의 길이는 가압 몸체(210)의 두께 및 전체적인 사이즈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아울러 상기 제1 구획부(231)의 내측단에는 라운드홈(233)을 형성하여 제1 탄성날개(232)의 원활한 탄성을 제공하면서도 찢어짐, 부러짐 등의 파손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외측 지지부(240)는 상기 가압 몸체(210)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돌출되어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단부가 피착면(20)에 지지된다. In addition, the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외측 지지부(240)는 가압 몸체(210) 외측 테두리에서 외부 하측으로 하향 경사지며 균일하게 절개된 제2 구획부(241)에 구분되는 복수의 제2 탄성날개(242)로 이루어져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각각의 제2 탄성날개(242)의 단부는 피착면(20)에 탄성 지지된다. In more detail, the
이러한 외측 지지부(240)는 외부의 물리력에 의해 흡착판(100)의 가장자리가 피착면(20)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가압판(200)이 일측으로 당겨지는 경우 가압판(200) 타측의 외측 지지부(240)가 흡착판(100)의 타측 가장자리 상면을 탄성 가압하며 눌러주어 흡착판(100)의 타측이 피착면(20)에서 들뜨는 것을 억제한다. The
한편, 물건을 걸 수 있는 걸이부(250)는 상기 가압 몸체(210)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탄성날개(242)에 일체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가압 몸체(21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걸이부(250)는 물건을 걸 수 있는 후크(251)가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성형이 용이하도록 성형공(252)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걸이부(250)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크(251) 형태가 아닌 단순 원형의 걸이공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상기 걸이부(250)는 후크, 걸이공 이외에 물건을 걸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가압 몸체(210)에서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함도 가능하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역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임은 당연하다.Therefore, the
이상의 구조를 갖는 진공 흡착구(1)는 유리, 거울, 타일, 가구 등의 피착물(2)의 피착면(20)에 대고 흡착판(100)의 머리부(130)를 눌러 피착물(2)의 피착면(20)에 밀착시킨 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머리부(130)가 상승하려고 하는 흡착판(100) 자체의 복원력에 더해 머리 받침부(230)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1 탄성날개(232)의 복원력이 머리부(130)를 더욱 밀어올리게 되어 더욱 강한 진공압이 흡착판(100)의 중앙 하부에 집중되어 흡착판(100)의 피착면(20)에 대한 흡착력이 증대되어 장시간 강한 흡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The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흡착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Next, FIGS. 6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vacuum suction po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진공 흡착구(1)는 연질재로 이루어져 유리, 거울, 타일, 가구 등의 피착물(2)의 피착면(20)에 흡착되되 머리부(130)가 중앙 상측으로 돌출되는 흡착판(100)과,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30)를 감싸 지지하며 외부면에 수나사산(161)이 형성되는 머리 지지구(160)와, 상기 흡착판(100)의 상면을 가압하되 관통부(212)가 중앙에 형성되는 가압판(200)과, 상기 가압판(200)의 관통부(212)를 통과해 상부로 돌출된 상기 머리 지지구(160)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머리 지지구(160)를 상측으로 당기면서 상기 가압판(200)을 상기 흡착판(100)에 가압하는 조임너트(300)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흡착판(10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흡착판과 동일한 구조로서 피착물(2)의 피착면(20)에 하면이 밀착되는 흡착 몸체(110)와, 상기 흡착 몸체(110)의 중앙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기둥형상의 목부(120)와, 상기 목부(120)의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외경이 확장되는 머리부(130)로 이루어진다. The
그리고 상기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111)를 동심원상에 등간격을 유지하며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가압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한편, 상기 머리 지지구(160)는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30)를 감싸 지지하며 외부면에 수나사산(161)이 형성되는 구조로서, 내부에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30)가 안착되는 머리안착부(164)와 상기 흡착판(100)의 목부(120)가 안착되는 목안착부(165)가 연통되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머리 지지구(160)는 접힘선(168)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는 분할된 제1 및 제2 머리지지부(162,163)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시 한번에 연결된 상태로 머리 지지구(160)를 제조 가능하며 이 경우 부속의 분실 우려가 없다. 물론 상기 머리 지지구(160)는 3개 이상으로 분할된 머리지지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The
이에 상기 제1 및 제2 머리지지부(162,163)의 밀착면(162a,163a)에는 상기 머리안착부(164)와 목안착부(165)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머리안착홈(164a,164b)과 제1 및 제2 목안착홈(165a,165b)이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제1 및 제2 머리지지부(162,163)의 제1 및 제2 머리안착홈(164a,164b)과 제1 및 제2 목안착홈(165a,165b)에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30)와 목부(120)를 안착시킨 후 접힘선(168)을 중심으로 접어 제1 및 제2 머리지지부(162,163)를 서로 밀착시키면 흡착판(100)의 머리부(130)와 목부(120)가 외부로부터 은닉된 상태를 유지한다.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이때, 상기 접힘선(168)은 상기 제1 및 제2 머리지지부(162,163)의 측면부위가 연결되도록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만 도시하였으나, 접힘선(168)을 상기 제1 및 제2 머리지지부(162,163)의 상단 부위가 연결되도록 가로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제1 머리지지부(162)의 밀착면(162a)에는 끼움홈(166)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머리지지부(163)의 밀착면(163a)에는 상기 끼움홈(166)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67)가 돌출 형성되어 접힘선(168)을 중심으로 접어 제1 및 제2 머리지지부(162,163)를 밀착시키면 끼움돌기(167)가 끼움홈(166)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서 제1 및 제2 머리지지부(162,163)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머리 지지구(160)를 흡착판(100)에 편리하게 지지할 수 있다.And the
이러한 머리 지지구(160)는 합성수지재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나, 접힘이 가능한 구조라면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이와 같은 머리 지지구(160)는 흡착판(100)의 머리부(130)와 목부(120)를 감싸도록 제1 및 제2 머리지지부(162,163)를 접은 상태가 전체적으로 사각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둘레면 모서리부분에 수나사산(161)을 형성한 구조만을 도시하였으나, 그 외에도 머리 지지구(160)는 나사산이 형성 가능한 구조라면 삼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등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원기둥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그리고 상기 가압판(200)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상면을 유리, 타일 등의 피착면(20)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30)가 지지된 머리 지지구(160)가 통과되는 관통부(212)가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가압 몸체(210)와, 상기 가압 몸체(210)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상면을 파고들도록 끝단이 뾰족한 침부(220)와, 상기 가압 몸체(210)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돌출되어 흡착판(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단부가 피착면(20)에 지지되는 외측 지지부(240)로 이루어진다. The
이때, 상기 가압 몸체(210)의 하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침부(220)와 테두리에 형성되는 외측 지지부(240)와 하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홈(2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가압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한편, 상기 관통부(212)는 흡착판(100)의 머리부(130)가 관통부(212)의 상측으로 당겨지는 경우 흡착 몸체(110)의 중심부 주변이 균일하게 안정적으로 상측으로 당겨져 찢어짐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통부(212) 상측으로 상기 머리 지지구(160)가 안내되는 통로(261)를 갖는 안내부(260)가 상향 돌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때, 상기 안내부(260)는 상기 머리 지지구(160)가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안내부(260)의 통로(261) 역시 단면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안내부(260)의 사각 단면을 갖는 통로(261)를 따라 사각기둥 형상의 머리 지지구(160)를 삽입하고 조임너트(300)를 조이게 되면 상기 머리 지지구(160)가 안내부(260)의 통로(261)에서 헛도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흡착판(100)의 목부(120)가 뒤틀리며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으며, 머리 지지구(160)와 조임너트(300)의 나사결합 및 분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물론 상기 머리 지지구(16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안내부(260)의 통로(261)의 단면을 사각형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머리 지지구(160)가 삼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등 다각기둥으로 이루어지거나 원기둥 형상으로도 이루어지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상기 안내부(260)의 통로(261)의 단면을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Of course, when the
한편, 상기 안내부(260)는 균일하게 절개된 제3 구획부(262)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제3 탄성날개(263)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로(261)는 중앙 상측으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경사면(263a)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구획부(262)는 가압 몸체(210) 쪽으로 더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구획부(262)의 내측단에는 라운드홈(264)을 형성하여 제3 탄성날개(263)의 원활한 탄성을 제공하면서도 찢어짐, 부러짐 등의 파손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아울러 상기 안내부(260)의 통로(261)는 중앙 상측으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경사면(263a)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머리 지지구(160)의 외부면이 면접촉되며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머리 지지구(160)의 외부면이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경사면을 갖는 구조로 형성하여, 머리 지지구(160)가 상승하면서 상기 안내부(260)의 통로(261)내 경사면(263a)과 머리 지지구(160) 사이의 밀착면적이 커져 더욱 견고하게 머리 지지구(16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 지지구(160)는 연질재로 이루어지거나 탄성을 갖도록 분할된 구조를 채용하여, 안내부(260)의 통로(261)를 따라 중앙 상측으로 이동시 흡착판(100)의 머리부(130) 외주면을 가압하면 머리부(130) 역시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가려는 복원력에 의해 안내부(260)의 경사면(263a)에 머리 지지구(160)의 외부면을 가압하게 되어 머리 지지구(160)가 안내부(260)의 통로(261)에 견고하며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the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초기에 상기 머리 지지구(160)를 통로(261) 하측을 통해 가압하며 밀어 넣으면 상기 머리 지지구(160)의 상부 측면이 복수의 제3 탄성날개(263)의 경사면(263a)에 억지끼움식으로 지지된다. 이 경우 제3 탄성날개(263)가 외측으로 벌어지며 통로(26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머리 지지구(160)가 지지되어 조임너트(300)를 편리하고도 안정적으로 머리 지지구(160)에 조일수도 있다. 이후 조임너트(300)를 머리 지지구(160)와 나사결합시켜 조이게 되면 머리 지지구(160)가 상승하면서 복수의 제3 탄성날개(263)는 외측으로 벌어지지만 복원력도 그만큼 비례하여 커지게 되어 머리 지지구(160)를 더욱 강하게 압박하여 흡착판(100)의 중앙부가 하측으로 복원되는 것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when the
물론 상기 가압 몸체(210)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관통부(212)의 높이가 충분하여 흡착판(100)이 당겨질 수 있는 수납공간이 확보되는 경우 안내부(260)는 복수의 제3 탄성날개(263)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Of course, when the height of the circular through
그리고, 상기 가압판(200)은 가압 몸체(2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조임너트(300)의 가장자리 하단이 가압되는 밀착돌부(270)가 상향 돌출된다. 이러한 밀착돌부(270)는 가압판(200)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아울러 상기 가압판(200)의 가압 몸체(210) 상면에는 비누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철망 등으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받침구(미도시됨)의 지지부(4)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홈(271)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홈(271)은 밀착돌부(270)에 가압 몸체(210)의 관통부(212)를 중심으로 양측에 나란하게 형성함으로서 예를 들어 금속 선재를 ∩형상으로 절곡한 형상의 지지부(4)를 끼워 지지할 수 있으며, 이후 조임너트(300)를 조여주는 경우 조임너트(300)의 가장자리 하단이 밀착돌부(270)에 가압되면서 지지부(4)가 지지홈(271)에 고정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조임너트(300)는 상기 머리 지지구(160)와 나사결합시켜 조이게 되면 머리 지지구(160)를 상측으로 끌어올리지만 상대적으로 상기 조임너트(300)는 하강하면서 상기 가압판(200)의 가압 몸체(210) 상면을 가압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ightening
이러한 조임너트(300)는 상기 머리 지지구(160)가 안내되며 상기 머리 지지구(160)의 수나사산(161)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312)이 내주면에 형성된 지지구 유입부(310)가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하며 상기 가압판(200)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3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돌기(320)는 복수가 동심원상에 형성되어 가압판(200)의 밀착돌부(270) 상면을 고르게 가압한다. 물론 상기 조임너트(300)는 상부 외측에는 손으로 잡고 돌리는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용 요철(33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tightening
그리고 상기 조임너트(300)와 가압판(200) 사이에는 물건을 걸 수 있는 걸이부재(4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걸이부재(400)는 가압판(200) 상부에 밀착되는 밀착부(410)와, 상기 밀착부(410)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물건을 걸 수 있는 걸이부(420)로 이루어진다. And between the tightening
이때 상기 밀착부(410)에는 지지공(412)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가압판(200) 중앙 상측으로 돌출되되 외부면이 중앙 상측 방향으로 경사진 안내부(260)가 끼워지며, 이후 상기 조임너트(300)를 상기 머리 지지구(160)와 나사결합시켜 조이게 되면 걸이부재(400)의 밀착부(410) 상면을 상기 가압판(200) 상면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걸이부재(400)의 밀착부(410)는 가압판(20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밀착돌부(270)에 밀착되고 조임너트(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가압돌기(320)가 가압하여 조임너트(300)와 가압판(200) 사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한편, 상기 걸이부재(400)는 상기 가압판(200)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착탈가능한 걸이부재(400)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400)의 걸이부(420)는 물건을 걸 수 있는 후크(421)가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성형이 용이하도록 성형공(422)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걸이부(420)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크(421) 형태가 아닌 단순 원형의 걸이공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걸이부(420)는 후크, 걸이공 이외에 물건을 걸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가압 몸체(210)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를 채용함도 가능하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역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임은 당연하다.And the
이상의 구조를 갖는 진공 흡착구(1)는 유리, 거울, 타일, 가구 등의 피착물(2)의 피착면(20)에 흡착판(100) 하면을 밀착시켜 공기를 제거한 상태에서 조임너트(300)를 일방향으로 조이게 되면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30)를 감싸 지지하는 머리 지지구(160)가 상승하면서 조임너트(300)의 지지구 유입부(310)로 안내되며, 조임너트(300)는 상대적으로 하강하며 가압판(200)을 가압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조임너트(300)를 조이게 되면 머리 지지구(160)가 더욱 상승하면서 흡착판(100)의 머리부(130)가 상측으로 당겨지면서 더욱 강한 진공압이 흡착판(100)의 중앙 하부에 집중되어 피착면(20)에 대한 흡착력이 증대되어 장시간 강한 흡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simple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진공 흡착구 100: 흡착판
110: 흡착 몸체 120: 목부
130: 머리부 140: 분리용 손잡이
160: 머리 지지구 200: 가압판
210: 가압 몸체 220: 침부
230: 머리 받침부 240: 외측 지지부
250: 걸이부 260: 안내부
270: 밀착돌부 300: 조임너트
400: 걸이부재1: vacuum suction port 100: suction plate
110: adsorption body 120: neck
130: head 140: handle for separation
160: head support 200: pressure plate
210: pressurized body 220: needle
230: headrest 240: outer support
250: hook portion 260: guide portion
270: contact protrusion 300: tightening nut
400: hook member
Claims (7)
상기 흡착판(100)의 상면을 가압하되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30)가 통과되는 관통부(212)가 형성되는 가압 몸체(210)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상면을 파고들도록 끝단이 뾰족한 복수의 침부(220)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 몸체(210)의 관통부(212) 가장자리를 따라 중앙 상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상기 머리부(130)의 하단을 받쳐주는 머리 받침부(230)가 구비되는 가압판(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An adsorption body 110 having a lower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adhered surface 20 of the adherend 2, a columnar neck portion 120 extending integrally above the center of the adsorption body 110, and the neck portion 120. And a suction plate 100 integrally provided at the top of the head), the head portion 130 having an outer diameter extending therefrom and made of a soft material;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plate 100 is pressed, but is vertically penetrated up and down in the center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body 210 is formed through portion 212 through which the head 130 of the suction plate 100 passes. And a plurality of needles 220 having pointed ends are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body 110 of the adsorption plate 100, and upwards along the edge of the through part 212 of the pressure body 210. And a pressure plate (200) provided with a head restraint (230) that extends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head (130).
상기 가압 몸체(210)의 하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침부(220)는 가압 몸체(210)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침부(22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머리 받침부(230)는 관통부(212)를 흡착판(100)의 머리부(130)가 통과하여 받쳐주도록 상기 관통부(212)의 중앙 상측을 향하도록 가압 몸체(210) 내측 테두리에서 상향 경사지며 균일하게 절개된 제1 구획부(231)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제1 탄성날개(2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needles 22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body 210 is formed so as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needle portion 220 toward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pressing body 210,
The headrest 230 is upward from the inner rim of the pressurizing body 210 so as to face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part 212 so that the head part 130 of the suction plate 100 passes through the support part 212. Vacuum suction por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irst elastic wings 232 are inclined and divided by the first partition portion 231 uniformly cut.
상기 가압 몸체(210)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돌출되어 흡착판(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면서 단부가 피착면(20)에 지지되는 외측 지지부(240)가 구비되되, 상기 외측 지지부(240)는 상기 가압 몸체(210) 외측 테두리에서 외부 하측으로 하향 경사지며 균일하게 절개된 제2 구획부(241)에 구분되는 복수의 제2 탄성날개(242)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 몸체(210)의 일측에는 물건을 걸 수 있는 걸이부(2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support portion 240 is provided with an outer end portion 240 which is supported to extend to the outer side obliquely downward along the edge of the pressing body 210 to surround the edge of the adsorption plate 100, the end is supported on the adhered surface 20, the outer support portion 240 )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ond elastic wings 242 which are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pressing body 210 to the outer lower side and are divided into second partitions 241 uniformly cut off;
One side of the pressing body 210 is a vacuum suction 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portion 250 is provided to hang things.
상기 흡착판(100)의 머리부(130)를 감싸 지지하며 외부면에 수나사산(161)이 형성되는 머리 지지구(160)와;
상기 흡착판(100)의 상면을 가압하되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머리 지지구(160)가 통과되는 관통부(212)가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가압 몸체(210)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흡착판(100)의 흡착 몸체(110) 상면을 파고들도록 끝단이 뾰족한 복수의 침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12) 상측으로 상기 머리 지지구(160)가 안내되는 통로(261)를 갖는 안내부(260)가 상향 돌출되는 가압판(200)과;
상기 가압판(200)의 관통부(212)를 통과해 상부로 돌출된 상기 머리 지지구(160)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머리 지지구(160)를 상측으로 당기면서 상기 가압판(200)을 상기 흡착판(100) 상면에 가압하는 조임너트(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An adsorption body 110 having a lower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adhered surface 20 of the adherend 2, a columnar neck portion 120 extending integrally above the center of the adsorption body 110, and the neck portion 120. And a suction plate 100 integrally provided at the top of the head), the head portion 130 having an outer diameter extending therefrom and made of a soft material;
A head supporter 160 which wraps and supports the head 130 of the suction plate 100 and has a male thread 161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While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plate 100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k-shaped pressing body 210 is formed with a through portion 212 through which the head support 160 is passed through the top and bottom in the center. A plurality of needles 220 having sharp tips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body 110 of the adsorption plate 100, and a passage through which the head supporter 160 is guided above the through part 212. A pressure plate 200 on which the guide portion 260 having a 261 protrudes upward;
The pressure plate 200 is screwed with the head support 160 protruding upward through the through part 212 of the pressure plate 200, and the pressure plate 200 is pulled upward to pull the pressure plate 200 into the suction plate ( 100) A vacuum suction por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ightening nut 300 to press the upper surface.
상기 머리 지지구(160)는 분할된 제1 및 제2 머리지지부(162,163)가 접힘선(168)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머리지지부(162,163)의 밀착면(162a,163a)에는 상기 머리부(130)가 안착되는 머리안착부(164)와 상기 흡착판(100)의 목부(120)가 안착되는 목안착부(165)를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머리안착홈(164a,164b)과 제1 및 제2 목안착홈(165a,165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머리지지부(162)의 밀착면(162a)에는 끼움홈(166)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머리지지부(163)의 밀착면(163a)에는 상기 끼움홈(166)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67)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ead support 16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ivided first and second head supports 162 and 163 are symmetrically connected about the fold line 168, and the first and second head supports 162 and 163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First and second surfaces 162a and 163a to form a head seat 164 on which the head 130 is seated and a neck seat 165 on which the neck 120 of the suction plate 100 is seated. 2 head seating grooves 164a and 164b and first and second neck seating grooves 165a and 165b are formed, respectively, and fitting grooves 166 are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162a of the first head support 162. And a fitting protrusion 167 that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166 protrudes from the contact surface 163a of the second head support 163.
상기 머리 지지구(160)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판(200)의 관통부(212)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부(260)의 통로(261)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부(260)는 균일하게 절개된 제3 구획부(262)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제3 탄성날개(263)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로(261)는 중앙 상측으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경사면(26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ead support 16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illar shape, the through portion 212 of the pressing plate 200 is made of a circular shape, the passage 261 of the guide portion 260 is made of a square cross section ,
The guide part 26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rd elastic wings 263 divided by the third partition 262 uniformly cut and the passage 261 is inclined surface 263a narrowing toward the upper center A vacuum suction 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상기 조임너트(300)는 상기 머리 지지구(160)가 안내되며 상기 머리 지지구(160)의 수나사산(161)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312)이 내주면에 형성된 지지구 유입부(310)가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하며 상기 가압판(200)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320)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200)은 가압 몸체(2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조임너트(300)의 가장자리 하단이 가압되되 지지홈(271)을 갖는 밀착돌부(270)가 상향 돌출되고,
상기 조임너트(300)와 가압판(200) 사이에는 물건을 걸 수 있도록 가압판(200) 상부에 밀착되는 밀착부(410)의 일측에 연장되어 물건을 걸 수 있는 걸이부(420)가 형성되는 걸이부재(400)가 구비되며,
상기 밀착부(410)에는 상기 가압판(200) 중앙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부(260)가 끼워지는 지지공(4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ightening nut 300 is the head support 160 is guided and the support thread inlet 310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emale thread 312 is screwed to the male thread 161 of the head support 160 Is formed and the pressing protrusion 320 for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200 and downward along the edge is formed,
The pressing plate 200 is press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body 210, the lower edge of the tightening nut 300, but the contact protrusion 270 having a support groove 271 protrudes upward,
Hanger 420 is formed between the tightening nut 300 and the pressure plate 200 extends to one side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410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plate 200 to hang the goods Member 400 is provided,
The adhesion part 410 is a vacuum suction 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late 412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plate 200, the guide portion 260 is fit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4740A KR102083126B1 (en) | 2019-08-05 | 2019-08-05 | Vacuum fix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4740A KR102083126B1 (en) | 2019-08-05 | 2019-08-05 | Vacuum fix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3126B1 true KR102083126B1 (en) | 2020-02-28 |
Family
ID=6963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4740A Expired - Fee Related KR102083126B1 (en) | 2019-08-05 | 2019-08-05 | Vacuum fix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312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819136A (en) * | 2021-09-30 | 2021-12-21 | 北京玖通科贸有限责任公司 | An assembled suction cup assembly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55120U (en) * | 1980-04-22 | 1981-11-19 | ||
JPS5954215U (en) * | 1982-10-02 | 1984-04-09 | 釜谷 富春 | Polymer vacuum suction cup type stopper with conical leaf spring |
KR920007885Y1 (en) * | 1990-12-29 | 1992-10-22 | Kim Hwan Chol | Fixing device of locking bolt |
JPH0514621U (en) * | 1991-07-22 | 1993-02-26 | リウ バオ−シエン | Sucker |
JPH11344020A (en) * | 1998-06-02 | 1999-12-14 | Sadahiro Ohinata | Suction cup, pressure board for it, and adsorptive tool |
KR200325101Y1 (en) * | 2003-06-12 | 2003-09-02 | 주식회사 새샘 | Vacuum adsorption nine |
KR20090096379A (en) | 2009-06-29 | 2009-09-10 | 김정호 | Suction plate with indicator |
KR20150144948A (en) | 2014-06-18 | 2015-12-29 | 유승태 | Vacuum Fixer |
JP6013884B2 (en) * | 2012-11-08 | 2016-10-25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Object detection apparatus and object detection method |
-
2019
- 2019-08-05 KR KR1020190094740A patent/KR10208312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55120U (en) * | 1980-04-22 | 1981-11-19 | ||
JPS5954215U (en) * | 1982-10-02 | 1984-04-09 | 釜谷 富春 | Polymer vacuum suction cup type stopper with conical leaf spring |
KR920007885Y1 (en) * | 1990-12-29 | 1992-10-22 | Kim Hwan Chol | Fixing device of locking bolt |
JPH0514621U (en) * | 1991-07-22 | 1993-02-26 | リウ バオ−シエン | Sucker |
JPH11344020A (en) * | 1998-06-02 | 1999-12-14 | Sadahiro Ohinata | Suction cup, pressure board for it, and adsorptive tool |
KR200325101Y1 (en) * | 2003-06-12 | 2003-09-02 | 주식회사 새샘 | Vacuum adsorption nine |
KR20090096379A (en) | 2009-06-29 | 2009-09-10 | 김정호 | Suction plate with indicator |
JP6013884B2 (en) * | 2012-11-08 | 2016-10-25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Object detection apparatus and object detection method |
KR20150144948A (en) | 2014-06-18 | 2015-12-29 | 유승태 | Vacuum Fix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819136A (en) * | 2021-09-30 | 2021-12-21 | 北京玖通科贸有限责任公司 | An assembled suction cup assemb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43028B1 (en) | Vacuum fixture | |
US10034587B1 (en) | Pole caddy for shower use | |
US3843079A (en) | Flag standard | |
KR102497651B1 (en) | Vacuum absorber | |
KR102083126B1 (en) | Vacuum fixture | |
CA2585597A1 (en) | Improved furniture leg floor protector | |
US20130022387A1 (en) | Foam Applicator For Applying A Fluid | |
CN101344116A (en) | A vacuum suction cup hook device | |
KR101671618B1 (en) | Suction cup | |
CN106321612A (en) | Suction disc and hanging tool using same | |
KR100819888B1 (en) | Extension prop for storing shelf | |
KR101707298B1 (en) | hanger apparatus | |
CN101849760A (en) | Simple adsorption device | |
JPH05220042A (en) | Hook with sucker | |
KR20080002917U (en) | Vacuum adsorption plate of vacuum adsorption mechanism | |
JP3083361U (en) | Adsorption type hanger device | |
JP5302697B2 (en) | Suction tool | |
US1801835A (en) | Support | |
JP3108707U (en) | Sucker | |
CN201255168Y (en) | Vacuum chuck hook device | |
KR20180034865A (en) | Soap holder | |
KR200395022Y1 (en) | Display stand with adsorption tool | |
CN206239132U (en) | Pot cover and electric pressure cooking saucepan | |
KR200492255Y1 (en) | An adsorbent | |
CN223046272U (en) | Storage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8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