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1380B1 - 벨트 세정 장치, 매체 이송 장치 및 잉크젯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세정 장치, 매체 이송 장치 및 잉크젯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380B1
KR102081380B1 KR1020130103602A KR20130103602A KR102081380B1 KR 102081380 B1 KR102081380 B1 KR 102081380B1 KR 1020130103602 A KR1020130103602 A KR 1020130103602A KR 20130103602 A KR20130103602 A KR 20130103602A KR 102081380 B1 KR102081380 B1 KR 102081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ry
cleaning
belt
recording medium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311A (ko
Inventor
슈이치 가네모토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9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38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8Conveyor bands or lik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8Conveyor belts or lik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41J2/16538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with brushes or wiper blades perpendicular to the nozzle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7Clea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Ink Je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과제) 2차 와이핑 부재의 교환성 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장치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벨트 세정 장치 등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세정 용기(96)의 내측에서 그리고 반송 벨트(64)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 회전 브러시(97)보다도 하류측에 형성되고, 반송 벨트(64)에 부착한 세정액을 상대적으로 닦아내는 와이퍼(99)를 구비하고, 와이퍼(99)는, 반송 벨트(64)의 표면에 접촉하는 1차 와이핑 블레이드(193) 및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와, 세정 용기(96)의 내측에 부착되고, 1차 와이핑 블레이드(193) 및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가 각각 고정된 1차 고정 플레이트(194) 및 2차 고정 플레이트(197)를 갖고, 2차 고정 플레이트(197)에 형성된 고정부(201)의 축선(201a)을, 주행 방향 상류측을 향하여 기울고 또한 1차 고정 플레이트(194)와 교차하지 않도록 했다.

Description

벨트 세정 장치, 매체 이송 장치 및 잉크젯 기록 장치{APPARATUS FOR CLEANING BELT, APPARATUS FOR TRANSFERING MEDIUM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록 매체를 이송하는 반송 벨트를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벨트 세정 장치, 매체 이송 장치 및 잉크젯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세정수를 저류(貯留)함과 함께 상부가 개방된 물 수용부와, 물 수용부의 상부 개방부로부터 일부를 돌출시켜 물 수용부에 수용됨과 함께,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무단(無端) 벨트의 표면을 세정수로 세정하는 브러시 롤러와, 물 수용부의 내측에서 또한 무단 벨트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 브러시 롤러보다도 하류측에 형성되고, 무단 벨트에 부착한 세정액을 상대적으로 닦아내는 상류측의 시트 형상 가요성 부재 및 하류측의 탄성 지지 부재와, 시트 형상 가요성 부재를 부착한 편(片)과 탄성 지지 부재를 부착한 편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된 부착부를 구비한 클리닝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공개특허공보 2008-114991호
이러한 클리닝 장치(벨트 세정 장치)에 있어서, 부착부를 대신하여, 상류측의 1차 와이핑 부재를 고정하는 1차 고정 부재와, 하류측의 2차 와이핑 부재를 나사 고정하는 2차 고정 부재를, 물 수용부(세정 용기)에 부착함과 함께, 장치 전체를 콤팩트하게 하기 위해, 1차 고정 부재와 2차 고정 부재를 근접시켜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2차 와이핑 부재를 교환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2차 고정 부재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나사 맞춤하는 고정 나사로 드라이버 등으로 액세스할 때에 1차 고정 부재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1차 고정 부재를 2차 고정 부재보다도 하방에 형성하고, 2차 고정 부재에 형성된 나사구멍을, 1차 고정 부재의 상단(上端)보다도 상방에 위치시킴으로써, 나사구멍의 축선이 1차 고정 부재와 교차하지 않도록(나사구멍의 축선은 수평)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1차 고정 부재를 2차 고정 부재보다도 하방에 형성한 만큼, 1차 와이핑 부재의 자유길이(1차 고정 부재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되면, 1차 와이핑 부재가 무단 벨트(반송 벨트)의 표면에 대하여 적당한 접촉 압압력으로 접촉(불식)하기 위해서는, 1차 와이핑 부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소재를 특수한 것으로 하거나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와이핑 부재의 교환성 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장치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벨트 세정 장치, 매체 이송 장치 및 잉크젯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벨트 세정 장치는, 피(被)반송물을 반송하는 반송 벨트의 표면을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세정 부재와, 반송 벨트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 세정 부재보다도 하류측에 형성되고, 반송 벨트에 부착한 세정액을 상대적으로 닦아내는 와이퍼를 구비하고, 와이퍼는, 반송 벨트의 표면에 접촉하는 1차 와이핑 부재와, 주행 방향에 있어서 1차 와이핑 부재보다도 하류측에 형성되고, 반송 벨트의 표면에 접촉하는 2차 와이핑 부재와, 1차 와이핑 부재가 고정된 1차 고정 부재와, 2차 와이핑 부재가 고정된 2차 고정 부재를 갖고, 2차 고정 부재에 형성된, 2차 와이핑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의 축선이, 주행 방향 상류측을 향하여 기울고 또한 1차 고정 부재와 교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세정액을 저류함과 함께 상부가 개방된 세정 용기를, 추가로 구비하고, 세정 부재는, 세정 용기의 상부 개방부로부터 일부를 돌출시켜 세정 용기에 수용되고, 1차 고정 부재 및 2차 고정 부재는, 세정 용기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2차 와이핑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의 축선이, 주행 방향의 상류측을 향하여 기울고 있기 때문에, 1차 고정 부재를 2차 고정 부재보다도 하방에 형성하지 않아도, 당해 고정부의 축선이 1차 고정 부재와 교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고정부가 나사구멍의 경우에, 1차 와이핑 부재를 고정하는 1차 고정 부재와, 2차 와이핑 부재를 나사 고정하는 2차 고정 부재를 근접시켜 설치한 경우에도, 당해 나사구멍에 나사 맞춤하는 고정 나사에 대하여 주행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액세스할 때에, 1차 고정 부재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2차 와이핑 부재의 교환성 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장치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세정 용기의 주행 방향 하류측의 벽부에는, 용기 외측으로 굴곡되어 상단부를 경사시킨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1차 고정 부재가, 굴곡부보다도 하방의 연직부에 부착되고, 2차 고정 부재가, 판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굴곡부보다도 상방의 경사부를 따라 비스듬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판 형상으로 형성된 2차 고정 부재를 세정 용기의 경사부를 따라 비스듬하게 부착함으로써, 2차 고정 부재에 형성된 나사구멍의 축선이, 주행 방향 상류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 기울어진다. 그리고, 세정 용기의 주행 방향 하류측의 벽부에 형성된 굴곡부의 상하(경사부 및 연직부)에 2차 고정 부재 및 1차 고정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2차 고정 부재에 1차 고정 부재를 부착한 경우에 비하여, 1차 고정 부재를 주행 방향 하류측의 벽부쪽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세정 용기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체 이송 장치는, 상기한 벨트 세정 장치와, 반송 벨트를 갖고,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벨트 반송 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2차 와이핑 부재의 교환성 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장치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벨트 세정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2차 와이핑 부재의 교환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벨트 세정 장치의 설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와이퍼로 닦아내어지는 위치에 있어서, 반송 벨트가 수평 방향으로 주행하고, 2차 와이핑 부재가, 단면(斷面) 구형(矩形)으로 형성된 와이핑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2차 고정 부재를 따라 비스듬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일반적인 단면 구형의 와이핑 블레이드를 이용한 경우에도, 수평 방향으로 주행하는 반송 벨트의 표면에 대하여, 와이핑 블레이드의 모서리부를 대어 효율 좋게 세정액을 닦아낼 수 있다. 이 때문에, 특수한 형상의 와이핑 블레이드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장치는, 상기한 매체 이송 장치와, 반송 벨트 상의 기록 매체에 대하여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를 행하는 인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2차 와이핑 부재의 교환성 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장치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벨트 세정 장치를 갖는 매체 이송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2차 와이핑 부재의 교환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벨트 세정 장치의 설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벨트 세정 장치는, 피반송물을 반송하는 반송 벨트의 표면을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세정 부재와, 반송 벨트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 세정 부재보다도 하류측에 형성되고, 반송 벨트에 부착한 세정액을 상대적으로 닦아내는 와이퍼를 구비하고, 와이퍼는, 반송 벨트의 표면에 접촉하는 1차 와이핑 부재와, 주행 방향에 있어서 1차 와이핑 부재보다도 하류측에 형성되고, 반송 벨트의 표면에 접촉하는 2차 와이핑 부재와, 1차 와이핑 부재가 나사 고정된 1차 고정 부재와, 2차 와이핑 부재가 고정된 2차 고정 부재를 갖고, 1차 고정 부재에 형성된, 1차 와이핑 부재를 나사 고정하기 위한 나사구멍의 축선이, 주행 방향 하류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 기울고 또한 2차 고정 부재와 교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1차 와이핑 부재를 나사 고정하기 위한 나사구멍의 축선이, 주행 방향의 하류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 기울고 있기 때문에, 2차 고정 부재를 1차 고정 부재보다도 하방에 형성하지 않아도, 당해 나사구멍의 축선이 2차 고정 부재와 교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1차 와이핑 부재를 나사 고정하는 1차 고정 부재와, 2차 와이핑 부재를 고정하는 2차 고정 부재를 근접시켜 설치한 경우에도, 당해 나사구멍에 나사 맞춤하는 고정 나사에 대하여 주행 방향 하류측으로부터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액세스할 때에, 2차 고정 부재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1차 와이핑 부재의 교환성 등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장치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잉크젯 기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잉크젯 기록 장치에 있어서의 벨트 세정 유닛을, Y축 방향으로 평행한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은 잉크젯 기록 장치에 있어서의 벨트 세정 유닛을, X축 방향으로 평행한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 구조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잉크젯 기록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잉크젯 기록 장치는, 소위 릴·투·릴(Reel to Reel)의 형식으로 제급재(除給材)되는 포백(布帛)(원반(原反))에, 전용으로 염료 잉크를 이용하여 잉크젯 방식으로 문양 등을 인쇄(날염(捺染))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포백인 기록 매체의 정역(正逆) 이송 방향을 X축 방향이라고, X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 방향이라고 규정한다.
도 1은, 잉크젯 기록 장치의 단면 구조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잉크젯 기록 장치(1)는, 롤 형상으로 권회(卷回)된 기록 매체(W)를 조출(繰出)하여 이송하는 조출부(2)와, 조출된 기록 매체(W)를 이송 경로(3)를 따라 인쇄를 위해 이송하는 장치 본체(4)와, 장치 본체(4)의 상측에 설치되고, 장치 본체(4)와 협동하여 기록 매체(W)에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를 행하는 인쇄부(5)와, 인쇄부(5)에 의해 인쇄된 기록 매체(W)를, 장치 본체(4)의 이송 방향 하류측에 있어서 권취(卷取)하여 회수하는 권취부(6)와, 이들 구성 장치를 통괄 제어하는 제어부(7)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본체(4)는, 강재(鋼材)를 조립하여 구성한 본체용 기대(機臺; 11)와, 본체용 기대(11)에 지지되어, 기록 매체(W)를 벨트 반송에 의해 X축 방향으로 간헐 이송하는 매체 이송 기구(12)를 갖고 있다. 인쇄부(5)는, 잉크젯 헤드(15)를 갖는 캐리지 유닛(14)과, 캐리지 유닛(14)을 Y축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헤드 이동 기구(16)를 갖고 있다. 한편, 조출부(2)는, 기록 매체(W)를 조출하는 조출 유닛(18)과, 조출되어 기록 매체(W)의 느슨함을 없애는 느슨함 제거 유닛(19)을 갖고 있다. 또한, 권취부(6)는, 기록 매체(W)를 권취하는 권취 유닛(21)과, 권취 유닛(21)에 간지(間紙; P)를 공급하는 간지 유닛(22)과, 기록 매체(W)를 권취하기 전에 기록 매체(W)에 스며든 염료 잉크의 용제(수분)를 기화시키는 히터 유닛(23)을 갖고, 이들을 권취부용 기대(24)에 탑재하여 구성되어 있다.
조출 유닛(18)으로부터 조출되어 기록 매체(W)(포백)는, 느슨함 제거 유닛(19)에 의해 팽팽해지도록 하여 느슨함이 없어지고, 매체 이송 기구(12)로 송입된다. 매체 이송 기구(12)로 송입된 기록 매체(W)는, 표면에 점착되도록 하여 벨트 반송된다. 이 벨트 반송에서는, 기록 매체(W)가 X축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이송되는(부(副)주사) 한편, 이것에 동기(同期)하여 캐리지 유닛(14)이 Y축 방향으로 왕복이동하여, 잉크젯 헤드(15)로부터 잉크 토출이 행해진다(주(主)주사).
이와 같이 하여, 인쇄가 행해진 후, 기록 매체(W)의 인쇄가 끝난 부분(날염이 끝난 부분)은, 매체 이송 기구(12)로부터 권취부(6)에 송출된다. 권취부(6)에서는, 매체 이송 기구(12)로부터 송출된 기록 매체(W)에, 간지 유닛(22)으로부터 간지(P)가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기록 매체(W)와 간지(P)가 겹쳐 히터 유닛(23)으로 이송된다. 히터 유닛(23)에서는, 간지(P)와 함께 기록 매체(W)가 가열되어, 염료 잉크의 용제(수분)가 기화된다. 이와 같이 하여, 건조 처리된 날염이 끝난 기록 매체(W)는, 간지(P)와 함께 권취 유닛(21)에 권취된다.
조출 유닛(18)은, 상기의 본체용 기대(11)에 고정된 좌우(Y축 방향) 한 쌍의 T자 형상 프레임(32) 및, 한 쌍의 T자 형상 프레임(32) 사이를 건너지르는 복수개의 막대 형상 프레임(33)으로 이루어지는 조출 프레임(31)과, 한 쌍의 T자 형상 프레임(32)에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지지되어, 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extending) 2개의 조출측 로드 베이스(34)와, 2개의 조출측 로드 베이스(34)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지지된 한 쌍의 조출축 돌기(35)를 갖고 있다. 각 조출축 돌기(35)의 선단부는 원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조출축 돌기(35)는, 기록 매체(W)의 폭에 대응시킨 상호의 폭 좁힘에 의해, 각각의 선단부를 롤 형상의 기록 매체(W)의 조출 코어에 끼워 넣어, 기록 매체(W)를 수평으로 지지하고 있다.
한 쌍의 조출축 돌기(35)는, 모터 구동의 폭 이동 유닛(36)에 의해, 2개의 조출측 로드 베이스(34)를 통하여 좌우(기록 매체(W)의 폭 방향)로 일체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후술하는 사행(蛇行) 검출 센서(48)에 의해, 기록 매체(W)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이 검출되면, 한 쌍의 조출축 돌기(35)를 좌우로 미소(微小)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권회된 기록 매체(W)의 귀부(耳部)(폭단(幅端))가 죽순 형상이 되어, 기록 매체(W)에 축 방향의 감김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 기록 매체(W)의 매체 이송 기구(12)에 대한 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 즉 매체 이송 기구(12)에 있어서 기록 매체(W)가 사행(蛇行)(사행(斜行))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조출축 돌기(35)의 한쪽에는, 모터 구동의 회전 유닛(37)이 조립되어(incorporated) 있고, 이 회전 유닛(37)에 의해, 한 쌍의 조출축 돌기(35)를 조출 회전시켜 기록 매체(W)를 조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조출 유닛(18)의 하방에는, 조출 유닛(18)으로부터 조출된 기록 매체(W)의 유무를 검출하는 반사형의 광센서(142)(도 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 매체(W)에 일정한 텐션을 부여하면서 조출하는 텐션 모드와, 가능한 한 텐션을 적게 하여 조출하는 느슨함 모드가 있으며, 기록 매체(W)별로 모드 전환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텐션 모드와 느슨함 모드는, 인쇄부(5)에 형성한 조작 화면(도시 생략)에 있어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버튼에 의해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텐션 모드는, 신축성이 낮은 통상의 포백(기록 매체(W))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된 제어부(7)가, 기록 매체(W)에 소요되는 텐션을 부여하여 제1 롤러(45)를 향하여 조출하도록, 회전 유닛(37)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는, 회전 유닛(37)의 모터의 토크 제어에 의해, 매체 이송 기구(12)에 의한 기록 매체(W)의 이송 동작시에는, 기록 매체(W)를 조출하도록 회전 유닛(37)을 구동하고, 매체 이송 기구(12)에 의한 기록 매체(W)의 이송 정지시에는, 기록 매체(W)를 근소하게 되감도록 회전 유닛(37)을 구동한다. 이에 따라, 조출 유닛(18)과 느슨함 제거 유닛(19)과의 사이의 기록 매체(W)에 텐션이 부여된 상태에서, 기록 매체(W)가 이송된다.
한편, 느슨함 모드는, 예를 들면 스타킹지(地)와 같이 신축성이 높은 포백(기록 매체(W))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제어부(7)가, 조출한 기록 매체(W)가 일단 하방으로 느슨해지고 나서, 느슨함 제거 유닛(19)에 송입되도록, 회전 유닛(37)을 제어한다(도 1에서는 느슨함 부분의 기록 매체(W)를 파선으로 나타냄). 즉, 제어부(7)는, 매체 이송 기구(12)에 의한 기록 매체(W)의 이송 동작에 수반하여, 기록 매체(W)의 느슨함량이 적어지고, 조출 유닛(18)의 하방에 형성된 광센서(142)가 기록 매체(W)의 「무(無)」를 검출하면, 기록 매체(W)를 조출하도록 회전 유닛(37)을 정(正)회전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 느슨함량이 증가하며, 광센서(142)가 기록 매체(W)의 「유(有)」를 검출하면, 회전 유닛(37)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 느슨함량의 제어에 의해, 조출 유닛(18)과 느슨함 제거 유닛(19)과의 사이의 기록 매체(W)가 적절하게 느슨해진 상태에서, 기록 매체(W)가 이송된다.
느슨함 제거 유닛(19)은, 후술하는 매체 이송 기구(12)의 사이드 프레임(62)에 고정된 좌우(Y축 방향) 한 쌍의 L자 형상 프레임(42) 및, 한 쌍의 L자 형상 프레임(42) 사이를 건너지르는 로드 프레임(43)으로 이루어지는 느슨함 제거 프레임(41)과, 한 쌍의 L자 형상 프레임(42)에 양팔보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롤러군(44)을 갖고 있다. 롤러군(44)은, 조출 유닛(18)으로부터 송입된 기록 매체(W)의 이송 경로(3)를 복수 개소에서 굴곡시키기 위해, 이송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제1 롤러(45), 제2 롤러(46) 및 제3 롤러(47)의 순서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 마찰 계수가 높은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조출 유닛(18)으로부터 조출된 기록 매체(W)는, 제1 롤러(45)로 U턴하도록 하여 제2 롤러(46) 및 제3 롤러(47)에 도달한다. 제2 롤러(46) 및 제3 롤러(47)는, 상하에 근접시켜 설치되어 있고, 양단부를 일체로 형성한 한 쌍의 베어링부(51)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각 베어링부(51)는, L자 형상 프레임(42)에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한쪽의 베어링부(51)에는, 제2 롤러(46) 및 제3 롤러(47)의 상하의 배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유닛(52)이 조립되어 있다.
제2 롤러(46) 및 제3 롤러(47)를 통과하는 기록 매체(W)는, 「S」자 형상으로 경로 변경되지만, 기록 매체(W)의 종별에 따라서 이 「S」자 커브를 변형 조정하여, 기록 매체(W)별로 적당한 텐션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록 매체(W)는, 부분적인 느슨함이나 주름이 해소되어, 매체 이송 기구(12)에 송입된다. 또한 이들 롤러(45, 46, 47)는, 기록 매체(W)에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분력(分力)이 작용하도록, 중간 높이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롤러(45)와 제2 롤러(46)와의 사이에는, 사행 검출 센서(48)가 형성되어 있다.
매체 이송 기구(12)는, 상기의 본체용 기대(11) 상에 재치 고정한 좌우(Y축 방향)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62)을 갖는 본체 프레임(61)과,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62)에 지지되고, 무단의 반송 벨트(64)를 갖는 벨트 반송 유닛(63)과, 벨트 반송 유닛(63)의 하측에 설치한 벨트 세정 유닛(6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매체 이송 기구(12)는, 상류측에 있어서 벨트 반송 유닛(63)에 상측으로부터 면하는 압압 롤러(66)와, 하류측에 있어서 벨트 반송 유닛(63)에 대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 설치된 분리 롤러(67)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61)은, 두꺼운 판재로 구성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62)과,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62)을 연결하는 전후(X축 방향) 한 쌍의 연결 프레임(71)을 갖고 있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62)의 부분에서 본체용 기대(11)에 재치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61)은, 한 쌍의 연결 프레임(71) 사이에 위치하여,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62)을 연결함과 함께, 상기의 벨트 세정 유닛(65)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72)을 갖고 있다. 각 사이드 프레임(62)에는, 벨트 반송 유닛(63)을 부착하기 위한 절결부(cut-away portion)나, 인쇄부(5)를 부착하기 위한 절결부가 적절하게 형성되고, 또한 벨트 세정 유닛(65)을 점검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벨트 반송 유닛(63)은, 이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구동 풀리(81)와, 이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종동(從動) 풀리(82)와, 구동 풀리(81) 및 종동 풀리(82) 사이에 걸쳐놓은 무단의 반송 벨트(64)를 갖고 있다. 또한, 벨트 반송 유닛(63)은, 종동 풀리(82)의 근방에 위치하여, 반송 벨트(64)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83)와, 인쇄부(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반송 벨트(64)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84)와, 상기의 지지 프레임(72)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이측(裏側)으로 돌아들어간 반송 벨트(64)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 플레이트(85)를 갖고 있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83) 및 제2 가이드 플레이트(84)는, 상호의 표면이 면일(동일 수평면)이 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62) 사이에 걸쳐 놓여져 있고, 본체 프레임(61)의 일부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또한, 제1 가이드 플레이트(83)는, 종동 풀리(82)로부터 떨어진 직후의 (상측의) 반송 벨트(64)가 수평으로 주행하도록 가이드하고, 제2 가이드 플레이트(84)는, 인쇄 영역에 위치하는 반송 벨트(64)(의 상측)에, 느슨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이드하고 있다. 따라서, 제2 가이드 플레이트(84)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반송 벨트(64)는, 플래튼(platen)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3 가이드 플레이트(85)는, 벨트 세정 유닛(65)에 의해 밀어올리는 힘을 받는 반송 벨트(64)를, 누르도록 가이드하고 있다(상세한 것은 후술함). 또한 구동 풀리(81)로부터 떨어진 직후의 (하측의) 반송 벨트(64)에 대해서도, 수평으로 주행한다. 즉, 반송 벨트(64)는, 벨트 세정 유닛(65)에 의해 세정되는 위치에 있어서, 수평으로 주행한다.
구동 풀리(81) 및 종동 풀리(82)는, 전용의 베어링을 통하여,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62)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구동 풀리(81)의 한쪽의 축단에는, 반송 벨트(64)를 간헐적으로 주행시키는 반송 모터(86)가 연결되어 있다. 반송 벨트(64)는, 외주면(표면)에 점착성을 갖는(점착 처리) 폭이 넓은 특수한 벨트로 구성되고, 기록 매체(W)를 접착하여 이것을 X축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에 따라, 기록 매체(W)는, 인쇄부(5)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젖혀짐 등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인쇄 이송(간헐적으로 이송)된다.
종동 풀리(82)의 상측에는, 느슨함 제거 유닛(19)으로부터 송입된 기록 매체(W)를, 반송 벨트(64)에 접착하는 압압 롤러(66)가 설치되어 있다. 압압 롤러(66)는, 사이드 프레임(62)에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한 쌍의 지지 아암(87)의 선단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압압 롤러(66)는, 소정의 탄력성과 자중(自重)을 갖고 있으며, 그 자중에 의해, 종동 풀리(82)의 바로 위에 있어서 기록 매체(W)를 반송 벨트(64)에 밀어붙인다. 즉, 압압 롤러(66)와 종동 풀리(82)는, 반송 벨트(64)를 사이에 끼고 닙 롤러(nip roller)로서 기능하여, 주행하는 반송 벨트(64)에 기록 매체(W)를 연속적으로 접착한다. 또한, 각 지지 아암(87)의 중간 위치에는, 지지 아암(87)을 회전이동시키기 위한 에어 실린더(88)가 연결되어 있고, 한 쌍의 에어 실린더(88)를 동기 구동시킴으로써, 압압 롤러(66)가 반송 벨트(64)로부터 떼어 놓여진다.
한편, 구동 풀리(81)의 비스듬히 상방에는, 인쇄 후의 기록 매체(W)를 반송 벨트(64)로부터 떼어내어, 권취부(6)에 송입하는 분리 롤러(67)가 설치되어 있다. 분리 롤러(67)는, 사이드 프레임(62)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서브 프레임(89)에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분리 롤러(67)는, 구동 풀리(81)를 주회(周回)하여 이측으로 돌아들어가는 반송 벨트(64)로부터 기록 매체(W)를 상대적으로 떼어내는 것이지만, 실제의 동작에서는, 반송 벨트(64)로부터의 떼어내는 힘은, 기록 매체(W)의 종별로 상이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기록 매체(W)의 종별에 의해, 반송 벨트(64)가 주회를 개시하는 위치에서 떼어지기 시작하는 것과, 어느 정도 주회가 진행된 위치에서 떼어지기 시작하는 것이 있다. 단, 떼어냄의 포인트가 이측으로 돌아들어가면, 기록 매체(W)가 반송 벨트(64)에 말려 들어갈 우려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벨트(64)로부터 분리 롤러(67)에 이송되어 가는 기록 매체(W)의 각도를 위치 검출하고, 이 위치 검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권취 유닛(21)을 권취 구동하여, 떼어냄의 포인트가 반송 벨트(64)의 이측으로 돌아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점착성을 갖는 반송 벨트(64)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실밥이나 먼지가 부착되기 때문에, 벨트 세정 유닛(65)에 의해, 반송 벨트(64)의 정기적인 세정을 실시한다. 벨트 세정 유닛(65)은, 반송 벨트(64)의 하측에 있어서 상기의 지지 프레임(72)에 지지되고, 반송 벨트(64)를 횡단하도록 Y축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벨트 세정 유닛(65)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최종적으로 반송 벨트(64)에 남은 세정액은, 웨이스트(waste)로 닦아내도록 하고 있다.
인쇄부(5)는, 이송 경로(3)(벨트 반송 유닛(63))를 걸치도록 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프린터 프레임(101)과, 프린터 프레임(101)에 지지된 헤드 이동 기구(16)와, 헤드 이동 기구(16)에 탑재되어 Y축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 유닛(14)과, 이들을 덮는 프린터 커버(10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인쇄부(5)에는, 잉크젯 헤드(15)를 보수하는 캡 유닛이나 클리닝 유닛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인쇄부(5)에 있어서의, 소위 페이퍼 갭(워크 갭)은, 각종의 기록 매체(W)에 있어서 그 두께에 폭이 있기 때문에, 장치 본체(4)(매체 이송 기구(12))에 대하여, 인쇄부(5) 전체를 승강시킴으로써 조정된다.
프린터 프레임(101)은, 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판금제(板金製)의 들보 형상 프레임(104)과, 들보 형상 프레임(104)을 양단부에서 지지하는 판금제의 한 쌍의 세워 설치된 프레임(105)을 갖고, 한 쌍의 세워 설치된 프레임(105)의 부분에서, 상기의 사이드 프레임(62)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 커버(102)는, 이 프린터 프레임(101)에 부착되어 있다.
캐리지 유닛(14)은, 컬러 프린트용의 복수색의 노즐열을 갖는 잉크젯 헤드(15)와, 노즐면이 하향이 되도록 잉크젯 헤드(15)를 지지(holding)하는 캐리지(107)를 갖고 있다. 또한, 각 노즐열에 공급되는 각 색의 염료 잉크는, 소위 오프 캐리지의 잉크 탱크로부터 공급된다.
헤드 이동 기구(16)는, 캐리지 유닛(14)을 외팔보로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지지하는 캐리지 가이드(111)와, 캐리지 가이드(111)를 왕복이동시키는 벨트 전도 기구(112)와, 벨트 전도 기구(112)를 구동시키는 캐리지 모터(113)를 갖고 있다. 캐리지 가이드(111)는, 하측의 메인 가이드(114)와 상측의 서브 가이드(115)로 이루어지고, 메인 가이드(114) 및 서브 가이드(115)는, 그 양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세워 설치된 프레임(105)에 지지되어 있다. 벨트 전도 기구(112)는, 타이밍 벨트(116)를 갖고, 타이밍 벨트(116)의 일부가 캐리지 유닛(14)(캐리지(107))에 고정되어 있다.
캐리지 모터(113)에 의해 타이밍 벨트(116)를 정역 주행시키면, 캐리지 유닛(14)이, 캐리지 가이드(111)에 안내되어 Y축 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캐리지 가이드(111)의 이동 위치는, 리니어 인코더에 의해 검출되고, 이 검출 결과와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잉크젯 헤드(15)로부터 각 색의 염료 잉크가 선택적으로 토출된다. 이에 따라, 기록 매체(W)로의 인쇄(날염)가 행해진다.
권취부(6)는, X축 방향에 있어서 본체용 기대(11)에 착탈이 자유롭게 연결된 권취부용 기대(24)와, 권취부용 기대(24)의 상부에 지지된 히터 유닛(23)과, 권취부용 기대(24)의 하부에 지지된 권취 유닛(21) 및 간지 유닛(22)을 구비하고 있다. 날염된 기록 매체(W)는, 잉크가 뒷면에 묻어나지 않는 두꺼운 기록 매체(W)를 그대로 권취하는 방식과, 잉크가 뒷면에 묻어나기 쉬운 얇은 기록 매체(W)에 간지(P)를 겹쳐 권취하는 방식이 있으며, 실시 형태의 권취부(6)는, 어느 방식에도 대응 가능한 설계로 되어 있다. 이하, 후자의 방식을 채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권취부용 기대(24)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상(上)수평 프레임부(121)와, 하(下)수평 프레임부(122)와, 상수평 프레임부(121) 및 하수평 프레임부(122)가 각각 접속된 연직 프레임부(123)를 갖고, 알루미늄의 압출 형재를 종횡으로 조립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직 프레임부(123)의 부분에서, 본체용 기대(11)에 착탈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히터 유닛(23)은, 원호 형상의 방열면(125a)을 갖는 방열 플레이트(125)와, 방열 플레이트(125)에 안으로 붙인 히터(126)와, 방열 플레이트(125)의 내측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고, 코끼리의 코의 형상을 갖는 좌우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2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히터 유닛(23)(지지 플레이트(128))은, 그 상반부를 상수평 프레임부(121)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수평 프레임부(121)에 형성한 좌우의 고정 부재(127)에 의해, 상수평 프레임부(121)에 부착되어 있다. 방열 플레이트(125)의 상단부는, 상기의 분리 롤러(67)에 근접하고 또한 분리 롤러(67)보다 근소하게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방열 플레이트(125)의 상단부는, 이 부분에 하방으로부터 도입되는 간지(P)를 경로 변경하기 위해, 하향의 원호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분리 롤러(67)를 통과한 기록 매체(W)는, 방열 플레이트(125)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간지(P)와 겹치고, 방열 플레이트(125)의 원호 형상의 외면(방열면(125a))에 안내되어 하방으로 이송된다. 방열면(125a)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송되어 가는 기록 매체(W) 및 간지(P)는, 히터(126)에 의해 연속적으로 가열된다. 이 가열에 의해, 기록 매체(W)에 스며든 염료 잉크의 용제(수분)가 기화되어, 포백에 염료가 정착한다.
간지 유닛(22)은, 롤 형상의 간지(P)를 조출하는 간지 롤러(131)와, 조출된 간지(P)를 방열 플레이트(125)의 상단부를 향하여 경로 변경하는 가이드 바(132)를 갖고 있다. 가이드 바(132)는, 하수평 프레임부(122)와 연직 프레임부(123)를 연결하는 사재(斜材)의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간지 롤러(131)는, 제동 기구를 조립한 한 쌍의 베어링 유닛(133)을 통하여, 하수평 프레임부(122)의 전부(前部)에 지지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베어링 유닛(133)에 의해, 간지(P)는, 느슨함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조출된다.
권취 유닛(21)은, 상기의 조출 유닛(18)과 동일하게, 하수평 프레임부(122)의 전후 중간부에 지지되고, 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2개의 권취측 로드 베이스(135)와, 2개의 권취측 로드 베이스(135)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지지된 한 쌍의 권취축 돌기(136)를 갖고 있다. 또한, 권취 유닛(21)은, 방열 플레이트(125)의 하단부와 한 쌍의 권취축 돌기(136)와의 사이의 이송 경로(3)에 위치하여, 기록 매체(W) 및 간지(P)에 팽팽함을 부여하는 텐션 롤러(137)을 갖고 있다.
각 권취축 돌기(136)의 선단부는 원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권취축 돌기(136)는, 기록 매체(W)의 폭에 대응시킨 상호의 폭 좁힘에 의해, 각각의 선단부를, 기록 매체(W)를 권취하는 권취 코어에 끼워 넣어, 이것을 수평으로 지지하고 있다. 한 쌍의 권취축 돌기(136)의 한쪽에는, 모터 구동의 회전 유닛(138)이 조립되어 있고, 한 쌍의 권취축 돌기(136)를 권취 회전시켜, 기록 매체(W) 및 간지(P)를 동시에 권취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 유닛(138)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 롤러(67)의 근방에 있어서, 분리 롤러(67)에 이송되어 가는 기록 매체(W)의 각도 검출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텐션 롤러(137)는, 하수평 프레임부(122)의 후부에 회전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한 쌍의 회전이동 아암(139)의 선단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텐션 롤러(137)는, 권취 코어에 권취되는 기록 매체(W) 및 간지(P)의 간지(P)측에 구름 접촉하고, 그의 자중에 의해 기록 매체(W) 및 간지(P)를 하부로 회전이동 탄성지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록 매체(W) 및 간지(P)에 적당한 텐션이 부여되어, 기록 매체(W) 및 간지(P)는, 감아 조이도록 하여 권취 코어에 권취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벨트 세정 유닛(65)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 방향이란, 벨트 세정 유닛(65)에 의해 세정되는 위치에 있어서의 반송 벨트(64)의 주행 방향을 의미한다. 그 때문에, 주행 방향의 상류측은, 기록 매체(W)의 이송 방향의 하류측이 되고, 주행 방향의 하류측은, 이송 방향의 상류측이 된다.
벨트 세정 유닛(65)은, Y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지지 프레임(72)(도 1 참조)에 올려놓여지는 유닛 베이스(91)와, 유닛 베이스(91)의 Y축 방향 대략 중간부에 세워 설치하도록 형성한 승강 실린더(92)와, 승강 실린더(92)에 의해 승강되는 세정 유닛 본체(93)와, 세정 유닛 본체(93)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좌우 한 쌍의 승강 가이드(9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세정 유닛 본체(93)는, Y축 방향으로 연재함과 함께 세정액을 저류하는 세정 용기(96)와, 세정 용기(96)에 수용한 회전 브러시(97)와, 회전 브러시(97)를 회전시키는 세정 모터(98)와, 세정 용기(96)의 내측에서 또한 회전 브러시(97)보다도 주행 방향 하류측에 형성되어, 반송 벨트(64)에 부착한 세정액을 상대적으로 닦아내는 와이퍼(99)를 갖고 있다.
세정 용기(96)는, 상부가 개방됨과 함께, Y축 방향으로 긴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저벽(151)과, 주행 방향 상류측의 상류측벽(152)과, 주행 방향 하류측의 하류측벽(153)과, 장치 좌측의 좌측벽(154)과, 장치 우측의 우측벽(155)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정 용기(96)의 내부에는, 저벽(151)으로부터 높이 방향 대략 중간부까지 세워 설치되고, 용기 내부를 주행 방향(X축 방향)으로 2개로 나누는 칸막이벽(156)이 Y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세정 용기(96)는, 칸막이벽(156)에 의해, 주행 방향 상류측의 작은 소실(小室; 157)과, 주행 방향 하류측의 넓은 대실(大室; 158)로 구분되어 있으며, 대실(158)에, 회전 브러시(97)가 수용되어 있다. 칸막이벽(156)은 「둑」으로서 기능하고, 대실(158)의 액위(液位)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하류측벽(153)에는, 세정 용기(96)의 외측(주행 방향 하류측)으로 굴곡되어 상단부를 경사시킨 굴곡부(161)가 형성되어 있다. 즉, 하류측벽(153)은, 굴곡부(161)보다도 하방이고, 연직 방향으로 연재하는 연직부(162)와, 굴곡부(161)보다도 상방이며, 주행 방향 하류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재하는 경사부(16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류측벽(153)(연직부(162))에는, Y축 방향의 대략 중간부에 있어서, 공급 이음매(164)를 통하여 세정액 공급관(165)이 접속되는 세정액 공급구(166)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액 공급구(166)에는, 회전 브러시(97)와의 사이를 차폐하도록, 세정액 공급구(166)의 상단부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는 차폐판(167)이 형성되어 있다. 세정액 공급구(166)로부터 유입되는 세정액은, 이 차폐판(167)에 의해, 대실(158)의 바닥(저벽(151))을 향하여 흐른다. 이에 따라, 티끌 등이 대실(158)의 바닥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소실(157)의 저벽(151)에는, 측에 있어서, 배출 이음매(171)를 통하여 세정액 배출관(172)이 접속되는 세정액 배출구(도시 생략)가, 좌우(Y축 방향)의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세정액은, 세정액 공급구(166)로부터 대실(158)에 유입되어, 대실(158)에 수용된 회전 브러시(97)를 침지함과 함께, 칸막이벽(156)을 넘어 소실(157)로 오버 플로우되면, 세정액 배출구로부터 세정액 배출관(172)으로 배출된다. 이 세정액은, 외부 탱크와의 사이에서 필터링하면서 순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대실(158)의 저벽(151)에는, 드레인관(173)이 좌우의 2개소에 접속되어 있으며, 메인터넌스 등 시에, 대실(158)에 저류된 세정액의 액 빼내기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전 브러시(97)는, 브러시 축(181)과, 브러시 축(181)에 끼워 만들어진 브러시 본체(182)를 갖고 있다. 브러시 축(181)은, 좌우의 브러시 베어링(183)에 의해 양팔보로 축지지(軸支)되어 있고, 한쪽의 단부에는, 커플링(184)을 통하여 세정 모터(98)(기어드 모터)의 출력축이 접속되어 있다. 브러시 본체(182)는, 짧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단위 브러시(182a)를, 브러시 축(181)의 축 방향으로 늘어 놓아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반송 벨트(64)의 폭에 대응한 폭을 갖고 있다. 회전 브러시(97)는, 하단부가 대실(158)에 저류된 세정액에 침지됨과 함께, 상단부를, 세정 용기(96)의 상부 개방부로부터 근소하게 돌출시켜, 반송 벨트(64)의 표면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와이퍼(99)는, 회전 브러시(97)의 주행 방향 하류측 근방에 형성되고, 반송 벨트(64)에 부착한 세정액을 대강 닦아내는 1차 와이퍼(191)와, 1차 와이퍼(191)보다도 주행 방향 하류측에 형성되고, 1차 와이퍼(191)에 의해 닦아내어지지 않고 남은 세정액을 닦아내는 2차 와이퍼(192)를 구비하고 있다.
1차 와이퍼(191)는, 반송 벨트(64)의 표면에 접촉하는 1차 와이핑 블레이드(193)와, 1차 와이핑 블레이드(193)보다도 주행 방향 하류측에 형성되고, 1차 와이핑 블레이드(193)가 나사 고정되는 1차 고정 플레이트(194)와, 1차 와이핑 블레이드(193)보다도 주행 방향 상류측에 형성되고, 1차 와이핑 블레이드(193)의 기단부(하단부)를 1차 고정 플레이트(194)에 대하여 누르는 1차 누름 부재(195)와, 1차 누름 부재(195)를 1차 고정 플레이트(194)에 체결하는 복수의 1차 고정 나사(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이들 1차 와이핑 블레이드(193), 1차 고정 플레이트(194) 및 1차 누름 부재(195)는,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기립 자세로 되어 있다(도 3 참조).
한편, 2차 와이퍼(192)는, 1차 와이핑 블레이드(193)보다도 주행 방향 하류측에서 반송 벨트(64)의 표면에 접촉하는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와,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보다도 주행 방향 하류측의 비스듬히 하방에 형성되고,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가 나사 고정되는 2차 고정 플레이트(197)와,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보다도 주행 방향 상류측의 비스듬히 상방으로 형성되고,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의 기단부(하단부)를 2차 고정 플레이트(197)에 대하여 누르는 2차 누름 부재(198)와, 2차 누름 부재(198)를 2차 고정 플레이트(197)에 체결하는 복수의 2차 고정 나사(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이들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 2차 고정 플레이트(197) 및 2차 누름 부재(198)는,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단부가 주행 방향 하류측으로 기울어진 경사 자세로 되어 있다(도 3 참조). 즉, 1차 와이핑 블레이드(193)와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レ」자 형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1차 와이핑 블레이드(193) 및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는, 회전 브러시(97)의 상단부의 높이 위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1차 와이핑 블레이드(193)는, 비교적 부드러운 탄성 소재(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로 구성되고, 그의 선단부(상단부)에 있어서, 주행 방향 하류측의 모서리부가 비스듬하게 잘라 내어져, 주행 방향 상류측이 예각이 된 대략 구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반송 벨트(64) 표면의 세정액을 효율 좋게 닦아낼(긁어낼) 수 있지만, 반송 벨트(64)에 적당히 어울리는 것이라면, 일반적인, 단면 형상이 구형의 것이라도 좋다.
1차 고정 플레이트(194)는, 복수 개소에 형성한 스페이서(199)를 통하여, 하류측벽(153)의 연직부(162)의 상단 내측에 부착되어 있다. 도시 생략했지만, 1차 고정 플레이트(194)에는, 1차 고정 나사가 나사 맞춤하는 암 나사가 형성된 1차 나사구멍이, 1차 와이핑 블레이드(193)에는, 1차 고정 나사가 관통하는 관통구멍(헐거운 구멍)이, 1차 누름 부재(195)에는, 1차 고정 나사가 관통하는 부착구멍(헐거운 구멍)이, 각각 Y축 방향의 복수 개소에 분산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1차 고정 나사를 1차 고정 플레이트(194)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1차 누름 부재(195)가 1차 고정 플레이트(194)에 체결되고, 그 사이에 끼워진 1차 와이핑 블레이드(193)가 1차 고정 플레이트(194)에 나사 고정된다.
한편,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는, 비교적 단단한 탄성 소재(예를 들면 우레탄 고무)로 구성되고, 구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2차 고정 플레이트(197)는, 1차 고정 플레이트(194)에 근접시켜, 하류측벽(153)의 경사부(163)를 따라 비스듬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는, 2차 고정 플레이트(197)를 따라 비스듬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주행하는 반송 벨트(64)의 표면에 대하여,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의 모서리부가 닿게 된다. 이에 따라, 특수한 형상의 와이핑 블레이드를 이용하지 않고도, 효율 좋게 세정액을 닦아낼 수 있어,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1차 와이퍼(191)측과 동일하게, 2차 고정 플레이트(197)에는, 2차 고정 나사가 나사 맞춤하는 암 나사가 형성된 고정부로서의 2차 나사구멍(201)이,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에는, 2차 고정 나사가 관통하는 관통구멍(202)(헐거운 구멍)이, 2차 누름 부재(198)에는, 2차 고정 나사가 관통하는 누름구멍(203)(헐거운 구멍)이, 각각 Y축 방향의 복수 개소에 분산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2차 고정 나사를 2차 고정 플레이트(197)에 비틀어 박음으로써, 2차 누름 부재(198)가 2차 고정 플레이트(197)에 체결되고, 그 사이에 끼워진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가 2차 고정 플레이트(197)에 나사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벨트 세정 유닛(65)에 의해, 반송 벨트(64)의 정기적인 세정 작업이 실시된다. 이 세정 작업에서는, 우선, 회전 브러시(97) 및 와이퍼(99)(1차 와이핑 블레이드(193) 및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가 반송 벨트(64)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세정 유닛 본체(93)를 상승시킨다. 이때, 반송 벨트(64)는, 상기의 제3 가이드 플레이트(85)에 의해 눌러져, 수평 자세를 유지한 채로 회전 브러시(97)와 접촉한다. 그리고, 반송 벨트(64)를 주행시킴과 함께 회전 브러시(97)를 회전시킴으로써, 반송 벨트(64)의 표면(점착면)이 연속적으로 브러싱 세정된다. 여기에서, 회전 브러시(97)는, 반송 벨트(64)의 주행에 대하여 순(順)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회전 브러시(97)가 반송 벨트(64)로부터 떨어진 순간에 비산하는 세정액이, 와이퍼(99)를 향함으로써, 세정 용기(96)의 외부에 비산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반송 벨트(64)에 부착한 세정액은, 1차 와이핑 블레이드(193) 및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에 의해 닦아내어진다. 닦아내어진 세정액은, 1차 와이퍼(191)나 2차 와이퍼(192)의 표면을 따라 흘러 내려, 대실(158)로 되돌려진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2차 고정 플레이트(197)를 세정 용기(96)의 경사부(163)를 따라 비스듬하게 부착함으로써, 2차 고정 플레이트(197)에 형성된 2차 나사구멍(201)의 축선(201a)이, 주행 방향 상류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1차 고정 플레이트(194)를 2차 고정 플레이트(197)보다도 하방에 형성하지 않아도, 2차 나사구멍(201)의 축선(201a)이 1차 고정 플레이트(194)의 상단보다도 상방을 향하여, 1차 고정 플레이트(194)와 교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와 같이, 1차 고정 플레이트(194)와 2차 고정 플레이트(197)를 근접시켜 설치한 경우에도, 2차 나사구멍(201)에 나사 맞춤하는 2차 고정 나사에 대하여 주행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드라이버 등으로 액세스할 때에, 1차 고정 플레이트(194)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를 교환하는 경우 등에, 2차 고정 나사를 드라이버 등으로 용이하게 느슨하게 하고, 또한, 비틀어 박을 수 있기 때문에, 교환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1차 고정 플레이트(194)를 하류측벽(153)의 연직부(162)에 부착함과 함께, 2차 고정 플레이트(197)를 하류측벽(153)의 경사부(163)에 부착함으로써, 2차 고정 플레이트(197)에 1차 고정 플레이트(194)를 부착한 경우에 비하여, 1차 고정 플레이트(194)를 하류측벽(153)쪽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세정 용기(96)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차 와이핑 블레이드(193), 1차 고정 플레이트(194) 및 1차 누름 부재(195)를,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기립 자세로 하고,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 2차 고정 플레이트(197) 및 2차 누름 부재(198)를,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단부가 주행 방향 하류측으로 기울어진 경사 자세로 했지만, 이것과는 반대의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1차 와이핑 블레이드(193), 1차 고정 플레이트(194) 및 1차 누름 부재(195)를,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단부가 주행 방향 상류측으로 기울어진 경사 자세로 하고, 2차 와이핑 블레이드(196), 2차 고정 플레이트(197) 및 2차 누름 부재(198)를,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기립 자세로 해도 좋다. 그리고, 이 경우, 1차 고정 플레이트(194)에 형성된 1차 나사구멍의 축선이, 주행 방향 하류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 기울이도록 한다. 이에 따라, 2차 고정 플레이트(197)를 1차 고정 플레이트(194)보다도 하방에 형성하지 않아도, 1차 나사구멍의 축선이 2차 고정 플레이트(197)의 상단보다도 상방을 향하고, 2차 고정 플레이트(197)와 교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1차 고정 플레이트(194)와 2차 고정 플레이트(197)를 근접시켜 설치한 경우에도, 1차 나사구멍에 나사 맞춤하는 1차 고정 나사에 대하여 주행 방향 하류측으로부터 드라이버 등으로 액세스 할 때에, 2차 고정 플레이트(197)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또한, 1차측 및 2차측의 쌍방을 경사 자세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차 와이퍼(191) 및 2차 와이퍼(192) 모두, 반송 벨트(64)의 세정액을 닦아내는 와이핑 부재로서, 와이핑 블레이드를 이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시트 형상의 것이나 브러시 형상의 것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 매체(W)(포백)를 반송하는 반송 벨트(64)를 세정하는 벨트 세정 유닛(65)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다른 피반송물을 반송하는 반송 벨트를 세정하는 벨트 세정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유리 기판이나 편광 시트 등의 각종 기능성 시트를 반송하는 반송 벨트를 세정하는 벨트 세정 장치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1 : 잉크젯 기록 장치
64 : 반송 벨트
96 : 세정 용기
97 : 회전 브러시
99 : 와이퍼
193 : 1차 와이핑 블레이드
194 : 1차 고정 플레이트
196 : 2차 와이핑 블레이드
197 : 2차 고정 플레이트
201 : 2차 나사구멍
201a : 축선
W : 기록 매체

Claims (7)

  1. 피(被)반송물을 반송하는 반송 벨트의 표면을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세정 부재와,
    상기 반송 벨트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세정 부재보다도 하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반송 벨트에 부착한 상기 세정액을 상대적으로 닦아내는 와이퍼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퍼는,
    상기 반송 벨트의 표면에 접촉하는 1차 와이핑 부재와,
    상기 주행 방향에 있어서 상기 1차 와이핑 부재보다도 하류측에 형성되고, 상기 반송 벨트의 표면에 접촉하는 2차 와이핑 부재와,
    상기 1차 와이핑 부재가 고정된 1차 고정 부재와,
    상기 2차 와이핑 부재가 고정된 2차 고정 부재와,
    상기 세정액을 저류(貯留)함과 함께 상부가 개방된 세정 용기
    를 갖고,
    상기 세정 부재는, 상기 세정 용기의 상부 개방부로부터 일부를 돌출시켜 상기 세정 용기에 수용되고,
    상기 1차 고정 부재 및 상기 2차 고정 부재는, 상기 세정 용기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 용기의 상기 주행 방향 하류측의 벽부에는, 용기 외측으로 굴곡되어 상단부(上端部)를 경사(傾斜)시킨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1차 고정 부재가, 상기 굴곡부보다도 하방의 연직부에 부착되고,
    상기 2차 고정 부재가, 판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상기 굴곡부보다도 상방의 경사부를 따라 비스듬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2차 고정 부재에 형성된, 상기 2차 와이핑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의 축선이, 상기 주행 방향 상류측을 향하여 기울고 또한 상기 1차 고정 부재와 교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세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기재된 벨트 세정 장치와,
    상기 반송 벨트를 갖고, 상기 피반송물을 반송하는 벨트 반송 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이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로 닦아내어지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 벨트가 수평 방향으로 주행하고,
    상기 2차 와이핑 부재가, 단면(斷面) 구형(矩形)으로 형성된 와이핑 블레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2차 고정 부재를 따라 비스듬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이송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기재된 매체 이송 장치와, 상기 반송 벨트 상의 상기 피반송물인 기록 매체에 대하여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를 행하는 인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
  7. 삭제
KR1020130103602A 2012-08-31 2013-08-30 벨트 세정 장치, 매체 이송 장치 및 잉크젯 기록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2081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91467 2012-08-31
JP2012191467A JP6094097B2 (ja) 2012-08-31 2012-08-31 ベルト洗浄装置、媒体送り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311A KR20140029311A (ko) 2014-03-10
KR102081380B1 true KR102081380B1 (ko) 2020-02-25

Family

ID=4905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602A Expired - Fee Related KR102081380B1 (ko) 2012-08-31 2013-08-30 벨트 세정 장치, 매체 이송 장치 및 잉크젯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04645B2 (ko)
EP (1) EP2703178B1 (ko)
JP (1) JP6094097B2 (ko)
KR (1) KR102081380B1 (ko)
TW (1) TWI6049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56958B1 (en) * 2013-01-16 2019-05-15 Seiko Epson Corporation Belt clean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JP6288436B2 (ja) * 2014-03-20 2018-03-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被記録媒体の搬送方法
IT201700121985A1 (it) * 2017-10-26 2019-04-26 Aleph S R L Processo ed apparato di stampa digitale di un substrato in forma di foglio continuo
CN109733068B (zh) * 2019-03-08 2020-12-29 杭州富庆纸制品有限公司 印刷机的油墨添加装置
JP7521375B2 (ja) 2020-10-23 2024-07-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6619A (ja) * 2010-11-30 2012-06-21 Konica Minolta Ij Technologies Inc 記録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7362A (ja) 1998-10-26 2000-05-09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530658B1 (en) 2000-05-30 2003-03-11 Hewlett-Packard Company Dispensing applicator and method of use
US6679601B1 (en) 2000-05-30 2004-01-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ual-web transport bel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JP4636728B2 (ja) * 2001-04-27 2011-02-23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40155921A1 (en) 2001-09-05 2004-08-12 Simmons Laura Elisabeth Pen wiping method and system that employs a treadmill belt
JP4134670B2 (ja) * 2002-10-17 2008-08-2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搬送ベルト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20060013459A (ko) 2004-08-07 2006-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엔코더
US7731347B2 (en) * 2005-12-23 2010-06-08 Xerox Corporation Drum maintenance system for an imaging device and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an imaging device
US7669959B2 (en) * 2006-01-24 2010-03-02 Fuji Xerox Co., Ltd. Droplet ejection device
JP4752599B2 (ja) * 2006-05-08 2011-08-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液滴吐出装置
JP4811238B2 (ja) 2006-11-06 2011-11-09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960814B2 (ja) * 2007-09-18 2012-06-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5146193B2 (ja) * 2008-08-19 2013-02-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20110032306A1 (en) 2009-08-04 2011-02-10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Reducing Metering Blade Wear in a Drum Maintenance Unit
JP5569366B2 (ja) * 2010-11-30 2014-08-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ベルトクリーニング装置、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6619A (ja) * 2010-11-30 2012-06-21 Konica Minolta Ij Technologies Inc 記録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03178A1 (en) 2014-03-05
US9004645B2 (en) 2015-04-14
TWI604960B (zh) 2017-11-11
KR20140029311A (ko) 2014-03-10
EP2703178B1 (en) 2015-10-21
TW201416239A (zh) 2014-05-01
US20140063122A1 (en) 2014-03-06
JP6094097B2 (ja) 2017-03-15
JP2014047034A (ja)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049B1 (ko) 기록 장치, 및 기록 장치의 제어 방법
EP1918115B1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KR102081380B1 (ko) 벨트 세정 장치, 매체 이송 장치 및 잉크젯 기록 장치
JP5467117B2 (ja) 液体吐出装置、液体吐出ヘッドの清掃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11192694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装置
JP6228991B2 (ja) 印刷基板に印刷するための印刷装置
JP5583182B2 (ja) ヘッド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液滴吐出装置
JP6260390B2 (ja) 印刷装置および皺の除去方法
KR102076005B1 (ko) 잉크젯 기록 장치
JP201818782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処理液保持ユニット
US11345175B2 (en) Liquid discharge apparatus
JP2014136625A (ja) ベルト洗浄装置及び記録装置
JP2015202629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2019059029A (ja) 液滴吐出ヘッドのノズル面払拭装置及び液滴吐出装置
JP7013763B2 (ja) 払拭装置及び液滴吐出装置
JP6083155B2 (ja) 媒体送り装置および記録装置
JP2015187035A (ja) 印刷装置および蛇行解消方法
JP2020203442A (ja) クリーニング機構、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JP2015202630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CN206968205U (zh) 记录装置
JP2018001677A (ja) 印刷装置
JP2015187030A (ja) 印刷方法および印刷装置
JP2012116618A (ja)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2018164979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12095016A (ja) クリーニング機構およびスキャナ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8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01