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1441B1 -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 - Google Patents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441B1
KR102081441B1 KR1020170153627A KR20170153627A KR102081441B1 KR 102081441 B1 KR102081441 B1 KR 102081441B1 KR 1020170153627 A KR1020170153627 A KR 1020170153627A KR 20170153627 A KR20170153627 A KR 20170153627A KR 102081441 B1 KR102081441 B1 KR 102081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ter
roof
cold
bus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557A (ko
Inventor
윤명희
최태옥
김승완
오영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라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라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라이텍
Priority to KR1020170153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4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44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겨울에 승강장 내부로 따뜻한 온기를 제공하고 여름에는 시원한 냉기를 제공할 수 있는 버스승강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은 버스 이용객이 버스를 기다리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고 상부에 지붕이 마련된 쉘터와, 쉘터의 내측에 설치되는 벤치와, 쉘터의 지붕에 설치되며 상기 벤치에 자연광이 비추도록 하여 상기 벤치를 가열하는 자연광조사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bus station for enhancing usability}
본 발명은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겨울에 승강장 내부로 따뜻한 온기를 제공하고 여름에는 시원한 냉기를 제공할 수 있는 버스승강장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버스승강장에 지면에 고정된 폴대와 폴대에 버스 노선 정보를 표시한 표지판이 고정된 형태로 버스승강장임을 나타내었다.
최근에는 버스를 이용하는 이용객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버스승강장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에게 광고 등의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도록 여러 지지판이 주골조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부스(Booth) 형식의 버스승강장 구조물이 설치되고 있다.
지하철의 경우 플랫폼과 전동차의 실내에 각각 냉난방장치가 설치되어 이용객의 편의를 적극 개선하고 있으나, 버스의 경우 실내에는 냉난방시설이 마련되어 있기는 하나 버스승강장은 주로 개방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이용객이 도착할 버스를 기다리는 공간임에도 냉난방시설과 같은 편의시설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물론,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앉아 있거나 잠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의자나 벤치가 설치되거나, 직사광선이나 비바람을 피할 수 있는 차양이나 바람막이 등이 설치된 곳도 있으나, 더운 여름에 대중교통 이용객들은 버스가 도착할 때까지 무더위 속에서 버스를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는 추운 겨울에는 대중교통 이용객들은 버스가 도착할 때까지 추위에 떨며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동절기에는 대중교통의 이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많다.
버스승강장에 냉난방 시설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들로는, 버스정류소는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는 공공시설물이므로 관리를 특정 이용자를 지정하여 관리할 수 없는 점, 이용객이 버스가 도착할 때까지 임시로 대기할 뿐 항시 머물러 있지 않기 때문에 가동중인 냉난방시설을 적시에 온/오프시키기 어려운 점, 이용객이 많은 정류소의 경우 수시로 출입하는 이용자로 인해 냉난방효율이 떨어지고 에너지의 낭비가 가중되는 점 등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난방이 가능한 버스승강장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9467호에는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난방되는 정류장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정류장은 쉘터, 이용객이 착석하는 의자, 의자에 장착되는 발열시트, 이용객이 상기 의자에 착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착석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인체감지센서 및 상기 착석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발열시트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발열시트를 발열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하지만, 이러한 정류장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의자를 발열시키는 구조이므로 전기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이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9467호: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난방되는 정류장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겨울에 승강장 내부로 따뜻한 온기를 제공하여 버스를 기다리는 이용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버스승강장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은 버스 이용객이 버스를 기다리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고 상부에 지붕이 마련된 쉘터와; 상기 쉘터의 내측에 설치되는 벤치와; 상기 쉘터의 지붕에 설치되며 상기 벤치에 자연광이 비추도록 하여 상기 벤치를 가열하는 자연광조사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자연광조사유닛은 상기 지붕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벤치를 향해 통로가 형성된 광케이스와, 상기 광케이스에 설치되어 자연광을 모아서 상기 통로로 전달하는 집광부와, 상기 광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는 투명소재로 형성된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면에 형성되어 대기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면서 상기 베이스패널을 통과하는 광량을 변화시키는 가변코팅막을 구비한다.
상기 쉘터에 설치되어 냉기와 온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쉘터의 내측에 공급하는 냉온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냉온유닛은 상기 지붕에 매립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펠티어소자와, 상기 펠티어소자의 일면과 접하는 제 1내부공간 및 상기 펠티어소자의 타면과 접하는 제 2내부공간으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제 1내부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쉘터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내부공간에서 배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쉘터의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냉온기이동부와, 상기 제 2내부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쉘터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관을 구비한다.
상기 냉온기이동부는 상기 제 1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을 통해 냉기 또는 온기가 유입되는 메인공급관과, 상기 메인공급관에서 다수의 경로로 분산되어 단부가 상기 쉘터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서브공급관들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붕으로 비추는 자연광을 모아서 벤치에 전달함으로써 벤치를 따뜻하게 하여 겨울에 버스 이용객이 벤치에서 편안하게 앉아서 버스를 기다릴 수 있는 버스승강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광을 이용하므로 전기의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광과 함께 펠티어 소자를 이용하여 승강장 내부로 따뜻한 온기나 시원한 냉기를 제공할 수 있는 냉온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어서 여름철과 겨울철에 버스를 기다리는 이용객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스승강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스승강장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용객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버스승강장은 쉘터(10)와, 쉘터(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벤치(20)와, 쉘터(10)에 설치되며 벤치에 자연광이 비추도록 하여 벤치(20)를 가열하는 자연광조사유닛(30)을 구비한다.
쉘터(10)는 내부에 버스 이용객이 버스를 기다리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상구조물이다. 쉘터(10)는 도로가에 설치된다. 쉘터(10)는 지면에 형성한 기초콘크리트층 위에 세워질 수 있다.
쉘터(10)는 전면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직사광선이나 눈과 비바람을 피할 수 있도록 쉘터(10)의 상부에는 지붕(15)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면 및 후면에는 보호벽(11)(12)(13)이 각각 설치된다. 쉘터의 지붕(15)은 유리로 형성되거나,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벽(11)(12)(13)은 쉽게 깨지지 않는 고강도의 유리나 아크릴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호벽(11)(12)(13)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버스노선이나 지역 관광 안내와 같은 각종 정보를 버스를 기다리는 이용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용객이 버스를 앉아서 기다릴 쉴 수 있도록 쉘터(10)의 내측에 벤치(20)가 설치된다.
벤치(20)는 시트부(21)와, 시트부(21)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다리(25)로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시트부(21)의 후면에는 등받이가 설치될 수 있다. 시트부(21)는 목재, 금속,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겨울철에 시트부가 따뜻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자연광조사유닛(30)이 구비된다.
자연광조사유닛(30)은 벤치(20)의 시트부(21)에 자연광이 비추도록 하여 시트부(21)를 따뜻하게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연광조사유닛(30)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지 않고 자연광만으로 시트부(21)를 난방시키는 구조이다. 자연광조사유닛(30)은 쉘터의 지붕(15)에 비추는 자연광을 이용하여 시트부(21)를 가열하는 구조이므로 도심뿐만 아니라 전기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서 매우 유용하다.
자연광조사유닛(30)은 쉘터(10)의 지붕(15)에 설치된다. 자연광조사유닛(30)은 지붕(15)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벤치(20)를 향해 통로(32)가 형성된 광케이스(31)와, 광케이스(31)에 설치되어 자연광을 모아서 통로(32)로 전달하는 집광부(33)와, 광케이스(31)에 설치되어 통로(32)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36)를 구비한다.
광케이스(31)는 쉘터의 지붕(15)을 상하로 관통한다. 광케이스(31)는 상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광케이스(31)의 상단부는 지붕(15) 위로 노출되고, 광케이스(31)의 하단부는 지붕(15) 아래로 노출된다.
광케이스(31)는 단면이 사각 또는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광케이스(31)는 내부가 비어있어서 통로(32)가 형성된다. 통로(32)를 통해 자연광은 쉘터(1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광케이스(31)는 벤치의 시트부(21)와 대응되도록 지붕(15)에 설치된다. 즉, 광케이스(31)는 시트부(21)의 상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광케이스(31)의 통로(32)는 시트부(21)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집광부(33)는 광케이스(31)에 설치되어 자연광을 모으는 역할을 한다. 집광부(33)는 광케이스(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지붕(15) 밖으로 노출된다. 집광부(33)는 자연광을 모아서 통로(32)로 전달한다.
도시된 일 예로, 집광부(33)는 상방으로 볼록한 구조를 갖는다. 가령, 집광부(33)는 투광돔(34)과, 투광돔(34)에 형성된 다수의 볼록돌출부(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광돔(34)은 빛이 잘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투광돔(34)은 광케이스(31)의 상부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에 결합된다.
볼록돌출부(35)는 투광돔(34)의 외측면에 다수가 형성된다. 볼록돌출부(35)는 투광돔(34)의 바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볼록돌출부(35)는 투광돔(34) 외부의 자연광을 효과적으로 모을 수 있다.
광케이스(31)의 내부에는 광학부(39)가 마련된다. 광학부(39)는 집광부(33)를 통과하여 통로(32)의 내부로 유입된 광을 벤치(20)로 전달한다. 광학부(39)는 자연광을 집속하거나 확산시켜 자연광이 시트부(21)에 조사되도록 한다.
광학부(39)는 일 예로 단일의 오목렌즈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광학부(39)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오목렌즈 또는 빛을 수렴시키기 위한 집속렌즈로 이루어지거나 단일의 오목렌즈 또는 볼록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학부(39)는 오목렌즈와 집속렌즈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커버(36)는 광케이스(31)에 설치되어 통로(32)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더운 여름철에는 통로(32)를 막아 시트부(21)가 가열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커버(36)는 이용객이 직접 여닫는 수동식 구조 또는 전자적으로 제어되어 여닫는 자동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커버(36)는 수동식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커버(36)는 광케이스(31)의 일측에 형성된 출입구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으로 슬라이딩이동하면서 통로(32)를 개폐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광케이스(31)의 내측면에는 커버(36)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37)가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커버(36)의 가장자리는 상하 가이드부재(37) 사이의 홈에 끼워져 왕복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커버는 광케이스(31)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는 통로를 가로막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커버는 투명소재로 형성된 베이스패널과, 베이스패널의 일면에 형성되어 대기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면서 베이스패널을 통과하는 광량을 변화시키는 가변코팅막을 구비한다.
가변코팅막은 더운 여름에 농도가 짙은 색상으로 변하여 빛이 베이스패널을 통과하는 것을 막고, 추운 겨울에는 옅은 색상으로 변하여 빛이 베이스패널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변코팅막으로 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베이스패널의 일면에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필름형태로 이루어진 가변필름을 베이스패널의 일면에 부착하여 가변코팅막을 대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도성 고분자 물질은 전류의 세기에 따라 배향구조를 달리하는 공지의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가변코팅막은 한쌍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전기가 공급된다. 가변코팅막은 전압의 세기에 따라 투명도가 달라져 베이스패널을 통과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가변코팅막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쉘터에 태양광전지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쉘터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대기온도에 따라 전기를 가변코팅막에 인가하여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겨울철에는 가변코팅막이 무색 또는 옅은 색상으로 변하도록 하여 자연광의 투과율을 높이고, 여름에는 가변코팅막이 짙은 색으로 변하여 자연광의 투과율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가변코팅막으로 시온안료를 베이스패널의 일면에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시온안료로 겨울철에는 무색 또는 옅은 색상으로 변하고 여름철에는 짙은 색으로 변하는 공지의 가역성 시온안료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가변코팅막을 이용하는 경우 계절에 따라 커버를 별도로 여닫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로 냉온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된 냉온유닛(50)은 쉘터(10)의 지붕(15)에 설치되어 냉기와 온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쉘터의 내측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냉온유닛(50)은 반도체의 일종인 펠티어 소자를 이용하므로 전기의 소모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 버스승강장이 설치되는 경우 소용량의 태양광전지를 설치하여 충분히 작동시킬 수 있다.
냉온유닛(50)은 쉘터(10)의 지붕(15)에 매립되는 하우징(51)과, 하우징(51)의 내부에 설치되는 펠티어소자(53)와, 펠티어소자(53)의 일면과 접하는 제 1내부공간(55) 및 펠티어소자(53)의 타면과 접하는 제 2내부공간(57)으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59)과, 제 1내부공간(55)과 연결되어 쉘터(10)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제 1내부공간(55)에서 배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이동하는 냉온기이동부와, 제 2내부공간(55)과 연결되어 쉘터(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관(61)을 구비한다.
하우징(51)은 내부가 빈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51)의 내부에 펠티어소자(53)가 설치된다. 펠티어(peltier) 소자(53)는 전기를 공급하면 한쪽 면은 냉각되고 반대쪽 면은 가열되는 열전소자로서,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펠티어소자(53)는 다수를 배열하여 판상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펠티어소자(53)는 하우징(51)의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하우징(51)의 내부공간을 2개의 공간, 즉 제 1내부공간(55)과 제 2내부공간(57)으로 분할한다.
따라서 펠티어소자(53)의 일면은 제 1내부공간(55)을 향하고, 펠티어소자(53)의 타면은 제 2내부공간(57)을 향한다. 펠티어소자(53)는 전기의 흐름에 따라 냉각면과 가열면이 바뀐다.
제 1내부공간(55)과 접하는 펠티어소자(53)의 일면에는 방열핀(54)이 설치된다. 방열핀(54)은 하우징(5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펠티어소자(53)와의 열교환효율을 높인다. 방열핀(54)은 펠티어소자(53)의 일면뿐만 아니라 양면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51)의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해 송풍팬(59)이 설치된다. 송풍팬(59)은 하우징(51)과 인접하게 지붕(15)의 내부에 설치된다.
송풍팬(59)에서 하우징(51)의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해 송풍팬(59)과 하우징(51)은 송풍관으로 이루어진다. 송풍관은 메인송풍관(60a)과 서브송풍관(60b)으로 이루어진다.
메인송풍관(60a)은 송풍팬(59)의 토출구에 연결된다. 서브송풍관(60b)은 메인송풍관(60a)에서 분기되어 형성된다. 서브송풍관(60b)은 2개가 나란하게 설치된다. 어느 하나의 서브송풍관은 제 1내부공간(55)과 연통되도록 하우징(51)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서브송풍관은 제 2내부공간(57)과 연통되도록 하우징(51)에 결합된다.
송풍팬(59)에 의해 하우징(5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가열되거나 냉각된다. 가령, 제 1내부공간(55)으로 유입된 공기가 가열될 경우 제 2내부공간(57)으로 유입된 공기는 냉각된다. 그리고 제 1내부공간(55)으로 유입된 공기가 냉각될 경우 제 2내부공간(57)으로 유입된 공기는 가열된다.
냉온기이동부는 제 1내부공간(55)과 연결되어 쉘터(10)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냉온기이동부는 제 1내부공간(55)에서 배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쉘터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냉온기이동부는 제 1내부공간(55)과 연결되는 연결관(63)과, 연결관(63)을 통해 냉기 또는 온기가 유입되는 메인공급관(65)과, 메인공급관(65)에서 다수의 경로로 분산되어 단부가 쉘터(10)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서브공급관들(67)을 구비한다.
여름철에 제 1내부공간(55)과 접하는 펠티어소자(53)가 냉각면이 되도록 전류가 제어되면, 제 1내부공간(55)으로 유입된 공기는 냉각된다. 제 1내부공간(55)에서 배출되는 냉기는 서브공급관(67)을 통해 쉘터(10)의 지붕(15) 아래로 공급된다. 따라서 버스를 기다리는 이용객들에게 여름에 시원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겨울철에 제 1내부공간(55)과 접하는 펠티어소자(53)가 가열면이 되도록 전류가 제어되면, 제 1내부공간(55)으로 유입된 공기는 가열된다. 제 1내부공간(55)에서 배출되는 온기는 서브공급관(67)을 통해 쉘터의 지붕(15) 아래로 공급된다. 따라서 버스를 기다리는 이용객들에게 겨울에 따뜻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관(61)은 제 2내부공간(57)과 연결되어 쉘터(1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여름철에는 배기관(61)을 통해 따뜻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겨울철에는 배기관(61)을 통해 차가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쉘터에 모션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이용객이 있을 경우에만 냉온기 유닛이 작동하도록 전자적으로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여름과 겨울에 펠티어소자와 전류흐름이 바뀌도록 전자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쉘터 15: 지붕
20: 벤치 21: 시트부
30: 자연광조사유닛 31: 광케이스
33: 집광부 36: 커버
39: 광학부

Claims (6)

  1. 버스 이용객이 버스를 기다리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고 상부에 지붕이 마련된 쉘터와;
    상기 쉘터의 내측에 설치되며,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의 좌우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다리로 이루어진 벤치와;
    상기 쉘터의 지붕에 설치되며 상기 시트부에 자연광이 비추도록 하여 상기 시트부를 가열하는 자연광조사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자연광조사유닛은 상기 지붕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단부는 상기 지붕 위로 노출되고 하단부는 상기 지붕 아래로 노출되며 내부에는 상기 벤치를 향해 통로가 형성된 광케이스와, 상기 광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붕 밖으로 노출되며 자연광을 모아서 상기 통로로 전달하는 집광부와, 상기 광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집광부는 상방으로 볼록한 투광돔과, 상기 투광돔의 외측면에 볼록하게 돌출되는 다수의 볼록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투명소재로 형성된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일면에 형성되어 대기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면서 상기 베이스패널을 통과하는 광량을 변화시키는 가변코팅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쉘터에 설치되어 냉기와 온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쉘터의 내측에 공급하는 냉온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유닛은 상기 지붕에 매립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펠티어소자와, 상기 펠티어소자의 일면과 접하는 제 1내부공간 및 상기 펠티어소자의 타면과 접하는 제 2내부공간으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제 1내부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쉘터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내부공간에서 배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쉘터의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냉온기이동부와, 상기 제 2내부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쉘터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기이동부는 상기 제 1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을 통해 냉기 또는 온기가 유입되는 메인공급관과, 상기 메인공급관에서 다수의 경로로 분산되어 단부가 상기 쉘터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서브공급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
KR1020170153627A 2017-11-17 2017-11-17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 Expired - Fee Related KR102081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627A KR102081441B1 (ko) 2017-11-17 2017-11-17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627A KR102081441B1 (ko) 2017-11-17 2017-11-17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557A KR20190056557A (ko) 2019-05-27
KR102081441B1 true KR102081441B1 (ko) 2020-02-25

Family

ID=6667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627A Expired - Fee Related KR102081441B1 (ko) 2017-11-17 2017-11-17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4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373B1 (ko) 2022-04-13 2022-10-24 (주)아리산업 에너지 절약형 공공쉼터 시스템
KR102457365B1 (ko) 2022-04-13 2022-10-25 (주)아리산업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
KR20240000518U (ko) 2022-09-14 2024-03-21 구창도 버스정류장용 대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2688A (zh) * 2019-08-05 2019-10-15 云手指智能科技(江苏)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公交站用环境监测系统
KR102320069B1 (ko) * 2020-02-24 2021-10-29 황승환 개방형 흡연부스
KR102326589B1 (ko) * 2020-02-28 2021-11-12 황민선 이동식 버스정류장
KR102357403B1 (ko) * 2020-04-01 2022-01-27 황승환 전력공급수단을 갖는 이동식 버스정류장
KR102201018B1 (ko) 2020-10-07 2021-01-11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유도라인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버스정보 안내 및 상태 감시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4089A (ja) * 2007-06-05 2008-12-18 Daiwa House Ind Co Ltd 太陽熱集熱構造
KR101033231B1 (ko) * 2011-03-09 2011-05-09 주식회사 삼안 태양열을 이용한 친환경 공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3576A (ko) * 2007-01-02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39467A (ko) 2014-10-01 2016-04-11 (주)아리산업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난방되는 정류장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4089A (ja) * 2007-06-05 2008-12-18 Daiwa House Ind Co Ltd 太陽熱集熱構造
KR101033231B1 (ko) * 2011-03-09 2011-05-09 주식회사 삼안 태양열을 이용한 친환경 공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373B1 (ko) 2022-04-13 2022-10-24 (주)아리산업 에너지 절약형 공공쉼터 시스템
KR102457365B1 (ko) 2022-04-13 2022-10-25 (주)아리산업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
KR20240000518U (ko) 2022-09-14 2024-03-21 구창도 버스정류장용 대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557A (ko) 201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441B1 (ko)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
US8695614B2 (en) Air cooled umbrella
ES2331717T3 (es) Toldo que comprende una instalacion de pulverizacion integrada.
WO2016121347A1 (ja) 建物
US20230295942A1 (en) Safety smart shelter for disaster evacuation
KR101293326B1 (ko) 태양광을 이용한 편리한 버스정류장 쉘터
AU2013265463B2 (en) Device for heating and/or cooling a chamber
CN106043175A (zh) 一种遮阳帘式的车用太阳能空调系统
KR102143758B1 (ko) 셀프 살균기능을 갖는 냉온 벤치
CN105683659B (zh) 具有太阳能能源单元的建筑外墙显示装置及供热显示方法
KR101304860B1 (ko) 발코니 및 건물외벽을 이용한 태양열 난방시스템
ES2806688T3 (es) Calefacción por infrarrojos
CN207714804U (zh) 一种智能环保多用途太阳能公交站亭
CN209369407U (zh) 防雨型景观廊道
KR101205547B1 (ko) 야외 화장실의 자연 채광 장치
CN209457440U (zh) 避雨型景观廊道
KR20110132259A (ko) 2-친환경 조립식 텐트와 가 건물.
KR101309246B1 (ko) 이동이 가능한 화단
KR102741636B1 (ko) 냉온 기능을 가지는 벤치
CN205875800U (zh) 一种制冷及防寒交通指挥台
RU213874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микроклимата в комфортной зоне
KR102746494B1 (ko) 스마트 부스
KR102766875B1 (ko) 승강장용 대기승객을 위한 복합전열장치
CN207050079U (zh) 一种带仿真火焰的取暖器
RU208784U1 (ru) Остановочный павильо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