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2182B1 -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182B1
KR102082182B1 KR1020190016174A KR20190016174A KR102082182B1 KR 102082182 B1 KR102082182 B1 KR 102082182B1 KR 1020190016174 A KR1020190016174 A KR 1020190016174A KR 20190016174 A KR20190016174 A KR 20190016174A KR 102082182 B1 KR102082182 B1 KR 102082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ood
tumbler
inner contain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봉대
이진현
김호성
황비
전지오
이승영
Original Assignee
장흥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흥군 filed Critical 장흥군
Priority to KR1020190016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1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34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5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joined together by bonding, adhesiv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02Containers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용기(110)의 중간에 형성하는 걸림부(111)와 맞물려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에 고정부(131)를 형성하고 중앙에 내부용기(1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하는 상부용기(130)를 가공하는 제1단계; 중앙에 내부용기(1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중간용기(140)를 가공하여 집성하는 제2단계; 상부를 개방하여 내부에 내부용기(1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하는 하부용기(150)를 가공하는 제3단계; 상기 상부용기(130)와 중간용기(140)와 하부용기(150)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집성하는 제4단계; 상기 상부용기(130)의 내측에 접착제(132)를 도포한 후 내부용기(110)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목재를 이용하여 자연 친화적인 제품을 요구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켜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친밀감 및 미적 심미감을 충족시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텀블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전달과 뒤틀림 및 균열을 최소화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Wood tumble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 친화적인 목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친밀감 및 미적 심미감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텀블러는 용기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보관 및 저장하여 휴대하면서 마시는 용도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의 외부용기(케이스)를 제작하고 있으나, 이는 자연 친화적인 제품을 요구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제한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에는 사용자의 미적 심미감을 충족시키기에 부족함이 있으므로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79764호(2012.07.13)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8557호(2015.10.22)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52358호(2017.05.12)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53096호(2017.05.15)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26644호(2018.03.13) 한국등록특허 제10-1863630호(2018.06.01)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2292호(2018.07.2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목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친밀감을 향상시키며 환경 보호에도 일조할 수 있는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열전달과 뒤틀림 및 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은,
내부용기(110)의 중간에 형성하는 걸림부(111)와 맞물려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에 고정부(131)를 형성하고 중앙에 내부용기(1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하는 상부용기(130)를 가공하는 제1단계; 중앙에 내부용기(1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중간용기(140)를 가공하여 집성하는 제2단계; 상부를 개방하여 내부에 내부용기(1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하는 하부용기(150)를 가공하는 제3단계; 상기 상부용기(130)와 중간용기(140)와 하부용기(150)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집성하는 제4단계; 상기 상부용기(130)의 내측에 접착제(132)를 도포한 후 내부용기(110)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상부용기(130)의 내경에 상기 접착제(132)를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공간(13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중간용기(140)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맞물려 고정할 수 있도록 요철부(14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중간용기(140)는 목재의 나뭇결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번갈아가며 결합하여 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중간용기(140)는 서로 다른 색상 및 종류의 목재를 번갈아가며 결합하여 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하부용기(150)의 내경에 상기 내부용기(110)의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순환공간(15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순환공간(151)의 내측에 상기 내부용기(110)의 외경과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15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하부용기(150)의 내부 바닥에 상기 내부용기(110)의 하부와 떨어질 수 있도록 이격공간(15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상부용기(130)와 중간용기(140)와 하부용기(150)의 표면을 샌딩 처리하고 오일을 도포 및 건조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목재를 이용하여 자연 친화적인 제품을 요구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켜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친밀감 및 미적 심미감을 충족시켜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텀블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전달과 뒤틀림 및 균열을 최소화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목재 텀블러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목재 텀블러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목재 텀블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목재 텀블러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목재 텀블러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목재 텀블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용기(110)의 중간에 형성하는 걸림부(111)와 맞물려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에 고정부(131)를 형성하고 중앙에 내부용기(1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하는 상부용기(130)를 가공하는 제1단계; 중앙에 내부용기(1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중간용기(140)를 가공하여 집성하는 제2단계; 상부를 개방하여 내부에 내부용기(1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하는 하부용기(150)를 가공하는 제3단계; 상기 상부용기(130)와 중간용기(140)와 하부용기(150)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집성하는 제4단계; 상기 상부용기(130)의 내측에 접착제(132)를 도포한 후 내부용기(110)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용기(110)는 내부에 음료를 보관 및 담을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하고, 상부에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뚜껑(12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상부용기(130)와 중간용기(140)와 하부용기(150)는 자연 친화적인 다양한 목재를 가공 및 조립하여 사용자에게 친밀감 및 미적 심미감을 충족시킴은 물론 상기 내부용기(110)를 내부에 끼워서 고정하는 보호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단계는 내부용기(110)의 외측에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상부용기(130)를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CNC 또는 선반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용기(110)의 중간에 형성하는 걸림부(111)와 맞물려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에 고정부(131)를 형성하고 중앙에 내부용기(1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가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131)는 걸림부(111)와 맞물려 상기 내부용기(110)와 상부용기(130)의 정확한 고정위치를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31)는 상기 걸림부(111)의 내경에 삽입하여 맞물릴 수 있도록 소정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한다.
한편, 상기 상부용기(130)의 내경에 접착제(132)를 공급하여 상기 내부용기(110)의 외경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용기(130)의 내경에 상기 접착제(132)를 투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투입공간(133);을 포함하여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서 저장 및 팽창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접착제(132)는 에폭시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다양한 성분 및 종류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단계는 중앙에 내부용기(1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중간용기(140)를 가공 및 집성하여 목재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뒤틀림 및 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간용기(140)는 상기 내부용기(1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중앙이 비어있는 형태로 소정두께를 갖도록 다수개를 형성한다.
또한, 다수개의 중간용기(140)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접착제를 도포한 후 클램프 등으로 고정하는 집성과정을 통해서 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용기(140)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맞물려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요철부(141);를 포함하여 다수개의 중간용기(140)가 서로 정확하게 맞닿아 고정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요철부(141)는 단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반원 및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용기(140)는 목재의 나뭇결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다수개를 번갈아가며 결합하여 목재를 사용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변형 및 뒤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용기(140)는 서로 다른 색상 및 종류의 목재를 번갈아가며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목재의 질감 및 색상 등을 이용하여 친밀감 및 미적 심미감을 충족시킬 수 있다.
아울러 집성하여 고정된 다수개의 중간용기(140) 표면을 선반을 이용하여 매끄럽게 가공하고, 사포 등을 이용하여 샌딩 처리하며, 오일을 도포한 후 자연건조로 1일 내지 4일 동안 진행한다.
이때 상기 사포 및 오일은 목재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규격 및 제품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내부용기(1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는 비어있고 하부는 내부용기(110)의 바닥과 맞닿을 수 있도록 밀폐상태의 하부용기(150)를 가공한다.
특히 상기 하부용기(15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내부용기(110)에 저장된 뜨거운 음료의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경에 순환공간(15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순환공간(151)은 상기 내부용기(110)의 외경과 맞닿지 않도록 상기 하부용기(150)의 내경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순환공간(151)의 내측에 상기 내부용기(110)의 외경과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돌기(1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152)는 상기 내부용기(110)가 하부용기(150)의 내부로 쉽게 삽입할 수 있고, 반대로 쉽게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 지지 않도록 내측에서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용기(150)의 내부 바닥에 상기 내부용기(110)의 하부와 떨어질 수 있도록 이격공간(153);을 포함하여 상기 내부용기(110)에 저장된 뜨거운 음료의 열전달을 최소화하고 목재의 팽창 및 수축과정에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용기(150)의 표면을 사포 등을 이용하여 샌딩 처리하고, 오일을 도포한 후 자연건조로 1일 내지 4일 동안 진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상부용기(130)와 중간용기(140)와 하부용기(150)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집성한다.
이때 상기 상부용기(130)와 중간용기(140)와 하부용기(150)의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접착제를 도포한 후 클램프 등으로 고정하는 집성과정을 통해서 서로 견고하게 고정한다.
특히 집성이 끝난 상기 상부용기(130)와 중간용기(140)와 하부용기(150)의 표면을 선반을 이용하여 매끄럽게 가공하고, 사포 등을 이용하여 샌딩 처리하며, 오일을 도포한 후 자연건조로 2일 내지 5일 동안 진행하는 제6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5단계는 집성이 끝난 상기 상부용기(130)와 중간용기(140)와 하부용기(150)를 상기 내부용기(110)와 다시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용기(130)의 내측에 접착제(132)를 도포한 후 내부용기(110)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상부용기(130)와 내부용기(110)의 사이에 접착제(132)를 도포한 후 클램프 등으로 소정기간 대기 및 건조시켜 서로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목재 텀블러
110: 내부용기 111: 걸림부
120: 뚜껑
130: 상부용기 131: 고정부
132: 접착제 133: 투입공간
140: 중간용기 141: 요철부
150: 하부용기 151: 순환공간
152: 고정돌기 153: 이격공간

Claims (9)

  1. 내부용기(110)의 중간에 형성하는 걸림부(111)와 맞물려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에 고정부(131)를 형성하고 중앙에 내부용기(1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하는 상부용기(130)를 가공하는 제1단계; 중앙에 내부용기(1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중간용기(140)를 가공하여 집성하는 제2단계; 상부를 개방하여 내부에 내부용기(1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하는 하부용기(150)를 가공하는 제3단계; 상기 상부용기(130)와 중간용기(140)와 하부용기(150)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집성하는 제4단계; 상기 상부용기(130)의 내측에 접착제(132)를 도포한 후 내부용기(110)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상부용기(130)의 내경에 상기 접착제(132)를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공간(13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중간용기(140)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맞물려 고정할 수 있도록 요철부(14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중간용기(140)는 목재의 나뭇결이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번갈아가며 결합하여 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중간용기(140)는 서로 다른 색상 및 종류의 목재를 번갈아가며 결합하여 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하부용기(150)의 내경에 상기 내부용기(110)의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순환공간(15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순환공간(151)의 내측에 상기 내부용기(110)의 외경과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15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하부용기(150)의 내부 바닥에 상기 내부용기(110)의 하부와 떨어질 수 있도록 이격공간(15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상부용기(130)와 중간용기(140)와 하부용기(150)의 표면을 샌딩 처리하고 오일을 도포 및 건조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
KR1020190016174A 2019-02-12 2019-02-12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 Active KR102082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174A KR102082182B1 (ko) 2019-02-12 2019-02-12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174A KR102082182B1 (ko) 2019-02-12 2019-02-12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182B1 true KR102082182B1 (ko) 2020-02-27

Family

ID=6964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174A Active KR102082182B1 (ko) 2019-02-12 2019-02-12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182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580A (ko) * 2001-03-08 2001-06-05 김홍열 목재 일체형 합성수지 컵과 그 제조방법
JP2006082825A (ja) * 2004-09-15 2006-03-30 Mk Tec:Kk 木樽様コーヒ包装容器
CN201435803Y (zh) * 2009-04-10 2010-03-31 唐建业 高品质木质音箱
KR20120079764A (ko) 2011-01-05 2012-07-13 조창래 분리형 텀블러
JP2012526026A (ja) * 2009-05-05 2012-10-25 ミードウエストベコ・コーポレーション 板紙ベースの飲料容器
KR200478557Y1 (ko) 2015-03-09 2015-10-22 인성환 기능성 텀블러
KR20170052358A (ko) 2015-11-04 2017-05-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음료 용기
KR20170053096A (ko) 2016-01-29 2017-05-15 최태양 텀블러
KR20180026644A (ko) 2016-09-03 2018-03-13 김미소 분리되는 대나무모양의 텀블러
KR101863630B1 (ko) 2017-11-30 2018-06-01 주식회사 한국메스 얼음저장부가 구비된 텀블러
KR20180002292U (ko) 2017-01-19 2018-07-27 주식회사 케이포스 텀블러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580A (ko) * 2001-03-08 2001-06-05 김홍열 목재 일체형 합성수지 컵과 그 제조방법
JP2006082825A (ja) * 2004-09-15 2006-03-30 Mk Tec:Kk 木樽様コーヒ包装容器
CN201435803Y (zh) * 2009-04-10 2010-03-31 唐建业 高品质木质音箱
JP2012526026A (ja) * 2009-05-05 2012-10-25 ミードウエストベコ・コーポレーション 板紙ベースの飲料容器
KR20120079764A (ko) 2011-01-05 2012-07-13 조창래 분리형 텀블러
KR200478557Y1 (ko) 2015-03-09 2015-10-22 인성환 기능성 텀블러
KR20170052358A (ko) 2015-11-04 2017-05-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음료 용기
KR20170053096A (ko) 2016-01-29 2017-05-15 최태양 텀블러
KR20180026644A (ko) 2016-09-03 2018-03-13 김미소 분리되는 대나무모양의 텀블러
KR20180002292U (ko) 2017-01-19 2018-07-27 주식회사 케이포스 텀블러
KR101863630B1 (ko) 2017-11-30 2018-06-01 주식회사 한국메스 얼음저장부가 구비된 텀블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57184S1 (en) Beverage container closure
USD975498S1 (en) Beverage container with lid
USD887097S1 (en) Vessel for washing and storage
USD866249S1 (en) Food container cover
USD1024674S1 (en) Filter basket for immersion coffee or tea brewing and cupping
USD947027S1 (en) Spout for a container
USD884855S1 (en) Heater pedestal
USD841487S1 (en) Stackable tray for containers
USD1030418S1 (en) Beverage container
US20080041849A1 (en) Storage container having peripheral walls decorated with bamboo rings
TWI345523B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thermosetting resin molded article
KR102082182B1 (ko) 목재 텀블러 제조방법
TWM501795U (zh) 杯體結構
KR102091700B1 (ko) 목재 텀블러
US6345924B1 (en) Nestable binder ring assembly
USD955182S1 (en) Bottle
US20160166117A1 (en) Cooking Utensil Caddy
JPH04319319A (ja) 調理器具セット
USD1071727S1 (en) Metal container
KR100332025B1 (ko) 죽(竹)제품의 제작방법
JP5270624B2 (ja) バッグ
KR101616082B1 (ko) 무늬목 쟁반 및 이의 제조 공법
KR200261218Y1 (ko) 목재 박판을 이용한 장신구
CN214484148U (zh) 一种置物托盘
USD1081254S1 (en) Beverage container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