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2342B1 - 수동식 소화기 - Google Patents

수동식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342B1
KR102082342B1 KR1020180122791A KR20180122791A KR102082342B1 KR 102082342 B1 KR102082342 B1 KR 102082342B1 KR 1020180122791 A KR1020180122791 A KR 1020180122791A KR 20180122791 A KR20180122791 A KR 20180122791A KR 102082342 B1 KR102082342 B1 KR 102082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unit
head
rotating plate
fi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민
Original Assignee
하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재민 filed Critical 하재민
Priority to KR1020180122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34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1/00Portable extinguishers with manually-operate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4Rakes or bea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14Powders;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00Hand hammers; Hammer heads of special shape o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부에 소화제(消火劑) 용기가 수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 외면부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수동식 소화기로서, 내부의 밸브를 개폐시키는 누름부가 구비된 마개부와 상기 소화제 용기의 일측 단부가 상기 몸체부 일측 내면부에 형성된 돌출턱의 양측에서 결합되고, 상기 헤드부는, 램프 커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램프부; 상기 밸브의 개방시 상기 소화제 용기 내부와 연통되어 소화제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노즐부; 및 손잡이의 일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회동될 경우 상기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소화제를 상기 노즐부를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고 상기 램프부의 램프를 점등시키는 구성을 마련함으로써,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소화제의 분사 및 램프의 점등이 함께 이루어지는바 위급한 상황에서 간단히 작동시킬 수 있고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도 주변 시야를 확보하여 화재를 적절히 초기 진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동식 소화기{Hand-Operated Type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수동식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소화제(消火劑)의 분사 및 램프의 점등이 함께 이루어지며 비상망치가 구비되어 위급시 창문을 파괴할 수 있는 수동식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란 건물 내부나 차량 내의 적당한 곳에 미리 비치하여 놓고 화재가 발생한 즉시 그 불을 끄는데 사용되는 기구를 말한다. 통상 금속으로 만든 원통으로 압착공기를 이용하는 분수 소화기, 화학적으로 발생시킨 탄산가스를 분출시키는 탄산가스 소화기, 중탄산소다 가루를 분출시키는 분말 소화기, 탄산가스의 기포를 분출하는 포말 소화기 등이 있다. 이들 소화기는 통로의 적당 장소나 입구에 미리 설치하고, 많은 사람이 그 설치장소를 알 수 있도록 하여 화재발생이라고 하는 긴급 상황 하에서 신속하게 소화기를 이용하여 진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그 작동방식은 수동과 자동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수동식 소화기는, 소화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소화기의 일 부품인 안전핀을 뽑고 레버를 잡아당김으로써 내부의 뇌관장치가 파열되어 충전된 소화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자동식 소화기의 경우에는 소화약제 탱크에 결합 구성되는 노즐 헤드에 분사 작동구를 결합시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분사 작동구의 열감지 유리관이 화재 열을 감지하여 파손되면서 로킹 되어있던 타격봉의 구속을 해제하면서 타격봉이 격발 전진되도록 하여 노즐 헤드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나 변전소 및 공장이나 건물 등의 전기실에 설치된 배전반이나 각종 장비의 전기용 패널 등에는 소화장치가 직접 설치되지 못하며, 대신 하론 CO2 소화용기를 별도 구비하여 놓거나 건물 자체의 천장 부에 화재 발생 시 작동되는 하론 소화설비, CO2 소화설비 또는 청정 소화설비를 설치하여 진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소화기와 관련된 선행기술의 일 예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서는 '조명기구를 갖춘 소화기'가 제안된 바 있고, 하기의 특허문헌 2에서는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화재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도 주변 시야를 확보하여 화재를 적절하게 초기 진압할 수 있도록 된 조명기구를 갖춘 소화기를 제안하나, 소화제(消火劑)를 분사하기 위한 레버와 램프의 점등을 위한 스위치가 별개로 존재하는바 위급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레버와 스위치를 각각 동작시는데 어려움이 있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2는 소화기의 레버와 안전핀이 외부로 돌출되게 하우징본체가 소화기를 감싸면서 체결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소화기를 보호함과 아울러 심미감을 갖게 되고, 라벨이 부착되어 미숙한 어린이나 당황한 사용자가 침착하게 라벨의 인쇄문구에 따라 소화기를 작동할 수 있게 되는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를 제안하나, 소화제의 분사와 램프의 점등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장치가 필요하여 제작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6586호(공고일자 2005년 09월 2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7914호(공고일자 2018년 08월 13일)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소화제(消火劑)의 분사 및 램프의 점등이 함께 이루어지는바 위급한 상황에서 간단히 작동시킬 수 있고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도 주변 시야를 확보하여 화재를 적절히 초기 진압할 수 있는 수동식 소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소화제의 분사 및 램프의 점등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제작단가가 저렴한 수동식 소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몸체부가 소화제(消火劑) 용기를 감싸면서 체결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소화제 용기를 보호함과 아울러 심미감을 갖게 되며 차량 등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수동식 소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램프 커버를 눌러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는바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도 주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위급 상황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는 수동식 소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헤드부에 비상망치가 구비되는바 위급시 창문을 깰 수 있는 수동식 소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소화제(消火劑) 용기가 수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 외면부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수동식 소화기로서, 내부의 밸브를 개폐시키는 누름부가 구비된 마개부와 상기 소화제 용기의 일측 단부가 상기 몸체부 일측 내면부에 형성된 돌출턱의 양측에서 결합되고, 상기 헤드부는, 램프 커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램프부; 상기 밸브의 개방시 상기 소화제 용기 내부와 연통되어 소화제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노즐부; 및 손잡이의 일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회동될 경우 상기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소화제를 상기 노즐부를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고 상기 램프부의 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손잡이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밸브의 개방시 상기 소화제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유도관; 상기 유도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누름부와 접촉되는 누름판; 및 상기 유도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면부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는, 일면 중앙부에 제 1 회전축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회전판; 일면 중앙부에 제 2 회전축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회전판; 및 상기 헤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반대편 단부가 상기 제 1 회전판 및 상기 제 2 회전판의 일측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는 상기 유도관이 상기 제 1 회전판과 상기 제 2 회전판 사이의 공간을 지나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누름판의 타면이 상기 제 1 회전판 및 상기 제 2 회전판의 테두리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1 회전판 및 상기 제 2 회전판의 테두리부 일측에는 상기 제 1 회전축 또는 상기 제 2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레버부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 1 돌출부가 상기 누름판을 외측으로 밀고 상기 누름판이 상기 누름부를 눌러 상기 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램프부는, 일측면에 램프가 구비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램프 모듈; 상기 램프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램프를 커버하여 보호하며 내측 단부가 상기 램프 모듈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상기 램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모듈은,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램프 커버가 서로 인접해지도록 밀리면 작동되어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램프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면부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램프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레버부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램프 모듈 및 상기 전지를 상기 램프 커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헤드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회전판 및 상기 제 2 회전판의 테두리부 타측에는 제 1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동부재는, 측면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톱니부; 및 측면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레버부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 1 톱니부에 맞물리는 상기 제 2 톱니부에 의해 상기 연동부재가 회동되면서 상기 제 2 돌출부가 상기 램프 모듈 및 상기 전지를 상기 램프 커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은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램프는 LED이며, 상기 전지는 건전지 또는 축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비상망치; 및 상기 비상망치를 커버하도록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상망치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은 강성의 합성수지재이고 타측은 탄성이 있는 연성의 합성수지재이며, 상기 소화제 용기가 상기 몸체부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의 타측이 상기 소화제 용기에 의해 인장되어 변형됨으로써 상기 소화제 용기의 외면부와 상기 몸체부 타측의 내면부가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는 외형이 코뿔소 또는 코끼리의 머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소화기에 의하면,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소화제(消火劑)의 분사 및 램프의 점등이 함께 이루어지는바 위급한 상황에서 간단히 작동시킬 수 있고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도 주변 시야를 확보하여 화재를 적절히 초기 진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소화제의 분사 및 램프의 점등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제작단가가 저렴한 수동식 소화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몸체부가 소화제(消火劑) 용기를 감싸면서 체결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소화제 용기를 보호함과 아울러 심미감을 갖게 되며 차량 등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램프 커버를 눌러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는바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도 주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위급 상황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헤드부에 비상망치가 구비되는바 위급시 창문을 깰 수 있는 수동식 소화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소화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몸체부와 결합된 헤드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몸체부의 내면부가 보이도록 도 2에서 마개부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소화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레버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소화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소화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몸체부와 결합된 헤드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몸체부의 내면부가 보이도록 도 2에서 마개부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식 소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소화기(1)는 몸체부(10) 및 헤드부(20)를 포함하고, 소화제 용기(30)와 마개부(40)가 몸체부(10) 일측 내면부에 형성된 돌출턱(11)의 양측에서 결합되며, 헤드부(20)는 램프부(50), 노즐부(60) 및 레버부(70)를 포함하고, 레버부(70)는 손잡이(73)에 힘이 가해져서 회동될 경우 밸브를 개방시켜 소화제를 노즐부(60)를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고 램프부(50)의 램프(512)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10)와 헤드부(20)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소화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몸체부(10)는 내부에 소화제 용기(30)를 수용하여 동물의 몸통 형상을 이루고 헤드부(20)는 외형이 동물의 머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동물과 유사한 외형을 가지게 됨으로써, 소화제 용기(30)를 보호함과 아울러 심미감을 갖게 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0)는 외형이 코뿔소 또는 코끼리의 머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소화기가 외형이 미려하지 않고 빨간색으로 도색되어 있어 불안감을 조성하여 사용자가 소화기를 실내의 구석이나 가구 내부에 배치하게 됨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소화기(1)는 사용자가 집이나 차량 내의 잘 보이는 곳에 거부감 없이 배치 및 보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소화제 용기(30)는 내부에 소화제(消火劑)가 충전되는 용기로서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제작되는 원통형의 용기이다. 소화제(消火劑)는 불을 끄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질로서, 포말소화기에 사용되는 탄산수소나트륨, 카세인, 젤라틴, 사포닌, 소다회, 황산알루미늄 등과 분말소화기에 사용되는 특수가공한 탄산수소나트륨분말(소화용은 100메시 이상의 미세도가 필요함), 할론소화기에 사용되는 할론 1211, 이산화탄소소화기에 사용되는 이산화탄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질소, 이산화탄소, 할로겐 가스 등의 가스가 소화제와 함께 수용될 수도 있다.
마개부(40)는 소화제 용기(3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소화제 용기(30)을 밀폐함으로써 소화제 용기(30) 내부 소화제의 누설을 방지하며, 내부에 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누름부(41)가 눌려질 경우 소화제 용기(30) 내부의 소화제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누름부(41) 내부에는 밸브가 개방될 경우 소화제 용기(30) 내부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마개부(40) 내부에는 누름부(41)를 외측 방향으로 미는 편향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 및 누름부(41)가 눌려짐에 따라 개방되는 밸브가 구비되게 된다.
몸체부(10)는 일측은 헤드부(20)와 결합되고 타측은 내부에 소화제 용기(30)을 수용하는 부재이다.
몸체부(10)의 타측은 전체적으로 타측 단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소화제 용기(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게 된다.
몸체부(10)의 일측은 몸체부(10)의 타측보다 직경이 작은 고리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마개부(40)가 결합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몸체부(10) 일측의 내면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턱(11)이 구비된다.
도 3에는 몸체부(10) 일측 내면부 전체에 돌출턱(11)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고리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돌출턱(11)은 반드시 몸체부(10) 일측 내면부 전체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몸체부(10) 일측 내면부의 일부에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몸체부(10) 일측의 외측면에는 헤드부(20)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몸체부(10)와 헤드부(20)는 리브가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구조 외에 나사결합, 접착 또는 융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0) 일측은 강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소화기(1)의 전체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몸체부(10) 일측을 탄성이 있는 연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몸체부(10) 일측을 탄성이 있는 연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마개부(40)를 사용하여 몸체부(10) 일측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몸체부(10)와 헤드부(20)가 결합되는 부분이 분리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몸체부(10) 타측은 탄성이 있는 연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소화제 용기(30)가 몸체부(10)에 수용되는 경우, 몸체부(10)의 타측이 소화제 용기(30)에 의해 인장되어 변형됨으로써 소화제 용기(30)의 외면부와 몸체부(10) 타측의 내면부가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소화제 용기(30)와 마개부(40)는 몸체부(10) 일측 내면부에 형성된 돌출턱(11)의 양측에서 결합되는 방식으로 몸체부(10)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소화제 용기(30)와 마개부(40)는 서로 결합되어 소화제 용기(30) 내부 소화제의 누설을 방지함과 아울러, 소화제 용기(30)와 마개부(40) 사이에 위치되는 돌출턱(11)에 의해 몸체부(10)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게 된다.
헤드부(20)는 램프부(50), 노즐부(60) 및 레버부(70)를 구비하며, 손잡이(73)에 힘이 가해져서 레버부(70)가 회동될 경우 마개부(40)의 밸브를 개방시켜 소화제 용기(30) 내부의 소화제를 노즐부(60)을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고 램프부(50)의 램프(512)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헤드부(20)에 구비되는 램프부(50), 노즐부(60) 및 레버부(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서 결합되는 한 쌍의 케이스에 의해 헤드부(20)의 구성요소로서 결합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케이스는 체결볼트 및 너트가 사용되거나 접착 또는 융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케이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기둥 또는 보강바(25)가 구비되어 한 쌍의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헤드부(20)의 전체적인 강도가 현저히 높아질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헤드부(20) 외형의 대부분을 이루는 케이스가 반드시 좌우에서 결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케이스는 램프부(50), 노즐부(60), 레버부(70) 등의 구성요소와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램프부(5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부(50)는 램프 모듈(51), 전지(52) 및 램프 커버(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램프 모듈(51)은 전지(5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램프(512)를 구동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램프(512)를 구동하는 지지판(511)과, 지지판(511)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램프(512) 및 스위치(5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4 참조).
지지판(511)은 일측면에 설치되는 램프(512) 및 스위치(513)를 지지하면서 지지판(511)과 접촉되는 전지(5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스위치(513)의 동작시 램프(512)를 구동하는 기능을 하며, 전체적으로 얇은 판의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지지판(511)은 일반적으로 원판 형상을 갖는 것이 보통이나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램프(512)는 지지판(511)에 의해 구동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지지판(511)의 일측면 중앙부에 설치 고정되는 것이 보통이나 반드시 일측면의 중앙부에 설치 고정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램프(512)는 LED 램프, 형광램프, 할로겐램프, 방전램프 등의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발광효율 및 수명 등을 고려하여 LED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는 지지판(511)도 LED 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PCB)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513)는 지지판(511)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지지판(511)과 램프 커버(53)가 서로 인접해지도록 밀리면 눌려져 작동되면서 램프(512)를 점등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스위치(513)는, 지지판(511)과 램프 커버(53)가 서로 인접해지도록 밀리는 경우 램프 커버(53)의 내측 단부에 의해 눌려질 수 있도록 지지판(511) 일측면의 가장자리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도 4 참조), 일반적인 버튼 스위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지(52)는 램프 모듈(51)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헤드부(20)의 수용부(21) 내에 지지판(511)의 타측면에 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건전지 또는 축전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외부 전원과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다만, 전지(52)는 반드시 지지판(511)의 타측면에 접하게 설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판(511)과 전지(5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려서 지지판(511)과 전지(52)가 접촉되는 경우에만 전지(52)로부터 램프 모듈(51)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램프 커버(53)는 램프(512)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며, 내측 단부가 램프 모듈(51)의 일측면에 인접하도록 헤드부(20)의 수용부(21) 내에 설치될 경우 램프 커버(53)의 공간부 내에 위치되는 램프(512)를 커버하여 보호하게 된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커버(53)는 일부가 수용부(21) 외측으로 돌출되어 헤드부(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램프 커버(53)는 무색 또는 다양한 색상의 투광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경우에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20)에는 램프부(50)를 수용하는 수용부(2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1)는 램프부(50)가 헤드부(20)의 외면부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램프부(50)를 수용한다.
상술하자면, 수용부(21)는 내부에 램프 모듈(51), 전지(52) 및 램프 커버(53)의 내측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의 내측 단부는 전지(52)의 일측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의 테두리 부분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 1 저지턱과 수용부(21)의 중간 부위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 2 지지턱이 형성되고 제 1 지지턱과 제 2 지지턱 사이의 수용공간에 램프 모듈(51), 전지(52) 및 램프 커버(53)의 내측 단부가 수용되게 된다.
이때, 제 1 지지턱과 제 2 지지턱은, 제 1 지지턱과 제 2 지지턱 사이의 거리가 램프 모듈(51), 전지(52) 및 램프 커버(53)의 내측 단부의 두께를 더한 거리보다 소정 거리만큼 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램프 모듈(51), 전지(52) 및 램프 커버(53)의 내측 단부가 수용부(21) 내부에서 헤드부(20)의 외면부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게 된다.
이에 따라, 평소에는 지지판(511)과 램프 커버(53)가 스위치(513)가 눌려지지 않을 정도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어 램프(512)가 점등되지 않게 되나, 사용자가 헤드부(20)의 외부로 노출된 램프 커버(53)의 외측 부분을 손으로 누르거나 손잡이(73)에 힘을 가하여 레버부(70)를 회동시키면 지지판(511)과 램프 커버(53)가 서로 인접해지도록 밀려짐에 따라 스위치(513)가 눌려져서 램프(512)가 점등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램프 커버(53)를 눌러 램프(512)를 점등시킬 수 있는바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도 주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위급 상황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노즐부(6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노즐부(60)는 마개부(40) 내부의 밸브 개방시에 소화제 용기(30) 내부와 연통되어 소화제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관(61), 누름판(62) 및 노즐(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도관(61)은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누름판(62)으로부터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노즐(63)을 연결하는 긴 관의 형상을 갖는 구성요소로서, 누름판(62)으로부터 노즐(63)까지 연통되는 내부의 유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마개부(40)의 누름부(41) 내부에도 밸브 개방시에 소화제 용기(30) 내부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바, 유도관(61)은 마개부(40) 내부의 밸브 개방시에 소화제 용기(30) 내부와 연통될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유도관(61)이 전체적으로 직선형 관이 중앙부에서 꺾여진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유도관(61)은 반드시 직선형 관이 꺾여진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유선형 등의 곡선형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누름판(62)은 유도관(6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부재로서 노즐부(60)가 헤드부(20) 내에 설치될 경우 일면이 마개부(40)의 누름부(41)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부분이다.
누름판(62)의 일면과 누름부(41)가 접촉됨으로써 누름판(62) 내부의 유로와 누름부(41) 내부의 유로가 서로 연통되게 되는바, 누름부(41)가 눌려져서 마개부(40) 내부의 밸브가 개방되면 소화제 용기(30) 내부의 소화제가 노즐부(60)를 통해 외부로 분출될 수 있게 된다.
다만, 누름판(62)은 반드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유도관(61)과의 연결 부위에 직경확대부가 구비되어 누름판(62) 내부로 누름부(41)의 외측 단부가 소정 깊이만큼 누름판(62)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으며, 누름판(62) 내부에는 소화제의 누출 방지를 위한 패킹부재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노즐(63)은 유도관(61)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부재로서 노즐부(60)가 헤드부(20) 내에 설치될 경우 일측 단부가 헤드부(20)의 외면부 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노즐(63)은 흐르는 유체의 방향을 조절하고 그 속도를 증가시키는 일반적인 노즐과 같은 기능을 하는바, 마개부(40) 내부의 밸브가 개방되어 노즐부(60)가 소화제 용기(30) 내부와 연통되면 최종적으로 소화제가 노즐(63)을 지나가면서 속도가 증가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레버부(7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레버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레버부(70)는 손잡이(73)에 힘이 가해져서 회동될 경우 마개부(40) 내부의 밸브를 개방시켜 소화제 용기(30) 내부의 소화제를 노즐부(60)을 통해 분출시키고 램프부(50)의 램프(512)를 점등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손잡이(73)의 일부가 헤드부(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헤드부(2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회전판(71), 제 2 회전판(72) 및 손잡이(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회전판(71)과 제 2 회전판(72)은 대략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부재로서, 제 1 회전판(71)의 일면 중앙부에는 제 1 회전축(711)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 2 회전판(72)의 일면 중앙부에는 제 2 회전축(721)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손잡이(73)는 사용자가 손으로 당겨 힘을 가함으로써 레버부(70)를 회동시킬 수 있는 부분으로서, 레버부(70)가 헤드부(2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경우 일부는 헤드부(20)의 외부로 노출되게 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반대편 단부는 제 1 회전판(71) 및 제 2 회전판(72)의 일측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회전판(71) 및 제 2 회전판(72)의 일측 단부는 손잡이(73)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제 1 회전판(71)과 제 2 회전판(72)이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제 1 회전판(71) 및 제 2 회전판(72)의 타측 단부 사이에도 제 1 회전판(71) 및 제 2 회전판(72)의 테두리부 사이를 이어주면서 양자 사이의 거리가 유지되도록 지지해주는 연결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레버부(70)가 헤드부(20) 내부에 설치될 경우 제 1 회전축(711) 및 제 2 회전축(721)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게 되며, 제 1 회전판(71)과 제 2 회전판(72) 사이에는 레버부(70)가 일정 정도 회동되어도 노즐부(60)의 유도관(61)이 걸림 없이 지나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소화기(1)에서는, 유도관(61)이 헤드부(2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70)의 제 1 회전판(71)과 제 2 회전판(72) 사이의 공간을 지나가도록 노즐부(60)를 설치함으로써, 컴팩트한 헤드부(20) 내부 공간에 노즐부(60)와 레버부(70) 등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판(71) 및 제 2 회전판(72)의 테두리부 일측에는 제 1 회전축(711) 또는 제 2 회전축(721)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돌출부(71a, 72a)가 형성되며, 레버부(70)가 헤드부(2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때, 노즐부(60)는 누름판(62)의 타면이 제 1 회전판(71) 및 제 2 회전판(72)의 테두리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손잡이(73)에 힘이 가해져서 레버부(70)가 제 1 회전축(711) 및 제 2 회전축(721)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제 1 돌출부(71a, 72a)가 누름판(62)을 외측으로 밀고 누름판(62)이 누름부(41)를 눌러 마개부(40) 내부의 밸브를 개방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회전판(71) 및 제 2 회전판(72)의 테두리부 타측에는 제 1 톱니부(71b, 72b)가 형성된다.
또한, 헤드부(20)에는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부재(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연동부재(22)는 손잡이(73)에 힘이 가해져 레버부(70)가 회동됨에 따라 램프 모듈(51) 및 전지(52)를 램프 커버(53)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위치(513)가 눌려지도록 함으로써 램프부(50)의 램프(512)를 점등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대략적으로는 캠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톱니부(221) 및 측면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연동부재(22)는, 헤드부(20) 내부에 설치될 때, 레버부(70)의 제 1 회전판(71) 및 제 2 회전판(72)의 테두리부와 램프부(50)의 전지(52) 사이에 설치되면서 제 2 톱니부(221)가 레버부(70)의 제 1 톱니부(71b, 72b)와 맞물려서 제 1 회전판(71) 및 제 2 회전판(72)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되도록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제 2 돌출부(222)는 캠과 같은 기능을 하는바, 손잡이(73)에 힘이 가해져서 레버부(70)가 제 1 회전축(711) 및 제 2 회전축(721)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제 1 톱니부(71b, 72b)에 맞물리는 제 2 톱니부(221)에 의해 연동부재(22)가 회동되면서 제 2 돌출부(222)가 램프 모듈(51) 및 전지(52)를 램프 커버(53)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73)에 힘을 가하여 레버부(70)를 회동시킴에 의해 소화제의 분사 및 램프(512)의 점등이 함께 이루어지는바 위급한 상황에서 간단히 작동시킬 수 있고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도 주변 시야를 확보하여 화재를 적절히 초기 진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다만, 레버부(70)의 회동에 의한 소화제의 분사 및 램프(512)의 점등이 함께 이루어진다 하여도 반드시 소화제의 분사 및 램프(512)의 점등이 동시에 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레버부(70)가 조금 회동되면 램프(512)가 먼저 점등되고 레버부(70)를 조금 더 회동시키면 소화제가 분출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먼저 레버부(70)를 조금만 회동시켜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 주변 시야를 확보한 후 화재 진압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적절한 위치로 이동한 후 레버부(70)를 더 회동시켜 소화제를 분출시킴으로써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안전핀(8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0)는 안전핀(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핀(80)은 평상시에 몸체부(10)와 손잡이(73) 사이에 배치되어 손잡이(73)가 몸체부(10) 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막음으로써 레버부(70)의 회동에 의한 소화제의 분사 및 램프(512)의 점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중앙부 관통공에 손가락을 넣어 당길 수 있도록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당김 고리와 일측 단부가 당김 고리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연장되고 타측 단부가 헤드부(20)의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핀(80)의 당김 고리는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어 손잡이(73)가 몸체부(10) 방향으로 당겨질 경우 손잡이(73)와 몸체부(10) 사이에 끼여서 레버부(70)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당김 고리에 손가락 등을 넣고 당겨서 안전핀(80)을 헤드부(20)로부터 분리시키기 전에는 손잡이(73)를 당겨도 소화제의 분사 및 램프(512)의 점등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다만,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손잡이(73)를 당겨서 레버부(70)가 조금 회동되다가 안전핀(80)의 당김 고리가 손잡이(73)와 몸체부(10) 사이에 끼여서 레버부(70)의 회동이 저지되는 과정에서 램프(512)가 점등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소화제가 분사될 것을 걱정할 필요 없이 손잡이(73)를 당겨 램프(512)를 구동시킴으로써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 주변 시야를 확보한 후 화재 진압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여 안전핀(80)을 제거한 후 레버부(70)를 더 회동시켜 소화제를 분출시킴으로써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에는 연결 밴드가 타측 단부가 접혀진 밴드 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연결 밴드가 반드시 밴드 형상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일측 단부가 당김 고리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 헤드부(20)의 케이스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냅버튼 등의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와이어 등으로 구성되어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비상망치(9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0)는 비상망치 커버(23) 및 비상망치(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상망치(90)는 헤드부(20)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비상용 망치로서, 내측 단부는 도브테일 형상의 단면을 갖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헤드부(20)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며, 외측 단부는 전체적으로 끝이 뾰족한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충격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비상망치(90)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로 제작되어 헤드부(20)의 일측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비상망치 커버(23)는 헤드부(20)의 일측에 헤드부(20)의 케이스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이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헤드부(20)에 결합되어 비상망치(90)를 커버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비상망치(90)에 의해 다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위급시에는 사용자가 비상망치 커버(23)를 헤드부(20)로부터 분리시켜 비상망치(90)를 외부로 노출시킨 후 비상망치(90)로 창문을 깰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소화기에 의하면, 레버부의 회동에 의해 소화제의 분사 및 램프의 점등이 함께 이루어지는바 위급한 상황에서 간단히 작동시킬 수 있고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도 주변 시야를 확보하여 화재를 적절히 초기 진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소화제의 분사 및 램프의 점등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제작단가가 저렴한 수동식 소화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몸체부가 소화제(消火劑) 용기를 감싸면서 체결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소화제 용기를 보호함과 아울러 심미감을 갖게 되며 차량 등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수동식 소화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램프 커버를 눌러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는바 화재 발생으로 인한 정전시에도 주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위급 상황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헤드부에 비상망치가 구비되는바 위급시 창문을 깰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수동식 소화기
10: 몸체부 11: 돌출턱
20: 헤드부 21: 수용부
22: 연동부재
221: 제 2 톱니부 222: 제 2 돌출부
23: 비상망치 커버 25: 보강기둥 또는 보강바
30: 소화제 용기
40: 마개부 41: 누름부
50: 램프부
51: 램프 모듈 511: 지지판
512: 램프 513: 스위치
52: 전지 53: 램프 커버
70: 레버부
71: 제 1 회전판 711: 제 1 회전축
71a: 제 1 돌출부 71b: 제 1 톱니부
72: 제 2 회전판 721: 제 2 회전축
72a: 제 1 돌출부 72b: 제 1 톱니부
73: 손잡이
80: 안전핀
90: 비상망치

Claims (10)

  1. 내부에 소화제(消火劑) 용기가 수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 외면부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수동식 소화기로서,
    내부의 밸브를 개폐시키는 누름부가 구비된 마개부와 상기 소화제 용기의 일측 단부가 상기 몸체부 일측 내면부에 형성된 돌출턱의 양측에서 결합되고,
    상기 헤드부는,
    램프 커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램프부;
    상기 밸브의 개방시 상기 소화제 용기 내부와 연통되어 소화제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노즐부; 및
    손잡이의 일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회동될 경우 상기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소화제를 상기 노즐부를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고 상기 램프부의 램프를 점등시키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밸브의 개방시 상기 소화제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유도관;
    상기 유도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누름부와 접촉되는 누름판; 및
    상기 유도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면부 또는 외부로 노출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는,
    일면 중앙부에 제 1 회전축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회전판;
    일면 중앙부에 제 2 회전축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회전판; 및
    상기 헤드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반대편 단부가 상기 제 1 회전판 및 상기 제 2 회전판의 일측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는 상기 유도관이 상기 제 1 회전판과 상기 제 2 회전판 사이의 공간을 지나가도록 설치되며,
    상기 노즐부는 상기 누름판의 타면이 상기 제 1 회전판 및 상기 제 2 회전판의 테두리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1 회전판 및 상기 제 2 회전판의 테두리부 일측에는 상기 제 1 회전축 또는 상기 제 2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제 1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레버부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 1 돌출부가 상기 누름판을 외측으로 밀고 상기 누름판이 상기 누름부를 눌러 상기 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램프부는,
    일측면에 램프가 구비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램프 모듈;
    상기 램프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램프를 커버하여 보호하며 내측 단부가 상기 램프 모듈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상기 램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모듈은,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램프 커버가 서로 인접해지도록 밀리면 작동되어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램프부가 상기 헤드부의 외면부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램프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레버부가 회동됨에 따라 상기 램프 모듈 및 상기 전지를 상기 램프 커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헤드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소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손잡이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소화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판 및 상기 제 2 회전판의 테두리부 타측에는 제 1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동부재는,
    측면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 2 톱니부; 및
    측면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에 힘이 가해져서 상기 레버부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 1 톱니부에 맞물리는 상기 제 2 톱니부에 의해 상기 연동부재가 회동되면서 상기 제 2 돌출부가 상기 램프 모듈 및 상기 전지를 상기 램프 커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소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램프는 LED이며,
    상기 전지는 건전지 또는 축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소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비상망치; 및
    상기 비상망치를 커버하도록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상망치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소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은 강성의 합성수지재이고 타측은 탄성이 있는 연성의 합성수지재이며,
    상기 소화제 용기가 상기 몸체부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의 타측이 상기 소화제 용기에 의해 인장되어 변형됨으로써 상기 소화제 용기의 외면부와 상기 몸체부 타측의 내면부가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소화기.
  10. 제1항과 제2항 및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외형이 코뿔소 또는 코끼리의 머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소화기.
KR1020180122791A 2018-10-15 2018-10-15 수동식 소화기 Expired - Fee Related KR102082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91A KR102082342B1 (ko) 2018-10-15 2018-10-15 수동식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791A KR102082342B1 (ko) 2018-10-15 2018-10-15 수동식 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342B1 true KR102082342B1 (ko) 2020-02-27

Family

ID=6964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791A Expired - Fee Related KR102082342B1 (ko) 2018-10-15 2018-10-15 수동식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3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73444A (zh) * 2023-04-18 2023-05-30 广东工业大学 一种含可拆卸撞锥的离子风灭火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551A (ko) * 2004-02-10 2005-08-17 정덕준 자동분사 소화용구
KR200396586Y1 (ko) 2005-06-23 2005-09-26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조명기구를 갖춘 소화기
KR20100007932A (ko) * 2007-10-19 2010-01-22 히데오 요시다 소화가스 분사기구
KR20130001287A (ko) * 2010-03-30 2013-01-03 히데오 요시다 소화가스 분사기
KR20180068507A (ko) * 2016-12-14 2018-06-22 (주)두레샘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551A (ko) * 2004-02-10 2005-08-17 정덕준 자동분사 소화용구
KR200396586Y1 (ko) 2005-06-23 2005-09-26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조명기구를 갖춘 소화기
KR20100007932A (ko) * 2007-10-19 2010-01-22 히데오 요시다 소화가스 분사기구
KR20130001287A (ko) * 2010-03-30 2013-01-03 히데오 요시다 소화가스 분사기
KR20180068507A (ko) * 2016-12-14 2018-06-22 (주)두레샘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KR101887914B1 (ko) 2016-12-14 2018-08-13 (주)두레샘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73444A (zh) * 2023-04-18 2023-05-30 广东工业大学 一种含可拆卸撞锥的离子风灭火机
CN116173444B (zh) * 2023-04-18 2024-02-02 广东工业大学 一种含可拆卸撞锥的离子风灭火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302B1 (ko) 수동 겸용 자동 분사 소화기
JP4969300B2 (ja) 消火ガス噴射器
EP2529795A1 (en) Fire extinguishing gas spray apparatus
CN103909893B (zh) 一种多功能救生工具
KR102082342B1 (ko) 수동식 소화기
US20140263445A1 (en) Portable multi-use self-defense device
CN1141996C (zh) 灭火装置
KR100748612B1 (ko)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US7828006B2 (en) Safety flow guide protection device
WO2011010845A2 (ko) 비상 조명등이 구비된 화재용 산소 호흡기
KR200327645Y1 (ko) 소화기
KR102115414B1 (ko) 안전핀이 필요없는 소화기
WO2013105241A1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US8991316B2 (en) Gas controlled delay timing device
JP5020166B2 (ja) 消火ガス噴射器
KR20110095058A (ko) 재난방지용 휴대형 led 랜턴 겸용 소화기 세트
GB2424692A (en) Manual or water activated, gas supply actuator
KR20210095261A (ko)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및 이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소화기 어셈블리
KR20090001152U (ko) 자동소화기용 실린더 밸브
KR102111511B1 (ko) 소화기가 구비된 대중교통 안전 손잡이 조립체
KR200371862Y1 (ko) 전등 겸용 소화기
KR102135029B1 (ko) 시각장애인용 소화기
WO2016165647A1 (zh) 用于气球或充气棒充气的手持吹气装置
KR20220096642A (ko) 자동소화기용 밸브장치
KR102447276B1 (ko)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