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637B1 - Prefabricated tower foundation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tower found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1637B1 KR102081637B1 KR1020170127562A KR20170127562A KR102081637B1 KR 102081637 B1 KR102081637 B1 KR 102081637B1 KR 1020170127562 A KR1020170127562 A KR 1020170127562A KR 20170127562 A KR20170127562 A KR 20170127562A KR 102081637 B1 KR102081637 B1 KR 1020816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tower
- foundation
- prefabricated steel
- groove
- steel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철탑 기초체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철탑 기초체를 부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현장에서 각 부분을 조립하여 일체화시킨 후 설치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to be installed after the steel tower foundation is partially assembled to assemble and integrate each part in the field.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철탑 기초체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철탑 기초체를 부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현장에서 각 부분을 조립하여 일체화시킨 후 설치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to be installed after the steel tower foundation is partially assembled to assemble and integrate each part in the field.
일반적으로 송전철탑은 송전선로 등을 가설하기 위해 수십 미터의 지상높이로 시공되는 트러스(truss) 형태의 철제 구조물로서, 자체 중량이 수십 톤에서 수백 톤에 이르는 중량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송전철탑은 보통, 정방향으로 배치되는4개의 주주재를 가지며, 각 주주재의 하단부는 콘크리트 기초체에 의하여 지반에 고정된다.In general, a transmission tower is a truss-type steel structure that is constructed at tens of meters above ground in order to construct a transmission line, etc., and has a weight of several tens to hundreds of tons. Such transmission towers usually have four main materials arrang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lower end of each main material is fixed to the ground by a concrete foundation.
송전철탑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반을 터파기하여 수평으로 콘크리트 면을 평활하게 형성한 다음, 정방형으로 배치되는 4개의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고, 각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글을 설정 높이까지 트러스 형태로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완성시키는 방식을 적용한다.In order to install the transmission tower, first, the ground is dug to form a flat concrete surface, and then four basic concrete structures are arranged in a square shape, and angles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a truss shape up to a set height of each foundation concrete structure. The method of assembly and completion is applied.
송전철탑을 지지하는 송전철탑 기초체는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제작되므로 상당한 중량의 자재, 장비 및 넓은 작업 공간을 필요로 하지만, 송전철탑이 설치되는 지역이 산, 능선, 급경사지 등에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자재, 장비 등의 이동이 어렵고, 기초공사의 규모가 커 환경파괴를 유발하며, 공사기간이 장기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ransmission tower foundations that support transmission towers are usually manufactured on-site, which requires considerable weight, equipment, and a large work space.However, given the areas where the transmission towers are installed, such as mountains, ridges, steep slopes It is difficult to move materials, equipment, etc., and the size of the basic construction is large, causing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the construction period takes a long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철탑 기초체를 부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현장에서 각 부분을 조립하여 일체화시킨 후 설치함으로써 기초체를 이루는 기초 부재의 품질을 확보하고, 설치를 용이하게 하여 기간,비용 및 시공 인력을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ensure the quality of the foundation member forming the foundation body by installing the steel tower base body in the form of a partial assembly by assembling and integrating each part in the field to install, It aims to reduce the time, cost and construction personnel by facilitating.
또한, 상부 구조물이 기초체를 당기는 인장력에 대한 기초체의 저항력을 증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is to increase the resistance of the base to the tensile force that the upper structure pulls the base.
또한, 상부 구조물에 발생되는 하중과 지반의 조건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초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base body that can effectively respond to the load and ground conditions generated in the upper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철탑 기초체에 있어서,In the assembled steel tower 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하단부재를 다수 개 조립하여 구성되는 원판형상의 하단조립체;A disk-shaped lower end assembly configur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lower end members;
하단조립체와 동심이 되도록 하단조립체 상단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상단부재;A ring-shaped upper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lower assembly so as to be concentric with the lower assembly;
상단부재와 동심이 되도록 상단부재의 상측에 적층되는 원판형상의 최상단부재;A disk-shaped uppermost member laminated on an upper side of the upper member so as to be concentric with the upper member;
중앙에 철탑연결재가 구비되는 원판형상이며, 최상단부재의 상층에 적층되는 각입플레이트;A prismatic plate-shaped plate having a steel tower connection material in the center thereof and stacked on an upper layer of the uppermost member;
하단조립체, 상단부재, 최상단부재 및 각입플레이트를 서로 연결시키는 일정길이의 강봉;을 포함하며,It includes; lower length assembly, the upper member, the upper end member and the steel rod of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ing the angle plate;
상단부재의 개수는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압축력과 인장력에 따라 조절되어 복수 개 적층되고, 상기 상단부재의 내주면에는 외주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내측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umber of the top members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ompressive force and the tensile force applied from the top is laminated a plurality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groove of a predetermined depth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삭제delete
내측홈은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med by a predetermined angle.
상단부재의 외주면에는 내주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외측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groove of a predetermined depth towar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외측홈은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상단부재의 상면에는 일정 깊이의 기초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groove portion of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상단부재의 하면에는 일정 길이의 기초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ndation protrus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상단부재가 다층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When the upper member is composed of multiple layers,
어느 하나의 상단부재에 형성된 기초돌출부는 어느 하나의 상단부재와 인접한 하층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상단부재에 형성된 기초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se protrusion formed on one of the top members is inserted into the base groove formed on the other top member positioned in the lower layer adjacent to one of the top members.
기초홈부는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sic grooves ar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기초돌출부는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undation protrusions ar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i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기초홈부와 기초돌출부는 축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se groove portion and the base projection por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in the axial direction.
기초홈부와 기초돌출부의 개수는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umber of foundation grooves and foundation protrusions is characterized by the same.
기초홈부의 깊이와 기초돌출부의 길이는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pth of the foundation groove and the length of the foundation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하단부재는,The bottom member is
일정 각도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형상의 하단플레이트와, Fan-shaped bottom plate having a central angle of a certain angle,
하단플레이트의 원호 측 양단부로부터 중심각 부분을 향하여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 길이 형성되며, 하단플레이트의 상면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along the edge toward the center angle from both ends of the circular arc side of the low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cluding a flange portion protruding a certain heigh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하단플레이트의 중심각 부분에는 원호를 향하여 파여진 형상의 중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groove of the shape is dug toward the arc.
하단플레이트를 다수 개 조립하여 하단조립체를 구성하였을 때,When assembling a plurality of bottom plates to form a bottom assembly,
각각의 하단플레이트에 형성된 중앙홈에 의해 하단조립체의 중앙부에는 일정 크기의 중앙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entral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assembly by the central groove formed in each lower plate.
하단조립체를 이루기 위한 다수 개의 하단부재 사이의 결합은,The coupling between the plurality of bottom members to form a bottom assembly,
하나의 하단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어느 하나의 하단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하단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one lower plate, and the flange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other lower plate located on one side of any one lower plate.
하단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일정 높이 돌출되어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하단강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is projected to a certain heigh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teel bar is formed with a screw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하단강봉부는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steel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is formed.
하단플레이트를 다수 개 조립하여 하단조립체를 구성하였을 때,When assembling a plurality of bottom plates to form a bottom assembly,
하단조립체에 형성된 하단강봉부의 개수는 상단부재에 형성된 내측홈과 외측홈을 모두 합친 개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umber of the lower steel rods formed in the lower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as the total number of the inner groove and the outer groove formed in the upper member.
하단강봉부의 외측으로는 하단강봉부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연결재가 나사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side of the lower steel bar is formed longer than the axial length of the lower steel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connecting member is open at both ends is screwed.
하단플레이트를 다수 개 조립하여 하단조립체를 구성하였을 때,When assembling a plurality of bottom plates to form a bottom assembly,
하단조립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하단강봉부 각각의 위치는 상단부재에 형성된 내측홈 및 외측홈 각각의 위치와 서로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lower steel bar portions formed in the lower assembly are coaxial with each other and the positions of the inner and outer grooves formed in the upper member.
최상단부재에는 다수 개의 강봉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end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teel bar holes are formed.
최상단부재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강봉홀 각각의 위치는 하단조립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하단강봉부 각각의 위치와 서로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steel rod holes formed in the uppermost member are coaxial with each other and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lower steel rods formed in the lower assembly.
각입플레이트에는 다수 개의 강봉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ngl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teel bar holes are formed.
각입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강봉홀 각각의 위치는 최상단부재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강봉홀 각각의 위치와 서로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teel rod holes formed in the angular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axial with each other and the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teel rod holes formed in the uppermost member.
강봉의 일단은 하단조립체의 하단강봉부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나사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end of the steel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crewed in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lower 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bar of the lower assembly.
강봉은 내측홈 또는 외측홈에 반경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el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ally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or the outer groove.
강봉은 최상단부재에 형성된 강봉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el bar is characterized by penetrating the steel bar hole formed in the top end member.
강봉은 각입플레이트에 형성된 강봉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el bar is characterized by penetrating the steel bar hole formed in the angle plate.
각입플레이트를 관통한 강봉의 타단은 너트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ther end of the steel bar penetrating the angular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t is coupled.
최상단부재의 외경은 상단부재의 외경과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mos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member.
상단부재의 외경은 하단조립체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assembly.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기초 부재를 제작함으로써 기초 부재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기초 부재를 조립하여 기초체를 구성함으로써 설치를 용이하게 하여 기간, 비용 및 시공 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quality of the foundation member by manufacturing the foundation member by the precast method, and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foundation members to form the foundation body, thereby reducing the period, cost and construction manpower It has an effect.
또한, 상부 구조물이 기초체를 당기는 인장력에 대하여, 하단 부재와 직접 연결되는 강봉을 통해 구조적 일체화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기초체 전체가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tensile force for pulling the base body, the structural integr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steel rod directly connected to the lower member has the effect that the entire base body can respond to the tensile force.
또한, 기초 부재의 개수를 조절하여 기초체를 조립하기 때문에 지반 조건과 상부 구조물에 발생하는 하중에 따라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se body is assembl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base member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fficiently coped according to the ground conditions and the load generated in the upper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탑 기초체의 조립 완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봉이 설치된 하단부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단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 부재, 상단 부재 및 최상단 부재의 조립 완성도.1 is an assembly complete view of the prefabricated steel tower bas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member is installed steel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assembled complete view of the lower member, the upper member and the uppermos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figuration in each drawing is sometime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본 발명은 조립식 철탑 기초체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철탑 기초체를 부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현장에서 각 부분을 조립하여 일체화시킨 후 설치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to be installed after the steel tower foundation is partially assembled to assemble and integrate each part in the fiel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철탑 기초체의 조립 완성도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1 shows the assembly completeness of the prefabricated steel tower bas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철탑을 설치하기 위해 지반에 고정되는 본 발명의 기초체는, 하단부재(4)를 다수 개 조립하여 구성되는 원판형상의 하단조립체(2)와, 상기 하단조립체(2)와 동심이 되도록 상기 하단조립체(2)의 상단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상단부재(18)와, 상기 상단부재(18)와 동심이 되도록 상기 상단부재(18)의 상측에 적층되는 원판형상의 최상단부재(28)와, 상기 최상단부재(28)와 동심이며, 중앙에 철탑연결재(34)가 구비되는 원판형상으로 상기 최상단부재(28)의 상층에 적층되는 각입플레이트(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단조립체(2), 상기 상단부재(18), 상기 최상단부재(28), 상기 각입플레이트(32)는 일정 길이의 강봉(3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조립되어진다.The bas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ixed to the ground for installing a steel tower, has a disc-shaped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하단조립체(2)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하단조립체(2)는 다수 개의 상기 하단부재(4)가 조립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일정 각도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 형상의 하단플레이트(6)와,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원호(8) 측 양단부로부터 중심각 부분을 향하여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 길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상면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플랜지부(1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First, the
부채꼴 형상인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중심각 부분에는 상기 원호(8) 측을 향하여 파여진 형상의 중앙홈(14)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홈(14)은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홈으로 형성된다.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중앙홈(14)은 'V'형상으로 형성되어 'V'형상의 꼭짓점 부분이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원호(8) 중앙부를 향하도록 도시되었지만,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 중앙홈(14)은 일정 각도의 원호를 갖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부채꼴의 원호 부분이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원호(8) 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하단조립체(2)를 구성하기 위해 다수 개의 상기 하단플레이트(6)를 조립하였을 때, 각각의 상기 하단플레이트(6)에 형성된 상기 중앙홈(14)에 의해 상기 하단조립체(2)의 중앙부에는 일정 크기의 중앙홀(16)이 형성된다.When assembling the plurality of
상기 중앙홀(16)의 형상은 상기 중앙홈(14)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중앙홈(14)이 90도의 중심각을 갖는 'V'형상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중앙홀(16)의 형상은 사각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중앙홈(14)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중앙홀(16)은 원형상일 수 있다.The shape of the
상기 하단조립체(2)를 이루기 위한 다수 개의 상기 하단부재(4) 사이의 결합은, 어느 하나의 하단플레이트(6)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부(10)와, 상기 어느 하나의 하단플레이트(6)의 일측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하단플레이트(6)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부(10) 사이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coupling between the plurality of
즉, 어느 하나의 상기 하단플레이트(6) 양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1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하단플레이트(6) 양단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하단플레이트(6)에 형성된 플랜지부(10)와 각각 결합된다. That is, the
상기 플랜지부(10) 사이의 결합에 의해 다수 개의 상기 하단부재(4)가 일체화되어 상기 하단조립체(2)를 이루게 된다.A plurality of the
상기 플랜지부(10) 사이의 결합은 볼트 결합일 수 있다.The coupling between the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강봉이 설치된 하단부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member is installed steel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상면에는 일정 높이 돌출되며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하단강봉부(12)가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하단강봉부(12)의 외측으로는 상기 하단강봉부(12)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연결재(40)가 나사결합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하단강봉부(12)와 상기 연결재(40)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연결재(40)의 하단은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상면과 맞닿게 되며, 상기 연결재(40)의 상단은 상기 하단강봉부(12) 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상기 강봉(36)의 일단은 상기 연결재(4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삽입되면서 나사결합 되어, 상기 연결재(40) 내부에서 상기 강봉(36)의 일단과 상기 하단강봉부(12)의 상단이 맞닿게 된다.One end of the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기 강봉(36)에는 상기 상단부재(18), 상기 최상단부재(28) 및 상기 각입플레이트(32)가 차례로 삽입되어지게 된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단플레이트(6)가 중심각이 90도인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4개의 상기 하단부재(4)가 하나의 상기 하단조립체(2)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 하단플레이트(6)가 N개 조립되었을 때 하나의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중심각이 N/360°가 된다면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중심각 각도 및 상기 하단플레이트(6)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상단 부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4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p memb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상단부재(18)의 외경은 상기 하단조립체(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하단조립체(2) 상에 조립되었을 때, 상기 상단부재(18)의 외경부가 상기 플랜지부(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The outer diameter of the
상기 상단부재(18)의 상면에는 일정 깊이의 기초홈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재(18)의 하면에는 일정 길이 돌출된 기초돌출부(26)가 형성된다.A
상기 기초홈부(24)는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로 90도 이격되는 것으로 구성하였고, 상기 기초홈부(24) 또한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로 90도 이격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The
즉, 상기 기초홈부(24)와 상기 기초돌출부(26)는 서로 같은 개수로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상기 기초홈부(24)와 어느 하나의 상기 기초돌출부(26)는 상기 상단부재(18)에 있어 축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That is, the
상기 상단부재(18)는 다수 개 적층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상단부재(18)가 다층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어느 하나의 상단부재(18)에 형성된 상기 기초돌출부(26)는 상기 어느 하나의 상단부재(18)와 인접한 하층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상단부재(18)에 형성된 상기 기초홈부(24)에 삽입되어진다. The
상기 기초홈부(24)의 깊이와 상기 기초돌출부(26)의 돌출 길이는 서로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기초홈부(24)가 상기 기초돌출부(26)에 삽입됨으로써 다수 개의 상기 상단부재(18)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게 된다.The depth of the
상기 상단부재(18)의 내주면에는 외주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내측홈(20)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재(18)의 외주면에는 내주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외측홈(22)이 형성된다. An
상기 내측홈(20)은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외측홈(22) 또한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된다.The
서로 인접하는 상기 내측홈(20) 사이의 이격 각도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외측홈(22) 사이의 이격 각도의 2배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측홈(20) 사이의 이격 각도는 90도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상기 외측홈(22) 사이의 이격 각도는 45도인 것으로 도시되어,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의 상기 내측홈(20) 사이에 두 개의 상기 외측홈(22)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separation angle between the
즉, 어느 하나의 내측홈(20)과 상기 어느 하나의 내측홈(20)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외측홈(22)이 각각 삼각형상의 꼭짓점을 이루는 형상으로 구성된다.That is, any one
상기 기초홈부(24)와 상기 기초돌출부(26)는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외측홈(22)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내측홈(20)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된다.The
상기 하단플레이트(6)를 다수 개 조립하여 하나의 상기 하단조립체(2)를 구성하였을 때, 상기 하단조립체(2)에 형성된 상기 하단강봉부(12)의 개수는 상기 상단부재(18)에 형성된 내측홈(20)과 외측홈(22)을 모두 합친 개수와 동일하게 구성된다.When the plurality of
상기 하단플레이트(6)를 다수 개 조립하여 상기 하단조립체(2)를 구성하였을 때, 상기 하단조립체(2)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상기 하단강봉부(12) 각각의 위치는 상기 하단플레이트(6)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상단부재(18)에 형성된 상기 내측홈(20) 및 상기 외측홈(22) 각각의 위치와 서로 동축이 된다.When the plurality of
예를 들어, 상기 하단플레이트(6)가 90도의 중심각을 갖도록 형성되었을 때, 각각의 상기 하단플레이트(6)에는 삼각형상을 이루는 3개의 상기 하단강봉부(12)가 형성된다. For example, when the
상기와 같은 형상의 하단플레이트(6)가 조립되어 하나의 하단조립체(2)를 구성할 때, 어느 하나의 내측홈(20)과 상기 어느 하나의 내측홈(20)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외측홈(22)이 이루는 삼각형상이 어느 하나의 상기 하단플레이트(6) 상에 위치하게 되고, 어느 하나의 하단플레이트(6)에 형성된 삼각형상의 하단강봉부(12)와, 삼각형상을 이루는 어느 하나의 내측홈(20)과 상기 어느 하나의 내측홈(20)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상기 외측홈(22)이 서로 동축 상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따라서, 일단이 상기 연결재(40)에 축방향으로 일정 깊이 삽입된 상기 강봉(36)은 상기 내측홈(20) 또는 상기 외측홈(22)에 반경방향으로 삽입된다.Therefore, the
상기 상단부재(18)는 설치되는 지반의 지지력이 부족하여 상부의 철탑 등 지상에서 작용하는 압축력에 비해 지반의 지지효과가 부족할 경우 개수를 추가하여 적층함으로써 상부의 압축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즉, 상기 상단부재(18)의 적층 개수는 기초체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 구조물에 발생되는 하중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That is, the stacking number of the
상기 상단부재(18)가 다층으로 구성될 때 상기 상단부재(18)는, 어느 하나의 상단부재에 형성된 외측홈(22) 및 내측홈(20)이 다른 하나의 상기 상단부재(18)에 형성된 외측홈(22) 및 내측홈(20)과 축방향으로 동축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When the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 부재, 상단 부재 및 최상단 부재의 조립 완성도가 도시되어 있다.5 shows the assembly completeness of the lower member, the upper member and the uppermos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상단부재(18) 상에 적층되는 상기 최상단부재(28)는 외경이 상기 상단부재(18)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부재(28)에는 다수 개의 강봉홀(30)이 형성된다.The
상기 하단조립체(2), 상기 상단부재(18) 및 상기 최상단부재(28)가 차례로 적층되어있을 때, 상기 최상단부재(28)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강봉홀(30)은 상기 하단조립체(2)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하단강봉부(12) 각각과 서로 동축인 위치에 형성된다.When the
상기 최상단부재(28) 상에 적층되는 상기 각입플레이트(32)에도 다수 개의 강봉홀이 형성되어, 상기 각입플레이트(32)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강봉홀 또한 상기 최상단부재(28)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상기 강봉홀(30)과 각각 서로 동축인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A plurality of steel rod holes are also formed in the
상기 상단부재(18)의 상기 외측홈(22) 및 상기 내측홈(20)을 관통한 상기 강봉(36)은 상기 최상단부재(28)에 형성된 상기 강봉홀(30)은 관통한 후, 상기 각입플레이트(32)에 형성된 상기 강봉홀을 관통하게 된다.The
상기 각입플레이트(32)를 관통한 상기 강봉(36)의 타단에는 너트(38)가 결합되어 상기 하단부재, 상기 상단부재 및 상기 각입플레이트가 일체화 된 상태로 구성되어 본 발명의 기초체를 지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other end of the
즉, 상기 강봉(36)은, 양단이 상기 연결재(40), 상기 최상단부재(28) 및 상기 각입플레이트(32)에 삽입되고, 상기 강봉(36)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부분은 상기 외측홈(22) 및 내측홈(20)에 삽입되어 가이드 되는 형상으로 고정되어진다.That is,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기초체는, 상기 하단부재(4), 상기 상단부재(18)를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 및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초 부재에 대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설치를 용이하게 하여 기간, 비용 및 시공 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bas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and constructed in the field by manufacturing the
또한, 상부의 압축력 및 인장력에 따라 상기 상단부재(18)의 적층 개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기초체의 저항력을 증대시켜 기초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등 상부 구조물에 발생되는 하중과 지반의 조건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stacking of th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조립식 철탑 기초체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steel tower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You will know.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2 : 하단조립체
4 : 하단부재
6 : 하단플레이트
8 : 원호
10 : 플랜지부
12 : 하단강봉부
14 : 중앙홈
16 : 중앙홀
18 : 상단부재
20 : 내측홈
22 : 외측홈
24 : 기초홈부
26 : 기초돌출부
28 : 최상단부재
30 : 최상단부재의 강봉홀
32 : 각입플레이트
34 : 철탑연결재
36 : 강봉
38 : 너트
40 : 연결재2: lower assembly
4: lower member
6: bottom plate
8: arc
10: flange part
12: lower steel bar
14: center groove
16: concourse
18: top member
20: inner groove
22: outer groove
24: foundation groove
26: foundation protrusion
28: top end member
30: steel rod hole of top end member
32: engraving plate
34: steel tower connector
36: steel bar
38: nut
40: connecting member
Claims (33)
하단부재를 다수 개 조립하여 구성되는 원판형상의 하단조립체;
상기 하단조립체와 동심이 되도록 상기 하단조립체 상단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상단부재;
상기 상단부재와 동심이 되도록 상기 상단부재의 상측에 적층되는 원판형상의 최상단부재;
중앙에 철탑연결재가 구비되는 원판형상이며, 상기 최상단부재의 상층에 적층되는 각입플레이트;
상기 하단조립체, 상기 상단부재, 상기 최상단부재 및 상기 각입플레이트를 서로 연결시키는 일정길이의 강봉;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부재의 개수는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압축력과 인장력에 따라 조절되어 복수 개 적층되고,
상기 상단부재의 내주면에는 외주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내측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In the foundation fixed to the ground for installing a steel tower,
A disk-shaped lower end assembly configur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lower end members;
A ring-shaped upper end member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lower assembly so as to be concentric with the lower assembly;
A disk-shaped uppermost member stacked above the upper member so as to be concentric with the upper member;
A prismatic plate-shaped plate having a steel tower connection material in the center thereof and stacked on an upper layer of the uppermost member;
And a steel r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ing the lower assembly, the upper member, the uppermost member, and the recessed plate to each other.
The number of the upper memb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ompressive force and the tensile force applied from the top of the plurality of laminated,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member is formed with an inner groove of a predetermined depth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내측홈은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1,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groove is formed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상단부재의 외주면에는 내주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외측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1,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member is formed with an outer groove of a predetermined depth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외측홈은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Prefabricated steel tower bas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groove is formed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상단부재의 상면에는 일정 깊이의 기초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1,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is formed with a base groove of a predetermined depth.
상기 상단부재의 하면에는 일정 길이의 기초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1,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is formed with a basic protrus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상단부재가 다층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어느 하나의 상단부재에 형성된 기초돌출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상단부재와 인접한 하층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상단부재에 형성된 기초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When the upper member is composed of a multilayer,
Foundation protrusions formed on any one of the top member is a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base groove formed in the other top member located in the lower layer adjacent to any one of the top member.
상기 기초홈부는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6,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ndation grooves are formed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기초돌출부는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foundation projections are formed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기초홈부와 상기 기초돌출부는 축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8,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ndation groove and the foundation projection is located on the same line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기초홈부와 상기 기초돌출부의 개수는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8,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he base groove portion and the base projection portion equal to each other.
상기 기초홈부의 깊이와 상기 기초돌출부의 길이는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8,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th of the base groove portion and the length of the foundation projection is equal to each other.
상기 하단부재는,
일정 각도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형상의 하단플레이트와,
상기 하단플레이트의 원호 측 양단부로부터 중심각 부분을 향하여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 길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플레이트의 상면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member,
Fan-shaped bottom plate having a central angle of a certain angle,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along the edge toward the center angle portion from both ends of the circular arc side of the lower plate, it is formed including a flange protruding a certain heigh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Prefabricated pylon base body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하단플레이트의 중심각 부분에는 상기 원호를 향하여 파여진 형상의 중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14,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groove of the lower plate is formed with a central groove of the shape that is dug toward the arc.
상기 하단플레이트를 다수 개 조립하여 상기 하단조립체를 구성하였을 때,
각각의 상기 하단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중앙홈에 의해 상기 하단조립체의 중앙부에는 일정 크기의 중앙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15,
When assembling a plurality of the bottom plate to constitute the bottom assembly,
Prefabricated steel tower bas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assembly by the central groove formed in each of the lower plate.
상기 하단조립체를 이루기 위한 다수 개의 상기 하단부재 사이의 결합은,
어느 하나의 하단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하단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하단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14,
Coupling between a plurality of the lower member for forming the lower assembly,
A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comprising: a flange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one of the lower plates and a flange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other lower plat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one lower plate.
상기 하단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일정 높이 돌출되어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하단강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14,
Prefabricated steel tower bas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protrud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with a lower steel bar formed with a screw por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하단강봉부는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18,
Prefabricated steel tower base body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lower steel bar is formed.
상기 하단플레이트를 다수 개 조립하여 상기 하단조립체를 구성하였을 때,
상기 하단조립체에 형성된 상기 하단강봉부의 개수는 상기 상단부재에 형성된 내측홈과 외측홈을 모두 합친 개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19,
When assembling a plurality of the bottom plate to constitute the bottom assembly,
Prefabricated steel tower bas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he lower steel bar portion formed in the lower assembly is the same as the sum of both the inner groove and the outer groove formed in the upper member.
상기 하단강봉부의 외측으로는 상기 하단강봉부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연결재가 나사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19,
An outer side of the lower steel bar portion is formed longer than the axial length of the lower steel bar,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connecting member is open at both ends are screwed.
상기 하단플레이트를 다수 개 조립하여 상기 하단조립체를 구성하였을 때,
상기 하단조립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상기 하단강봉부 각각의 위치는 상기 상단부재에 형성된 내측홈 및 외측홈 각각의 위치와 서로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19,
When assembling a plurality of the bottom plate to constitute the bottom assembly,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steel bar portion formed in the lower assembly is coaxial with each other the position of the inner and outer grooves formed in the upper member.
상기 최상단부재에는 다수 개의 강봉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1,
Prefabricated steel tower base body,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teel bar holes are formed in the top end member.
상기 최상단부재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강봉홀 각각의 위치는 상기 하단조립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하단강봉부 각각의 위치와 서로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teel rod holes formed in the upper end member is a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axial with each other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lower steel rods formed in the lower assembly.
상기 각입플레이트에는 다수 개의 강봉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1,
Prefabricated steel tower bas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eel bar holes.
상기 각입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강봉홀 각각의 위치는 상기 최상단부재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강봉홀 각각의 위치와 서로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25,
The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teel bar holes formed in the angular plate is coaxial with each other, the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teel bar holes formed in the upper end member.
상기 강봉의 일단은 상기 하단조립체의 하단강봉부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나사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18,
One end of the steel bar is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ed in the axial direction toward the lower 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lower steel bar of the assembly.
상기 강봉은 상기 내측홈 또는 상기 외측홈에 반경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el bar is a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or the outer groove in the radial direction.
상기 강봉은 상기 최상단부재에 형성된 강봉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steel bar is a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the steel bar hole formed in the upper end member.
상기 강봉은 상기 각입플레이트에 형성된 강봉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25,
The steel bar is a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the steel bar hole formed in the angle plate.
상기 각입플레이트를 관통한 상기 강봉의 타단은 너트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30,
Prefabricated steel tower bas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steel bar penetrating the angular plate is coupled to the nut.
상기 최상단부재의 외경은 상기 상단부재의 외경과 서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end member is a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member.
상기 상단부재의 외경은 상기 하단조립체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철탑 기초체.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member is a prefabricated steel tower foundation, characterized in that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assemb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7562A KR102081637B1 (en) | 2017-09-29 | 2017-09-29 | Prefabricated tower found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7562A KR102081637B1 (en) | 2017-09-29 | 2017-09-29 | Prefabricated tower found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7833A KR20190037833A (en) | 2019-04-08 |
KR102081637B1 true KR102081637B1 (en) | 2020-02-26 |
Family
ID=6616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7562A Active KR102081637B1 (en) | 2017-09-29 | 2017-09-29 | Prefabricated tower found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163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4826B1 (en) * | 2019-07-05 | 2020-05-25 | 신을호 | Prefabricated pc tower foundation structure |
CN112878355B (en) * | 2021-01-25 | 2021-10-26 | 北京天罡星机械设备租赁有限公司 | Tower crane founda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3564Y1 (en) * | 2000-08-04 | 2001-02-15 | 현대피씨엔지니어링주식회사 | Fabricated pier |
US20170183840A1 (en) * | 2015-12-23 | 2017-06-29 | 649119 N.B. Inc. | Pre-cast concrete foundation of modular construction for telecommunication or wind turbine tow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4149B1 (en) * | 2006-11-24 | 2008-02-19 | 전영총 | Construction method of PC structure piers and PC structure piers |
KR101100438B1 (en) * | 2009-06-03 | 2011-12-30 | 장수호 | Basic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of Tower Structure |
KR101321818B1 (en) * | 2011-12-28 | 2013-10-23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Precast concrete column structure |
KR20140049240A (en) | 2012-10-17 | 2014-04-25 | 한국전력공사 | Base reinforcement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helper-tower |
-
2017
- 2017-09-29 KR KR1020170127562A patent/KR10208163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3564Y1 (en) * | 2000-08-04 | 2001-02-15 | 현대피씨엔지니어링주식회사 | Fabricated pier |
US20170183840A1 (en) * | 2015-12-23 | 2017-06-29 | 649119 N.B. Inc. | Pre-cast concrete foundation of modular construction for telecommunication or wind turbine tow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7833A (en) | 2019-04-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99954B2 (en) | Tower support structure | |
CN211421159U (en) | Center barrel component of tower barrel foundation, center barrel and tower barrel foundation | |
WO1989002013A1 (en) | Modular building connecting means | |
US8789318B1 (en) | Dome structure | |
KR102081637B1 (en) | Prefabricated tower foundation | |
KR101648008B1 (en) | Temporary bridge using precast truss assembly construction method | |
US20160356294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 Structural Member to a Pile | |
CN110359549B (en) | Multi-storey prefabricated house with balcony | |
CA2813635A1 (en) | Form system with lath covering | |
AU2013200553B2 (en) | Locking Collar for Space Frame Construction | |
CN108824791B (en) | A multi-section circular caisson scaffolding assembly support platform | |
KR101904121B1 (en) | Composite Column with the Steel and the Concrete | |
KR102036309B1 (en) | Prefabricated tower foundation | |
CN212744216U (en) | Wind-powered electricity generation basis crab-bolt components of a whole that can function independently cage mounting structure | |
JP6113415B2 (en) | Joint structure for joining seismic isolation devices to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 |
KR101112526B1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fabricated architecture | |
JP2015124551A (en) | Connection structure of built-up house | |
CN108868002B (en) | Polygonal steel column structure and net rack | |
JP3242197U (en) | Seismic structure of multi-layered stone structural objects | |
CN114703965B (en) | Steel structure quick-plug connection node assembly and its installation process | |
CN210263374U (en) | Assembled steel structure frame and assembled steel structure house | |
WO2023281568A1 (en) | Utility pole | |
CN215626367U (en) | Tower crane embedded leg fixing device | |
JP2021177027A (en) | Foundation leg for temporary house and temporary house using the same | |
CN207032502U (en) | A kind of combination room construction for building municipal wor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